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865A -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 Google Patents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865A
KR20180053865A KR1020160150945A KR20160150945A KR20180053865A KR 20180053865 A KR20180053865 A KR 20180053865A KR 1020160150945 A KR1020160150945 A KR 1020160150945A KR 20160150945 A KR20160150945 A KR 20160150945A KR 20180053865 A KR20180053865 A KR 2018005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rotation
operation signal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1108B1 (en
Inventor
현도익
현바오로
Original Assignee
현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도익 filed Critical 현도익
Priority to KR1020160150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108B1/en
Publication of KR2018005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can rotate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rotated respectively,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so as to enable two wheels of a robot to be rotated together. Accordingly, movement of the robot can be directly recogniz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robot can be easily understood. Moreover, the robot can be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fatigue caused by operation.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feel interest through operation of the rotating parts.

Description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본 발명은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회전하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봇의 두 바퀴도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조작에 의한 피로감 없이 편하게 로봇을 장시간 조작할 수 있고, 회전부의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ontroller that rotates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which rotate respectively in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wo wheels of the robot are rotated together, The robot can be easily intuitively perceived by the user and can easily understand the motion of the robot, can operate the robot comfortably for a long time without fatigue caused by manipulation, and can generate a user's interest through manipulation of the rotation part To a remote controller using a rotating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자동화의 일환으로 사용되거나, 인간이 견딜 수 없는 극한의 환경에서 인간을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로봇 공학분야는 근래에 들어 최첨단의 우주개발산업에 사용되면서 발전을 거듭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인간친화적인 가정용 로봇의 개발에까지 이르렀다. 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used as part of factory automation, or to perform tasks on behalf of humans in extreme environments that humans can not tolerate. These robotic engineering fields have recently been used in the most advanced space development industry and have been developed and developed into human-friendly home robots in recent years.

가정용 로봇은 산업용 로봇에 국한되어왔던 기존의 중공업 중심의 로봇공학분야를 경공업 중심의 로봇공학 분야에까지 확대시킨 주역으로, 대표적인 예로 청소용 로봇, 교육용·완구용 로봇 등을 들 수 있으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바닥에 달린 바퀴에 의해 이동하며 무선 또는 유선의 리모컨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Household robots are the leading companies that have expanded the existing heavy industry-oriented robotic engineering field, which has been limited to industrial robots, to the field of robotic engineering centered on light industry. Typical examples are robots for cleaning robots and robots for educational and toys. It is moved by a wheel on the floor and is designed to be operated by wireless or wired remote control.

그러나 로봇의 작동을 위한 리모컨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단순한 조작기로 구성되거나, 특히 교육용·완구용 로봇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버튼, 스틱이 구비된 조작기를 이용하여 로봇을 움직이도록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However,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may be constituted by a simple actuator as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obot for educational / toy use, an actuator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button or stick, In most cases.

따라서, 기존의 버튼, 스틱이 구비된 조작기를 통해서는 로봇의 이동에 대한 조작이 어렵고, 버튼 또는 스틱의 조작에 따른 피로누적으로 장시간 로봇의 운전이 불가능하며, 버튼 또는 스틱의 조작에 따른 로봇의 동작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워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를 고취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robot through the manipulator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button and stick, and it is impossible to operate the robot for a long time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or the stic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motion intuitively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motion of the robot.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0645818호(2006. 11. 07. 등록)"이동로봇 무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45818 (Registered on Nov. 07, 2006) "Mobile robot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조작에 의한 피로감 없이 로봇을 장시간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which can intuitively recognize a motion of a robot and can easily understand the motion of the robot, can operate the robot for a long time without fatigue by manipulation, And a remote controller using the rotary part.

본 발명은 로봇의 다양한 움직임을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아동들의 경우에도 직관적 인식을 통한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which enables various motions of robots to be manipulated very easily, and in particular, enables easy manipulation through intuitive recognition even in children.

본 발명은 양 조작부를 잡는 손이 배터리장착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for allowing a hand holding both operating parts to be supported on a battery mounting part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 모양, 색상의 프레임이 리모컨에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형태의 리모컨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that can form various types of remote controllers that can attract a user's interest by allowing frames of various shapes, shapes, and colors to be assembled to a remote controller .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은 각각 회전하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가지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신호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part having first rotating parts and second rotating parts that rotate respectively, and an operating par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And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a specific movement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unit and the second rota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회전 방향이 동일할 때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ry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par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rota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are the same,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to be outpu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될 때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art may transmit a specific movement of the robot when the rotating directions of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는 정지하고 나머지 하나가 회전할 때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ar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is stopped, The operation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causing a specific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to be per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를 동시에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봇의 좌륜과 후륜이 모두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 전진하고, 양측을 동시에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륜과 후륜이 모두 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 후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robot moves forward and the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so that both the left and right wheels rotate in the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robot moves back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머지 하나를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봇의 좌륜과 우륜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art rotates any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robot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robot is rotated in pl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만을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봇의 좌륜 또는 우륜 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하여 로봇이 일정 반경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ng part rotates only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r the right wheel rotates to allow the robot to make a left or right turn at a certain radiu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리모컨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심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중심구조체의 양측에 한 쌍이 결합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신호전달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중심구조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조작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조작부가 고정·결합되어 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로봇으로 전달하며, 조작신호전달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central structur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center structur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in such a manner that the operation unit is rotatable; A rotating plate whic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operating portion being fixedly coupled and rotated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a control unit which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ransmits signal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the robo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조체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고정틀과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신호전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와; 일측이 상기 고정틀 및 결합플레이트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배터리장착부와 결합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결합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고정틀 및 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장착부와 맞닿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ixed frame protruding inwardly and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An engaging plat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xed frame on both sides; A battery mounting portion to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is mounted; And a connecting plate having one side engaged with the fixing frame and the engaging plate and the other side engaging with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the connecting plate having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abut on the inside of the fixing frame; A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perpendicularly from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horizontal with the ground surface and supported by the fixing frame and the coupling plate; And a coupling part vertically bent from a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downward to engage with the battery mounting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 결합플레이트, 배터리장착부의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리벳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 모양, 색상의 프레임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리모컨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공은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리벳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내에 삽입되어 삽입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일 지점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과, 일단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조작부재의 끝단에서 일정 길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late formed to penetrate the coupling plate, a coupling plate, and a battery loading 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surface, The remote control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colors, and colors by including connecting rivets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able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engaging holes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Wherein the connecting rivet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fixed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an oper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insertion member, A projection protruding inward at one point of the guide groove, A fixed projection protruding along a rail, and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formed to be a predetermined length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opera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각각 회전하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봇의 두 바퀴도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조작에 의한 피로감 없이 편하게 로봇을 장시간 조작할 수 있고, 회전부의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two wheels of the robot are rotated together, thereby enabling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motion of the robot. The robot can be easily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fatigue caused by manipulation, an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s interest through manipulation of the rotary part.

본 발명은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또한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킬 때, 각각 로봇의 다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로봇의 다양한 동작을 매우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rotating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rotating them in opposite directions, and rotating only on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So that various operations of the robot can be operated very easily.

본 발명은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를 모두 전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로봇의 바퀴도 모두 전진하도록 하고, 모두 후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로봇의 바퀴도 모두 후진하도록 하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를 반대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로봇의 바퀴도 반대로 회전하여 로봇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로봇의 바퀴도 하나만 회전하여 일정 반경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더욱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특히 아동들의 용이한 조작과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are forwardly rotated, the wheels of the robot are all advanced, and when all of the wheels are reversely rotated, the wheels of the robot are all also moved backward, and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are reversed When the robot is rotated, the robot also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otate the robot. When the robot rotates only one of the first rotation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on portion, only one wheel of the robot rotates to make a left or right turn of a certain radius It is possible to more intuitively recognize the motion of the robot, and thus it is possible to educate the robot about the easy operation and the motion of the robot.

본 발명은 양 조작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구조체가 '┌┐'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작신호전달부의 본체와 결합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하고, 연결플레이트의 후측에는 배터리장착부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양 조작부를 잡는 손이 배터리장착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structure formed at the center of both operating portions includes a connection plate formed in a shape of '?' 'To engage with the main body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and for holding the opera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본 발명은 리모컨을 형성하는 연결플레이트, 결합플레이트, 배터리장착부 등의 외면에 결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결합공에는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리벳이 삽입되어 연결플레이트, 결합플레이트, 배터리장착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 모양, 색상의 프레임이 리모컨에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형태의 리모컨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an outer surface of a connection plate, a coupling plate, a battery mounting portion, etc. forming a remote controller, and a connection rivet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detachabl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shapes, shapes, and colors of frames can be assembled to the remote controller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that various types of remote controllers that generate interest can be formed.

도 1은 종래 리모컨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조작신호전달부의 사시도
도 5는 회로기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회전판이 본체에 삽입된 상태의 내측면을 나태는 참고도
도 7은 조작신호전달부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리모컨을 이용한 로봇이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도 2의 리모컨에 다양한 프레임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10은 연결리벳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조작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연결리벳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ircuit boar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ction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section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obot moving using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various frames are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rive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member of Fig.
12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ing rivet in Fig. 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note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을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리모컨은 각각 회전하는 제1회전부(1a) 및 제2회전부(1b)를 포함하는 조작부(1)와, 상기 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신호전달부(2)를 포함한다. 2 to 12,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irst rotating part 1a and a second rotating part 1b which are respectively rotated, (2)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1).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로봇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은 단순 키패드로 형성되거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스틱을 이용하도록 형성되어 로봇의 조작이 어렵고 장시간 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가져오며, 무엇보다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직관적인 인식이 어려워 로봇의 조작을 더욱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로봇의 바퀴와 동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회전부(1a) 및 제2회전부(1b)를 이용한 리모컨을 형성하여, 리모컨의 조작을 통한 로봇 움직임의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쉽게 이해하고 로봇의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로봇에 대한 교육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제1회전부(1a) 및 제2회전부(1b)를 회전시켜 로봇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봇의 조작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조작자의 손에 무리 없이 장시간 로봇의 조작이 가능하고, 리모컨을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하여 리모컨의 사용에 따른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operating the conventional robot is formed of a simple keypad or formed using a button or a stick as shown in FIG. 1, so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robot and fatigue due to long- Above all,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motion of the robot, which makes the operation of the robot more difficul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ler using the first rotation part 1a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1b is formed so that the robot can rotate in the same way as the wheel of the robot, and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robot movemen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enabled. This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motion of the robot and make it easy to operate the robot.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ause the robot to operate by rotating the first rotat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1b, thereby causing interest in the operation of the robot. So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assembled in various shapes to further induce interest in the use of the remote contro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에 의해 작동되는 로봇은 2개의 바퀴에 의해 움직이는 것으로 가정하며, 좌륜(101)과 우륜(102)의 한 쌍의 바퀴를 가진 로봇이동부(100)에 의해 움직이고, 상기 좌륜(101)과 우륜(102)은 상기 조작부(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It is also assumed that the robot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by two wheels and the robot having the pair of wheels of the left wheel 101 and the right wheel 102 is moved by the moving part 100, The left wheel 101 and the right wheel 102 rotate and operate in response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 [

또한, 상기 제1회전부(1a) 및 제2회전부(1b)는 회전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어디에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리모콘의 중앙부에 중심구조체(3)를 형성하여 조작부(1)와 조작신호전달부(2)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중심구조체(3), 조작부(1), 조작신호전달부(2)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5)이 형성되어 특유의 연결리벳(4)이 삽입·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탈착과 다양한 프레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의 리모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rotat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1b may be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rotatable structur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structure 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mote control,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5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in the central structure 3, the operation portion 1 and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portion 2 so as to support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portion 2 and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portion 2 So that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various components and to assemble various frames so that remote controllers of various shapes can be manufactured.

상기 조작부(1)는 조작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로봇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이동부(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는 제1회전부(1a) 및 제2회전부(1b) 한 쌍으로 형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패드 등의 조작기에 부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중심구조체(3)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는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퀴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A, B 방향을 전, 후측, C, D 방향을 좌우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도 2 참조). 상기 조작부(1)는 상기 중심구조체(3)의 양측에 결합하는 조작신호전달부(2)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조작부(1)의 전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에 의해 상기 로봇이동부(100)로 전진 또는 후진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또는 우륜(102)이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는 중심구조체(3)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1a)와, 우측에 형성되는 제2회전부(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부(1a)는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을 조작하고, 제2회전부(1b)는 로봇이동부(100)의 우륜을 조작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1b)는 각각 일측의 바퀴를 조작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조작부(1)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하고, 필요한 부분에서만 별개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는 타이어 형상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타이어휠(11), 타이어휠(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타이어(12), 상기 타이어휠(11)의 내측에 결합하는 조작풀리(13)를 포함한다. The operation unit 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rate the robot by grasping with the hand of an operator. More precisely, the robot 100 can be operated by the robot as shown in FIG. The operating unit 1 may be formed as a pair of the first rotating unit 1a and the second rotating unit 1b so as to be rotatable and attached to an operation device such as a keypad as described above, One pai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tructure 3 as an example. The operation unit 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be rotated, but it may be formed as a wheel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s A and B are defined a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s C and D are defined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fer to FIG. 2). The operation unit 1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tha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tructure 3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by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A forward or backwar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obot moving part 100 so that the robot moves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e operating portion 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ortion 1a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structure 3 and a second rotating portion 1b formed on the right side. The first rotating portion 1b operates the left wheel 101 of the moving part 100 and the robot 1b operates the right wheel of the moving part 100. [ Sinc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1b and 1b are operated by only one wheel, the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Hereinafter,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1b and 1b will be described as being unified. The operating unit 1 includes a tire wheel 11 forming a skeleton in the form of a tire, a tire 12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ire wheel 11, an operating pulley 13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ire wheel 11, .

상기 타이어휠(11)은 타이어 형상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심구조체(3)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타이어 모양의 조작부(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타이어휠(11)은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타이어(12)가 끼워져 조작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내측면에는 상기 조작풀리(13)가 결합하여, 타이어휠(11)의 회전에 따라 조작풀리(13)가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조작신호전달부(2)의 후술할 회전판(2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휠(11)은 조작풀리(13)가 결합하는 지점에 결합공(5)이 형성되어 연결리벳(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타이어휠(11)과 조작풀리(13)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탈착 또한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조작부(1)의 형성과 조작부(1)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The tire wheel 11 is configured to form a skeleton of a tire shape so that a pai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tructure 3 so that a tire-shaped operation portion 1 can be formed. The operation of the tire wheel 11 is such that the tire 12 is inserted into the tire wheel 11 to be gripped and rotated by the operator's hand while the operation pulley 13 is engaged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ire wheel 11, The operating pulley 13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so that the rotating plate 22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can be rotated. The tire wheel 1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5 at a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pulley 13 is engaged so that the connection rivet 4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the tire wheel 11 and the operation pulley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etachable, so that various operation parts 1 can be formed and the operation part 1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타이어(12)는 상기 타이어휠(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하는 구성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작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부(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제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조작자에게 실제 로봇의 바퀴를 조종하는 것과 같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The tire 1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ire wheel 1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ire wheel 11 and prevent the hand of the operator from slipping therethrough,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feeling of rotating an actual tire and to give the operator the same interest as controlling the wheel of an actual robot.

상기 조작풀리(13)는 상기 타이어휠(11)의 내측에 결합하여 타이어휠(1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의 회전판(22)과 결합하여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작풀리(13) 역시 결합공(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연결리벳(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타이어휠(11) 및 회전판(22)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조작풀리(13)는 타이어휠(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22)이 회전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조작신호전달부(2)는 회전판(22)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또는 우륜(102)이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타이어휠(11)의 회전에 따라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또는 우륜(102)이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operating pulley 13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ire wheel 1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tire wheel 11. The operating pulley 13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is engaged with the rotary plate 22 so as to rotate together. The operation pulley 13 is also formed with engagement holes 5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connection rivet 4 can be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tire wheel 11 and the rotary plate 22 in a detachable manner. The operating pulley 13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ire wheel 11 so that the rotating plate 22 is rotated so that the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art 2 transmits the forward or backward signal So that the robot moves the left or righ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ire wheel 11, the robot can cause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of the moving part 100 to rotate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는 상기 중심구조체(3)와 조작부(1)의 사이에 형성되어 조작부(1)의 회전에 따른 조작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심구조체(3)에 결합하여 지지되며, 중심구조체(3)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는 상기 조작부(1)의 좌륜(101)을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좌륜조작신호전달부(2a)와, 우륜(102)을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우륜조작신호전달부(2b)를 포함하며, 상기 좌륜조작신호전달부(2a)와 우륜조작신호전달부(2b)는 각각 좌륜(101) 및 우륜(102)을 회전시킨다는 차이만 있을 뿐,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조작신호전달부(2)로 통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는 상기 조작부(1)의 회전, 더욱 정확하게는 조작부(1)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좌륜 또는 우륜(102)을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조작부(1)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륜(101) 또는 우륜(102)은 후진하고,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조작부(1)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륜(101) 또는 우륜(102)도 동일하게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륜(101) 또는 우륜(102)도 동일하게 후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조작자가 로봇의 움직임을 더욱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후자와 같이 조작부(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좌륜(101) 또는 우륜(102)이 회전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는 일측이 상기 중심구조체(3)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조작부(1)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조작부(1)가 고정, 결합되어 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2)과; 상기 본체(21) 내에 형성되어 조작신호전달부(2)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23);를 포함한다. The manipulation signal transfer unit 2 is configured to transfer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 to the robot arm moving unit 100 formed between the central structure 3 and the manipulation unit 1, Ar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central structural body (3), and a pai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tructural body (3).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includes a left wheel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a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rotating the left wheel 101 of the operation unit 1, And the right wheel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b includes the transmitting portion 2b and the left wheel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a and the right wheel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b respectively rotate the left wheel 101 and the right wheel 102, Therefore,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 is unified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transmits a signal for rotating the left or right wheel 10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or more precisel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may be moved backward by rotating the operating portion 1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moved forward by rotating the operating portion 1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likewise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s similarly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by rotat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Make it more intuitive.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rot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1, as in the latter case.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includes a main body 21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center structure 3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 so as to be rotatable; A rotating plate 22 whic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1 and rotates and rotates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 while the operating portion 1 is fixed and engaged; And a control unit (23) formed in the main body (2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

상기 본체(21)는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측은 상기 중심구조체(3)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조작부(1)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본체(21)는 일측이 상기 중심구조체(3)의 후술할 결합플레이트(33)와 결합하여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회전판(22)이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회전판(22)은 상기 조작부(1)의 조작풀리(13)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21)는 회전판(22)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홈(211)과;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플레이트(31)와 접촉되어 결합하는 고정틀(212)과; 상기 고정틀(212)에 맞닿도록 형성되며, 외측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플레이트(31)가 삽입되는 끼움홈(213)과; 상기 회전판(22)과 맞닿는 측에 형성되어 로봇을 조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기판(2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1 is configured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one side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central structural body 3,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1 .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2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enter structure 3 by being engaged with a coupling plate 33 described later, and the rotation plate 22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 And is engaged with the operating pulley 13 of the operating unit 1 to rotate together. To this end, the main body 21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211 for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rotation plate 22 is inserted; A fixing frame 212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late 31 to be described later; A fitting groove 213 formed to abut on the fixing frame 212 and formed to be embedded in the outside and into which a connecting plate 3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circuit board 214 formed on a side contacting the rotating plate 22 to generate a signal for operating the robot.

상기 삽입홈(211)은 상기 본체(21)의 외측, 정확하게는 상기 중심구조체(3)의 양측에 상기 조작부(1)가 결합되는 측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회전판(22)이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판(22)이 본체(21) 내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211)의 외측으로는 일정 영역만이 개방된 차단틀(21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틀(211a)에는 상기 회전판(22)의 후술할 돌출턱(222)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11)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22)은 차단틀(211a)에 걸리는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작부(1)의 회전에 의한 로봇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insertion groove 21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otary plate 22 is inserted into the body 21 by forming a certain space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21, that is, on the side where the operation unit 1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tructure 3 So that the rotary plate 22 is supported and rotat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21. A blocking frame 211a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211. The blocking frame 211a may have a projecting protrusion 222 of the rotation plate 22, So as to be rotated. Therefore, the rotary plate 22 received in the insertion groove 211 rotates only within a range of the engagement of the blocking frame 211a, and rotates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robot by the rot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틀(212)은 상기 본체(2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지면과 수직의 일정 면적을 갖는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구조체(3)의 연결플레이트(31)와 맞닿도록 한다. 상기 고정틀(212)은 상기 본체(21)의 전단 및 후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연결플레이트(31)의 후술할 삽입부(311) 및 결합부(313)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결합플레이트(33) 및 배터리장착부(32)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함께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틀(212)은 중심구조체(3)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고정틀(212)에는 결합공(5)이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31), 결합플레이트(33), 배터리장착부(32)를 통과하는 연결리벳(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xing frame 212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 and is formed a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so as to contact the connecting plate 31 of the center structure 3. [ The fixing frame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1 so that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212 contacts the insertion portion 311 and the engaging portion 313 of the connecting plate 31,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so as to abut the engaging plate 33 and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xing frame 212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center frame 3 and the fixing frame 21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5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1, the coupling plate 33,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by means of a connecting rivet 4 passing therethrough.

상기 끼움홈(213)은 상기 고정틀(212)에 맞닿도록 형성되며, 외측으로 함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13)은 본체(21)의 전측과 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끼움홈(213)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1)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1)의 후술할 삽입부(311) 및 결합부(313)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21)는 연결플레이트(31)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조작부(1)에 의한 리모컨의 조작에도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tting groove 213 is formed so as to abut the fixing frame 212, and is formed to have a space to be embedded in the outside. The fitting groove 213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1 and the connecting plate 31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3. More precisely, The insertion portion 311 and the coupling portion 313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and supported. Therefore, the main body 21 can be more firmly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late 31, and stable engagement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remote control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1. [

상기 회로기판(214)은 상기 삽입홈(211)의 내측에 형성되어 로봇을 조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되는 회전판(22)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회전판(22)의 회전에 따라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또는 우륜(102)을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로기판(2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륜(101) 또는 우륜(10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진신호발생영역(214a)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진신호발생영역(214a)에 상기 회전판(22)의 후술할 연결접점(221)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진신호발생영역(214a)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에 연결접점(221)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로봇의 바퀴를 전진 또는 회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ircuit board 214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211 and generates a signal for operating the robot. The circuit board 214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plate 2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1, The robot can rotate the left or righ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5, the circuit board 214 includes a forward signal generating region 214a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otating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signal generation region 214b. When the connection contact 221 of the rotary plate 22 is located in the advance signal generation region 214a, When the connection contact 221 is located in the backward signal generating region 214b, a current flows through the backward signal generating region 214b and is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Signal to be gene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ignal for advancing or rotating the wheel of the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

상기 회전판(22)은 상기 본체(21)의 삽입홈(211)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조작부(1)의 조작풀리(13)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조작신호전달부(2)를 통한 전진 또는 후진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접점(221)을 포함하여 전진 또는 후진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측면에는 돌출턱(222)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틀(211a)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The rotation plate 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1 of the main body 21 and rotates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operating pulley 13 of the operating unit 1.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unit 1 So that the forward or backward signal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6, the rotation plate 22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contacts 221 symmetrically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o allow forward or backward signals to be generated, and protrusions 222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22, Is formed in the blocking frame 211a.

상기 연결접점(221)은 상기 회전판(22)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접점(221)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체로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접점(221)이 회로기판(214)의 전진신호발생영역(214a)에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또는 우륜(10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가 발생되고, 연결접점이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에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좌륜(101) 또는 우륜(102)을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판(22)이 전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접점(221)이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진신호발생영역(214a)과 접촉하여 바퀴의 전진 신호를 발생시키고, 조작부(1)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판(22)이 후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접점(221)이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에 접촉되어 바퀴의 후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The connection contact 221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22, and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as shown in FIG. When the connection contact 221 is positioned so as to contact the advance signal generation region 214a of the circuit board 214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contact 221 is formed of a conductor through which the current can flow, A signal is generated to rotate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of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when the connection contact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backward signal generation region 214b, So that a signal for rotating the motor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generated. 6 (a) as the rotating plate 2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rotating the operating portion 1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orward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operating portion 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contact 221 is positioned as shown in The contact point 22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gion 214a to generate a forward signal of the wheel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rotating the operation portion 1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when it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backward signal generation region 214b, the backward signal of the wheel is generated.

상기 돌출턱(222)은 상기 회전판(22)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틀(211a)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턱(222)은 상기 차단틀(211a)에 걸려 회전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며,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회전판(22)이 일정 각도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22)의 회전 범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접점(221)이 전진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와 후진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 사이로 제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틀(211a)의 개방 영역이 결정된다. 따라서, 회전판(22)의 회전은 돌출턱(222)이 차단틀(211a)에 걸림에 따라 연결접점(221)이 전진신호발생영역(214a) 또는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에 접촉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멈출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진 신호 및 후진 신호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조작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rojecting step 2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22 and is inserted into the blocking frame 211a. The protruding jaw 222 is engaged with the blocking frame 211a to limit the rotation range, and allows the rotation plate 22 to rotate only i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plate 22 may be limited to a position between a position at which the connection contact 221 generates the forward signal and a position at which the backward signal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The open area is determined.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22 is stopped when the protrusion jaw 222 is caught by the blocking frame 211a and the connection contact 221 is in contact with the forward signal generating region 214a or the backward signal generating region 214b So that the advance signal and the backward signal can be smoothly generated and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및 우륜(102)에 대한 조작신호를 전송하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로봇이동부(1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모듈(231),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232), 로봇이동부(100)와의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모듈(233)을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3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 The control unit 23 transmits operation signals to the left wheel 101 and the right wheel 102 of the robot 100, So that the robot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robot 100. 7, the control unit 23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a power supply module 232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a communication unit 231 for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moving unit 100 And a communication module 233.

상기 신호전송모듈(231)은 상기 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좌륜(101) 또는 우륜(102)의 조작 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회전부(1a)의 조작에 따라 발생한 신호는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부(1b)의 조작에 따라 발생한 신호는 우륜(102)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신호전송모듈(231)은 상기 조작부(1)의 회전, 즉 회전판(22)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전송하는 전진신호전송모듈(231a)과, 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전송하는 후진신호전송모듈(231b)을 포함한다.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 is configured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to the robot moving part 100,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otary part 1b is transmitted to the right wheel 102. The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otary part 1b is transmitted to the right wheel 102 of the robot 100,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 transmits a rotation signal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that is, the rotation plate 22, 231a, and a backward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b for transmitting a rotation signal in the backward direction.

상기 전진신호전송모듈(231a)은 좌륜(101) 또는 우륜(10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조작부(1)의 전진 방향에 회전에 따라 회전판(22)이 함께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판(22)의 연결접점(221)은 상기 회로기판(214)의 전진신호발생영역(214a)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전진 방향의 회전신호가 발생되며, 이러한 신호를 상기 전진신호전송모듈(231a)에 의해 로봇이동부(100)로 전달되어 좌륜(101) 또는 우륜(102)의 전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forward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a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rotating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connection contact 221 of the rotary plate 2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dvance signal generation region 214a of the circuit board 214 so that a forward rot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robot is transferred to the moving part 100 by the transfer module 231a so that the forward rotation of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s performed.

상기 후진신호전송모듈(231b)은 좌륜(101) 또는 우륜(102)을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진 신호와는 반대로 연결접점(221)이 후진신호발생영역(214b)에 접촉되어 발생된 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송하여 좌륜(101) 또는 우륜(102)의 후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backward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b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rotating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contact 221 is connected to the backward signal generation area 214b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otation signal in the backward direction to the robot moving part 100 so that the left wheel 101 or the right wheel 102 is rotated backward.

상기 전력공급모듈(232)은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심구조체(3)의 후술할 배터리장착부(32)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신호전송모듈(231) 및 통신모듈(233)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전력공급모듈(232)은 배터리와 전력공급선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power supply module 232 supplies power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 and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mounted on the battery mounting unit 32 of the center structure 3, And supplies power to the transmission module 23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33. The power supply module 232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and a power supply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통신모듈(233)은 리모컨과 로봇이동부(1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신호전송모듈(231)에 의한 조작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달하도록 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등을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유선으로 리모컨과 로봇이동부(100)를 연결하여 조작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33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ler 100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module 231 to the robot controller 100,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the like, and the oper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by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ler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100 by wire.

상기 조작부(1)의 조작에 따른 로봇이동부(100)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회전부(1a)와 제2회전부(1b)를 모두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좌륜조작신호전달부(2a)와 우륜조작신호전달부(2b)에서 모두 전진 방향의 회전신호가 발생되어 로봇이동부(100)로 전송되면,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및 우륜(102)은 모두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동부(100)가 전진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부(1a)와 제2회전부(1b)를 모두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좌륜조작신호전달부(2a)와 우륜조작신호전달부(2b)에서 모두 후진 방향의 회전신호가 발생되어 로봇이동부(100)로 전송되면,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이동부(100)의 좌륜(101) 및 우륜(102)은 모두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동부(100)가 후진하게 된다. 8, the operation of the robot moving part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1 will be described. The first rotating part 1a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b are both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a rotation signal in the forward direction is generated in both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a and the right wheel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b and the robot is transferred to the moving unit 100, as shown in FIG. 8 (a) Both the left wheel 101 and the right wheel 102 of the robot 100 are rotat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so that the robot moving part 100 advances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a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b are both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When a rotation signal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generated in both the left wheel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a and the right wheel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b and the robot is transferred to the moving part 100, Both the left wheel 101 and the right wheel 102 of the robot moving part 100 rotate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 robot moving part 100 moves backward.

또한, 도 8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1a)는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회전부(1b)를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좌륜조작신호전달부(2a)는 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송하여 좌륜(101)의 후진 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우륜조작신호전달부(2b)는 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송하여 우륜(102)의 전진 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로봇이동부(100)는 제자리에서 좌회전하는 움직임을 갖게 된다. 만약 양 조작부(1)를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로봇이동부(100)는 제자리에서 우회전하는 움직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8 (c), when the first rotating portion 1a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1b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eft wheel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a is rotated, And the right wheel manipul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b transmits the rotation signal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robot manipulation unit 100. The robot 10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robot 100, So that the right wheel 10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fore, the robot moving part 100 has a leftward-turning motion. If the two manipulating portions 1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obot moving portion 100 can have a rightward turning motion.

또한, 도 8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1a)는 조작하지 않고, 제2회전부(1b) 만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좌륜조작신호전달부(2a)만이 전진 방향의 회전신호를 로봇이동부(100)로 전송하여 우륜(102) 만이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로봇이동부(100)는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아닌 일정 반경으로 좌회전하는 움직임을 갖게 되고, 반대로 제1회전부(1a)만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일정 반경으로 우회전하는 움직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둘 중의 하나만을 후진시키는 경우에는 일정 반경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8 (d), when only the second rotating portion 1b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out operating the first rotating portion 1a, only the left wheel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a is advanced Direction to the robot moving part 100 so that only the right wheel 10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first rotating part 1a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nly, the robot moving part 100 has a motion to turn left at a certain radius, not a right rotation, have. Further, when only one of the two is to be moved backward, it may be possible to have a movement to the left or right of a certain radiu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다양한 로봇이동부(100)의 동작을 매우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조작부(1)의 회전과 로봇이동부(100) 바퀴의 회전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로봇이동부(100)의 동작에 관한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로봇의 움직임에 관한 이해를 통해 교육용으로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parts of the robot 100 very easily, and moreover,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part 1 and the rotation of the robot 100 move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perceive the motion of the moving unit 100 and to use it for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motion of the robot.

상기 중심구조체(3)는 리모컨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조작부(1) 및 조작신호전달부(2)가 결합하는 구성으로, 양측의 조작부(1)를 지지하여 양손으로 조작부(1)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로봇이동부(1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중심구조체(3)는 상기 본체(21)의 끼움홈(213)에 삽입되어 고정틀(212)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배터리장착부(32)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1); 상기 연결플레이트(31)와 결합하여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32); 상기 본체(21)의 고정틀(212)을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결합플레이트(33)를 포함한다. The central structure 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mote control and has an operating portion 1 and an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coupled to both sides thereof and supports the operating portion 1 on both sides to hold the operating portion 1 with both hands So that the robot 100 can be operated by the rotation. The central structure 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3 of the main body 21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ed frame 212 and has a connecting plate 31 connecting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A battery mounting part 32 which is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late 31 and is mounted with a battery; And an engaging plate 33 for engaging and fixing the fixing frames 212 of the main body 21. [

상기 연결플레이트(31)는 상기 배터리장착부(32)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31)는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13)에 끼워지는 삽입부(311), 상기 삽입부(311)의 상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12), 상기 지지부(312)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31)의 삽입부(311), 지지부(312), 결합부(313)에는 모두 결합공(5)이 형성되어 연결리벳(4)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모양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late 31 is configured to allow connection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of '?'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plate 31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311 formed at a front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311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3, a support portion 3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311, And a coupling part 313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art 312 downward. The engaging holes 5 are formed in the inserting portion 311, the supporting portion 312 and the engaging portion 313 of the connecting plate 31 so that they can be engaged by the connecting rivet 4, So that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상기 삽입부(311)는 연결플레이트(31)의 전단에 형성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213)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틀(212)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31)가 양측의 조작신호전달부(2)의 본체(2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311)는 고정틀(212)에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리벳(4)의 삽입을 통해 결합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33)도 함께 결합되도록 한다. The insertion portion 311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late 31 an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The insertion portion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3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212, 31 can be engaged with the main body 21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on both sides. The insertion portion 311 is engaged with the fixing frame 212 by inserting the connecting rivet 4, and the coupling plate 33 is also engaged.

상기 지지부(312)는 상기 삽입부(311)의 상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 리모컨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틀(21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플레이트(31)는 삽입부(311)가 전측에서 끼움홈(213)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지지부(312)가 후측의 고정틀(212) 상단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장착부(32)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양측 조작부(1)를 잡은 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part 312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art 311 to be horizontal with the ground surface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so as to be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frame 212. Therefore, the connection plate 3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3 from the front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311, and the support portion 312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rear fixing frame 212,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hand holding the both operation portions 1,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상기 결합부(313)는 상기 지지부(312)의 후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배터리장착부(32)가 맞닿아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장착부(32)의 장착이 가능해지며, 배터리장착부(32)에 의한 배터리의 장착뿐만 아니라, 배터리장착부(32)가 리모컨의 후단 하측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자의 손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The coupling portion 313 is formed to be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ortion 312, so that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abutted. Therefore, not only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but also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can be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so as to support the operator's hand. do.

상기 배터리장착부(32)는 상기 결합부(313)와 결합하여 배터리(321)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결합공(5)이 형성되어 연결리벳(4)에 의해 상기 결합부(313)와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장착부(32)에는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공급모듈(232)과 연결되어 조작신호전달부(2)에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장착부(32)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결합부(313)와 결합하여 리모컨의 후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배터리(321)는 후측으로부터 수용되도록 하며, 상측으로는 일정 면적의 편평한 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조작부(1)를 잡은 조작자의 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작자의 편의성의 높이고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attery 321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portion 313 so that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313 by the connecting rivet 4 do. Various types of batteries may be mounted on the battery mounting part 3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odule 232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art 2.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in combination with the engaging portion 313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battery 321 is received from the rear side, and has a flat surface So that the hand of the operator holding the operation unit 1 can be supported,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reducing fatigue.

상기 결합플레이트(33)는 리모컨의 전측에서 조작신호전달부(2)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양측의 고정틀(212)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연결리벳(4)에 의해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3)는 고정틀(212)과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틀(212)과 맞닿은 연결플레이트(31)의 삽입부(311)와 함께 연결리벳(4)에 의해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플레이트(31)의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장착부(32)가 조작자의 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upling plate 33 is configured to engage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on the front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is formed to abut the fixing frame 212 on both sides and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rivet 4. The engaging plate 33 can be engaged by the connecting rivet 4 together with the inserting portion 311 of the connecting plate 31 abutting the fixing frame 212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xing frame 212, The connection plate 31 can be more firmly engaged with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so that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32 can stably support the operator's han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3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5)에는 연결리벳(4)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결플레이트(31)에는 다양한 모양, 형상의 프레임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재미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모컨 형상 자체만으로도 흥미를 유발하여 로봇의 조작에 따른 흥미가 배가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late 31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5 formed to penetr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3, and the coupling rivet 4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5,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1 can be combined with frames of various shapes and shapes.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o a variety of interesting shapes as shown in FIG. 9, so that interest can be increased by manipulating the robot only by the remote controller itself.

상기 연결리벳(4)은 상기 결합공(5)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성으로, 특유의 구조를 갖도록 하여 결합공(5)과의 견고한 결합과 용이한 탈착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리벳(4)은 결합공(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재(41)와, 상기 삽입부재(41) 내에 삽입되어 삽입부재(41)를 따라 승강하는 조작부재(42)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rivet 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coupling rivet 4 has a unique structure so that the coupling rivet 4 can be firmly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5 and can be detached easily. The connecting rivet 4 has an insertion member 41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hole 5 and an operation member 4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41 and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insertion member 41 .

상기 삽입부재(41)는 상기 결합공(5)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결합공(5)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조작부재(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재(41)는 결합공(5)에 삽입되는 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는 가이드홈(411)과, 상기 가이드홈(411)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턱(412)과, 결합공(5)에 삽입되는 측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413)를 포함한다. The insertion member 41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5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hole 5 and is formed to have a space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42) can be inserted. The insertion member 41 has a guide groove 411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at a certain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otruding protrusion 412 protruding a certain length inside the guide groove 411, And a fixing protrusion 413 protruded outward at an end of the insertion hole 5 side.

상기 가이드홈(411)은 결합공(5)에 삽입되는 측 끝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 쌍이 대칭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411)에는 상기 조작부재(42)의 후술할 걸림돌기(421)가 삽입되어 조작부재(42)가 가이드홈(411)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홈(411)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412)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411)의 존재로 인해 상기 삽입부재(41)는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합공(5)에의 삽입시 결합공(5)의 후술할 걸림턱(51)을 통과할 수 있고, 통과한 후에는 삽입되는 조작부재(42)에 의해 삽입부재(41)의 외경을 증가시켜 상기 고정돌기(413)가 걸림턱(5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air of guide grooves 41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side end of the guide groove 411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A locking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1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42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411, A projecting step 412 protruding inward is formed so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can be caught. The insertion member 41 may have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due to the presence of the guide groove 411 so that when the insertion member 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After the insertion, the insertion member 41 increase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member 41 by the operation member 42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413 can be caught and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51. [

상기 돌출턱(412)은 상기 가이드홈(411)의 일 지점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걸림돌기(421)는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조작부재(42)의 삽입시 상기 돌출턱(412)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턱(412)을 통과한 후에는 돌출턱(412)에 걸려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조작부재(42)가 삽입부재(41)의 끝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삽입부재(41)의 고정돌기(413)가 걸림턱(51)에 걸린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jection 412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t one point of the guide groove 411 so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on member 42 can be hooked. The locking protrusion 421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height as it goes toward the end and may pass through the protrusion 412 when the operation member 42 is inser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 412, So that it can be fix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jaw 412. Therefore, the operation member 42 can be fixed in the inserted state until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413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51 So that it can be fixed.

상기 고정돌기(413)는 상기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에 삽입되는 측 끝단에서 삽입부재(4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결합공(5)의 걸림턱(5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41)는 가이드홈(411)의 존재로 내외로 휘어지는 탄성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에 삽입될 때, 삽입부재(41)의 외경이 감소하도록 하여 걸림턱(51)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고, 걸림턱(51)을 통과한 후에는 조작부재(42)의 삽입으로 삽입부재(41)의 외경을 증가시켜 고정돌기(413)가 걸림턱(51)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xing protrusion 413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member 41 at the sid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5,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41 can be fixed to the coupling hole 5 without being detache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member 41 increases the elasticity of bending inward and outward due to the presence of the guide groove 411, and when the insertion member 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the insertion member 41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increased by the insertion of the operation member 42 after passing through the engagement protrusion 51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51 413 are caught by the latching jaws 51 so as to be firmly fixed.

상기 조작부재(42)는 상기 삽입부재(41) 내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구성으로, 삽입부재(41)를 결합공(5)에 넣고 조작부재(42)를 밀어 넣도록 함으로써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의 해제시에는 조작부재(42)를 당겨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의 걸림턱(5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재(42)는 상기 조작부재(42)의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421)와, 상기 조작부재(42)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422)과; 조작부재(42)의 끝단에서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부(423);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41 and is lifted up and down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and the operation member 42 is pushed in. The operation member 42 is pulled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41 can pass through the engagement protrusion 51 of the engagement hole 5 when the engagement is released, So that the member (41) can escape from the engaging hole (5). The operating member 42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421 protruding outwar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2 and a locking protrusion 42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2 An incision groove 422; And a gripping portion 423 for gripping at an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2.

상기 걸림돌기(421)는 상기 조작부재(42)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삽입부재(41)에 삽입되는 측 끝단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홈(411)에 삽입되도록 한 쌍이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421)는 상기 가이드홈(411) 내에 형성되는 돌출턱(412)과 삽입부재(41)의 결합공(5)에 삽입되는 측 끝단 사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5)에 삽입되는 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421)는 조작부재(42)가 삽입부재(41)를 따라 삽입될 때, 돌출턱(412)을 통과하여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으며, 돌출턱(412)을 통과한 후에는 돌출턱(412)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21)는 가이드홈(411)에 걸려 조작부재(42)가 삽입부재(4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ocking protrusion 421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member 42 and is formed at the sid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1. The locking protrusion 42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1 The pairs may be formed symmetrically. The locking protrusion 42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between the protrusion 412 formed in the guide groove 411 and the side e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 of the insertion member 41 And the height protruding toward the sid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5 gradually decreases.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member 42 is inserted along the insertion member 41, the locking protrusion 421 can easily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rotrusion 412.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protrusion 412, So that it can be held by the protruding jaw 412 and can be kept fixed. The locking protrusion 421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411 to prevent the operating member 42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insertion member 41, thereby enabling continuous use.

상기 절개홈(422)은 상기 조작부재(42)의 끝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삽입부재(41)에 삽입되는 측 끝단에 형성되어 조작부재(42) 끝단의 외경이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42)는 삽입부재(41)를 결합공(5)으로부터 결합해제하기 위해 당길 때, 끝단에 생긴 유동성으로 인해 외경이 일정 정도 감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가 돌출턱(412)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42)가 돌출턱(412)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삽입부재(41)의 외경이 일시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삽입부재(41)의 고정돌기(413)가 결합공(5)의 걸림턱(51)을 통과하여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utout groove 42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42 an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cutout groove 422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41, .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member 42 is pulled to unbond the insertion member 41 from the engaging hole 5, the outer diameter can be reduced by a certain amount due to the fluidity at the end, and the operation member 42 The protruding protrusion 421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412 can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rotrusion 412.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member 42 is pulled through the protruding protrusion 412,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temporarily reduced, and the fixing protrusion 413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5,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41 can be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hole 5.

상기 파지부(423)는 상기 조작부재(42)의 타단, 즉 삽입부재(41)에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를 잡아당기거나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부재(42)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조작부재(42)를 삽입부재(41)로부터 당겨 인출시킬 때,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는 돌출턱(412)을 통과하여야 하므로, 상기 파지부(423)를 통해 조작부재(42)를 강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부재(42)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grip portion 423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long the outer periphery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2,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side of the insertion member 41, and can be pulled or pushed, So that the member 42 can be easily inserted and withdrawn. Particularly, when the operating member 42 is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member 41, the latching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has to pass through the protrusion 412, The member 42 can be pulled strongly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42 can be pulled out easily.

상기 결합공(5)은 상기 조작부(1)의 타이어휠(11), 조작풀리(13), 상기 조작신호전달부(2)의 고정틀(212), 회전판(22), 상기 중심구조체(3) 등의 구성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구멍으로, 각 구성의 결합공(5)이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리벳(4)을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리벳(4)은 결합공(5)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은 각 구성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각 구성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합공(5)을 가진 다양한 프레임이 각 구성에 결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리모컨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공(5)은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턱(51)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51)에 의해 연결리벳(4)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ngaging hole 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ire 1 by the tire wheel 11, the operating pulley 13, the fixed frame 212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 the rotating plate 22, And the connection rivet 4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holes 5 of the respective structures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rivets 4 ar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holes 5, and 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5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addition, various frames having the coupling holes 5 can be combined with the respective components so that remote controls of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9 can be made. The coupling hole 5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51 protrud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upling rivet 5 so that the coupling rivet 4 can be fix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51.

상기 걸림턱(51)은 결합공(5)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리벳(4)의 삽입시 삽입부재(41)의 고정돌기(413)가 걸림턱(5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41)의 끝단에는 가이드홈(411)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모아지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삽입부재(41)의 삽입시 걸림턱(51)에 걸린 고정돌기(413)는 내측으로 모아져 걸림턱(51)을 통과할 수 있으며, 걸림턱(51)을 통과한 삽입부재(41)에는 상기 조작부재(42)가 삽입부재(41)의 끝단까지 삽입되어 삽입부재(41) 끝단의 외경을 늘림으로써 상기 고정돌기(413)가 걸림턱(51)에 걸려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locking protrusion 413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51 when the connection rivet 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41, To be fix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uide groove 41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the fixing protrusion 413 caught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51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41 The operation member 42 is insert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41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engagement protrusion 51, 41), the fixing protrusion 413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51 so as to be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상기 연결리벳(4)의 체결과정에 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가 돌출턱(412)의 상측으로 빠져나온 상태에서 삽입부재(41)를 결합공(5)에 삽입한다. 이때, 결합공(5)의 걸림턱(51)을 만난 삽입부재(41)의 고정돌기(413)는 가이드홈(411)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져 걸림턱(51)을 통과하게 되며, 결합공(5)의 끝까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42)를 삽입부재(41) 측으로 밀어넣어 도 1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가 삽입부재(41)의 돌출턱(412)을 넘어 삽입부재(41)의 끝단까지 삽입되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조작부재(42)가 삽입부재(41)의 내측을 지지하게 되고, 삽입부재(41) 끝단의 외경은 증가하여 삽입부재(41)의 고정돌기(413)가 결합공(5)의 걸림턱(5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412)을 통과한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는 돌출턱(412)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이에 따라 삽입부재(41)가 결합공(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리벳(4)을 결합공(5)으로부터 빼내고자 할 때에는 도 1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부재(42)의 파지부(423)를 당겨 걸림돌기(421)가 돌출턱(412)을 넘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삽입부재(41)의 끝단이 모아져 고정돌기(413)가 결합공(5)의 걸림턱(5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작부재(42)의 걸림돌기(421)는 가이드홈(411)의 끝단에 걸려 지지되므로, 조작부재(42)의 파지부(423)를 강하게 당겨 연결리벳(4)을 결합공(5)으로부터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리벳(4)과 결합공(5)은 각 구성들의 견고한 결합과 용이한 탈착이 동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2, the engaging project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is engag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jaw 412, as shown in Fig. 12 (a) The inserting member 41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5.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s 413 of the insertion member 41, which meet the locking protrusions 51 of the locking holes 5, are collected inside by the guide grooves 411 and pass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s 51, 5). The operation member 42 is pushed toward the insertion member 41 so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on member 42 engages with the projection 412 of the insertion member 41 as shown in Figure 12 (b) So as to be insert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The operation member 42 supports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member 4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increases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413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41 So that the jaw 51 is held. The engaging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protruding protrusion 412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protrusion 412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41 is fixed to the engaging hole 5 State can be maintained. When the connecting rivet 4 is to be pulled out from the engaging hole 5, the gripping port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is pulled by the engaging projection 421 in the state shown in Fig. 12 (b) So that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41 is gather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413 can pass through the latching protrusion 51 of the fitting hole 5. The gripping protrusion 421 of the operating member 42 is hooked on the end of the guide groove 411 so that the gripping portion 423 of the operating member 42 is pulled strongly so that the connecting rivet 4 is pushed into the engaging hole 5 ). ≪ / RTI > Therefore, the connection rivet 4 and the coupling hole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rigid coupling and the easy detachment of the respective structures effective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조작부
1a: 제1회전부 1b: 제2회전부
11: 타이어휠 12: 타이어 13: 조작풀리
2: 조작신호전달부
2a: 좌륜조작신호전달부 2b: 우륜조작신호전달부
21: 본체 211: 삽입홈 211a: 차단틀
212: 고정틀 213: 끼움홈
214: 회로기판 214a: 전진신호발생영역 214b: 후진신호발생영역
22: 회전판 23: 제어부
231: 신호전송모듈 231a: 전진신호전송모듈 231b: 후진신호전송모듈
232: 전력공급모듈 233: 통신모듈
3: 중심구조체 31: 연결플레이트
311: 삽입부 312: 지지부 313: 결합부
32: 배터리장착부 321: 배터리 33: 결합플레이트
4: 연결리벳 41: 삽입부재
411: 가이드홈 412: 돌출턱 413: 고정돌기
42: 조작부재 421: 걸림돌기 422: 절개홈 423: 파지부
5: 결합공 51: 걸림턱
100: 로봇이동부 101: 좌륜 102: 우륜
1:
1a: first rotating part 1b: second rotating part
11: Tire Wheel 12: Tire 13: Operation Pulley
2: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a: a left wheel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b: a right wheel operating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1: main body 211: insertion groove 211a: blocking frame
212: Fixing frame 213: Fitting groove
214: circuit board 214a: forward signal generating area 214b: reverse signal generating area
22: rotary plate 23:
231: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a: forward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1b: rever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32: power supply module 233: communication module
3: central structure 31: connecting plate
311: inserting portion 312: supporting portion 313:
32: battery mounting part 321: battery 33: engaging plate
4: connection rivet 41: insertion member
411: guide groove 412: protruding jaw 413: fixing protrusion
42: operating member 421: locking projection 422: incision groove 423:
5: engaging hole 51: engaging jaw
100: Robot moving east 101: Left wheel 102: Right wheel

Claims (10)

각각 회전하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가지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신호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And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a specific movement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unit and the second rot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회전 방향이 동일할 때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allowing a specific movement of the robot to be performed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될 때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causing a specific movement of the robot to occur when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rotation unit and the second rotation unit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는 정지하고 나머지 하나가 회전할 때 로봇의 특정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Wherein the remote control uni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or causing the robot to perform a specific movement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rotation unit and the second rotation unit stops and the other one rot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를 동시에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봇의 좌륜과 후륜이 모두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 전진하고, 양측을 동시에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륜과 후륜이 모두 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 후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rota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both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robot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obot advances. When the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 robot is moved back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머지 하나를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봇의 좌륜과 우륜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봇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n on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s rotat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other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robot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otate the robot in place Remote control using the rotating parts of the p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 중 어느 하나만을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봇의 좌륜 또는 우륜 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하여 로봇이 일정 반경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robot is rotated so that the robot is rotated left or right by a predetermined radius when any on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Remote control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은
리모컨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심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상기 중심구조체의 양측에 한 쌍이 결합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신호전달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신호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중심구조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조작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조작부가 고정·결합되어 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로봇으로 전달하며, 조작신호전달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2.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the pair of rotating parts
And a central structur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tructure,
The operation un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center structur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 rotating plate whic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operating portion being fixedly coupled and rotated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a control unit which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ransmits a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to the robo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조체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고정틀과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신호전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와; 일측이 상기 고정틀 및 결합플레이트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배터리장착부와 결합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결합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고정틀 및 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장착부와 맞닿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body
And a fixing frame protruding inwardly and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Wherein the central structure comprises a coupling plat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nd engaging with a fixed frame on both sides; A battery mounting portion to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portion is mounted; And a connecting plate having one side engaged with the fixed frame and the engaging plate and the other side engaged with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The connecting plate includes:
An inserting portion formed to abut on an inner side of the fixed frame; A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perpendicularly from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horizontal with the ground surface and supported by the fixing frame and the coupling plate; And a coupling part vertically bent from a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mounting part.
제 9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은
상기 연결플레이트, 결합플레이트, 배터리장착부의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리벳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 모양, 색상의 프레임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리모컨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공은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리벳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내에 삽입되어 삽입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일 지점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과, 일단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조작부재의 끝단에서 일정 길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using a pair of rotation parts
And a connection rivet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hole, wherein the frame has a plurality of frames of various shapes, shapes and colors. So that various types of remote controllers can be formed,
Wherein the engaging hole includes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Wherein the connecting rivet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hole, and an oper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insertion member,
The insertion member includes a guide groove which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thereof, a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at one point of the guide groove,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ne end,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out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of the operating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KR1020160150945A 2016-11-14 2016-11-14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KR101891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45A KR101891108B1 (en) 2016-11-14 2016-11-14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45A KR101891108B1 (en) 2016-11-14 2016-11-14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65A true KR20180053865A (en) 2018-05-24
KR101891108B1 KR101891108B1 (en) 2018-08-23

Family

ID=6229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945A KR101891108B1 (en) 2016-11-14 2016-11-14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1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39A (en) * 2019-05-30 2020-12-09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579A (en) * 2000-05-15 2001-11-20 Saamaru:Kk Controller
KR20140091255A (en)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로시 Apparatus for motion controler using rotational mo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579A (en) * 2000-05-15 2001-11-20 Saamaru:Kk Controller
KR20140091255A (en)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로시 Apparatus for motion controler using rotational mo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플레이스테이션4 듀얼쇼크4 영상리뷰. [online], 2013년 12월 19일, [2017년 12월 19일 검색], 인터넷:<URL: https://www.youtube.com/watch?v=ePCPxfQcRe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39A (en) * 2019-05-30 2020-12-09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108B1 (en)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7283A1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KR101696151B1 (en)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CN210200069U (en) Programmable robot
JP3188939U (en) Robot system
US1182430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elements for a modular construction element and/or system
Selvam Smart phone based robotic control for surveillance applications
KR200480780Y1 (en) A sensor robot for student
CN105517656A (en) Wheel-turning assembly,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91108B1 (en) A Remote Control Using a Pair of Rotating Part
KR100696133B1 (en) Robot system for a cleaning
KR20140108146A (en) removal type device for driving a wheelchair
WO2017198217A1 (en) Desktop-level mechanical arm device
KR20220010618A (en) Teaching system of robot
CN205190286U (en) Intelligence remote control fan dolly
US7705552B2 (en) Robotic system
CN209327895U (en) A kind of remote manipulator of mobile device
Simonin et al. A cooperative multi-robot architecture for moving a paralyzed robot
CN211250057U (en) Robot hand-held control device
CN106805576B (en) Early education implement holder and baby furniture
Ismail et al. Investigation of homogeneous multi robots communication via Bluetooth
WO2015089991A1 (en) Remote control,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isplay system
Sawalmeh et al. A surveillance 3D hand-tracking-based Tele-operated UGV
Ikeda et al. Docking method for a wheelchair and a care robot using both teleoperation and autonomous control
Aravindan et al. Multi-way controlled robotic vehicle
KR102384897B1 (en) Automation system utilizing articulated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