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012A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012A
KR20180055012A KR1020160152099A KR20160152099A KR20180055012A KR 20180055012 A KR20180055012 A KR 20180055012A KR 1020160152099 A KR1020160152099 A KR 1020160152099A KR 20160152099 A KR20160152099 A KR 20160152099A KR 20180055012 A KR20180055012 A KR 2018005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ice
base frame
cylinder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6542B1 (en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주)향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향천 filed Critical (주)향천
Priority to KR102016015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542B1/en
Publication of KR2018005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sing device for manufacturing rice crusts. A reversing device for manufacturing rice crusts, which is capable of manufacturing rice crusts by using both rice and cooked rice as rice crust materials, comprising: a base frame having at least one burner; a forming plate provided with a lower plate to which the rice crust materials are supplied and an upper plate covering the lower plate and heated while being moved in the base frame; and a reversing device for selectively reversing the heated plate according to the rice crust materials provided on the forming plate.

Description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에서 쌀이나 밥으로 누룽지를 모두 제조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sing device for making a burned r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vers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burned rice which can produce both rice and rice in one device.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맛이 고소하고 독특하여 간식 대용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최근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고도 있다.Generally, Nurungji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rice cooker when rice is cooked. It is highly popular as a substitute for snacks due to its high flavor and unique taste. Recently, as consumption has increased, There are also.

이러한 종래의 누룽지 제조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920333호와,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4호 및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2호에는, 불린 쌀을 재료로 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92033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2 disclose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ice cake, and disclos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ice cake using rice called rice have.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은 불린 쌀만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 인해 남아 있는 잉여의 밥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밥을 이용해 만들어지는 누룽지 고유의 맛을 향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utilize the remaining surplus rice due to manufacturing the rice noodle using only the rice, so that there is a drawback in that it can not enjoy the unique taste of rice noodle made using rice.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08호에는, 밥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밥에 가해지는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누룽지 본래의 맛을 재현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46308 discloses an apparatus for producing rice cake using rice, and aims to reproduce the original taste of rice cake by varying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rice.

하지만,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08호에 개시된 제조장치는, 밥을 롤러로 압착하여 밥박편을 형성한 후 오븐에 굽는 형식으로 하고 있는데, 밥이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밥알이 으깨져 본래 누룽지의 맛을 향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밥이 롤러에 의해 압착되므로 인해 호퍼, 롤러, 밥박편 출구 등의 장치에 끈기가 있는 밥이 달라붙게 되어 밥박편의 인출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6308, the rice is compressed by pressing with a roller to form rice flakes and then baked in an oven. When rice is squeezed by a roller, The taste of the rice cake can not be enjoyed, and since the rice is pressed by the roller, the sticky rice sticks to the device such as the hopper, the roller, and the rice flake outlet, so that the rice flakes can not be taken out easily.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36호에서는, 밥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되, 밥이 가열 공정부로 유입되기 전에 설정된 일정 두께 및 크기로 절단될 수 있도록 다수의 펼침장치와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펼침 및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Appln. Utility Model No. 1999-0039736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rice cake using rice and using a plurality of spreading and cutting devices so as to be cu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before the rice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rocess section Spreading and cutting are performed.

하지만,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36호의 경우에도 밥이 펼침장치를 통과하면서 으깨지거나 기계장치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본래의 누룽지 맛을 느끼지 못하거나 가열 공정부로의 밥의 인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999-0039736, since the rice is crushed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spreading device or sticking to the machi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feel the original taste of the rice cake or the rice is not easily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rocess portion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누룽지 제조장치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국 등록특허 제10-0920333호Korean Patent No. 10-0920333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4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4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2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08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6308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36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1999-003973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누룽지 재료로서 쌀과 밥을 모두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ing device for making a rice cake by using both rice and rice as a rice cake material in a single apparatus. There is a purpo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는,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성형판에 구비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된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는 반전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vers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burnishing rug,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a burning rice using both rice and rice as a burnishing material, ; A molding plate which is provided with a lower plate to which the rubbing material is supplied and an upper plate that covers the lower plate and is heated while being moved in the base frame; And a reversing device for selectively reversing the heated plate according to the scraping material provided on the forming plate.

그리고, 반전장치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잡는 그립퍼; 그립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versing device includes: a gripper for holding a molding plate transferred from the base frame; A lift block rotatably provided with a gripper; An ascending / descending cylinder for vertically mov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And a moving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cylinder.

게다가, 베이스프레임에는 반전장치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감지하여 그립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1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또 베이스프레임에는 일측 레인에서 타측 레인으로 수평 이동되는 승강실린더를 감지하여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립퍼는 성형판에 구비된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만 승강블럭에서 180도로 반전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molded plate conveyed to the revers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pper, and a lifting cylinder horizontally moved from one side lane to the other side lane may be detected And a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ving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cylinder. The gripper may be provided by reversing 180 degrees in the lifting block only when the rubbing material provided on the forming plate is rice.

또한, 베이스프레임의 버너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이송실린더; 및 이송실린더에 연결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그립퍼에 의해 이동되어 온 성형판을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블럭;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 transfer cylinder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rner of the base frame; And a transfer block connected to the transfer cylinder and reciprocating in the base frame to transfer the molded plate moved by the gripper from the base frame.

게다가, 베이스프레임에는 버너와 이송실린더를 격리시키는 격판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블럭에는 그립퍼에 의해 이동되어 온 성형판에 걸림되어 성형판을 이송시키는 돌출블럭이 돌출 형성되고, 성형판과 접하는 돌출블럭에는 패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base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iaphragm for isolating the burner and the transfer cylinder. In the transfer block, a protruding block for engaging the molding plate moved by the gripper to transfer the molding plate is protruded, The protruding block may be provided with a pad member.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는 하나의 제조장치로서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룽지 재료에 따라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eversing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the rubbing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both the rice and the rice as the rubbing material to selectively produce the rub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rubb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urned rice by heating.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누룽지 제조장치로서 쌀과 밥을 모두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되, 누룽지 재료에 따라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가열함으로써 누룽지 재료에 따른 기존 제조장치의 이원화를 해소하여 단일화함으로써 편리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조 및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vers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scorch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corched rice by using both rice and rice as a single scorching device, By eliminating the dualization of the apparatus and unifying it,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are improved, and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costs ar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서 건조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버너와 이송롤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급된 쌀을 펼치는 펼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부에 구성되는 펼침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장치의 높이조절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성형판을 닫는 클로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전장치에서 승강블록의 직선 왕복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의 오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이더와 건조부의 이송컨베이어 및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의 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와 건조부의 분리 상태를 평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건조부에서의 누룽지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쌀 공급기에서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판으로 쌀을 공급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ice c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drying unit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ice c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structural view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 burner and a feed roller provided in a base fram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reader for spreading rice su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5.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spreader constructed in the sp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sp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ing part closing a form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ve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a lift block in the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part of a mold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ope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rap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a conveying conveyor and a rotary plate of a discharge guider and a dr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unit of a mold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lan view of the state of separation betwee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ice cake and the dr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state of the rice burning in the drying unit.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ice is supplied to a forming plate of a rice rumen manufacturing apparatus in a rice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are meant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other.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Therefore, the term "and / 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ea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s listed before and after, and "one or more" means one or more than two.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optional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와, 반전장치 및 기타 누룽지 제조장치의 세부적인 부분들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들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to FIG. 19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inverting the apparatus, and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성형판(190) 및 펼침부(200), 반전부(300), 오픈부(400), 분리부(500), 감지부(600), 세척부(700), 건조부(800), 쌀 공급기(900) 등을 포함한다.1 to 3, the apparatus 1 comprises a base frame 10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plurality of molding plates 190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0, The opening unit 400, the opening unit 400, the separating unit 500, the sensing unit 600, the cleaning unit 700, the drying unit 800, the rice feeder 900, .

이러한 누룽지 제조장치(1)에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성형판(190)을 그대로 베이스프레임(100)의 다른 레인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성형판(190)을 180도로 반전시켜 다른 레인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반전장치가 구성되고, 이 반전장치는 반전부(3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this apparatus 1 for manufacturing rubbing rubbers, the forming plate 190 is moved as it is to another lane of the base frame 100, or the forming plate 190 is reversed 180 degrees and moved to another lane An inverting device is constituted, and this invert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verting part 300. Fig.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부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개의 레인(110)(120)이 구비되고, 양 레인(110)(120)은 그 양끝단부에서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4, the base frame 100 is provided with two lanes 110 and 120 which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and both lanes 110 and 120 have mutually opposite ends Respectively.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레인(110)(120)에는 2개의 파이프가 한 조를 이루는 버너(130)가 설치되고, 한 조를 이루는 양 버너(13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양 버너(130) 사이의 공간에는 후술될 성형판(190)의 반전시 성형판(190)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삽입됨으로써 성형판(19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다.A burner 13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anes 110 and 120 of the base frame 100 to form a pair of pipes. The burners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space between the both burners 130 is not interfered with the movement of the forming plate 190 by inserting the fitting bracket 193 of the forming plate 190 during the reversal of the forming plate 19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각 버너(130)의 상면에는 다수의 화구가 형성되고, 이 화구에는 불꽃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되며, 노즐과 근접한 일측에는 점화를 위한 전극봉(일명, "점화플러그"라고도 한다)이 구비된다.A plurality of burners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burners 130. A plurality of burners 130 are provided on the burners 130. The burners 130 are provided with nozzles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flames. .

또한, 버너(130)와 이격된 각 레인(110)(120)의 상부 양측부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40)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나열되어 구름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은 이송롤러(140)의 상부에 후술될 성형판(190)이 안착되어 구름되는 이송롤러(140)에 의해 각 레인(110)(120)을 따라 이동된다.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4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lanes 110 and 120 spaced apart from the burner 130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120) by a conveying roller (140) on which a forming plate (19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and rolls.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는데, 버너(130)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00)은 지속적으로 버너(130)의 열이 가해져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버너(130)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00)에 컴프레서(미도시)의 차가운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을 냉각시키고,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일단부에는 사일런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로 인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The base frame 100 is formed of a hollow square pipe. The base frame 100 adjacent to the burner 130 may be continuously heated by the burner 130 to be overheat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cold compressed air of a compressor (not shown) is injected into the base frame 100 close to the burner 130 to cool the base frame 100, And a silenc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part to block the noise caused by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한편,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이송롤러(140)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성형판(19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룽지 재료(이하에서는 누룽지 재료의 일례로 '불린 쌀'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가 공급되는 하판(191)과, 하판(191)에 힌지되어 회전되면서 하판(191)을 덮거나 오픈시키는 상판(192)으로 구비되고, 상판(192)의 상면에는 후술될 오프너(420)의 걸림바(422)에 걸림되는 걸이용 브라켓(193)이 구비된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lding plate 190, which is placed on the conveying roller 140 of the base frame 100 and is conveyed, conveys a rice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ice called' And an upper plate 192 which is hinged to the lower plate 191 and covers or opens the lower plate 191 while being hinged to the lower plate 19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The holding bracket 193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to be opened.

걸이용 브라켓(193)은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판(192)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다음, 다시 수평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서, 걸이용 브라켓(193)의 개구부가 후술될 오픈부(400)의 오프너(420)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13 and 14, the hanging bracket 193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and then horizontally bent and protruded, and the opening of the hanging bracket 193 And is directed toward the opener 420 side of the open portion 400.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이송롤러(140)에 안착되는 성형판(190)은 하판(191)이 버너(130)에 의해 직접 가열되면서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되어, 누룽지를 성형하게 된다.The lower plate 191 is moved on the base frame 100 while being directly heated by the burner 130 so that the lower plate 191 is placed on the conveying roller 140 of the base frame 100, .

그리고,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누룽지의 제조를 위한 여러 장치들이 구성된다. 즉, 성형판(190)의 하판(191)으로 불린 쌀(이하에서는 그냥 '쌀'이라 칭하되, 이는 불린 쌀을 의미하는 것이다)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성형판(190)의 하판(191)으로 공급된 쌀을 펼치는 펼침부(200)와, 성형판(190)을 잡아 인접한 다른 레인(110)(120)으로 이동시키는 반전부(300)와,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회전시켜 오픈시키는 오픈부(400)와, 성형판(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600)와, 오픈된 상판(192)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분리부(500)와, 성형판(190)의 하판(191)을 세척하는 세척부(700)와, 성형판(190)에서 배출되는 누룽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부(800)가 베이스프레임(100)에 각각 차례로 구성된다.In the base frame 100, various apparatuses for manufacturing the burnishing paper are constructed. A supply part for supplying rice called a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rice) and a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An inverting unit 300 for holding the forming plate 190 and moving the forming plate 190 to another adjacent lane 110 and 120 and a top plate 192 of the forming plate 190, A sensing part 600 for sensing whether the forming plate 190 is opened or closed, a separating part 500 for separating and removing the burning rubbers sticking to the opened upper plate 192, A cleaning unit 700 for cleaning the lower plate 191 of the molding plate 190 and a drying unit 800 for drying the burned rice discharged from the molding plate 19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ase frame 100.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장치(부)들을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Each of the devices (units) constituted in this manner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먼저, 공급부는 후술될 세척부(700)와 펼침부(200) 사이에서 구성되고, 성형판(190)의 하판(191)에 쌀을 공급하는 후술될 공급기(900)를 포함한다. 즉, 공급기(900)에서 쌀을 상판(192)이 오픈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부분이다.First, the supply unit is configured between the cleaning unit 700 and the unfolding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 feeder 900 to be described later that supplies rice 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plate 190. That is, the rice is supplied from the feeder 900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having the upper plate 192 opened.

한편, 공급부에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쌀을 공급하는 공급기(9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feeder 900 for supplying the rice on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in the supplying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펼침부(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펼치는 구성으로, 베이스프레임(100) 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관통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40)과, 지지프레임(210) 내부에 위치되어 승강프레임(240)의 하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220)을 포함한다.5 to 8, the spreader 200 is configured to spread the rice supplied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plate 190. The spreader 200 includes a support frame 210 erected on the base frame 100, A lifting frame 240 which is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240 through a support frame 210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a supporting plate 220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ing frame 210 and is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lifting frame 240 .

그리고, 지지판(220)에는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가 구비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판(190)의 이동 방향을 따라 3개의 펼침장치(250)(260)(270)가 지지판(220)에 일렬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점차적으로 펼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plate 2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preading device for spreading the rice supplied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plate 190. In this embodiment, The rice can be gradually spread on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by arranging the heaters 250, 260 and 270 on the supporting plate 220 in a line.

즉, 쌀 공급부와 근접하게 구비된 제 1 펼침장치(250)는 하판(191) 위로 높게 공급된 쌀을 무너뜨려 펼침으로써 펼침 효율이 가장 좋고, 제 2 펼침장치(260)와 제 3 펼침장치(270)에서는 제 1 펼침장치(250)에 의해 펼쳐진 쌀을 재차 반복하여 더 낮은 높이로 펼침으로써 최종 생산되는 누룽지의 두께를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provided close to the rice feeder has the best spreading efficiency by breaking down the rice supplied high above the bottom plate 191, and the second spreading device 260 and the third spreading device 270, the rice laid by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is repeatedly laid out at a lower heigh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produced rice cake can be adjusted to the taste of the consumer.

특히, 상기와 같이 쌀을 펼치는 과정을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 행하는 이유는, 하판(191) 위에 높게 공급된 쌀을 한번에 펼치게 되면 쌀이 하판(191) 밖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하판(191) 위의 쌀을 여러 차례에 걸쳐 점차적으로 낮게 펼치도록 하여 쌀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reason for repeating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rice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rice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91 when the rice fed at a high rate is spread over the bottom plate 191 at a time. ) The above rice was gradually lowered several times to prevent the rice from escaping.

한편, 이와 같은 다수의 펼침장치(250)(260)(270)는 동일한 구성과 구조로 구성되고, 다만 후술될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만이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즉, 제 1 펼침장치(250)에서 제 3 펼침장치(270)(반전부(300)에 근접하게 구비되는 펼침장치) 측으로 갈수록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가 성형판(190)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spreaders 250, 260 and 27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tructure. However, only the spreader blades 254, 264, and 2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eight of 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in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toward the third spreading device 270 (the spreading device provided close to the inverting part 300) 190,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펼침장치(250)(260)(2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2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중공의 하부 부싱(251)(261)(271)과, 하부 부싱(251)(261)(27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하부 부싱(251)(261)(271)에 나사 결합되는 종공의 상부 부싱(252)(262)(272)과, 상부 부싱(252)(262)(272)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통 결합되는 한편 상부 부싱(252)(262)(272)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회전축(253)(263)(273)과, 회전축(253)(263)(273)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축(253)(263)(273)과 같이 회전되면서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차례로 펼치는 펼침날개(254)(264)(274)를 포함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plurality of spreading devices 250, 260 and 270 may include a hollow lower bushing 251, 261, 271 262 and 272 which are inserted into the lower bushings 251 and 261 and 271 and screwed to the lower bushings 251 and 261 and 271 and the upper bushings 252 and 262, The rotary shaft 253 is inserted into the bushings 252, 262 and 272 so as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fixed to the upper bushing 252, 262 and 272 via a bearing. 263 and 273 and the rotary shafts 253 and 263 and 273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s 253 and 263 and 273 and sequentially feeding the rice supplied onto the lower plate 191 And spread wings 254 (264) and (274).

특히, 회전축(253)(263)(273)은 상부 부싱(252)(262)(272)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부 부싱(252)(262)(272)과는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베어링을 분리하기 전에는 분리 불가한 상태로 결합된다.Particularly, since the rotary shafts 253, 263 and 273 are provided with a bea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bushings 252, 262 and 272 and the upper bushings 252, 262 and 272, It is rotatable and is coupled in an axially detachable state before the bearings are separat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상부 부싱(252)(262)(272)을 하부 부싱(251)(261)(271)에서 풀거나 또는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53)(263)(273)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상부 부싱(252)(262)(272)의 회전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미세하게 회전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bushing 252, 262, or 272 coupl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unwind or tighten the lower bushing 251, 261, or 271, The height of 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can be finely adjusted and the rotation of the upper bushings 252, 262 and 272 can be adjusted by the operator It is preferable to rotate finely by manual operation.

그리고, 회전축(253)(263)(273)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펼침날개(254)(264)(274)는 각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면서도 각 펼침날개(254)(264)(274)의 비틀림 각도나 절곡 각도가 서로 달라 각 펼침날개(254)(264)(274)에서 공급된 쌀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펼칠 수 있게 된다.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rotating shafts 253, 263 and 273 are arranged such that the respectiv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have different heights, The twist angle and the bending angle of the wings 254, 264, and 27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eights of the rice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can be varied.

또한, 상기와 같은 펼침날개(254)(264)(274) 상부의 회전축(253)(263)(273)에는 원통형의 성형가이더(257)(267)(277)가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253)(263)(273)에 구비되는 성형가이더(257)(267)(277)는 회전축(253)(263)(272)의 상하 이동 및 회전시 회전축(253)(263)(273)과 연동되지 않는다. 다만, 회전축(253)(263)(273)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에는 펼침날개(254)(264)(274)에 걸림되어 성형가이더(257)(267)(277)가 상승될 수 있고, 회전축의 하강시는 성형가이더(257)(267)(277)가 자체 자중으로 하강되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성형가이더(257)(267)(277)는 그 하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그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게 된다. 따라서, 성형가이더(257)(267)(277) 내부에서 펼침날개(254)(264)(274)가 쌀을 펼치게 되고, 펼침날개(254)(264)(274)에 의해 펼쳐지는 쌀은 성형가이더(257)(267)(277)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일정한 두께와 형태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The cylindrical shaping guider 257, 267, and 277 ar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s 253, 263, and 273 on the upper side of 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in the idle state. The shaping guides 257, 267 and 277 provided on the rotary shafts 253, 263 and 273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ry shafts 253 and 263 during up-and-down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rotary shafts 253, 263 and 272, (Not shown). When the rotary shafts 253, 263 and 273 are raised above a certain height, the molding guiders 257, 267 and 277 are hooked by 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267 and 277 are lowered by their own weight and fixed on the lower plate 191 of the molding plate 190 when the rotation shaft is lowered. The molding guiders 257, 267, and 277 thus formed ar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their lower surfaces opened to enclose and wrap the rice supplied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Therefore, the spreading wings 254, 264 and 274 spread the rice inside the molding guiders 257, 267 and 277 and the rice spread by the spreading wings 254, 267, and 277, it is guided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hape of the burnishing paper.

한편, 지지판(220)에는 하부 부싱(251)(261)(271)에서 상하로 미세 이동되는 상부 부싱(252)(262)(272)의 높이를 측정하여 회전축(253)(263)(273) 및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를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다이얼 게이지(256)(266)(276)가 고정되고, 다이얼 게이지(256)(266)(276)의 측정핀은 그 하단부가 상부 부싱(252)(262)(272)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The supporting plate 220 measures the height of the upper bushings 252, 262 and 272 which are finely moved up and down in the lower bushings 251, 261 and 271, And dial gauges 256, 266 and 276 indirectly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spreading wings 254 and 264 and 274 are fixed and the measuring pins of the dial gauges 256,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bushings 252, 262, and 272.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회전축(253)(263)(273)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풀리(255)(265)(275)가 회전축(253)(263)(273)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풀리(255)(265)(275)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벨트(282)를 걸 수 있는 복수의 벨트홈이 형성되며, 지지판(220)에는 회전축(253)(263)(273)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모터(280)가 구비되고, 모터(280)는 그 상단부의 모터축에 풀리(281)가 고정되어 구비된다.Each of the pulleys 255, 265 and 275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253, 263 and 273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253, 263 and 273, A plurality of belt grooves for engaging the belt 282 for power transmission are formed on the support plates 220 and 255 and the rotation shafts 253, 263, One motor 280 is provided and the motor 280 is provided with a pulley 281 fixed to the motor shaft at the upper end thereof.

따라서, 모터(280)의 풀리(281)와 제 1 펼침장치(250)의 풀리(255)를 벨트(282)로서 연결하고, 제 1 펼침장치(250)의 풀리(255)와 제 2 펼침장치(260)의 풀리(265)를 별도의 다른 벨트(282)로 연결하며, 제 2 펼침장치(260)의 풀리(265)와 제 3 펼침장치(270)의 풀리(275)를 또 다른 벨트(282)로 연결하면, 하나의 모터(280)로서 제 1,2,3 펼침장치(250)(260)(270)의 회전축(253)(263)(273)을 동시에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pulley 255 of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is connected to the pulley 255 of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as the belt 282 and the pulley 255 of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is connected as the belt 282, The pulleys 265 of the second spreading device 260 and the pulleys 275 of the third spreading device 2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nother belt 282, The rotation shafts 253, 263 and 273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reading devices 250, 260 and 270 can b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one motor 280 have.

게다가, 상기와 같이 상부 부싱(252)(262)(272)을 통해서 회전축(253)(263)(273) 하단부의 펼침날개(254)(264)(274)를 미세 조정한다면,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지지판(220)을 상하로 이동시켜 펼침장치(250)(260)(270)의 전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Further, if 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at the lower ends of the rotary shafts 253, 263 and 273 are finely adjusted through the upper bushing 252, 262 and 272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height of the spreaders 250, 260, and 27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upport plate 220 up and down on the support plate 220.

즉, 지지프레임(210) 상에 승강실린더(230)를 고정되게 구비하고, 승강실린더(230)의 상부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를 승강프레임(240)에 연결하여, 승강실린더(230)에서 피스톤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승강프레임(240)이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고, 승강프레임(24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승강프레임(240)에 고정된 지지판(220)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지지판(220)에 구비된 펼침장치들(250)(260)(27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lifting cylinder 230 is fixed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10, and the piston rod that goes into and out of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cylinder 23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240. In the lifting cylinder 230, The lifting frame 240 is moved up and down on the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supporting plate 220 fixed to the lifting frame 24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ifting frame 240, The height of the spreaders 250, 260, and 270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220 and 220 can be adjust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펼침부(200)와 반전부(30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오픈부(400)에서 오픈된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걸림된 상태로 가이드되어 성형판(190)이 반전부(30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판(192)을 점차 하판(191) 측으로 회전시켜 하판(191)을 덮도록 하는 클로징가이더(170)가 경사지게 형성된다.9, the base frame 100 between the unfolding unit 200 and the inverting unit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not shown) The upper bracket 193 is guided in the engaged state so that the upper plate 192 is gradually moved toward the lower plate 191 as the plate 190 is moved toward the inverting unit 300 so as to cover the lower plate 191, (170) is formed obliquely.

이러한 클로징가이더(170)는 봉이나 바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될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50) 끝단부에 클로징가이더(170)의 일단부가 위치되며, 후술될 반전부(300) 측으로 위치된 클로징가이더(170)의 타단부는 하향 경사져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 중앙부 측으로 위치된다.The closing guider 17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r a bar and has one end of the closing guider 170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150 of the base frame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of the closing guider 17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lane 110 of the base frame 100 is inclined downward.

따라서, 성형판(190)의 하판(191)에서 직각 이상으로 회전되어 오픈된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50)을 벗어남과 동시에 클로징가이더(170)의 일단부에 다시 끼워진 상태로 클로징가이더(170)를 따라 이동되고, 클로징가이더(170)의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하판(191) 측으로 역회전되면서 결국에는 자동적으로 하판(191)을 덮게 된다.When the hang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opened and rotated at right angles or more from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is released from the guide rail 150 of the base frame 100, 170 are moved back along the closing guider 170 while being fitted back to one end of the closing guider 170 and are gradually rotated toward the lower plate 191 toward the other end of the closing guider 170 so as to automatically cover the lower plate 191 .

한편, 반전장치는 반전부(300)로 구현되고, 반전부(3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된 성형판(190)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versing device is realized by the inverting unit 300, and the inverting unit 300 is heated by the burning material supplied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as shown in FIGS. 10 to 12 And the forming plate 190 is selectively reversed.

이러한 반전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이동실린더(310)와, 이동실린더(310)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레인에서 타측 레인으로 평행 이동되는 승강실린더(320)와, 승강실린더(320)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블럭(330)과,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120)과 마주하는 승강블럭(33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블럭(350)과, 회전블럭(350)의 전면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190)을 잡는 그립퍼(340)를 포함한다.The inverting unit 300 includes a moving cylinder 310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and a lifting cylinder 320 provided in the moving cylinder 310 and moved in parallel to the other lane from one side lane of the base frame 100, A lifting block 330 provided on the lifting cylinder 320 and vertically moved and a lifting block 330 provided on the lifting block 330 facing the lanes 110 and 120 of the base frame 100, And a gripper 34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ry block 350 and holding the molding plate 190 transferred from the base frame 100.

여기서, 회전블럭(350)은 승강블럭(330)의 일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승강블럭(330)의 반대면에는 승강블럭(330)에서 회전블럭(350)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351)가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ng block 3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33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lock 330, a rotating block 350 is disposed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lock 330. And a motor 351 for reversing the rotation may be provided.

게다가, 승강블럭(330)에는 그립퍼(3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출입되는 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포트로 유압이 공급되면 그립퍼(340)가 그립 작동을 하고, 타측의 포트로 유압이 공급되면 그립퍼(340)가 벌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ift block 330 is provided with a port through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for operating the gripper 340 enters and exits.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one port, the gripper 340 performs the grip operation, The gripper 340 is opened.

그리고, 그립퍼(340)는 회전블럭(350)의 전면 상,하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하의 양 그립퍼 아암이 베이스프레임(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190)의 상판(192)과 하판(191)에 각각 접하여 성형판(190)을 잡게 된다.The gripper 3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and the lower sides of the rotary block 350 so that both upper and lower gripper arms are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192 of the molding plate 190 transferred from the base frame 100, And the lower plate 191, respectively.

이러한 그립퍼(340)의 그립작동은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그립퍼(340)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00)에 그립퍼(340) 측으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190)을 감지하는 제 1 위치감지센서(380)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제 1 위치감지센서(380)는 근접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위치감지센서(3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그립퍼(340)의 그립작동이 제어되어 이송되어 온 성형판(190)을 정확히 잡아 파지할 수 있게 된다.10 and 11, the grip operation of the gripper 340 may be performed by a first position sensing (not shown) sensing the molding plate 190 that is transferred to the gripper 340 side to the base frame 100 close to the gripper 340,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380 may be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and the grip operation of the gripper 34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380 It is possible to hold the transferred molding plate 190 accurately and grasp it.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성형판(190)을 잡은 그립퍼(340)는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 위로 상승된 상태에서 성형판(190)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대로 유지되거나 또는 모터(351)에 의해 승강블럭(330) 상에서 180도 회전된 후, 이동실린더(310)에 의해 승강실린더(320)가 직선(수평) 이동되므로 인해 그립퍼(340)가 인접한 다른 레인(110)(120)으로 이동되고, 이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20)가 재작동되어 그립퍼(340)를 하강시켜 성형판(190)을 베이스프레임(100)의 이송롤러(140) 위에 안착시켜 구비한다.Thus, the gripper 340 holding the forming plate 190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raised above the base frame 100 by the lifting cylinder 32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urling material supplied to the forming plate 190 The gripper 340 is moved to the adjacent lane 110 (or 110)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fting cylinder 320 by the moving cylinder 310 after the lifting block 330 is rotated by 180 degrees on the lifting block 330 by the motor 351, The lifting cylinder 320 is operated again to lower the gripper 340 so that the forming plate 190 is placed on the conveying roller 140 of the base frame 100. [

이때, 성형판(190)을 잡은 그립퍼(340)는 성형판(190)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만 180도 회전되어 반전되고, 쌀인 경우에는 회전되지 않는데, 이는 밥이 쌀보다 불에 약해 빨리 타게 되므로 성형판(190)을 반전시키는 작동을 통해서 밥이 고루 눌린 상태의 누룽지를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gripper 340 holding the forming plate 190 is rotated by 180 degrees only when the rice material supplied to the forming plate 190 is rice, and is not rotated when the rice is rice. This is because rice is weaker than rice So that the rice is properly pressed through the action of reversing the plate 190. [0158]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실린더(31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레인(110)에서 타측 레인(120)으로 직선(수평) 이동되는 승강실린더(32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위치감지센서(390)에 의해 감지되어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제 2 위치감지센서(390)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위치감지센서(390)의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실린더(3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310)의 작동이 제어되어 그립퍼(340)에 파지된 성형판(190)을 정확히 레인(110)(120) 위에 올려놓아 구비할 수 있게 된다.The lifting cylinder 320 is linearly moved from one side lane 110 to the other side lane 120 of the base frame 100 by the moving cylinder 3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vement is stopped by the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390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390 may be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or a limit switch and may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cylinder 310 that linearly moves the lifting cylinder 32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390 The molding plate 190 gripped by the gripper 340 can be precisely placed on the lanes 110 and 120 to be provided.

그리고, 그립퍼(340)에 의해 성형판(190)이 이동되는 레인(110)(120)에는 성형판(190)을 그립퍼(340)에서 분리시켜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블럭(360)이 구비된다.A transfer block 360 for moving the forming plate 190 on the base frame 100 by separating the forming plate 190 from the gripper 340 is formed on the lanes 110 and 120 on which the forming plate 190 is moved by the gripper 340. [ .

이러한 이송블럭(36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된 이송롤러(140)의 하부에 위치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고, 이송블럭(360)의 선단부에는 그립퍼(340)에 잡힌 성형판(190)의 선단면에 접하여 성형판(190)을 그립퍼(340)에서 분리시켜 베이스프레임(100) 상으로 이송시키는 돌출블럭(361)이 돌출 형성된다.The transfer block 360 is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0 by being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roller 140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At the tip of the transfer block 360, Protruding blocks 361 protruding from the gripper 340 to be transferred onto the base frame 10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molding plate 190 held by the gripper 340.

이와 같은 돌출블럭(361)은 이송블럭(360)의 선단부 양측편에서 각각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성형판(190)과 접하는 면에는 성형판(19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부재(3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패드부재(36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완충 기능을 갖는 소재이면 모두 만족한다.The protrusion block 361 protrudes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block 360 and a pad member 362 for preventing the molding plate 190 from being damage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block 361, And the pad member 36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owever, the pad member 362 is not limited to the rubber material, but may be any material having a buffer function.

그리고, 이송블럭(360)에는 이송실린더(370)가 연결되어 이송블럭(360)을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시키고, 이송실린더(370)는 베이스프레임(100) 내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부피 및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A transfer cylinder 370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block 360 to linearly reciprocate the transfer block 360 on the base frame 100. The transfer cylinder 370 is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100 can be reduced in volume and size.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내에 구비되는 이송실린더(370)와 버너(13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이송실린더(370)를 버너(130)와 격리시키는 격판(180)이 설치되고, 격판(180)에 의해 버너(130)의 열이 이송실린더(370)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이송실린더(370)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A partition 180 separating the transfer cylinder 370 from the burner 130 is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00 between the transfer cylinder 370 and the burner 130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And the heat of the burner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ducted to the transfer cylinder 370 by the diaphragm 180, so that the malfunction of the transfer cylinder 37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반전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레인(110)(120)에 각각 구성되어, 성형판(190)을 인접한 다른 레인(110)(120)으로 각각 이동시키되, 반전부(300)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 반전된 성형판(190)은 상판(192)과 하판(191)의 위치가 서로 바뀐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120)에 구비되지만, 하부에 위치한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양 버너(130) 사이의 공간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성형판(190)의 이동시 전혀 간섭되지 않는다.The inverting unit 300 is formed on both lanes 110 and 120 of the base frame 100 to move the forming plate 190 to the adjacent lanes 110 and 120, The molded plate 190 inverted by 180 degrees by the rotating plate 300 is provided on the lanes 110 and 120 of the base frame 100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s of the upper plate 192 and the lower plate 191 are changed, The hang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h burners 130 so that it is not interfered at all when the plate 190 is moved.

오픈부(4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룽지가 성형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하판(191)으로부터 오픈(open)시키는 구성으로서, 양 레인(110)(12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피스톤로드(411)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실린더(410)와,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은 작동실린더(410)의 피스톤로드(4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에 걸림되어 상판(192)을 회전시켜 오픈시키는 걸림바(4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오프너(420)를 포함한다.13 and 14, the open portion 4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late 192 of the molded plate 190 formed with the burnishing rugs is opened from the lower plate 191, An operation cylinder 410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between the base frame 100 and the base frame 100 and having a piston rod 411 at a lower end thereof,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bar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to rotate the upper plate 192 to open the latching bar 422 are protruded.

여기서, 오프너(420)는 그 중앙부에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21)과, 힌지축(42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로드(4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423)와, 힌지축(421)의 타측에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422)를 포함한다.The opener 420 includes a hinge shaft 421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inge shaft 421 and a hinge shaft 42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inge shaft 42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piston rod 411 And a latching bar 422 protruding toward the latch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on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421. The latching bar 422 includes a link bar 423,

한편, 성형판(190)의 상판(192)에 형성된 걸이용 브라켓(193)은 그 전면(오프너(420)의 걸림바(422)와 마주하는 면)과 양측면이 개구되어 있고, 오프너(420)의 걸림바(422)는 걸이용 브라켓(193)보다 낮은 위치로 구비됨으로써, 성형판(190)의 이동시 걸이용 브라켓(193)과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걸이용 브라켓(193)의 내측에 위치된다.The hooking bracket 193 formed on the upper plate 192 of the plate 190 has openings on both sides thereof and a front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ing bracket 193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atching bracket 193 so that the latching bracket 193 of the mold plate 190 and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is positioned inside the mounting bracket 193.

따라서, 피스톤로드(411)가 작동실린더(410)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도 13에서와 같이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1)가 작동실린더(410)로부터 인출되면 도 14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411)에 의한 링크바(423)의 하강으로 인해 오프너(420)가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걸림바(422)가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판(192)을 오픈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iston rod 411 is drawn into the operating cylinder 410,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latch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as shown in FIG. 13 When the piston rod 411 is pulled out from the operating cylinder 410 in this state, the opener 420 moves the hinge shaft 421 due to the descent of the link bar 423 by the piston rod 411 as shown in FIG. The latching bar 422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latching bar 422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to open the upper plate 192. [

그리고, 오픈부(400)의 오프너(420)와 클로징가이더(17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도 5 및 도 13에서와 같이, 오프너(420)에 의해 오픈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지지하여 상판(192)이 열린 상태로 성형판(19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50)이 설치된다.5 and 13, in the base frame 100 between the opener 420 of the opening part 400 and the closing guider 170, the upper plate of the molding plate 190 opened by the opener 420, A guide rail 15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plate 192 and allow the plate 190 to move in a state that the upper plate 192 is open.

이러한 가이드레일(150)은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하판(191)에서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이 가이드레일(150)에 접하여 걸림됨으로써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ail 150 is vertically protruded on the base frame 10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opened in the lower plate 191 is held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50, 190 can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192 is open.

감지부(6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부(400)와 분리부(500) 사이에 구성되어, 성형판(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5, the sensing unit 600 is disposed between the open unit 400 and the separation unit 500, and detects whether the molding plate 190 is opened or closed.

이를 위해, 오픈부(400)와 분리부(50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라켓(61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고정브라켓(610)의 상부에는 성형판(190)과 마주하도록 감지센서(62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성형판(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The fixing bracket 610 is fixed to the base frame 100 between the opening part 400 and the separating part 500 and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racket 610 is provided with a molding plate 190 to detect whether the molding plate 190 is opened or closed.

이러한 감지센서(620)는 근접센서로서, 성형판(19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판(192)이 오픈되었는지 또는 덮혀 있는지를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토대로 상판(192)이 덮힌 경우에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반전부(3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성형판(190)의 이동을 멈추게 한다.The sensing sensor 620 is a proximity sensor that senses whether the top plate 192 is open or closed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molding plate 190. When the top plate 192 is covered based on the sensed value, (Not shown) to stop the movement of the shaping plate 190.

이와 같은 감지부(600)는 오픈부(400)에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하나씩 오픈시킴에 따른 오작동에 대비한 것으로, 오픈부(400)에서 상판(192)이 오픈되지 않은 성형판(190) 즉 상판(192)이 덮힌 성형판(190)이 이후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ensing unit 600 is prepared for the malfunction caused by opening the upper plate 192 of the forming plate 190 one by one in the open part 400. When the upper plate 192 is not opened in the open part 400 This is to prevent the forming plate 190, that is, the forming plate 190 with the top plate 192 covered, from proceeding to a subsequent process.

한편, 분리부(5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된 상판(192)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분리시켜 내는 구성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5, the separating unit 500 separates the burned rice sticking to the open top plate 192.

이러한 분리부(5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피스톤로드(511)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실린더(510)와, 피스톤로드(511)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그 하단부가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승강되면서 상판(192)의 내측면에 붙은 누룽지를 분리시켜 내는 탄력을 갖는 분리판(520)을 포함한다.The separating unit 500 includes an operation cylinder 510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frame 100 and a piston rod 511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And a separating plate 520 having a resilient force for separating the burned ric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having a lower end.

이와 같은 작동실린더(510)는 그 상단부에 고정블럭(53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고정블럭(530)은 그 중심부가 베이스프레임(100)에 힌지핀(540)으로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블럭(530)의 외주연부에는 고정핀(550)이 관통되어 베이스프레임(10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블럭(53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시키게 된다.A fixed block 530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actuating cylinder 510. A center of the fixed block 5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as a hinge pin 540, The fixing block 550 is fixed to the base frame 100 by fixing the fixing block 550 to the base frame 100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ck 530.

그리고, 고정블럭(530)의 외주연부에는 고정핀(550)이 관통되는 원호의 각도조정공(5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핀(55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체결하면 고정핀(550)에 의해 고정블럭(530)이 베이스프레임(100) 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되고, 고정핀(550)을 풀어내면 고정블럭(530)을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각도조정공(531)의 원호를 따라 회전시켜 작동실린더(51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A circular arc angle adjusting hole 531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550 passes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block 530 so that when the fixing pin 550 is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0, The fixing block 530 is pressed and fixed to the base frame 100 side by the fixing block 550 and the fixing block 530 is released from the arc of the angle adjusting hole 531 on the base frame 100, So that the angle of the operation cylinder 510 can be adjusted.

작동실린더(510)의 피스톤로드(511)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분리판(520)은 휨이나 굽힘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력을 가지되, 바람직하게는 박판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ng plate 520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511 of the actuating cylinder 510 has a resilient forc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being bent or bent. Preferably, the separating plate 520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 stainless steel.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분리판(520)은 작동실린더(510)의 기울어진 각도로 인해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에 굽힘된 상태로 항상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511)의 출입에 의해 상판(192)의 내측면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긁어 내리므로 상판(192)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용이하게 떼어내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eparating plate 52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top plate 192 due to the tilted angle of the operating cylinder 510 in a bent state. In this state, the piston rod 511,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is scratch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burned rubbers sticking to the top plate 192 can be easily detached and separat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분리부(500)와 세척부(70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성형판(190)에서 제조되어 하판(191) 위에 놓여진 누룽지를 건조부(800) 측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가이더(16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6, in the base frame 100 between the separating unit 500 and the cleaning unit 700, the burnishing unit, which is manufactured by the forming plate 190 and placed on the lower plate 191, And a discharge guider 160 for guiding and discharging the guider.

이러한 배출가이더(160)는 성형판(190)의 하판(191)에서 건조부(800)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성형판(190)이 이동될 시 하판(191) 위의 누룽지가 배출가이더(160)에 걸려 배출가이더(160)를 따라 건조부(800) 측으로 안내되어 배출된다.The discharge guider 160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lower plate 191 of the plate 190 to the side of the dryer 800 so that when the plate 190 is moved, And guided along the discharge guider 160 to the drying unit 800 side and discharged.

따라서, 배출가이더(160)를 지나 세척부(700) 측으로 이동되는 성형판(190)의 하판(191)에는 누룽지가 존재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which is moved to the washing portion 700 side beyond the discharge guider 160, does not have a burning ridge.

그리고, 세척부(7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의 하판(191)을 세척하는 구성이다.17, the cleaning unit 700 is configured to clean the lower plate 191 of the molding plate 190. As shown in FIG.

즉, 세척부(700)는 베이스프레임(100) 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세척프레임(710)과, 세척프레임(7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730)을 포함한다.That is, the cleaning unit 700 includes a cleaning frame 7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0, and a rotation shaft 730 rotatably installed in the cleaning frame 710.

세척프레임(710)은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이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세척부(700)가 구성되는 레인(110)의 양측 베이스프레임(100) 위에 올려져 설치되지만, 세척프레임(710)의 하부 프레임은 후면 프레임과 연결되지 못하고 끊어진 형태로 형성된다.The cleaning frame 7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00 of the lane 110 constituting the cleaning part 700. The cleaning frame 710 is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five open sides except for the top surface, The lower frame is not connected to the rear frame and is formed in a broken shape.

따라서, 세척프레임(710)의 하부 프레임은 레인(110)의 이송롤러(140)와 이격된 하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후면 프레임과도 이격된 후방 공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성형판(190)의 하판(191)은 하부 공간을 통해 이동되고, 오픈된 상판(192)은 후방 공간을 통해 이동되어 세척프레임(710) 내에 구비된다.The lower frame of the cleaning frame 710 forms a lower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roller 140 of the lane 110 and forms a rear space which is also separated from the rear frame, (191) is moved through the lower space, and the opened upper plate (192) is moved through the rear space and is provided in the cleaning frame (710).

또한, 회전축(730)은 그 하단부에 다수의 세척브러쉬(740)가 일렬로 나열되게 구비되고, 이와 같이 일렬로 구비된 세척브러쉬(740)는 회전축(7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척프레임(710) 내에 구비된 하판(191)의 상면을 원형을 그리며 세척하게 된다.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740 are arranged in a row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730. The cleaning brush 740 arranged in a row is rotated by the rotary shaft 730 to rotate the cleaning frame 7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91 provided in the lower plate 191 is circularly drawn.

이와 같은 세척브러쉬(740)는 누룽지가 제조되는 하판(191)의 상면을 충분히 커버하여 세척할 수 있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brush 740 is provided in a number that can sufficiently clean and clea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91 on which the burnishing rubbers are manufactured.

한편, 상기와 같은 세척과정이 완료된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전술한 공급부로 이동되어 다시 하판(191) 위로 쌀을 공급받게 된다.In the meantime, the plate 190 having been cleaned as described above is moved to the above-described supply unit in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192 is opened, and the rice is supplied to the lower plate 191 again.

건조부(800)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누룽지를 건조시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S. 16 and 18, the drying unit 800 is configured to dry and discharge the burned rice produced in the forming plate 190 and discharged.

건조부(80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배출가이더(160)에 의해 성형판(190)에서 배출되는 누룽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840)와, 이송컨베이어(840)에서 이송되어 온 누룽지를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컨베이어(810)와, 건조컨베이어(810)에 반복 회전되게 구비되어 누룽지를 자연 건조시키는 메쉬망(811)을 포함한다.The drying unit 800 includes a conveying conveyor 840 installed adjacent to the base frame 100 and conveying the burning paper discharged from the forming plate 190 by the discharging guider 160 and a conveying conveyor 840 convey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840 A drying conveyor 810 for conveying and drying the hot rolled paper, and a mesh network 811 for repeatedly rotating the drying conveyor 810 to naturally dry the hot rolled paper.

이송컨베이어(84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근접한 위치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에는 컨베이어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 2에서 "841")가 구비된다.The conveying conveyor 840 is provided at an inclined position near the base frame 100 and a motor ("841" in FIG. 2)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conveyor belt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nveying conveyor 840.

그리고, 건조컨베이어(810)는 평탄한 컨베이어로서, 그 일단부가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에 연결되어 이송컨베이어(840)에서 이송되어 오는 누룽지가 후술될 회전판(850)에 의해 건조컨베이어(810)로 이송되어 공급된다.The drying conveyor 810 is a flat conveyor and one end of the drying conveyor 8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840 and the burning ration convey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840 is conveyed to the drying conveyor 810 by a rotary plate 850 And then fed.

이때, 건조컨베이어(810)에는 통상적인 컨베이어벨트 대신 메쉬망(811)을 벨트화하여 구비하고, 이와 같이 구비된 메쉬망(811)은 모터(82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At this time, the drying conveyor 810 is provided with a mesh net 811 instead of a conventional conveyor belt, and the mesh net 811 thus provided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motor 820.

따라서, 메쉬망(811) 위에 놓여져 이송되는 누룽지는 메쉬망(811)의 통기공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 중에 자연 건조된다.Accordingly, the burned rice which is placed on the mesh net 811 and transported is naturally dried during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by the air vent of the mesh net 811.

또한, 건조컨베이어(810)와 이송컨베이어(840) 간의 연결부에는 이송컨베이어(840)에서 이송되어 온 누룽지를 회전시켜 건조컨베이어(810)로 공급하는 회전판(850)이 구비된다.A rotary plate 850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rying conveyor 810 and the conveying conveyor 840 to rotate the burning ration transferr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840 to the drying conveyor 810.

회전판(85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86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블럭(860)의 하부에는 모터(851)가 설치되어 회전판(850)을 고정블럭(860) 상에서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즉, 모터(851)에서 인출되는 모터축이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블럭(860)을 관통하여 회전판(850)에 결합됨으로써 회전판(85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 rotary plate 850 is rotatably mounted on a fixed block 860 fixed to the base frame 100 and a motor 851 is installed below the fixed block 860 to connect the rotary plate 850 to the fixed block 860 ). That is, the motor shaft drawn out of the motor 851 passes through the fixing block 860 through the bearing a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plate 850, so that the rotation plate 850 can be rotated.

그리고, 건조컨베이어(810)의 입구 선단부에는 회전판(850)을 지나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에 이르는 건조용 가이더(830)가 완만하게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840)와 회전판(850)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누룽지를 건조컨베이어(810) 측으로 가이드하여 공급하고, 건조용 가이더(830)와 마주하는 건조컨베이어(810)의 입구 반대편 단부에는 회전되는 누룽지가 걸림되어 자연스럽게 건조컨베이어로 공급되게 하는 보조가이더(831)가 더 구비된다.A drying guider 830 passing through the rotary plate 850 and rea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840 is gently rounded in an arc shape at the inlet end of the drying conveyor 810 so that the conveying conveyor 840, And a drying conveyor 810. The drying conveyor 810 is provided with a drying conveyor 810 and a drying conveyor 810. The drying conveyor 810 includes a drying conveyor 810, The auxiliary guider 831 is provided.

따라서, 회전판(850)의 회전에 의해 건조컨베이어(810)로 공급되는 누룽지는 건조용 가이더(830)와 보조가이더(831)에 의해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공급됨으로써 이송되어 오는 모든 누룽지를 건조컨베이어(810)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burned rice supplied to the drying conveyor 810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850 is naturally guided and supplied by the drying guider 830 and the auxiliary guider 831, so that all the transferred burnished rice is conveyed to the drying conveyor 810, As shown in FIG.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쌀 공급기와, 쌀 공급기에서 성형판으로 공급되는 쌀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rice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ly of rice supplied to the plate from the rice feeder.

먼저, 쌀 공급기(9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된 쌀이 공급되는 호퍼(910)와, 호퍼(9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호퍼(910)를 개폐시켜 세척된 쌀의 오염을 방지하는 덮개(911)를 포함한다.19, the rice feeder 900 includes a hopper 910 to which washed rice is fed, and a rice hopper 91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pper 910 to open and close the hopper 910, And a cover 911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쌀 공급기(900)의 호퍼(910) 하부에는 호퍼(910) 내로 공급된 세척된 쌀을 누룽지 제조장치(1)의 공급부에 위치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일정량으로 공급하는 스크류컨베이어(920)가 구비된다.A screw conveyor for feeding the washed rice fed into the hopper 910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located at the feeding portion of the rice bur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910 of the rice feeder 900, (920).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스크류컨베이어(920)는 쌀을 일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쌀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screw conveyor 920 can supply the rice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amount of rice to be supplied can be easi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ri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의 작동관계를 전반적으로 설명하되, 누룽지 재료로 쌀이 이용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ice cake including the inverting apparatus for making a rice c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general. Rice is used as the rice rice material.

먼저, 쌀 공급기(900)의 호퍼(910)로 공급된 세척된 쌀은 도 19에서와 같이, 다시 호퍼(910) 하부에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920)를 통해서 누룽지 제조장치(1)의 공급부에 위치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정량 공급된다.19, the washed rice fed to the hopper 910 of the rice feeder 900 is fed to the feeder of the rice bur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through the screw conveyor 920 provided below the hopper 910 And is supplied in a fixed amount onto the lower plate 191 of the placed forming plate 190.

물론, 이때 성형판(19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레인(110)(120)을 돌아오는 과정에서 오픈부(400)에서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이동되어 공급부에 위치된 것이다.Of cours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lanes 110 and 120 of the base frame 100, the shaping plate 190 is moved in the opened state in the open part 400 and is positioned in the supply part .

한편, 상기와 같이 하판(191) 위에 쌀이 공급된 성형판(190)은 반전부(300)에서 이송블럭(360)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판(190) 하나의 이송거리 즉 성형판(190)의 길이만큼씩 연속해서 이동되어 간다.The mold plate 190 to which the rice is supplied on the lower plate 191 as described above is moved by the feed distance of the plate 190 that is fed by the feed block 360 from the inverting unit 300, As shown in Fig.

이때,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레인(110)(120)에는 다수의 성형판(190)이 간격없이 일렬로 구비된 상태이고, 반전부(300)의 이송블럭(360) 상에만 성형판(19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서, 다수의 성형판(190)은 이송블럭(360)에 의해 이송되는 하나의 성형판(190)의 길이만큼씩 이동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molding plates 190 are provided in a row in a row on each of the lanes 110 and 120 of the base frame 100, and the molding plate 190 is formed only on the transfer block 360 of the inverting unit 300 The plurality of forming plates 190 are moved by the length of one forming plate 190 conveyed by the conveying block 360. In this case,

이와 같이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펼침부(200)의 지지프레임(210) 내로 진입되어 공급된다.5 to 8, the molding plate 190 moved into the support frame 210 of the unfolding unit 200 is supplied.

그러면, 지지판(220)에 차례로 구비된 다수의 펼침장치(250)(260)(270) 중에서 펼침날개(254)(264)(274)가 상대적으로 높게 구비된 제 1 펼침장치(250)가 먼저 작동하여, 제 1 펼침날개(254)를 통해 하판(191) 위에 공급되어 있던 쌀이 분산되어 1차로 펼치게 된다.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having the spreading blades 254, 264, and 274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spreading device 250, 260, and 270, which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220, The rice that has been supplied onto the lower plate 191 through the first spreading blade 254 is dispersed and spreads first.

이후, 성형판(190)이 이동되면서 차례로 제 2 펼침장치(260)와 제 3 펼침장치(270)의 각 펼침날개(264)(274)에 의해서 더 얇게 2,3차로 펼쳐지게 되고, 이와 같이 펼쳐지는 쌀은 성형가이더(257)(267)(277) 내에서 펼쳐짐으로써 쌀의 이탈이 방지되어 쌀이 일정한 두께로 펼쳐지므로 일정한 두께와 형태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as the forming plate 190 is moved, the spreading blades 264 and 274 of the second spreading device 260 and the third spreading device 270 are sequentially and thinly spread by the second spreading device 264 and the second spreading device 270, The rice is spread out in the molding guiders 257, 267 and 277, so that the ric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ice, and the rice is spread to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rice cake can be formed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shape.

한편, 상기와 같이 하판(191) 위의 쌀을 펼치는 펼침장치(250)(260)(270)들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상부 부싱(252)(262)(272)을 회전시켜 회전축(253)(263)(273) 및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이의 미세 조정폭은 각 상부 부싱(252)(262)(272)에 접촉되어 있는 다이얼 게이지(256)(266)(276)를 통해서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readers 250, 260 and 270 for spreading the rice on the lower plate 191 manually rotate the upper bushes 252, 262 and 272 to rotate the rotary shaft 253 263) 273 and the spreading wings 254, 264, 274 and its fine adjustment width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al gauge 256 in contact with each of the upper bushings 252, 262, (266) and (276).

따라서, 상기와 같이 쌀의 펼쳐진 두께(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Thus, since the spreading thickness (height) of the rice can be finely adjus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rice burners of various thicknesses in accordance with consumers' preferences.

이와 같이 펼침부(200)를 통과하면서 쌀이 원하는 두께로 펼쳐진 성형판(19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을 따라 이동되고, 성형판(190)의 상판(192)은 펼침부(200)를 벗어나기 전까지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50)에 걸림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성형판(190)은 오픈된 상태로 이동된다.The plate 190 is moved along the lane 110 of the base frame 100 while the rice is spread to a desired thickness while passing through the spreader 200. The upper plate 192 of the plate 190 is rotated The mold plate 190 is moved to the opened state by being engaged with the guide rail 150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until the mold plate 190 is moved out of the mold frame 200.

이후, 성형판(190)이 펼침부(200)를 벗어나면서 상판(192) 역시도 가이드레일(150)에서 벗어나게 되지만, 상판(192)은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150)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50)의 단부에 근접하게 구비된 클로징가이더(170)에 걸이용 브라켓(193)이 끼워져 구비됨으로써 오픈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이동과정 중에 성형판(190)의 하판(191)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버너(130)에 의해 가열된다.9, the upper plate 192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150 while the forming plate 190 is moved out of the unfolded portion 200.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plate 192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150, Since the bracket 193 is fitted to the closing guider 170 provided close to the end of the rail 150, the bracket 193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open state. During the movement process, (191) is heated by the burner (130) of the base frame (100).

이와 같이 오픈 상태로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반전부(30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향 경사진 클로징가이더(170)에 의해 점차 하판(191) 측으로 회전되다가 결국에는 하판(191)에 포개져 덮힌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The mold plate 190 which is moved in the open state is gradually moved toward the lower plate 191 by the closing guider 170 inclined downwardly as it is moved toward the inverting unit 300 and eventually is covered by the lower plate 191 State.

한편, 덮힌 상태로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버너(130)에 의해 계속해서 가열되면서 반전부(300) 측에 이르게 되고, 성형판(190)이 반전부(300)에 도달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된 제 1 위치감지센서(180)가 성형판(190)을 감지하여 이의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미도시)로 인가하고, 컨트롤러는 그립퍼(34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lding plate 190 moved in a covered state is heated by the burner 130 to reach the inverting unit 300 side. When the molding plate 190 reaches the inverting unit 300,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180 provided on the base frame 100 senses the shaping plate 190 and applies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ripper 340 Respectively.

따라서, 벌어져 있던 그립퍼(340)가 성형판(190)의 상판(192)과 하판(191)의 외측면에 각각 접하면서 도 11에서와 같이 성형판(190)을 잡아 그립핑하게 된다.Therefore, the gripper 340, which has been touched, touches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192 and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gripping and gripping the forming plate 190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그립퍼(340)가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상승된 후, 이동실린더(310)에 의해 승강실린더(320)가 인접한 다른 레인(120)으로 이동되어 위치되고(이때,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는 상승된 그립퍼(340)가 180도 회전되어 반전된 후 인접한 다른 레인(120)으로 이동된다), 다시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하강되어 성형판(190)을 이송블럭(360) 위에 안착시킨 다음, 그립퍼(340)는 성형판(190)을 잡고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어 벌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after the gripper 340 is lifted by the lifting cylinder 320, the lifting cylinder 320 is moved to the adjacent another lane 120 by the lifting cylinder 310 (at this time, The elevated gripper 340 is rotated by 180 degrees and then reversed and then moved to another adjacent lane 120) and then lowered by the lifting cylinder 320 to seat the forming plate 190 on the conveying block 360 The gripper 340 releases the pressing force holding the forming plate 190 and opens.

이때, 이동실린더(310)에 의해 승강실린더(32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레인(110)에서 타측 레인(120)으로 이동되면,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된 제 2 위치감지센서(390)가 승강실린더(320)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의 감지신호를 컨트롤러에 인가함으로써 승강실린더(320)의 이동이 정지되고, 그립퍼(340)에 그립핑된 성형판(190)은 타측 레인(12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므로 성형판(190)은 정확히 타측 레인(120) 위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cylinder 320 is moved from the one side lane 110 to the other side lane 120 of the base frame 100 by the moving cylinder 310, the second position detection The sensor 390 senses the movement of the lifting cylinder 320 and applie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to stop the movement of the lifting cylinder 320. The forming plate 190 gripped by the gripper 340 is moved to the other side The molding plate 190 may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lane 120 so that the molding plate 190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lane 120.

한편, 상기와 같이 타측 레인(120)에 구비되어 그립퍼(340)가 벌어지면, 이송실린더(370)가 이송블럭(360)을 당기게 되고, 당겨진 이송블럭(360)은 그 선단부의 돌출블럭(361)이 성형판(190)의 선단면에 접하면서 성형판(190)을 그립퍼(340)로부터 빼내 분리시키게 된다.When the gripper 340 is opened in the other lane 120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cylinder 370 pulls the transfer block 360, and the pulled transfer block 360 is pushed by the protruding block 361 The mold plate 190 is pulled out of the gripper 340 and separated from the mold plate 19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mold plate 190.

이때, 이송실린더(37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격판(180)에 의해 버너(130)와 격리됨으로써 격판(180)에 의해 버너(130)의 열이 이송실린더(370)로 전도됨이 차단되어 이송실린더(370)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fer cylinder 370 is isolated from the burner 130 by the diaphragm 180 of the base frame 100 so that the heat of the burner 130 is conducted to the transfer cylinder 370 by the diaphragm 180, So that malfunction of the transfer cylinder 37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따라서, 이송블럭(360)에 의해 그립퍼(340)로부터 분리되는 성형판(190) 하나의 이동거리만큼씩 레인(120) 상의 모든 성형판(190)이 이동되고, 이 과정 중에 모든 성형판(190)은 버너(130)에 의해 계속 가열되며, 레인(120)의 단부에서는 또 다른 반전부(30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립퍼(340)의 작동으로 인접한 처음 레인(110)으로 성형판(190)이 이송된 후, 다시 처음 레인(110)에서 이동된다.All of the molding plates 190 on the lane 120 are moved by the movement distance of one molding plate 190 separated from the gripper 340 by the transfer block 360 and all the molding plates 190 Is heated by the burner 130 and is heated at the end of the lane 120 by another inverting unit 300 into the adjacent first lane 110 by operation of the gripper 340 as described above, Is transferred, and then moved from the first lane 110 again.

이와 같이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오픈부(400)에 위치되는 바, 상판(192)이 덮힌 상태의 성형판(190)은 도 13에서와 같이,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오프너(420)의 걸림바(422) 위에 위치하게 된다.The molding plate 190 moved in this manner is located in the open part 400. The molding plate 190 with the upper plate 192 covere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Is positioned above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

이 상태에서 작동실린더(410)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411)가 인출되면 도 14에서와 같이, 하강되는 피스톤로드(411)에 의해 오프너(420)의 링크바(423)가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일체로 구비된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에 걸림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회전시켜 오픈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 상판(192)과 하판(191)의 힌지부는 오프너(420) 측으로 위치되어야 하고, 오픈된 상판(192)은 오프너(420) 측에 근접하게 위치된다.14, when the operating cylinder 410 is operated and the piston rod 411 is pulled out, the link bar 423 of the opener 420 is moved to the hinge shaft 421 by the lowered piston rod 411, And the latching bar 422 of the opener 4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atching bar 422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the latching bracket 193 of the upper plate 192 hooked, The upper plate 192 is rotated to open. Of course, at this time, the hing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192 and the lower plate 191 should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opener 420, and the open top plate 192 is positioned close to the side of the opener 420.

그리고,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성형판(190)은 계속 이동되는데, 이때 오프너(420)에 근접하게 구비된 가이드레일(150)에 상판(192)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됨으로써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안정적인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192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150 provided close to the opener 420, and guided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192 The forming plate 190 can be stably moved in a state that the top plate 192 is open.

이와 같이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도 15에서와 같이, 분리부(500)로 진입되기 전에 감지부(600)에서 감지센서(620)에 의해 상판(192)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고, 그 결과 상판(192)이 오픈 상태면 그대로 분리부(500)로 이동되지만, 상판(192)이 덮힌 상태면 반전부(3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성형판(190)의 이동을 멈추게 되고, 해당 성형판(190)을 정비한다.15, whether or not the upper plate 192 is opened or closed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620 in the sensing unit 600 before entering the separating unit 500, The upper plate 192 is moved to the separating unit 500 as it is in the open state. However, when the upper plate 192 is covered, the operation of the inverting unit 300 is stopped to stop the movement of the forming plate 190, The plate 190 is maintained.

이후, 오픈된 성형판(190)이 분리부(500)에 위치되면, 분리판(520)이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open forming plate 190 is placed in the separating part 500, the separating plate 5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top plate 192.

이 상태에서 작동실린더(510)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511)를 인출시키고, 인출되어 하강되는 피스톤로드(511)에 의해 분리판(520)이 상판(19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내측면을 위에서 아래로 긁어 내림으로써 상판(192)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손쉽게 떼내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operating cylinder 510 is operated to pull out the piston rod 511, and the piston rod 511, which is drawn out and lowered, moves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ng plate 5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192 is easily scraped off and separated by scraping the inner side from top to bottom.

그리고, 이와 같은 분리부(500)의 작동은 모든 성형판(190)마다 실시될 수도 있지만, 누룽지가 상판(192)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성형판(190)에만 실시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of the separating unit 500 may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forming plates 190, but may be performed only on the forming plate 190 where the baking rugs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92.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판(520)에 의해 떨어진 누룽지는 하판(191) 위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rning paper separated by the separating plate 520 is provided on the lower plate 191 as described above.

이 상태에서 성형판(190)이 이동되어 분리부(500)를 벗어나면, 배출가이더(160)를 만나게 되고, 이 배출가이더(160)의 하부를 성형판(190)의 하판(191)이 통과하면서 하판(191) 위의 누룽지가 배출가이더(160)에 의해 걸림되어 도 16에서와 같이 건조부(800)의 이송컨베이어(840) 위로 떨어져 이송된다.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ing guider 160. When the lower plate 191 of the forming plate 190 passes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500, The burned rice on the lower plate 191 is caught by the discharge guider 160 and is transported off the conveying conveyor 840 of the drying unit 80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누룽지가 배출된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계속 이동되어 도 17에서와 같이 세척부(700)의 세척프레임(710) 내로 진입되어 위치된다.The mold plate 190 from which the burned rice is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is continuously mov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192 is opened and enters the cleaning frame 710 of the cleaning unit 700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모터(720)에 의해 회전축(730)이 회전되면, 회전축(730)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세척브러쉬(740)가 하판(191)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원을 그리며 회전되어 하판(191)의 상면을 세척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rotary shaft 730 is rotated by the motor 720,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740 provided below the rotary shaft 730 are rotated in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91, 191).

이후, 세척부(700)에서의 세척이 완료된 성형판(190)은 세척부(700)를 벗어나 다시 공급부로 이동되고, 공급부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쌀 공급기(900)로부터 정량의 쌀을 공급받아 다시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을 따라 이동된다.Thereafter, the plate 190 that has been cleaned in the cleaning unit 700 is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700, and is then moved to the supply unit. In the supply unit, a predetermined amount of rice is supplied from the rice feeder 900, Is moved along the lane 110 of the base frame 100.

한편, 배출가이더(160)에 의해 건조부(800)의 이송컨베이어(840)로 배출된 누룽지는 도 16 및 도 18에서와 같이,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누룽지는 건조용 가이더(830)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판(850) 측으로 이송되고, 이는 다시 회전판(850)의 회전과 건조용 가이더(830)에 의해 건조컨베이어(810) 측으로 이송되면서 누룽지가 보조가이더(831)에 걸림되어 건조컨베이어(810) 내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rned rudde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guider 160 to the conveying conveyor 840 of the drying unit 800 is convey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840 as shown in Figs. The thus transferred noodle paper is naturally conveyed to the rotary plate 850 side by the drying guider 830 and is conveyed to the drying conveyor 810 side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850 and the drying guider 830, And is fed into the drying conveyor 810 by being hooked on the auxiliary guider 831. [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급된 누룽지는 건조컨베이어(810)의 메쉬망(811) 위에 올려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메쉬망(811)의 통기성에 의해 자연 건조된 후 배출됨으로써 상품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upplied burned rice is naturally dried by the air permeability of the mesh net 811 while being conveyed in a state of being put on the mesh net 811 of the dry conveyor 810, and then discharg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제조장치 100 : 베이스프레임
110,120 : 레인(lane) 130 : 버너
140 : 이송롤러 150 : 가이드레일
160 : 배출가이더 170 : 클로징가이더
180 : 격판 190 : 성형판
191 : 하판 192 : 상판
193 : 걸이용 브라켓 200 : 펼침부
210 : 지지프레임 220 : 지지판
230 : 승강실린더 240 : 승강프레임
250,260,270 : 펼침장치 251,261,271 : 하부 부싱
252,262,272 : 상부 부싱 253,263,273 : 회전축
254,264,274 : 펼침날개 255,265,275 : 풀리
256,266,276 : 다이얼 게이지 257,267,277 : 성형가이더
280 : 모터 281 : 풀리
282 : 벨트 300 : 반전부
310 : 이동실린더 320 : 승강실린더
330 : 승강블럭 340 : 그립퍼
350 : 회전블럭 351 : 모터
360 : 이송블럭 361 : 돌출블럭
362 : 패드부재 370 : 이송실린더
380,390 : 위치감지센서 400 : 오픈부
410 : 작동실린더 411 : 피스톤로드
420 : 오프너(opener) 421 : 힌지축
422 : 걸림바 423 : 링크바
500 : 분리부 510 : 작동실린더
511 : 피스톤로드 520 : 분리판
530 : 고정블럭 531 : 각도조정공
540 : 힌지핀 550 : 고정핀
600 : 감지부 610 : 고정브라켓
620 : 감지센서 700 : 세척부
710 : 세척프레임 720 : 모터
730 : 회전축 740 : 세척브러쉬
800 : 건조부 810 : 건조컨베이어
811 : 메쉬(mesh)망 820 : 모터
830 : 건조용 가이더 831 : 보조가이더
840 : 이송컨베이어 841 : 모터
850 : 회전판 851 : 모터
860 : 고정블럭 900 : 공급기
910 : 호퍼 911 : 덮개
920 : 스크류컨베이어
1: Manufacturing apparatus 100: Base frame
110, 120: lane 130: burner
140: Feed roller 150: Guide rail
160: Exhaust guider 170: Closing guider
180: diaphragm 190: molded plate
191: lower plate 192: top plate
193: hanging bracket 200: unfolding part
210: support frame 220: support plate
230: lift cylinder 240: lift frame
250, 260, 270: spreader device 251, 261, 271: lower bushing
252, 262, 272: upper bushing 253, 263, 273:
254,264,274: Spread wings 255,265,275: Pulley
256,266,276: dial gauge 257,267,277: forming guider
280: motor 281: pulley
282: belt 300:
310: transfer cylinder 320: lift cylinder
330: lift block 340: gripper
350: rotating block 351: motor
360: transfer block 361: protrusion block
362: Pad member 370: Feed cylinder
380,390: position sensor 400: open part
410: Operation cylinder 411: Piston rod
420: opener 421: hinge shaft
422: hanging bar 423: link bar
500: separator 510: working cylinder
511: piston rod 520: separator plate
530: fixed block 531: angle adjusting ball
540: Hinge pin 550: Fixing pin
600: sensing unit 610: fixed bracket
620: Detection sensor 700: Cleaning section
710: Cleaning frame 720: Motor
730: rotating shaft 740: cleaning brush
800: Drying section 810: Drying conveyor
811: mesh network 820: motor
830: Drying gauge 831: Secondary guider
840: conveying conveyor 841: motor
850: Tumbler 851: Motor
860: Fixed block 900: Feeder
910: hopper 911: cover
920: Screw conveyor

Claims (8)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성형판에 구비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된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는 반전장치;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A reversing device for making a rice cake by using both rice and rice as a rice cake material,
A base frame having at least one burner;
A molding plate which is provided with a lower plate to which the rubbing material is supplied and an upper plate that covers the lower plate and is heated while being moved in the base frame; And
And a reversing device for selectively reversing the heated plate according to the curd material provided on the curved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전장치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잡는 그립퍼;
그립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versing device includes: a gripper for holding a molding plate transferred from the base frame;
A lift block rotatably provided with a gripper;
An ascending / descending cylinder for vertically mov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And
And a moving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cylinder.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는 반전장치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감지하여 그립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1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sensing the formed plate fed to the revers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pper.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는 일측 레인에서 타측 레인으로 수평 이동되는 승강실린더를 감지하여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an elevating cylinder horizontally moved from the one lane to the other lan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elevating cylinder.
청구항 2에 있어서,
그립퍼는 성형판에 구비된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만 승강블럭에서 180도로 반전되어 구비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ipper is provided by being reversed 180 degrees from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only when the scraping material provided on the scraping plate is rice.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의 버너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이송실린더; 및
이송실린더에 연결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그립퍼에 의해 이동되어 온 성형판을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블럭;을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transfer cylinder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rner of the base frame; And
And a transfer block connected to the transfer cylinder and reciprocating in the base frame for transferring the forming plate moved by the gripper from the base frame.
청구항 6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는 버너와 이송실린더를 격리시키는 격판이 더 구비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ase frame further comprises a diaphragm for isolating the burner and the transfer cylinder.
청구항 6에 있어서,
이송블럭에는 그립퍼에 의해 이동되어 온 성형판에 걸림되어 성형판을 이송시키는 돌출블럭이 돌출 형성되고,
성형판과 접하는 돌출블럭에는 패드부재가 구비되는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fer block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molding plate which is moved by the gripper to transfer the molding plate,
And a protruding block contacting the form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ad member.
KR1020160152099A 2016-11-15 2016-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1926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99A KR101926542B1 (en) 2016-11-15 2016-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99A KR101926542B1 (en) 2016-11-15 2016-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012A true KR20180055012A (en) 2018-05-25
KR101926542B1 KR101926542B1 (en) 2018-12-11

Family

ID=6229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99A KR101926542B1 (en) 2016-11-15 2016-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5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909B1 (en) * 2019-10-28 2020-03-18 윤명숙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KR20200076390A (en) * 2018-12-19 2020-06-29 전영제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crete Forming Pan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51B1 (en) 2021-04-07 2023-10-25 이태원 A Scorched Rice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en) * 2012-03-05 2012-09-11 조성미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90A (en) * 2018-12-19 2020-06-29 전영제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crete Forming Panels
KR102090909B1 (en) * 2019-10-28 2020-03-18 윤명숙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542B1 (en)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15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192654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197982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1066976B1 (en) Manufacturing facility of rice noodles
KR101999310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a molded plate
KR101926545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CN104542765A (en) Baked bun maker
CN108943366A (en) A kind of full-automatic assembly line for ceramic blank processing
KR20210070479A (en) Conveyor-type food production equipment
CN207313920U (en) A kind of Novel cloth dryer
CN101263846A (en) Multi-pan continuously tea frying and drying machine
JP2007124921A (en) Rolling/drying line in tea manufacture,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line
CN111035199B (en) Processing method of chrysanthemum filling for health care pillow
KR102073524B1 (en) Rice cake molding machine
CN105557788B (en) A kind of food processor
CN209806972U (en) Steamed twisted roll forming machine with blanking assembly
CN111121413A (en) A system of processing for health care pillow chrysanthemum filler processing
KR101573291B1 (en) Apparatus for making scorched rice
CN113581521B (en) Automatic packaging equipment for fine dried noodles
CN204707903U (en) Drum drive formula fries tea machine
CN209345960U (en) A kind of multilayer network chain type tea drier
KR20230171682A (en) Crust of overcooked rice manufacturing system
CN208940995U (en) It is a kind of for processing the drying unit of dried sweet potato
KR102352090B1 (en) Automatic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CN201188853Y (en) Multi-boiler continuous tea frying roa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