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40A -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240A
KR20180051240A KR1020160148299A KR20160148299A KR20180051240A KR 20180051240 A KR20180051240 A KR 20180051240A KR 1020160148299 A KR1020160148299 A KR 1020160148299A KR 20160148299 A KR20160148299 A KR 20160148299A KR 20180051240 A KR20180051240 A KR 2018005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filter
camera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주)오토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오토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6014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240A/ko
Publication of KR2018005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57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beam, e.g. laser beam, headlamp b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도촬카메라 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촬카메라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 상기 필터를 투과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에 의해서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이미지센서 ;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도촬카메라의 설치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hidden camera}
본 발명은 불법적으로 설치된 도촬카메라를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원인가상태의 도촬카메라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카메라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고속 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에 대한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산업 및 통신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불법적인 카메라를 이용한 도촬로 인하여 역기능이 심각할 정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즉, 학교, 지하철, 호텔 등과 같은 공공기관이나 개인건물의 다양한 장소에 특정인이나 불특성 다수를 몰래 불법적으로 촬영하는 몰래 카메라인 도촬카메라를 설치하여 비밀리에 촬영함으로써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이로 인해 공적으로 사적으로 큰 피해를 주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불법적인 도촬카메라로 찍힌 개인의 사생활이 인터넷이나 SNS 을 통하여 공연하게 퍼지게 되면, 개인의 사생활이 불특정 다수에게 그대로 공개되어 당사자는 인격적, 도덕적, 정신적, 사회적, 물질적으로 엄청난 피해를 보게 됨에 따라 도촬 카메라의 악용을 막아서 개인의 사생활이 보호될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장소에 구해 받지 않고 도촬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하고 있으나, 이러한 불법적인 도촬카메라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으며, 도촬카메라를 찾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20-0411448 Y1
특허문헌 1에는 엘이디, 레이저와 같은 광학 또는 고휘도소자의 빛을 외부로 투사하고, 투사된 빛이 몰래카메라에 설치되는 렌즈에 반사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몰래카메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카메라 탐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에서 몰래카메라를 탐지하는 것은 다수의 엘이디가 점멸하게 제어되면서 엘이디로 부터 조사되는 빛이 몰래 숨겨놓은 카메라의 렌즈에 반사되어 렌즈로부터의 반사빛이 투시부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포착되어 몰래 카메라의 위치를 찾는 것이다.
그러나 임의장소에 설치된 카메라의 렌즈 표면에 먼지가 쌓이거나 무반사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몰래 카메라의 위치 탐지를 위해서 조사된 빛이 렌즈에 전혀 반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사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투시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반사광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리나 탐지 정확성이 현저히 낮아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인가상태의 도촬카메라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카메라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촬카메라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 상기 필터를 투과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에 의해서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이미지센서 ;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도촬카메라의 설치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원의 제1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을 투과하는 제1필터와, 상기 광원의 제2광원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2필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센서와 대응하는 광유일통로와 일대일 대응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필터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판단정보에 의해서 도촬카메라의 탐지여부를 알려주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촬카메라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에서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단계 ; 상기 필터를 투과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이미지센서에서 수신하여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도촬카메라의 유무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촬카메라 탐지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과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제1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을 제1필터에서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하거나 상기 광원의 제2광원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제2필터에서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과하는 단계는 상기 제1,2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를 상기 이미지센서와 대응하는 광유일통로와 선택적으로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도촬카메라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필터부에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광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임의 위치에 불법적으로 몰래 설치된 도촬카메라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탐지 정확도가 높아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촬카메라 탐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촬카메라 탐지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인가상태의 도촬카메라(10)에서 발생하여 피사체측인 외부로 조사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도촬카메라의 유무여부와 더불어 그 설치를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필터부(110), 이미지센서(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10)는 전원이 인가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도촬카메라(10)의 광원(L1,L2)에서 발생하여 조사하는 빛 중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것이다.
상기 도촬카메라(10)는 야간이나 저녁에 태양광과 같은 자연조명이나 인공조명이 없는 상태에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자외선광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제1광원(L1) 및 가시광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제2광원(L2)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촬카메라(10)의 전방에는 제1,2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이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광을 모아서 도촬카메라에서 촬영되도록 반사광이 통과하게 되는 렌즈(11)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불법적으로 임의위치에 몰래 설치되는 도촬카메라(10)에는 빛이 없거나 부족한 내부공간에서 불법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외부노출되는 제1,2광원(L1,L2)에 전원이 인가되어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적외선광을 발생시키는 제1광원(L1)은 빛이 없는 상태에서도 피사체에 대한 적외선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동작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점등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촬카메라의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광원(L2)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은 인간의 눈으로 검지할 수 있도록 380~700nm 파장 대역을 갖는 광선이며, 상기 제1광원(L1)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광은 적색 가시광보다 긴 700~1000nm 파장대역을 갖는 광선으로서 이러한 적외선광은 광학적으로 인간의 눈으로 전혀 검지하여 인식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 제1,2광원(L1,L2)은 탐지대상물인 도촬카메라(10)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광원으로 구비되어 촬영용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발생시킬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10)는 사용환경에 따라 비가시광인 적외선광만을 상기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하는 반면에 가시광은 커트하여 불투과시키는 제1필터(111)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가시광만을 상기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하는 반면에 나머지 광은 커트하여 불투과시키는 제2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10)는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제1,2필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센서와 대응하는 광유일통로(125)와 일대일 대응시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필터의 위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가변시키는 위치변환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120)는 상기 필터부의 제1필터(111)를 투과하는 적외선광이나 상기 제2필터(112)를 투과하는 가시광을 수신하여 수신된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에 의해서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촬상소자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필터부(120)의 제1필터 또는 제2필터에서 선택적으로 투과된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에 의해서 이미지센서(120)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이미지센서(120)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도촬카메라(10)의 불법적인 설치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도촬카메라의 설치가 확인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등하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탐지된 판단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공공시설이나 개인시설물에 불법적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탐지하는 방법은, 먼저 취급이 용이하도록 소형단말기형태로 구현된 탐지장치(100)를 파지하는 사용자가 탐지하고자 하는 도촬카메라(10)가 설치될 수 있는 임의위치인 벽면이나 천정면을 향하여 무작위로 지향하면서 탐지검색하게 된다.
이때, 탐지하고자 하는 도촬카메라(10)는 촬영용 빛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에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제1광원(L1)이 항상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육안으로의 전혀 확인이 불가능한 촬영용 적외선광이 발생되어 외부로 조사되거나 제2광원(L2)에서 가시광이 발생되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110)와 상기 도촬카메라(10)가 서로 일대일 대응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제1필터(111)에 의해서 상기 제1광원에서 촬영용으로 발생되어 조사되는 특정파장대역의 적외선광은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되지만 가시광을 포함하는 나머지 광은 제1필터에서 반사되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제2필터(112)에 의해서 상기 제2광원에서 촬영용으로 발생되는 가시광은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되지만 적외선광은 제2필터에서 반사되어 불투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하는 적외선광이나 상기 제2필터를 투과하는 가시광은 이미지센서(120)에서 수신되어 화상데이터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형태로 구현되는 탐지장치를 취급하게 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되는 화상데이터의 영상정보를 근거로 하여 도촬카메라의 설치위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필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몰래 설치한 도촬카메라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탐지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미지센서(120)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되는 화상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도촬카메라의 설치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판단정보에 의해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등하도록 알람부(150)를 작동시키는 한편, 무선신호에 의해서 외부로 탐지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도촬카메라
11 : 렌즈
L1 : 제1광원
L2 : 제2광원
110 : 필터부
111 : 제1필터
112 : 제2필터
120 : 이미지센서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Claims (7)

  1. 도촬카메라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이나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
    상기 필터를 투과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에 의해서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이미지센서 ;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도촬카메라의 설치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원의 제1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을 투과하는 제1필터와, 상기 광원의 제2광원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제2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2필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센서와 대응하는 광유일통로와 일대일 대응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필터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판단정보에 의해서 도촬카메라의 탐지여부를 알려주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5. 도촬카메라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에서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단계 ;
    상기 필터를 투과하는 가시광이나 적외선광을 이미지센서에서 수신하여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형성되는 화상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도촬카메라의 유무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촬카메라 탐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제1광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광을 제1필터에서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하거나 상기 광원의 제2광원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제2필터에서 이미지센서측으로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촬카메라 탐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하는 단계는 상기 제1,2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를 상기 이미지센서와 대응하는 광유일통로와 선택적으로 일대일 대응시키는 단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촬카메라 탐지방법.
KR1020160148299A 2016-11-08 2016-11-08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KR20180051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99A KR20180051240A (ko) 2016-11-08 2016-11-08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99A KR20180051240A (ko) 2016-11-08 2016-11-08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40A true KR20180051240A (ko) 2018-05-16

Family

ID=6245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299A KR20180051240A (ko) 2016-11-08 2016-11-08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24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4535A (zh) * 2018-11-26 2019-03-29 马杰 一种基于红外截止滤镜光学滤波特性的窥视摄像头检测方法及系统
KR20200002131A (ko) 2018-06-29 2020-01-08 (주)한국스파이존 적외선 광산란을 이용한 도촬장비 탐지장치
KR20200050648A (ko) 2018-11-02 2020-05-12 공광열 휴대용 몰래카메라 탐지기
CN111246201A (zh) * 2020-01-19 2020-06-05 哈尔滨考安科技发展有限公司 近红外夜视摄像机检测系统、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2083513A (zh) * 2019-06-14 2020-12-15 赵乐天 一种基于近红外光谱仪的夜视红外相机探测装置
US11423639B2 (en) 2020-07-31 2022-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dden camera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31A (ko) 2018-06-29 2020-01-08 (주)한국스파이존 적외선 광산란을 이용한 도촬장비 탐지장치
KR20200050648A (ko) 2018-11-02 2020-05-12 공광열 휴대용 몰래카메라 탐지기
CN109544535A (zh) * 2018-11-26 2019-03-29 马杰 一种基于红外截止滤镜光学滤波特性的窥视摄像头检测方法及系统
CN112083513A (zh) * 2019-06-14 2020-12-15 赵乐天 一种基于近红外光谱仪的夜视红外相机探测装置
CN111246201A (zh) * 2020-01-19 2020-06-05 哈尔滨考安科技发展有限公司 近红外夜视摄像机检测系统、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11423639B2 (en) 2020-07-31 2022-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dden camera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1240A (ko) 도촬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US20200389200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ransceiver Glasses
US9924078B2 (en) Image-capturing device, in particular person-counting mechanism, having a housing which is transparent in the infrared range and nontransparent in the optically visible range
US10050705B2 (en) LED light interior room and building communication system
US9536154B2 (en) Monitoring method and camera
US20120176311A1 (en) Optical pointing system and method
US20120314085A1 (en) Video image display screen, video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amera used in illegal camcording
US20110058037A1 (en) Fi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US20110050902A1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s and/or signs of fire
RU201512109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обнаружения камеры
WO2022080351A1 (ja) 熱痕跡領域抽出装置、熱痕跡領域抽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18866B1 (ko) 불법 촬영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WO2011076745A1 (fr) Lunettes numeriques de protection oculaire a traitement de signal
US1151646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frame capturing and detecting frozen image frames
US20120128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recording device detection
KR102200180B1 (ko)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Shin et al. The system that cried wolf: sensor security analysis of wide-area smoke detectors for critical infrastructure
KR101615824B1 (ko)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CN107633630A (zh) 互动与安全警示系统
US20160283794A1 (en) Augmented Reality Marker
FR3084766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détection d’opérations dangereuses ou de situations dangereuses pendant la construction ou la réparation d’ouvrages
WO2016170765A1 (ja) 対象特定システム、対象特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183772A (ja) 報知装置
Yamada et al.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of displayed information by utilizing differences in spectral sensitivity between humans and imaging devices
JP3076839U (ja) 盗撮及び盗聴探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