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846A -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846A
KR20180049846A KR1020160145935A KR20160145935A KR20180049846A KR 20180049846 A KR20180049846 A KR 20180049846A KR 1020160145935 A KR1020160145935 A KR 1020160145935A KR 20160145935 A KR20160145935 A KR 20160145935A KR 20180049846 A KR20180049846 A KR 2018004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va
pepsin
hours
collecte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5974B1 (en
Inventor
은영규
이영찬
이기자
이영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9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4Disorders of ear, nose or thr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laryngopharyngeal reflux and a method for preparing sample therefor, comprising the steps of: i) preparing a sample by a pre-saliva collection method; and ii) measuring pepsin content in the sample. The method for diagnosing laryngopharyngeal reflux of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a concentration of pepsin in the collected saliva by controlling time and method of collecting the saliva to enable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Description

타액 중 펩신 함량 측정에 의한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시료 준비 방법{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agnosing reflux phosgitus by measuring the content of pepsin in saliva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ple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i) 전타액 수집법에 의해 시료를 준비하고, ii) 상기 시료 중의 펩신 함량을 측정하는,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료 준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refluxing rhinopathy and a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wherein i) a sample is prepared by a total saliva collection method, and ii) a pepsin content in the sample is measured.

역류성 인후두염은 위산을 포함한 내용물이 식도를 거쳐 후두와 인두로 역류하여 유발되는 후두와 인두의 만성 염증 또는 점막의 손상을 말한다. 현대인의 식생활 습관 변화 및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기후와 대기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역류성 인후두염을 호소하는 환자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부재하며, 진단한다 하더라도 치료하는 방법은 대부분 위산 분비의 억제에 머물러 있을 뿐이어서, 치료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등 효율적인 치료가 어려운 상황이므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통한 적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Reflux laryngitis refers to the chronic inflammation of the larynx and pharynx or damage to the mucous membrane of the larynx and pharynx that is caused by the contents of the stomach, including the stomach, through the esophagus and back to the larynx and pharynx.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complaining with refluxing pharyngiti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change in modern habits of eating habits an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climate and atmosphere changes, there is no simple and accurate method for diagnosing reflux lyphitis. Most of the methods of treatment are restricted to the inhibi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treat effectively such as symptoms persist after treatment.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의 gold standard로 알려져 있는 24시간 식도 산성도 검사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검사 시간이 길고, 불편하여 쉽게 이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비전형적인 증상을 가진 환자들에 있어서는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없다. 역류성 인후두염 환자들은 역류 증상보다는 목의 이물감, 기침, 음성 변화와 같은 비특이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를 정확히 진단하기는 어려워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많은 환자들에서 외래에서 바로 시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객관적인 진단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 24 hour esophageal acid method, known as the gold standard for refluxing rhinopharyngeitis, is costly, time-consuming, inconvenient, difficult to use, and unpredictable in patients with atypical symptoms. Patients with refluxing rhinopharyngeitis often present with nonspecific symptoms such as foreign body sensation, coughing, and voice change rather than reflux symptoms, but it is difficult to diagnose it accurately.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oninvasive and objective diagnostic methods.

한편, 펩신은 위에서만 생성되는 단백분해 효소이므로, 타액 내 펩신 검출기술은 위 내용물의 역류에 대한 민감하면서도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유용할 수 있다. Saritas 등은 고속 측방 유동 장치(rapid lateral flow device)를 이용하여 타액 내 펩신의 검출이 역류성 식도염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으며(Saritas Yuksel, E. et al., Laryngoscope, 2012, 122(6): 1312-1316), Darija 등은 역류성 인후두염 환자에서 타액 내 펩신의 양이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을 밝혔다(Darija, B. et al., Collegium Antropologicum, 2012, Supp. 2, 36: 83-86). 이에, 현재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보다 간단하고 신뢰도 높으며, 비침습적인 진단 방법을 개발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아직까지 역류성 인후두염의 진단을 위해 타액 내에서 펩신을 측정하고자 할 때 타액의 수집 방법과 수집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대한 선제적인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On the other hand, pepsin is a proteolytic enzyme produced only in the stomach, so saliva pepsin detection technology can be useful in a sensitive but noninvasive way to counteract the stomach contents. Saritas et al. Reported that detection of pepsin in saliva was helpful in the diagnosis of reflux esophagitis using a rapid lateral flow device (Saritas Yuksel, E. et al. , Laryngoscope, 2012, 122 (6 ): 1312-1316), and Darija et al. Found that the amount of pepsin in saliv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reflux lice than in healthy subjects (Darija, B. et al., Collegium Antropologicum, 2012, Supp. 86). Currently,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have developed a simpler, more reliable, and noninvasive diagnostic method, but currently there is no research or development in Korea. In addition, the method of collecting saliva and the timing of harvesting of pepsin in saliva for the diagnosis of reflux pharyngitis is not yet known. It is essential to secure preemptive technology.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역류성 인후두염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전타액 수집법에 의해 타액을 채취하여 시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이전 단계로부터 준비한 시료 중의 펩신 함량을 측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eparing saliva, comprising: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ample by collecting saliva from an individual suspected of refluxing afterglowth infection by saliva collecting method; And a second step of measuring the content of pepsin in the sample prepared from the previous ste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상 직후로부터 30분 이내에 타액을 수집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수집한 타액을 0 내지 25℃에서 보관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펩신 검출을 위한 타액 시료 준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llecting saliva, comprising: a first step of collecting saliva within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a gas phase; And a second step of storing the collected saliva at 0? 25 占 폚.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aliva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detecting peps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역류성 인후두염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전타액 수집법에 의해 타액을 채취하여 시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이전 단계로부터 준비한 시료 중의 펩신 함량을 측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paring a test sample,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sample by collecting saliva from an individual suspected of having refluxing rhinitis; And a second step of measuring the content of pepsin in the sample prepared from the previous step, to provide information for diagnosing refluxing phosophobia.

본 발명의 용어 "역류성 인후두염(Laryngopharyngeal Reflux; LPR)"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위 내용물, 특히 pH가 낮은 산성물질이 식도로 올라와 정상 상태에서는 중성의 pH를 유지하는 목(인두)을 오염시켜 여러 가지 증상, 예를 들면 목이 칼칼하고 아프다든지, 가슴이 답답하거나, 목이 뻐근하거나, 목소리가 변하거나, 가래가 나오며 기침을 자주하게 되는 질환을 총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진찰 결과에서는 별다른 이상소견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이와 같은 역류성 인후두염을 의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류성 인후두염이 발병하였더라도 보통 이비인후과에서 검사하거나 내과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하더라도 정상이라고 하거나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현재로서 이를 가장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24시간 식도 산성도 검사법이나, 이는 검사시 환자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침습적이며, 환자에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역류성 인후두염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The term "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tes the throat (pharynx) which maintains a neutral pH at the steady state due to stomach contents, especially acidic substances with low pH, due to various causes. Symptoms can include, for example, diseases in which the throat is sick and sore, the chest is tight, the stomach is stiff, the voice changes, sputum comes out and cough is frequent. Such a refluxing pharyngitis may be suspected if the above symptoms are uncomfortable but no abnormal findings are found in the examination results. Although reflux phos- phuritis occurs in this wa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diagnosis is usually normal, even if the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performed in an otolaryngology department or there is no special abnormality. At present, the most accurate method to diagnose this is the 24 hour esophageal acidity test, which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 cause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during the exam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method that can accurately diagnose reflux phos- phatitis without non-invasive and uncomfortable patients.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상기 역류성 인후두염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ny anim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monkey, a cow, a horse, a sheep, a pig, a chicken, a turkey, a quail, a cat, a dog, a mouse, a rat, a rabbit or a guinea pig It can mean all animals, including.

본 발명의 용어 "타액(saliva)"은 침샘으로부터 입 안으로 분비되는 분비액으로, 흔히 침이라고 한다. 그 성분은 99% 이상이 물(수분)이며, 총 1%도 안되는 성분에 다양한 전해질들, 단백질들, 효소들, 면역글로불린, 항균물질들, 점막 당단백질들, 수종의 폴리펩티드들과 올리고펩티드들 및 극소량의 알부민을 포함한다.The term "saliva "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retion liquid secreted from the salivary glands into the mouth, often referred to as saliva. It contains more than 99% water (moisture), less than 1% of total components, various electrolytes, proteins, enzymes, immunoglobulins, antimicrobials, mucosal glycoproteins, several kinds of polypeptides and oligopeptides And very small amounts of albumin.

본 발명의 용어 "진단"은 특정 병리 또는 생리 상태의 존재 또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진단은 위산을 포함한 내용물이 식도를 거쳐 후두와 인두로 역류하여 유발되는 후두와 인두의 만성 염증 또는 점막의 손상을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The term "diagn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confirming the presence or activity of a specific pathology or physiological con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nosis is made by examining whether the contents including gastric acid are passed through the esophagus to the larynx and pharynx Chronic inflammation or mucosal damage.

본 발명의 용어 "펩신(pepsin)"은 위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로, 위의 주세포(chief cell)에서 분비되는 펩시노겐(pepsinogen)이 염산에 의해 활성화된 형태이다. 펩신은 단백질을 폴리펩타이드로 분해하며, pH 2 정도의 낮은 산성 환경에서 가장 활성이 높다. 정상 상태에서 펩신은 산성 환경의 위에 존재하며 중성 pH를 나타내는 인후두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므로, 타액 중의 펩신은 역류성 인후두염의 표지로 사용할 수 있다.The term "pep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estive enzyme secreted from the above, and a pepsinogen secreted from the above chief cell is activated by hydrochloric acid. Pepsin breaks down proteins into polypeptides and is most active in acidic environments as low as pH 2. Pepsin in saliva can be used as a marker of reflux pharyngitis because pepsin is present in the acidic environment at steady state and is not present in the rhythm of the mouth, which is at neutral pH.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타액 중의 펩신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역류성 인후두염을 진단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진단의 정확성을 극대화하여 양성 및 음성 예측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시료 수집 및/또는 보관 조건을 발굴하였다.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epsin in saliva, reflux lyophagitis can be diagnosed. Furthermore, optimal diagnostic collection and / or storage conditions were developed to maximize diagnostic accuracy and improv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본 발명의 용어 "전타액 수집법"은 면구 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개체가 직접 용기에 뱉도록 하여 타액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타액 채취 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쉬도록 한 다음, 입술을 다물고 있다가 입안에 고인 타액을 1분에 1 내지 2회 깔대기를 이용하여 시험관에 뱉거나,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하여 안정시 분비되는 전타액을 시험관에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타액 수집법을 이용하여 채취한 타액 중의 펩신 농도는 동일한 피검체에서 종래 Salivette법으로 수집한 타액 중의 펩신 농도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므로 보다 높은 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도 1 및 표 1).The term "pre-saliva coll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llecting saliva by allowing an individual to spit directly on a container without using tools such as a cotton ball. Specifically, , The sputum is spit into the test tube by using a funnel once or twice a minute or the sputum is spilled out naturally and the saliva secreted during the stabilization can be collected in the test tube. Since the concentration of pepsin in the saliva collected using the saliva coll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average value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pepsin in the saliva collected by the conventional Salivette method, it can be detected with higher sensitivity Based on this,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FIG. 1 and Table 1).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이후 검출하고자 하는 분석물질인 펩신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10 내지 200 μmol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용기에 채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르산은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나 자체 분말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0.05 M 내지 0.5 M 수용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0.05 M 미만으로 농도가 너무 낮으면 동일한 몰수의 시트르산을 제공하기 위하여 증가된 부피의 용액을 사용해야 하며, 이에 따라 시료를 희석할 수 있다. 또는 0.5 M 초과하는 농도의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부피 편차에 따른 시트르산 몰수 변화가 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범위의 농도를 갖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한 시트르산의 양이 10 μmol 미만인 경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 시료 중의 펩신 분해를 야기하거나, 시료의 감염 및/또는 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200 μmol 초과인 경우 불필요한 시약 낭비를 초래할 수 있고, 추후 시료 분석시 검출 신호에 간섭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the saliva can be collected in a container containing 10 to 200 μmol of citric acid to stabilize pepsin, which is an analyte to be detected. The citric acid may be provided as a solution or a self-powder dissolved in a solvent.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f 0.05 M to 0.5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used in the form of a solution, if the concentration is too low, to less than 0.05 M, an increased volume of solution should be used to provide the same number of moles of citric acid, thus diluting the sample. Or a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exceeding 0.5 M, there is a large change in the number of moles of citric acid due to volume variation. To prevent this, a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in the above rang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amount of citric acid used is less than 10 占 퐉 ol,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which may cause decomposition of pepsin in the sample or cause infection and / or contamination of the sample. In case of more than 200 占 퐉 ol, unnecessary reagent may be wasted And may interfere with the detection signal in analyzing the sample lat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기상 직후로부터 30분 이내에 채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타액은 기상 후 입을 헹구지 않고, 음식물이나 물조차 섭취하지 않고, 양치질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the saliva can be collected within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For example, the saliva can be collected without rinsing the mouth after the gas phase, without taking food or water, or without brushing the mouth.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시료는 채취 후 0 내지 10℃에서 0시간 초과 24시간 미만으로 보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시간 초과 12시간 이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0시간 초과 6시간 이하로 보관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시료는 채취 후 10 내지 25℃에서 0시간 초과 6시간 이하로 보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시간 초과 4시간 이하로 보관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 내지 10℃에서 24시간 이상 보관하거나 10 내지 25℃에서 6시간을 초과하여 보관한 시료는 이에 함유된 펩신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어 정확한 양을 측정하기 어렵거나 아예 측정할 수 없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정된 수치를 토대로 역류성 인후두염의 발병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실제 양성인 환자이더라도 시간에 따라 펩신 농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음성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케이스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0℃ 이하의 냉동 조건에서 보관하는 경우, 펩신의 양은 빠르게 감소하여 6시간 이내에 50% 미만으로 떨어지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신뢰하기 어렵고 검출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도 3).The sample to be used in the second step may be stored at 0 to 10 DEG C for more than 0 hours and less than 24 hours after collection. Specifically, it may be stored for not less than 0 hours but not more than 12 hours, more specifically not less than 0 hours but not longer than 6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sample used in the second step may be stored at 10 to 25 DEG C for not less than 0 hours but not longer than 6 hours after collection. Specifically, it may be stored for not less than 0 hours but not longer than 4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sample stored at 0 to 10 ° C for more than 24 hours or stored at 10 to 25 ° C for more than 6 hours may have a markedly decreased amount of pepsin contained therein, Therefore, in the case of judging the onset of reflux pharyngitis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a case may occur in which the actual pepsin concentra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judged to be negative even in a patient who is actually positive. On the other hand, when stored at 0 ° C or below under freezing conditions, the amount of pepsin rapidly decreases and falls to less than 50% within 6 hours, so that the accuracy of diagnosis may not be reliable and detection itself may not be possible (FIG.

상기 제2단계로부터 측정한 값이 4 ng/mL 이상인 경우 역류성 인후두염이 발병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nd determining that the reflux disease occurs if the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step is 4 ng / mL or more.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기상 직후로부터 30분 이내에 타액을 수집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수집한 타액을 0 내지 25℃에서 보관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펩신 검출을 위한 타액 시료 준비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urifying saliva comprising: a first step of collecting saliva within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And a second step of storing the collected saliva at 0 to 25 DEG C, wherein the saliva sample preparation method is for detecting pepsin.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이후 검출하고자 하는 분석물질인 펩신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10 내지 200 μmol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용기에 채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르산은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나 자체 분말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0.05 M 내지 0.5 M 수용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0.05 M 미만으로 농도가 너무 낮으면 동일한 몰수의 시트르산을 제공하기 위하여 증가된 부피의 용액을 사용해야하며, 이에 따라 시료를 희석할 수 있다. 또는 0.5 M 초과하는 농도의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부피 편차에 따른 시트르산 몰수 변화가 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범위의 농도를 갖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first step, the saliva can be collected in a container containing 10 to 200 μmol of citric acid to stabilize pepsin, which is an analyte to be detected. The citric acid may be provided as a solution or a self-powder dissolved in a solvent.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f 0.05 M to 0.5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used in the form of a solution, if the concentration is too low, to less than 0.05 M, an increased volume of solution should be used to provide the same number of moles of citric acid, thus diluting the sample. Or a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exceeding 0.5 M, there is a large change in the number of moles of citric acid due to volume variation. To prevent this, a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in the above rang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단계는 0 내지 10℃에서 0시간 초과 24시간 미만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시간 초과 12시간 이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0시간 초과 6시간 이하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2단계는 10 내지 25℃에서 0시간 초과 6시간 이하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시간 초과 4시간 이하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에서 6시간 이내로 보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cond step may be carried out at 0 to 10 < 0 > C for more than 0 hours but less than 24 hours. Specifically, it may be performed at a time of more than 0 hours but not more than 12 hours, more specifically, more than 0 hours and less than 6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second step may be carried out at 10 to 25 占 폚 for more than 0 hours but not longer than 6 hours. Specifically, it may be performed in a range from 0 hours to 4 hou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at 0 to 10 DEG C for 6 hours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실온 예컨대, 또는 10 내지 25℃에서 보관한 경우 6시간까지 보관한 시료는 초기 펩신 함량에 비해 약 10% 이내로 감소된 수준에서 펩신 함량을 유지하므로 여전히 높은 민감도 및/또는 선택성으로 펩신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역류성 인후두염의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냉장 조건 예컨대, 0 내지 10℃에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6시간 보관한 이후에도 초기와 동등한 수준으로 펩신 농도를 유지하므로 높은 민감도 및/또는 선택성으로 펩신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역류성 인후두염의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mpl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or up to 6 hours when stored at 10 to 25 캜, maintains the pepsin content at a reduced level of less than about 10% relative to the initial pepsin content, / Or pepsin can be detected with selectivity, thus diagnosing refluxing pharyngitis may be possible. Further, when stored at 0 to 10 ° C under refrigerated conditions, pepsin can be detected with high sensitivity and / or selectivity because the pepsin concentration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the initial level even after storage for 6 hours. Thus, diagnosis of reflux phothyitis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방법은 비침습적이며, 타액의 수집 시점 및 방법, 그리고 수집한 타액의 보관 조건 및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수집한 타액 내의 펩신 농도를 극대화하여 민감하고 선택성있는 검출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높은 양성 및 음성 예측도로 역류성 인후두염을 진단할 수 있으므로, 종래 환자에 불쾌감을 주는 24시간 식도 산성도 검사법을 대신하여 역류성 인후두염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diagnosing reflux lice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n-invasiv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sensitively and selectively by maximizing the concentration of pepsin in collected saliva by controlling the time and method of collecting saliva and the storage conditions and time of collected saliva, High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can be used to diagnose reflux phosophobia in place of the 24-hour esophageal acidity test which is uncomfortable to the patient in the past.

도 1은 역류성 인후두염 환자군으로부터 전타액 수집법과 Salivette을 이용하여 수집한 타액에서 측정한 타액 내 펩신 양의 평균치 및 오차범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역류성 인후두염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기상시, 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후 수집한 타액에서 측정한 타액 내 펩신 양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보관 온도 및/또는 시간에 따른 펩신 양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FIG. 1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value and an error range of the amount of pepsin in the saliva measured from the saliva collected from the reflux phosophobia group using the saliva collection method and the salivette.
FIG. 2 is a graph comparing amounts of pepsin in the saliva collected from the saliva collected from the reflux phosophagitis patient group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at the time of the weather, breakfast, lunch, and dinner.
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pepsin amount with storage temperature and / or tim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for furthe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타액 수집 방법에 따른 타액 내 펩신 검출에 의한 역류성  1: Reflux due to detection of pepsin in saliva by saliva collection method 인후두염Pharyngitis 진단력 Diagnostic power

24시간 다중채널 강내 임피던스(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검사에 의해 역류성 인후두염으로 진단받은 환자군과 역류가 없는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타액을 수집하였다.The saliva was collected from the patients diagnosed with reflux laryngitis by a 24-hour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test and the normal controls without reflux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1) 전타액 수집법: 타액 채취 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쉬도록 한 다음, 입술을 다물고 있다가 입안에 고인 타액을 1분에 1 내지 2회 깔대기를 이용하여 시험관에 뱉거나,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하여 안정시 분비되는 전타액을 시험관에 수집하였다.1) Pre-saliva collection method : Before taking saliva, take a rest from sitting on a chair, then close your lips and spit the saliva in your mouth once or twice a minute with a funnel to the test tube or spontaneously The total saliva secreted at rest was collected in a test tube.

2) Salivette 이용법: Salivette(Sarstedt, Numbrecht, Germany)의 면구(tampon)를 1분간 부드럽게 씹은 후 튜브에 넣어 1,000 g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추출한 타액을 수집하였다.2) Salivette Usage : Salivette (Sarstedt, Numbrecht, Germany) was gently chewed for 1 minute, then placed in a tube and centrifuged at 1,000 g for 2 minutes to collect the extracted saliva.

수집한 타액 중의 펩신 분석은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Cloud-Clone, Houston, TX,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우선 타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검출시약(detection reagent) A를 즉시 투입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를 세척한 후, 검출시약 B를 투입하여 37℃에서 30분 더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시 세척한 후, TMB 기질 용액(substrate solution)을 투입하여 37℃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정지용액(stop solution)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회 반복하여 수행하고 대상자의 정보를 알지 못하는 한명의 검사자가 판독하도록 하였다.Pepsin in the collected saliva was analyz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Cloud-Clone, Houston, TX, USA). First, the saliva was put into a 96-well plate, and detection reagent A was immediately added thereto, followed by incubation at 37 ° C for 1 hour. After washing, the detection reagent B was added and incubation was further performed at 37 DEG C for 30 minutes. After washing again, TMB substrate solution was added and incubated at 37 ° C for 15 minutes. After stopping the reaction by adding stop solution,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3 times repeatedly, and one person who does not know the information of the subject was allowed to read.

측정된 타액 내 펩신 양의 평균치 및 오차범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타액 수집법으로 수집한 타액에서 검출된 펩신의 평균치는 20.92±20.74 ng/mL 이고, 범위는 2.66 내지 80.22 ng/mL 이었다. 한편, Salivette법으로 수집한 타액에서 검출된 펩신의 평균치는 10.30±6.56 ng/mL 이고, 범위는 2.46 내지 25.86 ng/mL 이었다. 상기 두 가지 방법으로 채취한 타액 중의 펩신 검출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및 이를 이용한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에 대한 양성 및 음성 예측도를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mean value and the error range of the measured amounts of pepsin in saliva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mean value of pepsin detected in the saliva collected by the saliva collection method was 20.92 ± 20.74 ng / mL and ranged from 2.66 to 80.22 ng / mL. On the other hand, the mean value of pepsin detected in Salivette-collected saliva was 10.30 ± 6.56 ng / mL and ranged from 2.46 to 25.86 ng / 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detection of pepsin in saliva collected by the above two methods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the diagnosis of refluxing rhinitis using the same were calcula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액 내 펩신 검출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물론,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에 대한 양성 및 음성 예측도 모두 Salivette법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전타액 수집법을 이용한 경우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음성 예측도에 있어서 두 방법은 주목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기 두 가지 타액 채취법 중 펩신 검출 및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전타액 수집법을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As shown in Table 1, both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the diagnosis of refluxing rhinitis, as well a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aliva pepsin detection,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btained using Salivette method . Especially, the two methods showed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The saliva collection method, which showed excellent results in detecting pepsin and refluxing rhinitis in the two saliva extraction methods, was used in the subsequent experiments.

전타액 수집법Saliva collection method Salivette법Salivette Method 민감도responsiveness 92.0%92.0% 68.7%68.7% 특이도Specificity 83.3%83.3% 50.5%50.5% 양성 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95.8%95.8% 95.6%95.6% 음성 예측도Negative prediction 71.4%71.4% 9.1%9.1%

상기 표 1에서 민감도는 역류성 인후두염 확진 환자로부터 채취한 타액에서 펩신이 검출될 확률을, 특이도는 역류성 인후두염이 발병하지 않은 정상 개체로부터 채취한 타액에서 펩신이 검출되지 않을 확률을, 양성 예측도는 타액에서 펩신이 검출된 환자들 중에서 실제로 역류성 인후두염이 진단된 환자의 분율을, 음성 예측도는 타액에서 펩신이 검출되지 않은 개체들 중 실제 역류성 인후두염이 발병하지 않은 정상 개체의 분율을 나타내며, 이들 인자는 각각 다음의 식으로 도출하였다.In Table 1, the sensitiv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that pepsin is detected in saliva collected from patients with reflux phosophagitis, the probability that pepsin will not be detected in saliva collected from a normal individual with no specific reflux phosophobia, Among the patients who had detected pepsin in the saliva,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had actually diagnosed reflux phthophagitis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showed the fraction of individuals who did not have pepsin in the saliva, A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s, respectivel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실시예Example 2: 타액 수집 시점에 따른 타액 내 펩신 검출 양 2: Amount of pepsin detected in saliva according to saliva collection time

모든 피검사자들에게 기상시; 아침, 점심 및 저녁 식사 후 각 1시간 경과한 시점; 및 기침이나 이물감 등의 인후두 역류증 증상 발생시 타액을 모으도록 지시하였다. 피검자들은 기상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않고 양치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액을 수집하였다. 타액 중의 펩신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0.1 M 시트르산 0.5 mL을 미리 투입하여 준비한 튜브에 타액을 수집하도록 하였다. 타액은 실시예 1의 전타액 수집법과 동일한 방법을 수집하도록 하였으며, 수집한 시료는 -80℃의 냉동고에 보과하고 2개월 이내에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시 타액을 1,000 g, 4℃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층부만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ELISA 키트를 이용한 펩신 분석 및 판독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도 2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o all test takers; One hour after breakfast, lunch and dinner; And to collect saliva in the event of symptoms such as coughing or foreign body reflux symptoms. Subjects harvested saliva without eating or drinking water during the weather. To stabilize pepsin in saliva, 0.5 mL of 0.1 M citric acid was added in advance to collect the saliva in the prepared tube. The saliva was colle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aliva collection method of Example 1. The collected samples were collected in a freezer at -80 ° C and used for analysis within 2 months. In the analysis, saliva was centrifuged at 1,000 g at 4 ° C, and only the upper layer was recovered and used for analysis. Pepsin analysis and reading using an ELISA kit we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measured results are shown in Fig. 2 and Table 2 below.

도 2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점에서 타액 내 펩신의 양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역류성 인후두염으로 진단받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각 시점 별로 비교하였을 때, 기상시에 측정한 값이 17.2 ng/m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른 시점에서 측정한 값에 비해 4.4배 내지 6.6배 높은 값이었다. 이와 같이 기상시 채취한 타액에서 펩신의 양이 현저히 높은 것은, 호르몬 주기 등에 따라 분비량이 증감하는 타액 내 다른 바이오 마커와는 달리 위산의 역류를 반영하는 펩신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즉, 수면시 앙와위 자세(supine position)에서 지속적으로 역류물과 위액 내 펩신의 축적이 발생하며 또한 수면 중에는 삼킴 현상이 없으므로 타액의 삼킴에 의해 펩신이 희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As shown in FIG. 2 and Table 2, the amount of pepsin in the saliv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diagnosed with reflux than in the normal control at all time points, and when measured at each time point, the measured value was 17.2 ng / mL, which was 4.4 to 6.6 times higher than that measured at other time points. The amount of pepsin in the saliva collected at the time of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biomarkers in the saliva, depending on the hormonal cycle. This suggests that the accumulation of countercurrent and pepsin in the gastric juice continuously occurs in the supine position during sleep, and there is no swallowing during sleep, so dilution of pepsin by saliva swallowing can be minimized.

채취 시점Time of collection 기상시Weather 아침 식사 후After breakfast 점심 식사 후after lunch 저녁 식사 후After dinner 증상 발생시When the symptom occurs 타액 내
펩신 농도
(ng/mL)
Saliva
Pepsin concentration
(ng / mL)
17.217.2 3.03.0 3.03.0 2.62.6 3.93.9

실시예Example 3: 보관 온도 및/또는 시간에 따른 펩신의 안정도 3: Stability of pepsin with storage temperature and / or time

100 ng 펩신을 포함하는 1 mL의 PBS 용액에 0.1 M 시트르산 0.5 mL을 첨가하여 혼합 직후, 및 상온(20℃), 냉장(4℃) 및 냉동(-20℃) 조건에서 각각 6시간 및 24시간 보관한 후 펩신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0.5 mL of 0.1 M citric acid was added to 1 mL of a PBS solution containing 100 ng pepsin and incubated for 6 hours and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20 DEG C), cold (4 DEG C) and freezing (-20 DEG C) After storage, the concentration of pepsin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온도에서 보관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펩신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냉장 보관시 감소율이 현저히 높았다. 반면, 상온에서 보관한 경우 6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10%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나, 24시간 경과 후에는 초기 농도에 비해 약 65% 정도까지 감소하였다. 나아가, 냉장보관한 경우에는 6시간 보관 후까지도 초기 농도를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초기 농도에 대해 80%까지 감소하여 검출의 민감성이나 진단의 정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centration of pepsin was decreased with the lapse of time during storage at the same temperature, and the rate of decrease was remarkably high especially in refrigerated storage. On the other hand,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the reduction rate was within 10% even after 6 hours, but decreased to about 65% after 24 hours. In addition, when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e initial concentration remained unchanged even after storage for 6 hours. However, after 24 hours, the initial concentration decreased to 80%,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sensitivity of the detection and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

Claims (12)

역류성 인후두염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전타액 수집법에 의해 타액을 채취하여 시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이전 단계로부터 준비한 시료 중의 펩신 함량을 측정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역류성 인후두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ample by collecting saliva from a subject suspected of refluxing pharyngitis by a saliva collecting method; And
The second step of measuring the pepsin content in the sample prepared from the previous step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of refluxing rhinit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10 내지 200 μmol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용기에 채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liva is collected in a container containing 10 to 200 占 퐉 ol of citric acid in the first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기상 직후로부터 30분 이내에 채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liva is collected within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in the first ste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은 입을 헹구지 않고, 음식물이나 물조차 섭취하지 않고, 양치질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aliva is collected without rinsing the mouth, not consuming food or water, and without garg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시료는 채취 후 0 내지 10℃에서 0시간 초과 24시간 미만으로 보관한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mple used in the second step is stored at 0 to 10 DEG C for more than 0 hours and less than 24 hours after harves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시료는 채취 후 10 내지 25℃에서 0시간 초과 6시간 이하로 보관한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mple used in the second step is stored at 10 to 25 DEG C for not less than 0 hours but not more than 6 hours after col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로부터 측정한 값이 4 ng/mL 이상인 경우 역류성 인후두염이 발병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that the reflux disease occurs if the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step is 4 ng / mL or more.
기상 직후로부터 30분 이내에 타액을 수집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수집한 타액을 0 내지 25℃에서 보관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펩신 검출을 위한 타액 시료 준비 방법.
A first step of collecting saliva within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And
The second step of storing the collected saliva at 0 to 25 캜
≪ / RTI >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입을 헹구지 않고, 음식물이나 물조차 섭취하지 않고, 양치질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first step, the saliva is collected without rinsing the mouth, taking no food or water, and without brush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타액은 10 내지 200 μmol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용기에 채취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aliva is collected in a container containing 10 to 200 占 퐉 ol of citric acid in the first ste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0 내지 10℃에서 0시간 초과 24시간 미만으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aid second step is carried out at 0 to < RTI ID = 0.0 > 10 C <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10 내지 25℃에서 0시간 초과 6시간 이하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tep is carried out at 10 to 25 DEG C for longer than 0 hours but not longer than 6 hours.
KR1020160145935A 2016-11-03 2016-11-03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KR102085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935A KR102085974B1 (en) 2016-11-03 2016-11-03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935A KR102085974B1 (en) 2016-11-03 2016-11-03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46A true KR20180049846A (en) 2018-05-14
KR102085974B1 KR102085974B1 (en) 2020-03-09

Family

ID=6218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935A KR102085974B1 (en) 2016-11-03 2016-11-03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9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69A1 (en) * 2018-08-31 2020-03-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eptide specifically degraded by pepsin and reflux laryngopharyngitis diagnosing kit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1817A (en) * 1996-09-23 2001-02-13 ウェイク フォレスト ユニバーシティ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diagnosis of extraesophageal gastric reflux
KR20120066597A (en) * 2010-12-14 2012-06-22 퍼팩트코리아(주) A method of diagnosing a menstrual activation using saliv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1817A (en) * 1996-09-23 2001-02-13 ウェイク フォレスト ユニバーシティ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diagnosis of extraesophageal gastric reflux
KR20120066597A (en) * 2010-12-14 2012-06-22 퍼팩트코리아(주) A method of diagnosing a menstrual activation using saliv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69A1 (en) * 2018-08-31 2020-03-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eptide specifically degraded by pepsin and reflux laryngopharyngitis diagnosing kit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974B1 (en)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thibha et al. Evaluation of salivary profile among adult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South India
RU2462719C2 (en) Diagnosing of septic complications
Kapel et al. Faecal calprotectin in term and preterm neonates
Patterson et al. Nonacid reflux episodes reaching the pharynx ar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cough
Boyle et al. Serum uric acid levels in normal pregnancy with observations on the renal excretion of urate in pregnancy
Celec et al. Salivary markers of kidney function—Potentials and limitations
Søfteland et al. Pancreatic exocrine insufficiency in diabetes mellitus-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Zakian et al. Evaluation of 5 methods for diagnosing failure of passive transfer in 160 Holstein calves
Jagannathan et al. Salivary ferritin as a predictive marker of iron deficiency anemia in children
Kadiyala et al. Cigarette smoking impairs pancreatic duct cell bicarbonate secretion
CN103403549A (en) Method for prediction of prognosis of sepsis
Formánek et al. Comparison of impedance and pepsin detection in the laryngeal mucosa to determine impedance values that indicate pathological laryngopharyngeal reflux
Kaiser et al. Lack of evidence of mastitis as a causal factor for postpartum dysgalactia syndrome in sows
KR20180049846A (en) A method for diagnosis of Laryngopharyngeal Reflux by detection of pepsin content in saliva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sample therefor
Abdallah et al. Clinical utility of bronchoalveolar lavage pepsin in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among wheezy infants
RU2303784C1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frequency of acute respiratory-viral infections due to evaluating the state of local immunity in children of primary-school age
WO2023197981A1 (en) Application of mmp19 in early diagnosis of kidney injury, product thereof, and method therefor
Srithunyarat et al. Catestatin and vasostatin concentrations in healthy dogs
Kapel et al. Fecal Calprotectin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N105242045A (en) Use of gastrin-17 as biomarker for atrophic gastritis with increased risk of several related sequels
EP2793028B1 (en) Thioredoxin-1 as diagnostic marker for ovarian cancer
RU2809015C1 (en) Method of differential diagnostics of oral cavity dysbi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biliary-dependent pancreatitis with different execretory activity
Tutuian Reflux monitoring: current status
Nishita et al. Measurement of carbonic anhydrase I and II isozymes in feces as a marker of occult blood in horses with intestinal tract bleeding
RU2672600C1 (en) Method of diagnostics of inflammatory lesions of upper g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