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367A -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 Google Patents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367A
KR20180049367A KR1020160143971A KR20160143971A KR20180049367A KR 20180049367 A KR20180049367 A KR 20180049367A KR 1020160143971 A KR1020160143971 A KR 1020160143971A KR 20160143971 A KR20160143971 A KR 20160143971A KR 20180049367 A KR20180049367 A KR 2018004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unit
rotation angle
isolation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3873B1 (en
Inventor
김문홍
서용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73B1/en
Publication of KR2018004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and an antenna arrangement estimation method therein. By arranging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to optimize an isolation degree of the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properties in the isolation degree of the relay devi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중계 장치 및 상기 중계 장치에서의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and an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본 발명은 중계 장치 및 상기 중계 장치에서의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 장치 내의 상향 링크 안테나와 하향 링크 안테나를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상향 링크 안테나와 하향 링크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estimating an antenna array in the re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by physically separating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특정 커버리지를 구성하여 해당 영역에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 전송을 보장된 품질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ims to provide a specific coverage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to provide voice and data service transmission to a corresponding region with a guaranteed quality.

하지만 기지국의 커버리지 외곽 지역, 건물이나 지형 등으로 인해 전파의 송출이 가로막힌 지역, 건물 내 전파 투과가 어려운 공간 등에서는 신호세기가 미약해져 급격한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in areas where radio wave transmission is obstructed due to the coverage area of the base station, buildings or terrain, etc., or where the radio waves in the building are difficult to be transmitted, the signal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quality is deteriorated suddenly.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커버리지 외곽지역이나, 전파 송출을 가로막는 건물 등에 중계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general, a re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uburban area or a building blocking radio transmission, thereby expanding the coverage of the area and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또한, 상기 중계 장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통신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 장치 간의 상향/하향 신호를 격리도(Isolation) 특성이 우수한 RF Duplex Filter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나, TDD 방식의 경우, 기지국과 단말 장치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고 시간으로 분리하여 전송되므로, 스위치 등을 통해 분리할 수 있으나, 격리도의 제약 및 무선으로 수신한 신호에 대한 동기화 불가 등으로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elay apparatus may select one of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communication method and a TDD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method to transmit a radio signal. When using the FDD method, The downlink signal can be easily separated by an RF duplex filter with excellent isolation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case of the TDD method, since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use the same frequency and are transmitted separately in tim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mplementation can not be realized due to restriction of the isolation degree and inability to synchronize with signals received by radio.

한편, 최근 5G(5 Generation)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5G 통신에서는 Dynamic TDD 방식이 주요 후보 기술로 검토 되고 있고 이러한 5G의 무선 신호를 받아 증폭시키는 중계 장치 또한 Dynamic TDD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TDD 방식의 중계 장치에서는 동기화와 무관하게 격리도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Recently, a dynamic TDD method has been considered as a main candidate technique in the 5G communication. A repeater for amplifying and receiving the 5G radio signal is also used as a dynamic TDD And so on. In the TDD repeat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synchroniz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0866629호 (명칭: 송수신 분리도와 안테나 격리도 특성을 개선한 셀프다이플렉싱 안테나, 2008.09.0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66629 (Name: Self-Diplexing Antenna with Improved Separation Characteristics and Antenna Isolation Characteristics, 2008.09.0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가 송출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격리도 규격(isolation Specification)에 따라서,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를 이격 배치함으로써, TDD 방식에서도 효과적인 격리도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중계 장치 및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isolation specific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size of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And to provide a relay apparatus and an antenna array calculating method that can exhibit an effective isolation characteristic even in the TDD system.

더하여, 이격 배치된 상향 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의 격리도 특성이 최적화되도록 상향 링크 안테나 및 하향 링크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시킴으로써, 격리도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by rotating at least one of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so as to optimiz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spaced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는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가 송출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격리도 규격(Isolation Specification)에 따라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제2 안테나부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apparatus including a first antenna unit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and a second antenna unit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isolation specific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size of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unit.

이때, 상기 제1, 2 안테나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격리도 규격에 따라서 회전 각도가 더 조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2 안테나부를 회전시키지 않은 경우의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되게 하는 회전 각도로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회전 각도가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고정된 경우, 상기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회전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an be further adjusted in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isolation diagram standard, and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The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may be adjusted to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is fixed ,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may be adjusted so as to conform to the isolation diagram standard.

또한, 상기 조정된 회전 각도에 따라 변경된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출력 신호 송출 방향을 보상하기 위해,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출력 신호 위상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부의 송신측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부의 수신측 안테나 또는 상기 제1 안테나부의 수신측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부의 송신측 안테나가 상기 격리도 규격에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output signal phase of one or more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may be adjusted to compensate the output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hanged according to the adjusted rotation angle,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or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solation standar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가 송출하는 출력 신호 크기를 기반으로 격리도 규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격리도 규격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안테나 간의 이격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stimating an antenna array,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antenna unit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a second antenna unit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Calculating a separation degree standard based on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nd deriv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based on the calculated isolation degree standard.

이때,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격리도 규격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안테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각도를 더 도출할 수 있고,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2 안테나부를 회전시키지 않은 경우의 상기 제1, 2 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되는 회전 각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2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riving may further derive a rotation angl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based on the calculated isolation standard, and the deriving may include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Wherein the step of deriving comprises deriving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exceeds a threshold value,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fixed, the rotation angle can be derived so as to comply with the calculated isolation degree standard.

또한, 상기 도출된 회전 각도에 따라 변경된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출력 신호 송출 방향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제1, 2 안테나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compensation phase of one or more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for compensating for an output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hanged according to the derived rotation angle have.

한편, 상기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은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antenna array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and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를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의 격리도가 최적화되도록 상향링크 안테나 및 하향링크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중계 장치의 격리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link antenna and the downlink antenna is rotated so that the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are physically spaced apart and the isolation of the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is optimiz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의 안테나 배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 이용 시, 발생되는 격리도 특성 및 빔 패턴 개선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ntenna array structure of a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ntenna array calcul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solation characteristic and a beam pattern improving effect generated when a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his or her invention as a concept of a term to be described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stored on computer-readable media. Such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is accessible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such computer-readable media can comprise RAM, ROM, 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or in the form of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o, a physical storage medium such as any other medium that can be used to store or communicate certain program code means of th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시스템은 5G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assumed that the configuration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5G mobile commun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 및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ow, a method of calculating a relay apparatus and an antenna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100), 단말장치(200) 및 중계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station 100, a terminal device 200, and a relay device 300.

기지국(100)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와 단말 장치(600)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 설비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기지국이 대표적이다.The base station 1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for connecting a network and a terminal device 600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 mobile communication access network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 A typical example is a base station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서 기지국(100)이 송출한 무선 신호는 중계 장치(300)를 거쳐, 단말장치(200)로 전송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1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via the relay device 300.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계 장치(300) 또는 기지국(100)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The terminal apparatus 200 refers to a user apparatus that can transmit / receive various data to / from the relay apparatus 300 or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이러한 단말장치(20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장치(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로 이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is capable of performing voice 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and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and a protoco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grams, A proces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2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f course, a fixed terminal such as a Smart TV, a laptop computer, a desktop computer, or the like may be used, and any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중계 장치(30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증폭시켜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증폭시켜 기지국(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외곽 지역이나 건물/지형 등으로 인해 전파 수신이 어려운 음영 지역의 신호 품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음영 지역 주위에 설치되어, 미세한 신호를 증폭시켜 재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relay apparatus 300 is an apparatus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0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terminal apparatus 200 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200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0 And is installed around the shaded area to improve the signal quality of the shaded area that is difficult to receive radio waves due to the coverage area of the base station 100 or the building / terrain, and amplifies and retransmits the fine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300)에는 상향링크 안테나부와 하향링크 안테나부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향링크 안테나부는 주로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100)으로 재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부이고, 하향링크 안테나부는 주로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장치(200)로 재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부이다.The uplink antenna unit and the downlink antenna unit are disposed in the relay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link antenna unit mainly includes an antenna unit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200 and re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downlink antenna unit is mainly an antenna unit for amplify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0 and re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terminal apparatus 200. [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로 이루어진 안테나부를 제1 안테나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로 이루어진 안테나부를 제2 안테나부로 명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ntenna unit including one or more antenna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is referred to as a first antenna unit, and an antenna unit including one or more antenna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is referred to as a second antenna unit .

그럼, 도2 내지 도4를 통해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장치(300)의 안테나 배열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2 through 4, the antenna array structure of the relay apparatus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중계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안테나로 이루어진 제1 안테나부(310),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안테나로 이루어진 제2 안테나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안테나부(310)와 제2 안테나부는 이격 거리(d)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relay apparatus 300 includes a first antenna unit 310 including one or more downlink antennas and a second antenna unit 330 including one or more uplink antennas. The first antenna unit 310, 2 antenna unit can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

한편, 제1, 2 안테나부(310, 33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며,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antennas and may be a 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a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a 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Output) type.

기존의 중계 장치(300)의 안테나는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가 이격 배치되지 않고, 서큘레이션(Circulation)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분리하였기 때문에,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간의 간섭 영향이 컸고, 이는 무선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Since the antenna of the existing repeater 300 separates the uplink signal and the downlink signal through circulation without the uplink antenna and the downlink antenna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terference effect was great, which caused the quality of the radio signal to deteriorate.

하지만 본 발명의 중계 장치는 제1 안테나부(310)와 제2 안테나부(330)를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격 거리가 멀면 멀수록 그 간섭은 줄어드나, 중계 장치(300)의 전체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간섭 영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적절한 이격 거리(d)를 도출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특히 중요하다.However, the re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uplink signal and the downlink signal by physically separating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330,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derive an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d capable of optimizing interferenc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ze of the repeater 300 and the like.

이러한 이격 거리(d)는 상기 제1 안테나부(310) 및 제2 안테나부가 송출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격리도 규격(Isolation Specification)에 따라 정해지며, 정해진 이격 거리(d)만큼 제1 안테나부(310)와 제2 안테나부(330)를 이격시켜 배치하게 된다.The separation distance d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isolation specific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330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즉, 제1, 2 안테나부(310, 330)에서 송출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와 출력 신호에 간섭 영향을 주는 간섭 신호의 세기가 20dB 정도 차이가 나면 일반적으로 간섭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고 보므로, 출력 신호의 크기와 간섭 신호의 세기가 20dB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도록 이격 거리(d)를 정하여 배치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and the intensity of the interference signal affecting the output signal are different by about 20 dB,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interference signal can be ignored. The distance d is determined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and the intensity of the interference signal may differ by about 20 dB.

한편, 도2에서 보듯이, 제1 안테나부(310)의 송신측 안테나와 제2 안테나부(330)의 수신측 안테나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안테나부(310)의 수신측 안테나와 제2 안테나부(330)의 송신측 안테나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1 안테나부(310)의 송신측 안테나와 제2 안테나부(330)의 수신측 안테나를 격리도 규격에 따라 이격 배치하거나 제1 안테나부(310)의 수신측 안테나와 제2 안테나부(330)의 송신측 안테나를 격리도 규격에 따라 이격 배치될 것이다.2,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33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reception 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3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isolation diagram standard because the transmission side antennas of the second antenna unit 33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solation diagram standard.

도3은 제1 안테나부(310)와 제2 안테나부(330)가 이격거리(d1)만큼 이격시켜 배치한 형태를 보여준다.FIG. 3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330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 1 .

도3은 단순히 제1 안테나부(310)와 제2 안테나부(330)를 이격거리(d1)만큼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한 것으로 안테나 패턴 기준 방향(Antenna Pattern Boresight)과 기계적 기준 방향(Mechanical Boresight)의 방향이 일치한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330 ar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paration distance d 1 and an antenna pattern reference direction (Mechanical Pattern Boresight) ) Are in the same direction.

한편,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격리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격리도 규격에 따라서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iso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the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solation diagram standard.

즉, 제1, 2 안테나부(310, 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can be rotated.

도4는 제1, 2안테나부(310, 330)를 회전시킨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격리도를 더 향상 시킬 수 있다.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are rotated. By doing this, the degree of isol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즉, 도4의 제1, 2안테나부(310, 330)의 출력 신호 세기 크기가 도3의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출력 신호 세기 크기가 같고, 도3의 격리도와 도4의 격리도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도3의 이격거리(d1)은 도4의 이격거리(d2)보다 길 것이다.That is, the output signal intensity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of FIG. 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of FIG. 3, 4 is assumed to be the same, the separation distance d 1 in FIG. 3 will be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 2 in FIG.

또 다른 예로, 도4의 제1, 2안테나부(310, 330)의 출력 신호 세기 크기가 도3의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출력 신호 세기 크기가 같고, 도3의 이격거리(d1)와 도4의 이격거리(d2)가 동일하다면, 도4의 격리도가 도3의 격리도 보다 더욱 최적화되어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if the output signal strength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of FIG. 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of FIG. 3, If the distance d 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 2 in FIG. 4 are the same, then the isolation diagram of FIG. 4 will be more optimized than the isolation diagram of FIG.

이때, 제1, 2안테나부(310, 330)은 전후좌후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 가능하며, 상기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상기 회전 각도가 조정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 살펴본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can be rotated in any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can be adjusted to meet the isolation standard. Hereinafter, see.

회전 각도가 조정되는 제1 실시 예는 이격거리(d2)를 최소가 되게 하기 위한 회전 각도 조정 실시 예인데, 이러한 실시 예는 중계 장치(300)의 크기를 최소화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is a rotation angle adjustment example for minimizing the separation distance d 2. This embodiment can be used when minimizing the size of the relay apparatus 300.

즉, 제1, 2 안테나부(310, 330)를 회전시키지 않은 경우의 이격거리(d1), 다시 말해,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회전 각도가 0도일 때의 이격거리(d1)를 도출하고, 상기 이격 거리(d1)가 일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격 거리(d1)가 임계치 이하가 되게 하는 회전 각도를 구하여, 상기 회전 각도로 제1, 2안테나부(310, 330)를 조정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d 1 wh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are not rotated,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when the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are 0 degrees, (d 1 ), and when the distance d 1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d 1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310, 330).

만약, 중계 장치(300)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격 거리(d1)가 1m가 되어야 하는데, 회전 시키지 않았을 때의 이격거리(d1)가 1.5m라면, 이격 거리(d1)가 1m이하가 될 수 있도록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In order to minimize the size of the relay apparatus 300, if the separation distance d 1 is 1 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 1 when the rotation apparatus is not rotated is 1.5 m, then the separation distance d 1 is 1 m Or less.

한편, 회전 각도가 조정되는 제2 실시 예는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이격거리(d1)가 고정된 경우(예를 들어, 1m),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출력 신호 크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is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when the distance d 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is fixed 330, and the rotation angle can be adjusted so as to conform to the isolation standard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output signal size.

이러한 제2 실시 예는 중계 장치(300)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정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Such a second embodiment may be advantageously used when the size of the relay device 300 is fixed to meet a certain degree of isolation standard.

한편, 도4와 같이 제1, 2안테나부(310, 330)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면, 기계적 기준 방향(Mechanical boresight)가 회전 각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are rotated at an arbitrary angle as shown in FIG. 4, the mechanical boresight changes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즉, 제1, 2안테나부(310, 330)의 메인로브 방향이 회전 각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That is, the main lob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varies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따라서,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출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즉, 도4의 안테나 패턴 기준 방향(Antenna Pattern boresight)으로 출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출력 신호 송출 방향을 보상해야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제1, 2 안테나부(310, 3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보상 위상을 결정하여, 출력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transmit the output signal in the direction to transmit the output signal, that is, to transmit the output signal in the antenna pattern reference direction (antenna pattern boresight) of FIG. 4,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utput phase by determining the compensation phase of one or more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이격거리(d1) 도출 및 회전 각도 도출은 중계 장치(300) 생산자 또는 기술자가 수기로 도출할 수도 있지만, 컴퓨팅 장치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도출될 수도 있다.The distance d 1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may be derived manually by the manufacturer or the technician of the repeater 300. However, And the like.

상술한 것과 같이 컴퓨팅 장치 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이격거리 및 회전 각도 도출 과정을 도5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The process of deriving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rotation angle derived by the computing apparatus or th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5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부(310) 및 제2 안테나부(330)의 송출 출력 신호 크기를 기반으로 격리도 규격을 산출한다(S101).Referring to FIG. 5, the isolation standard is calculated based on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first antenna unit 31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330 (S101).

그 후,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이격 거리가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S103), 이격 거리가 고정된 경우에는 산출된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회전각도를 도출하고(S105), 상기 회전각도로 회전하면 발생하는 신호 송출 방향의 변경을 서비스 목적에 맞는 방향으로 보상하기 위한 보상 위상을 결정한다(S113).Thereafter, in accordance with whether or not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is fixed (S103), and when the spacing distance is fixed,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S105), and determines a compensation phase for compensating for a change in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that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at the rotation angle in a direction suitable for the service purpose (S113).

한편, S103 단계에서 이격 거리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격리도 규격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안테나 간의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S107), 산출된 이격거리가 임계치의 초과여부를 판단하여(S109),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격거리가 임계치 이하가 되는 회전각도를 도출하고(S111), 회전 각도에 따른 보상 위상을 결정하며(S113), S109 단계에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회전 각도를 도출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not fixed in step S103,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derived based on the isolation standard (S107),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S111), and determines a compensation phas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S113).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n step S109, the rotation angle is not derived , And ends as it is.

도6 내지 도7은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회전 각도 별 격리도 및 빔패턴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제1, 2 안테나부(310, 330)의 회전 각도가 크면 클수록 격리도 및 빔 패턴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6 to 7 are graphs comparing the isolation and beam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ngle.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310 and 330 increases, And the beam pattern ar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ain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but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ability, but rather on the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planation of the features.

또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and enabl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written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은 중계 장치 및 상기 중계 장치에서의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 장치 내의 상향 링크 안테나와 하향 링크 안테나를 물리적으로 이격 하여 배치함으로써, 상향 링크 안테나와 하향 링크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n antenna array in the re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by physically separating an uplink antenna and a downlink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를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상향링크 안테나와 하향링크 안테나의 격리도가 최적화되도록 상향링크 안테나 및 하향링크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중계 장치의 격리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link antenna and the downlink antenna is rotated so that the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are physically spaced apart and the isolation of the uplink and downlink antennas is optimiz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중계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through the above-described relay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be industrially applicable sinc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ommercial or business operation as well as to be practically possible.

100: 기지국 200: 단말장치 300: 중계 장치
310: 제1 안테나부 330: 제2 안테나부
100: base station 200: terminal device 300: relay device
310: first antenna unit 330: second antenna unit

Claims (13)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가 송출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격리도 규격에 따라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제2 안테나부는 이격 배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 first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And
A second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isolation diagram standard based on a size of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안테나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격리도 규격에 따라서 회전 각도가 더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The antenn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And the rotation angle is further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solation diagram stand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안테나부를 회전시키지 않은 경우의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되게 하는 회전 각도로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회전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in a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wh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are not rotat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antenna unit is adjus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고정된 경우, 상기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회전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is adjust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is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회전 각도에 따라 변경된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출력 신호 송출 방향을 보상하기 위해,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출력 신호 위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djusts the output signal phase of one or more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to compensate the output signal s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hanged according to the adjusted rotation angle. Re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의 송신측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부의 수신측 안테나 또는 상기 제1 안테나부의 수신측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부의 송신측 안테나가 상기 격리도 규격에 따라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or the receiving-sid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isolation degree standard. Relay device.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가 송출하는 출력 신호 크기를 기반으로 격리도 규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격리도 규격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안테나 간의 이격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
Calculating an isolation standard based on a size of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a first antenna unit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and a second antenna unit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And
Deriv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based on the calculated isolation standard;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격리도 규격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안테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각도를 더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eriving comprises:
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is further derived based on the calculated isolation degree standa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2 안테나부를 회전시키지 않은 경우의 상기 제1, 2 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되는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deriving comprises:
Wherei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wh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are not rotated exceeds a threshold value,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s derived. Wa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2안테나부 간의 이격 거리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격리도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deriving comprises:
Wherei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is fixed, the rotation angle is derived so as to comply with the calculated isolation standar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회전 각도에 따라 변경된 상기 제1, 2 안테나부의 출력 신호 송출 방향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제1, 2 안테나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보상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배열 산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a compensation phase of at least one antenn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for compensating an output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hanged according to the derived rotation angle;
And estimating the antenna array.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is recorded.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12. A computer program embodi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is embodied to execute the method recited in any one of claims 7 to 11.
KR1020160143971A 2016-10-31 2016-10-31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KR101863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971A KR101863873B1 (en) 2016-10-31 2016-10-31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971A KR101863873B1 (en) 2016-10-31 2016-10-31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367A true KR20180049367A (en) 2018-05-11
KR101863873B1 KR101863873B1 (en) 2018-06-04

Family

ID=6218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971A KR101863873B1 (en) 2016-10-31 2016-10-31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947A1 (en) * 2018-12-06 2020-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beam boo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74B1 (en) * 2022-04-19 2024-01-12 (주)마이엠텍 antenna apparatus for elevator with rotating reflection pan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65B1 (en) * 2000-11-03 2006-03-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An antenna
KR100866629B1 (en) 2007-02-27 2008-11-03 주식회사 엠티아이 Self-diplexing antenna for improved TX/Rx and antenna isolation
KR20110115928A (en) * 2010-04-16 2011-10-24 이만행 The radio tracking equipment for rf repeater embedded antennas and method therefor
KR20160028896A (en)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세하전자통신 RF repeater built in antenna that supports single-band dual-mode wireless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02B1 (en) * 2006-12-01 2007-12-21 (주)하이게인텔레콤 Unified antenna module for send and receive of c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65B1 (en) * 2000-11-03 2006-03-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An antenna
KR100866629B1 (en) 2007-02-27 2008-11-03 주식회사 엠티아이 Self-diplexing antenna for improved TX/Rx and antenna isolation
KR20110115928A (en) * 2010-04-16 2011-10-24 이만행 The radio tracking equipment for rf repeater embedded antennas and method therefor
KR20160028896A (en)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세하전자통신 RF repeater built in antenna that supports single-band dual-mode wireless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947A1 (en) * 2018-12-06 2020-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beam boo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73B1 (en)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22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EP3349367B1 (en) Method of determining communication beam, and corresponding device
EP30175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ynchronization and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beamforming system
US1091791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ased on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in one or more directions
US985996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CN105450559A (en) Self-interference channel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CN114007216B (en) Bea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relay node
KR101863873B1 (en) Relay Device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in the Relay Device
US8781518B2 (en) Communication device
WO2018228356A1 (en) Channel correc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US20140314011A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signal
US201802622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am patter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eamforming scheme
US9024818B2 (en) Communication device
US9872294B2 (en)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in base station
CN103023543B (en) Beam forming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equipment
CN106464329B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directional antenna
EP311764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imultaneous wireless transmissions
CN107395260B (en) Distributed safe beam form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artificial noise
US10177835B2 (en)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pparatus for cancelling side lobe between neighboring cells
US11012177B2 (en) Message and rate based user grouping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networks
US10560287B2 (en) Relative uplink channel estimation
KR101236078B1 (en) Relay system and filter setting method for effectively cancellation self-interference
CN114600382A (en) Beam alignment
WO2018159242A1 (en) Wireless termin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wireless base station
US20210075539A1 (e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using rate based re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