KR20180057517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517A
KR20180057517A KR1020170146174A KR20170146174A KR20180057517A KR 20180057517 A KR20180057517 A KR 20180057517A KR 1020170146174 A KR1020170146174 A KR 1020170146174A KR 20170146174 A KR20170146174 A KR 20170146174A KR 20180057517 A KR20180057517 A KR 2018005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electronic device
user
weight
in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687B1 (ko
Inventor
백재현
문성훈
성진하
윤건호
이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32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93227A1/en
Priority to US15/819,119 priority patent/US10238800B2/en
Publication of KR2018005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61M5/16845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G06F19/346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액 거치대(IV Pole)는 수액을 거치하는 기능, 사용자가 의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제공하는 기능, 수액을 이동시키는 기능과 같이 기구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사용자는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의료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수액 거치대는 수액이 주입되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와 함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액 거치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운동량 또는 수액의 주입 상태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가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처방 정보 및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처방 정보는,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복수의 수액을 포함하고,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는, 수신된 처방 정보로부터 식별된 복수의 수액 중에서, 감지된 수액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를 갖는 둘 이상의 수액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수액으로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복수의 가속도 데이터 중에서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기 시작하는 제1 시점, 및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이 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나중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배출액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배출액의 배출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싱부, 통신부, 및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하고, 남은 시간이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현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수액의 종류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에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액의 주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11)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수액 거치대(IV Pole)(10)에 결합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수액 거치대(10)의 일부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수액 거치대(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액 거치대(IV Pole)(10)는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110을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할 때 사용자가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수액 거치대(10)는, 사용자에게 수액(11)이 주입되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와 함께 있기 때문에, 수액(11)의 주입 상태 또는 사용자의 운동량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기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액 거치대(10)와 결합된 전자 장치(100)가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자 및 의료진은 보다 용이하게 수액(10)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의료진이 모니터링하는 외부 장치(101)로 알람 신호(110)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의료진이 사용자로부터 수액을 제거해야 하는 시점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S200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무게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수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센서(111)는, 수액 또는 배출액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 변화값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증폭된 변화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또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S210에서,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이 전자 장치(100)에 연결됨에 따라, 수액의 최초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수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 동안 변화하는 수액의 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수액의 주입되는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무게 및 수액의 주입 속도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S2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의료진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의료진에게 수액을 제거해야 하는 시점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 기설정된 값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 설정 또는 외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5분 이하인지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예를 들어, 소변, 분비물, 체액 등)의 무게를 감지하고, 배출액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230에서, 전자 장치(1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됨에 따라,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01)는,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함으로써, 의료진이 사용자에 대한 수액의 주입 상태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알리는 신호,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는 예상 시점을 알리는 신호, 및 의료진에게 수액을 제거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배출된 배출액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임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수액 거치대(1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UI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수액 거치대(10)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수액 거치대(10)의 일부 구성 대신 교체하여 사용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액의 주입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일 때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와 의료진이 사용자에 대한 수액의 주입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의료진이 수액을 제거해야 하는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현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a)는 수액 거치대(10)에 결합하여 동작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수액 거치대(10)의 상단부는, 복수의 수액을 거치하기 위하여 십자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기존 수액 거치대(10)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a) 또한 십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거치대(1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a)는, 수액을 거치하기 위한 수액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 거치부는, 수액을 포함하는 주머니를 거치할 수 있는 고리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자 장치(100a)가 수액 거치대(1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기존 수액 거치대(10)를 재활용할 수 있어, 전자 장치(100a)를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a)는, 기존 수액 거치대(10)를 재활용함에 따라, 수액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기존 수액 거치대(10)의 강도를 동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b)는, 수액 거치대(10)의 일부 구성을 제거하고 제거된 일부 구성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b)는, 수액 거치대(10)의 상단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상단부 대신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c)는, 수액 거치대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액 거치대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c)는 복수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c)의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동글(dongle)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수액 거치대(10)에 연결되고, 수액이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 장치(100)가 수액 거치대(10)와 일체형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400)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400)는, 병원 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사용자에 관한 처방 정보, 사용자의 진료 기록 정보, 병원에서 사용자를 진료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수액을 처방하고,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의료진이 사용하는 외부 장치(101)에 입력하면, 처방 정보가 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수액이 연결됨에 따라,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처방받은 수액의 종류 및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수액의 무게 및 감지된 수액의 무게를 비교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000mL를 1000g에 매핑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처방받은 수액이 포도당 1000mL 및 진통제 150mL일 때, 감지된 수액의 무게가 1000g이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수액을 포도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수액의 무게가 150g이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수액을 진통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수액의 종류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수액이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처방 정보 및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처방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처방받은 하나 이상의 수액의 종류 및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처방 받은 하나 이상의 수액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과 동일한 무게를 갖는 수액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은, 처방 받은 하나 이상의 수액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과 동일한 무게를 갖는 수액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처방받은 수액이 복수이고, 처방받은 복수의 수액 중에서 감지된 수액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를 갖는 수액이 둘 이상일 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이 무엇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도당 1000mL, 생리식염수 1000mL, 및 진통제 500mL를 처방받고, 전자 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수액의 무게가 1000g일 수 있다. 사용자가 처방받은 3가지 수액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과 동일한 무게를 갖는 수액은 포도당 및 생리식염수이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이 포도당 및 생리식염수 중에서 어떤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이 포도당 1000mL인지 생리식염수 1000mL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UI(501)를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포도당 1000mL 및 생리식염수 1000mL 중에서 포도당 1000mL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502)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을 포도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수액의 종류 및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UI(531)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일시적으로 서버에 접속할 수 없거나, 서버에 사용자의 처방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전자 장치(100)는, 처방된 수액 정보가 없음을 표시하고,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수액이 연결되고, 전자 장치(100)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처방된 수액 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521)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에 대한 정보 없이,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남은 시간의 측정을 선택하는 외부 입력(522)이 수신됨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UI(531)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처방받은 복수의 수액 중에서, 전자 장치(100)가 감지한 수액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를 갖는 수액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감지한 수액의 무게가 1000g이고, 사용자가 처방받은 복수의 수액은 진통제 150mL, 비타민 500mL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처방된 수액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과 일치하는 수액이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541)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처방받은 복수의 수액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수액의 종류에 대한 정보 없이 남은 시간을 측정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UI(542)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처방받은 복수의 수액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543)이 수신됨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을 선택된 수액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수액의 종류 및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수액의 종류 및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UI(551)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에 수액의 주입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에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의 무게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액의 무게 및 수액의 주입 속도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의 주입 속도는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에 대한 수액의 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 속도가 일정 범위 이내의 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수액의 주입 속도가 급격하게 변한 것이 감지되면 외부 장치(101)에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됨에 따라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603)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603)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알리는 신호,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는 예상 시점을 알리는 신호, 및 의료진에게 수액을 제거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료진이 모니터링하는 외부 장치(101)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알람 신호(603)를 외부 장치(101)의 디스플레이(6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101)는, 홍길동에 대한 생리식염수의 주입이 오전 11시 5분에 완료될 것이고, 오전 10시 1분에 진통제 500mL를 주입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611)를 외부 장치(101)의 디스플레이(6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사용자에 대한 수액의 주입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맞추어 수액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101)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액의 주입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101)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각각 할당된 복수의 전자 장치(100)로부터, 각 사용자의 수액의 주입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의 수액의 주입 상태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복수의 사용자의 수액의 주입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예를 들어, 소변, 분비물, 체액 등)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이후 사용자의 체내에 고인 분비물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액 주머니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배액 주머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분비물이 배액 주머니로 배출됨에 따라, 배액 주머니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배액 주머니가 일정 수준 이상 배출액으로 차게 되면, 새로운 배액 주머니로 교체되어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액 주머니로 유입되는 배출액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배출액이 포함된 배액 주머니의 무게를 감지하고, 배액주머니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배액 주머니를 교체해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배액 주머니로 유입되는 배출액의 양 및 배액 주머니를 교체하기까지 남은 시간을 알리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의료진 및 사용자가 배액 주머니로 유입되는 배출액의 양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의료진이 적절한 시점에 사용자의 배액 주머니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액의 주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수액의 주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처방된 생리식염수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25분 남았음을 나타내는 UI(701), 진통제 500mL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1시간 5분 남았음을 나타내는 UI(702)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외부 장치(101)로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됨에 따라,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생리식염수 1000mL의 주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UI(712)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의료진을 호출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711)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의료진에 의해 주입이 완료된 수액이 제거됨에 따라, 해당 수액의 주입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생리식염수 1000mL의 주입이 완료되고, 간호사에 의해 생리식염수가 제거됨에 따라, 생리식염수의 주입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더 이상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아직 주입이 완료되지 않은 진통제 500mL의 주입 상태를 나타내는 UI(72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함께 이동하는 수액 거치대는 수액 거치대의 바퀴부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z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이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운동량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걸음수는, z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x축 방향에서의 가속도 ax, 및 y축 방향에서의 가속도 ay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ax및 ay에 기초하여 z축 방향에서의 가속도 az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 동안 x축 방향에서의 가속도 변화량 ?a_x 및 단위 시간 동안 y축 방향에서의 가속도 변화량 ?a_y를 계산할 수 있으며, ?a_x 및 ?a_y로부터 단위 시간 동안 z축 방향에서의 가속도 변화량 ?a_z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계산된 ?a_z을 버퍼(buffer)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버퍼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는 ?a_z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 공간으로서, 예를 들어, 10초 동안 획득되는 ?a_z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버퍼에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없으면, 오래 저장된 순서대로 저장된 가속도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와 함께 이동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 없이 전자 장치(100)가 일시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와 사용자의 움직임 없이 전자 장치(100)가 일시적으로 흔들리는 경우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a_z에 기초하여,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a_z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이동이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a_z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a_z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일 때, 사용자가 운동중인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a_z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일시적인 움직임, 또는 사용자가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의 일시적인 움직임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움직인 경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가 일시적으로 획득될 수 있으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이동하는 경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가 계속적으로 획득되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의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a_z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기 시작하는 제1 시점, 및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a_z의 수가 다시 기설정된 개수 미만이 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과 제1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센싱부(110), 프로세서(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출력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센싱부(110)는, 무게 센서(11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12), 기울기 센서(113), 적외선 센서(114), 자이로스코프 센서(115), 위치 센서(예컨대, GPS)(116), 온습도 센서(117), 근접 센서(118), 및 광 센서(1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1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 또는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센서(111)는, 수액 또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센서(111)는, 수액 또는 배출액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 변화값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증폭된 변화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또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112)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센싱부(110), 통신부(130), 출력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단위 시간 동안 변화하는 수액의 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수액의 주입되는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수액의 무게 및 수액의 주입 속도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의료진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의료진에게 수액을 제거해야 하는 시점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 기설정된 값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 설정 또는 외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5분 이하인지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센싱부(110)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수액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하고, 배출액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됨에 따라,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또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근거리 통신부(131), 이동 통신부(132) 및 방송 수신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3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3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13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됨에 따라,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141), 음향 출력부(142), 진동 모터(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1)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하나 이상의 수액이 연결되고, 수액의 무게를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측정될 때, 디스플레이(141)는 하나 이상의 수액에 대하여,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1)는, 사용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수액의 종류를 나타내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1)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됨에 따라 주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의료진을 호출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1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4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43)는 알람 신호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4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진동 모터(143)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거나 또는 배액주머니가 배출액으로 차 있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61),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사용자의 처방 정보, 수액의 주입 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한 데이터, 수액의 무게 데이터,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상기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처방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처방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복수의 수액을 포함하고,
    상기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처방 정보로부터 식별된 복수의 수액 중에서, 상기 감지된 수액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를 갖는 둘 이상의 수액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수액으로 상기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복수의 가속도 데이터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기 시작하는 제1 시점, 및 상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다시 상기 기설정된 개수 미만이 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배출액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액의 배출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싱부;
    통신부; 및
    상기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남은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액의 주입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처방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처방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수액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처방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복수의 수액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처방 정보로부터 식별된 복수의 수액 중에서, 상기 감지된 수액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를 갖는 둘 이상의 수액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수액으로 상기 수액의 종류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액의 주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복수의 가속도 데이터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상기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기 시작하는 제1 시점, 및 상기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상기 가속도 데이터의 수가 다시 기설정된 개수 미만이 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배출액의 무게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액의 배출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 8항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46174A 2016-11-21 2017-11-0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1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3220 WO2018093227A1 (en) 2016-11-21 2017-11-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15/819,119 US10238800B2 (en) 2016-11-21 2017-11-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4651P 2016-11-21 2016-11-21
US62/424,651 201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517A true KR20180057517A (ko) 2018-05-30
KR102519687B1 KR102519687B1 (ko) 2023-04-10

Family

ID=6230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174A KR102519687B1 (ko) 2016-11-21 2017-11-0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6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250A (ko) * 1997-08-29 1999-03-15 박희복 수액 주입 제어장치
KR100922839B1 (ko) * 2008-04-21 2009-10-20 정세용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250A (ko) * 1997-08-29 1999-03-15 박희복 수액 주입 제어장치
KR100922839B1 (ko) * 2008-04-21 2009-10-20 정세용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687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6809B2 (en) Medicament injection device or injection mock-up demo device with motion detector to log and track user behaviour
KR102415317B1 (ko) 의료 장치 감시를 위한 휴대폰의 사용
KR102176687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102388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9049982B2 (en) Methods to pair a medical device and at least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KR2018005217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3631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2046221B (zh) 辅助人工心脏的异常检测装置、方法及程序
KR20170059342A (ko) 환경 정보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60063369A (ko) 의료 주입 장치와 그러한 의료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기의 안전한 통신 및 페어링을 위한 방법
KR20160030736A (ko)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서버
RU2014146988A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линзы с системой контроля васкуляризации сетчатки
US20130169432A1 (en) Remote Pati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201602627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 signal
US118329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airment baseline learning
US20120276894A1 (en) Measur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KR20180083710A (ko) 전자장치 및 이를 활용한 액츄에이터 제어 방법
CA2916392A1 (en) Low glucose treatment for people with diabetes
US20110190030A1 (en) Cell phone with dual thermometer functionality
KR2018005751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03349B1 (ko)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CN110248020B (zh) 一种计时方法和装置
KR101756530B1 (ko) 스마트 약병 홀더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4044453A1 (en) Automatic suspension and resumption of medicament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