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217A - Spherical bridge bearing - Google Patents

Spherical bridge b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217A
KR20180056217A KR1020160154194A KR20160154194A KR20180056217A KR 20180056217 A KR20180056217 A KR 20180056217A KR 1020160154194 A KR1020160154194 A KR 1020160154194A KR 20160154194 A KR20160154194 A KR 20160154194A KR 20180056217 A KR20180056217 A KR 2018005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ent
round key
spherica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병호
Original Assignee
황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호 filed Critical 황병호
Priority to KR102016015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217A/en
Publication of KR2018005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herical bridge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herical bridge bearing comprises: a base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pier; a lower plate arrang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pherical groove in which a bearing is accommodated; an upper plate arrang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round key protruding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adjust plate arrang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an upper structure, and having a key insertion port accommodating the round key on a lower surface thereof. Moreover, the adjust plate is formed to be divided and separat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und key.

Description

스페리칼 받침{SPHERICAL BRIDGE BEARING}{SPHERICAL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스페리칼 받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하부구조물인 교각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스페리칼 받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herical bea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here support for supporting a superstructure by being installed on a pier which is a substructure of a bridge.

스페리칼 받침은 대표적으로 (특허문헌 1)이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은 모두 수평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에 전단키(Shear key)인 라운드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키로 인해 스페리칼 받침의 교체시 본체의 높이를 감안하여 유압 잭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인 거더(Girder)를 40∼50㎜ 정도의 높이로 인상하여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sphere support (patent document 1) are disclosed in detail. In the prior art sill fix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Patent Document 1), a round key, which is a shear key,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to resist a horizontal load. When the spherical bearing is replaced due to the round key, the girder,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lifted up to a height of about 40 to 50 mm by the hydraulic jack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main body.

그러나 거더를 40∼50㎜ 정도의 높이로 인상하게 되면, 상기 거더의 손상은 물론이고, 레일의 레벨상승, 신축이음장치 파손, 하부구조물의 파손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교량에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된다.However, if the girder is raised to a height of about 40 to 50 mm, not only damage to the girder but also raising the level of the rail, breakage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breakage of the lower structure, .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의 교체공사의 대부분은 본체만 교체해야 할 간단한 보수공사도 상기와 같은 받침특성으로 인해 본체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하부구조물인 교각에 매립된 앵커 소켓을 포함하여 스페리칼 받침 전체를 교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most of the replacement work of the conventional sphe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anchor socket embedded in a pier which is a substructure which can not replace only the main body due to the above-mentioned supporting proper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hole can not be replaced.

또한, 이로 인해 교각 받침부 콘크리트를 비롯하여 교각 상부를 깨야하므로 교각의 주철근 손상은 물론이고 교량 전체 구조물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교량의 안전과 수명을 단축시키는 이유가 된다. 그리고 막대한 교체공사기간이 소요되면서 인근주민들에게 불편을 주어 잦은 민원이 발생하게 되고 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워 막대한 보수비용이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because of this, it is necessary to break the upper part of the piers including the concrete piers of the piers. This causes damage to the cast iron bars of the piers and adversely affects the entire structures of the bridges, thereby shortening the safety and life of the bridges. Also,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lace the building, which causes discomfort to nearby residents, resulting in frequent complaints and complicated construction.

즉 예컨대, 스페리칼 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철도교량은 보수공사시 그 특성상 기차가 통행하지 않는 야간작업을 해야 하므로 받침 교체시간이 짧아 정밀시공이 어렵고 양생 기간이 짧아 재료분리 현상 등으로 제대로 된 유지보수가 어려워 유지보수 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for example, railway bridges equipped with a spheric support are required to perform nighttime work that does not allow trains to pass through due to the nature of repair work.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erform precise construction due to short time for replacing the crad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ycle is shorten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60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8604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의 문제점인 막대한 교체 시간과 보수비용을 해결하고, 교체작업시간을 용이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스페리칼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herical bearing capable of solving an extremely large replacement time and maintenance cost, which is a problem of the prior art spherical bearing,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work time with ea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은 교각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here holder comprising: a base plat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pier;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어링이 수용되는 구면홈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플레이트;A lower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lower plate having spherical grooves receiving the bearing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라운드키가 돌출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및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round key protrud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며, 하면에 라운드키를 수용하는 키삽입구가 형성된 어저스트 플레이트;An assisting plat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nd having a key insertion port for receiving a round key on a lower surface thereof;

를 포함하며,/ RTI >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는 라운드키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될 수 있다.The adjustment plate may be divided and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round ke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는 키삽입구를 공유하며, 서로 맞닿는 접지면이 일면에 형성된 육면체의 제1,2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er plate may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plate having a hexagonal shap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juster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에 있어서, 상기 제1,2 플레이트는 접지면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부와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may have protrusions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ground plan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홈부는 접지면에 연속해서 형성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may be continuously formed on the ground plane, and may be form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에 있어서, 상기 제1,2 플레이트는 측면 양측에 설치된 보강플레이트;Further, in the sphe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include a reinforcing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에 있어서, 상기 제1,2 플레이트는 보강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may have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plate.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se solution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교량보수공사시 상부구조물 손상 및 레일 상승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40∼50㎜로 인상하지 않고, 권장높이인 3㎜ 미만으로 인상하면 됨으로써, 교량보수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bridge is repaired, it is not raised to 40 to 50 mm,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and raising of the rail. The damage that occurs can be minimized.

또한, 스페리칼 받침만 빠르고 안전하게 교체 가능하므로, 상당한 교체비용 절감효과와 예컨대, 철도교량의 특성에 맞게 야간의 4∼5시간의 짧은 시간 내에 보수가 가능하므로, 많은 수의 교체가 가능하여 교체공사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afely replace only the sphere support, so that it can be replaced within a short time of 4 to 5 hours at nigh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lroad bridge, for example, The period can be effectively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의 설치상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트 플레이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to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ssis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ecific aspects, specif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200)은 교각(104)과 상부구조물(102)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201)로서, 상기 교각(104)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 베어링(230)을 수용하는 하부플레이트(220), 상기 하부플레이트(220)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플레이트(240) 및 상부플레이트(240)에 적층 배치되어 상부구조물(102)을 받쳐 지지하는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phygmallow suppo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1 installed between a pier 104 and an upper structure 102, A lower plate 220 for receiving the bearing 230, an upper plate 240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220, and an upper plate 240, And an assisting plate 250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plate 102.

여기서 스페리칼 받침(200)은 예컨대, 철도교량이나 도로교량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교량에 설치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페리칼 받침(200)이 받쳐 지지하는 상부구조물(102)은 예컨대, 거더(Girder) 또는 상기 거더와 일체로 형성되는 솔플레이트(Sole plate: 10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Here, the sphere receiver 200 may be installed in, for example, a railway bridge or a road bridge,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bridg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upper structure 102 supported by the sphere receiver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girder or a sole plate 103 integrally formed with the girder, It is not limited.

베이스플레이트(210)는 교각(104)의 상면에 밀착 설치되도록 바닥면이 전체적으로 편평한 예컨대, 육면체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가 상기 교각(104)에 매립된 앵커 소켓(108)과 나사 체결되는 앵커 볼트(109)의 조합에 의하여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base plate 210 is formed as a hexahedron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104 and has an anchor bolt 108 screwed with an anchor socket 108, (109).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220)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함께 앵커 소켓(108)과 나사 체결되는 앵커 볼트(109)의 조합에 의해 교각(104)에 고정 설치된다.The lower plate 22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210 includes an anchor bolt 109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210 and screwed to the anchor socket 108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210. And is fixed to the bridge pier 104 by a combination.

여기서 상기 하부플레이트(220)와 베이스플레이트(210) 사이에는 예컨대, 미끄럼방지 및 수밀성, 기밀성 등의 확보를 위하여 고무 패드(Rubber pad)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무 패드가 일종의 개스킷(Gasket)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이를 개스킷으로 지칭하여도 무방하다.A rubber pa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late 220 and the base plate 210 to prevent slip, water tightness, and airtightness. That is, the rubber pad functions as a kind of gasket, and therefore it may be referred to as a gasket.

이러한 하부플레이트(220)는 상면이 반구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베어링(230)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면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구면홈(222)에 수용되는 베어링(230)은 이 구면홈(222)의 내주를 따라 활주하면서 상부구조물(102)의 수축, 연신, 뒤틀림 등과 같은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plate 220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top surface to form a spherical groove 222 in which the bearing 230 is slidably received. The bearing 230 housed in the spherical groove 222 slide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spherical groove 222 to buffer shocks such as contraction, stretching, and warping of the upper structure 102.

상부플레이트(240)는 하부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하면이 베어링(230)과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40)와 하부플레이트(220)는 사이드블록(241)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즉 예컨대, 상기 사이드블록(241)을 상부플레이트(240)의 상면과 하부플레이트(220)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220)의 측면에 사이드볼트(242)를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upper plate 24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220,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aring 230. Here, the upper plate 240 and the lower plate 220 are coupled using the side block 241. The side bolts 242 are fasten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plate 22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blocks 24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4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plate 220, .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240)는 베어링(23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어 하부로는 베어링(230)에 상부하중을 전달하면서 상부로는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를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upper plate 240 is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ring 230,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250 to support the upper plate 250 while transmitting an upper load to the lower bearing 230.

여기서 상부플레이트(240)는 그 상면에 전단키(Shear key)인 라운드키(241a)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4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는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라운드키가 수용되는 키삽입구(251)가 하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a round key 241a, which is a shear key,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40. Therefore, the assortment plate 250, which is stacked on the upper plate 240, has a key insertion hole 251, which receives the round key,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urface.

즉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상부플레이트(240)의 상부에 적층되어 각 모서리가 렌치 볼트(Wench Bolt: 260)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40)에 체결된 후 상면을 용접면으로 하여 솔플레이트(103)의 하면에 용접되는 방식으로 상기 솔플레이트(103)와 상부플레이트(2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솔플레이트(103)를 포함하는 상부구조물(102)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That is, the adjuster plate 250 is stacked on the upper plate 240 and each corner is fastened to the upper plate 240 by a wrench bolt 260, Is disposed between the sole plate 103 and the upper plate 240 in such a manner as to be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3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02 including the sole plate 103.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스페리칼 받침(200)의 교체시 상부구조물(102)의 손상 및 레일 상승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40∼50㎜로 인상하지 않고, 권장높이인 3㎜ 미만으로 인상할 수 있도록 라운드키(241a)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분할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4, the adjuster plate 250 does not raise to 40 to 50 mm,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102 and raising of the rail when replacing the sphere receiver 200, So as to be pulled up to a height of less than 3 mm which is the height of the round key 241a.

이때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250)가 분리되는 양방향은 예컨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어저스트 플레이트(250)의 길이방향 또는 교량의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와 교차하는 폭 방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two directions in which the assisting plate 250 is separated may mean, for example,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ssortment plate 250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idge, but it does not exclude the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therewith I will disclose it in advance.

이러한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키삽입구(251)를 공유하며, 서로 맞닿는 접지면(254a)(254b)이 일면에 형성된 육면체의 제1,2 플레이트(252)(253)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Such an assertion plate 250 can be implemented as follows. That is, for example, the adjuster plate 250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plates 252 and 253 having hexagonal faces formed on one surface, with the ground planes 254a and 254b contacting each other, .

따라서 스페리칼 받침(200)의 교체시 예컨대, 도 1, 3을 참조하여 볼 때, 먼저, 솔플레이트(103)와의 용접을 해제하여 이와 분리하고, 다음으로, 렌치 볼트(260)를 해제하여 상부플레이트(240)와 분리한 후 마지막으로, 유압 잭 등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물(102)을 3㎜ 미만으로 인상한 상태에서 라운드키(241a)를 중심으로 제1,2 플레이트(252)(253)를 양방향,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 접지면(254a)(254b)을 분리함으로써, 본체(201)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1 and 3, first, the welding with the sole plate 103 is released and separated, and then, the wrench bolt 260 is release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52 and 253 are rotated around the round key 241a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102 is pulled up to less than 3 mm by using a hydraulic jack or the like. So that the main body 201 can be easily replaced by separating the ground planes 254a and 254b.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접지면(254a)(254b)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부(255)와 홈부(256)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수직 또는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예컨대 수평하중이나 전단 응력에 의해 상기 접지면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를 상기 돌기부(255)와 홈부(256)를 이용하여 저항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5, the assertion plate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255 and grooves 256 having shapes corresponding to the ground planes 254a and 254b. have. Such an assisting plate 250 can resist a problem such that the ground plane is distor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a vertical or width direction, for example, a horizontal load or a shearing stress, by using the protrusion 255 and the groove 256, So that it can be easily prevented.

이때 상기 돌기부(255)와 홈부(256)는 접지면(254a)(254b)에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저항하는 힘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 플레이트(252)(253)의 형상이 동일하므로, 이를 제조하기에도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s 255 and the grooves 256 may be formed continuously to the ground planes 254a and 254b.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s 255 and the grooves 256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ut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52 and 253 are the same.

도 6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트 플레이트(250)는 제1,2 플레이트(252)(253)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300)는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250)의 수직 또는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예컨대 수평하중이나 전단 응력에 저항함으로써, 접지면(254a)(254b)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6 to 7, the assisting plate 2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late 3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52 and 253 have. The reinforcing plate 300 can easily solve the problem such that the ground planes 254a and 254b are twisted by resist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djust plate 250 in the vertical or width direction, for example, the horizontal load or the shearing stress .

이러한 보강플레이트(300)는 예컨대, 어저스트 플레이트(250)와 동일재질, 즉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 또는 이보다 강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250)의 측면 양측에 설치된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plate 3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assortment plate 250, that is, a rolled steel material for welding structure or a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assisting plate (250).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300)의 외부돌출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어저스트 플레이트(250)의 측면 양측에 홈의 형상으로 수용공간(25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강플레이트(300)를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A receiving space 257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assisting plate 250 to prevent the reinforcing plate 300 from being protruded from the outside, And the fastening is performed in one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어저스트 플레이트(250)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는 힘, 예컨대 전단력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수명을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ssertion plate 250, for example, the shearing force, can be easily improved, and the service life can be easily extended.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칼 받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etc.,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unless otherwise defin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n general Have the same meaning.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2 - 상부구조물 103 - 솔플레이트
104 - 교각 108 - 앵커 소켓
109 - 앵커 볼트 200 - 스페리칼 받침
201 - 본체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하부플레이트 222 - 구면홈
230 - 베어링 240 - 상부플레이트
241a - 라운드키 241 - 사이드블록
242 - 사이드볼트 250 - 어저스트 플레이트
251 - 키삽입구 252 - 제1 플레이트
253 - 제2 플레이트 254a, 254b - 접지면
255 - 돌기부 256 - 홈부
257 - 수용공간 300 - 보강플레이트
102 - Superstructure 103 - Sol plate
104 - Piers 108 - Anchor sockets
109 - Anchor bolt 200 - Spherical support
201 - Body 210 - Base plate
220 - Lower Plate 222 - Spherical Groove
230 - Bearing 240 - Top plate
241a - Round Key 241 - Side Block
242 - Side bolt 250 - Adjustment plate
251 - key insertion hole 252 - first plate
253 - second plate 254a, 254b - ground plane
255 - protrusion 256 -
257 - accommodation space 300 - reinforcement plate

Claims (5)

교각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어링이 수용되는 구면홈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라운드키가 돌출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며, 하면에 라운드키를 수용하는 키삽입구가 형성된 어저스트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는 라운드키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된 스페리칼 받침.
A base plat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ier;
A lower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lower plate having spherical grooves receiving the bearing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round key protrud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assisting plat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nd having a key insertion port for receiving a round key on a lower surface thereof;
/ RTI >
Wherein the adjust plate is divided so as to be detachable in both directions around a round ke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플레이트는 키삽입구를 공유하며, 서로 맞닿는 접지면이 일면에 형성된 육면체의 제1,2 플레이트로 구성된 스페리칼 받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 plate comprise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of a hexahedro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haring a key insertion port and having a ground surface contacting one an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 플레이트는 접지면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부와 홈부가 형성된 스페리칼 받침.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have projections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mutually corresponding shapes on the ground plan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 플레이트는 측면 양측에 설치된 보강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스페리칼 받침.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sphere is a sphe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 플레이트는 보강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스페리칼 받침.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have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plate.
KR1020160154194A 2016-11-18 2016-11-18 Spherical bridge bearing KR20180056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94A KR20180056217A (en) 2016-11-18 2016-11-18 Spherical bridge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94A KR20180056217A (en) 2016-11-18 2016-11-18 Spherical bridge b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17A true KR20180056217A (en) 2018-05-28

Family

ID=6245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194A KR20180056217A (en) 2016-11-18 2016-11-18 Spherical bridge b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21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55A (en) * 2018-08-17 2018-12-18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Spherical bearing for brid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262U (en) * 2008-10-16 2010-04-26 서영석 Bridge bearing
KR100967387B1 (en) * 2007-02-09 2010-07-05 (주) 케이 이엔씨 Separated type bridge bearing
KR101272145B1 (en) * 2012-09-05 2013-06-07 삼영엠텍(주) Spherical bearing
JP2013159998A (en) * 2012-02-07 2013-08-19 Toshin Kogyo Co Ltd Simple covering plate
KR101561196B1 (en) * 2015-06-09 2015-10-19 (주) 케이 이엔씨 A separated type bridge bearing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KR101599822B1 (en) * 2015-05-13 2016-03-14 유니슨이테크(주) Separate spherical bearing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87B1 (en) * 2007-02-09 2010-07-05 (주) 케이 이엔씨 Separated type bridge bearing
KR20100004262U (en) * 2008-10-16 2010-04-26 서영석 Bridge bearing
JP2013159998A (en) * 2012-02-07 2013-08-19 Toshin Kogyo Co Ltd Simple covering plate
KR101272145B1 (en) * 2012-09-05 2013-06-07 삼영엠텍(주) Spherical bearing
KR101599822B1 (en) * 2015-05-13 2016-03-14 유니슨이테크(주) Separate spherical bearings
KR101561196B1 (en) * 2015-06-09 2015-10-19 (주) 케이 이엔씨 A separated type bridge bearing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55A (en) * 2018-08-17 2018-12-18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Spherical bearing for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359B1 (en) The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method for which bridge upper structure lifter which does the bridge shue function and this were used
JP2007040097A (en) Displacement limiting device for bridge facility
KR101696450B1 (en) Lifting device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Replacing method of bridge bearing and Installing method of bridge bearing at lowe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85874B1 (en) The fixation bracket assembly
KR102237564B1 (en) Transition construction and railway bridge with such a transition construction
KR101062220B1 (en) A rubber bearing damper shoe structure for bridge
KR101458364B1 (en) Lifting device of girder for bridge for preventing bridge falling
KR100976405B1 (en) MaintenanceRepair support
KR20180056217A (en) Spherical bridge bearing
CN111764268A (en) Self-resetting support
CN104313995B (en) Three-way composite limiting device
KR100941748B1 (en) Separation type oilless bridge bearing
KR101386048B1 (en) Spherical bearing for bridge
KR20000032358A (en) Structure for abutment of non-bridge seat and non-elastic joined type
CN212656108U (en) Self-resetting support
TWI542756B (en) Bridge jack jack support bracket
CN109235232B (en) Bridge adjacent beam end transverse limiting device
CN210066473U (en) Bridge seismic isolation and reduction system
CN211522828U (en) Bridge stop device and bridge
JP2004308108A (en) Repair structure and repair construction method repaired to bearing device of functional discrete type using base plate of existing elastic support device
CN210002237U (en) girder falling prevention device
KR200451722Y1 (en) lower part change type Bearing for bridge
KR101962665B1 (en) Preset bridge supporter assembly
KR101105642B1 (en) One body type bridge bearing
KR20160109284A (en) Elasticity support fo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