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514A -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514A
KR20180056514A KR1020160154513A KR20160154513A KR20180056514A KR 20180056514 A KR20180056514 A KR 20180056514A KR 1020160154513 A KR1020160154513 A KR 1020160154513A KR 20160154513 A KR20160154513 A KR 20160154513A KR 20180056514 A KR20180056514 A KR 2018005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rder
information
black box
box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6015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514A/en
Publication of KR2018005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vehicle movement-based wireless preorder linked to a black box device. The method is implemented by a program operat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performing a process for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of a black box device, mounted in a vehicle operated by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in a designated server; a second step of checking a preorder from a vehicle with the black box device or checking a moving state through a vehicle with the black box device based on the ground that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and managed by the designated server when preordering a product of an off-line store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third step of informing the preorder from the vehicle or the moving state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handling the preorder by being linked to the process of the preorder when the preorder from the vehicle or the moving state of the vehicle is checked;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reception process of a vehicle movement-based preordered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to the store through the vehicle with the black box device by being linked to the server when the server recognizes the preorder from the vehicle or the moving state of the vehicle.

Description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a black box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매장 도착 전에 선주문 시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사용자 소유의 블랙박스장치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여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주문이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탑재한 차량 내 선주문이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인지 확인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하여 매장에 접근함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된 상품의 수령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user-owned black box device for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a product sold at an off-line store through a program of a user wireless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order using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s a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or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dure for receiving the pre-ordered commodity based on approaching a store using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re-order in the vehicle or the vehicle movement is confirmed.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기 전에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한 후 매장에 방문하여 수령하는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SK플래닛의 '시럽오더'와, 스타벅스의 '사이렌오더' 등이 존재한다. Before a user visits an in-store store, a smartphone application is used to pre-order items in the store and then visit the store to receive the goods. SK Planet's Syrup Order and Starbucks' Siren Order, for example, are examples.

우선 SK플래닛의 '시럽오더'는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근처에 존재하는 매장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한 매장을 선택하여 상품을 주문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품의 제조 완료 시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수령하도록 알림을 통지하며, 사용자가 매장 내에 입객 하는지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으며, 단순히 매장 내 주문과 '시럽오더'를 통한 원격 주문 등의 주문 순서대로 상품을 제조하여 제공하고 있다. 예를들어, '시럽오더' 사용자가 500m 떨어진 거리에서 특정 커피숍에 커피를 주문하고 도보로 해당 커피숍에 방문하는 경우 해당 커피숍에 주문 대기 수에 따라 너무 빨리 커피가 제조되어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는 이미 식어버린 상태일 수 있다. SK Planet's 'Syrup Order' displays a list of nearby store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tores to order the product. When the product is manufactured The store notifies the user to receive the notification, does not consider whether the user is in the store, etc., and manufactures the product in the order of the order such as merely in-store order and remote order through 'syrup order'. For example, if a user of 'syrup order' orders coffee at a certain coffee shop at a distance of 500 meters and visits the coffee shop on foot, the coffee is manufactured too so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orders waiting at the coffee shop, It may be already cold.

한편 스타벅스의 '사이렌오더'는 스타벅스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매장 선택 없이 스타박스의 상품을 선주문하면 스마트폰은 방문한 매장을 인식하려고 시도하며, 스마트폰의 센서를 통해 특정 매장 방문이 확인되면 '사이렌오더'는 사용자가 방문한 특정 매장으로 주문을 접수하여 상품의 제조를 개시시킨다. '사이렌오더'는 원격지에서 선주문하더라도 사용자가 특정 매장에 방문한 상태에서만 선주문이 해당 매장으로 접수되므로, 단순히 매장 내 줄서기만을 대체할 뿐 매장 내 고객이 많으면 상품의 주문 접수 후 수령까지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tarbucks 'Siren Orders' are only available in Starbucks. If you pre-order Starbucks without selecting a store, your smartphone tries to recognize the store you visited, The siren order will accept the order at the specific store visited by the user and start manufacturing the product. The 'siren order' is a substitute for only the in-store line, because the pre-order is received at the shop only when the user has visited the specific store even if it is pre-ordered at the remote place. If there are many customers in the store, There is.

즉 종래의 '시럽오더'는 단지 원격지에서의 선주문만을 지원할 뿐 선주문한 상품의 수령을 최적화지 않으며, '사이렌오더'는 단지 매장 내 줄서기만을 대체할 뿐 상품의 수령까지 최적화하지 않는 문제들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종래의 어떠한 선주문 서비스도 차량 이동을 고려하여 선주문한 상품을 수령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syrup order' does not only optimize the receipt of pre-ordered items but only the remote pre-orders, and the 'siren order' has merely replacing the line in the store and not optimizing the receipt of the goods In particular, any conventional pre-order service is not optimized to receive a pre-ordered product in consideration of vehicle move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매장 도착 전에 선주문 시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사용자 소유의 블랙박스장치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여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주문이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탑재한 차량 내 선주문이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인지 확인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하여 매장에 접근함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된 상품의 수령 절차를 제공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ck box device, which is a user-owned black box device for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designated at the time of pre- The pre-order using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may be a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or a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pre- Wherein the black box device is provided with a black box device, and when the black box device is confirmed as a pre-order or a vehicle movement,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is used to access a store, Vehicle movement-based wireless ship owner associated with box device It may provide a way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가 지정된 서버를 통해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선주문을 처리하는 서버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인지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인지한 경우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a black box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executed by a program driven by a user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in a server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step of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erver,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confirming that it is a pre-order letter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black box device, Upon receipt of the pre-order or in-vehicle movement to the server processing the pre-order If the server recognizes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it performs a pre-order article receipt procedure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based on approaching the store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in cooperation with the server And a fourth step of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통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될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nformation may include a unique code to be included in a wireless signal to be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at a specified short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black box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procedure of registering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a user wireless terminal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with a designated server, And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차량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로 제공되어 주문서(또는 영수증)에 인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gistering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by the user to the designated server,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Or a receip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문 값을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주문 값을 근거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는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movement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n order interface for pre-ordering a product of an offline store at the time of pre- , Receiving or selecting one or more order values for pre-ordering the products of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order interface, generating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the products of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input or selected order value Step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주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movement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May be extract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로 상기 주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제용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결제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 시, 상기 서버로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movement-based wireless pre-order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an item in an offline stor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payment interface for payment of a payment amount to be paid; inputting or selecting one or more pieces of payment information for payment of the payment amount based on the payment interface; And performing a process of processing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amou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settlement processed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at the settlement processing of the settlement amoun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지정된 서버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등록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confirming the in-vehicle pre-order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serv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지정된 서버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등록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자동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설정을 근거로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utomatically confirming whether a pre- And the second step may include confirming the pre-order in the vehicle based on the setting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 또는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displaying an interface for confirming or selecting during pre-order, intra-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in the offline store at the user wireless terminal, Based on the pre-order or in-vehicle move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가 등록 저장됨을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a black box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 server communicating with a user wireless terminal, A first step of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and sto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in a storage medium or confirming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Confirming that the black box device is in-vehicle pre-ordered with the black box device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storage medium, or confirming that the user is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In the second step, when confirming in-vehicle pre-order or moving vehicle, In conjunc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program includes a third step of performing the black box device moving vehicle based obtaining commodity collection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approaches the store through a vehicle having 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통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될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nformation may include a unique code to be included in a wireless signal to be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at a specified short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black box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gistering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a user wireless terminal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on a storage medium, And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로 제공되어 주문서(또는 영수증)에 인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gistering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at the user is driving on a storage medium, the vehicle information being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Or a receip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주문 값을 근거로 생성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movement based wireless pre-order providing method in association with the black box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transmits pre-ordered items of the offline store, the order value inputted or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receiving orde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movement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nd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한 선주문을 위해 생성 또는 추출된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한 결제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movement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nd confirming the settlement result that has processed the payment of th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로 상기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movement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may further comprise provid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information to a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코드를 등록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confirming the inherent code of the black box device on the storage medium with an in-vehicle pre-order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코드를 등록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자동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설정을 근거로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ovement-based wireless pre-order providing method associated with the black box devic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heck the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when the unique code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the second step may include confirming with the pre-order in the vehicle based on the setting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is to confirm from the program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at the black box device has a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or receive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 시 상기 선주문이 차량 내에서 행해진 선주문인지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차량을 이용하여 매장으로 이동하는지 등을 자동으로 판독/판별하여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에 차량을 이용한 매장 접근에 최적화된 상품 수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ad / discriminate whether the pre-order is pre-ordered in the vehicle or pre-ordered, and if the pre-order is moved to the store using the vehicle after the pre-order,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an itemized delivery service that is optimized for vehicle-based store acces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being moved within the pre-order or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량 이동 기반의 무선 선주문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 간 연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을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매장 접수 내지 상품 수령을 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상품 수령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ock process between a chip module 230 of a black box device 200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for a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ordering a vehicle moving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yment process of a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tarting the receipt of the goods or the receipt of the goods in the pre-order for moving 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goods receipt of a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In other words, the following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s omitted,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steps), or an embodiment that incorporates functions implemented in more than one configuration (or step)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a particular configuration (or step)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specific configuration unit implemented on the server side is implemented on the terminal side and reference is made on the server side, or conversely,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specific configuration unit implemented on the terminal side is implemented on the server side, And all of the embodiments utilizing the same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bination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subdivided based on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량 이동 기반의 무선 선주문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pre-order for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매장 도착 전에 선주문 시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사용자 소유의 블랙박스장치(200)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여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이용한 선주문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탑재한 차량 내 선주문이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인지 확인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하여 매장에 접근함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된 상품의 수령 절차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 선주문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1 shows a user's own black box device 200 for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a commodity sold at an off-line store through a program 330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a short distance to a wireless signal designated at the time of pre- The pre-order using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black box device 200 based on the fact that the user terminal 300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the server 330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confirmed to be in a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200, and the like, and provides a procedure for receiving the pre-ordered goods on the basis of accessing the store us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wireless pre-order providing system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fragmented, or combined) with reference to and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블랙박스장치(200)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선주문 가능한 상품(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는 매장단말(110)과, 상기 사용자가 운행(또는 탑승)한 차량에 블랙박스장치(200)를 탑재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인가 전원을 근거로 지정된 신호 강도의 무선신호를 차량 외부의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통해 단방향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는 신호수신기(100)와, 상기 사용자기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를 등록받아 저장 관리하고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사용자가 소유한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또는 서비스)을 선주문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인지 확인하여 그러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한 매장 접근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된 상품의 수령을 위한 일련의 절차를 처리하는 운영서버(400)를 구비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330)과 연동하여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선주문을 처리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선주문을 처리하는 절차는 상기 운영서버(400)와 연계된 별도의 주문서버(105)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400)가 상기 선주문을 처리하는 절차까지 처리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ck box device 200 having a function of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cluding specified code information in a short distance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200 owned by a user who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A store terminal 110 provide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for selling a commodity (or service) that can be pre-ordered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hen the black box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wireless signal of the signal strength specified based on the applied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is transmitted unidirectionally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the black box device 200, 200, and / or a function of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adio signal, and is provide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The signal receiver 100 and the user's own own black box device 200 are registered and stored and managed through the program 33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owned by the user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 the case of pre-ordering a product (or a service) to be sol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it is checked whether the black box device 200 is in a vehicle with a pre-order or a vehicle being moved. In such a case, And a management server 400 for processing a series of procedures for receiving the pre-ordered goods on the basis of a store access using the program 330. The operation server 400 includes a program 330 execut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 procedure for processing a pre-order of a specific offline store may be performed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and a procedure for processing a pre- Servers can be treated as a separate order server 105 in connection with (400). Hereinaft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in which the operation server 400 processes the pre-order processing for convenience.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는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하여 제작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몸체 구조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바람직하다.The black box device 200 is a collective term for devices manufactured by having one or more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s includ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cluding specified code information in one direction in a short distance, And a body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pow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는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하여 제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칩모듈(230)은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함은 물론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ck box device 200 is manufactured by mounting a chip module 230 having a function of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cluding designated code information in a short distance, 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as well 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designated code information in a unidirectional mann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unctions are provided.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또는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무선신호는 소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예컨대, 송신 측의 요청과 수신 측의 응답을 동기화하지 않고 송신 측에서 일방향 송출하면 수신 측에서 이를 수신하여 판독 가능한 무선신호) 및/또는 소정의 방송형 무선신호(예컨대,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Broadcasting)하는 무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사전 페어링이나 사전 식별/등록이 없더라도 일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다른 일 측에서 수신하고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 및/또는 방송형 무선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또는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무선신호를 '단방향 무선신호'라고 명명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는, 일례로서 블루투스 4.0 규격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 블루투스 무선신호나 비콘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상기 예시나 블루투스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규격의 무선신호든지 페어링이나 사전 식별/등록이 없더라도 일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근거리의 다른 일 측에서 수신하고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라면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unidirectionally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or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 a short distance can be synchronized with a predetermined asynchronous radio signal (for example, (For example, a radio signal that is received and read by the receiving side when it is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side) and / or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type radio signal (for example, a radio signal that does not specify the receiving side from the transmitting side) (For example, a radio signal which is received and read by the other side and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other side even if there is no pre-pairing or prior identification / registration),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r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r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ireless signal and / A one-way transmitting radio signals that will be used in labeled "one-way radio signal. For example,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E (Bluetooth Low Energy) -based Bluetooth wireless signal or a beacon signal of Bluetooth 4.0 standard. However,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luetooth wireless signal, And even if there is no pairing or preliminary identification / registration of any radio signal of any standard,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one side can be received and read from another side in a short distance, I will make clear that it is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불특정 대상으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기본 구비하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기능을 다중 구비한다.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는 지정된 수신 범위(예컨대, 30m 내외, 최대 100m) 이내의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수시될 수 있음은 물론, 지정된 수신 범위 이내의 각종 신호수신기(100)로 수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basically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an unspecified subject,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Wa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by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ithin a predetermined reception range (for example, about 30 m and a maximum of 100 m) And can be received by various signal receivers 100 within a range.

본 발명의 제1 블랙박스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무선신호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식별 또는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무선신호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ceives the specified at least on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e.g., a Bluetooth-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And identifies or pairs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wireless signal based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And Bluetooth-based two-wa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제2 블랙박스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케이블 연결(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 등)되어 케이블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black box device 200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ceives the specified at least on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e.g., a Bluetooth 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so as to perform bidirectional local cable communication based on the cable A plural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3 블랙박스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무선신호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과 케이블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ceives at least on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e.g., a Bluetooth-based unidirectional radio signal) 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cable-based two-way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Way two-way communication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200)에 탑재되는 칩모듈(23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이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는 페어링이나 사전 식별/등록이 없더라도 일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근거리의 다른 일 측에서 수신하고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라면 어떤 무선신호라도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속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단말과 직접 통신세션을 형성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이라면 어떤 근거리 통신이라도 본 발명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에 속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은 특정한 통신 규격이나 신호 규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어떤 방식이 채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chip module 230 mounted on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pairing or preliminary identification / registration, and if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one side is received and read from another side, And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hort-range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capable of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a direct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terminal located in a short distance. That i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and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communication standard or signal standard, and if any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e on.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는 사용자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과 함께 이동하거나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한다.The black box device 200 may be mounted on a user vehicle and moved together with the vehicle or may be carried by a user in accordance with a method of opera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include specified code information Directional wireless signal to be transmitted at a short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는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중에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인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를 지정된 크기로 증폭(예컨대, 블랙박스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허용된 범위의 지정된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 또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 계산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증폭하여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는 사용자(또는 사용자가 운행(또는 탑승)한 차량)가 이동하여 접근하는 각종 신호수신기(100)로 수신/인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ck box device 200 amplifies the signal strength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a designated size (for example, Amplified to the specified maximum signal strength of the range allowed to the black box device 200 (or the chip module 230), or amplified to the calculated signal intensity to reach a specifi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mplified and transmitted by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received / recognized by various signal receivers 100 that the user (or the vehicle on which the user travels (or rides) .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은 상기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소지(또는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a general te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d by a user possessing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preferably ha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perform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for process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 And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receiving function for receiv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ase station 200. For example,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llular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hav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receiving function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와 통신(예컨대, 통신망을 경유하여 운영서버(4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운영서버(400)와 중계 통신)하고,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및/또는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이 설치 실행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로그램(330)은 앱 형태로 설치 실행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제공되는 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코드 형태로 구현되어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자 무선단말(300) 내에서 실행(또는 구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330)을 스크립트코드 형태로 구현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30)이 앱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설치 실행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상기 프로그램(330)을 통해 실행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an communicate with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for example, an operation server 400 via a communication network) Or in a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 or in a specific local store (e.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including the program code for performing a series of procedures for processing the pre-order of the goods to be sold is install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cript code included in a page provid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ithout being installed in an app form,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cop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program 33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cript code. 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explain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gram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n app form and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description based 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through the program 330 without any explanation.

상기 매장단말(110)은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선주문 가능한 상품(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는 POS단말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 주(또는 직원)이 이용하는 태블릿장치나 무선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 시, 상기 매장단말(11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과 연동하여 상기 선주문을 처리하는 운영서버(400)(또는 주문서버(105))를 통해 상기 선주문을 위한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400)(또는 주문서버(105))와 연동하여 상기 선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다.The store terminal 110 is a collective term of a terminal provide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that sells a commodity (or service) that can be ordered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store terminal 110 preferably includes a POS terminal And may include a tablet device or a wireless terminal used by a store principal (or employee)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The store terminal 110 processes the pre-order in cooperation wit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t the time of pre-ordering a product sold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Or the order server 105) that receive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information for the pre-order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400 (or the order server 105) Perform a series of procedures to process the pre-order.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어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ignal receiver 100 is a general term for a device for receiv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signal receiver 1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pecific off- And can receive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e 2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어 상기 매장에서 접속 가능한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와이파이 기반의 무선랜을 경유하는 통신망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안테나 등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매장단말(110)과 통신 연결(예컨대, 무선통신 연결 또는 케이블 통신 연결 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매장단말(110)을 경유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receiver 100 is connected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not shown)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via a Wi-Fi-based wireless LAN) 400). 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er 100 may include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an antenna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while, the signal receiver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store terminal 110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r a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this case,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4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열)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인식된 코드정보를 전송되게 처리할 수 있다. 및/또는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인식된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예컨대, 고유코드, OTI, 인증코드,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코드값 등) 중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값을 확인하고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값을 전송되게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인식된 비트 열을 그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비트 열을 판독하여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인식된 정보와 함께 상기 신호수신기(100)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또는 신호수신기(100)가 구비된 오프라인 매장을 식별하는 매장식별정보 등)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400)로 하여금 각 매장들의 신호수신기(100) 중 특정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를 식별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receiver 100 receives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ads the received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or the bit string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er 100 can process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the operation server 400 via the designated path. (E.g., a unique code, an OTI, an authentication code, a code value provided by the wireless terminal 300, etc.)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and / At least one configuration value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may be confirmed and the at least one configuration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via a designated path. Alternatively, the signal receiver 100 may transmit the bit string recognized from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s it is to the operation server 400 via the designated path.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400 reads the bit string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Meanwhile, the signal receiver 1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signal receiver 100 (or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n offline store equipped with the signal receiver 100) with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the operational server 400 so that the operating server 400 can process the signal receiver 100 of a specific store among the signal receivers 100 of the respective store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인식한 경우,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신호수신기(100)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예컨대,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와 비교 인증될 정보 및/또는 지정된 검증연산을 수행하여 유효한 경우에 예측된 결과를 도출하는 정보 등)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인식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receiver 100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or a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The validity of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can be authenticated. For example, the signal receiver 100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re-ordered letter may receive the unicod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e- (Or the code information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eorder, or the code information Information to be compared and / or information for deriving a predicted result if the valid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in which case the signal receiver 100 can receive the information The validity of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can be authenticated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운영서버(40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무선 선주문을 처리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기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를 등록받아 저장 관리하는 기능,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사용자가 소유한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또는 서비스)의 선주문을 처리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또는 서비스)를 선주문한 경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인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한 매장 접근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된 상품의 수령을 위한 일련의 절차를 처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를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를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각 서버는 상호 연계된 둘 이상의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운영서버(400)의 기능 중 선주문 처리와 관련된 기능은 별도의 주문서버(105)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operating server 400 collectively refers to a server side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a mobile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server 400 has a function of registering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own black box device 200, A function of processing a pre-order of a product (or service) sol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through a program 33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own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200, 330), a function of confirm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re-order or in-vehicle order includ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n case of pre-ordering a commodity (or service) A function of processing a series of procedures for the receipt of the pre-ordered goods based on a store approach using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t can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The operating serv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serv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operating server 400 is implemented. If the operating server 4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each server may be a server operated by two or more operato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unctions related to pre-order processing among the functions of the operating server 400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separate order server 105,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제작되고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2 show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lack box device 200 manufactured and equipped with a function of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a designated radio signal in a short distanc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2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e.g., some configuration portions omitted, or broken down, or combined implementation method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200)는, 차량에 탑재 가능한 몸체 내부에 지정된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제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은 칩모듈(230)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블랙박스장치(200)에 내장되는 칩모듈(230)을 통해 지정된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 구성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은 소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예컨대, 송신 측의 요청과 수신 측의 응답을 동기화하지 않고 송신 측에서 일방향 송출하면 수신 측에서 이를 수신하여 판독 가능한 무선신호) 및/또는 소정의 방송형 무선신호(예컨대,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Broadcasting)하는 무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사전 페어링이나 사전 식별/등록이 없더라도 일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다른 일 측에서 수신하고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단방향 무신신호(예컨대, 비동기 무선신호 및/또는 일방향 무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과 함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bricated with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radio signal of a specified standard inside a body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and preferably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is a chip module 230 Can be implemented. Hereinafter, a technical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mplement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radio signal of a specified standard through the chip module 230 incorporated in the black box device 20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ip module 230 receives a predetermined asynchronous radio signal (for example, it does not synchronize the request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sponse of the receiving side, At least on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e.g., pre-pairing or pre-identification / registration) of at least one of a radio signal (e.g., a radio signal) and / or a predetermined broadcast radio signal And a function of receiving and read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one side and a radio signal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other side, even if it is not present.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hip module 230 transmits the wireless signal for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ogether with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and / or the one-way wireless signal) Can be provided.

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는, 상기 칩모듈(230) 이외에,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 상기 단자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205), 상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원(예컨대, 칩모듈(230)로 인가할 칩모듈(230)의 동작 전원 및/또는 커넥터부로 인가하여 외부로 공급할 공급 전원 등)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210),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된 변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215),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하는 블랙박스 기능부(220)와, 상기 칩모듈(230)의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는 조작부(225), 외부의 장치(예컨대,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등)와 지정된 규격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부(도시생략)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되는 충전 전원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차량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상태(예컨대, 상기 단자가 차량 전원과 전기적 연결이 단절된 상태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차량에 탑재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차량에 탑재되었더라도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 등)에서도 상기 칩모듈(23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된 변환 전원, 상기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된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과 함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다중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구성부 중 일부 구성부는 생략 가능하다.2, the black box device 200 includes, in addition to the chip module 230, a terminal for receiving a vehicle power source (for example, a 12 V DC power source) from a vehicle while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A power supply unit 205 f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through a power supply unit 205 for supplying the vehicle power to a designated power supply (for example, operation power and / or connector unit of the chip module 230 to be a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A power source charging unit 215 for charging the vehicle power source (or the converted power source converted through the power source conversion unit 210) supplied through the power source supplying unit 205, A black box function unit 220 for implementing a black box function, an operation unit 225 for supporting a user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erminal 300 or the like) and a cable of a specified standard At least one configuration of gyeolhaneun connector portion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a. The charging power source to be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215 may be a state in which the black box apparatus 200 is not supplied with vehicle power (for example,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or the black box apparatus 200 The operating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even when the black box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vehicle or when the vehicle is not started. Preferably, the chip module 2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vehicle power source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a conversion power source converted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and a rechargeable power source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215 Directional wireless signal using one power source, and can perform the multi-processing of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together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using the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ethod. Meanwhile, some components of the components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be o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차량 전원을 실시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단자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실시간 공급되는 차량 전원,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실시간 공급받아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되는 변환 전원,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실시간 공급되거나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실시간 변환되어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되는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를 지정된 크기로 증폭(예컨대, 허용된 범위의 지정된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 또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 계산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ack box device 200 is supplied with the vehicle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in real time, the chip modul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black box device 200, A vehicle power supplied in real tim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a converted power supplied in real tim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and converted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a designated size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and the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215 , Amplified to the specified maximum signal strength of the allowed range, or amplified to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to reach a specifi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차량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상태(예컨대, 상기 단자가 차량 전원과 전기적 연결이 단절된 상태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차량에 탑재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차량에 탑재되었더라도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 등)에서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저전력모드로 동작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구비되는 차량은 금속재질의 차체 및/또는 유리재질의 창문 및/또는 자외선차단 등을 위해 창문에 장착되는 필름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재질들은 모두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 또는 차폐 또는 왜곡한다. 특히 충전 전원을 이용하는 저전력모드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 무선신호 등)의 경우 차체의 금속재질 및/또는 창문의 유리재질 및/또는 창문에 장착되는 필름재질 등에 의해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 또는 차폐 또는 왜곡하는 것은 물론, 아예 상기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도 있다.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차량 내에서 블랙박스장치(200)가 탑재되는 위치에서 블랙박스장치(200)를 통해 저전력모드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차량 양 측면과 정면 및 후면 등의 차량과의 거리 0.5m 및 높이 0.7m에서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저전력모드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으며, 거리와 높이를 조절하더라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저전력모드의 블랙박스장치(200)를 운전자의 가슴높이로 들어 자외선차단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정면유리 근처로 가져간 경우에 한하여 정면 방향에서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저전력모드로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일부 수신할 수 있었다. 이는 하이패스단말기가 정면 유리 근처에 구비되고, 차량의 라디오 안테나가 차량 외부에 부착되어야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파악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in a state where the black box device 200 is not supplied with vehicle power (for example, the terminal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State or the state where the black box apparatus 200 is not mounted on the vehicle or the state where the vehicle is not started even when the black box apparatus 200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operates in a low power mode to transmit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is composed of a metal body and / or a window made of a glass material and / or a film material mounted on a window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Obstructs or shields or distorts transmissio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ireless signal (for example, a BLE (Bluetooth Low Energy) wireless signal, etc.) transmitted in a low power mode using a charging power sourc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metal material of a vehicle body and / or a glass material of a window and / Shields or distorts the signal from being transmitted outside the vehicle, and may also prevent the radio signal from being transmitted outside the vehicle at all.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nt, when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transmitted in a low power mode through a black box device 200 at a position where the black box device 200 is mounted in the vehicle, It was impossible to receive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in the low power mode at a distance of 0.5 m and a height of 0.7 m. However, only when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low power mode is taken at the chest height of the driver and brought to the vicinity of the front glass to which the UV blocking film is not attached,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in the low- In some cases. This is understood as a high pass terminal is provided near the front glass and the radio antenna of the vehicle must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operate normally.

한편 본 발명과 같이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경우, 차량의 금속재질 및/또는 유리재질 및/또는 필름재질 등에 의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해 또는 차폐 또는 왜곡되더라도, 이러한 방해 또는 차폐 또는 왜곡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예를들어, 양방향 무선 통신의 경우 송신과 응답이 하나의 셋트로 이루어져 통신하므로 송신에 대한 타이아웃 이내의 응답을 판독하여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신호가 방해 또는 차폐 또는 왜곡되는지 등을 인지할 수 있지만,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되는 형태로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경우 해당 단방향 무선신호의 전달이 방해 또는 차폐 또는 왜곡되더라도 이를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차량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실시간 공급되는 차량 전원,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실시간 공급받아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되는 변환 전원,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실시간 공급되거나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실시간 변환되어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되는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원을 이용하여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를 지정된 크기로 증폭(예컨대, 허용된 범위의 지정된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 또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 계산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또는 그 이상)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의 증폭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대부분을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에서는 배터리 전원 관리를 위해 절대로 통용될 수 없는 동작 방식이다. 대부분의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의 경우 양방향 무선 통신이 불가한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긴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오히려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무선신호 송수신 자체를 자제하고 무선 통신 가능 상태가 되기를 대기한다.In the case of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the metal material of the vehicle and / or the glass material and / Even if the transmission is disturbed or shielded or distorted, it is not known whether such disturbance or shielding or distortion exis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wo-way radio communication, since the transmission and the response are communicated by one set, the response within the tie-out for transmission can be read to recognize whether the radio signal for bidirectional radio communication is obstructed, shielded or distorted However, in the case of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in a form broadcasted without specifying a receiving side,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can not be perceived even if it is obstructed, shielded or distorted. Accordingly,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the vehicle power in real tim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power is applied, A conversion power source to be converted through the conversion unit 210, a charging power source to be supplied in real tim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or in real time conversion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The signal strength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broadcasted without specifying the receiving side using the power source is amplified to a designated size (for example, amplified to a specified maximum signal strength of an allowed range, And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output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Lee (or m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each. Meanwhile, amplification of the signal strength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using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battery and transmitting / receiving the radio signal in 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Method. In the case of most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rather than the urgent situation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stoppe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ready.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커넥터부는 상기 칩모듈(230)과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간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커넥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nector por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provid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connector unit may be a connector that receives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and applies power converted by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to the outside.

상기 블랙박스 기능부(220)는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블랙박스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각종 센서나 GPS칩 또는 카메라 등을 구비하고 이로부터 각종 신호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각종 상황 분석이나 재연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HW/SW적 구성부들의 집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랙박스 기능부(220)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거나,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되는 전원 또는 전원 충전부(215)를 통해 충전된 전원 중 하나 이상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black box function unit 220 is a general term of a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black box device 200 to implement a black box function and preferably includes various sensors, a GPS chip, a camera, etc., Collects,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and collects various HW / SW components for process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various situation analysis and replay. The black box function unit 220 operates using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or the power converted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or the power charged through the power charging unit 215 And may operate using more than one power source.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조작부(225)는 블랙박스장치(200)에 탑재되어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또는 둘 이상의 조합)의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225)는 기본적으로 ‘On’ 또는 ‘Off’의 동작을 조작(또는 토글)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미리 지정된 조작 패턴의 사용자 조작을 입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On’ 또는 ‘Off’의 조작을 반복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으로 길게 ‘On’ 또는 ‘Off’의 조작을 구현하거나,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이 포함된 경우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을 동시 조작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조작하는 등의 다양한 조작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조작 패턴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225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a collective term of a component mounted on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witches or butt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unit 225 can basically operate (or toggle) the operation of 'On' or 'Off', and further input a user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225 may repeatedly perform an operation of 'On' or 'Off' for a preset time interval, or implement an operation of 'On' or 'Off' When the above switch / button is included, various operation patterns such as simultaneous operation of two or more switches / buttons or operation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can be implemented. The various operation patterns can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chip module 230.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245)와, 상기 RF 처리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유선 통신부(235)를 더 구비한다.2, the chip module 230 includes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nd a control unit 250 for storing a data set (or program cod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n RF processor 245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F processing for transmitt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F processing, And a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according to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상기 칩모듈(23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250), 메모리부(240) 및 RF 처리부(245) 등은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랙박스장치(200) 내에 칩모듈(230)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chip module 23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least one SMD (Surface Mount Device) for transmitting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250, the memory unit 240, and the RF processing unit 24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hip, an individual device mounted on a PCB, or a combination of integrated chips and devices.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chip module 230 is implemented within the black box device 20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칩모듈(23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25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250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The control unit 25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50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chip module 23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0035] Hereinafter, the program configuration implemented in the chip module 230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250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의 제어부(25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예컨대,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칩모듈(230)의 제어부(25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차량 외부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정의 신호송출기로부터 송출된 지정된(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수신되어 유효 인식되는지 확인하여 그러한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예컨대,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50 of the chip module 230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that is designated when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designa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amplified to a specified signal intensity and transmitt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50 of the chip module 230 receives a predetermined (or predetermined)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er located in a short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It is possible to check that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specified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for example, amplified to a specified signal strength and transmit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의 제어부(250)는 상기 블랙박스 기능부(220)와 연동하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예컨대,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블랙박스 기능부(220)를 통해 특정한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위치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블랙박스 기능부(220)의 특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신호값이 지정된 임계값 범위 내이거나 또는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50 of the chip module 230 checks whether the specified condition is satisfied by interlocking with the black box function unit 220. If the specified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amplified to a specified signal intensity and transmit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black box function unit 220 to transmit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that is present in a specific location area or out of a specific location area . Alternatively, when the signal value sensed through the specific sensor of the black box function unit 220 is within the specified threshold value range or out of the specified threshold value range, the control unit 250 may transmit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send out.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5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칩모듈(23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240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inclu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ler 250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And stores it. The memory unit 240 basically stor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chip module 23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an application data set,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또는 칩모듈(230))의 제작 시(또는 최초 동작 시, 또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고유코드 저장 전 동작 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대한 고유코드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240 stores the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240 when the black box apparatus 200 (or the chip module 230) is manufactured And stores the unique code for the black box device 200 (or the chip module 230)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상기 RF 처리부(245)는 안테나부를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미리 식별하거나 페어링 하지 않고 송출되는 방송형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RF processor 245 is a generic term for performing RF processing (e.g., RF signal modulation) for broadcast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hrough the antenna unit and / or RF processing for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Bluetooth-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RF processing for transmitting a Bluetooth-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Here, the transmitting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may include a broadcasting type radio signal which is transmitted without identifying or pairing the receiving side that receives the radio signal in advan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의 근거리통신장치 중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RF 처리부(24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who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bidirectional short- And the RF processor 245 performs RF processing for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

상기 유선 통신부(235)는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외부의 무선단말(300)(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은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외부의 무선단말(300)로 하여금 상기 칩모듈(230)을 검출하고 통신을 준비하게 하는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and processes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300 (e.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can do.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acket, and may include a protocol function for allowing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to detect the chip module 230 and prepare for communication. hav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선 통신부(235)는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유선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유선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유선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부에 무선단말(300)이 연결되더라도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maintains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but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is selectively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a specified condition 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when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is activated. If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is active, 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even i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when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inactivated.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 식별부(255)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를 구비하며, 상기 유선 통신부(235)를 통해 상기 커넥터부에 케이블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D)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who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using bidirectional short-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for connecting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dentified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And a short-distanc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for connecting the two-way short-distance cable communic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상기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조작부(225)를 통한 사용자 조작 시), 상기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RF 처리부(245)가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dentifying unit 255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to connect the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at the time of operation bef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or during a user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unit 225) And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For example, when the RF processor 245 performs RF processing for Bluetooth-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nit 255 may determine whether the black box device 200 owns the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the Bluetooth pairing procedure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to connect the Bluetooth-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identified by performing the pairing procedure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identifier 255 identifies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Direc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using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identification procedu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You can connect.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부(25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refers to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nit 255 or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Way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who owns the mobile terminal 200.

한편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유선 통신부(235)와 연동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케이블 연결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커넥터부와 케이블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부를 통칭하여 통신 연결부(260)라고 한다.Meanwhile,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identifies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in cooperation wit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35, and performs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You can conn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may acquire and store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mong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through the cable in the memory unit 240, In this case,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may connect the two-way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a componen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 or the two-way short distance cable communica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265)를 구비하고,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정보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270)와,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280)를 구비하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될 코드정보 중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75)를 구비할 수 있다.2,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for processing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with a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A code checking unit 270 for checking cod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a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for transmitt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check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ing unit 245 And a code generation unit 275 for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code of the code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상기 통신 처리부(265)는 상기 통신 연결부(260)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한다.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processes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 가능한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한다. 만약 상기 칩모듈(230)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인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를 지정된 크기로 증폭(예컨대, 허용된 범위의 지정된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 또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 계산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identifies code information of a designated code system (or code structure) that can be transmitted by being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So as to transmit the signal. The signal transmitter 280 amplifies the signal intens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for example, when the chip module 230 is operated with the applied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Amplified to the specified maximum signal strength of the allowed range, or amplified to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to reach a specifi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제1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code system (or code structure) including a unique code unique to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can proces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

본 발명의 제2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의 일시정보(예컨대, 년월일시)와 지정된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난수정보 중 하나 이상의 동적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상기 확인된 일시정보와 난수정보 중 하나 이상의 동적정보를 미리 설정된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로 조합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동적정보를 조합하는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를 인지하고 있는 지정된 특정 장치(예컨대, 단말, 서버 등)에서 상기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를 근거로 칩모듈(230)의 고유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OTI(One Time Identification)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OTI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For example, at the time of year and month) and the random numbe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pecified algorithm, and transmits one or more of the confirmed unique code, the confirmed date / time information, and the random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designated code (Or a code structure) in a specified specific device (for example, a terminal, a server, or the like) that recognizes a code system (or a code structure) combining the unique code and dynamic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code (OTI) that can identify a unique code of the chip module 230 based on the generated OTI, Structure to check the code informatio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80 of) may be treated so as to transmit the one-way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via the RF processor 245.

본 발명의 제3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씨드 값),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예컨대, 상기 전원 충전부(215)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시간 동기화 후 상기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등),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 난수 값, 무선단말(300)의 기기ID 값, 무선단말(300)의 앱이 운영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앱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앱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일회용코드, 암호코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지정된 코드 형태의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지정된 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code generation unit 275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such as the seed value and the chip module 230, (For example, a time value counted by using the charging power source of the power charging unit 215), a count value of the charging power source after the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For examp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through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E.g., a time value, a random number value, a device ID value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 value received from an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by the application server 400, etc.) Type authentication code You can create enemies. Alternatively,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may receiv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n encrypted code in which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user-possessed wireless terminal 300 are decryptably decrypt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may generat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using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signature code obtained by digitally sign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application of the user-possessed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65. When the verification code of the designated code typ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one-time code, the encryption code, and the signature code is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Or code structure) including the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240 of the memory unit 240 and the authentication code of the designated code typ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본 발명의 제4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이상의 지정된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서명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함과 동시에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의 일시정보와 지정된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난수정보 중 하나 이상의 동적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고유코드와 하나 이상의 동적정보를 미리 설정된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로 조합하여 OTI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일회용코드, 암호코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지정된 코드 형태의 인증코드가 생성되고, 상기 코드 확인부(270)를 통해 OTI가 생성되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생성된 OTI(One Time Identification)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지정된 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can dynamically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disposable code by using the above specified information as a seed. Alternatively,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cipher code encrypted so as to be decryptable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 Alternatively,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signature code using the certificate. In addition, the code checking unit 270 identifies a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at the same time, extracts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the random number information After identifying one or more dynamic information, the OTI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by combining the unique code and one or more dynamic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code system (or code structure). When the OTI is generated through the code verification unit 270, the verification code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 cod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one-time code, the encryption code and the signature code through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 The code verifying unit 270 generates a code of a designated code system (or code structure) including the generated OTI (One Time Identific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of a designated code typ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

본 발명의 제5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코드값(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고유코드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OTI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고유코드와 인증코드를 조합한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OTI와 인증코드를 조합한 형태의 코드값 등)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receives a code value (for example, a user ID) provid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65, A code value of a unique code type provided by the wireless terminal 300, a code value of an OTI type provid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 code of a combination of a unique code and a verification code provid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 code valu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n OTI and an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etc.), and a code system (or a code structure including a code value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can proces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

본 발명의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코드값(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고유코드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OTI 형태의 코드값 등)을 확인하고,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일회용코드, 암호코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지정된 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코드값과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지정된 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코드체계(또는 코드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can determine a code value (for example, a user ID) provid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A code value of a unique code type provided by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a code value of an OTI type provid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generates a disposable code, And generate a verification code of a specified code typ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code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codes.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whether a code system (or code structure) including a code value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an authentication code of a designated code typ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can proces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

본 발명의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의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seventh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may obtain co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t least partially selecting or combining two or more of the first to sixth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s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embodiments which can be derived from a modific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as a scope of righ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제1 내지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함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인가된 인가 전원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인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를 지정된 크기로 증폭(예컨대, 허용된 범위의 지정된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 또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 계산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ransmitt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designated 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s,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transmit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applied power The signal strength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amplified to a specified magnitude (for example, amplified to a specified maximum signal strength in an allowable range, or reaches a specifi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And amplified to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for transmission).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300)과 프로그램(33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300)은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IG. 3 illustrate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300 and a program 330 used by a user of a black box device 200 for transmitting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smart phones, various tablet PCs, and various mobile phones hav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receiving function.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2)와 메모리부(325)와 화면 출력부(304)와 사용자 입력부(306)와 사운드 처리부(308)와 근거리 통신부(310)와 케이블 통신부(312)와 근거리망 통신부(314)와 무선망 통신부(316)와 위치 측위부(318)와 USIM 리더부(320)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3,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02, a memory unit 325, a screen output unit 304, a user input unit 306, a sound processing unit 308,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310, A cable communication unit 312, a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a positioning unit 318, a USIM reader unit 320, and a USIM.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되어 로딩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30) 기능 구성을 본 제어부(3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302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control unit 30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2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FIG. Hereinafte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ecuted and loa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302. FIG.

상기 메모리부(325)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25)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25)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325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2 and at least one Save and maintain the dataset. The memory unit 325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 program code and a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325. [

상기 화면 출력부(3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The screen output unit 304 includes a screen output unit (e.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unit 304. The screen output unit 30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2, And outputs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사용자 입력부(3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The user input unit 306 includes at least one user input device (e.g.,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coupled to the screen output unit 304),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And inputs a command for instruc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302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2. [

상기 사운드 처리부(308)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한다.The sound processing unit 308 includes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sound processor 308. The sound processor 308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output from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ler 302 and outputs the sound data through the speaker Or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encoded sound signal to the controller 302. [

상기 케이블 통신부(312)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케이블 연결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2)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한다.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2 receives power using a wired cable or provides a cable-based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wired cable is charged in the battery.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2 determines whether or not a local area cable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a wired cable is connected, and processes a local area cable communication using a wired cable when a local area cable communication is possible.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2)로 제공하는 기능 외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는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의 통신 규격 및/또는 신호 규격이 상기 블루투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하다면 어떤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일례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와이파이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는 와이파이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와이파이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is a collective term for a unit capable of receiv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preferably receives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provid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2 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FIG. For example, whe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s a Bluetooth-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Bluetooth-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Bluetooth- And a Bluetooth component for processing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i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an be received, the communication standard and / or the signal standard of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310 is not limited to the Bluetooth. Even if the signal standard is applied, it is clearly stated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s a Wi-Fi 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Wi-Fi configuration unit for receiving a Wi-Fi bas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have.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와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16)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14)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and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as a basic communication resour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s 314.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resource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6 includes an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transmi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ler 302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s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ntrol unit 302, and performs the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Based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e.g., the Interne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i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connection, a location registration, a call processing, a call connection, a data communication, and a handoff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 / RTI >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may further compris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unit that acces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irrespective of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section, a type of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otocol.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resourc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m) as a communication medium and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mmunication session. ,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may be integra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data network providing packet-based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P.

상기 위치 측위부(318)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300)에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또는 GPS 기능을 내장한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측위할 수 있다. The positioning unit 318 is a collective term of positioning resources for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preferably includ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built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loca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USIM 리더부(32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The USIM reader 320 is a generic term of a configuration for exchanging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that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based on the ISO / IEC 7816 standard , And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manner through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2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SIM is an SIM type card having an IC chip according to the ISO / IEC 7816 standard, and includ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320, (Or processing) th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in association wit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325)에 저장(예컨대, 앱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된 앱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구동(또는 실행)된다. 또는 상기 제어부(302)(예컨대, 브라우져)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동하는 스크립트코드 형태의 프로그램(330)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립트코드 형태의 프로그램(330)은 제어부(302)를 통해 판독/해석되어 실행된다.The control unit 302 download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including the program code interlocked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o the memory unit 325), and the installed app is driven (or executed)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cedur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02 (e.g., a browser) may receive a page including a program 330 in the form of a script code in cooper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program 330 of FIG.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무선단말(300)의 사용자가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장치 식별부(335)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상기 식별된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연결부(34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통신부(312)와 연동하여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케이블 통신 장치 연결부(3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black box device 200 (FIG. 3) owned by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based on bidirectional short- A device identification unit 335 that identifies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a 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identified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short- And a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unit 340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unit 340 and a bidirectional short-distanc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connected to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2 through a wired cable .

상기 장치 식별부(335)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칩모듈(230)에서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칩모듈(230)에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 조작 시),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의 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가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장치 식별부(335)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식별부(335)는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를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25)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연결부(340)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device identification unit 335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to connect the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When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user is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r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of the black box device 200) )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wned by the user amo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processes Bluetooth-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device identification unit 335 performs a Bluetooth pairing procedure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owned by the user, To identify the chip module 230 of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to connect to the Bluetooth based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dentification unit 335 identifies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as a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D) In this cas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unit 340 may connect the black box device 200 of the user to the black box device 200 using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연결부(340)는 상기 장치 식별부(335)를 통해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를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325)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unit 340 refers to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unit 335 or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25, 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ox device 200.

한편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장치 연결부(340)는 케이블 통신부(312)와 연동하여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장치 연결부(340)는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를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325)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장치 연결부(340)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부를 통칭하여 장치 연결부(340)라고 한다.Meanwhile,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unit 340 checks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connected to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2 in cooperation with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2,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unit 340 may acquir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among the devices to which the wired cable is connected and store the acquired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325 In this case,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ion unit 340 may connect the two-way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black box apparatus 200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uni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user is referred to as a device connection unit 340.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장치 통신부(345)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345)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한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관리하는 신호 관리부(35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devic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onnected to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to transmit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a signal management unit 350 for managing transmission.

상기 장치 통신부(345)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상기 장치 연결부(340)를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신호 관리부(350)는 상기 장치 통신부(345)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processes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0 through the device connection unit 340 . The signal management unit 35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connected black box device 200 via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Can be outpu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관리부(35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할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코드값(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고유코드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OTI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고유코드와 인증코드를 조합한 형태의 코드값,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하는 OTI와 인증코드를 조합한 형태의 코드값 등)을 설정받거나 및/또는 생성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345)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로 상기 코드값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코드값을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management unit 350 may receive a separate code value to be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 code valu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unique code and an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 code value in the form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E.g., a code valu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n OTI and an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de value to the black box device 200 via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of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transmit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vided separate code value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by providing a code value.

또는 상기 신호 관리부(350)는 지정된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할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코드값을 수신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345)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로 상기 코드값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코드값을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포함된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gnal management unit 350 may receive a separate code value to be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od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parate code value is provided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by providing the code value to the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included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transmitted.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사용자 소유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355)와, 상기 인식된 코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유효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지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360)를 구비한다.3,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user-owned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310 A signal recognition unit 355 for recognizing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a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70 for read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nd storing valid code information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a signal analysis unit 360 for analyzing whether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상기 신호 인식부(355)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사용자 소유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한 코드정보를 인식한다.The signal recognition unit 355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user-owned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310, read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he chip module 230 of the owned black box device 2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상기 신호 분석부(360)는 상기 장치 통신부(345)를 통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정보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코드정보와 매칭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분석부(360)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OTI의 매칭 분석을 위한 OTI인증규칙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OTI인증규칙을 구비한 운영서버(400)로 상기 OTI를 전송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 분석부(360)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의 매칭 분석을 위한 코드인증규칙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인증규칙을 구비한 운영서버(400)로 상기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The signal analyzer 360 analyzes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based on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via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 And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ignal recognition unit 355 is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Or the code information to be matched. Meanwhile, the signal analyzer 360 may include an OTI authentication rule for matching analysis of OTIs included in the code information, or transmit the OTI to the operation server 400 having the OTI authentication rule to request authentication have. Alternatively, the signal analyzer 360 may include a code authentication rule for analyzing the matching of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ode information, or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operation server 400 having the code authentication rule, Can be requested.

만약 상기 코드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360)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요청되는 각종 서비스가 유효한 것으로 처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360)는 상기 신호 관리부(350)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각종 서비스에 유효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code information is matched, the signal analyzer 360 processes various services requested based o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therwise, the signal analyzer 360 controls the signal controller 350 to transmit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valid for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an do.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정보 등록부(365)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에 연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ransmit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stalled in the vehicle, which is operated by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365 register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330. [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이 다운로드 설치되고 최초 구동(또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상기 앱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한 별도의 고유인증정보를 운영서버(4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부여할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결정된 고유인증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해 별도로 할당/부여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 설치 이후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별도로 고유 할당된 토큰, 식별자, 앱ID, 앱인증키, 앱이나 지정된 파일(또는 데이터)를 해시한 해시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값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부여되어 있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MSISDN, IMSI, IMEI, UICC_ID 등)를 조합하여 구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이 설치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되어 있던 고유식별정보 이외에 별도로 중복되지 않게 할당/부여되어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상태의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의 종류 내지 생성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고유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저장(예컨대, 암호화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330)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브라우져로 제공되는 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가 생략되거나 또는 상기 고유인증정보 대신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Whe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is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65 registers the user who has installed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Performs a procedure of uniquely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registering separat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operation server (400) The server 400 performs a procedure of receiv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 or determin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be give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And stores the received / determined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Preferably,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eparately allocated / assigned to authenticate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330, and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program 330 Includes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a separately assigned token, an identifier, an app ID, an app authentication key, a hash key that hashes the app or a specified file (or data)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after the corresponding app installation, (E.g., mobile phone number, MSISDN, IMSI, IMEI, UICC_ID, etc.) preliminarily assigned / assign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or more combinations of the above values . That is, after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addition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n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th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state where the program 330 has been executed. It is clear that it is not. Meanwhile,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65 stores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for example, encryption (encryption)) before, during or after the registration of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Storage). Meanwhile, when the program 33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cript code included in a page provided by a browser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ocedure for register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omit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a configuration us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확인된 식별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성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또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된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판별 가능한 경우, 별도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과정이 생략되거나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65 identifie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model or an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cooperation with a procedure for register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erver 400 register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type or operating system of the genital user wireless terminal 300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stores the received identifi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identifier identifying the model or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assign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eanwhile, when the type o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separate identifier may be omitted or may be included in the procedure of register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또는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차량 이동에 근거한 알림을 통지하기 위해 사전 또는 실시간 처리해야 할 각 동작을 각 무선단말(300)의 각 기종 별 또는 각 운영체제 별로 구별하여 처리하거나 및/또는 최적화하여 처리하는데 이용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er (or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model o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advance or in advance to notif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notification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And is used for processing and / or optimizing the respective operations to be executed in real time separately for each model or each operating system of each wireless terminal 300. [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프로그램(330)이 최초 구동(또는 정보등록 전 구동) 시 지정된 시점(예컨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기 전, 중, 후의 적어도 일 시점 등)에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성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는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또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된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365 registers the user at the time when the program 330 is initially operated (or before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at a designated time point (for example, at least one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registration of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400 performs a procedure of confirm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ounted on the vehicle and registering the identified uniqu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300 from the program 3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stor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lack box device 200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includ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330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 저장되고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근거리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동적으로 식별 인증받기 위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동적 생성하는 OTI(One Time Identification)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상기 OTI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등록되는 고유정보는 상기 고유코드 이외에 당업자가 지정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is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a unique code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ed in the short distance. In order to dynamically identify and authenticate the black box device 200 to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cludes a unique code used to generate the OTI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Lt; / RTI > Meanwhile, the unique information registered according to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designa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unique cod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1 고유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포장지 또는 일 면에는 블랙박스장치(2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가 인쇄(또는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입력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specific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iqu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be printed (or attached) on the packaging paper or one side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65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for inputting uniqu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and then inputs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And may register the input unique information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

본 발명의 제2 고유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장치 통신부(345) 및/또는 신호 관리부(350)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er 365 is connect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via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and / or the signal management unit 350 It is possible to request and receiv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o register the received uniqu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

본 발명의 제3 고유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specific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365 may include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the signal recognizing unit 355 And can register the recognized unique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0050] FIG.

본 발명의 제4 고유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고유정보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specific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365 may at least partially combine at least two embodiments among the first, second, 400),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프로그램(330)이 최초 구동(또는 정보등록 전 구동) 시 지정된 시점(예컨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기 전, 중, 후의 적어도 일 시점 등)에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차량정보(예컨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입력받고, 지정된 운영서버(400)에 상기 입력된 차량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성기 차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365 registers the user at the designated time point when the program 330 is first driven (or before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point before, during and after the registration of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registers the inputted vehicl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400) receives genitalsubcar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stores the received car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Preferably, the vehicle information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선주문된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되어 주문서(또는 영수증)에 인쇄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 주(또는 직원)은 상기 주문서(또는 영수증)을 통해 선주문된 특정 상품이 어떤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내 선주문인지(또는 어떤 차량의 사용자가 선주문한 것인지)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an offline store that sells a pre-ordered product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is printed on an order form (or a receipt) Based on this, the store owner (or the employee) can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commodity pre-ordered through the order book (or receipt) is the pre-order letter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or the pre-ordered letter of the user of the vehicle) can do.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정보를 생성/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 선주문 요청하는 일련의 선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선주문 처리부(370)를 구비하며,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선주문의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37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generates and stores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a specific in-store store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pre-orders a produc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a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for performing a pre-ordering process of requesting pre-ordering to the off-line store via a designated path.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performs a process of processing settlement of the payment amount of the pre-order in cooperation with the pre- And a settlement processing unit 375 for performing settlement processing.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소정의 주문 값(예컨대, 상품 선택 값, 옵션 선택 값, 수량 입력/선택 값 등)과 결합하여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는 주문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주문관련정보(예컨대, 상품정보, 상품가격, 할인정보 등)를 상기 메모리부(3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325)는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을 식별하는 상점정보(또는 매장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관련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5)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 별 주문관련정보와 각 오프라인 매장의 상점정보(또는 매장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pre-order processor 370 may combine the pre-order processor 370 with a predetermined order value (e.g., a product selection value, an option selection value, a quantity input / selection value, etc.) For example, product information, commodity price, discount information, etc.)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325. Preferably, the memory unit 325 may store store information (or stor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signated offline store and order related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emory unit 325 can store the order related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and store information (or store information) of each off-line stor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프로그램(330)을 구동(또는 실행)하여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선주문을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에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주문관련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관련정보와 결합될 소정의 주문 값이 입력/선택되도록 처리한다.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drives (or executes) the program 330 so as to pre-order a produc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the pre-order processor 370 stores the pre-ordered in- And combines and displays the order-related information of the store so that a predetermined order value to be combined with the order-related information is input / selected through the order interface.

만약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문 값이 입력/선택되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문 값과 상기 주문관련정보를 결합하여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는 주문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문정보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매장식별정보(예컨대, 상점정보와 매장정보의 조합 및/또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부여된 식별코드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 중 선주문한 하나 이상의 주문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주문옵션정보, 주문수량정보, 할인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주문상품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선주문한 하나 이상의 주문상품에 대한 주문금액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주문정보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측위부(318)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one or more order values for pre-ordering the merchandise in the off-line store are inputted / selected through the order interface, the pre-order processor 370 receives one or more order values inputted / selected through the order interface and the order related information And generates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the products of a specific offline store. Preferably,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a combination of store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and / or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a specific offline store) for identifying the specific offline store, Order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roduct information, order option information, order quantity information, dis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one or more ordered products pre-ordered from the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e order amount information for the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ed through a position locating unit 318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한편 상기 생성된 주문정보는 상기 메모리부(3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주문정보 중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추출하여 소정의 주문 인터페이스에 표시한 후,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기반으로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에 표시된(또는 표시 후 수정된) 주문정보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선주문을 위한 주문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e-order processor 370 may store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offline store among the ord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store the generated order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325, And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on the order interface on the basis of the user operation on the order interface as order information for the pre-order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정보가 생성/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주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한다.If the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the goods in the specific offline store is generated / confirmed, the pre-order processor 370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400 and / And a process of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ttlement amount.

본 발명의 제1 주문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생성/확인된 주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등록한 후, 상기 등록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결과를 확인하고, 결제 승인 시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order pay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is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and registered, You can perform the procedure to settle the payment amount. The operation server 400 confirms the settlement result of the settlement amount and configures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lement processed order information at the time of payment approval and processe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

본 발명의 제2 주문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생성/확인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한 후, 결제 승인 시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order pay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ttl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rder amount of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is processed,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4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configure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lement processed order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주문결제 실시예에 따라 매장단말(110)로 제공되는 주문요청정보는 상기 주문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운행 중인 차량정보(예컨대, 블랙박스장치(200)가 구비된 사용자의 차량정보) 및/또는 차량 이동을 근거로 산출된 사용자(또는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정보 등의 각종 정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order payment embodiment includes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E.g., vehicle information of the user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 or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or vehicle) calculated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상기 결제 처리부(375)는 상기 제1 또는 제2 주문결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생성/확인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 절차는 별도의 결제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 처리부(375)는 결제앱과 연동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편의 상 상기 결제 처리부(375)가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375 processes the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rder amount of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order settlement embodiments The payment procedure is performed. Meanwhile, the payment procedure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eparate pay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In this case,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may perform a procedure of interworking with the payment application. Howeve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375 performs the payment procedure of the settlement amount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처리부(375)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생성/확인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문금액을 기반으로 선주문의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금액을 확인한다.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주문금액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문금액에 소정의 할인정보(예컨대, 결제 과정의 할인정보)를 적용한 금액이나 지정된 절차(예컨대, 터치페이 등)에 따라 상기 주문금액 중 실제 결제할 금액으로 조정(또는 계산)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375 confirms the order amount of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and, based on the confirmed order amount, Check the payment amount. The settlement amount includes the amount of the order as it is or the sum of the amount of the discounted information (for example, discount information of the settlement process) or the amount of the order amount You may include the amount adjusted (or calculated) to the amount to be pai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처리부(375)는 상기 확인된 결제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지정된 결제 절차에 따라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제용 정보를 입력/선택받고, 상기 운영서버(400)(또는 지정된 결제서버(도시생략)나 결제중계서버(도시생략) 등)로 상기 입력/선택된 결제용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displays a payment interface for performing a payment procedure for payment of the confirmed payment amount, and displays the payment amount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payment procedure based on the payment interface One or more pieces of payment information for payment are input / selected, and the input / selected pay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or a designated payment server (not shown) or a payment relay server (not shown) A process of processing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amount can be performed.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지정된 서버 측의 매체에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375)는 상기 서버 측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하기 위한 PIN 등의 결제용 정보를 입력/선택받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상기 결제용 정보를 입력/선택받고, 결제에 개입하는 운영서버(400)(또는 지정된 결제서버(도시생략)나 결제중계서버(도시생략) 등)로 상기 입력/선택된 PIN 등의 결제용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를 처리한 결제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ayment means of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medium of the specified server,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may use the payment means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server side medium, (Or a designated payment server (not shown), a payment relay server (not shown), etc.) for inputting / selecting the payment information by displaying a payment interface for inputting / selecting information, The payment information such as the input / selected PI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o request the settlement processing of the settlement amount and receive the settlement result of processing the settlement.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나 또는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식별하는 결제토큰이 구비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375)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상기 결제수단이나 결제토큰을 추출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장치 통신부(345)와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와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수단이나 결제토큰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인식부(355)와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결제수단이나 결제토큰을 확인한 후, 결제에 개입하는 운영서버(400)(또는 지정된 결제서버(도시생략)나 결제중계서버(도시생략) 등)로 상기 수신/확인된 결제수단이나 결제토큰을 포함하는 결제용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를 처리한 결제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Or i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payment token for identifying the payment means of the user or the payment means of the user,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receives the payment means or the payment token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displays the payment interface for extracting the billing tokens and receiving the payment means or the payment token based on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45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ted / Or an operating server 400 (or a designated billing server) for recognizing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signal recognizing unit 355 and confirming the payment means or the payment token, (Not shown), a payment relay server (not shown),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pay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payment / Requesting the settlement processing of the amount and may receive a payment result of processing the payment.

본 발명은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수단이나 결제 방식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어떠한 결제수단이나 결제 방식을 이용하든 사용자 무선단말(300)이 개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선주문하는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한다면 본 발명의 결제 처리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payment means or the payment method for making the settlement of payment,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o intervene in any payment means or payment method, If the pay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it is defined as belonging to the right of settlement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 시,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의 결제 처리를 근거로(예컨대,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해 확인된 결제 승인 결제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가 상기 결제 처리에 개입하여 상기 결제결과를 확인 가능하고 상기 결제 전에 상기 운영서버(400)에 상기 주문정보가 기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별도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연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확인된 결제결과를 근거로 상기 등록된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매장단말(110)로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based on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for example, 375) on the basis of the settlement approval payment result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server 400 intervenes in the settlement processing to confirm the settlement result and if the order information i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operation server 400 before the settlement, the operation server 400 separately transmits the user wireles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registered order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nd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based on the confirmed payment result even if it is not linked to the terminal 300. [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지정된 서버를 통해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선주문 판독부(380)를 구비하며,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인지시키는 절차를 포함하는 선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 program that the user uses the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pre- Is confirmed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designated server or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f the pre-order processor 370 confirms that the pre-order or in-vehicle pre-order is being received through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the pre-order processor 370 transmits the pre- A pre-ordering process including a process of recognizing in-vehicle pre-order or moving vehicle is performed.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는 절차가 개시 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지정된 일 시점 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해 상기 선주문 절차와 연동하는 결제를 처리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처리하는 선주문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인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한 선주문(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한 선주문의 결제 처리)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인지 판독한다.Before or after the start of the pre-ordering process for the commodity in the specific offline store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or before the settlement processing linked with the pre-ordering process through the settlement processor 375,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reads the pre-order information from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400. [ (Or the payment process of the pre-order through the payment processor 375)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the pre-order processing of the black box device 200, Line shop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letter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or is already moving).

본 발명의 제1 선주문 판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365)는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에 등록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운영서버(400)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식별 가능한 소정의 정보등록식별자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설정하여 관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프로그램(330)이 동작함에 있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운영서버(400)에 등록한 경우와 등록하지 않은 경우를 구별하여 동작한다면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330)이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정보등록식별자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설정된 정보등록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보등록식별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등록 관리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처리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한 선주문(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한 선주문의 결제 처리)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pre-order read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65 performs a series of procedures for registe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n the operation server 400, A predetermined information registration identifier capable of identifying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being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controller 400 is set and manag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For example, when the program 330 is opera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f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in the operation server 400 or not registered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at the program 330 set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identifier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In this case,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confirms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based on the set information registration identifi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400 through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identifier,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reads the pre- (Or payment processing of the pre-order through the payment processing unit 375) through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or the pre-order processing by the black-box device 200, The in-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letter can be confirmed to be moving (or already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ox device 200. [

본 발명의 제2 선주문 판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정보 등록부(365)를 통해 등록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운영서버(400)와 연동하여 상기 운영서버(400)에 상기 무선단말(300)(또는 프로그램(330))의 사용자 소유의 블랙박스장치(200)에 대한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운영서버(4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처리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한 선주문(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한 선주문의 결제 처리)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pre-order read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interlocks with the operation server 400 storing and manag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gistered through 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365 And confirms whether the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black box device 200 owned by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r the program 330)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operation server 4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400,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may display the pre-order processed through the pre- The black box device 200 can be confirmed by the pre-order in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or after the pre-order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or the payment process of the pre-order through the payment processor 375)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vehicle is going to be moved (or already moving)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through the provided vehicle.

본 발명의 제3 선주문 판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인터페이스 및/또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을 확인/선택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처리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한 선주문(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한 선주문의 결제 처리)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pre-order read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reads at least one order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and / or at least one To display an interface for confirming / selecting an in-vehicle pre-order through at least one of a billing interface of the vehicle, and / or a separate user interface, or to confirm / select during vehicle movement.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confirms the pre-order receiv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based on a user's operation on the interface as a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Or a payment process of the pre-order through the payment processor 375) through the black box device 370 (or moves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message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n-between).

본 발명의 제4 선주문 판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독부(38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선주문 판독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를 통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처리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한 선주문(또는 상기 결제 처리부(375)를 통한 선주문의 결제 처리)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pre-order read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reading unit 380 reads out the pre-order processing from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through an embodiment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third pre- (Or a payment process of the pre-order through the payment processor 375) through the pre-order processor 370, the pre-order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black box device 200, Line shop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letter (or is already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내지 제4 선주문 판독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임을 인지하도록 처리한다.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pre-order reading embodiments that the in-vehicl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causes the operating server 400 to transmit the pre- Or at least recognizes that the vehicle is scheduled to move (or is moving to the vehicle) after pre-order.

본 발명의 제1 선주문 인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선주문 판독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대한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주문정보가 수신됨을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임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대한 주문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pre-order o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37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e-order processing or the pre-order processing is per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pre-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40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a pre-order in the vehicle, or at least that the vehicle is scheduled to be moved after the pre-order (or moving to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the order information on the pre-order of the vehicle movement may includ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본 발명의 제2 선주문 인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선주문 판독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하는 주문정보에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식별하기 위한 주문식별자를 포함시켜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에 상기 주문식별자의 포함 여부(또는 주문식별자 판독)를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임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주문식별자는 별도로 지정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pre-order o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order processor 370 confirms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pre-order reading embodiments,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may include an order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in-vehicle pre-order or moving vehicle,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n the basis of whether the order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terminal 300 (or reading the order identifier) (Or moving to the vehicle). Meanwhile, the order identifier may include an identifier code that is separately designated or may includ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선주문 인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선주문 판독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확인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임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확인정보는 별도로 지정된 확인코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pre-order o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order processor 370 confirms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pre-order reading embodiments,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read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in-vehicl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to the server 4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400 read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Or may at least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scheduled to be moved (or is moving to the vehicle) after the pre-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that is separately designated, or may includ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임을 인지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기반 주문정보를 일정 기간 동안 저장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기반 주문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If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recognized as an in-vehicle pre-order or at least the pre-ordered vehicle is expected to be moved (or moving to the vehicle) Based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referably, the vehicle-based order information is stored includ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r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임을 인지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한 사용자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선주문을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으로 간주하여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매장 접수 절차(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하는 차량(또는 블랙박스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매장단말(110)로 제공 등) 내지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예컨대, 차량 이동 기반의 '도착예정시간' 알림, 차량 이동 기반의 '도착 x(3≥1)분 전' 알림,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인식한 결과에 기반한 '차량 도착' 알림 등)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recognized as an in-vehicle pre-order or at least the pre-ordered vehicle is scheduled to be moved (or moving to the vehicle) The server 400 confirms that the user who has pre-ordered the goods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approached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regards the pre-order as a pre-order (For example, providing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r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to the store terminal 110, etc.) or the vehicle movement-based pre-order store receiving procedure (E.g., " arrival scheduled time " no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vehicle movement, notification of arrival x (3? 1) minute)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It may perform the value 200, the vehicle destination, alerts, etc.) based on the one-way transmission radio signal to a result of receiving / recognizing from.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인지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와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수행하는 수령 처리부(38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erating server 400 recognizes in-vehicle pre-order or moving vehicles,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interoperate with the operation server 400 to transmit the black box And an acceptance processing unit (385) for performing a pre-purchase commodity receiving procedure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pproaching the store through a vehicle having the apparatus (200).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산출(또는 별도의 네비게이션서버(도시생략)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지정된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이동 중에 상기 이동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이전 이동경로에서 벗어난 무선단말(3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다시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server 400 recognizes the pre-order as an in-vehicle pre-order, or at least recognizes the pre-order vehicle movement (or moving to a vehicle), the operating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pre- Afte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stor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the vehicle is moved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Or a predetermined navigation server (not shown) requests and receives) a moving route and a moving time (or a scheduled arrival time)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receives the moving route and the moving time (or the estimated arrival time)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displays it can do. Preferably,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receives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displays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n the designated navigation interface screen. On the other hand, if the mobile terminal moves out of the movement path while the vehicle is moving,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can provide the operation server 400 with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which is out of the previous movement path,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400 calculates again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moving through the vehicl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330,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can receive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display the movement rout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 산출 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 사이의 교통상황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교통상황정보를 참조하여 산출된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Or estimated arrival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by referring to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can receive and display the calculated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by referring to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 산출 시,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또는 영국/일본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왼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도록 차량의 이동경로를 조정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또는 영국/일본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왼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도록 조정 산출된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차량이 이동경로 상의 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 시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또는 영국/일본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왼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도록 차량의 이동경로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더라도 매장 직원이 가져다 주는 상품을 차량 안에서 수령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Or in the case of the UK / Japa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may calculate the travel route of the vehicle to the right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r the UK / In the case of Japan, the off-line stor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That is, when the vehicle moves along the road on the movement route and arrives at the off-line store,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on-line store is located on the right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r in the case of the UK / So that the merchandise brought by the shop staff can be received in the vehicle even if the user does not get off the vehicle.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하기 위해 구성하는 주문요청정보에 상기 주문정보 이외에 차량의 차량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착예정시간이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상기 도착예정시간을 더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server 400 recognizes the pre-order as an in-vehicle pre-order, or at least recognizes a pre-ordered vehicle movement (or moving to a vehicle),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that the store terminal 110 The order entr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the order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wh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generated, (110).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인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으로 이동 중)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차량 이동 기반의 '도착 x(3≥1)분 전' 알림을 위한 지오펜스(Geo-fence)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오펜스는 지정된 대상이 특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그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가상의 울타리를 치는 정보로서, 본 발명의 지오펜스는 지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이 오프라인 매장(=오프라인 매장과 가장 근접한 도로 상의 위치)에 도착하기 x(3≥1)분 전을 판단하기 위한 울타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특정 오프라인 매장 근처의 도로 구조와 신호체계 상 오프라인 매장과의 이동거리가 200m일 때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1분이 소요된다면, '도착 1분 전' 알림을 위한 지오펜스정보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200m 떨어진 위치에 울타리를 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ng server 400 recognizes the pre-order as an in-vehicle pre-order, or at least recognizes the pre-ordered vehicle movement (or moving to the vehicle), the operating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arrival x 3 > = 1) minute ' notifications. A geofence is information that a virtual fence is placed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ed object is present in a specific area or outside the area. The geo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ofenc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 = 1) minutes to arrive at the location on the road closest to the vehicle. For example, if it takes 1 minute to arrive at an in-st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the offline store is 200m, the geofence information for the "arrival 1 minute before" It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fencing at a location 200 meters from the stor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와 근처의 도로 구조 및 신호체계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교통상황에 가변적이다. 예를들어,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기 직전 이동경로의 교통상황이 '원활'일 때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1분 소요되는 이동거리가 300m라면, 동일한 이동경로의 교통상황이 '서행'일 때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1분 소요되는 이동거리는 100m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운영서버(400)는 오프라인 매장 주변의 교통상황(예컨대,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차량의 이동경로 기준 매장 주변의 교통상황)을 근거로 '도착 1분 전' 알림을 위한 이동경로 상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거리에 울타리를 치는 지오펜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location of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the nearby road structure and signal system are fixed, the time required to arrive at the offline store varies depending on the traffic situation. For example, when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route is 'smooth' immediately before arriving at a specific offline store, if the travel distance of one minute is 300m to arrive at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if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same route is 'slowed down' The distance traveled for 1 minute to arrive at the local store may be 100 meters. Accordingly,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ving distance on the moving route for the 'one minute before arrival' notification based on the traffic situation around the offline store (for example, the traffic situation around the store based on the moving route of the vehicle approaching the offline store) And generate the geofence information that fences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도착 1분 전' 알림을 위한 지오펜스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전송하면,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지오펜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오펜스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지 확인하기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다. The operation server 400 generates the geofence information for the '1 minute before arriv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geofence information to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transmits the geofenc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dures to confirm whe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within a geofence corresponding to the geof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geofen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안드로이드 계열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경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워크쓰레드를 생성하여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워크쓰레드는 상기 지오펜스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측위부(318)를 통해 측위된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내에 진입하는지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300)이 상기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했음을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보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워크쓰레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330)이 강제 종료되더라도 상기 워크쓰레드는 독자적으로 동작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지 판단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보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워크쓰레드의 보고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워크쓰레드는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했음을 보고한 후 소멸할 수 있다.When an Android-based operating system is mounted 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ophone information Create and run a work thread to check if it is within the fence. Preferably, the work thread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 geofence corresponding to the geofence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periodical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18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wireless terminal 300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300 enters the set geophone. When the wireless terminal 300 enters the set geophone, the wireless terminal 300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terminal 300 has reached the geophone And reporting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Even if the program 330 is forcibly terminated by the user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hen the work thread is executed, the work thread maintains its own operating state and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set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300 is within the fence and report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within the geofence You can check if it exists. Meanwhile,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within the set geophone, the work thread reports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400 that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has reached the set geophone,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애플사의 iOS 계열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경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지오펜스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예컨대, 제어부(302)) 상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무선단말(300)의 지오펜스 기능을 활성화(또는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는 상기 활성화(또는 설정)된 지오펜스 기능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지정된 앱으로 로컬푸시(예컨대, 무선단말(300) 내부 푸시)를 통지하거나 또는 지정된 서버로 통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지정된 앱(또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iOS operating system of Apple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receive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using the geophone information, (Or sets) the geofenc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on the wireless terminal 300 (e.g., the controller 302). In this cas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by the activated (or set) geofence function.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Or internal push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pecified application when it is present in the geofence, or may notify the specified server, and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notify the designated application (or server)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도착 x(3≥1)분 전' 알림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를 통해 수신 내지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도착' 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대기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에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예컨대, 고유코드, OTI,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코드값 등)를 인식하여 전송하는지 확인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arrival x (3? 1) minutes' notice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line store to output To inform a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receiving or recogniz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off-line store Perform a waiting procedure. Preferably, the operation server 400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and / or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off- (E.g., unique code, OTI, code value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like)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만약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에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전송함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차량 도착' 알림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매장 도착' 알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처리부(385)는 상기 '매장 도착'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If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off-line store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and / or recognizes and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a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line store and outputs the notification.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transmit a 'store arrival' notific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85 may receive and output the 'store arrival' notification.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매장 도착 전에 선주문 시 상기 선주문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이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인지 확인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하여 매장에 접근함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된 상품의 수령 절차를 제공하는 운영서버(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운영서버(4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ase where a pre-order item is pre-ordered in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when a pre-store order is received through a program 330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black box device 200 is in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FIG. 4 illustrate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400 that provides a procedure for receiving the pre-ordered goods on the basis of accessing a stor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g., some configuration portions omitted, or fragmented, or aggregated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al server 400 may be referenced and / Would be able to infer,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ny exemplary way in which the inference,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4.

상기 운영서버(400)는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 가능하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및/또는 인식한 신호수신기(100)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하다.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having a black box device 200 via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receive and / or transmit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recognized signal receiver 100 via the designated path.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지정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장치 등록부(40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server 400 includes a device registration unit 405 for registering and storing unique information of a black box device 200 that transmits a designat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상기 장치 등록부(405)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제작 또는 판매하는 기업에서 운영하는 운영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등록부(405)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330)과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The device registration unit 405 can communicate with an operating terminal operated by a company that manufactures or sells the black box device 200 to register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 association with a designated database.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405 register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program 330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purchased the black box device 200 Accept and store in association with specified databas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등록부(405)를 통해 등록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하는 OTI 및/또는 인증코드를 분석 내지 인증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gistered through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405 uniquely identifies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may include all information required or used for analyzing or authenticating the OTI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hip module 2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등록부(405)는 지정된 등록단말로부터 각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어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100)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각 신호수신기(100)를 구비한 각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식별정보(또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매장단말(110)의 단말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각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신호수신기(100)의 식별정보와 각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식별정보(또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매장단말(110)의 단말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405 register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receiver 100, which is provided in each off-line store from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erminal and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Stores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off-line stores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terminal 110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having the respective signal receivers 1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r 100 and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fline store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terminal 110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can be link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database.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사용자가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3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등록받아 연계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41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ng server 400 identifies the own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wned by the user and the own wireless terminal 300, And a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0) for registering and stor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and authenticating the program (330)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이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을 설치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실행된 상기 앱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한 별도의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등록 처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부여할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결정된 고유인증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해 별도로 할당/부여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 설치 이후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별도로 고유 할당된 토큰, 식별자, 앱ID, 앱인증키, 앱이나 지정된 파일(또는 데이터)를 해시한 해시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값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부여되어 있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MSISDN, IMSI, IMEI, UICC_ID 등)를 조합하여 구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30)에 대응하는 앱이 설치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되어 있던 고유식별정보 이외에 별도로 중복되지 않게 할당/부여되어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상태의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의 종류 내지 생성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uniquely identifies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installed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and at the same time identifies the application execut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0 may receive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 or transmit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Performs a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be given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n stores the received / determined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Preferably,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eparately allocated / assigned to authenticate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330, and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program 330 Includes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a separately assigned token, an identifier, an app ID, an app authentication key, a hash key that hashes the app or a specified file (or data)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after the corresponding app installation, (E.g., mobile phone number, MSISDN, IMSI, IMEI, UICC_ID, etc.) preliminarily assigned / assign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or more combinations of the above values . That is, after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30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addition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n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th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state where the program 330 has been executed. It is clear that it is not.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이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확인된 식별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등록 처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성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또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기 할당된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판별 가능한 경우, 별도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과정이 생략되거나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heck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type or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cooperation with the procedure for register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0 receive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model or operating system of the genital user wireless terminal 300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stores the received identifi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identifier identifying the model or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assign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eanwhile, when the type o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separate identifier may be omitted or may be included in the procedure of registering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를 식별하는 식별자(또는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차량 이동에 근거한 알림을 통지하기 위해 사전 또는 실시간 처리해야 할 각 동작을 각 무선단말(300)의 각 기종 별 또는 각 운영체제 별로 구별하여 처리하거나 및/또는 최적화하여 처리하는데 이용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er (or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model o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advance or in advance to notif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notification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And is used for processing and / or optimizing the respective operations to be executed in real time separately for each model or each operating system of each wireless terminal 300. [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이 상기 사용자의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등록 처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고유정보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등록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onfirm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s black box device 200 and register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verified black box device 200, The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0 receiv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lack box device 200 to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Preferably,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be registered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first to fourth specific information registra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이 상기 사용자의 차량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차량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등록 처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registers the inputted vehicle information, the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0 registers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330, and stores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Preferably,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 or associated wit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선주문된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되어 주문서(또는 영수증)에 인쇄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 주(또는 직원)은 상기 주문서(또는 영수증)을 통해 선주문된 특정 상품이 어떤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내 선주문인지(또는 어떤 차량의 사용자가 선주문한 것인지)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an offline store that sells a pre-ordered product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is printed on an order form (or a receipt) Based on this, the store owner (or the employee) can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commodity pre-ordered through the order book (or receipt) is the pre-order letter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or the pre-ordered letter of the user of the vehicle) can do.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지정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과 연동하여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전달하여 주문 접수시키는 선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선주문 절차부(415)를 구비하며,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선주문의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부(420)를 구비한다.4,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a produc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through a program 330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having a black box device 200 that transmits a designat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And store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in the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in cooperation wit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a pre-ordering process unit 415 for performing a pre-order process for delivering the pre-order to the customer terminal 110. The settlement procedure unit 420 processes the payment of the pre- .

지정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에서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는 주문정보를 생성/추출하여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주문결제 실시예에 따라 운영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정보를 수신한다.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ting the designated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he order prevailing procedure unit 415 generates and extracts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a produc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40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order pay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the product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from the program 330 of the terminal 3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선택된 주문 값을 근거로 주문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선택된 주문 값을 근거로 생성된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der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order value inputted /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e- From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rde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order value entered / selec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에서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주문정보를 추출(또는 추출 후 수정)하여 전송하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extracted (or corrected and extracted) i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control unit 415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에서 상기 선주문을 위해 생성/추출된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며, 결제 승인 시 결제결과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 처리에 대한 결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performs a procedure for processing payment of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extracted for the pre-order, And provides it to the server 400. In this case,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can check the payment result of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한편 상기 결제 절차부(4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처리되는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 처리에 대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 절차부(4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또는 별도의 결제앱 등)과 결제서버 간 결제 절차를 중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ttlement procedure unit 420 may perform a server-side settlement procedure for settlement processing of the order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The payment procedure unit 420 may perform a procedure of relaying a payment procedure betwee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or a separate payment application, etc.) and the payment server, Can be confirmed.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생성/추출된 주문정보가 확인되고, 상기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가 처리된 경우,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extracted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confirmed and the payment for the order information is processed,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transmits the payment processed order information And then provide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line store.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선주문 판별부(425)를 구비하며,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과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수행하는 수령 절차부(4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ng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lack box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black box device 200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storage medium, And a pre-order discriminating unit 425 for confirming that the pre-order is in-vehicle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or moving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order article on the basis of vehicle movement based on approaching the store through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n cooperation wit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a reception procedure section 430 for performing a procedure.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선주문의 주문정보가 수신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지정된 일 시점 또는 상기 결제 절차부(420)를 통해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가 개시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인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인지 판독한다.The order information of the pre-order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pre-ordering procedure unit 415, At a specified point in time before, during, or after a procedure for processing payment of order information is started, the pre-order determining unit 425 registers and manages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through the storage medium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s a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or after the pre-order, the black box device 200 (Or is already moving).

본 발명의 제1 선주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록 처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식별 가능한 소정의 정보등록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고유인증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한다. 이 경우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연계된 정보등록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보등록식별자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pre-order discrimina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0 performs a series of procedures of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storage medium,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hich is capable of identifying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do. In this case, the pre-order judging unit 425 register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on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managed through the storage medium through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identifier, the pre-order determining unit 425 may determine that the pre- (Or is already moving)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after confirming with the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ox device 200, .

본 발명의 제2 선주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매체와 연동(또는 조회)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무선단말(300)(또는 프로그램(330))의 사용자 소유의 블랙박스장치(200)에 대한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pre-order discrimina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determining unit 425 interlocks (or inquir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with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pre- It is confirmed whether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user-owned black box device 200 of the user 300 (or the program 330) is registered and manag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apparatus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storage medium, the pre-order discrimination unit 425 transmits a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black box apparatus 2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pre-order is in the vehicle, or that the pre-order is to be moved (or already moving)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본 발명의 제3 선주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확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pre-order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discrimination unit 425 confirms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at the pre-order is in-vehicle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Receives predetermined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ransmits a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black box device (200) It can be confirmed by pre-order in a vehicle, or after the pre-order,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is expected to move (or is already moving)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본 발명의 제4 선주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pre-order discrimina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determining unit 425 inclu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in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f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s a pre- (Or is already moving)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after the pre-ordering.

본 발명의 제5 선주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선주문 판별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를 통해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의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동할 예정(또는 이미 이동하고 있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fifth pre-order discrimina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discriminating unit 425 may be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combine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fourth pre- The customer is expected to confirm the pre-order with the pre-order i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or to move to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하여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관리되는 주문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ing judging unit 425 that the pre-order or in-vehicle pre-order is in the vehicle, the pre-ordering procedure unit 415 stores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Management. Preferably, the stored order information includes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r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한편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판별된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과 연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예컨대,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와 비교 인증될 정보 및/또는 지정된 검증연산을 수행하여 유효한 경우에 예측된 결과를 도출하는 정보 등)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또는 주문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연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특정 오프라임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로 제공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신호수신기(100)에서 상기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를 인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ing judging unit 425 that the pre-order letter or the vehicle is moving, the pre-ordering procedure unit 415 transmits the pre- (Or a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for example, from the black box apparatus 200 provided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e- Information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code information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or the constituent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and / or information for deriving a predicted result in the case of validity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Or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provid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specific o-prim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and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e signal receiver 100,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또한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되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한 사용자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매장 접수 절차(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하는 차량(또는 블랙박스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매장단말(110)로 제공 등) 내지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예컨대, 차량 이동 기반의 '도착예정시간' 알림, 차량 이동 기반의 '도착 x(4≥1)분 전' 알림,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인식한 결과에 기반한 '차량 도착' 알림 등)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pre-ordering process unit 415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pre-ordered the product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through the pre-order determination unit 425, (For example, a vehicle in which a user moves (or a vehicle provided with a black box device 200)) to a store terminal (for example, (For example, the arrival of the pre-arrival goods on the basis of the vehicle movement, the notification of arrival x (4? 1) minutes)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A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receiving / recogniz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산출(또는 별도의 네비게이션서버(도시생략)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이동 중에 상기 이동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이전 이동경로에서 벗어난 무선단말(3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다시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in the vehicle through the pre-order determination unit 425,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fter confirming the stor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the mobile terminal 300 confirms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the estimated arrival time (Or requesting and receiving a separate navigation server (not shown)) from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n providing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ut of the previous route to the operation server 400, In this case,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may again calculate a travel route and a travel time (or a scheduled arrival time) through the vehicl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An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 산출 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 사이의 교통상황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교통상황정보를 참조하여 산출된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ing procedure unit 415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when calculating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by referring to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calculated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by referring to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 산출 시,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또는 영국/일본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왼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도록 차량의 이동경로를 조정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또는 영국/일본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왼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도록 조정 산출된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차량이 이동경로 상의 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 시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또는 영국/일본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왼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도록 차량의 이동경로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더라도 매장 직원이 가져다 주는 상품을 차량 안에서 수령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may calculate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tore locatio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calculated by adjusting the travel path of the vehicle so that the off-line stor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r in the case of the UK / Japan, (Or in the case of the UK / Japan, the left side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off-line store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That is, when the vehicle moves along the road on the moving route and arrives at the off-line store, the pre-ordering procedure unit 415 stores the in-line store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r in the case of the UK / Japan, So that the merchandise brought by the store staff can be received in the vehicle even if the user does not get off the vehicle.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제공하기 위해 구성하는 주문요청정보에 상기 주문정보 이외에 차량의 차량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착예정시간이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상기 도착예정시간을 더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 determination unit 425 that the pre-order or in-vehicle movement is in progress,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add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and wh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generated, the estimated arrival tim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store terminal 110.

한편 상기 선주문 판별부(425)를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차량 이동 기반의 '도착 x(4≥1)분 전' 알림을 위한 지오펜스(Geo-fence)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오펜스는 지정된 대상이 특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그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가상의 울타리를 치는 정보로서, 본 발명의 지오펜스는 지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이 오프라인 매장(=오프라인 매장과 가장 근접한 도로 상의 위치)에 도착하기 x(4≥1)분 전을 판단하기 위한 울타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특정 오프라인 매장 근처의 도로 구조와 신호체계 상 오프라인 매장과의 이동거리가 200m일 때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1분이 소요된다면, '도착 1분 전' 알림을 위한 지오펜스정보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200m 떨어진 위치에 울타리를 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pre-ordering judging unit 425 that the pre-order or in-vehicle movement is in progress,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receives the 'arrival x (4? 1) (Geo-fen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 geofence is information that a virtual fence is placed to determine whether a designated object is present in a specific area or outside the area. The geo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ofenc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 = 1) minutes to arrive at the location on the road that is closest to the origin (x). For example, if it takes 1 minute to arrive at an in-st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the offline store is 200m, the geofence information for the "arrival 1 minute before" It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fencing at a location 200 meters from the stor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와 근처의 도로 구조 및 신호체계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교통상황에 가변적이다. 예를들어,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기 직전 이동경로의 교통상황이 '원활'일 때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1분 소요되는 이동거리가 300m라면, 동일한 이동경로의 교통상황이 '서행'일 때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는데 1분 소요되는 이동거리는 100m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오프라인 매장 주변의 교통상황(예컨대,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차량의 이동경로 기준 매장 주변의 교통상황)을 근거로 '도착 1분 전' 알림을 위한 이동경로 상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거리에 울타리를 치는 지오펜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location of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the nearby road structure and signal system are fixed, the time required to arrive at the offline store varies depending on the traffic situation. For example, when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route is 'smooth' immediately before arriving at a specific offline store, if the travel distance of one minute is 300m to arrive at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if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same route is 'slowed down' The distance traveled for 1 minute to arrive at the local store may be 100 meters. Accordingly, the receipt procedure unit 43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route for the 'one minute before arrival' notification based on the traffic situation around the offline store (for example, the traffic situation around the store based on the movement route of the vehicle approaching the offline st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and generate the geofence information that fences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상기 수령 절차부(430)가 '도착 1분 전' 알림을 위한 지오펜스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지오펜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오펜스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지 확인하기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다.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generates geofence information for notification of 'one minute before arrival' and transmits it to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geofence information,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dures for confirm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within a geofence corresponding to the geof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geofen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안드로이드 계열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워크쓰레드를 생성하여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워크쓰레드는 상기 지오펜스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내에 진입하는지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300)이 상기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했음을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보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워크쓰레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330)이 강제 종료되더라도 상기 워크쓰레드는 독자적으로 동작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로 진입하는지 판단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보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워크쓰레드의 보고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determine that the lo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located within the geographical area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 thread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ence information is within the geofence corresponding to the fenc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executed. Preferably, the work thread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 geofence corresponding to the geofence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periodical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function to periodically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300 enters the fence or not. When the wireless terminal 300 enters the set geophone, the wireless terminal 300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terminal 300 has entered the geophone 400). ≪ / RTI > . Even if the program 330 is forcibly terminated by the user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hen the work thread is executed, the work thread maintains its own operating state and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set Fence and report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may determine that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located on the basis of the geofence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애플사의 iOS 계열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지오펜스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예컨대, 제어부) 상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무선단말(300)의 지오펜스 기능을 활성화(또는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는 상기 활성화(또는 설정)된 지오펜스 기능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지정된 앱으로 로컬푸시(예컨대, 무선단말(300) 내부 푸시)를 통지하거나 또는 지정된 서버로 통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지정된 앱(또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if an iOS operating system of Apple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transmit the wireless (Or sets) the geofenc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on the operating system (e.g.,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300. [ In this cas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by the activated (or set) geofence function. I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E.g., push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or notify the designated server of the local push (e.g., pushing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designated application when it is present in the geofenc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도착 x(4≥1)분 전' 알림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를 통해 수신 내지 인식/인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도착' 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대기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에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수신 대기한다. 만약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한 후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전송하면,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 수신기에서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을 수신한다.Whe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ists in the geofence,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transmits 'arrival x (4? 1) minutes' notification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line store And receives a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receiving or recognizing / authenticating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offline store And performs a waiting process for notifying the user. Preferably,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in the off-line store signal receiver 100 and recognizes (or recognizes and authenticates) Information (or a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code information). If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offline store receiv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and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receives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or recognized and authenticated) by the signal receiver via the designated path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신기(100)에서 인식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의 유효성 인증 중 적어도 일부를 운영서버(400) 측에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선주문 절차부(415)를 통해 등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a part of the validity authentication of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ignal receiver 100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server 400 side, The unit 430 can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that constitutes the code information)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pre-order processing unit 415. [

만약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에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지정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이 인식되거나 및/또는 상기 인식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값)와 매칭되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특정 선주문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선주문에 대한 '차량 도착' 알림을 생성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상기 '차량 도착' 알림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수령 절차부(43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매장 도착' 알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매장 도착'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I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off-line store, the designated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 When the validity of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or the constituent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receives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 And transmits a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line store to output a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for the specific pre-order . Meanwhile, the reception procedure unit 430 may transmit a 'store arrival' notific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store arrival' can do.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5 show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for transmitt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ncluding the designated code information, and it is assumed that the norm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5 to determine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for example, some steps are omit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5를 참조하면,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확인되면(500),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지 여부를 확인한다(505). 만약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확인되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정보를 확인한다(510). 바람직하게,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s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505).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transmitted,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onfirms the cod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510). Preferably,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confirms cod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first to seventh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만약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되도록 처리함과 동시에(515), 상기 칩모듈(230)로 차량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다(520). 만약 상기 칩모듈(230)로 차량 전원이 인가되고 있다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인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또는 신호 세기)를 지정된 크기로 증폭(예컨대, 허용된 범위의 지정된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 또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 계산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한다(525). 한편 상기 칩모듈(230)로 차량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며(53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저전력모드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530).If the cod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confirmed,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processes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so as to include the confirmed code information (5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520). If the vehicle power is a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uses the applied power from the vehicle to adjust the signal strength (or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E.g., amplified to the specified maximum signal strength of the allowed range, or amplified to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to reach a specifi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and transmitted (525). On the other hand, if no vehicle power is a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s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using the charging power source 530,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may transmit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in a low power mode (530).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 간 연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ock process between a chip module 230 of a black box device 200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 간 연동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6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re interlocked through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an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6 to determin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interworking process betwee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면6을 참조하면,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동작 전원이 공급된 후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양방향 근거리 통신할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00). 만약 상기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지 않았다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하며(6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05). Referring to FIG. 6,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receives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o be used for two-way LAN communic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chip module 230 (600). If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not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chip module 230,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to which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is to be connected (605).

만약 양방향 근거리 통신할 사용자 무선단말(300)이 식별되면,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6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610).I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o be bi-directionally communicated is identified,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btains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an also acquire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store the acquired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610 ).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고(6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된 후(610),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615).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stored 610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black box device 200 After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is stored 610,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615 ).

만약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며(620),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사용자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제공하는데(62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620).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230), and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is set or not Th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by check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provid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set (620).

만약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에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예컨대, 고유코드가 저장되지 않거나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등),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며(625),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수행되는 절차에 따라 단방향 무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설정하며(630), 이후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If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the black box device 200 is not set (for example, if the unique code is not stored or activated), th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ransmits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performs a procedure of sett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designated code information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black box device 200 according to a procedure performed by the black box device 200 in operation 630. [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을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for a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 사용자가 소유한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을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ore specifically,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vehicle that the user operates through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for a vehicle movement- based pre-order with a black box device 200 owned by a user, And registe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for example,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may be change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7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300)에 다운로드된 프로그램(330)이 구동(예컨대, 최초 구동)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하며(70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05). Referring to FIG. 7, when the program 330 download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driven (for example, initial operatio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executes the program 330 The management server 400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The operation server 400 checks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70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사용자 소유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하며(71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고(715),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무선단말(300)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한 후(715),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무선단말(300)의 고유인증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20).Meanwhile,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onfirm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owned black box device 200 and requests registr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operation 710) (715)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owned black box device 200 and confirms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at executed the program 330 in step 715, The unique information and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executing the program 330 are link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720).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의 차량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하며(72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차량정보를 확인하고(730),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또는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무선단말(300)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한 후(730),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또는 상기 프로그램(330)을 실행한 무선단말(300)의 고유인증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35).Meanwhile,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operation 725), and the operation server 400 (730) and confirms (730)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or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at executed the program (330)) (730)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r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at executed the program 330), and stores the uniqu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735).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ordering a vehicle moving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여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선주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8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선주문을 위한 주문정보를 확정한 후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하는 과정은 주문정보를 매장단말(110)에 접수하기 전이라면 언제라도 수행 가능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를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that a merchandise of a specific offline store is a pre-order in-vehicle having a black box device 200 in a pre-order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vehicle movement based pre-order process.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referring to and / or modified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illustrated method. For example, FIG. 8 shows an embodiment of confirming order information for a pre-order in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then confirming the pre-order or in-vehicle movement in the vehic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moving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any time before the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at the store terminal 110, and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uch embodiments as a scope of right.

도면8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800),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위한 주문 값을 입력/선택하여 주문정보를 생성하거나(805),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주문정보를 추출 및/또는 수정한다(805). 만약 상기 주문정보의 생성 및/또는 추출 및/또는 수정 등의 절차를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위한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운영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할 수 있다(810). 만약 상기 차량 내 선주문이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845). Referring to FIG. 8,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displays (800) an order interface for a pre-order of a product sol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and sells it in a specific offline store based on the order interface The order information for the pre-order of the goods is input / selected to generate the order information (805), and the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is extracted and / or modified (805). If order information for a pre-order of a product to be sold in a specific offline store is determined through a procedure such as generating and / or extracting and / or modifying the order informatio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400, (810). If the pre-order in the vehicle is not confirmed or 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output the vehicle movement based pre-order error (845).

한편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무선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함과 동시에(815),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전송하여 저장 관리 내지 매장단말(110)로 상기 주문정보를 접수하도록 요청한다(8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stores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n the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t the same time as the management server 815,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400 in the in-vehicle pre-order or moving vehicle to request the storage management or the store terminal 110 to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82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생성/추출된 주문정보를 수신한다(825).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825). The operation server 400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extracted through the program 3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n operation 825. Preferably, the operational server 400 may receiv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during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82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위해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이 차량 내 선주문인지 또는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 이동 중)인지 확인한다(830). 만약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이 차량 내 선주문인지 또는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일정 기간(예컨대, 결제승인 확인 전 내지 상품 수령 전) 동안 저장 관리한다(835).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for the pre-order of the goods sold in the specific offline store from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is a pre-order letter in the vehicle or a pre- (Or moving the vehicle) (830). If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s a pre-order letter in the vehicle or a pre-ordered vehicle moving schedule (or moving vehicle), the operation server 400 sets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n the in-vehicle pre- (E.g., before payment confirmation is confirmed or before receipt of the goods) (835). Preferably,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n the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may be stored includ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or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200.

한편 상기 수신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이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오류를 제공하고(84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845). On the other hand, if the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in the in-vehicle pre-order or is not confirmed during the vehicle movement,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840) an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output the vehicle movement based pre-order error (845).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yment process of a pre-order based on a mo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여 결제 시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여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결제로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9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선주문 결제 전에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하는 과정은 주문정보를 매장단말(110)에 접수하기 전이라면 언제라도 수행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를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whether a pre-order item in a specific offline store is pre-ordered through a program 330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to be a pre-order in vehicle having a black box device 200 upon paymen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cessing a pre-payment for settlement based on a vehicle movement by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vehicle 200. Referring to FIG. 9 and FIG. 9,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ll of the above modes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For example, FIG. 9 shows an example of confirming a pre-order or in-vehicle pre-order in advance of a pre-order settlement in a specific offline sto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any time before the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at the store terminal 110.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uch embodiments as a scope of right.

도면9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운영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할 수 있다(900). 만약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해 생성/추출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확인하고(905), 지정된 결제 방식으로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910),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915). 상기 결제 절차의 서버 측 결제 절차는 상기 운영서버(400)를 중계하여 수행되거나(935),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에 설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9,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program information 330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400 The pre-order can be confirmed by pre-order in the vehicle or by pre-ordering (9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in the vehicle,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onfirms the pay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rder amount of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 extracted for pre- (905), displays a payment interface for processing payment of the order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payment method (910), and then performs a payment procedure for processing payment of the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915). The server side settlement procedure of the settlement procedure may be perform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server 400 or via a path set in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procedures are performed.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처리가 확인되면,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처리가 결제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920). 만약 상기 결제처리가 결제 승인되었다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운영서버(400)로 상기 결제 승인된 결제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92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주문정보의 승인된 결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945). 한편 상기 결제처리가 결제 승인되지 않았다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결제 오류를 출력할 수 있다(955).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onfirms whether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order information has been approved (step 920). If the settlement process is approve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can provide the settlement approved payment result to the operation server 400 (925), and the operation server 400 The approved payment result of the order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945). On the other hand, if the payment process is not approved,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may output a payment error (95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지정된 저장매체를 통해 사용자 블랙박스장치(200)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선주문을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선주문 후 차량 이동 예정(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할 수 있다(930). 만약 상기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생성/추출된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935),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처리가 확인되면, 상기 주문정보의 결제처리가 결제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940). 만약 상기 결제처리가 결제 승인되었다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주문정보의 승인된 결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945). 한편 상기 결제처리가 결제 승인되지 않았다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결제 오류를 제공하고(95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결제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955).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a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vehicle 40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200 is registered and managed o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930) by confirming the pre-order or by pre-ordering the vehicle (or moving the vehicl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terminal 300 is in the pre-order or vehicle moving state, the operation server 400 interlocks with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generates / The server side payment processing for processing the order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935. If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payment processing is confirmed,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order information is confirmed 940. If the settlement processing is approved, the operation server 400 can confirm the approved settlement result of the order information (945). The operation server 400 provides a payment error to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payment error to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 May receive and output the payment error (955).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매장 접수 내지 상품 수령을 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tore receipt of a vehicle moving-based pre-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ommodity receipt.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운영서버(400)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요청 시 운영서버(400)에서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을 매장단말(110)로 제공하여 접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매장 접수 내지 상품 수령을 개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10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hicle movement based on an in-vehicle pre-order or an in-vehicle pre-order through a program 330 of a user wireless terminal 3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dure for receiving a pre-order article based on a vehicle movement by providing a pre-order to the store terminal 110 and receiving it and accessing the store through a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200,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ways of practicing the process of commencing receipt of merchandise or commodity receipt of the vehicle movement-based pre-order (see, for example, Omitted, or altered in ord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uch contemplated embodiments ,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10을 참조하면, 운영서버(400)는 선주문에 사용된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와 선주문 대상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를 확인하고(1000),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300)의 위치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위치 사이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특정한 방향(예컨대,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게 하는 이동경로를 산출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경로에 대한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한다(1005). 만약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이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주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정보와 상기 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고(1010),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접수 요청하며(1015), 상기 매장단말(110)은 상기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고(1020), 상기 수신된 주문요청정보를 통해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을 접수 처리한 후(1025),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접수결과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제공하며(103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제공한다(1035).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ion server 400 confirms (10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order offline store, Based on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stor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Right), and calculates a moving time (or a scheduled arrival time) for the moving route (1005). If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are calculated, the operation server 400 includes the ord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black box device 200 and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vehicle The store terminal 110 transmits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and requests the reception of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1015) Based purchas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of the movement-based order is received (1020), the pre-order based on the vehicle movement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d order request information (1025) The operation server 400 provides the reception result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the operation server 400 provides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with the calculated travel route, It provides inter) 10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따른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고(1040), 지정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상기 수신된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1045),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차량 이동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표시한 후(1050), 상기 차량 이동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이동경로를 이탈하는지 확인하여 이탈하는 경우에 운영서버(400)로 경로 이탈한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105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300)의 위치와 상기 매장 위치 사이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특정한 방향(예컨대, 국내의 경우 차량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하게 하는 이동경로를 다시 산출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경로에 대한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다시 산출한다(1060). 만약 상기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이 다시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특정 선주문의 변경된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매장단말(110)로 전송하고(1065), 상기 매장단말(110)은 상기 특정 선주문의 변경된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한다(1070).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으로 상기 변경된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제공하며(107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은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따른 이동경로와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수신하고(1040), 지정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상기 수신된 이동시간(또는 도착예정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1045),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차량 이동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표시하며(1050), 상기 과정은 상기 차량 이동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가 상기 이동경로를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된다.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stimated arrival time) according to the vehicle movement based pre-order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1040) The mobile terminal 300 displays the received movement time (or expected arrival time) (1045), and displays the received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mobile terminal 300 on the movement route on the navigation scre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300 aft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mov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1055).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300 is in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stor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moving path for the offline store to be located is calculated again and the moving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for the moving route is calculated again (1060). If the movement route and the movement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are calculated again,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changed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specific pre-ord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oute to the store terminal 110 (1065 ), The store terminal 110 receives and outputs the changed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specific pre-order (1070). Meanwhile, the operation server 400 provides the changed travel route and the travel time (or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program 33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step 1075), and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00 (Or arrival time) according to the vehicle movement based pre-order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step 1040). The navigation server 330 receives the travel time (or arrival time (1050)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n the navigation path on the navigation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process repeats until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leaves the travel route or arrives at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movement.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상품 수령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goods receipt of a pre-order based on a vehicl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30)을 통해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대응하는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 시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블랙박스장치(200)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의 상품 수령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FIG. 1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re-ordering server or a pre-ordering operation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providing a pre-purchase article based on a vehicle movement based on approaching a store through a vehicle. As shown in FIG. 11 and FIG. 11,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for providing the goods receipt of the vehicle movement-based pre-ord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above-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11을 참조하면,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특정한 차량 이동 기반 선주문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접수시킨 운영서버(400)는, 상기 매장단말(110)로 접수된 선주문에 대응하는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로부터 선주문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장치(2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의 구성 값)을 수신 대기한다(1100).Referring to FIG. 11, an operation server 400 that receives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vehicle movement-based pre-order letter with a store terminal 110 of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a pre-order message based on a vehicle movement, Receiv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ack box device 200 provided in the vehicle where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pre-order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pre-order received by the terminal 110 receives and recognizes (Or a configuration value of code information) (1100).

한편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는 지정된 규격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대기하며(1105), 만약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근거리에서 송출된 일정 신호강도(또는 신호세기) 이상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다(1110). Meanwhile, the off-line signal receiver 100 waits for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of a specified standard (1105), and if it can receive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Signal strength)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1110).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수신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한다(1115). 만약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유효한 코드정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정보들을 폐기하고(1130), 근거리로부터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105).The signal receiver 100 receiving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reads the received unidirectional radio signal and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1115). If valid code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from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he signal receiver 100 discards the recognized information through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1130) and repeats the process of waiting for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from a nearby location (1105).

한편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로부터 유효한 코드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내장된 각종 정보셋트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1120). 만약 상기 코드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정보들을 폐기하고(1130), 근거리로부터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1105). 한편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의 유효성을 지정된 운영서버(400)에서 인증하는 경우 상기 신호수신기(100)에서 상기 코드정보를 인증하는 과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eanwhile, when valid code information is recognized from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the signal receiver 100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using various information sets and algorithms built in (1120). If the validity of the code information is not authenticated, the signal receiver 100 discards th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1130) and repeats the process of waiting for a unidirectional radio signal from a nearby location 1105). Meanwhile, when the validity of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by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400, the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code information by the signal receiver 100 may be at least partially omit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정보가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되면, 상기 신호수신기(100)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을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125).Meanwhile, whe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unidirectional radio signal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after being recognized), the signal receiver 10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de A configuration value that configures the information) (1125).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는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로부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을 수신 대기하는 중에,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로부터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신호수신기(100)를 통해 인식(또는 인식 후 인증)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를 확인한다(1135). 한편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았거나 또는 운영서버(400)에서 인증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1140). 만약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신호수신기(100)로부터 수신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를 폐기한다(1165).Meanwhile, while the operating server 400 waits for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eorder, the signal receiver 100 (Or a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code information) recognized (or recognized and authenticated)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00 via the designated path from the control unit 100,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0.0 > 1135). ≪ / RTI >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is not authenticated or is set to be authenticated by the operation server 400,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A configuration value that configures the information). If the validity of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is not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1165).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기(100)로부터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와 매칭되는 특정 선주문을 확인한다(1145). 만약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와 매칭되는 특정 선주문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신호수신기(100)로부터 수신된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를 폐기한다(1165).Meanwhile, the operation server 400 confirms (1145) a specific pre-order which is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of the specific offline store and / or matched with the authenticated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stituting the code information) . If the specific pre-order matching with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stituent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the operating server 40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100 Value) is discarded (1165).

한편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와 매칭되는 특정 선주문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와 매칭되는 특정 선주문에 대한 '차량 도착' 알림을 생성하고(1150), 상기 코드정보(또는 코드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값)와 매칭되는 특정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110)로 상기 특정 선주문에 대한 '차량 도착' 알림을 제공하며(1155), 상기 매장단말(110)은 상기 특정 선주문에 대한 '차량 도착'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며(1160),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점주(또는 직원)은 상기 매장단말(110)에 출력된 '차량 도착' 알림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선주문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On the other hand, if a specific pre-order matching with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pre-order is matched with the code information The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is generated 1150 and the store terminal 110 of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e-order matching with the code information (or the configuration value configuring the code information) The store terminal 110 receives the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for the specific pre-order message 1160 and outputs it to the store terminal 110 (step 1160) The user can receive a product that he / she has pre-ordered based on the 'vehicle arrival' notification.

100 : 신호수신기 110 : 매장단말
200 : 블랙박스장치 230 : 칩모듈
300 : 사용자 무선단말 330 : 프로그램
335 : 장치 식별부 340 : 장치 연결부
345 : 장치 통신부 350 : 신호 관리부
355 : 신호 인식부 360 : 신호 분석부
365 : 정보 등록부 370 : 선주문 처리부
375 : 결제 처리부 380 : 선주문 판독부
385 : 수령 처리부 400 : 운영서버
405 : 장치 등록부 410 : 등록 처리부
415 : 선주문 절차부 420 : 결제 절차부
425 : 선주문 판별부 430 : 수령 절차부
100: signal receiver 110: store terminal
200: Black box device 230: Chip module
300: User wireless terminal 330:
335: device identification unit 340: device connection unit
345: Device communication unit 350: Signal management unit
355: signal recognition unit 360: signal analysis unit
365: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70: pre-order processing unit
375: payment processor 380: pre-
385: Reception processing unit 400: Operation server
405: Device registration unit 410: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415: Pre-ordering procedure part 420: Payment procedure part
425: Pre-order discrimination unit 430: Reception procedure unit

Claims (23)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가 지정된 서버를 통해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제2 단계;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선주문의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선주문을 처리하는 서버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인지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인지한 경우,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A method executed via a program driven by a user wireless terminal,
A first step of registering unique information of a black box device mounted on a vehicle operated by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in a designated server;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the merchandise in the off-line store, confirms that the black box device is pre-ordered in the vehicle having the black box device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server,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device;
A third step of recognizing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ing to a server that processes the pre-order in cooperation with the pre-order proced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in the vehicle;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pre-order article receipt procedure based on a vehicle movement based on approaching a store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in cooperation with the server when the server recognizes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pre-order request from a mobil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통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될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unique code to be included in a wireless signal to be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to a designated short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black box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registering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and authenticating a user wireless terminal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to a designated server,
And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차량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로 제공되어 주문서(또는 영수증)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gistering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perated by the user with the designated server,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and printed on a purchase order (or receip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문 값을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주문 값을 근거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는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an order interface for pre-ordering the products of the off-line store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the products of the offline store;
Receiving or selecting one or more order values for pre-ordering the products of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order interface; And
And generating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the merchandise of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input or selected order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주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order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the goods of the offline store, Based wireless pre-order delivery method.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상기 주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rein the ord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주문정보의 주문금액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제용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결제용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a payment interface for payment of a payment amount corresponding to an order amount of order information for pre-ordering a product of the off-line store at the time of pre-ordering the goods in the offline store at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putting or selecting one or more payment information for payment of the payment amount based on the payment interfac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processing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amount based on the input or selected settlement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 시, 상기 서버로 상기 결제 처리된 주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payment processing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at the time of payment processing of the payment amou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지정된 서버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등록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onfirming the in-vehicle pre-order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서버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등록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자동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설정을 근거로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firming whether the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is moving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server,
Wherein the second step includes confirming the pre-order in the vehicle based on the setting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in mo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 또는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an interface for confirming or selecting during pre-ordering,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movement at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And confirm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re-order or in a vehicle based on a user operation through the interface.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가 등록 저장됨을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가 등록 관리되고 있음을 근거로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매장에 접근함에 따른 차량 이동 기반의 선주문 상품 수령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A method executed via a server communicating with a user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rom a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unique information of a black box device mounted on a vehicle operated by the user and storing the unique information in a storage medium, or confirming that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step;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the merchandise in the off-line store, confirms that it is the in-vehicle pre-order with the black box device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storage medium,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a box device;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ceiving a pre-order article on the basis of a vehicle movement by accessing a store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in cooperation with a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re-order or the vehicle is moving in the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pre-order request from a mobile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통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로 단방향 송출될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unique code to be included in a wireless signal to be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to a designated short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black box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registering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and authenticating a user wireless terminal that has executed the program on a storage medium,
And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로 제공되어 주문서(또는 영수증)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registering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operated by the user on a storage medium,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and printed on a purchase order (or receip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주문 값을 근거로 생성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order value inputted or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the goods in the off-line store, A method of providing a wireless pre - order based on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a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order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from a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a merchandise in an off-line store. A method of providing a wireless pre - order based on vehicle movemen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한 선주문을 위해 생성 또는 추출된 주문정보의 결제를 처리한 결제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a settlement result of processing settlement of order information created or extracted for a pre-order through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pre-orders the merchandise of the off-line store A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pre - order based on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a black box device.
제 17항 또는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단말로 상기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7, 18 or 1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information to a store terminal of the off-line stor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코드를 등록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step of confirming the inherent code of the black box device in the in-vehicle pre-order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when the inherent code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장치의 고유코드를 등록된 경우에 차량 내 선주문 또는 차량 이동 중을 자동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설정을 근거로 차량 내 선주문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 이동 중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firming whether the in-vehicle pre-order or vehicle is moving when a unique code of the black box device is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Wherein the second step includes confirming the pre-order in the vehicle based on the setting o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in mo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 내 선주문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블랙박스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통해 이동 중임을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Confirming that the black box device is pre-ordered in the vehicle or receiving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gra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confirm that the black box device is in motion through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black box device. A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pre - order based on vehicle movement associated with a black box device.
KR1020160154513A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KR20180056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513A KR20180056514A (en)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513A KR20180056514A (en)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514A true KR20180056514A (en) 2018-05-29

Family

ID=6245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513A KR20180056514A (en) 2016-11-18 2016-11-18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5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4697A1 (en) * 2020-02-21 2021-08-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hicle black box, vehicle as well as method of gathering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4697A1 (en) * 2020-02-21 2021-08-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hicle black box, vehicle as well as method of gatherin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831B2 (en) Connected toll pass
KR20030020444A (en) Payment authorisation through beacons
KR20180012370A (en) Method for Sorting Order for an Effective Response of Preordering
KR20180056498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20180056514A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Black Box Device
KR20180056515A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linked Car Navigation
KR20180056519A (en) Method for Providing Phased Notification for an Effective Response of Preordering linked Car Navigation
KR20180009444A (en) Method for Providing the Remaining Time before Arrival Notification for an Effective Response of Preordering
KR20180009025A (en) Method for Providing Phased Notification for an Effective Response of Preordering
KR20180110301A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KR20180110300A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KR20180056517A (en) Method for Providing Phased Notification for an Effective Response of Preordering linked Black Box Device
KR20180007392A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eordering based on Vehicle Movement
KR20170121004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20180012366A (en) Method for Providing the Remaining Time before Arrival Notification of Respective Preordering for an Effective Response of Preordering
KR20160059588A (en) Method for Operating Prepaid Coupon of Offline Store by using Bluetooth
KR20180056504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Black Box Device
KR20180056502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100978936B1 (en) A railroad passenger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ing mobile terminal
KR20170121000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20170121001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20170134911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Signal Device for Car
KR20180056501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20180056496A (en) Method for Receiving Preorder Goods by using a Car Navigation
KR20180056503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