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494A -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494A
KR20180056494A KR1020160154402A KR20160154402A KR20180056494A KR 20180056494 A KR20180056494 A KR 20180056494A KR 1020160154402 A KR1020160154402 A KR 1020160154402A KR 20160154402 A KR20160154402 A KR 20160154402A KR 20180056494 A KR20180056494 A KR 2018005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thentication
data
code
c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6015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494A/ko
Publication of KR2018005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근거리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지정된 제1단말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상기 제1단말을 통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제1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N(N≥1)개의 제2단말로부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에 접근한 제2단말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을 인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는 임의의 순서로 수신되어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Method for Providing Two Channel Certification by using a Car Navigation}
본 발명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제1단말을 자동 식별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N(N≥1)개의 제2단말 중 상기 제1단말에서 인식한 단방향 무선신호와 동일한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을 식별하여 인증하는 것이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각 단말이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했는지 인증하는 방법은, 크게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각 단말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및 각 단말에 구비된 통신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위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각 단말이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했는지 인증하는 방법은,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의 소지가 있고, 불특정한 대상을 제공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각 단말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두 개의 각 단말이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했는지 인증하는 방법은, 각 단말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값을 분석하여 접촉한 두개의 단말을 식별하는 기술(예컨대, 하커(Hoccer)와 프리즈베(Phrizbe)와 같은 범프 액션 인식 앱 등)로서, 기본적으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의 소지가 존재하고, 각각의 단말을 동시에 지정된 방식으로 움직이는 행위를 하여 이를 센싱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각 단말에 구비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두 개의 각 단말이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했는지 인증하는 방법은, 예컨대 각 단말에 구비된 NFC 기능을 활성화하되 일 측은 리더 기능을 활성화하고 다른 일 측은 태그 기능을 활성화여 접촉하는 기술로서, 복잡한 절차를 거쳐 통신 기능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를 지정된 어느 하나의 유일한 제1단말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하도록 설정한 후,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제1단말을 자동 식별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N(N≥1)개의 제2단말 중 상기 제1단말에서 인식한 단방향 무선신호와 동일한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을 자동 식별하여 인증함으로써,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한 두 개의 단말을 자동 식별하여 인증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근거리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지정된 제1단말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상기 제1단말을 통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제1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N(N≥1)개의 제2단말로부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에 접근한 제2단말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을 인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는 임의의 순서로 수신되어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어느 하나의 유일한 제1단말을 식별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적어도 제1단말 측 회로구성과 독립된 회로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페어링(Pairing)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커플링(Coupling)된 제1단말과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항법장치로부터 근거리로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제1단말로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제2단말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생성된 키값을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암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된 키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생성된 키값을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암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된 키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공개키기반구조에 대응하는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키값은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와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에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된 코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데이터를 검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1단말에 고유 설정된 제1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는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폐기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단말에 고유 설정된 제2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폐기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인식할 때마다 상기 제2단말로부터 반복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제2측 코드데이터의 변경된 값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2단말로부터 반복 또는 추가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수신세기가 지정된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증폭량 이상으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감소량 이하로 감소하여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은, 상기 제1단말에 접근한 제2단말을 인증한 결과 또는 상기 제2단말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을 인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완료 전에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추가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단말과 제2단말이 접근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가 완료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여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한 두 개의 단말을 자동 식별하여 인증함으로써, 사생활 침해 소지를 차단하고 각 단말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대면 가능한 정도로 접근한 두 개의 단말을 자동 식별 인증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항법장치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두 개의 단말이 대면 가능한 상태임을 인증하는 거리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제1단말과 제2단말을 자동 식별 인증하는 구성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항법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2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증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항법장치의 초기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단말과 차량항법장치를 인증장치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단말을 인증장치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단말에서 차량항법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단말에서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로 전송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단말에서 차량항법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단말에서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로 전송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제1단말과 제2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량항법장치(200)를 이용하여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을 자동 식별 인증하는 구성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제1단말(300)을 자동 식별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N(N≥1)개의 제2단말(400) 중 상기 제1단말(300)에서 인식한 단방향 무선신호와 동일한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400)을 식별하여 인증하는 개념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항법장치(200)를 통해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을 자동 식별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200)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하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설정된 어느 하나의 유일한 제1단말(300)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 불가하지만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N(N≥1)개의 제2단말(400)과, 상기 제1단말(300) 내지 제2단말(400)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제1단말(300)을 자동 식별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N개의 제2단말(400) 중 상기 제1단말(300)에서 인식한 단방향 무선신호와 동일한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400)을 식별하여 인증하는 인증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동등한 구성이지만 상기 제1단말(300)과 관련된 구성과 제2단말(400)과 관련된 구성을 식별하여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제1단말(300)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제1측’이라는 접두어를 명명하고, 상기 제2단말(400)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제2측’이라는 접두어를 명명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근거리에서 양방향 데이터 통신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근거리로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상호 식별된 어느 하나의 유일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하도록 설정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1단말(300)이 양방향 근거리 통신 가능한 장치는 복수라고 하더라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유일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하나의 커플을 이룬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3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구현되거나, 설령 상기 차량항법장치(200)가 제1단말(300)의 하우징 내에 구현되더라도 상기 제1단말(300) 측 회로구성과 독립된 회로구성을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편의상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페어링(Pairing) 기반으로 근거리에서 양방향으로 무선 통신하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제1단말(300)과 페어링 기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는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예컨대, 규격 상의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감소량 이하로 감소하거나 또는 반대로 지정된 증폭량 이상 증폭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페어링 기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의 지정된 신호세기의 무선 주파수 도달범위가 30m 내지 100m라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무선 주파수 도달범위를 1m 내지 2m 내외로 제어하기 위한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호세기 제어는 미리 계산된 설계 상의 신호세기로 차량항법장치(200)에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단말(300)과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300)을 통한 제어데이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커플링(Coupling)된 제1단말(300)과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서버(예컨대, 인증장치(500) 가능)에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매핑 관계를 형성하는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상기 제1단말(300)에서 상기 서버를 통한 인증을 거친 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상기 제1단말(300)을 식별 인증하는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제1단말(300)을 식별 인증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단말(300)에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식별 인증하는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상기 제1단말(3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식별 인증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단말(300)과 차량항법장치(200)에 상대방을 식별 인증하는 정보를 각기 저장한 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상기 제1단말(3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제1단말(300)을 식별 인증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커플링을 위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무선 주파수 신호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은 케이블을 연결하여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제1 내지 제3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사이의 종단 간 암복호화 기반 보안 통신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을 통신노드처럼 이용하는 차량항법장치(200)와 인증장치(500) 사이의 종단 간 암복호화 기반 보안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제1단말(300)과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이외에 근거리로 지정된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다.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로부터 근거리로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별도의 페어링 없이 방송되는 블루투스 4.0 이후의 비콘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가 블루투스 기반 비콘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단말(300) 내지 N개의 제2단말(400)에서 동시에 수신하여 동시에 인식 가능한 방송신호라면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해당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예컨대, 규격에 정의된 특정 모드의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증폭량 이상으로 증폭하여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가 차량 내 장치와 연동장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을 구성하는 차체의 금속재질 내지 유리창에 부착된 필름재질 등에 의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난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증폭함으로써, 상기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예컨대, 차량 외부 30m 등)까지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증폭하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만약 배터리 등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증폭하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대한 입력 조작 또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제1단말(300)을 통해 입력 조작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감소량 이하로 감소하여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단말(300)의 사용자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휴대하는 형태(예컨대, 카드 형태, 손목 시계 형태, 휴대물품 형태 등)로 구현되고 상기 제1단말(300)과 차량항법장치(200)의 커플과 제2단말(400) 간 거리가 1m 내지 2m 이내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인증을 수행하게 하려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1m(최대 2m)까지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지정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리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코드데이터는 고유한 값을 지닌 고유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예컨대, 해시알고리즘 등)에 지정된 씨드값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씨드를 대입하여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예컨대, 차량항법장치(200)에 설정된 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는 상기 고유코드 이외에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알고리즘이 저장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씨드값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씨드값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값(예컨대, 시간 또는 챌린지 등)을 상기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일회용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지정된 제1단말(300)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설정한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라 차량항법장치(20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 대신에 상기 제1단말(300)에서 설정한 고유코드가 상기 코드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함께 상기 제1단말(300)에서 설정한 고유코드가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지정된 제1단말(300)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단말(300)에서 차량항법장치(200)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는 상기 제1단말(30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 상기 제1단말(300)과 통신하는 인증장치(500)(또는 별도의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지정된 제1단말(300)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설정한 고유코드와 상기 제1단말(300)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코드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 내지 제5 코드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6 코드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코드데이터(예컨대, 고유코드와 일회용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는 미리 지정된 장치(예컨대, 인증장치(500), 제1단말(300), N개의 제2단말(400) 중 특정된 제2단말(400))을 통해서만 복호화되도록 암호화된 후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코드데이터의 암호화를 위해 지정된 키값을 생성하여 지정된 대상과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키값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의 암복호화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에 따라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고,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생성된 키값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을 상기 제1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키값을 상기 제1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키로 이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인증장치(500)(또는 키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키로 이용되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공개키기반구조의 키 생성알고리즘(예컨대,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알고리즘 또는 RSA 알고리즘 등)에 따라 개인키와 공개키의 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키 쌍 중 공개키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공개키를 제1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키로 이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인증장치(500)(또는 키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키로 이용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공개키기반구조의 키 쌍을 생성하는 경우, 저속의 프로세서를 통해서도 암복화 가능한 ECC 알고리즘 기반의 키 쌍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대칭키방식의 키값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암복호화에 이용될 키값을 차량항법장치(200) 내부에서 생성하므로, 적어도 차량항법장치(200)의 암호화에 이용되는 키값이 노출되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단말 중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4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소유(또는 휴대 가능)한 무선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단말(300)과 차량항법장치(200)의 커플은 함께 이동하여 제2단말(400)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말(300)이 무선단말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사용하는 유선단말(예컨대, 개인컴퓨터 등)이나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예컨대, CAT, POS,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단말(400)이 이동하여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말의 형태로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며 지정된 인증장치(500)와 지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프로그램(325)을 설치 구동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325)은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단말(30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제1단말(300)에 설치 구동된 프로그램(325)을 통해 구현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제1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코드)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칭되는지 판별함으로써, 상기 코드데이터가 매칭된 경우에 상기 매칭된 코드데이터를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코드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값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검증값을 통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코드데이터가 검증된 경우에 상기 검증된 코드데이터를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300)에 고유 설정된 제1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는 인증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된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유효시간(예컨대, 5초, 10초 등) 동안 유지하며,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자동으로 폐기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은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가 상기 인증장치(500)에 유지되고 있는 유효시간 동안 유효하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를 반복 획득하여 상기 인증장치(500)로 반복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일회용 인증코드 등)가 변경되는지 확인하여 변경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단말의 총칭으로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지 않는다.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소유(또는 휴대 가능)한 무선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단말(400)은 이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말(400)이 무선단말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사용하는 유선단말(예컨대, 개인컴퓨터 등)이나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예컨대, CAT, POS,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이 이동하여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말의 형태로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며 지정된 인증장치(500)와 지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프로그램(425)을 설치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단말(40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제2단말(400)에 설치 구동된 프로그램(425)을 통해 구현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이 이동하여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단말(400)이 이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제2단말(4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말(400)에 고유 설정된 제2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는 인증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된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유효시간(예컨대, 5초, 10초 등) 동안 유지하며,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자동으로 폐기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가 상기 인증장치(500)에 유지되고 있는 유효시간 동안 유효하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단말(400)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반복 획득하여 상기 인증장치(500)로 반복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일회용 인증코드 등)가 변경되는지 확인하여 변경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 내지 제2단말(400)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단말(300)에서 획득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단말(400)에서 획득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는 순서와 무관하게 임의로 수신되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를 각각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항법장치(200)를 통해 암호화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지정된 복호화 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복호화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데이터에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절차를 상기 인증장치(500)를 수행되거나,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데이터에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각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다. 예를들어, 제1단말(300)로부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유효시간 내에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간 전 내지 후에 제2단말(400)로부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 중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유효시간 내에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간 전 내지 후에 제1단말(300)로부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 중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제1단말(300)은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어느 한 단말로 한정되지만, 제2단말(400)은 복수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제2단말(400) 중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기 위해 차량항법장치(200)를 통해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제2단말(400)이 특정되게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제2단말(400)에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판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인증장치(5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판독하여 가장 큰 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전송한 하나의 제2단말(400)이 특정되게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400) 중 인증 대상에 포함될 제2단말(400)에서 지정된 입력 조작을 거치게 한 후 상기 제2 인증데이터에 상기 입력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인증장치(500)에서 지정된 입력 조작을 거친 하나의 제2단말(400)이 특정되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특정된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의 접근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로 각기 전송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항법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차량항법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차량항법장치(20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하며, 이를 위해 칩모듈(230)을 내장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항법장치(200)가 칩모듈(230)을 내장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인증을 위해 차량항법장치(200)에 구현되는 기능 구성을 상기 칩모듈(230)을 통해 구현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는 상기 칩모듈(230) 외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205), 상기 공급된 외부의 전원을 지정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210), 상기 차량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215), 차량항법 기능을 구현하는 차량항법 기능부(220)와, 상기 칩모듈(230)의 입력 조작을 위한 조작부(225),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 중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위한 커넥터부(도시생략)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전원 공급부(205)는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 변환부(210)는 상기 차량 전원을 상기 차량항법 기능부(220)의 동작 전원 및/또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며, 상기 전원 충전부(215)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및/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차량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칩모듈(230)이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차량 차체의 금속재질 또는 창문의 유리재질(특히 자외선차단 필름을 장착한 유리재질)에 의한 신호 방해를 극복하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항법 기능부(220)는 차량항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차량항법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위치 측위를 위한 GPS칩과 지리정보를 구비하고 지리정보 상에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HW/SW적 구성부들의 집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항법 기능부(220)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거나,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되는 전원 또는 전원 충전부(215)를 통해 충전된 전원 중 하나 이상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 커넥터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케이블 연결된 제1단말(300)과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조작부(225)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처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송출하도록 'On'하는 입력 조작을 입력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일정 시간 동안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한 후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송출을 자동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225)는 상기 칩모듈(230)의 각종 동작을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의 동작을 조작(또는 토글)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가 단방향 무선신호의 송출을 ‘On’하는 입력 조작을 처리한 경우 다음 조작(또는 토글)에 의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송출을 ‘Off’하는 입력 조작을 처리할 때까지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225)는 소정의 입력값을 입력 조작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는 상기 칩모듈(230)의 설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225)는 미리 지정된 조작 패턴의 입력 조작을 통해 상기 칩모듈(230)의 각종 동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으로 입력하는 시간입력패턴,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을 동시 조작하는 동시조작패턴, 기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조작하는 시간차조작패턴 등의 다양한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각종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5)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5)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240)와, 상기 RF 처리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케이블 처리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칩모듈(23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245), 메모리부(235) 및 RF 처리부(240) 등은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항법장치(200) 내에 칩모듈(230)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어부(245)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4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칩모듈(23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24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의 제어부(24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지정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예컨대,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칩모듈(230)의 제어부(24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차량 외부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정의 신호송출기로부터 송출된 지정된(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수신되어 유효 인식되는지 확인하여 그러한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예컨대,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의 제어부(245)는 상기 차량항법 기능부(220)와 연동하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예컨대,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245)는 상기 차량항법 기능부(220)를 통해 특정한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위치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45)는 상기 차량항법 기능부(220)의 특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신호값이 지정된 임계값 범위 내이거나 또는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35)는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4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35)는 기본적으로 상기 칩모듈(23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3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의 제작 시(또는 최초 동작 시, 또는 상기 메모리부(235)에 고유코드 저장 전 동작 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대한 고유코드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RF 처리부(240)는 안테나부를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RF 통신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식별하거나 페어링 하지 않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RF 처리부(240)는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의 비콘신호 등)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은 페어링/커플링 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RF 처리부(240)는 상기 제1단말(300)과 RF 통신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변조/복조 등)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칩모듈(230)에 케이블 처리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케이블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케이블 연결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케이블 통신은 소정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패킷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처리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제1단말(300)로 하여금 상기 칩모듈(230)을 검출하고 케이블 통신을 준비하게 하는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처리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케이블 처리부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 기능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양방향 케이블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양방향 케이블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부에 제1단말(300)이 연결되더라도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제1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 식별부(250)와, 상기 식별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부(2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 연결부(255)는 상기 칩모듈(230)에 케이블 처리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케이블 처리부를 통해 케이블 연결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식별부(250)는 상기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제1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제1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조작부(225)를 통한 특정한 입력 조작 시), 상기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근거리의 단말 중에서 RF 통신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제1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되는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자가 소유(또는 소지, 또는 구비)한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RF 처리부(240)가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식별부(250)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소유한 자가 소유(또는 소지, 또는 구비)한 제1단말(300)과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제1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식별부(250)는 상기 제1단말(300)을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23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통신 연결부(255)는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연결부(255)는 케이블 처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단말(300)을 확인하고,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 연결부(255)는 상기 커넥터부와 케이블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제1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신 연결부(255)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1단말(300)과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식별부(250)는 상기 식별된 제1단말(300)(또는 케이블 연결된 제1단말(300))과 지정된 정보 교환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제1단말(300)을 인증하기 위한 통신인증정보(예컨대, 통신 대상의 장치일련번호, 지정된 키 교환 절차에 따라 교환되는 식별키 값 등)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23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가능하며(도시생략), 이 경우 상기 통신 연결부(255)는 상기 통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제1단말(300)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에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인증하기 위한 통신인증정보를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통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인증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통신 연결부(255)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260)를 구비하고,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을 통해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고,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생성된 키값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을 상기 제1단말(300)로 제공하는 키 처리부(265)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60)는 상기 통신 연결부(255)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제1단말(300)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키 처리부(265)는 상기 메모리부(23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암복호화를 위한 키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암복호화를 위한 키값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키 처리부(265)는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을 통해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지정된 제1단말(300)로부터 암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정보가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조작부(225)를 통한 입력 조작을 통해 암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생성하도록 요청된 경우, 상기 키 처리부(265)는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을 통해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 처리부(265)는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에 따라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키값을 상기 메모리부(23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되,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생성된 키값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을 상기 제1단말(300)로 제공한다. 예를들어, 상기 키 처리부(265)는 공개키기반구조의 키 생성알고리즘(예컨대,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알고리즘 또는 RSA 알고리즘 등)에 따라 개인키와 공개키의 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키(공개키 더 포함 가능)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생성된 키 쌍 중 공개키를 제1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처리부(265)가 공개키기반구조의 키 쌍을 생성하는 경우, 저속의 프로세서를 통해서도 암복화 가능한 ECC 알고리즘 기반의 키 쌍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키 처리부(265)는 대칭키방식의 키값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데이터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270)와,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285)를 구비하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될 코드데이터 중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75)를 구비하거나, 상기 키 처리부(265)를 통해 생성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할 지정된 코드 구조의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한다. 만약 상기 칩모듈(230)이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신호 증폭과 관련된 제어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조작부(225)를 통해 입력 조작에 의해 신호 증폭이 요청된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예컨대, 규격에 정의된 특정 모드의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증폭량 이상으로 증폭하여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감소량 이하로 감소하여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 처리부(265)를 암복호화에 이용될 키값이 생성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암호 처리부(280)는 상기 코드 확인부(270)를 통해 확인되는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하며, 이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예컨대, 차량항법장치(200)에 설정된 ID 등)를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씨드 값),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예컨대, 상기 전원 충전부(215)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제1단말(300)과 시간 동기화 후 상기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등),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 난수 값, 제1단말(300)의 기기ID 값, 제1단말(300)이 지정된 서버(또는 인증장치(5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를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난수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26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지정된 제1단말(300)로부터 소정의 고유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사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 대신에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고유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26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지정된 제1단말(30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일회용 인증코드는 상기 제1단말(30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 상기 제1단말(300)과 통신하는 인증장치(500)(또는 별도의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26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지정된 제1단말(300)로부터 소정의 고유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일회용 인증코드는 상기 제1단말(30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 상기 제1단말(300)과 통신하는 인증장치(500)(또는 별도의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제1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고유코드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5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코드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280)는 상기 키 처리부(265)를 통해 생성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키값(예컨대, ECC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된 개인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코드 확인부(270)를 통해 확인되는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85)는 상기 RF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세기로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데이터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27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제1단말(300)로 전송하는 코드 전송부(295)를 구비하며, 상기 키 처리부(265)를 통해 생성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280)를 구비하거나,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지정된 제1단말(300)로부터 코드데이터 요청을 확인하는 요청 확인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할 지정된 코드 구조의 코드데이터를 확인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암호 처리부(280)는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부(255)를 통해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코드 전송부(295)는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확인된(또는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를 상기 제1단말(300)로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된 코드데이터는 상기 신호 송출부(285)를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되어 송출됨과 동시에, 상기 코드 전송부(295)를 통해 제1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한 코드데이터의 전송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제1단말(300)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데이터를 요청하는 코드요청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코드데이터를 상기 제1단말(300)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요청 확인부(29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코드데이터를 요청하는 코드요청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코드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코드 전송부(295)는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확인된(또는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를 상기 제1단말(3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전송부(295)는 상기 코드 확인부(270)를 통해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값(예컨대, 상기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해시한 해시값, 또는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값 등)을 생성/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 상기 생성/확인된 검증값을 전송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제1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단말(3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3의 제1단말(300)은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단말(300)이 본 도면3에 도시된 무선단말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은, 제어부(302)와 메모리부(320)와 화면 출력부(304)와 입력 처리부(306)와 사운드 처리부(316)와 케이블 통신부(3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근거리망 통신부(312)와 무선망 통신부(314)와 USIM 리더부(318)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제1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1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 구성을 본 제어부(3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상기 제1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제1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3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 처리부(306)는 하나 이상의 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316)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부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고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의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상기 블루투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하다면 어떤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제1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제1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제1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제1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USIM 리더부(318)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18)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325)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프로그램(325)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지정된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칩모듈 식별부(33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식별된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칩모듈 연결부(33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칩모듈(230)에서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제1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칩모듈(230)에 제1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조작부(225)를 통한 입력 조작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장치 중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가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 가능하다.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케이블이 연결되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식별된 차량항법장치(200)(또는 케이블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지정된 정보 교환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인증하기 위한 통신인증정보(예컨대, 칩모듈(230)의 일련번호, 지정된 키 교환 절차에 따라 교환되는 식별키 값 등)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가능하며(도시생략), 이 경우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통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인증하기 위한 통신인증정보를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통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는 제1단말(300)을 인증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칩모듈 통신부(340)를 구비하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관리하는 칩모듈 관리부(345)를 구비한다.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를 통해 통신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제어정보나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각종 상태정보(예컨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과 관련된 상태정보 등)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선택적으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 가능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로부터 상기 칩모듈(230)을 통해 생성된 키값을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인증장치(500)(또는 키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키 등록부(35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에 따라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한 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생성된 키값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을 제공하면, 상기 키 등록부(350)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키 등록부(35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키값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암호화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 등록부(35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인증장치(500)(또는 키 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장치(5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통해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로 이용되게 처리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355)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인식부(35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를 통해 수신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예컨대,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되는 코드데이터를 검증값을 수신하는 코드 수신부(36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코드 수신부(360)를 통해 수신된 코드데이터(또는 검증값)을 통해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 데이터를 검증하는 코드 검증부(3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상기 코드데이터를 인식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일 시점에, 상기 코드 수신부(360)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와 동일한 코드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수신부(360)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전송한 코드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수신부(360)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코드데이터를 요청하는 코드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코드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 수신부(360)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값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한 코드데이터가 인식되고, 상기 코드 수신부(360)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코드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코드 검증부(365)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코드데이터와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코드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데이터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코드 검증부(365)는 상기 키 등록부(350)를 통해 저장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한 코드데이터가 인식되고, 상기 코드 수신부(360)를 통해 상기 코드데이터의 검증값이 수신된 경우, 상기 코드 검증부(365)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검증값을 통해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 상기 코드 수신부(360)를 통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수신된 코드데이터, 상기 코드 검증부(365)를 통해 검증된 코드데이터 중 어느 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370)와, 상기 생성된 제1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375)를 구비하며, 상기 인증장치(500)로부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결과정보 처리부(3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370)는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370)는 상기 코드 수신부(360)를 통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수신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370)는 상기 코드 검증부(365)를 통해 검증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생성부(370)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1단말(300)에 고유 설정된 제1측 고유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며, 이 때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증하는 인증수단(또는 인증정보)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1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을 물리적으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25)이 설치되기 전부터 상기 제1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메모리영역, 보호저장영역 등)에 고유하게 저장된 단말일련번호, 전화번호, IMEI, IMSI, MSISDN, USIM일련번호, MAC주소, 각종 구성모듈 일련번호 등의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을 통신망 상에서 논리적으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IP주소, 가입자번호, 망식별정보 등의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25)이 다운로드 설치된 이후에 상기 프로그램(325)이 구동된 상태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에 상기 프로그램(325)이 설치된 후에 상기 프로그램(325)이 관여하여 생성된 토큰정보, 고유 식별 코드값, UUID, UDID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1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암호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에서 상기 프로그램(325)이 생성하는 검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300)에서 구동된 프로그램(325) 자신(또는 지정된 데이터 또는 지정된 파일 등)을 지정된 해시하여 생성한 검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증정보는 미리 생성되어 제1단말(300)에 저장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기 프로그램(325)이 상기 고유데이터를 인증장치(500)로 전송하는 시점에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고유데이터는 어떠한 형태로든 상기 제1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375)는 상기 생성된 제1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전송부(375)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370)를 통해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가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인증장치(500)로 상기 생성된 제1측 인증데이터를 자동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제1단말(300)에 대한 지정된 입력 조작의 결과로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인식부(35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할 때마다 상기 코드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부(375)는 상기 신호 인식부(355)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지정된 횟수 이상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수신부(36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으로부터 상기 코드데이터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수신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부(375)는 상기 코드 수신부(360)를 통해 수신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지정된 횟수 이상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신호 인식부(35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수신하여 인식하되, 이전에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임시 저장 유지한 후 다음에 인식된 코드데이터의 일회용 인증코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여 변경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변경된 코드데이터를 유효 인식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부(375)는 상기 변경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수신부(36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으로부터 상기 코드데이터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수신하되, 이전에 수신된 코드데이터를 임시 저장 유지한 후 다음에 수신된 코드데이터의 일회용 인증코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여 변경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변경된 코드데이터를 유효 수신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부(375)는 상기 변경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저장하여 유지한다. 만약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400)로부터 소정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후, 그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제1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의 접근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별도의 결과정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결과정보 처리부(380)는 상기 인증장치(500)로부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2단말(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제2단말(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단말(4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4의 제2단말(400)은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단말(400)이 본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400)은, 제어부(402)와 메모리부(420)와 화면 출력부(404)와 입력 처리부(406)와 사운드 처리부(416)와 케이블 통신부(4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근거리망 통신부(412)와 무선망 통신부(414)와 USIM 리더부(418)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각 구성부에 상세한 설명은 도면3을 참조하기로 하며,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과 동일한 구성부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이 모두 가능하지만,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은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케이블 통신부(410)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프로그램(425)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프로그램(425)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400)의 프로그램(4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인식부(43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를 통해 수신된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예컨대,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인식부(43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신신호를 유효 인식하기 위한 기준세기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신호 인식부(43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를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수신세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세기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상기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유효 인식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400)의 프로그램(425)은, 상기 신호 인식부(430)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435)와, 상기 생성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440)를 구비하며, 상기 인증장치(500)로부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결과정보 처리부(4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435)는 상기 신호 인식부(430)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생성부(435)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2단말(400)에 고유 설정된 제2측 고유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을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며, 이 때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증하는 인증수단(또는 인증정보)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1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을 물리적으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에 상기 프로그램(425)이 설치되기 전부터 상기 제2단말(400)의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메모리영역, 보호저장영역 등)에 고유하게 저장된 단말일련번호, 전화번호, IMEI, IMSI, MSISDN, USIM일련번호, MAC주소, 각종 구성모듈 일련번호 등의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을 통신망 상에서 논리적으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IP주소, 가입자번호, 망식별정보 등의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에 상기 프로그램(425)이 다운로드 설치된 이후에 상기 프로그램(425)이 구동된 상태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에 상기 프로그램(425)이 설치된 후에 상기 프로그램(425)이 관여하여 생성된 토큰정보, 고유 식별 코드값, UUID, UDID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2단말(4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암호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에서 상기 프로그램(425)이 생성하는 검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400)에서 구동된 프로그램(425) 자신(또는 지정된 데이터 또는 지정된 파일 등)을 지정된 해시하여 생성한 검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증정보는 미리 생성되어 제2단말(400)에 저장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기 프로그램(425)이 상기 고유데이터를 인증장치(500)로 전송하는 시점에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데이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고유데이터는 어떠한 형태로든 상기 제2단말(400)을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생성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435)를 통해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가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인증장치(500)로 상기 생성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자동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제2단말(400)에 대한 지정된 입력 조작의 결과로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인식부(43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할 때마다 상기 코드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신호 인식부(430)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지정된 횟수 이상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신호 인식부(43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주기적/반복적으로 수신하여 인식하되, 이전에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임시 저장 유지한 후 다음에 인식된 코드데이터의 일회용 인증코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여 변경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변경된 코드데이터를 유효 인식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변경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저장하여 유지한다. 만약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1단말(300)로부터 소정의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후, 그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말(400)과 제2단말(400)의 접근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별도의 결과정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결과정보 처리부(445)는 상기 인증장치(500)로부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증장치(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제1단말(300)을 자동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단말(300)에서 인식한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동일한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400)을 식별하여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제1단말(300)을 인증하는 인증장치(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장치(5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인증장치(50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300) 내지 제2단말(400)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단말(300) 내지 제2단말(400)과 통신하는 로컬 장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인증장치(500)를 구현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200) 및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유일한 제1단말(300)의 커플을 등록 처리하는 제1측 등록부(505)를 구비한다.
제1단말(300)에 지정된 프로그램(325)이 설치 실행되면, 상기 제1단말(3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측 고유데이터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증이 제1단말(300)의 사용자도 식별 인증하는 경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제1단말(300)의 사용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단말(30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예컨대, 제1측 고유데이터와 사용자정보를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300)과 차량항법장치(200) 사이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양방향 근거리 통신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코드(예컨대, 차량항법장치(200)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 또는 제1단말(300)에서 차량항법장치(200)로 제공한 고유코드 등)를 확인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고유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예컨대, 씨드값 등)을 결정하여 상기 제1단말(3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단말(300)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 설정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1단말(300)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기 설정된 각종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고유코드 및/또는 상기 제1단말(300)의 제1측 고유데이터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 인증이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상기 코드인증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에 따라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고,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생성된 키값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예컨대, 공개키 등)을 상기 제1단말(300)로 제공한 경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키값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여 지정된 키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키값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고유코드 및/또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커플을 이루는 제1단말(300)의 고유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 또는 상기 제1측 등록부(505)는 상기 키값을 지정된 키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키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키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N(N≥1)개의 제2단말(400)을 등록 처리하는 제2측 등록부(510)를 구비한다.
제2단말(400)에 지정된 프로그램(425)이 설치 실행되면, 상기 제2단말(4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2측 고유데이터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제2측 등록부(510)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증이 제2단말(400)의 사용자도 식별 인증하는 경우,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제2단말(400)의 사용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측 등록부(510)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상기 제2단말(40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예컨대, 제2측 고유데이터와 사용자정보를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상기 제1단말(300)을 통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제1단말(300)을 통해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측 수신부(515)와,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식별 인증하는 제1측 인증부(520)를 더 구비한다.
제1단말(3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코드데이터 획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과 커플을 이루는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증장치(500)로 전송하며, 상기 제1측 수신부(515)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측 수신부(515)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를 유효시간 동안 저장하여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제1측 수신부(515)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며, 만약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자동으로 폐기하거나 또는 인증 절차에 이용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제1측 고유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측 인증부(52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고유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측 등록부(505)를 통해 등록된 제1측 고유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고유데이터를 식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제1측 인증부(520)는 상기 제1측 등록부(505)를 통해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정보 중에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고유데이터와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연계되어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된 키값에 대응하는 복호화키를 확인하고, 상기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한다.
한편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코드데이터(또는 복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측 인증부(520)는 상기 제1측 등록부(505)를 통해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정보 중에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고유데이터와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각종 정보(예컨대, 씨드값 등)를 이용하여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측 인증부(520)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알고리즘과 동일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 인증부(52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고유데이터와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각종 정보(예컨대, 씨드값 등)에 대응하는 씨드값을 확인하고, 동적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씨드값(예컨대, 시간 등)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씨드값들을 상기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 인증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측 인증부(520)는 상기 코드인증서버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한 후 상기 코드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코드데이터(또는 복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제2단말(400)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측 수신부(525)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식별 인증하는 제2측 인증부(5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이 이동하여 제2단말(400)에 접근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단말(400)이 이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에 접근하여 상기 제2단말(4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경우, 제2단말(4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2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증장치(500)로 전송하며, 상기 제2측 수신부(525)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측 수신부(525)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유효시간 동안 저장하여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제2측 수신부(525)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며, 만약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자동으로 폐기하거나 또는 인증 절차에 이용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제2측 고유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부(530)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고유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2측 등록부(510)를 통해 등록된 제2측 고유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고유데이터를 식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부(530)는 상기 제1측 등록부(505)를 통해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정보 중에서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연계되어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된 키값에 대응하는 복호화키를 확인하고, 상기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한다.
한편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코드데이터(또는 복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부(530)는 상기 제1측 등록부(505)를 통해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정보 중에서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각종 정보(예컨대, 씨드값 등)를 이용하여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측 인증부(530)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알고리즘과 동일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부(530)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각종 정보(예컨대, 씨드값 등)에 대응하는 씨드값을 확인하고, 동적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씨드값(예컨대, 시간 등)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씨드값들을 상기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 인증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부(530)는 상기 코드인증서버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한 후 상기 코드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코드데이터(또는 복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와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535)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로 제공하는 인증결과 처리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535)는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 중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다. 예를들어, 제1단말(300)로부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535)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유효시간 내에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간 전 내지 후에 제2단말(400)로부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 중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535)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유효시간 내에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간 전 내지 후에 제1단말(300)로부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 중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제1단말(300)은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어느 한 단말로 한정되지만, 제2단말(400)은 복수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제2단말(400) 중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기 위해 차량항법장치(200)를 통해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제2단말(400)이 특정되게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제2단말(400)에서 제2측 인증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에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판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인증 처리부(535)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판독하여 가장 큰 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전송한 하나의 제2단말(400)이 특정되게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400) 중 인증 대상에 포함될 제2단말(400)에서 지정된 입력 조작을 거치게 한 후 상기 제2 인증데이터에 상기 입력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인증장치(500)가 지정된 입력 조작을 거친 하나의 제2단말(400)이 특정되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처리부(535)는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특정된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40)는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의 접근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로 각기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한 결과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지정된 서비스(예컨대, 결제, 포인트 적립, 쿠폰 제공 등)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40)는 상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 중 서비스를 제공할 단말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비스정보는 상기 결과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40)는 별도의 서비스제공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 중 서비스를 제공할 단말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단말로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한 결과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535)는 상기 서비스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각 제1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제2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하지 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각 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서비스가 최종 완료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한 결과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535)는 상기 제2측 수신부(525)를 통해 반복/추가 수신되는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이 유효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이 유효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가 최종 완료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항법장치(200)의 초기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지정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식별/연결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암복호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키값을 생성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초기 설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받아 동작 개시하면(600),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이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여부를 결정한다(6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여부와 무관하게 조작부(225)를 통해 입력 조작 등에 의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제1단말(300)이 통신 식별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10). 만약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제1단말(300)이 통신 식별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유일한 제1단말(300)과 연동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식별 절차를 수행하며(615), 상기 제1단말(300)도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식별 절차를 수행한다(615).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식별 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언제든 상기 식별된 제1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620), 상기 제1단말(300)도 상기 식별된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20).
만약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암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생성할 지 결정한다(630). 예를들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저장영역이 키 생성된 키값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키값을 생성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차량항법장치(200)의 조작부(225)를 통한 입력 조작이나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제1단말(300)의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키값을 생성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키값을 생성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키 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키값(예컨대, ECC 알고리즘 기반 개인키와 공개기 등)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키값을 등록 완료까지 유지한다(635). 한편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생성된 키값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키값(예컨대, 공개키)를 제1단말(300)로 제공하고(640),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생성한 키값을 수신하며(64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생성한 키값을 저장할 수 있다(650).
한편 상기 제1단말(300)은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상기 키값을 등록 요청하며(655),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고(660),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상기 키값을 등록 저장한 후(665), 상기 제1단말(300)로 상기 키값의 등록 결과를 응답한다(670).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인증장치(500)로부터 상기 키값 등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로 중계하며(675),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키값 등록 결과를 수신하고(680), 상기 등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키값을 저장한다(685).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단말(300)과 차량항법장치(200)를 인증장치(5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의 커플을 인증장치(5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단말(300)과 차량항법장치(200)의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제1단말(300)에 지정된 프로그램(325)이 설치 구동되면(700), 상기 제1단말(3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측 고유데이터를 확인하고(705),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를 등록 요청한다(710).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를 수신하여(715),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720), 상기 제1단말(300)로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의 등록 결과를 응답한다(725).
한편 상기 제1단말(300)은 지정된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는지 확인하고(730), 만약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로 고유코드를 요청한다(725).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고유코드 요청을 확인하고(740),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 제공하며(745),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수신한 후(750),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상기 고유코드를 등록 요청한다(755).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760),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예컨대, 제1측 고유데이터와 매핑 저장)한 후(765), 상기 제1단말(300)로 상기 고유코드의 등록 결과를 응답한다(725).
한편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775). 만약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다면, 상기 제1단말(30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차량항법장치(200)와 상기 인증장치(500) 간 일회용 인증코드의 생성/인증을 위한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절차를 중계하며(780),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정보 교환 절차를 근거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정보(예컨대, 씨드값 등)를 확인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785),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정보 교환 절차를 근거리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또는 별도의 코드인증서버)에 등록 저장한다(790).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단말(400)을 인증장치(5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제2단말(400)을 인증장치(5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단말(400)의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제2단말(400)에 지정된 프로그램(425)이 설치 구동되면(800), 상기 제2단말(4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2측 고유데이터를 확인하고(805),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를 등록 요청한다(810).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를 수신하여(815),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820), 상기 제2단말(400)로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의 등록 결과를 응답한다(825).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등록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830).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단말(300)에서 차량항법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지정된 제1단말(3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와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상기 제1단말(300)을 통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를 획득하여 제1측 코드데이터로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 획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코드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한다(900).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가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905).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가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방식에 따라 증폭하거나 감소하여 송출하고(910),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데이터를 인식한다(91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제1측 코드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920).
한편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에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제1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1단말(300)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검증값)을 전송할 수 있으며(925), 이 경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검증값)을 수신할 수 있다(93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코드데이터를 제1측 코드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935).
한편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코드데이터(또는 검증값)을 통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940). 만약 상기 코드데이터가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제1단말(300)은 코드데이터 오류를 출력할 수 있으며(945), 본 도면9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가 검증되는 경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검증된 코드데이터를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950).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1단말(300)에서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500)로 전송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지정된 제1단말(300)에서 획득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500)로 전송하여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측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제1단말(300)에서 차량항법장치(200)와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제1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한다(1000).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제1단말(300)은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전송한다(1005).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한다(1010).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고유데이터가 상기 도면7의 과정을 통해 등록된 제1단말(300)의 고유데이터인지 식별 인증한다(1015). 만약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가 식별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 인증 오류를 제공할 수 있다(104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측 고유데이터 인증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1측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도면7의 과정을 통해 등록된 키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한다(1020). 만약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음에도 복호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 인증 오류를 제공할 수 있다(1045). 한편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호화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고(1025),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030).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단말(300)로 인증 오류를 제공할 수 있다(1045). 한편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인증 절차 중 지정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며(1035),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를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와 비교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폐기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1040).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단말(400)에서 차량항법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코드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 범위 내에 제2단말(400)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제2측 코드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 획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코드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코드데이터를 확인한다(1100).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가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1105).
한편 상기 코드데이터가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방식에 따라 증폭하거나 감소하여 송출한다(1110).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데이터를 인식하고(1115),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데이터를 제2측 코드데이터로 확인한다(1120).
도면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2단말(400)에서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500)로 전송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 범위 내에 있는 제2단말(400)에서 획득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500)로 전송하여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측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제2단말(400)에서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제2측 코드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고유데이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2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생성한다(1200).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제2단말(400)은 지정된 인증장치(500)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전송한다(1205).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한다(1210).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고유데이터가 상기 도면8의 과정을 통해 등록된 제2단말(400)의 고유데이터인지 식별 인증한다(1215). 만약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가 식별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단말(400)로 인증 오류를 제공할 수 있다(124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측 고유데이터 인증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에 포함된 제2측 코드데이터(또는 코드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도면7의 과정을 통해 등록된 키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한다(1220). 만약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음에도 복호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단말(400)로 인증 오류를 제공할 수 있다(1245). 한편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호화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고(1225),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230).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단말(400)로 인증 오류를 제공할 수 있다(1245). 한편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인증 절차 중 지정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며(1235),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비교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폐기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1240).
도면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량항법장치(200)를 이용하여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인증장치(500)에서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차량항법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한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300)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200)를 이용한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인증장치(500)는 상기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제1단말(300)로부터 인증장치(500)로 수신되어 상기 도면10의 과정을 통해 인증된 제1측 인증데이터와 상기 도면11의 과정을 통해 제2단말(400)로부터 인증장치(500)로 수신되어 상기 도면12의 과정을 통해 인증된 제2측 인증데이터 중 지정된 인증시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를 확인하고(1300), 지정된 인증시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칭되는지 인증한다(1305). 예를들어, 제1단말(300)로부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유효시간 내에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간 전 내지 후에 제2단말(400)로부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 중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측 코드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유지하는 유효시간 내에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시간 전 내지 후에 제1단말(300)로부터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 중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측 코드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지정된 인증시간 내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기 매칭되는지 않으면,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도면10 또는 도면12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인증시간 내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기 매칭되면, 상기 인증장치(500)의 상기 차량항법장치(200)의 단방향 무선신호 범위 내에 접근한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을 고유 식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생성한다(1310).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인증된 제1단말(3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하며(1315), 상기 제1단말(300)은 상기 제1단말(300)에 접근한 제2단말(400)을 식별 인증한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320). 한편 상기 인증장치(500)는 상기 인증된 제2단말(4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하며(1315), 상기 제2단말(400)은 상기 제2단말(400)에 접근한 제1단말(300)을 식별 인증한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325).
200 : 차량항법장치 230 : 칩모듈
250 : 통신 식별부 255 : 통신 연결부
260 : 통신 처리부 265 : 키 처리부
270 : 코드 확인부 275 : 코드 생성부
280 : 암호 처리부 285 : 신호 송출부
290 : 요청 확인부 296 : 코드 전송부
300 : 제1단말 400 : 제2단말
500 : 인증장치 505 : 제1측 등록
510 : 제2측 등록부 515 : 제1측 수신부
520 : 제1측 인증부 525 : 제2측 수신부
530 : 제2측 인증부 535 : 인증 처리부
540 : 인증결과 처리부

Claims (32)

  1.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근거리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도록 지정된 제1단말로부터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상기 제1단말을 통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제1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N(N≥1)개의 제2단말로부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지정된 시간범위 내에 수신된 제1측 인증데이터의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 인증한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단말에 접근한 제2단말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을 인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와 제2측 인증데이터는, 임의의 순서로 수신되어 지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어느 하나의 유일한 제1단말을 식별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적어도 제1단말 측 회로구성과 독립된 회로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페어링(Pairing)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커플링(Coupling)된 제1단말과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항법장치로부터 근거리로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제1단말로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제2단말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생성된 키값을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암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된 키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1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생성된 키값을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제1단말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키값을 지정된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암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측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키 저장매체(또는 키 관리서버)에 등록된 키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제2측 코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공개키기반구조에 대응하는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키값은, 상기 차량항법장치를 통해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차량항법장치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와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항법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에 동적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제1측 코드데이터와 제2측 코드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한 알고리즘과 동일한 코드생성알고리즘 및 씨드값을 통해 생성된 검증코드와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한 알고리즘과 동일한 코드생성알고리즘 및 씨드값을 통해 생성된 검증코드와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코드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와 제1단말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된 코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데이터를 검증한 코드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1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1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1단말에 고유 설정된 제1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4. 제 1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인증데이터는,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폐기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을 통해 획득된 제2측 코드데이터와 상기 제2단말에 고유 설정된 제2측 고유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6. 제 1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폐기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7. 제 1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인식할 때마다 상기 제2단말로부터 반복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8. 제 1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측 코드데이터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제2측 코드데이터의 변경된 값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2단말로부터 반복 또는 추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29. 제 1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 인증데이터는,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차량항법장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수신세기가 지정된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증폭량 이상으로 증폭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장치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지정된 신호세기에서 지정된 감소량 이하로 감소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에 접근한 제2단말을 인증한 결과 또는 상기 제2단말에 접근한 지정된 제1단말을 인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완료 전에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추가 수신된 제2측 인증데이터의 제2측 코드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단말과 제2단말이 접근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가 완료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1020160154402A 2016-11-18 2016-11-18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80056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402A KR20180056494A (ko) 2016-11-18 2016-11-18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402A KR20180056494A (ko) 2016-11-18 2016-11-18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94A true KR20180056494A (ko) 2018-05-29

Family

ID=6245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402A KR20180056494A (ko) 2016-11-18 2016-11-18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4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6498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056505A (ko) 공유자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110280A (ko) Obd연동장치 인증 방법
KR20170121004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70134884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056494A (ko)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80056493A (ko) 블랙박스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70065716A (ko) 별도의 신호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70134857A (ko) 별도의 신호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80056504A (ko) 공유자 블랙박스장치를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110279A (ko) 음파출력장치 인증 방법
KR20180056499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056502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70134896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110295A (ko)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80110294A (ko)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70121000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101940108B1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056471A (ko) 차량항법 인증 방법
KR20180056476A (ko) 차량항법장치와 그 인증 방법
KR20180056473A (ko) 블랙박스장치와 그 인증 방법
KR20180056486A (ko)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KR20180056468A (ko) 블랙박스 인증 방법
KR20180056485A (ko) 블랙박스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KR20170134881A (ko) 근거리장치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