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863A -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 Google Patents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863A
KR20180056863A KR1020160154722A KR20160154722A KR20180056863A KR 20180056863 A KR20180056863 A KR 20180056863A KR 1020160154722 A KR1020160154722 A KR 1020160154722A KR 20160154722 A KR20160154722 A KR 20160154722A KR 20180056863 A KR20180056863 A KR 2018005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engaging portion
hood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863A/en
Publication of KR2018005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8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apparatus for a connector, to maintai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20) in a locked state. A first housing (12)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first connector (10) includes an unlocking part (16) and a first coupling part (18). A second housing (22)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second connector (20) includes a second coupling part (28). The second coupling part (28) protrudes towards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2). In particular, the second coupling part (28)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hood (24) protru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2). The unlocking part (16) has a pin shape, wherein a front end has a curved surface shape.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2)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unlocking part (16) is operated, thereby unlocking the first coupling part (18)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26). As such, provided are effects of miniaturizing the entire connectors (10, 20) and preventing the locking apparatus from being unintentionally unlocked by external force.

Description

커넥터용 체결장치{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device for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ing device for a connector for fastening between connectors.

커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재질로 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로 구성된다. 커넥터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커넥터 사이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여야 전기적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만약, 커넥터 사이의 결합 상태가 쉽게 해지되면 커넥터가 사용되는 제품의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by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but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s must be firm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assured. If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s is easily canceled, the safety of the product in which the connector is used is deteriorated.

그리고, 종래의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체결장치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력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처음에는 체결이 정확하게 되었을지라도 사용중에 체결상태가 훼손되는 경우도 발생한다.And, the fastening device used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affected by the external force. Therefore, even if the fastening is correct at first, the fastening state may be damaged during us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27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275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084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7084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363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363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fastening device used for fastening between connecto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외력에 의해 커넥터 사이의 체결상태가 훼손되지 않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ing device in which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s is not damaged by an arbitrary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ize of the connec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제2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2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해제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부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에서 분리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을 통해 상기 해제부를 조작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terminal is installed in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in which a terminal is installed in a second housing,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connector, the fastening device comprising: a releas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a first housin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by operating the releas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상기 해제부와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탄성브릿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releasing portion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 from the elastic brid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상기 탄성브릿지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다.At least one end of the elastic bridge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상기 탄성브릿지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일체로 되어 돌출되거나 상기 제1하우징에 브릿지 슬릿을 나란히 형성하여 만들어진다.The elastic brid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using or is formed by forming bridge slits in parallel in the first housing.

상기 해제부는 핀형상으로 선단이 반구형으로 된다.The releasing portion has a pin shape and a hemispherical tip.

상기 해제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2하우징에는 돌기가 더 형성된다.A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leasing portion.

상기 제2하우징에서 상기 해제부의 동작을 위해 눌러지는 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는 절개부가 더 구비된다.And a cutou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that is pressed to operate the release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바아형상이거나 홈형상으로 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may have a bar shape or a groove shap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제2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2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해제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후드의 내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해제부와 대응되는 후드의 위치를 관통하여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된 해제부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에서 분리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between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terminal is installed in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in which a terminal is installed in a second housing, And a hoo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position of the hood corresponding to the releasing portion so that the releasing portion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to be separated.

상기 해제부와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탄성브릿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후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된다.The releasing portion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 from the elastic brid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re loc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hood.

상기 탄성브릿지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일체로 되어 돌출되거나 상기 제1하우징에 브릿지 슬릿을 나란히 형성하여 만들어지는데 상기 탄성브릿지의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다.The elastic brid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using or is formed by arranging bridge slits in the first housing. At least one end of the elastic bridge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상기 해제부는 핀형상으로 선단이 반구형으로 된다.The releasing portion has a pin shape and a hemispherical tip.

상기 제2하우징의 후드에서 상기 통공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는 절개부가 더 구비된다.The hood of the second housing further includes a cutout portion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바아형상이거나 홈형상으로 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may have a bar shape or a groove shap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체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제1커넥터의 제1결합부와 제2커넥터의 제2결합부가 서로 결합되고 별도로 구성된 해제부에 의해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와 해제부가 별도로 있어 이들을 분산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First, in the faste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engaging state is released by the separate releas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eleasing portion are separately provided, they can be arranged in a dispersed manner, so that the size of the connector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connector as a whole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제1커넥터의 외면과 제2커넥터의 내측 사이에 결합장치가 위치되므로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아 불의의 외력에 의해 체결상태 훼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device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the fastening device is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and the fastening state is not damaged by unexpected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의 체결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해제부의 일측이 상대 커넥터의 일부에 들어가거나 제1결합부나 제2결합부를 요홈형태로 함에 의해 전체적으로 커넥터들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faste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one side of the release portion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thereby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connectors as a who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커넥터들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1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nnectors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4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에 구비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절연성 재질로 된 제1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일측 외면에는 탄성브릿지(14)가 있다. 상기 탄성브릿지(1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단이 제1하우징(12)에 일체로 연결된 아치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탄성브릿지(14)의 양단이 모두 제1하우징(12)에 일체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단이 제1하우징(12)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12)과 일체이면 된다.The first housing 12 hav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12. An elastic bridge (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2). The elastic bridge 14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oth ends of the elastic bridge 14 are formed in an arch shap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2. However, both ends of the elastic bridge 14 are not necessaril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2, and at least one end of the elastic bridge 1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2 and be integral with the first housing 12.

상기 탄성브릿지(14)에는 해제부(16)가 있다. 상기 해제부(16)는 핀형상으로서 상기 탄성브릿지(14)의 상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해제부(16)의 선단은 곡면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의 후드(24)와 간섭되어 않고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해제부(16)는 상기 탄성브릿지(14)에서 제1하우징(12)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The elastic bridge (14) has a release portion (16). The release portion 16 is in the form of a pin and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idge 14. The distal end of the release portion 16 may be curved. This is so that it can be guid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hood 24 of the second connector 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release portion 16 protrudes from the elastic bridge 14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2.

상기 탄성브릿지(14)에는 또한 제1결합부(18)가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는 본 실시례에서는 돌기형태이다. 상기 제1결합부(18)에는 제1경사면(19)과 제1결합면(19')이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는 바아형상이고, 선단 일측에는 제1경사면(19)이 있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의 제2결합부(26)의 제2경사면(28)이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면(19')은 상기 제1결합부(18)에서 상기 제1경사면(19)의 반대쪽에 있다. 상기 제1결합면(19')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결합부(26)의 제2결합면(28')과 밀착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The elastic bridge 14 also has a first engagement portion 18.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is in the form of a proj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19 and a first engaging surface 19 '.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is of a bar shape and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19 at one end of the leading end so that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8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of the second connector 20, Be guided.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9 'is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9 i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8.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8'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26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do.

상기 제2커넥터(2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역시 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선단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2)의 일부가 삽입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후드(24)가 있다. 상기 후드(24)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물론, 반드시 상기 후드(24) 내부가 상기 제2하우징(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구성과 관련해서 상기 후드(24)의 형태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2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20). The second housing 2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terminal is also installed inside. A part of the first housing 12 is inserted through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22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hood 24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2.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24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22. Of course, the inside of the hood 24 must not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housing 22. The configuration of the hood 24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using 12 may be various.

상기 후드(24)의 내면 또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내면 일측에는 제2결합부(26)가 있다. 상기 제2결합부(26)는 상기 후드(24)의 내면에서 제2하우징(22)의 내부쪽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2결합부(26)는 본 실시례에서는 바아형상이다. 상기 제2결합부(26)의 선단에는 제2경사면(28)과 제2결합면(28')이 있다. 상기 제2경사면(28)은 상기 제1커넥터(10)가 진입해 오는 방향을 향해 있고, 상기 제2결합면(28')은 제2하우징(22)의 후단쪽을 향해 있다. 상기 제2결합면(28')은 제1커넥터(10)의 제1결합면(19')과 밀착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경사면(28)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이 진행될 때, 제1경사면(19)과 연동된다.A second engaging portion 2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24 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24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has a bar shape in this embodiment. A second inclined surface 28 and a second engaging surface 28 'are provided at the tip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8 fac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enters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8 'faces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22.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9' of the first connector 10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8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9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참고로, 상기 해제부(16)의 돌출길이와 상기 제2결합부(26)의 돌출길이는 같은 것이 좋다. 물론, 상기 해제부(16)가 조금 길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해제부(16)가 눌러짐에 의해 탄성브릿지(14)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크다면, 해제부(16)의 돌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부(16)와 대응되는 상기 후드(24)의 내면에 돌기가 돌출되어 후드(24)를 내부로 눌렀을 때 상기 돌기가 해제부(16)를 눌러주도록 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eleasing portion 16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are preferably the same. Of course, the releasing portion 16 may be a little longer. However, if the degree to which the elastic bridge 14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depression of the releasing portion 16 is larg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eleasing portion 16 may be relatively short. A projection is proj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24 corresponding to the releasing portion 16 to press the hood 24 inward wit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rotrusion may press the release portion 16.

또한, 상기 제2결합부(26)의 돌출길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상기 제1결합부(18)의 돌출길이이다. 상기 제1결합부(18)의 돌출길이가 길어질 수도 상기 제2결합부(26)의 돌출길이는 짧아져도 된다. It i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that can affec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engaging part 18 may be long or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part 26 may be short.

그리고, 상기 해제부(16)의 위치와 상기 제2결합부(26)의 위치는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해제부(16)를 눌러주기 위해 후드(24)를 눌러줄 때, 후드(24)의 탄성변형이 상기 제2결합부(26)에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비방수 타입의 커넥터의 경우에는 상기 후드(24)에서 상기 해제부(16)를 눌러주기 위한 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2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사이에 절개슬릿이 있을 수도 있다.The position of the releasing portion 16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may be separated to some extent. Particularly, when the hood 24 is pressed to press the release portion 16,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od 24 should be minimized to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26. 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a non-discharge type connector, there may be a cutting slit between a portion for pressing the release portion 16 in the hood 24 and a portion wher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is formed.

상기 해제부(16)는 상기 제1결합부(18)와 비교할 때, 제1결합부(18)가 제1하우징(12)의 선단쪽에 있고, 상기 해제부(16)는 제1하우징(12)의 후단쪽에 있다.The releasing portion 16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18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housing 12 and a releasing portion 16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using 12 ).

다음으로, 도 4와 도 5에는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커넥터(110)의 외관과 골격을 절연성 재질로 된 제1하우징(112)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12)의 일측 외면에는 탄성브릿지(114)가 있다. 상기 탄성브릿지(11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이다.Next, another embodiment is shown in Fig. 4 and Fig. According to this, the outer housing and the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110 are formed by the first housing 112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2. An elastic bridge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12. The elastic bridge 114 is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탄성브릿지(114)에는 해제부(116)가 있다. 상기 해제부(116)는 핀형상으로서 상기 탄성브릿지(114)의 상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해제부(116)의 선단은 곡면으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해제부(116)는 상기 탄성브릿지(114)에서 제1하우징(112)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The elastic bridge 114 is provided with a release portion 116. The releasing portion 116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idge 114 as a pin. The distal end of the releasing portion 116 may be curved. The release portion 116 protrudes from the elastic bridge 114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12.

상기 탄성브릿지(114)에는 제1결합부(118)가 있다. 상기 제1결합부(118)는 본 실시례에서는 홈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118)의 내부 일면은 제1경사면(119)이고, 반대되는 면은 제1결합면(119')이다. 상기 제1결합면(11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결합면(128')이 걸어진다.The elastic bridge 114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118.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8 has a groov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8 is a first inclined surface 119 and the opposite surface is a first coupling surface 119 '.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19 'is engaged with a second engagement surface 12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2커넥터(12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12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12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역시 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122)의 선단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2)의 일부가 삽입되어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122)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후드(124)가 있다. 상기 후드(124)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1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물론, 반드시 상기 후드(124) 내부가 상기 제2하우징(1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하우징(112)의 구성과 관련해서 상기 후드(124)의 형태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2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second housing 12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terminal is also installed inside. A part of the first housing 112 is inserted through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122 to connect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to each other. And a hood 124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2.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124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22. Of course, the inside of the hood 124 must not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22. The configuration of the hood 124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using 112 may be various.

상기 후드(124)의 내면 또는 상기 제2하우징(122)의 내면 일측에는 제2결합부(126)가 있다. 상기 제2결합부(126)는 상기 후드(124)의 내면에서 제2하우징(122)의 내부 쪽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2결합부(126)는 본 실시례에서는 바아형상이다. 상기 제2결합부(126)의 선단에는 제2경사면(128)과 제2결합면(128')이 있다. 상기 제2경사면(128)은 상기 제1커넥터(110)가 진입해 오는 방향을 향해 있고, 상기 제2결합면(128')은 제2하우징(122)의 후단쪽을 향해 있다. 상기 제2결합면(128')은 제1커넥터(110)의 제1결합면(119')과 밀착되어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경사면(128)은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의 결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브릿지(114)의 표면과 연동된다.A second coupling portion 126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124 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6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124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12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6 has a bar shape in this embodiment. A second inclined surface 128 and a second engaging surface 128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6.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8 fac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10 enters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128 'faces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122.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1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19' of the first connector 110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8 is interlocked with the surface of the elastic bridge 114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해제부(116)와 제2결합부(126)의 길이관계는 도 1의 실시례에서와 유사하고, 그 위치관계도 후드(124)의 탄성변형이 제2결합부(126)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asing portion 116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6 is similar to that i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asing portion 116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6 is shown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od 124,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influence of the heat.

다음으로,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비교할 때, 탄성브릿지(214)가 제1하우징(212)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거나 없도록 된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제1하우징(212)의 외면에 브릿지슬릿(214')을 나란히 형성하여 탄성브릿지(214)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머지의 구성, 해제부(216). 제1결합부(218) 그리고 제2커넥터(220)의 구성은 동일하며,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200단위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part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elastic bridge 214 is not protruded or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2.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bridge slit 214 'is formed in parall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2 to form the elastic bridge 214.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release unit 216. The first connector 218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200 unit numerals.

다음으로, 도 8과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도 1의 실시례와 비교할 때, 제1커넥터(310)의 해제부(316)가 탄성브릿지(314)의 양단에 복수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례의 경우는 해제부(316)가 제2결합부(326)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2커넥터(32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도 동일하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release portions 316 of the first connector 31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bridge 314,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releasing portion 316 can be relatively farther away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26.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320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앞의 실시례들과는 달리 해제부(416)가 제2커넥터(420)의 후드(424)에 형성된 통공(425)을 통해 선단이 노출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부(416)의 선단이 통공(425) 내에 있어 상기 후드(424)를 탄성변형시키지 않고 상기 해제부(416)를 직접 눌러서 탄성브릿지(414)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The distal end of the release portion 416 may b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425 formed in the hood 424 of the second connector 420,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s. 11, the distal end of the releasing portion 416 is in the through hole 425, so that the elastic bridge 414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releasing portion 416 directly without elastically deforming the hood 424. That is, Can be deform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례들이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의 실시례에서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하우징(12)이 제2하우징(22)의 내부로 들어갈 때, 상기 제2커넥터(20)의 제2결합부(26)가 상기 탄성브릿지(14)의 일단부 측에서 제1결합부(18)와 연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제2결합부(26)의 제2경사면(28)이 상기 제1결합부(18)의 제1경사면(19)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탄성브리지(14)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1,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housing 1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22, 20 starts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at one end side of the elastic bridge 14. [ The second inclined face 28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is guided along the first inclined face 19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so that the elastic bridge 14 is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제2결합부(26)가 상기 제1결합부(18)의 제1경사면(19)을 타고 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8)의 제1결합면(19')과 제2결합부(26)의 제2결합면(28')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어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Whe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rides ov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19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ngaging surface 18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19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8'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prevented from mov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separated.

다음으로, 도 3의 상태에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에 표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사용자가 상기 후드(24)에 힘을 가하면 후드(2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해제부(16)가 눌러지게 된다. 상기 해제부(16)가 눌러지게 되면 상기 탄성브릿지(1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결합부(18)가 함께 하강하고, 제1결합부(18)와 제2결합부(2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in the state of Fig. 3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hood 2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shown in Fig. 3, the hood 24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releasing portion 16 is pressed. When the release portion 16 is pressed, the elastic bridge 14 elastically deforms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descends together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8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와 같은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실시례, 도 6에 도시된 실시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동일하게 된다.This operation is the sam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한편,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상기 후드(424)가 탄성변형되지 않고, 상기 통공(425)으로 돌출된 해제부(416)를 눌러줌에 의해 직접 탄성브릿지(414)가 탄성변형되어 제1결합부(418)와 제2결합부(42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해제부(416)를 눌렀을 때 해제부(416)의 선단이 통공(425)을 통해 후드(424)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해제부(416) 선단의 곡면에 의해 후드(424)의 내측으로 해제부(416)가 제1커넥터(410)와 제2커넥터(420)의 분리가 일어날 때 들어갈 수 있다.10, the hood 424 is not deformed elastically, but the resilient bridge 414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releasing portion 416 protruding from the through hole 425. In this case,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418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426 can be released. 10, when the release portion 416 is pressed, the tip of the release portion 416 enters the inside of the hood 424 through the through hole 425,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tip end of the release portion 416 The release portion 416 can be inserted into the hood 424 when the first connector 410 and the second connector 4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참고로,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커넥터(410)와 제2커넥터(420)가 결합될 때, 상기 후드(424)가 상기 해제부(416)에 의해 많이 변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후드(424)의 내면에 상기 해제부(416)의 선단이 이동하는 채널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후드(424)의 탄성변형정도를 줄일 수 있다.10, when the first connector 410 and the second connector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od 424 may be deformed by the releasing portion 416 significantly. However, if the channel for moving the tip of the release unit 41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424,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od 424 can be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례들에 나타난 구성을 서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홈형상의 제1결합부(118)를 도 6에 도시된 실시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조합된 실시례를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groove-shaped first engaging portion 118 can also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and the like . In this way, many different combinations can be made.

상기 제2결합부(26)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들에서 바아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홈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후드(24)의 내면에 홈으로 제2결합부가 만들어지면 된다.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26 is formed in a bar shap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other embodiments, but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24.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탄성브릿지 16: 해제부
18: 제1결합부 19: 제1경사면
19': 제1결합면 20: 제2커넥터
22: 제2하우징 24: 후드
26: 제2결합부 28: 제2경사면
28': 제2결합면 110: 제1커넥터
112: 제1하우징 114: 탄성브릿지
116: 해제부 118: 제1결합부
119: 제1경사면 119': 제1결합면
120: 제2커넥터 122: 제2하우징
124: 후드 126: 제2결합부
128: 제2경사면 128': 제2결합면
210: 제1커넥터 212: 제1하우징
214: 탄성브릿지 214': 브릿지슬릿
216: 해제부 218: 제1결합부
219: 제1경사면 219': 제1결합면
220: 제2커넥터 222: 제2하우징
224: 후드 226: 제2결합부
228: 제2경사면 228': 제2결합면
310: 제1커넥터 312: 제1하우징
314: 탄성브릿지 316: 해제부
318: 제1결합부 319: 제1경사면
319': 제1결합면 320: 제2커넥터
322: 제2하우징 324: 후드
326: 제2결합부 328: 제2경사면
328': 제2결합면 410: 제1커넥터
412: 제1하우징 414: 탄성브릿지
416: 해제부 418: 제1결합부
419: 제1경사면 419': 제1결합면
420: 제2커넥터 422: 제2하우징
424: 후드 425: 통공
426: 제2결합부 428: 제2경사면
428': 제2결합면
10: first connector 12: first housing
14: elastic bridge 16:
18: first engaging portion 19: first inclined surface
19 ': first coupling surface 20: second connector
22: second housing 24: hood
26: second engaging portion 28: second inclined surface
28 ': second coupling surface 110: first connector
112: first housing 114: elastic bridge
116: releasing portion 118: first engaging portion
119: first inclined surface 119 ': first coupling surface
120: second connector 122: second housing
124: hood 126: second engaging portion
128: second inclined surface 128 ': second engaging surface
210: first connector 212: first housing
214: elastic bridge 214 ': bridge slit
216: releasing portion 218: first engaging portion
219: first inclined surface 219 ': first coupling surface
220: second connector 222: second housing
224: hood 226: second engaging portion
228: second inclined surface 228 ': second coupling surface
310: first connector 312: first housing
314: elastic bridge 316:
318: first engaging portion 319: first inclined surface
319 ': first coupling surface 320: second connector
322: second housing 324: hood
326: second coupling portion 328: second inclined surface
328 ': second coupling surface 410: first connector
412: first housing 414: elastic bridge
416: Release part 418: First engaging part
419: first inclined surface 419 ': first coupling surface
420: second connector 422: second housing
424: Hood 425: through hole
426: second engaging portion 428: second inclined surface
428 ': second coupling surface

Claims (14)

제1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제2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2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해제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부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에서 분리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을 통해 상기 해제부를 조작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A connector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between a first connector having a terminal inside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inside the second housing,
A release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by operating the releas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releasing portion is operat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와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탄성브릿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The fastening device for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easing portion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 from an elastic brid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브릿지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3. The connector fastener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elastic bridge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브릿지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일체로 되어 돌출되거나 상기 제1하우징에 브릿지 슬릿을 나란히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The connector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lastic brid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using or is formed by forming bridge slits in parallel in the first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핀형상으로 선단이 반구형으로 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5. The connector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elease portion has a pin-like shape and a hemispherical ti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2하우징에는 돌기가 더 형성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6. The connector fasten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leasing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서 상기 해제부의 동작을 위해 눌러지는 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는 절개부가 더 구비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The connector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a cutout portion between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that is pressed to operate the release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바아형상이거나 홈형상으로 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The fastening device for connector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bar-shaped or groove-shaped.
제1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제2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제2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해제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후드의 내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해제부와 대응되는 후드의 위치를 관통하여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된 해제부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에서 분리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A connector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between a first connector having a terminal inside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inside the second housing,
A release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passing through a position of the hood corresponding to the releas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by operating a releasing portion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state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와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탄성브릿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후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위치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The fastening device for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eleasing portion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are formed in a space formed by the hood and protruding from an elastic brid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브릿지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일체로 되어 돌출되거나 상기 제1하우징에 브릿지 슬릿을 나란히 형성하여 만들어지는데 상기 탄성브릿지의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The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elastic brid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using or is formed by lining bridge slits in the first housing,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elastic bridge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핀형상으로 선단이 반구형으로 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12. The connector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elease portion has a pin-like shape and a hemispherical tip.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후드에서 상기 통공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는 절개부가 더 구비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
13. The connector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further comprising a cutout portion between a portion of the hood of the second housing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바아형상이거나 홈형상으로 되는 커넥터용 체결장치.14. The connector faste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bar-shaped or groove-shaped.
KR1020160154722A 2016-11-21 2016-11-21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KR201800568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22A KR20180056863A (en) 2016-11-21 2016-11-21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22A KR20180056863A (en) 2016-11-21 2016-11-21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863A true KR20180056863A (en) 2018-05-30

Family

ID=6230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22A KR20180056863A (en) 2016-11-21 2016-11-21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8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056B2 (en) Connector
CN109149297B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71349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function latching member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EP3457502B1 (en) Connector assembly
US10164377B2 (en)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339154B2 (en) Shield connector
CN107210560B (en) Intermediate housing with CPA receiving member and plug-type connec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9155493A (en) Connector
JPH05144516A (en) Electric connector
US20080268692A1 (en) Electric socket
US96143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with having a spring-apart function
KR20040044104A (en) Shunt of squib
EP2148397B1 (en) Plug connector assembly
EP3309906B1 (en) Card connector
EP4354669A1 (en) Termin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60837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slider
KR20180056863A (en)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JP2002075543A (en) Shielded connector
JP5281051B2 (en) Connector device
US4995826A (en)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slide latch and a slide latch member therefor
US2022034486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5498848B2 (en) connector
JP2019016574A (en) Terminal fitting
KR20170078199A (en) Front Holder and Terminal Block hav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