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280A -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 Google Patents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280A
KR20180052280A KR1020160149416A KR20160149416A KR20180052280A KR 20180052280 A KR20180052280 A KR 20180052280A KR 1020160149416 A KR1020160149416 A KR 1020160149416A KR 20160149416 A KR20160149416 A KR 20160149416A KR 20180052280 A KR20180052280 A KR 2018005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ngle
variable
lift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515B1 (ko
Inventor
최동규
Original Assignee
최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규 filed Critical 최동규
Priority to KR102016014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5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38Adjustment of complete w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2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reducing air resistance by modifying contour ; Constructional features for fast vehicles sustaining sudden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e.g. when crossing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16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 B64C13/18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using automatic pi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4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exhaust outlets or jet pipes
    • B64C2700/624
    • B64D2700/6218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동체;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체에 양력 또는 상기 양력과 반대되는 반양력을 제공하도록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변각형 날개; 및, 상기 변각형 날개를 상기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양력을 제공하는 각도 또는 반양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날개를 수직으로 세워 항원심력을 조절 제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 것이므로 갑작스런 일기 변화와 예기치 못한 상황 속에서도 안전운행이 가능하며, 더욱이 짧은 활주거리 만으로도 안정된 이착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 {a transfer angle type lift power control system of the wings to the third generation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선박, 열차,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선박, 열차, 자동차 중 어느 하나에 양력, 반양력, 그리고 항원심력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하여 줌으로서, 항공기, 선박, 열차, 그리고 자동차의 기능 한계와 악천후 등의 변수에 대응하지 못하는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활수로 방식의 항공기는 첨부된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동체(100)에 주 날개(20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주 날개(200)의 뒷부분에 있는 수평타(201)에 의해 이륙과 착륙 또는 고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항공기는 날개와 수평타의 기능을 하나로 결합하여 날개를 통해 수평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특정 지어 본다면 변각형 양력 조절식 날개 = 날개 + 수평타 라는 공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이같이 항공기 날개에 최초로 연의 원리를 적용하여 각각의 날개에 연의 상승 이론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의 항공기는 동체(100)에 주 날개(200)가 고정되어 있어 첨부된 도 2 및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일정길이의 활주로에 정해진 이착륙 각(R1)으로 이륙과 착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그러므로 수시로 바뀌는 바람의 방향과 안개나 구름 또는 야간에 공항 관제소 등의 지시용 기기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또는 항공기 자체의 사사로운 고장에 의해서도 이착륙에 빈번한 위험과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항공기(100)는 불필요한 긴 주 날개(200)로 인하여 공항 대기면적을 넓게 차지하였고, 수리나 보관 등의 이유로 격납고에 입고시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항공기는 90% 이상의 양력을 주 날개(200)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주 날개(200)와 동체(100)의 한정된 부분에 양력이 편중되므로 양력 불균형을 일으켜, 동체 안정성을 주 날개에 의존함으로써 30% 이상의 날개 파손시 추락과 같은 심각한 상황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항공기는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 이륙시에 항공기 동체를 비스듬한 각도(R1)로 기울이며 상승하게 되므로 승객이 느끼는 불편한 자세와 화물기의 경우에는 화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항공기는 거의 모든 양력을 주 날개(200)가 부담하여야 하므로 승객이나 화물의 수용 능력과 직결되는 동체의 길이 확장에 한계가 있었고, 고도 조절은 수평타(201)가 담당하기 때문에 급상승 또는 급하강과 급감속이 불가능하였던 까닭에 항공기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를 길게 조성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자동차나 열차와 같은 운송수단은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승객과 화물에 따라 하중이 증가할 경우 그 하중으로 인해 연료가 과다하게 소모됨은 물론, 증가된 하중이 자동차나 열차의 바퀴에 전달되면서 파손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빗길이나 빙판길 또는 커브길에서는 밀림현상이 초래되면서 안정적인 주행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지는 밸러스트 수(Ballast Water)에 의해 전체적인 하중이 증가하면서 연료 소비량이 많아지고, 특히 밸러스트 수의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운송수단으로서 항공기, 선박, 열차, 자동차에 각각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함으로써, 날개의 각도 조절을 통해 양력이나 반양력을 제공하여 항공기, 선박, 열차,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이나 화물로 인한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항공기, 선박, 열차, 자동차가 각각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동에 따른 연료를 절감시키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에 항원심력을 제공하는 날개를 구성함으로써,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의 커브(curve) 이동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시말해, 물고기가 물속을 헤엄치듯 새와 나비도 대기속을 헤엄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만든 육상 운송기관이나 항공기 또는 심지어 미사일이나 로켓마저도 운동성을 가지고 있다면 공기의 흐름과 저항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자유로울 수 없다면 이용을 하는 방안을 찾아 공기와 물의 저항을 내가 원하는 유리한 방향으로 최대한 유도를 해서 최상의 효과를 내자고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는, 동체;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체에 양력 또는 상기 양력과 반대되는 반양력을 제공하도록 날개 중심에 위치하는 날개구동축부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각형 날개; 및, 상기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양력 또는 반양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상기 변각형 날개를 기울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는 항공기 동체에 적용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바람가름판(wind dividor)과 바람누름판(wind pressor)을 연장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체의 양측부에 좌우 쌍을 이루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와 연결체로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에 각각 1:1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풍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일 수평라인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상하측으로 서로 교차되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배치되는 순서에 따라 그 날개의 폭과 길이가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사이사이에는 간섭류를 방지하도록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형 날개를 더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의 양력 제공을 위한 각도는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43°내지 45°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의 반양력 제공을 위한 각도는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13°내지 15°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는 항공기, 열차, 자동차, 선박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또한, 상기 항공기의 후방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부와 분사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구는 상하좌우로 360°의 회전각을 가지는 원뿔 형상인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가 열차 또는 자동차이면, 상기 변각형 날개는 상기 동체의 외부측 상부 또는 외부측 양측벽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차의 외부측 상부 또는 외부측 양측벽부에는 항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원심력 제어 날개를 배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심력 제어 날개는 상기 변각형 날개에 수직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가 대형 저속 선박이면, 상기 변각형 날개는 선박의 외부측 저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체가 소형 고속 선박이면, 상기 변각형 날개는 선박의 외부측 양측부 또는 선박의 지붕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에는 수평타가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각각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것으로, 이와같이 날개의 각도 조절을 통해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양력 또는 반양력과 항원심력을 제공하여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이나 화물로 인한 하중 증가되더라도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이동에 따른 연료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날개가 짧은 동체를 구성하여 활주거리를 줄이면서 활주로 조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공항에서의 대기면적을 좁게 차지하게 되고, 동체를 폭이 넓으면서도 길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승객과 화물 적재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항공기의 급상승과 급하강 그리고 급감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동체 전 구간에서 균등한 양력이 발생되도록 하면서, 항공기의 이착륙 거리를 확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 다단으로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어느 하나의 날개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날개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급작스러운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공항에서의 대기면적을 최소화시키고, 격납고로의 격납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승객과 화물 증가로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하중 증가로 인한 중력작용으로부터 바퀴(특히 열차)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에 변각형 양력(부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시, 화물 적재량을 증대시키면서도 선박의 안정적인 운항을 가이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항원심력을 발휘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하여, 열차 또는 자동차가 빗길이나 빙판길 또는 커브길에서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키면서 그 주행이 감속없이 정속 주행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적용한 항공기의 전체적인 날개 특성과 개념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고정형인 주 날개 (가)와 본 발명의 핵심인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 (나)의 단면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의 앞쪽과 뒤쪽으로 바람가름판(wind dividor)과 바람누름판(wind pressor)을 형성하고 있고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의 중심에는 날개구동축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고정형인 주 날개가 적용되는 항공기와 본 발명의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가 적용되는 항공기의 전체적인 형태와 날개의 기능 그리고 역할을 비교한 것으로, (가)와 (A)는 두 항공기를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나)와 (B)는 날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다)(라)(마)와 (C)(D)(E)는 날개의 기능과 역할을 한쪽 날개만 표현한 것인데, 고정형 주 날개가 장착된 항공기는 측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가 장착된 항공기는 정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연과 수상 스키의 원리를 나타내 본 발명 항공기의 핵심 원리와 이를 응용한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고정형 주 날개를 장착한 종래 항공기와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본 발명의 항공기가 이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가)는 고정형 주 날개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륙각이 작고 동체가 비스듬한 각도로 상승하는 종래 항공기이고, (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를 장착하여 이륙각이 크고 수평 상승하는 본 발명의 항공기 도면이다.
도 6의 (가)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에 대한 한계각을 나타낸 것으로, 한계각은 동체 안전을 위해 정한 것이며, 이를 초과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위로는 최고 한계각 아래로는 최저 한계각을 도시한 도면이며, (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를 장착한 본 발명의 항공기에 대한 착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다)는 고정형 주 날개를 장착한 종래 항공기의 착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항공기에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 날개를 배열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수평형 배열, (나)는 계단형 배열, (다)는 지그재그형 배열 방식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수평형 배열 구조를 보인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가 적용되는 항공기의 측면 및 평면을 도시한 것으로,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의 앞뒤로 면적을 넓혀준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수평형 배열 구조를 보인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가 적용되는 항공기의 평면을 도시한 것으로, 뒷쪽으로 갈수록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가 좌우로 면적을 넓게 구성한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고정형 날개와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융합한 날개 배열방식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11은 양력과 반양력(또는 접지력) 조절방식의 날개와 항원심력 날개의 기본 메커니즘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양력과 반양력(또는 접지력) 조절방식의 날개와 항원심력 날개의 기본 응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양력(부력)과 반양력(반부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대형 선박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과 저면도이다.
도 14는 양력(부력)과 반양력(반부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소형 선박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과 평면도이다.
도 15는 양력과 반양력 조절방식의 날개와 항원심력 날개를 열차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의 동체(10)에 적용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은, 변각형 날개(20) 및/또는 고정형 날개, 그리고 구동부(30)와 풍향감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원심력 제어 날개(50)와 수평 타(도면에 표시 없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20)를 적용할 수 있는 원리는 첨부된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연이 날리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람의 저항을 만드는 연 몸체와 저항력(공기의 흐름)을 비스듬하게 하부방향(중력방향)으로 흘려보내게 묶은 연줄로부터 착안한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수상스키의 부력 원리로부터도 착안된 것으로, 스키가 전진하면서 물의 저항을 하부방향으로 흘려보내서 부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서 착안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리 이외에 배의 스크류나 풍차 및 선풍기의 날개 등에 적용되는 원리를 응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의 공통점은 물과 바람의 저항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각형 날개(20)는 상기에서 설명하는 공기와 물이라는 물질로부터 물과 바람의 저항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에 착안된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반각형 날개(20)의 각도 조절을 통해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선박의 이동에 따른 상황이나 변수에 대응하여 양력(또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항공기에 적용되는 변각형 날개의 공식)은,
* 날개 + 수평타 -> 변각형 양력조절방식 날개 = 연 (각각의 날개)
항공기를 조종하는 조종사는 이륙때보다 착륙때에 더 긴장감을 느끼게 되는데, 본 발명의 변각형 양력 조절날개 방식 항공기는 정해진 착륙각이 없으므로 일반 착륙시 또는 악천후 착륙시에 조종사의 긴장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살펴보면, 상기 변각형 날개(20)는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의 동체(10) 양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동체(10)에 양력 또는 상기 양력과 반대되는 반양력을 제공하도록 날개구동축부(20a)를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상기 변각형 날개(20)는 첨부된 도 6의 (가)에서와 같이, 양력 제공을 위한 한계 각도와 반양력 제공을 위한 한계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되며,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양력 제공을 위한 최고 한계 각도는 수평라인(H)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43°내지 45°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이고,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반양력 제공을 위한 최저 한계 각도는 수평라인(H)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13°내지 15°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양력과 반양력의 최고 한계 각도는 상기와 같은 수치적인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구 및 실험을 통해 그 한계 각도를 재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바람가름판(wind dividor)(21)과 바람누름판(wind pressor)(22)을 연장 구성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바람가름판(21)과 상기 바람누름판(22)은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항공기 동체(10)에 적용시,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이 이루어질 때 엄청난 공기의 압력을 받는 것을 감안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바람가름판(21)과 상기 바람누름판(22)은 가능한 얇게 만들되 부러지거나 상기 변각형 날개(20)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강성의 재질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고, 여기서 설명하는 강성의 재질이라 함은 공지의 재질로서 탄소섬유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변각형 날개(20)는 항공기 동체(10) 양측부에 좌우 쌍을 이루며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로서 다단 배치하는 것으로서, 이는 첨부된 도 7의 (가)에서와 같이 동일 수평라인에 수평형으로 배치 구성하거나, 첨부된 도 7의 (나)에서와 같이 계단형으로 배치 구성하거나, 도 7의 (다)에서와 같이 상하측으로 서로 교차되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평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20)는 그 배치 간격으로 인해 공기의 간섭류(예; 와류 또는 파류)가 후단측 날개에 영향을 미치면서, 후단측에 배치되는 변각형 날개에서의 양력 제공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간섭류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계단형으로 변각형 날개(20)들을 배치하거나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변각형 날개(20)들을 배치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계단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이는 선단측과 후단측에 각각 배치되는 변각형 날개(20)들의 양력이 최소 5∼7%, 최대 10%까지 차이가 발생하면서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변각형 날개(20)들의 양력이 가장 크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변각형 날개(20)는 대형 운송수단(대형 여객기, 대형 화물기)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수평형으로 배치시 간섭류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수평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20)들의 사이에 회전되지 않는 고정형 날개(미도시)를 배치하는 혼합형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간섭류의 영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첨부된 도 10은 고정형 날개와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융합한 배열 방식을 나타낸 도표로서, 이는 수평형 배열구조와 계단형 배열구조는 물론, 지그재그형 배열 구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장점으로는 변각형의 입장에서 살펴볼 때, 변각형 날개(20)의 고장시 고정형 날개가 있음으로 인해 추락과 같은 심각한 상황을 막을 수 있고, 고정형 날개의 입장에서는 보다 더 유동적이고 효과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다익형 항공기의 단점이며 취약점인 공기 간섭류(풍)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변각형 날개(20)의 사이에 고정형 날개가 있음으로 인해 두 날개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간섭류(풍)의 영향을 덜 받게되고, 같은 종류의 날개가 연이어 있으며 양력의 효과면에서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다익형 날개를 장착한 항공기 전체에 해당되는 요건이지만 가능한 날개가 많을수록 좋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첨부된 도 3과 같이 너무 가깝게 설계해선 안되고, 실제에선 상당한 거리를 두어야 한다.
즉, 비(소)간섭 유효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며, 상기 유효거리는 다익형 항공기의 종류(수평형, 계단형, 지그재그형, 융합형)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날개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날개의 면적이 좁고, 날개 사이의 거리가 길면 날개의 면적을 크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날개가 많으면 크기가 작고 날개의 수가 적으면 날개를 크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쩌면 공식이기 이전에 물리법칙이며 이치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설치 갯수는, 소수의 큰날개 보다 다수의 작은 날개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는 다수의 작은 날개가 날개 하나당 걸리는 부하도 적고 날개가 일으키는 소음도 적을 뿐만 아니라 조종 감각과 작동(변각)도 부드러우며 간섭류 역시 적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므로 혹 사고로 날개가 몇개 부러지더라도 동체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다수의 작은 날개는 무엇보다도 비행이 매끄럽고 동작이 민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더 나아가 예고없는 돌풍이나 기상 이변에도 날개의 면적이 작아서 비행시나 공항에 대기시 사고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소수의 큰날개 (4개~6개) 보다는 다수의 작은날개 (10개~16개)를 설치하는 것이 모든 면에서 유익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변각형 날개(20) 및/또는 고정형 날개를 수평형과 계단형 그리고 지그재그형으로 다단 배치시, 선단측보다는 후단측에서 양력이 감소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배치되는 순서에 따라 그 날개의 폭(W1<W2<W3<W4)(또는 면적)이 확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전방측보다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또는 면적)을 넓혀준 변각형 날개(20)를 적용함에 따라, 후방측에서 손실되는 양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형 배열 구조는 계단형 배열 구조와 달리 보완하지 않고 그대로 즉, 같은 크기 또는 같은 면적의 변각형 날개(20)를 적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다익형 항공기는 단익형과 달리 앞날개가 일으키는 공기의 간섭류(와류 또는 파류)가 뒷날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뒷쪽으로 갈수록 양력이 감소하는 현상이 생긴다. 간섭류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계단형의 경우도 앞날개와 끝날개와의 양력 차이가 최소 5∼7% 최대 10%까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현상은 수평형 배열구조에서 가장 심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뒷쪽으로 갈수록 일정비율로 날개의 면적을 넓혀주는 방법을 써야 하는데, 그 중 하나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날개의 앞뒤로 면적을 넓혀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좌우로 면적을 넓혀주는 것이며, 상기 날개의 앞뒤 면적과 좌우 면적을 절충하여 혼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동체(10)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변각형 날개(20)는 구동부(30)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상기 날개구동축부(20a)를 중심으로 양력을 제공하는 각도 또는 반양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정역회전 구동하는 감속모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유압 또는 공압의 제어기구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30)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날개구동축부(20a)와 연결체(미도시)로 연결 구성하게 되지만,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날개구동축부(20a)에 각각 1:1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날개구동축부(20a)는 상기 동체(10)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연결하면서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축이거나, 또는 상기 동체(1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 조절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동축의 날개구동축부(20a)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20)에는 수평타(도시없음)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동축으로 연결되는 변각형 날개(20)로부터 발생하는 양력에 더하여 추가적인 양력을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는 풍향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 및 풍속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항공기)의 동체(10)는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조절로부터 맞바람을 받으며 안전한 이륙 또는 착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되는 변각형 날개(20)를 운송수단에 따라 그 적용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에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적용시, 항공기는 첨부된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변각형 날개(20)의 각도 조절을 통해 급격한 경사의 이륙 각도(R11)로 그 이착륙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항공기의 활주로를 종래에 비하여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체(10)가 항공기 동체이고 이 항공기 동체(10)의 양측부에 상기와 같은 변각형 날개(20)를 다단 배치시, 상기 항공기 동체(10)의 후방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부(11)와 분사구(12)를 구성하고, 상기 분사구(12)는 상하좌우로 360°의 회전각을 가지는 원뿔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다.
즉, 상기 항공기 동체(10)의 양측부에 상기 변각형 날개(20)가 다단 배치되므로 날개 인접부에는 엔진부(11)를 구성할 수 없으며, 그러므로 반각형 날개(20)에 간섭이 없는 공간 즉, 날개의 아래쪽 좌우 측벽부 또는 상기 동체(10)의 후방측에 상기 엔진부(11)를 배치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분사구(1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12)가 상하좌우로 360°의 회전각을 가지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함은, 항공기 동체(10)의 이착륙이 이루어질 때 큰 영향을 미치는 바람의 방향이 시시각각 다른 것을 감안하여, 바람이 부는 쪽으로 항공기 동체(10)의 기수를 돌려 맞바람을 받으며 착륙을 유도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항공기 동체(10)의 양측부에 다단으로 변각형 날개(20)를 배치 구성시, 상기 항공기 동체(10)에는 보조엔진을 더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항공기 동체(10)에 과도한 화물적재나 유사시 승객의 인원 초과로 인하여 큰 양력이 필요로 할 때, 또는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해 항공기 동체(10)가 큰 이륙각으로 순간 상승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맞바람이 없거나 기압이 약할 때를 대비하여 보조적인 추력을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선박과 열차, 그리고 자동차와 같은 동체에 양력(또는 부력)과 반양력(반부력), 그리고 운동성을 가진 물체의 커브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항원심력의 날개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항원심력은 동체 측방향의 힘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도면 기준 가로로 누워있는 긴 변각형 날개(20)는 각도를 조절하여 동체 상하 방향의 힘을 조절하는 것이고, 세로로 서 있는 작은 날개(50)는 각도를 조절하여 커브 구간에서 원심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변각형 날개(20)와 작은 날개(50)를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하면 아주 효과적인 장치가 된다.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 짐을 많이 실어 하중을 초과하였을 경우 양력을 크게 하여 자동차를 가볍게 할 수 있고, 빗길이나 빙판길에서는 반양력(접지력)을 크게 하여 자동차를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항원심력 날개는 빙판길에서의 커브의 밀림을 잡아주어 겨울이나 빗길에서의 운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운송수단이 열차 또는 자동차의 동체(10')인 경우, 첨부된 도 15의 ①,②에서와 같이, 상기 변각형 날개(20)는 상기 열차의 외부측 상부 또는 외부측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10')가 지면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시,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 조절을 통해 양력 또는 반양력(접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운송수단의 동체(10')에 양력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동체(10')에 화물 또는 탑승인원이 많아 하중이 증가되었을 때 그 증가된 하중으로 인해 동체(10')의 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더 많은 추진력을 제공받기 위해 연료를 많이 소비할 때 그 연료 소비량을 줄이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10')에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양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동체(10')는 지면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시 약간의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량의 화물이 적재되어 있거나 탑승인원이 많더라도 연료 소비량을 줄이면서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변각형 날개(20)에 의한 상기 동체(10')의 부양효과는 지면 또는 레일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동체(10')의 하단에 마련되는 바퀴가 접촉 압력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운송수단의 동체(10')에 반양력 즉, 지면 또는 레일과의 접지력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동체(10')에 화물 또는 탑승인원이 적으면서 하중이 감소되었을 때 그 감소된 하중으로 인해 지면 또는 레일로부터 동체(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10')에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반양력(접지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동체(10')는 지면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시, 상기 지면 또는 레일과의 접촉력이 증대되면서, 상기 동체(10')가 지면 또는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운송수단이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은 동체(10')인 경우, 첨부된 도 15의 ③,④에서와 같이 상기 동체(10')의 외부측 상부 또는 외부측 양측부에는 항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원심력 제어 날개(50)를 배치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원심력 제어 날개(50)는 단독 또는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변각형 날개(20)에 수직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원심력 제어 날개(50)는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10')가 커브길이나 빗길 또는 빙판길을 따라 이동시 각도 조절을 통해 원심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10')는 커브길이나 빗길 또는 빙판길에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운송수단이 선박(예; 대형 또는 소형 선박)의 동체(10")인 경우,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변각형 날개(20)는 상기 선박의 외부측 저부 양측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날개구동축부(20a)는 반부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30)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30)는 또한 수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수류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의 동체(10")가 수면을 따라 이동시,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각도 조절을 통해 반부력(접수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동체(10")에 반부력을 제공하는 경우, 선박의 동체(10")를 아래로 잡아 당겨 동체에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적재된 화물 또는 탑승인원을 고려하여 최선의 속도로 순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순항 도중 급변하는 일기나 조류로 인하여 필요한 상황에 이를 경우 상기 변각형 날개(20)의 날개각 제어를 통해 반부력(접수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밸러스트 탱크의 대체 역할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이 밸러스트 탱크의 기능이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대체되면, 상기 밸러스트 수(Ballast Water)로 체워지던 종래 선박에 비해 전체적인 하중이 감소되면서 연료 소비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특히 밸러스트 수의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동체(10")에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반부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동체(10")는 수면을 따라 이동시 부양 또는 반부양 효과를 선택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량의 화물이 적재되어 있거나 탑승인원이 많더라도 연료 소비량을 줄이면서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도 14에서와 같이 소형 고속 선박의 경우에 있어서 변각형 날개(20)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키가 수면 위를 미끄러지도록 동체(10")를 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동체(10")에 반부력 즉, 수면과의 접수력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동체(10")에 화물 또는 탑승인원이 적으면서 하중이 감소되었을 때 그 감소된 하중으로 인해 수면으로부터 동체(10")가 너무 크게 떨어지면서 뒤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동체(10")에 변각형 날개(20)를 통해 반부력(접수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동체(10")는 수면을 따라 이동시, 상기 수면과의 접촉력이 증대되면서, 상기 동체(10")가 수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10',10"; 동체 20; 변각형 날개
20a; 날개구동축부 21; 바람가름판
22; 바람누름판 30; 구동부
40; 풍향감지부 50; 원심력 제어날개

Claims (38)

  1. 동체;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체에 양력 또는 상기 양력과 반대되는 반양력을 제공하도록 날개 중심에 위치하는 날개구동축부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각형 날개; 및,
    상기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양력 또는 반양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상기 변각형 날개를 기울임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바람가름판(wind dividor)과 바람누름판(wind pressor)을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체의 양측부에 좌우 쌍을 이루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와 연결체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에 각각 1: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풍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 및 풍속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일 수평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상하측으로 서로 교차되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배치되는 순서에 따라 그 날개의 폭과 길이가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사이사이에는 간섭류를 방지하도록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형 날개를 더 배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의 양력 제공을 위한 각도는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43°내지 45°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의 반양력 제공을 위한 각도는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13°내지 15°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의 후방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부와 분사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하좌우로 360°의 회전각을 가지는 원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에는 수평타가 추가로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17. 동체;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외부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체에 양력 또는 상기 양력과 반대되는 반양력을 제공하도록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변각형 날개; 및,
    상기 변각형 날개를 상기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양력을 제공하는 각도 또는 반양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체의 양측부 또는 외부측 상부에 좌우 쌍을 이루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와 연결체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에 각각 1: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풍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 및 풍속 및 풍속 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외부측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일 수평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외부측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양측부 또는 외부측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상하측으로 서로 교차되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외부측 상부 또는 외부측 양측부에는 항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원심력 제어 날개를 배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제어 날개는 상기 변각형 날개에 수직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열차.
  27. 동체;
    상기 동체의 전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동체에 양력 또는 상기 양력과 반대되는 반양력을 제공하도록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변각형 날개; 및,
    상기 변각형 날개를 상기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양력을 제공하는 각도 또는 반양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자동차.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풍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 및 풍속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자동차.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전후방측에는 항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원심력 제어 날개를 배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자동차.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제어 날개는 상기 변각형 날개에 수직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자동차.
  31. 동체;
    상기 동체의 외부측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체에 부력 또는 상기 부력과 반대되는 반부력을 제공하도록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변각형 날개; 및,
    상기 변각형 날개를 상기 날개구동축부를 중심으로 부력을 제공하는 각도 또는 반부력을 제공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체의 외부측 저부에 좌우 쌍을 이루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와 연결체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변각형 날개의 날개구동축부에 각각 1: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수류정보에 따라 상기 변각형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외부측 저부 또는 동체의 상부 측면이나 지붕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동일 수평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외부측 저부 또는 동체의 상부 측면이나 지붕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외부측 저부 또는 동체의 상부 측면이나 지붕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변각형 날개는 상하측으로 서로 교차되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KR1020160149416A 2016-11-10 2016-11-10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KR10193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16A KR101934515B1 (ko) 2016-11-10 2016-11-10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16A KR101934515B1 (ko) 2016-11-10 2016-11-10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528A Division KR20180052568A (ko) 2018-04-24 2018-04-24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열차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80A true KR20180052280A (ko) 2018-05-18
KR101934515B1 KR101934515B1 (ko) 2019-01-02

Family

ID=6245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416A KR101934515B1 (ko) 2016-11-10 2016-11-10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5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010A (zh) * 2018-12-11 2019-03-01 华东交通大学 一种辅助汽车过高速公路的装置
CN110194188A (zh) * 2019-06-28 2019-09-03 西南交通大学 高速轨道交通列车侧翼升力控制机构
WO2019212066A1 (ko) * 2018-04-30 2019-11-07 Choi Dong Kuoo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 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
CN114872744A (zh) * 2022-05-27 2022-08-09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高铁限界约束的气动升力协同列车升力翼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066A1 (ko) * 2018-04-30 2019-11-07 Choi Dong Kuoo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 3세대 항공기와 선박 및 열차 그리고 자동차
CN109398010A (zh) * 2018-12-11 2019-03-01 华东交通大学 一种辅助汽车过高速公路的装置
CN110194188A (zh) * 2019-06-28 2019-09-03 西南交通大学 高速轨道交通列车侧翼升力控制机构
CN110194188B (zh) * 2019-06-28 2024-05-28 西南交通大学 侧翼升力控制机构在高速轨道交通列车上的应用
CN114872744A (zh) * 2022-05-27 2022-08-09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高铁限界约束的气动升力协同列车升力翼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515B1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053B2 (en) Method for comprehensively increasing aerodynamic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a wing-in-ground-effect craf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variants) and a method for realizing flight
KR101502290B1 (ko) 개인용 항공기
US7322872B2 (en) Model toy aircraft
US20070018041A1 (en) Model aircraft
US20120074264A1 (en) Airplane wing
CN112141328A (zh) 飞机
CN108045575B (zh) 一种短距起飞垂直着陆飞行器
KR20180052280A (ko)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항공기
CN103241376A (zh) 一种矢量动力垂直起降飞机及其矢量动力系统
CA3141442A1 (en) Multi-modal vehicle
US20200247536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JP7112141B2 (ja) 変角型揚力調節方式の翼を装着した第3世代航空機
CN110431076B (zh) 无尾飞机
RU242230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US6164591A (en) Ground-effect flying boats also applicable to aircraft, drones, and spacecraft
JP5791033B2 (ja) 垂直離着陸飛行体
EP2527218A1 (en) Aircraft on an air cushion with aerostatic load relief
KR20180052568A (ko)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제3세대 선박, 열차 및 자동차
RU2297933C1 (ru) Экраноплан
CN113086184B (zh) 串列分布式电推进共轴涵道垂直起降飞行器
RU2651530C1 (ru) Экраноплан
US10654556B2 (en) VTOL aircraft with wings
JP2021049960A (ja) 飛行体
CN1740056A (zh) 机翼上方喷射气流产生升力的飞机
RU2328413C1 (ru) Легкий самолет-амфиб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