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921A - 산업용 수직펌프 - Google Patents

산업용 수직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921A
KR20180051921A KR1020160148872A KR20160148872A KR20180051921A KR 20180051921 A KR20180051921 A KR 20180051921A KR 1020160148872 A KR1020160148872 A KR 1020160148872A KR 20160148872 A KR20160148872 A KR 20160148872A KR 20180051921 A KR20180051921 A KR 2018005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ump
suction unit
flow rate
pu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921A/ko
Publication of KR2018005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46Surge control by varying geometry within the pumps, e.g. by adjustin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27Varying behaviour or the very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유체를 압축하는 임펠러 및 상기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이송유로를 포함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및 상기 펌프본체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이용해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산업용 수직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수직펌프{Industrial Vertical Pump}
본 발명은 물, 공기와 같은 유체를 흡입 및 압축하여 이송하기 위한 산업용 수직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Pump)는 압력작용에 의해 물과 같은 액체,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의 유체를 관을 통해 이송시키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관을 통해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펌프는 왕복펌프, 회전펌프, 원심펌프, 축류펌프 등이 있으며, 원심펌프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임펠러를 밀폐된 케이스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하거나 압송한다.
펌프의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고, 임펠러 중심부에 위치하는 유체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임펠러 중심부는 압력이 저하되어 진공 상태가 되고, 펌프의 흡수관을 통해 유체가 임펠러의 중심부를 향해 흡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유체는 압력에 의해 흡수관으로 흡입되어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원심펌프의 흡입구가 임펠러의 중심을 향해 설치되는 것은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원심펌프는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소형이면서 경량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효율이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펌프는 설치되는 구조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누운 상태로 설치되는 수평펌프와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수직펌프로 구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펌프는 흡입관인 석션벨이 펌프의 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므로,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펌프는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 석션벨 부근에서 유체의 재순환 유동. 즉, 와류가 발생하므로 유체를 정확한 압축률로 압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체의 유량에 따라 흡입관을 이동시켜 와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수직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는 일측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유체를 압축하는 임펠러, 및 상기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이송유로를 포함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및 상기 펌프본체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이용해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연통부재, 일측이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통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된 유체의 압력에 따라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와 상기 펌프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부재가 수축되도록 상기 흡입부를 복원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설정된 기준유량 미만이면 상기 돌출길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흡입부를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설정된 기준유량 이상이면 상기 돌출길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흡입부를 상기 펌프본체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에 따라 흡입관을 이동시켜 와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펌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서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준유량 미만인 경우에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서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준유량 이상인 경우에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서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준유량 미만인 경우에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에서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준유량 이상인 경우에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흡입부를 이동시켜 유체의 재순환 유동. 즉,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임펠러에 의해 흡입 및 압축된 유체를 이용해서 상기 흡입부를 이동시킴으로써 펌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크게 펌프본체(2), 흡입부(3), 및 길이조절부(4)를 포함한다.
유체(F, 도 1에 도시됨)는 가스, 공기와 같은 기체, 및 용수, 해수와 같은 액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산업 플랜트 및 발전소에 Z축(도 1에 도시됨)과 평행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용수 및 해수를 흡입 및 압축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Z축을 기준으로 아래쪽인 일측(2a)에 위치하는 유체를 흡입하여 위쪽인 타측(2b)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펌프본체(2), 상기 흡입부(3), 및 상기 길이조절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펌프본체(2)는 일측(2a)에서 유체(F)를 흡입하여 타측(2b)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펌프본체(2)는 일측(2a)과 타측(2b)이 연통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본체(2)는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측(2a)에서 타측(2b)으로 유체(F)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본체(2)는 임펠러(21) 및 이송유로(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1)는 상기 펌프본체(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본체(2)에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21)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날개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펌프본체(2)의 내측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펌프본체(2)에 지지축 등으로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은 용접결합 및 접착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펌프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에 날개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펌프본체(2)의 내측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날개부재는 Z축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재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펌프본체(2)의 하측에 위치하는 유체(F)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부(3)를 통해 유체(F)가 흡입되어 일측(2a)에서 타측(2b)을 향하는 제1방향(FD, 도 1에 도시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F)는 타측(2b)에서 일측(2a)을 향하는 제2방향(SD,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은 상기 제1방향(FD)에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유체(F)는 상기 날개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방향(FD)으로 이동되고, 상기 날개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방향(SD)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부재가 회전하는 회전속도에 따라 제1방향(FD) 또는 제2방향(SD)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날개부재가 회전하는 회전속도가 빠르면, 느릴 경우에 비해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더 많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날개부재의 회전속도가 일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펌프본체(2)는 유체(F)가 배출되는 타측(2b)에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흡입하는 유체(F)의 유량이 적을 경우, 배출구를 폐쇄하고, 흡입하는 유체(F)의 유량이 많을 경우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압축되어 이송유로(22)로 이동하는 유체의 압력은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에 크고, 유체의 유량이 많을 경우에 작다.
상기 이송유로(22)는 상기 펌프본체(2)의 일측(2a)에서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흡입 및 압축된 유체(F)를 타측(2b)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로이다. 예컨대, 상기 이송유로(22)는 토출보울(Discharge Bowl)일 수 있다. 상기 이송유로(22)는 상기 펌프본체(2)의 일측(2a)과 타측(2b)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로(22)는 상기 펌프본체의 일측(2a)에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및 상기 펌프본체의 타측(2b)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에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펌프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로(22)는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일측(2a)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로(22)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F)는 상기 펌프본체(2)의 내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로(22)를 통해 이동하는 압축된 유체(F)의 압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 크고,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이 많을 경우 작다.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 상기 밸브가 배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이다. 상기 폐쇄된 배출구는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이 기준유량 이상이 되면 개방될 수 있다.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이 많을 경우 상기 밸브가 배출구를 개방하므로 압력이 작다. 상기 흡입하는 유체의 유량은 상기 펌프본체(2)에 설치된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로(22)에는 상기 길이조절부(4)의 연통부재(41)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1)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흡입부(3)는 상기 펌프본체(2)의 일측(2a)에 위치하는 유체(F)를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흡입부(3)는 제2방향(SD)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F)를 흡입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흡입부(3)는 석션벨(Suction Bell)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3)는 상기 펌프본체(2)의 일측(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3)는 상기 펌프본체(2)에 형성되는 길이조절부(4)에 의해 제1방향(FD) 또는 제2방향(S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1)의 날개부재가 회전하면, 유체(F)는 상기 흡입부(3)를 제1방향(FD)으로 통과하여 상기 이송유로(22)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은 일측(2a)에서 타측(2b)을 향하는 방향이며, 상기 흡입부(3)가 상기 펌프본체(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가 감소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은 타측(2b)에서 일측(2a)을 향하는 방향이며, 상기 흡입부(3)가 상기 펌프본체(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가 증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3)는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설정된 기준유량 미만. 즉, 저유량이면 돌출길이가 증가되도록 제1방향(F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부(3)는 상기 길이조절부(4)에 의해 제1방향(F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준유량은 상기 흡입부(3)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상기 펌프본체(2)의 일측(2a)에서 재순환 유동. 즉, 와류가 발생되지 않는 유량을 의미하며,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3)는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설정된 기준유량 이상. 즉, 고유량이면, 돌출길이가 감소되도록 제2방향(S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4)는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압축된 유체(F)를 이용해서 상기 흡입부(3)가 상기 펌프본체(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길이조절부(4)는 상기 펌프본체(2)와 상기 흡입부(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4)는 상기 흡입부(3)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F)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본체(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4)는 상기 흡입부(3)를 제1방향(FD) 또는 제2방향(SD)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연통부재(41), 신축부재(42), 및 탄성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1)는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압축된 유체(F)를 공급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통부재(41)는 일측이 상기 이송유로(22)에 연통되도록 상기 펌프본체(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신축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부재(41)는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압축된 유체(F)가 상기 이송유로(22)에서 상기 신축부재(42)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1)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일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1)는 상기 이송유로(22)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F)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본체(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1)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통부재(41)를 통해 상기 신축부재(42)로 이동하는 유체(F)의 압력은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일 경우 크고,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일 경우 작다.
상기 신축부재(42)는 일측이 상기 연통부재(4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축부재(42)는 Z축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43)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42)는 상기 연통부재(41)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된 유체의 압력에 따라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42)는 신장 시, 일측이 상기 펌프본체(2)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2방향(S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42)는 수축 시, 타측이 제1방향(F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부(3)는 제1방향(FD) 또는 제2방향(S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축부재(42)는 상기 연통부재(4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크면,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부(3)는 돌출길이가 증가되도록 제1방향(F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축부재(42)는 상기 연통부재(4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작으면,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부(3)는 돌출길이가 감소되도록 제2방향(S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축부재(42)는 상기 탄성부재(43)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42)는 압력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는 상기 신축부재(4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3)와 상기 펌프본체(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는 상기 신축부재(42)가 수축되도록 상기 흡입부(3)를 복원력으로 제2방향(S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43)의 복원력은 상기 연통부재(4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43)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3)가 제2방향(SD)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펌프본체(2)로부터 상기 흡입부(3)가 돌출되는 돌출길이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상기 탄성부재(43)의 복원력의 크기가 다른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흡입부(3)가 제1방향(FD) 또는 제2방향(SD)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43)의 복원력의 크기가 큰 것을 사용하면, 복원력의 크기가 작은 것에 비해 상기 흡입부(3)가 제2방향(SD)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이 더 느려지고 상기 흡입부(3)가 제1방향(FD)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이 더 빨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상기 기준유량 값을 변경하여 상기 흡입부(3)의 이동 타이밍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상기 흡입부(3)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상기 펌프본체(2)로부터 상기 흡입부(3)가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상기 흡입부(3) 부분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펌프의 성능 및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수직펌프(1)는 간단한 구조로 상기 임펠러(21)에 의해 압축된 유체(F)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부(3)를 제1방향(FD) 또는 제2방향(SD)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부(3)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어 상기 흡입부(3) 이동에 대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인해 유지보수 작업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산업용 수직펌프
2 : 펌프본체 3 : 흡입부
4 : 길이조절부 21 : 임펠러
22 : 이송유로 41 : 연통부재
42 : 신축부재 43 : 탄성부재

Claims (4)

  1. 일측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유체를 압축하는 임펠러, 및 상기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이송유로를 포함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및
    상기 펌프본체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이용해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산업용 수직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연통부재;
    일측이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통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된 유체의 압력에 따라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와 상기 펌프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부재가 수축되도록 상기 흡입부를 복원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수직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설정된 기준유량 미만이면, 상기 돌출길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흡입부를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수직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기설정된 기준유량 이상이면, 상기 돌출길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흡입부를 상기 펌프본체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수직펌프.
KR1020160148872A 2016-11-09 2016-11-09 산업용 수직펌프 KR20180051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872A KR20180051921A (ko) 2016-11-09 2016-11-09 산업용 수직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872A KR20180051921A (ko) 2016-11-09 2016-11-09 산업용 수직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921A true KR20180051921A (ko) 2018-05-17

Family

ID=6248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872A KR20180051921A (ko) 2016-11-09 2016-11-09 산업용 수직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9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6660B (zh) 药液供给装置以及药液供给方法
US7569031B2 (en) Breast pump
KR100855324B1 (ko) 진공 흡착기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패널 흡착장치
US7004522B2 (en) Suction unit
CN102410224A (zh) 真空泵
AU2011256835B2 (en) Low ice pneumatic motor exhaust muffler
EP2258641A2 (en) Paper sheet takeout device
US6224344B1 (en) Vacuum operated pumping system
CN110043695B (zh) 止回阀
KR20180051921A (ko) 산업용 수직펌프
EP3981311A1 (en) Cleaning device
JP7350724B2 (ja) 往復運動機械用のピストンロッドシール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ピストンロッドをシールする方法
TW201510362A (zh) 真空泵及用於操作真空泵的方法
JP2540427B2 (ja) シャトル弁付プランジャポンプ装置
KR20040035587A (ko) 압력 발생 장치
JP6213049B2 (ja) ポン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人体局部洗浄装置
US9028681B2 (en) Drainage device for closed chamber containing liquid
JP2021144975A (ja) 処理装置と切換バルブユニット
JP2008537056A (ja) ポンプ
JP6855005B2 (ja) エナーシャポンプ
RU2020290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насос замещения
CN216077758U (zh) 一种压力可调的负压发生装置
KR101568794B1 (ko) 진공 펌프용 감압장치
KR20160006960A (ko) 진공강자흡식펌프용 공기차단장치
KR20000013189U (ko) 반도체 제조 공정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