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887A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887A
KR20180056887A KR1020160154790A KR20160154790A KR20180056887A KR 20180056887 A KR20180056887 A KR 20180056887A KR 1020160154790 A KR1020160154790 A KR 1020160154790A KR 20160154790 A KR20160154790 A KR 20160154790A KR 20180056887 A KR20180056887 A KR 2018005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amera
main body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욱
성연수
이현철
김현영
김주민
강지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887A/en
Publication of KR2018005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8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ying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ncludes an inner space; a tank uni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tores water; and a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ying device enables a user to confirm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tank unit.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탱크의 유무에 따라 직수식과 저수식으로 구분된다.Generally, a water purifier is divided into a direct expression and a low express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ater tank.

이 중에서 직수식 정수기는 원료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작동되며 원료수 중에 존재하는 입자 찌꺼기를 제거하는 침전필터와 염소성분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 필터와 기타 세라믹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수탱크가 없는 형태이다. Among them, the direct water purifier is operated by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and consists of a sediment filter which removes the particles residing in the raw water, an activated carbon filter for removing chlorine and odor, and other ceramic filters. There is no form.

또한, 저수식 정수기는 냉수 및 온수기능이 부가되며 필터의 여과속도가 느려 정수된 물을 5~20리터 정도 보관할 수 있는 정수탱크를 사용한다.In addition, a low-water purifier uses a purified water tank that can store about 5 to 20 liters of purified water with cold water and hot water function and slow filtration speed of the filter.

저수식 정수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原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 밸브와, 원수 밸브를 통과한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정수탱크와, 정수탱크의 물을 받아 냉각시켜 이를 저정하는 냉수탱크 및 냉수와 온수를 방출하는 추출코크로 구성되어 있다.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raw water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aw water such as tap water or natural water, a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aw water valve, A cold water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the water of the purified water tank, and an extraction cock for discharging cold water and hot water.

한편, 최근에 정수 및 냉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및 냉수탱크 내의 오염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어 정수탱크 및 냉수탱크 내의 오염을 확인하고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정수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of users in polluting water and cold water tanks that store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ater purifier capable of checking contamination in a water tank and a cold water tank and removing pollution.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5456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4569

물이 저장되는 탱크부 내부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식이 가능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A water purifier capable of recognizing contamination inside the tank portion where water is stored and recognizing the us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는 탱크부 및 상기 탱크부의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한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 tank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toring water,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tank unit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o.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조명 및 상기 케이스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원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includes a case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a camera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se, a light installed in the case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a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case .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용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the main body so that the camera unit can photograph the outside.

상기 탱크부에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탱크부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The tank unit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in the tank so that the camera unit can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camera unit.

상기 탱크부는 정수가 이루어진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부 투명창은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의 양측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ank portion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and a cold water tank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tank portion is formed to capture the inside of both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비추도록 설치되는 조명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to illuminate the interior space.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탱크부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카메라 유닛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카메라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may include a first camera unit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and a second camera unit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카메라 유닛은 일단이 상기 탱크부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카메라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 조명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원을 구비하며,The first camera unit may include a first case disposed at one end to face the inside of the tank unit, a first camera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case, a second camera installed at the first cas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camera, And a first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case,

상기 제2 카메라 유닛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 조명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unit includes a second case having one end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camera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case, and a second camera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A second illumination may be provided.

물이 저장되는 탱크부 내부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ntamination inside the tank part where the water is stored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카메라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amera uni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카메라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amera uni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일예로서, 본체(110), 탱크부(120), 카메라 유닛(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th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body 110, a tank 120, a camera unit 130, and a controller 150 Lt; / RTI >

본체(11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면에 본체용 투명창(11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체(110)에는 카메라 유닛(130)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 유닛(130)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본체용 투명창(112)이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has an internal space and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112 for the main body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at is,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112 for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dispos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camera unit 130 so that the use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일예로서, 본체용 투명창(112)은 사용자가 물을 추출하는 추출코크(미도시)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출코크 또는 추출코크 주위에는 사용자의 사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는 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추출코크를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nsparent window 112 for the body may be arranged to face an extraction cock (not shown) where the user extracts water. In addition, a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round the extracted coke or the extracted coke to recognize the use of the user. The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when the user uses the extraction cock.

한편, 본체(110)는 일예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탱크부(120) 및 카메라 유닛(130)은 본체(11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체(110)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The main body 11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tank unit 120 and the camera unit 13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그리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각종 필터부(미도시) 및 펌프(미도시) 등 다양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Various structures such as various filter units (not shown) and pump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탱크부(120)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한편, 탱크부(120)는 일예로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122)와, 정수탱크(122)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수탱크(1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tank unit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water is stored therein. The tank unit 120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tank 122 storing purified water and a cold water tank 124 disposed below the purified water tank 122.

한편, 탱크부(120)에는 카메라 유닛(130)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탱크부 투명창(126)이 구비될 수 있다. 탱크부 투명창(126)은 정수탱크(122)와 냉수탱크(124)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정수탱크(122)와 냉수탱크(124) 내부를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nk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tank-side transparent window 126 so that the inside of the tank unit 120 can be observ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The tank transparent window 126 may be dispos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purified water tank 122 and the cold water tank 124 to capture both the purified water tank 122 and the cold water tank 124.

한편, 탱크부 투명창(126)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탱크부 투명창(126)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탱크부 투명창(126)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126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and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an example. However,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window 126 of the tank par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126 may have a plate shape.

카메라 유닛(130)은 탱크부(120)의 내부와 본체(110)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1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120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

일예로서, 카메라 유닛(130)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32)와, 상기 케이스(132)의 일단에 구비되는 카메라(134), 상기 카메라(134)와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케이스(132)에 설치되는 조명(136) 및 케이스(132)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원(138)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unit 130 includes a case 132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 camera 134 disposed at one end of the case 132, and a camera 134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34 A light source 136 installed in the case 132 and a driving source 138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case 132 may be provided.

한편, 케이스(132)는 힌지(132a)를 통해 본체(110)에 설치되어 구동원(138)에 의해 회전된다. 일예로서, 구동원(138)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원(138)이 케이스(132)를 회전시켜 카메라(134)를 통해 탱크부(120)의 내부 및 본체(110)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132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hinge 132a and i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138. As an example, the driving source 138 may be a motor. The driving source 138 rotates the case 132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120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camera 134. [

카메라(134)는 광학렌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광학렌즈를 통해 탱크부(120)의 내부 전체를 촬영할 수도 있고, 일정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The camera 134 ma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lens (not shown), may photograph the entire interior of the tank 120 through the optical lens, or may photograph an enlarged portion of the tank 134.

또한, 조명(136)이 카메라(134)에 이웃하여 배치되므로, 어두운 탱크부(120)의 내부 또는 본체(110)의 외부를 촬영하는 경우 조명(136)을 통해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illumination 13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34, it is possible to shoot through the illumination 136 when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dark tank part 120 or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제어부(150)는 카메라 유닛(130)에 연결되며, 카메라 유닛(13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카메라 유닛(130)의 구동원(138)에 연결되어 구동원(138)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130 and receives a signal for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unit 130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138 of the camera unit 130 to drive the driving source 138 .

즉, 제어부(150)는 카메라 유닛(13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사용자별 물 사용량 및 권장량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camera unit 130 and recognize the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sto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can inform the user of the water usage amount and the recommended amount for each user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한편, 제어부(150)는 카메라 유닛(130)이 탱크부(120) 내부를 촬영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 유닛(130)이 본체(110)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camera unit 130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camera unit 130 can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camera unit 130 does not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120.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 유닛(130)이 외부를 촬영하도록 하여 본체(110)의 외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유닛(130)을 CCTV용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by continuously shooting the outside of the camera unit 1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ly, the camera unit 130 can be used as a CCTV camera.

한편,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정기적으로 탱크부(12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 유닛(13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유닛(13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통해 탱크부(120)의 내부의 오염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camera unit 130 so as to photograph the image of the inside of the tank unit 120 at the user's selection or periodicall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tank unit 120 can be recognized through a signal for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unit 130.

일예로서, 제어부(15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통해 탱크부(120)에 저장된 물의 색상, 이물질 함유 여부, 탱크부(120)의 내벽 오염 상태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업체 등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recognizes the color of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unit 120,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120 is contained,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120, etc.,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업체에 의해 탱크부(120)의 오염을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move the contamination of the tank portion 120 by the user or the management compan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는 일예로서, 본체(210), 탱크부(220), 카메라 유닛(23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ater purifi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210, a tank 220, a camera 230, and a controller 250 have.

본체(21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면에 본체용 투명창(21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체(210)에는 카메라 유닛(230)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 유닛(230)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본체용 투명창(212)이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210 has an internal space and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212 for the main body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at is, the main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212 for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camera unit 230 so as to recognize the user through the camera unit 230.

일예로서, 본체용 투명창(212)은 사용자가 물을 추출하는 추출코크(미도시)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출코크 또는 추출코크 주위에는 사용자의 사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는 제어부(2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추출코크를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nsparent window 212 for the body can be arranged to face an extraction cock (not shown) where the user extracts water. In addition, a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round the extracted coke or the extracted coke to recognize the use of the user. The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50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ler 250 when the user uses the extraction cock.

한편, 본체(210)는 일예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탱크부(220) 및 카메라 유닛(230)은 본체(21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체(210)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The main body 21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tank unit 220 and the camera unit 23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10. [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body 210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그리고, 본체(210)의 내부에는 각종 필터부(미도시) 및 펌프(미도시) 등 다양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Various structures such as various filter units (not shown) and pump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210.

탱크부(220)는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한편, 탱크부(220)는 일예로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222)와, 정수탱크(222)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수탱크(2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tank unit 2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water is stored therein. The tank unit 220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tank 222 in which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a cold water tank 224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222.

한편, 탱크부(220)에는 카메라 유닛(230)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탱크부 투명창(226)이 구비될 수 있다. 탱크부 투명창(226)은 정수탱크(222)와 냉수탱크(224)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정수탱크(222)와 냉수탱크(224) 내부를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nk part 220 may be provided with a tank side transparent window 226 so that the inside of the tank part 220 can be observed through the camera unit 230. The tank transparent window 226 may be disposed at a boundary between the purified water tank 222 and the cold water tank 224 to capture both the purified water tank 222 and the cold water tank 224.

한편, 탱크부 투명창(226)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탱크부 투명창(226)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탱크부 타명창(226)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226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and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an example. However, the shape of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226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lid 226 of the tank may have a plate shape.

카메라 유닛(230)은 탱크부(220)의 내부와 본체(210)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본체(2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23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220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일예로서, 카메라 유닛(230)은 탱크부(22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카메라 유닛(232)과, 본체(210)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본체(210)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카메라 유닛(241)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230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232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220 and a second camera unit 232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And a second camera unit 241 fixedly mounted on the first camera unit 241.

한편, 제1 카메라 유닛(231)은 일단이 탱크부(2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케이스(232)와, 제1 케이스(232)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234)와, 제1 카메라(232)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1 케이스(232)에 설치되는 제1 조명(236) 및 제1 케이스(232)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원(238)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camera unit 231 includes a first case 232 having one end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nk unit 220, a first camera 234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case 232, A first illumination unit 236 installed in the first case 232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amera 232 and a first driving source 238 rotatingly driving the first case 232.

즉, 제1 카메라 유닛(231)은 탱크부(220)의 정수탱크(222)와 냉수탱크(224)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amera unit 231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so as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purified water tank 222 and the cold water tank 224 of the tank unit 220.

한편, 제1 케이스(232)는 제1 힌지(232a)를 통해 본체(210)에 설치되어 제1 구동원(238)에 의해 회전된다. 일예로서, 제1 구동원(238)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원(238)이 케이스(232)를 회전시켜 제1 카메라(234)를 통해 탱크부(220)의 내부 및 본체(210)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first case 232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first hinge 232a and is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source 238.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source 238 may be a motor. The first driving source 238 rotates the case 232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220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first camera 234.

제1 카메라(234)는 광학렌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광학렌즈를 통해 탱크부(220)의 내부 전체를 촬영할 수도 있고, 일정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The first camera 234 may include an optical lens (not shown), may photograph the entire interior of the tank 220 through the optical lens, or may magnify and photograph a certain portion.

또한, 제1 조명(236)이 제1 카메라(234)에 이웃하여 배치되므로, 어두운 탱크부(220)의 내부를 촬영하는 경우 제1 조명(236)을 통해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illumination 23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amera 234, when the inside of the dark tank 220 is photographed, the first illumination 236 can be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illumination 236.

제2 카메라 유닛(241)은 본체(2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케이스(242)와, 제2 케이스(242)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244) 및 제2 카메라(244)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2 케이스(242)에 설치되는 제2 조명(246)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unit 241 includes a second case 242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a second camera 244 and a second camera 244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case 242. [ And a second illuminator 246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242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illuminator 242.

즉, 제2 카메라 유닛(241)은 항상 본체(210)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본체(210)에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camera unit 241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to always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제어부(250)는 카메라 유닛(230)에 연결되며, 카메라 유닛(23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제1 카메라 유닛(231)의 제1 구동원(238)에 연결되어 제1 구동원(238)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23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source 238 of the first camera unit 231 at the same time as receiving the signal of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unit 230, (238).

또한, 제어부(250)는 제2 카메라 유닛(241)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50)는 사용자별 물 사용량 및 권장량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may receive the signal of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second camera unit 241, and may recognize the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sto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50 can notify the user of the amount of water used and the recommended amount of the water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카메라 유닛(241)이 본체(110)의 외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카메라 유닛(241)을 CCTV용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may allow the second camera unit 241 to continuously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camera unit 241 can be used as a CCTV camera.

한편,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정기적으로 탱크부(22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 유닛(231)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유닛(231)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통해 탱크부(220)의 내부의 오염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the first camera unit 231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220 at a user's selection or periodicall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tank unit 220 can be recognized through a signal for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first camera unit 231.

일예로서, 제어부(25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통해 탱크부(220)에 저장된 물의 색상, 이물질 함유 여부, 탱크부(220)의 내벽 오염 상태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업체 등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50 recognizes the color of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220,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220 is contained,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inner wall of the tank 220, and the lik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업체에 의해 탱크부(220)의 오염을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move the contamination of the tank part 220 by the user or the management compan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300)는 일예로서, 본체(110), 탱크부(320), 카메라 유닛(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water purifi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10, a tank 320, a camera unit 130, and a controller 150 have.

한편, 본체(110), 카메라 유닛(130) 및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 구비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The main body 110, the camera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5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substitute the explanation.

탱크부(320)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한편, 탱크부(320)는 일예로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322)와, 정수탱크(322)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수탱크(3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tank part 3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water is stored therein. The tank unit 320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tank 322 in which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a cold water tank 324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322.

한편, 탱크부(320)에는 카메라 유닛(130)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탱크부 투명창(326)이 구비될 수 있다. 탱크부 투명창(326)은 정수탱크(322)와 냉수탱크(324)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정수탱크(322)와 냉수탱크(324) 내부를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ank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tank transparent window 326 so that the inside of the tank part 320 can be observ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The tank transparent window 326 may be dispos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purified water tank 322 and the cold water tank 324 to capture both the purified water tank 322 and the cold water tank 324.

한편, 탱크부 투명창(326)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탱크부 투명창(326)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탱크부 투명창(326)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326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and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an example. However, the shape of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326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tank-side transparent window 326 may have a plate shape.

그리고, 정수탱크(322)와 냉수탱크(324)에는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328)이 구비될 수 있다. 조명등(328)은 카메라 유닛(130)이 배치되는 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조명등(328)에 의한 광에 의해 카메라 유닛(130)에 역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유닛(130)이 베치되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tank 322 and the cold water tank 324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328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The illumination light 328 may be provided on a side wall disposed on a side where the camera unit 130 is disposed. That is, the camera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camera unit 130 is to be pushed to prevent the backlight from entering the camera unit 130 by the light emitted by the illumination light 328.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200, 300 : 정수기
110, 210 : 본체
120, 220, 320 : 탱크부
130, 230 : 카메라 유닛
150, 250 : 제어부
100, 200, 300: Water purifier
110, 210:
120, 220, 320: tank portion
130, 230: Camera unit
150, 250:

Claims (8)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는 탱크부; 및
상기 탱크부의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
을 포함하는 정수기.
A body having an inner space;
A tank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water;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tank unit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조명; 및
상기 케이스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원;
을 구비하는 정수기.
The camera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unit
A case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camera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se;
An illumination installed in the case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A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cas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용 투명창이 구비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the main body so that the camera unit can photograph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에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탱크부 투명창이 구비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nk uni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in the tank so that the camera unit can take an image of the inside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정수가 이루어진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부 투명창은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의 양측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정수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ank unit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 in which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a cold water tank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Wherein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tank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take images of both sides of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비추도록 설치되는 조명등이 구비되는 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ar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provided to illuminate the internal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탱크부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카메라 유닛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카메라 유닛을 구비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unit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tank unit, and a second camera unit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유닛은 일단이 상기 탱크부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카메라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 조명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원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카메라 유닛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 조명을 구비하는 정수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amera unit may include a first case disposed at one end to face the inside of the tank unit, a first camera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case, a second camera installed at the first cas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camera, And a first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case,
The second camera unit includes a second case having one end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camera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case, and a second camera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A water purifier having a second illumination.
KR1020160154790A 2016-11-21 2016-11-21 Water purifier KR201800568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90A KR20180056887A (en) 2016-11-21 2016-11-21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90A KR20180056887A (en) 2016-11-21 2016-11-21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887A true KR20180056887A (en) 2018-05-30

Family

ID=6230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90A KR20180056887A (en) 2016-11-21 2016-11-21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8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5971A1 (en) * 2019-10-31 2021-05-05 Deere & Company In-tank illumination system, vehicle and cart combination and in-tank illumina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5971A1 (en) * 2019-10-31 2021-05-05 Deere & Company In-tank illumination system, vehicle and cart combination and in-tank illumination method
US11974372B2 (en) 2019-10-31 2024-04-30 Deere & Company In-tank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281B2 (en) Monitoring camera with a far infrared capability
US20100065484A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filter unit
DE102004043236A1 (en) Camera unit and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environment
EP2583050B1 (en) A viewing apparatus
WO2009031477A1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and microscope
KR20180056887A (en) Water purifier
JP5823008B1 (en) Security light
JP6016305B2 (en) Water purifier
EP2790402A1 (en) Image magnifying apparatus
KR200481159Y1 (en) Wall Tapestry Type Air Cleaner
CN210629629U (en) Optical system for capturing vehicle with high beam illegally used at night
KR100612476B1 (en) Infrared camera for cctv
JP2007183483A5 (en)
KR20110027400A (en) Ir illuminator using multy-array infrared ray illuminant
CN107398642A (en) One kind laser cutting mechanism
RU106065U1 (en) DIVING TELEVISION SYSTEM
CN207251779U (en) On-vehicle night vision camera
CN207457599U (en) A kind of anatomy formula lens barrel structure
RU2327098C1 (en) Automated hydro-pneumatic cleaning system of sighting mexometer safety window
KR200398282Y1 (en) A camera box
CN217063820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reconnaissance camera based on telephoto lens
CN212086309U (en) On-site law enforcement recording device
CN216848321U (en) Long-focus high-definition infrared telephoto optical lens
KR20180088540A (en) Auxiliary Apparatus for Animal Nose Image Capturing on Mobile Devices
JP7360853B2 (en) Floating object photograph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