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959A -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 Google Patents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959A
KR20180049959A KR1020160146520A KR20160146520A KR20180049959A KR 20180049959 A KR20180049959 A KR 20180049959A KR 1020160146520 A KR1020160146520 A KR 1020160146520A KR 20160146520 A KR20160146520 A KR 20160146520A KR 20180049959 A KR20180049959 A KR 20180049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ittance
account
remitter
passwor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만
Original Assignee
원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만 filed Critical 원종만
Priority to KR1020160146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959A/ko
Publication of KR2018004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와; 송수신모듈, 저장모듈, 승인모듈 및 송금모듈로 구성된 메인서버와;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메인서버 및 모바일단말기 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점이나 식당 등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 또는 모바일단말기 간 전자적 태그를 이용하여 계좌번호 또는 송금액을 상호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카드 결제 대신 계좌이체를 장려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Account transfer system using tags}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상점이나 식당 등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 또는 모바일 단말기 간 전자적 태그를 이용하여 계좌번호 또는 송금액을 상호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카드 결제 대신 계좌이체를 장려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업자는 고객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대금을 지불할 때, 카드사에 일정 부분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이 같은 카드수수료의 지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 중 일례로 출원 번호 제10-2006-0102873호 메신저 이용자 간 계좌이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서는 소정의 금융사 서버에서 복수의 메신저 이용 고객들의 메신저 계정 정보와 메신저 연계 계좌 정보를 각각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소정의 메신저 이용 단말에서 특정 메신저 계정으로 소정의 금액 이체 요청 시,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상기 메신저 이용 단말 이용 고객의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 정보와 상기 특정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 상기 메신저 이용 단말에서 요청한 이체 금액을 상기 확인된 상기 메신저 이용 단말 이용 고객의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에서 출금한 후 상기 특정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된 메신저 이용자 간 간편 계좌이체 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는 메신저에 로그인 된 사용자 간에만 계좌이체가 가능하였으며, 일반 실생활에서는 그 이용이 제한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좌번호를 송수신하고 또는 태그를 스캔하여, 계좌정보를 인식/저장한 후 간편하게 계좌이체를 진행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태그 또는 문자 등을 이용하여, 계좌정보를 전달 받은 후 계좌이체의 방법으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 간 계좌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계좌정보에 대해 간편한 송금을 진행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와; 송수신모듈, 저장모듈, 승인모듈 및 송금모듈로 구성된 메인서버와;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메인서버 및 모바일단말기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점 등에 부착된 물리적 혹은 전자적 태그에 입력된 계좌정보 등을 모바일 단말기로 인식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계좌를 이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계좌이체 후 이체결과를 메신저 혹은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 태그를 이용하여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 간 상호 계좌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수취인은 송금인에게 계좌식별코드/계좌명/계좌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인식하는 단계(S1)와; 송금인은 송금인에게 근접한 수취인 중 송금해야 하는 송금 받는 수취인을 특정하는 수취인선택단계(S2)와; 수취인선택단계에서 송금인이 수취인을 선택하면 수취인이 송금인에게 특정된 수취인의 계좌정보를 전송하는 계좌정보전송단계(S3)와; 계좌정보전송단계에서 계좌정보를 수신한 송금인은 이체할 계좌를 선택하는 송금인계좌선택단계(S4)와; 상기 송금인계좌선택단계에서 송금액을 입력하는 송금액입력단계(S5)와; 상기 송금액입력단계 후 비밀번호 등을 기입하는 승인단계(S6)와; 상기 승인단계에서 비밀번호를 통해 승인되면 송금단계(S7) 또는 거절되면 종료단계(S9)와; 상기 송금단계 후 송금내역을 메신저 혹은 SNS로 공유하는 공유단계(S8)로; 구성되어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비용을 지불할 때, 카드결제 대신 계좌이체를 장려함으로써, 카드 사용자는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 발급 시 납부하는 연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업자는 카드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서 송금계좌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도 2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서 상점 등에서 비용을 계좌이체로 지불하는 것에 대한 실시도이다.
도 3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5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의 실시도이다.
도 6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7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범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와; 송수신모듈, 저장모듈, 승인모듈 및 송금모듈로 구성된 메인서버와;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메인서버 및 모바일단말기 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는 계좌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에 도 1과 같이, 은행계좌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 간 용이하게 계좌이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 혹은 특정 수취인의 은행계좌식별코드 또는 계좌정보를 송신하거나 인식하는 송신/인식단계(S1)와; 상기 송신/인식단계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수취인에 대한 은행계좌식별코드를 수신한 송금인은 송금할 1 수취인 혹은 복수의 수취인을 특정하는 수취인선택단계(S2)와; 상기 수취인선택단계에서 수취인을 특정하면 특정수취인의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특정수취인의 계좌정보를 송금인에게 전송하는 계좌정보전송단계(S3)와; 상기 계좌정보전송단계를 통해 송금인은 수취인의 계좌정보를 수신하고, 송금인은 송금인 본인의 송금할 계좌를 선택하는 송금인계좌선택단계(S4)와; 상기 송금인계좌선택단계 이후, 송금인은 송금액을 입력하는 송금액 입력단계(S5)와; 송금액 입력 후 비밀번호 등을 기입하는 승인단계(S6)와; 상기 승인단계에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송금하는 송금단계(S7) 또는 송금을 거절하는 종료단계(S9)와; 상기 송금단계에서 송금하면 이체증을 공유할 수 있는 공유단계(S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점 등에 부착된 물리적 혹은 전자적 태그를 인식하는 송신/인식단계(S1)와; 상기 송신/인식단계에서 인식된 계좌정보에 대하여 송금인이 본인의 계좌를 선택하는 송금인계좌선택단계(S4)와; 상기 송금인계좌선택단계 후 송금액을 입력하는 송금액입력단계(S5)와; 송금액입력단계 후 비밀번호를 기입하여 승인요청을 하는 승인단계(S6)와;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송금 혹은 절차단계를 중단하는 송금단계(S7) 또는 종료단계(S8)와; 송금단계에서 송금이 완료된 후 이체증을 공유하는 공유단계(S9)로; 구성된다.
상기 승인단계(S6)와 송금단계(S7)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메인서버와 통신을 진행하는데, 메인서버의 송금인이 송금액 및 비밀번호를 기입하고 송금버튼을 누르는 경우, 해당 송금액과 비밀번호는 메인서버의 송수신모듈을 통해 메인서버에 수신되며, 이는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승인모듈에서 송금인이 기입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유효한 경우, 송금모듈을 이용하여 송금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송금절차 진행 후 저장모듈에 해당 송금내역을 저장하고, 송수신모듈을 통해, 해당 송금완료이체증을 송금인의 모바일단말기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송금인은 메신저 또는 SNS를 이용하여 상기 이체증을 제 3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로는
도 1과 같이, 카드 혹은 통장을 스캔하여,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점/식당 등에서, 카운터에 부착된 물리적 혹은 전자적 태그를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단말기 화면상 태그에 저장/입력되어 있는 은행명 및 계좌번호를 포함한 계좌정보가 표시되고, 송금인은 본인의 송금계좌를 선택한 후 비밀번호를 기입하고 전송을 누르면, 메인서버에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송금 여부를 결정하고, 송금이 완료되면 계좌이체결과를 메신저 혹은 SNS를 통해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모바일단말기 간 계좌이체를 진행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실시도로써, 송금인은 계좌를 이체를 받으려는 불특정 다수로부터 그 계좌정보/계좌식별코드 등을 송신/인식단계(S1)에서 수신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계좌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수신한 송금인은 수취인선택단계(S2)를 통하여 수취인을 특정하고, 특정된 수취인의 모바일단말기는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특정된 계좌정보를 계좌정보전송단계(S3)를 통해 송금인에게 전송하며, 이에 송금인은 본인의 계좌를 선택(S4)하고, 송금액 및 비밀번호(S5,S6)를 입력한 후 송금절차(S7)를 진행하고 송금이 완료되면 계좌이체결과를 메신저 혹은 SNS를 통해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는 계좌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링크, 물리적 태그 혹은 전자적태그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송금액입력단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송금이 완료되면 계좌이체결과를 메신저 또는 SNS를 통해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 간 모바일단말기와 메인서버 간 상호 통신하는 것은 기존의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유추가 자명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와; 송수신모듈, 저장모듈, 승인모듈 및 송금모듈로 구성된 메인서버와;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메인서버 및 모바일단말기 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점 등에 부착된 물리적 혹은 전자적 태그를 인식하는 송신/인식단계(S1)와;
    상기 송신/인식단계에서 인식된 계좌정보에 대하여 송금인이 본인의 계좌를 선택하는 송금인계좌선택단계(S4)와;
    상기 송금인계좌선택단계 후 송금액을 입력하는 송금액입력단계(S5)와;
    송금액입력단계 후 비밀번호를 기입하여 승인요청을 하는 승인단계(S6)와;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송금 혹은 절차단계를 중단하는 송금단계(S7) 또는 종료단계(S8)와;
    송금단계에서 송금이 완료된 후 이체증을 공유하는 공유단계(S9)로; 구성되어 있어,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후 상기 모바일단말기 화면상 태그에 저장/입력되어 있는 은행명 및 계좌번호를 포함한 계좌정보가 표시되고, 송금인은 본인의 송금계좌를 선택한 후 비밀번호를 기입하고 전송을 누르면, 메인서버에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송금 여부를 결정하고, 송금이 완료되면 계좌이체결과를 메신저 혹은 SNS를 통해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2.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와; 송수신모듈, 저장모듈, 승인모듈 및 송금모듈로 구성된 메인서버와;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메인서버 및 모바일단말기 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에 있어서,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 혹은 특정 수취인의 은행계좌식별코드 또는 계좌정보를 송신하거나 인식하는 송신/인식단계(S1)와;
    상기 송신/인식단계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수취인에 대한 은행계좌식별코드를 수신한 송금인은 송금할 수취인을 특정하는 수취인선택단계(S2)와;
    상기 수취인선택단계에서 수취인을 특정하면 특정수취인의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특정수취인의 계좌정보를 송금인에게 전송하는 계좌정보전송단계(S3)와;
    상기 계좌정보전송단계를 통해 송금인은 수취인의 계좌정보를 수신하고, 송금인은 송금인 본인의 송금할 계좌를 선택하는 송금인계좌선택단계(S4)와;
    상기 송금인계좌선택단계 이후, 송금인은 송금액을 입력하는 송금액 입력단계(S5)와;
    송금액 입력 후 비밀번호 등을 기입하는 승인단계(S6)와; 상기 승인단계에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송금하는 송금단계(S7) 또는 송금을 거절하는 종료단계(S9)와;
    상기 송금단계에서 송금하면 이체증을 공유할 수 있는 공유단계(S8)로; 구성되어 있어, 계좌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수신한 송금인은 수취인선택단계(S2)를 통하여 수취인을 특정하고, 특정된 수취인의 모바일단말기는 계좌이체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특정된 계좌정보를 계좌정보전송단계(S3)를 통해 송금인에게 전송하며, 이에 송금인은 본인의 계좌를 선택(S4)하고, 송금액 및 비밀번호(S5,S6)를 입력한 후 송금절차(S7)를 진행하고 송금이 완료되면 계좌이체결과를 메신저 혹은 SNS를 통해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승인단계(S6)와 송금단계(S7)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메인서버와 통신을 진행하는데, 메인서버의 송금인이 송금액 및 비밀번호를 기입하고 송금버튼을 누르는 경우, 해당 송금액과 비밀번호는 메인서버의 송수신모듈을 통해 메인서버에 수신되며, 이는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승인모듈에서 송금인이 기입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유효한 경우, 송금모듈을 이용하여 송금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송금절차 진행 후 저장모듈에 해당 송금내역을 저장하고, 송수신모듈을 통해, 해당 송금완료이체증을 송금인의 모바일단말기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수취인선택단계(S2)는 복수 또는 1 수취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KR1020160146520A 2016-11-04 2016-11-04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KR20180049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520A KR20180049959A (ko) 2016-11-04 2016-11-04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520A KR20180049959A (ko) 2016-11-04 2016-11-04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959A true KR20180049959A (ko) 2018-05-14

Family

ID=6218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520A KR20180049959A (ko) 2016-11-04 2016-11-04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99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3039A1 (en) Mobile services remote deposit capture
KR101754759B1 (ko) 송수금을 중개하는 메신저 서버
US20140052553A1 (en) Method of making mobile payments to a recipient lacking a wireless or contactless terminal
US20120116963A1 (en) Invoicing and electronic billing system and method
KR101309749B1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8887A (ko) Sim 칩 은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1191A (ko)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96904B1 (ko)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JP578396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713679B1 (en) Offline payment processing
KR20120003512A (ko) 가상계좌 권한 제어를 이용한 무선단말 간 송금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US11393298B2 (en)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KR101303207B1 (ko) 모바일 결제 중개 시스템
KR20140046831A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9959A (ko) 태그를 이용한 계좌이체시스템
KR102062427B1 (ko) 메신저 서버를 이용한 송수금 방법
KR20120003513A (ko) 가상계좌 권한 제어를 이용한 무선단말 간 송금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US202001844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unds to a Pre-Paid Account
KR20180007467A (ko) 이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체 중계 서버
KR20120076531A (ko) 경조금수취계좌번호 입력 불필요한 경조금송금방법 및 시스템
KR101225290B1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소액 송금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26855A1 (en) Omnichannel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and bank services
KR20190003267A (ko) 계좌 기반 지급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993754B1 (ko)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물용금융상품의 계좌를 개설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402067A1 (en) Payment proces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