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194A -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 Google Patents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194A
KR20180057194A KR1020160155546A KR20160155546A KR20180057194A KR 20180057194 A KR20180057194 A KR 20180057194A KR 1020160155546 A KR1020160155546 A KR 1020160155546A KR 20160155546 A KR20160155546 A KR 20160155546A KR 20180057194 A KR20180057194 A KR 2018005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imulation
user
electric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메디텍
Priority to KR102016015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194A/en
Publication of KR2018005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1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32Control systems using patient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04M1/7253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euro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a healthcare platform which promotes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an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apparatus which can provide pain relief and therapeutic effect. The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can contribute to the emergence of new pain solutions for the treatment of pain by age, sex or regions through the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the pain treatment us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the treatment result.

Description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0001]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0002]

본 발명은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증 완화나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기자극 치료기의 조작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한 통증치료와 그 치료 결과에 대한 누적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하여 연령별, 성별 또는 부위별 통증치료에 대한 새로운 통증 솔루션 도출에 기여할 수 있게 한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ease of operation of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that can bring about pain relief and therapeutic effect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a healthcare platform that can contribute to the elicitation of a new pain solution for treating age, sex, or area of pain through management and monitoring.

자신의 건강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신체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헬스케어 장치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모바일 기반의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Smart phones equipped with a smart health application that can manage their own health records, or wearable devices for measuring the body's biometric information, are beginning to be used as healthcare devices, and mobile-based healthcare is increasingly attracting attention .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각 개인의 건강 관련 데이터들을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저장하고, 이처럼 저장된 건강 관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시스템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헬스케어 플랫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업을 포함하는 여러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도 증가하고 있다.Recently, health related data of each individual measured through various wearable devices is uploaded to a cloud server through a healthcare platform in real time,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individual is monitored using the stored health related data.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healthcare platforms, and the importance of healthcare platforms has increased, and the involvement of several global companies, including traditional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companies, is also increasing.

그에 따라, 애플, 삼성전자, 구글 등 주요 IT 기업들은 최근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을 시작하였으며, 여러 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에 힘쓰고 있다.Accordingly, major IT companies such as Apple, Samsung Electronics, and Google have recently begun to compete for an open healthcare platform. Healthcare monitoring, which can analyze and display data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We are working hard to build a platform.

지금까지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획득하던 생체정보는 심박수, 심박변이도(HRV), 산소포화도(SpO2), 수화수준(Hydration Level)이나, 활동량 정보, 또는 심전도(ECG)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동안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국한되곤 하였다.In order to construct a healthcare platform,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red from a wearable device or the like may include wearable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heart rate variability (HRV), oxygen saturation (SpO2), hydration level, activity amount information, It is limi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can be acquired while the user wearing the device is in daily life.

그러나, 이처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획득할 경우, 일상생활 중 생체정보의 변화를 토대로 건강의 이상 여부를 보다 빠르게 감지하고 조치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현재 아파서 고통받고 있는 환자, 특히 만성통증 등으로 고생하고 있는 노년층에게는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However, when acquiring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wearable device, it may be helpful to detect and correct the abnormality of the health based on the chang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daily life. However, Especially for the elderly suffering from chronic pain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만성통증은 정상적인 조직치유기간이라 여겨지는 3개월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통증을 말하며, 실제로는 만성통증이 6개월을 넘긴 시점에 진단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1개월 만에 진단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만성통증은 직장과 가정에서의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면서 정신적 건강을 해치될 뿐만 아니라,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고려할 때 경제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Generally, chronic pain refers to a pain that lasts for more than 3 months,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normal period of tissue healing. In fact, chronic pain is diagnosed when it is over 6 months, and sometimes it is diagnosed within 1 month This chronic pain causes many obstacles to daily life in the workplace and at home, and it not only hurts mental health, but also has a negative economic impact when considering the time and cost of treatment.

국내의 경우 60세 이상 남녀의 만성통증 유병률은 영국, 캐나다와 비교할 때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특히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의 높은 통증 유병률 및 통증의 성별 격차는 주요한 건강 의제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In Korea, the prevalence of chronic pain among men and women over 60 years of age is higher than that of England and Canada, and is higher than that of women. Therefore, the high prevalence of pain and the gender gap in pain in Korea, which is rapidly aging, needs to be considered as a major health agenda.

또한, 60세 이상 남녀 모두에서 통증의 90% 이상이 근골격계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만성통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접근이 중요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특히 근골격계에 통증이 있는 경우 우울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In addition, more than 90% of the pain in both men and women over 60 years of age appears to occur in the musculoskeletal area. In order to reduce socioeconomic burden caused by chronic pain, access to musculoskeletal pain is inevitable. Especially, when there is pain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the depressive feeling is also increased statistically.

이처럼 통증은 신체적 고통 외에도 삶의 질을 악화시키고, 의료비를 증가시키며, 직업 상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우울증이나 수면장애 및 불안증 등의 정신건강의학적인 동반질환으로 이어져 사회적인 고립을 초래하기도 하는 등 환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질병이다.In addition to the physical pain, the pain causes not only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the medical expenses and the loss of job, as well as the mental health medical accompanying diseases such as depression, sleep disorder and anxiety, It is also a disease that acts as a burden on family and society.

그러나, 75% 정도의 노인 통증환자가 통증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노인층의 만성통증에 대한 치료와 의학적인 접근이 시급한 상황이라 할 것이다.However, 75% of the elderly suffering from pain is not receiving proper treatment, so it is urgent to treat and treat chronic pain in the elderly.

그에 따라, 최근에는 병원에서의 전문적인 치료와 함께 일상생활 중 다양한 근육자극을 통증 부위에 줌으로써, 근육을 강화하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게 한 여러 전기자극 치료기 등이 소개되기도 하였다.Therefore, recently, there have been introduced various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machines that can strengthen muscles and relieve pain by providing various muscle stimulation to the pain site in daily life together with professional treatment in the hospita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자극 치료기의 경우 통증부위에 가하는 자극의 세기에 대한 세밀하고 정밀한 조작이 쉽지 않아, 통증완화에 별 도움이 안되는 미세한 자극만을 가하게 되거나, 오히려 통증을 악화시킬 정도의 너무 큰 자극이 인가됨으로써 치료보다는 고통을 가중시키게 되기도 하는 등 일반 사용자들의 사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conventional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t is not easy to finely and precisely manipulate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applied to the pain site, so that only a slight stimulation that does not help the pain relief is added, or a stimulus that is too large It is not easy to use general users because it increases the pain rather than the treatment.

특히, 만성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는 주된 연령층인 60세 이상의 고령층의 경우 전기자극 치료기의 동작과 조절이 익숙하지 못하여 그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만성통증에 적합한 개별화된 자극정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만성통증 치료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수집과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who are suffering from chronic pain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device because of the unfamiliarity with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device, and the management of individualized stimul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chronic pain It is difficult to collect and manage systematic information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따라서, 사용자들의 단순한 신체정보의 수집을 벗어나, 통증 완화나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기자극 치료기의 조작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그러한 전기자극 치료 결과를 누적 관리하며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a new type of system that enables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device that can bring about the pain relief or the therapeutic effect beyond the collection of the simpl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the cumulative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the result of th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Will continue to be nee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4111호Korean Patent No. 10-12741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5035호Korean Patent No. 10-1585035

본 발명은 통증 완화나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기자극 치료기의 조작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한 통증치료와 그 치료 결과에 대한 누적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하여 연령별, 성별 또는 부위별 통증치료에 대한 새로운 통증 솔루션 도출에 기여할 수 있게 한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n operation convenience of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that can bring about pain relief or treatment effect, and also provides a pain treatment using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and a cumulative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the treatment result, And to provide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a healthcare platform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rivation of a new pain solution for the pati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interlocked with a healthcare platform,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를 통해 전기적인 자극을 사용자의 근육이나 신경으로 인가하여 근수축을 유도하는 전기자극 치료기;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망상에서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자극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 및 각 사용자의 통증치료를 위해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후, 무선 통신망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 종료 후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는 자극정보에 대한 개별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for inducing muscular contraction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s muscle or nerve through a pad attached to a user's bod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on the local area network to provide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indicative of an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a user's body and is connected to a healthcare platform ser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mart terminal forming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o as to receive data; And stimulus information consisting of voltage or current values indicating the intensity of electric stimulation to be applied for the pain treatment of each user is derived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connect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healthcare platform server for receiving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on stim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smart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in a database.

이때,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자극정보를 수신하여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on the local area network so as to receive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and adjust the strength or strength of the electric stimulus applied through the pad, And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local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인증 받고, 각 사용자의 개인별 자극정보와 그에 대한 피드백 정보의 누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플랫폼 서버 연결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자극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치료기 연결부; 사용자의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 연결부를 통해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자극정보 수신부; 및 상기 자극정보 수신부에서 획득한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상기 치료기 연결부를 통해 전기자극 치료기로 전송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세기로 자동 조절되는 전기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게 하는 자극정보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atform server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figured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o that individual stimul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and accumulation result of feedback information thereof can be confirmed; A therapy devic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cal electrical network to enabl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A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indicating an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a user's body from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through the platform server connection unit; And a stimulus inform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stimulus information composed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acquired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through the therapeutic device connection unit to provide an electric stimulu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intensity registered i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And a stimulus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timulus information.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자극정보 전달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자극정보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의 전기자극 치료를 수행한 사용자가 해당 전기자극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를 해당 자극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 입력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피드백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user who has performed th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timulus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nputs a personal evaluation about the electric stimulation as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nd a feedback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를 직접 조작하면서 전기자극의 세기를 설정하여 전기자극 치료에 적용하였던 자극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개별적인 임상자료로 수집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치료기 사용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set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while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collec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ppli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s individual clinical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timulus information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And a therapy device us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또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는,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may further include:

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인증된 사용자에게 자극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통신부; 사용자에게 제공될 자극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극정보 저장부;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정보 중 현재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육 또는 신경을 자극하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자극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극정보 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mart terminal connect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stimulation information to an authenticated user; A stimulus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smart terminal or receiving the stimulus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terminal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a stimulation information deriv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elected for use in stimulating the user's muscles or nerves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the current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amo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

또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의료진에 의해 제안된 자극정보에 따라 스스로 자극치료를 수행한 사용자가 자신의 자극치료에 대한 개인적인 피드백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피드백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may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that the user who has selected the user or who has performed the stimulation treatment by himself / herself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posed by the medical staff inputs personal feedback for his or her stimulation therapy, And a feedback receiving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signal.

본 발명에 의하면,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하여 통증치료의 개별적인 피드백 정보를 누적 관리함과 아울러 통증환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만성통증에 대한 고령층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elderly to chronic pain by accumulating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of the pain treatment through the healthcare platform and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pain patient .

또한, 본 발명은, 고령층인 만성통증 환자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에 의해 자극정보를 수신 받아 전기자극 치료기로 전송할 수 있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자극정보를 의료기관의 도움에 의해 입력해 놓은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부터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atient suffering from chronic pain, which is an elderly person, to receive stimulus information by a smart phone or the like possessed by him or her, and transmit the stimulus information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thereby inputting appropriate stimulus informatio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iab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자극 치료기를 통하여 가해진 자극정도와 그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누적저장하며 모니터링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a healthcare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a healthcare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flow of accumulating and monitoring the degree of stimulation applied through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s feedback therefro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interlocked with a healthcar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interlocked with a healthcar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를 통해 전기적인 자극을 사용자의 근육이나 신경으로 인가하여 근수축을 유도하는 전기자극 치료기(100)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망상에서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자극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각 사용자의 통증치료를 위해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후 무선 통신망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 종료 후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는 자극정보에 대한 개별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linked to a health car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onitoring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s muscle or nerve through a pad attached to a user's body, And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connect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on a local area network to provide stimulation information consisting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indicating an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a user's body, A smart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so as to receive stimulation information, a smart terminal 200 for displaying a value of a voltage or current Is derived from the database and then transmitt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for transmitting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on stimulation information that the user inputs to the smart terminal after the end of the treatment by the electric stimulation and storing the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in a database .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를 통하여 전기적인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이나 신경에서의 수축 작용을 유도하여, 해당 부위의 근육강화를 통한 통증 완화를 도모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전기자극 치료기로 구성된다.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induces a contraction action in the user's muscles or nerves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hrough a pad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so as to alleviate pain through muscle strengthening And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이러한 전기자극 치료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일상생활 중 목이나 허리 등 원하는 신체부위에 패드를 부착한 후 전기자극의 세기나 강도를 설정하여 자극을 인가할 수 있게 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전기자극 치료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can easily move in a state of being carried by a user, attaching a pad to a desired body part such as a neck or a waist in daily life at home or at work, and then setting the intensity or strength of the electric stimulus, A portabl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and a portabl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100)(Actuator)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본체와 신체에 부착되어 전기자극을 근육이나 신경으로 인가하는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체적으로 구비된 조작패널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기자극의 세기나 강도를 직접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자극정보를 수신하여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includes a body for generating an electric stimulus and a pad attached to the body for applying an electric stimulus to the muscle or the nerve, And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ontrol intensity or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us through an interface such as an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200.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stimul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200, And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n a local area network (LAN) so as to control intensity.

이와 같이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에 근거리 통신부(110)가 구비되고, 근거리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호간에 미리 매칭시켜 등록해 놓음으로써, 추후 전기자극 치료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근거리 통신망(도 1에서는 BLE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상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전기자극 치료기(100)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자극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and is capable of receiv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indica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smart terminal 200 on the local area network The smart terminal 200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not shown in FIG. 1, but not limited to, in FIG. 1) may be used in the future when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s to be us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timulation information.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부(110)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자극정보 상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 설정값으로 인지하여 전기자극 치료기에 구비된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자극정보에서 요청하는 세기를 갖는 전기자극을 생성할 수 있게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recognizes the value of the voltage or current on the stimul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as the set value of the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the body,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generate an electric stimulus having a required intensity.

또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에는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에 의한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긴장완화 유도용 Light-Care 시스템을 연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자극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이 있는 고령자들이 심적으로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전기자극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s configured to interlock the light-care system for inducing the relaxation which can alleviate the rejection due to the electric stimulus applied to the body, thereby enabling the elderly people who have a sense of fea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erform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in a stable state.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자극정보의 수신과 전달이 가능하고 그 자극정보에서 요청하는 세기를 갖는 전기자극으로 치료를 수행한 사용자의 개별적인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통신수단과 입출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단말기로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n a local area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and an input / output means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nd transmit information and to input individual feedback of a user who has performed therapy with an electric stimulus having the intensity requested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erminal.

이러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을 받고 각 개인별 자극정보와 그에 대한 피드백 정보의 누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플랫폼 서버 연결부(210)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여 자극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치료기 연결부(220)와, 상기 플랫폼 서버 연결부를 통하여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부터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수신하는 자극정보 수신부(230)와, 상기 자극정보 수신부에서 획득한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상기 치료기 연결부를 통해 전기자극 치료기로 전송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세기로 자동 조절되는 전기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게 하는 자극정보 전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a user authentication and receives a stimulus information and a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smart terminal 200, A server connection unit (210), a therapeutic device connection unit (220) for forming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a state wher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ossible between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on a local area network, A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for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indicating an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Stimul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reatment- Via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transmi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ection 240 to be able to app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intensity registered in the health care server platform to the user in.

이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는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와 전기자극 치료기에 각각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서 도출된 자극정보를 중개하여 전송하고, 사용자가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를 받은 후 느껴지는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APP)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smar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device, and mediates and transmi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while maintain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APP)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inputting feedback information that is felt after being treated by stimulation is mounted.

따라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와 전기자극 치료기 상호간에 자극정보의 중개와 피드백 정보의 전송을 가능하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헬스케어 게이트웨이처럼 작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mart terminal enables mediation of stimulation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feedback inform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platform server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so that it can act as a healthcare gateway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자극정보의 중개 전송과 피드백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플랫폼 서버 연결부(210)에 의해 무선 통신망상에서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에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 데이터베이스(DB)에 접근하여 사용자 본인의 과거 자극정보와 그에 대한 피드백 정보, 그리고 현재 추천되고 있는 자극정보 등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The smart terminal 200 in which an application (APP)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laying transmission of stimulation information and inputting feedback information is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300)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platform server connection unit 210. [ ), Accesses the database (DB) after receiving the user authentication,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user's past stimulation information,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the currently recommended stimulation information.

이처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접근한 후 치료를 위해 제공받을 자극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자극정보상에 포함되어 있는 세기의 전기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상기 자극정보 수신부(230)를 통하여 무선 통신망상에서 제공받게 된다.After accessing the database (DB) using the smart terminal 200, if the stimulus information to be provided for the therapy is selected, the value of the voltage or current capable of generating the electric stimulus of the intensity included in the selected stimulus information Is receiv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

이후, 상기 자극정보 전달부(240)에서는 상기 치료기 연결부(220)에 의해 근거리 통신망 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전기자극 치료기의 근거리 통신부(110)로 자극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정보에 의해 전기자극 치료기(100)에서 해당 세기 또는 강도의 전기자극을 생성하여 근육이나 신경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자극 치료기의 조작이 쉽지 않은 노인층의 경우에도 스마트 단말기를 간편하게 조작하는 것만으로 정밀하고 다양한 자극정보에 의한 다양한 전기자극 치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40 transmi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connected to the therapeutic communication unit 220 via the local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00 can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trength or intensity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vided database and supply it to muscles or nerves.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can not easily operate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s by precise and various stimulation information by simply operating the terminal.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는, 상기 자극정보 전달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자극정보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의 전기자극 치료를 수행한 사용자가 해당 전기자극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를 해당 자극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 입력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한 피드백 입력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user who has performed th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performs a personal evaluation of the electric stimulation by using feedback information o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nd a feedback input unit 250 for transmitting the input data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이와 같이 상기 피드백 입력부(250)에 의해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자극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자극 치료를 받은 사용자들이 각자 자신만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자신의 통증치료에 적합한 자극정보를 개별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users who have received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us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by the feedback input unit 250 can input their own feedback information and accumulate their own feedback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manage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user.

또한, 이처럼 자극정보와 그에 따른 치료 결과인 개별화된 피드백 정보를 누적 저장함으로써, 성별이나 연령 또는 통증 부위에 따른 다양한 개인들의 치료 결과를 일반화하는 기틀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ccumulating stimulation information and individualized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framework for generalizing the treatment results of various individuals according to sex, age or pain area.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를 직접 조작하면서 전기자극의 세기를 설정하여 전기자극 치료에 적용하였던 자극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개별적인 임상자료로 수집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치료기 사용정보 수집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200 may se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while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collect stimulus information appli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s individual clinical data of the user, And a therapy-use-information collecting unit 260 that transmits the therapeutic-use-information-collecting unit 260 to the user.

이와 같이 사용자 본인이 직접 설정하여 자신의 전기자극 치료에 적용하였던 자극정보를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사용자 본인의 통증치료에 다시 활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다수인의 누적된 자극정보를 토대로 연령별 또는 부위별로 통증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자극정보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By stor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which is set by the user himself or herself in th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in the database provided i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it is possible to use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gain for the user's own pain treatment, Based on accumulated stimulation information of a large number of person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timulation information applicable to pain treatment by age or region.

이를 위하여, 상기 치료기 사용정보 수집부(26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Data Sensing(사용 데이터 수집)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적정보와, 전기자극 치료기를 구동한 활용시간,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낸 사용강도, 사용회수, 및 패드의 부착위치 등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tilization time for driv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and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are calculated by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sage strength shown, the number of times of us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ad, and the like.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본인의 과거 자극정보와 그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검색하고, 원하는 데이터(전기자극치료를 수행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포함하는 자극정보)를 다운받을 수 있으며, 새로운 데이터(전기자극치료를 수행한 후 사용자의 반응인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서버로 구성된다.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acces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mart terminal and then searches for data (past past stimulation information and feedback information thereof) stored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desired data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nd a server that can input new data (feedback information, which is a reaction of a user after performing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이러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자극정보로 저장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 정보만을 저장 및 제공하는 독립적인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다양하고 진보한 형태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여러 의료정보와 생체정보를 다양하게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may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server that stores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indicative of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us as stimulus information and stores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hereon,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an open healthcare platform server capable of variously collecting and managi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various and advanced medical services.

그에 따라, 상기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의료정보와 생체정보를 관리하며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의 일 형태로서, 지금까지 제안되지 않았던 통증치료와 그 치료 결과에 대한 누적저장과 관리를 통하여, 통증치료가 필요한 노인층 개인의 치료기록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통증치료를 위한 연령별, 성별, 또는 부위별 일반화된 통증 솔루션 도출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a form of a smart health care service that manages medical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open healthcare platform server and provides medical services, Can be used to monitor the medical records of the elderly in need of pain treatment and contribute to the generation of generalized pain solutions by age, sex, or site for treating pain.

이러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는, 의료정보와 생체정보의 관리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의 자체적인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통증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그 치료 결과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인증된 사용자에게 자극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통신부(310)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자극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극정보 저장부(320)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정보 중 현재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육 또는 신경을 자극하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자극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극정보 도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includes an internal healthcare platform server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healthcare services. In addition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n healthcare platform server, A smar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10 for forming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mart terminal connect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stimulation information to an authenticated user so that the treatment result can be monitored, A stimul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for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to be input from the smart terminal or inputting it from a medical terminal and stor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a stimul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for stimulating a user's muscles or nerves by using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Selected for use in treatment And a stimulus information deriving unit 330 for transmitting stimulus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 통신부(310)에 의해 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는 의료정보나 자극정보와 그 치료 결과인 피드백 정보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외부의 중소기업서버나 관리자 등이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누적 저장되는 여러 의료정보와 자극정보 등의 다양한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누적 저장되는 정보의 활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도 1에서는 중소기업 지원포탈과 가상화 중소기업서버 및 빅데이터 플랫폼과 연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예시도면에 의해 그 활용형태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is enabl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mart terminal 200 connect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smar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10, and further, An external SME server or an administrator who wishes to use stored medical information or stimulation information and feedback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can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so that various medical information and stimulation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tilize a variety of application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that can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In FIG. 1, the portal is associated with a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support portal, a virtualized small business server, and a big data platform. Of course, the type of utilization is not limited.

또한, 상기 자극정보 저장부(320)는, 사용자가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하여 신체의 통증 부위에 가하고자 하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결정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을 자극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자극정보는 단일세기의 자극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작은 세기에서 점차 큰 세기로 통증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을 변화시키거나, 통증부위의 심부근의 강화를 위해 바람직한 여러 세기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일련의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imulus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is configured to store, as stimulation information, a value of a voltage or a current, which determines the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a pain part of the body by a user using an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 Such stimulus information is not a single intensity stimulus, but rather a series of stimuli that vary in intensity from a small intensity to a greater intensity at the pain site, And a treatment program.

이때, 상기 자극정보 저장부(32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는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사용자의 통증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이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처럼 의료진이 제공하는 치료 프로그램에 의해 자극정보가 형성될 경우, 해당 의료진으로서는 자신이 제공한 자극정보에 따른 개인적인 통증 치료의 결과를 추후 검토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통증경감이나 치료 정도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the treatment program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can be inputted by the user using the smart terminal, and the medical staff in charge of the pain treatment of the user can perform physical therapy Or a treatment program that provides the patient with a rehabilitation treatment. Whe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s formed by the medical treatment program provided by the medical staff, the medical staff can easily and accurately grasp the pain relief or the degree of the treatment by simply examining the result of the personal pain treatment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cal staff .

또한, 상기 자극정보 도출부(330)는, 스마트 단말기로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통증치료를 위해 선택하는 자극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의료진이 제공한 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등록한 경우에는 그러한 자극정보가 우선적으로 도출되어 사용자의 자극치료에 이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imulus information derivation unit 330 may extract the stimulu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for the treatment of his / her own pain from the database, Whe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t is preferable that such stimulation information is preferentially deriv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stimulation treatment of the user.

이때, 상기 자극정보 도출부(330)에서 자극정보를 직접 선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편의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서 연령, 성별 또는 통증 부위에 따라 여러 개의 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제공하고, 이 중 사용자가 임의의 자극정보를 선택하여 체험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하면서 자신의 통증 부위와 통증 정도에 적합한 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the user's convenience and guidelines for directly select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derivation unit 330,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eatment programs according to age, sex, It is desirable that the user can select any stimulus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nd input the feedback to the stimulu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find the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the treatment program suitable for the pain area and the degree of pain of the user.

또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3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의료진에 의해 제안된 자극정보에 따라 스스로 자극치료를 수행한 사용자가 자신의 자극치료에 대한 개인적인 피드백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피드백 수신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정보를 토대로 통증개선효과 및 적정사용강도 추천을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임상적인 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자극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300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for a user who has selected the user or who has performed the stimulation treatment himself / herself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posed by the medical staff, And a feedback receiving unit 340 for storing the received data in a database. For this,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provide stimulation information as a more realistic and clinical therapeutic program through the pain relief effect and the recommendation of appropriate intensity of use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이처럼 각 자극정보에 따른 자극치료를 수행한 후 통증의 완화 여부 등을 개인적으로 입력하여 누적 저장함으로써, 자신의 통증 부위와 통증 정도의 치료에 가장 적합한 자극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자극정보를 통한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결과를 꾸준히 기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후 의료진이 사용자의 치료 경과를 검토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Thus, it is possible to find the most suitable stimulation informa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pain area and the degree of pain of the patient by individually inputting and accumulating the pain relief after individually performing the stimulation treatment according to each stimulation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program can be continuously recorded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use it as a basis for reviewing the progress of the user's treatment.

또한, 다수 사용자들이 통증치료를 위해 사용하였던 자극정보와 피드백 정보의 누적결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통증치료에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을 각 통증부위마다 정량화하고 표준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통증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cumulative results of the stimulus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which are used by the majority of users for pain treatment,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the human body is quantified and standardized for each pain site, It can be presen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기자극 치료기 110 : 근거리 통신부
200 : 스마트 단말기 210 : 플랫폼 서버 연결부
220 : 치료기 연결부 230 : 자극정보 수신부
240 : 자극정보 전달부 250 : 피드백 입력부
260 : 치료기 사용정보 수집부
300 :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 310 : 스마트 단말기 통신부
320 : 자극정보 저장부 330 : 자극정보 도출부
340 : 피드백 수신부
100: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110: local communication section
200: smart terminal 210: platform server connection part
220: Therapeutic device connecting part 230: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part
240: Stimulus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50: Feedback input unit
260: Therapeutic device us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0: Healthcare platform server 310: Smart terminal communication part
320: stimulus information storage unit 330: stimulus information derivation unit
340:

Claims (8)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를 통해 전기적인 자극을 사용자의 근육이나 신경으로 인가하여 근수축을 유도하는 전기자극 치료기;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망상에서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자극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 및
각 사용자의 통증치료를 위해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후, 무선 통신망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기자극에 의한 치료 종료 후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는 자극정보에 대한 개별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for inducing muscular contraction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s muscle or nerve through a pad attached to a user's bod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on the local area network to provide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indicative of an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a user's body and is connected to a healthcare platform ser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mart terminal forming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o as to receive data; And
The stimulus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indica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for the pain treatment of each user is derived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connect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healthcare platform server for receiving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on stim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smart terminal and storing the individual feedback information in a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자극정보를 수신하여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on a local area network to receive stimul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mart terminal and adjust intensity or strength of an electrical stimulus applied through the pad,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ealth care plat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인증 받고, 각 사용자의 개인별 자극정보와 그에 대한 피드백 정보의 누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플랫폼 서버 연결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자극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치료기 연결부;
사용자의 신체에 인가할 전기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 연결부를 통해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자극정보 수신부; 및
상기 자극정보 수신부에서 획득한 전압이나 전류의 값으로 이루어진 자극정보를 상기 치료기 연결부를 통해 전기자극 치료기로 전송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세기로 자동 조절되는 전기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게 하는 자극정보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terminal comprises:
A platform server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figured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o that individual stimul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and accumulation result of feedback information thereof can be confirmed;
A therapy devic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cal electrical network to enabl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A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a voltage or a current value indicating an intensity of an electric stimulus to be applied to a user's body from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through the platform server connection unit; And
The stimu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acquired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through the therapeutic device connection unit to apply the electric stimulation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intensity registered in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And a stimul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enable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자극정보 전달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자극정보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의 전기자극 치료를 수행한 사용자가 해당 전기자극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를 해당 자극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 입력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피드백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user who has performed th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timulus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nputs a personal evaluation about the electric stimulation a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nd a feedback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to the platform ser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자극 치료기를 직접 조작하면서 전기자극의 세기를 설정하여 전기자극 치료에 적용하였던 자극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개별적인 임상자료로 수집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치료기 사용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terminal set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while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and collec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appli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s individual clinical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timulation information to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And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perable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인증된 사용자에게 자극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통신부;
사용자에게 제공될 자극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극정보 저장부;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정보 중 현재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육 또는 신경을 자극하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자극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극정보 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includes:
A smar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mart terminal connect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stimulation information to an authenticated user;
A stimulus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eiving stimul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smart terminal or receiving the stimulus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terminal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And a stimulation information deriv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elected for use in stimulating the user's muscles or nerves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the current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apparatus among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Wherein the system comprises: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coupled to the healthcare platfo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정보 저장부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자극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통증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이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stimul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comprises a treatment program provided by a medical staff in charge of pain treatment of the user so as to be used for physical therapy or rehabilitation therapy. A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의료진에 의해 제안된 자극정보에 따라 스스로 자극치료를 수행한 사용자가 자신의 자극치료에 대한 개인적인 피드백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피드백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ealthcare platform server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that the user who has selected the user or who has performed the stimulation treatment by himself / herself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information proposed by the medical staff inputs personal feedback for his / her stimulation treatment, and stores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in the database Further comprising a feedback receiving unit operative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monitoring system.
KR1020160155546A 2016-11-22 2016-11-22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KR201800571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46A KR20180057194A (en) 2016-11-22 2016-11-22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46A KR20180057194A (en) 2016-11-22 2016-11-22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94A true KR20180057194A (en) 2018-05-30

Family

ID=6230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546A KR20180057194A (en) 2016-11-22 2016-11-22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19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03A (en)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금상테크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STIMULATOR FOR PROVIDING A CUSTOMIZEF ELECTRICAL STIMULATION SERVICE TO US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COMMUNICATION SYSTEM
GB2589738A (en) * 2020-12-01 2021-06-09 Nurokor Ltd A Bio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KR20220014969A (en) * 2020-07-30 2022-02-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ustomized electrical stimul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30096798A (en)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Pai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03A (en)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금상테크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STIMULATOR FOR PROVIDING A CUSTOMIZEF ELECTRICAL STIMULATION SERVICE TO US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68384A (en) * 2019-05-28 2021-06-09 주식회사 금상테크 Electrical stimulator for providing customized electrical stimulation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14969A (en) * 2020-07-30 2022-02-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ustomized electrical stimul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GB2589738A (en) * 2020-12-01 2021-06-09 Nurokor Ltd A Bio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KR20230096798A (en)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Pai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teractive workstation based on biometric input
TWI734018B (en) Massage machine system, massage machine used in massage machine system and wearable measuring equipment
Everaert et al. Effect of a foot-drop stimulator and ankle–foot orthosis on walking performance after stroke: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N103341232B (en) Intelligent Physical Therapeutic Device
JP6568803B2 (en)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with pulse control
US6461297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physical disorders
WO2017133689A1 (en) Prostate physiotherapy equipment for an intelligent prostate physiotherapy system
Alakram et al.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house-brackmann scores in early bells palsy
US201602469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ain of users
KR20180057194A (en)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nitoring system interlocking with healthcare platform
US20140039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wellness
WO2018218789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ative treatment of disease us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R20180120564A (en) Massage apparatus and massage system
EP3252632A1 (en) Treatment system including massage machine
CN103655164A (en) Multiplexed-output-supporting evidence-base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cupoint treatment and detecting instru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Strey et al.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ies for applications in health care: proximity and physiological signals monitors
US20190066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therapy
CN107066809A (en) A kind o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 photoluminescence physiotherapy terminal
Jeffs et al. Treatment and outcomes of head and neck oedema referrals to a hospital-based lymphoedema service
CN106924876A (en) A kind of electro photoluminescence physical therapeutic system and control method based on cloud prescription
Kim et al. A simple approach to share users' own healthcare data with a mobile phone
CN108245778A (en) A kind of intelligent Physical Therapeutic Device based on cloud platform
CN110619941A (en) Electric needle treatment system and data optimization method thereof
CN115101170A (en) Cerebral apoplexy-based rehabilit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102519939B1 (en) Server for managing digital prescription based on muscle exa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