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412A - Smart si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sinage technology - Google Patents

Smart si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sinage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412A
KR20180056412A KR1020170155119A KR20170155119A KR20180056412A KR 20180056412 A KR20180056412 A KR 20180056412A KR 1020170155119 A KR1020170155119 A KR 1020170155119A KR 20170155119 A KR20170155119 A KR 20170155119A KR 20180056412 A KR20180056412 A KR 20180056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ler
digital signage
iot
m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3070B1 (en
Inventor
함병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5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H04L67/2838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ignage system to combine Internet of things (IoT) and a digital signage technology, which is capable of integrally performing two functions as a single system by combining an IoT system and a smart signage system, which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in a separate system, into a smart signage system. The smart signage system comprises: a main server which remotely controls and monitors devices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 integrated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and a network so as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directly controls a digital signage, and controls IoT equipment; and a wired/wireless router which remotely controls an object to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Description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Smart si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sinage technology}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Smart signaling systems, which combine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및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nage)의 융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 운영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IoT 시스템)과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nage) 시스템을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융합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2개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verg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digital sign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of Internet objects (IoT system) and a smart signage system And a smart signage system that combines the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so that two functions can be integrally performed as a single system by merging into a smart signage system.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적용시스템 안에 있는 장비들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예컨대, 조도 센서 및 IoT 스위치를 활용하여 적용시스템 내 조명 제어를 수행하고, 온도 센서 및 IR 송수신기를 활용하여 적용시스템 내 냉난방기를 제어하며, IoT 플러그를 사용하여 적용 시스템 내 전기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한다. 아울러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IoT 원격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적용시스템 내 장치들은 제어하고, 조도 센서 및 IoT 스위치를 활용하여 적용시스템 내 조명을 제어한다.In general, the object Internet system is a system that wirelessly controls the devices in the application system. For example, the illumination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IoT switch,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IR transceiver are used to control the cooling / heating apparatus in the application system, and the power of the electric devices in the application system is controlled using the IoT plug . In addition, the object Internet system controls the devices in the applied system remotely through the IoT remote monitoring solution, and controls the lighting in the applied system by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IoT switch.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디지털 사이니지 융합 제어 솔루션을 통하여 적용시스템 안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들을 IoT 융합 제어 솔루션에서 제어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디지털 사이니지 원격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적용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운용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한다.In addition, digital signage system can control display devices in the application system through IoT convergence control solution through digital signage convergence control solution,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t also monitors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isplay devices in the application system from a remote place through the digital signage remote monitoring solution.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대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s of the object Internet system and the digital signage system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a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2 as follows.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복수의 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아, 복수의 미디어 콘텐츠들을 기설정된 화면 구성에 따라 재생한 화면에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소정 시간 단위로 분할한 분할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분할된 동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 및 파일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분할된 동영상 파일과 인덱스 파일을 DID 서버로 전송한다.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are input and a divided moving picture file in which a moving picture file corresponding to a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are reproduc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reen configuration is divided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generates an index file including the reproduction order of the divided moving picture files and the file change information. Then, the divided video file and index file are transmitted to the DID server.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소정 시간 단위로 분할된 동영상 파일 형태로 DID 콘텐트를 생성하여, 저 사양의 기기에서도 DID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D content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 moving picture file divided into predetermined time units, and the DID contents are reproduced and displayed even in a low-specification device.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다수의 간략 광고정보가 표시되며 광고 이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소정 간략 광고정보의 선택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간략 광고정보 및 상세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가 광고식별정보에 따라 저장되며, 터치 입력된 해당 간략 광고 정보의 상세 광고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광고식별 정보별로 상기 상세 광고정보에 관한 상세 노출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제어부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송수신부를 갖는 DID 장치,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광고식별정보 및 상기 상세 노출 수를 수신받아 상기 광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광고비를 차감하는 광고 관리서버를 포함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touch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simpl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on which a simple advertisement information can be selected by a touch input of an advertisement user, And displays the detailed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mple advertisement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and counts the number of detailed impressions of the detailed advertisement information by the advertis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ID device hav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apable of connecting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an advertisem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advertis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etailed number of impressions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deducting an advertisement fee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의해, 광고대행사 입장에서는 광고비 지출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광고주입장에서는 터치입력을 수행한 시간, 위치, 해당 광고의 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데이터로부터 효율적인 광고비 지출을 통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advertising agency can be given justification for the expenditure of the advertisement. In the case of the advertiser,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marketing plan based on the time, loc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9933호(2013.05.27. 등록)(DID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69933 (Registered on May 27, 2013) (DI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7108호(2014.08.27. 등록)(DID 장치를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37108 (Registered on April 28, 2017) (Ad Management System Using DID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과 종래기술들은 각각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별개로 운영되므로, 두 개의 시스템에 별도로 투자하는 중복 투자가 필요하고, UHD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하여 높은 사양의 CPU와 고가의 UHD 지원 전용 그래픽 카드 및 고전력 전원장치도 필요한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general object Internet system and the digital signage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separately constructed and operated separately, redundant investment for separately investing in two systems is required. In order to drive the UHD display, And expensive UHD-only graphics cards and high-power power suppli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 운영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IoT 시스템)과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nage) 시스템을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융합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2개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Internet System (IoT system) and a Smart Sinage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smart sig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to integrate two functions as a single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은, 원격지 제어 가능 디바이스들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직접적으로 제어하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 상기 통합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제어 대상을 원격 제어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signage system comprising: a main server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remote controllable devices; An integrated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a network to control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directly control the digital signage, and control the object Internet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router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led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상기에서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IoT 제어기를 포함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includes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via a network to control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and to directly control the digital signage; And an Io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상기에서 컨트롤러와 상기 IoT 제어기는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and the IoT controller interface the data by serial communication.

상기에서 통합 컨트롤러는 HTML5 소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웹페이지의 주소와 변경 시간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freely adjusts an address and a modification time of a desired web page using an HTML5 source and exposes it through a display unit.

상기에서 컨트롤러는 원격 디바이스의 제어하고 감시하며, 디지털 사이니지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포트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HDMI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troller comprises a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remote device and directly controlling the digital signage; An input / output port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ain server through a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And an HDMI output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igital signage an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상기에서 IoT 제어기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고, 사물인터넷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는 IoT 제어부; 상기 IoT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감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 및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 유무선 공유기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기기를 제어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oT controller controls an object Internet appli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cquires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A digital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analog input /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control data to the object Internet apparatus under control of the IoT control unit or receiving data sensed by the object Internet apparatus; And a Wi-Fi module that controls a device located remotely through the wireless router.

상기에서 원격에 위치한 기기는 전원 장치, 조명 장치, 온도/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remotely located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emperature / humidity.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 운영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IoT 시스템)과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nage) 시스템을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융합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2개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두 개의 시스템에 별도로 투자하는 중복투자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the object Internet system (IoT system) and the smart signage system, which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as separate systems, into the smart signage system, the two functions are integrally performed as a single system, There is no need for redundant investment to invest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용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개발로 기술적 우위 확보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기반의 융합시스템 플랫폼으로 기존 UHD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높은 사양의 CPU와 고가의 UHD 지원 전용 그래픽 카드 및 고전력 전원장치를 제거할 수 있어, 저 전력소모 및 친환경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technical advantage by developing a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smart device, and it is an Android-based convergence system platform. It is a high-specification CPU for operating a conventional UHD display, And the high power power supply device can be removed, thereby realizing low power consumption and eco-friendly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서도 적용 시스템의 환경을 점검 및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일과 후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전기기기(전동, 냉난방기, 환풍 장비)들의 전원을 무선으로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vironment of the application system can be checked and controlled even at a remote place, the electric power of electric devices (electric power, cooling and heating device, ventilating equipment) unnecessarily turned on after a lapse of time is wirelessly blocked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age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1은 일반적인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통합 컨트롤러의 실시 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통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제어하는 개념도,
도 6은 일반적인 콘텐츠 표출과 웹페이지 표출 예시도,
도 7은 기존 웹페이지 표출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른 웹페이지 표출시스템의 비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object Internet (IoT) service system,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digital signage system,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signage system incorporating the Internet of objec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FIG. 3,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ontrolling an object using the integrated controller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content presentation and a web page presentation, FIG.
Figure 7 is a comparison of an existing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and a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smart signage system, which is a fusion of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시스템의 예시이며,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예시이다.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general object Internet (IoT) service system, and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typical digital signage system.

이와 같이 기존에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구현하여 운용함으로써, 중복 투자가 필요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고전력 전원 장치 및 고 사양의 제어장치가 필요하므로, 시스템 구현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에너지 낭비도 심한 단점이 있다.As such, there is a need for redundant investment by separately implementing and operating the object Internet service system and the digital signage system, and a high-power power supply device and a high-specific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gital signage system are required. It is costly and wasteful of energ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사물인터넷 시스템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단일의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융합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object internet and the digital signage fusion system which can control the object Internet system and the digital signage system by a single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원격지 제어 가능 디바이스들(101)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102), 상기 메인 서버(102)와 네트워크(103)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102)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디지털 사이니지(110)는 직접적으로 제어하며,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120), 상기 통합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대상을 원격 제어하는 유무선 공유기(105)를 포함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signage system incorporating the Internet of objec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a main server 102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remote controllable devices 101, The server 102 is connected to the network 103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102. The digital signage 110 directly controls and controls an integrated controller And a wireless router (105)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led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20).

상기 통합 컨트롤러(120)는 상기 메인 서버(102)와 네트워크(103)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102)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디지털 사이니지(110)는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30), 상기 컨트롤러(130)와 연동하여 사물인터넷 기기(104)를 제어하는 IoT 제어기(140)를 포함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02 through a network 103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102 and the controller 130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digital signage 110. [ And an IoT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104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ler 130.

여기서 컨트롤러(130)와 상기 IoT 제어기(140)는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사이니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130 and the IOT controller 140 interface data by serial communication.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igital signage information is further provided, 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또한, 상기 컨트롤러(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101)를 제어하고 감시하며,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131),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131)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03)를 통해 메인 서버(10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포트부(132),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131)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110)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HDMI 출력부(133)를 포함한다.4,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31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remote controllable device 101 and directly controlling the digital signage 110, An input / output port unit 132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erver 102 through the network 103 under the control of the signage control unit 131, and a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31,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31, And an HDMI output unit 133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상기 입출력포트부(132)는 USB포트(132a), 마이크로 SD 포트(132b), RJ45 포트(13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port unit 132 may include a USB port 132a, a micro SD port 132b, and an RJ45 port 132c.

또한, 상기 IoT 제어기(140)는 상기 컨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104)를 제어하고, 사물인터넷 기기(104)의 정보를 획득하는 IoT 제어부(141), 상기 IoT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104)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사물인터넷 기기(104)로부터 감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142) 및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143), 유무선 공유기(105)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제어 대상 기기(107)를 제어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144)을 포함한다.The IoT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1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controls the IoT controller 141 to acquire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104. The IoT controller 141 Output terminals 142 and analog input / output terminals 143 for outputting control data to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4 under the control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4 or receiving data sensed from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4, And a Wi-Fi module 144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d device 107 via the wireless network.

여기서 원격에 위치한 제어 대상 기기는 전원 장치, 조명 장치, 온도/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target device located remotel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emperature / humidit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mart signage system in which the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물인터넷 시스템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의 통합 컨트롤러(120)는 컨트롤러(130)와 IoT 제어기(140)와 연동을 통해 각 IoT 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First, the integrated controller 120 of the smart signage system, which integrally controls the object Internet system and the digital signage system, monitors the status of each IoT terminal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controller 130 and the IoT controller 140.

예컨대, 컨트롤러(130)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131)는 입출력포트부(132)를 통해 네트워크(103)를 통해 메인 서버(102)와 연결된 각 단말의 전등이나, 냉난방기 등의 IoT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아울러 IoT 제어기(140)의 IoT 제어부(141)를 통해 와이-파이 컨트롤 기능 제품인 전원 장치, 조명 장치, 공조 장치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인체감지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기(104)의 상태로 모니터링한다.For example,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31 of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tatus of IOT devices such as a lamp of each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02 through the network 103 via the input / output port unit 132, Monitoring. Furthermore, the IoT controller 140 monitors the status of a power supply device, a lighting device, 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as a Wi-Fi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IoT controller 141, And monitors it in the state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4. [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130)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메인 서버(102)와 연결된 각 단말의 스케줄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네트워크(103)를 통해 메인 서버(102)에서 각 단말의 스케줄 다운로드 및 확인하도록 제어를 한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30 downloads schedules of the respective terminal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02 through the network 103 and downloads schedules of each terminal from the main server 102 through the network 103 Control to check.

아울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131)는 각 단말의 IoT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기를 제어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기기는 HDMI 출력부(133)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IoT 기기 들은 IoT 제어기(140)와 연동을 통해 제어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31 controls the IoT and the digital signage device of each terminal. The digital signage device directly controls through the HDMI output unit 133, and the IoT devices are controlled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IoT controller 140.

예컨대, IoT 디바이스의 제어 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버전으로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IP를 입력하고, 바로 가기를 만들어 화면에 아이콘을 형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아이콘 실행시 네트워크의 IP 입력화면이 생성되고, 항목 입력시 IoT 디바이스 제어가 이루어진다.For example, at the time of controlling the IoT device, the IP input screen of the network is generated when each icon is executed while inputting the IP to which the device is connected in a version controlling the IoT device, IoT device control is performed when an item is input.

IoT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ID, PW,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특정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조명 온/오프 제어, PC 온/오프 제어, 전동스크린 업/다운 제어, 프로젝터 온/오프 제어, 공기청정기 온/오프 제어, 냉난방기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며, 프로그램 설정도 가능하다.IoT device control is performed by selecting a specific IoT device by using ID, PW, and IP address and controlling lighting on / off control, PC on / off control, motorized screen up / down control, projector on / off control, / Off control, cooling / heating on / off control, program setting is also possible.

여기서 컨트롤러(130)와 IoT 제어기(140)는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Here, the controller 130 and the IOT controller 140 interface data by serial communication.

여기서 통합 컨트롤러(120)는 스마트폰(안드로이드, iOS), 웹(안드로이드, iOS)을 통해 모니터링 및 제어를 함으로써,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추가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Here, the integrated controller 120 also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easily add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b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s through a smart phone (Android, iOS), web (Android, iOS).

도 5는 통합 컨트롤러(120)의 연결 상태도로서, IoT/디지털 사이니지 제어용 APK를 내장하고, HDMI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GPIO 입력을 통해 각종 센서(온도 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인체감지센서, 기타)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며,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유무선 공유기를 통해 각종 디바이스(조명 장치, 전원장치, 공조 장치, 기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5 is a connection state diagram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20, which incorporates an APK for IoT / digital signage control, directly controls digital signage via HDMI, and outputs various sensors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Monitors, and controls various devices (lighting devices, power supplies, air conditioners, etc.) through a wired / wireless router using a Wi-Fi module.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를 위해 통합 컨트롤러(120)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Meanwhile, the integrated controller 120 has various functions for digital signage control.

예컨대, 사진, 동영상, 텍스트, 웹페이지를 DID 모니터(디지털 사이니지 표시부)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이때, 화면 분할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한 데, 화면을 2 이상으로 분할한 경우, 분할된 화면의 하면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콘텐츠를 화면에 표출한다. 여기서 다른 종류의 콘텐츠를 화면에 표출하는 방법으로는 화면마다 각각의 콘텐츠 종류에 따라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은 사진끼리, 동영상은 동영상끼리 화면에 초 단위 혹은 시간 단위로 표출할 수 있다.For example, pictures, videos, text, and web pages can be displayed through a DID monitor (digital signage display). At this time, various data can be displayed through screen division. When the screen is divided into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bottom of the divided screen. Here, as a method of display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m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contents types. For example, pictures can be displayed between pictures, and videos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between videos in units of seconds or hours.

아울러 콘텐츠 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여 동영상 콘텐츠에 사진을, 사진 콘텐츠의 동영상을 삽입할 수 있으며, 웹과 텍스트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텍스트는 텍스트 말고 다른 콘텐츠를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텍스트를 그림형태로 변경하여 다른 콘텐츠처럼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teract with cont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ert photographs and video contents into video contents, and to interact with web and text in different ways.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insert other contents than text,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ext as a picture and change it as other contents.

또 다른 기능으로서, 일반적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웹은 다른 콘텐츠들과 다르게 화면 변경이 불가능하면 웹끼리의 변경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네이버 웹페이지를 화면에 표출하였을 경우, 네이버 페이지 안에서 웹 정보를 검색하고 정보를 열람할 수는 있으나, 순차적으로 네이버-> 다음-> 네이트와 같이 화면이 시간 단위로 변경하지는 못한다. As another function, a general digital signage system can not change between webs if the screen can not be changed differently from other contents. For example, when a Naver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web information and browse the information in the Naver page, but it is not possible to sequentially change the screen in units of Naver-> Next-> Naite.

도 6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 표출 예시로서, 좌측은 동영상 및 사진과 같은 콘텐츠를 표출한 것이고, 우측은 웹페이지를 표출한 것이다, 콘텐츠 표출은 원하는 시간만큼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화면에 표출하며, 웹페이지 표출은 예정된 기간 동안 한 개의 웹페이지만 보여 진다.FIG. 6 is an example of content display of digital signage. The left side shows contents such as a moving picture and a photograph, and the right side shows a web page. In the contents display, , And the web page display shows only one web page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반면, 본 발명은 웹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al-time monitoring of web pages sequentially.

예컨대, 웹페이지 표출은, 실시간 반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강제 새로 고침이 필요하고, 이에 본 발명에서는 HTML5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자체적으로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복수의 웹페이지(예를 들어, 6개)를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출해주게 된다.For example, the presentation of a web page requires a forced refresh because a real-time response is requir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web page itself responds in real time using HTML5, and a plurality of web pages (e.g., six) It is automatically displayed sequentially on the screen.

도 7은 기존 웹페이지 표출 시스템과 본 발명의 웹페이지 표출시스템(자사 웹페이지 표출시스템)의 비교도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n existing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and a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존 웹페이지 표출 시스템은 예정된 기간에 한 개의 웹 페이지만 보여지나, 본 발명의 웹페이지 표출시스템은 HTML5 소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웹페이지의 주소와 변경 시간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괄적으로 처리 가능한 기술은 아니며, 자체적으로 제작해야 한다.The existing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displays only one web page in a predetermined period, but the web page pres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address and modification time of a desired web page by using the HTML5 source. This means that the digital signage system is not a technology that can be handled collectively by users, but must be produced by itsel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은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 운영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IoT 시스템)과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nage) 시스템을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융합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2개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signage system that integrates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can be classified into a smart internet system (IoT system) and a smart signage system System,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wo functions as a single system.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본 발명은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 운영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IoT 시스템)과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nage) 시스템을 융합하는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ology that fuses a Smart Internet system (IoT system) and a smart signage system constructed and operated as individual systems.

101: 원격지 제어 가능 디바이스
102: 메인 서버
103: 네트워크
104: IoT 기기
110: 디지털 사이니지
120: 통합 컨트롤러
130: 컨트롤러
131: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
140: IoT 제어기
141: IoT 제어부
101: Remote controllable device
102: main server
103: Network
104: IoT device
110: Digital signage
120: Integrated Controller
130: controller
131: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140: IoT controller
141: IoT control section

Claims (7)

사물인터넷 기술과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을 융합하여 스마트 사이니지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원격지 제어 가능 디바이스들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직접적으로 제어하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 및
상기 통합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제어 대상을 원격 제어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As a system to realize smart signage by integrating object Internet technology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A main server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remote controllable devices;
An integrated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a network to control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directly control the digital signage, and control the object Internet device; And
And a wired / wireless router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led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청구항 1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IoT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comprises: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a network to control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ain server, and to directly control digital signage; And an Io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청구항 2에서,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IoT 제어기는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The smart signage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and the IoT controller interface data by serial communication.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HTML5 소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웹페이지의 주소와 변경 시간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arbitrarily adjusts an address and a modification time of a desired web page using an HTML5 source and displays it through a display unit. .
청구항 2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원격 디바이스의 제어하고 감시하며, 디지털 사이니지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포트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HDMI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is a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d monitors a remote device and directly controls digital signage; An input / output port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ain server through a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And an HDMI output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igital signage an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unit.
청구항 2에서, 상기 IoT 제어기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고, 사물인터넷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는 IoT 제어부; 상기 IoT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감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 및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 유무선 공유기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기기를 제어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Claim 2] The IoT controller of claim 2, wherein the IoT controller comprises: an Io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appliance; A digital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analog input /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control data to the object Internet apparatus under control of the IoT control unit or receiving data sensed by the object Internet apparatus; And a Wi-Fi module that controls a remotely located device through a wireless router. The smart signage system is a fusion of Internet and digital signage technology.
청구항 6에서, 상기 원격에 위치한 기기는 전원 장치, 조명 장치, 온도/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The remot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motely located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emperature / humidity. system.

KR1020170155119A 2016-11-18 2017-11-20 Smart si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sinage technology KR1020230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3835 2016-11-18
KR1020160153835 2016-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12A true KR20180056412A (en) 2018-05-28
KR102023070B1 KR102023070B1 (en) 2019-11-04

Family

ID=6245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19A KR102023070B1 (en) 2016-11-18 2017-11-20 Smart si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sinage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07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933B1 (en) 2012-01-16 2013-05-31 주식회사 리드텍 Di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of
KR101437108B1 (en) 2013-01-23 2014-09-19 주식회사 컴시너지 Advertisement managing system using did apparatus
KR20140123640A (en) * 2013-04-12 2014-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of contents of digital signag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KR20160027262A (en) * 2014-08-27 2016-03-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olid signage system applied to flexible IoT
KR101634066B1 (en) * 2015-08-07 2016-06-28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The smart test apparatus of system on chip with internet of things module and interaction platform in digital signage
KR20160079567A (en) * 2014-12-26 2016-07-06 황대선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setting status of IoT(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earphone terminal of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933B1 (en) 2012-01-16 2013-05-31 주식회사 리드텍 Di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of
KR101437108B1 (en) 2013-01-23 2014-09-19 주식회사 컴시너지 Advertisement managing system using did apparatus
KR20140123640A (en) * 2013-04-12 2014-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of contents of digital signag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KR20160027262A (en) * 2014-08-27 2016-03-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olid signage system applied to flexible IoT
KR20160079567A (en) * 2014-12-26 2016-07-06 황대선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setting status of IoT(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earphone terminal of mobile device
KR101634066B1 (en) * 2015-08-07 2016-06-28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The smart test apparatus of system on chip with internet of things module and interaction platform in digital sign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070B1 (en)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166B1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01221740B (en) Electronic photo frame
CN105812694B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US11102447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for multi-screen
CN105094737A (en) Multimedia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JP2014153818A5 (en)
CN105278903A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rver
KR20150072934A (en) Electronic tag,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N103309640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display system using electronic equipment
CN109857353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content of LED screen
JP2017033103A (en)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product advertisement or service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ing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s
TW201346417A (en) Projector with removable module
US9733786B2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and sharing media
US20190075370A1 (en) Display apparatus, content managing apparatus, content managing system, and content managing method
JP7458589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KR20190059824A (en) Image advertising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using image security apparatus
KR20180056412A (en) Smart sinage system that combines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sinage technology
CN109739458B (en) Display screen monitoring terminal, LED display control terminal, LED display scre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2445332A (en) Process display system, display terminal, process manag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140176721A1 (en) Mobile comm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4883655A (en) Interactive media system based on low-power Bluetooth and interactive method
KR101589964B1 (en) Electric indicator mobile control system using led display board having digital signage signal, and method of the same
JPWO2019142321A1 (en) Electronic devices and power management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39525B1 (en) A portable flexible led banner
KR101580365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Electronic through Network, Electronic Device Control Server, Camera and Method for Supporting Remot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