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512A -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512A
KR20180048512A KR1020180048659A KR20180048659A KR20180048512A KR 20180048512 A KR20180048512 A KR 20180048512A KR 1020180048659 A KR1020180048659 A KR 1020180048659A KR 20180048659 A KR20180048659 A KR 20180048659A KR 20180048512 A KR20180048512 A KR 2018004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arization
trader
transfer
server
bor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열
이익준
문지현
Original Assignee
(주)삼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위 filed Critical (주)삼위
Priority to KR102018004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8512A/ko
Publication of KR2018004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위해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요청된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이체 서버, 및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를 포함하되, 이체 서버는 공증 서버에 의해 차용 거래가 공증된 이후에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한다.

Description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Notary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ccount transfer}
금융 서비스, 특히 이체 서비스에 대해 개시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36726호에는 계좌이체 거래시 하나의 이체계좌에 대응하여 두 개 이상의 항목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이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89755호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계좌로 송금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개인간 차용증 없는 돈 거래도 엄연히 금전 소비대차 계약이나, 차용증을 작성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개인 간에 차용 거래를 하면서 차용증을 작성하자고 하면 마치 신뢰하지 않는 것처럼 인식하기 때문이다. 특히, 친구나 애인, 지인 사이에 차용 거래를 하는 경우에 차용증을 작성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36726호 (2014년 9월 1일 공고)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89755호 (2015년 2월 12일 공고)
이체 내역에 대해 차용 거래에 따른 것임을 공증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위해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요청된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이체 서버, 및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를 포함하되, 이체 서버는 공증 서버에 의해 차용 거래가 공증된 이후에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체 서버는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금액을 포함한 이체 요청 정보와 이체 금액에 대한 공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 및 공증 서버로 전송하고, 공증 서버로부터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받은 이후에 이체 요청 정보에 따른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할 수 있으며, 공증 서버는 이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사실에 대한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며, 이체 서버로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
공증 서버는 자동응답서비스(automated response service, ARS)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에 음성으로 전달하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동의 데이터를 음성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공증 서버는 변제일자 도래시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변제일자 도래 사실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이체 공증용 공증 서버는 제 1 거래자로부터 자금을 차용하고자 하는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 및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요청된 이체 금액을 포함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공증 요청 수신부,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사실에 대한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는 공증 처리부, 및 이체 서버로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하는 공증 완료 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이체 공증용 이체 서버는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금액을 포함한 이체 요청 정보와 이체 금액에 대한 공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이체 요청 수신부,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 및 공증 서버로 전송하는 공증 요청부, 및공증 서버로부터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받은 후에 이체 요청 정보에 따른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이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차용 거래용 이체에 대한 공증이 가능해진다. 개인 간 차용 거래에 대한 공증이 가능해진다. 이는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채무불이행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증거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서버와 공증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와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와 이체 서버(300) 및 공증 서버(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반드시 이들을 모두 포함한다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체 서버(300)와 공증 서버(400)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그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위의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와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는 각각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로서,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진 통신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로는 통신 디바이스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왑폰(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WAP phone),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는 소비대차 거래의 당사자들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거래자를 돈을 빌려주는 자로 해석하며, 제 2 거래자를 돈을 빌리는 자로 해석한다.
이체 서버(300)는 전자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사 서버이다. 이체 서버(300)는 웹 기반의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업무용서버(모바일, 자동화기기 등), 인증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으로 이루어진 서버 플랫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산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체 서버(300)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이체 서버(300)는 기본적인 이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이체 서버(300)는 제 1 거래자의 이체 요청에 따라 제 1 거래자의 출금 계좌로부터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 요청된 금액을 이체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이체 서버(300)는 공증 서버(400)와 연동하여 공증 서버(400)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가 공증된 경우에만 이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증 서버(400)는 이체 서버(300)와 연동하는 서버로서, 이체 서버(300)를 운영하는 금융사업자가 아닌 별도의 제휴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공증 서버(400)는 제 1 거래자의 이체 금액에 대해 제 2 거래자로부터 차용 거래임을 확인받아 공증하며, 공증되었음을 이체 서버(300)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제 1 거래자는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 또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과 같은 별도의 금융거래기기를 이용하여 이체 서버(300)에 제 2 거래자에게로의 자금 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래자는 이체시에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 또는 ATM의 이체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공증 서비스를 이용할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공증 서비스 이용을 선택하면 이체 사실에 대한 공증을 받을 수 있다. 이체 서버(300)는 제 1 거래자의 이체 요청에 따라 제 2 거래자에게 자금을 이체하는데, 제 1 거래자가 공증 서비스 이용을 선택한 경우에는 자금 이체 전에 공증 서버(400)로 제 1 거래자의 자금 이체가 차용 거래임을 공증 요청한다. 이에 공증 서버(40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제 2 거래자로부터 이체 자금에 대한 차용 거래 사실을 확인받을 수 있다. 즉, 공증 서버(400)는 이체 전에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는 것이다. 공증 서버(400)는 공증되었음을 이체 서버(300)에 알리며, 이체 서버(300)는 공증된 후에 자금 이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네트워크에는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TCP/IP, IPX, SPX, NetBIOS, 이더넷, ARCNET, Fiber Distributed Date Interface(FDDI), IEEE 802.11, IEEE 802.11a 및 직접 동기화 연결 등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한다. 참고로, 이체 서버(300)와 공증 서버(400)는 별도의 전용망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서버와 공증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체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러 주변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증 서버(400) 역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러 주변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체 서버(300)는 이체 요청 수신부(310)와 공증 요청부(320) 및 이체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증 서버(400)는 공증 요청 수신부(410)와 공증 처리부(420) 및 공증 완료 통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공증 서버(400)는 변제 알림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체 서버(300)와 공증 서버(400)의 하위 구성들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체 서버(300)는 개설된 입출금 계좌들과 각각의 계좌에 보유된 금액 정보가 저장된 계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체 서버(3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이체 서버(300)의 이체 요청 수신부(310)는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체 요청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이체 금액이 포함되며, 공증 요청 정보는 이체 금액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정보이다. 이체 요청 정보에는 이체 금액 외에 제 1 거래자의 출금 계좌와 제 2 거래자의 입금 은행 및 입금 계좌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증 요청 정보에는 제 2 거래자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포함된다. 나아가, 공증 요청 정보에는 이체 금액에 대한 변제일자와 이자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공증 요청부(320)는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다. 공증 요청 데이터에는 이체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공증 요청 데이터에는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에 없는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증 요청 데이터에는 이체 금액과, 제 2 거래자의 전화번호와 입금 계좌(은행 및 계좌번호)가 포함된다. 추가로, 공증 요청 데이터에는 제 1 거래자의 이름과 제 2 거래자의 이름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체 금액(차용 금액)에 대한 변제일자와 이자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공증 요청부(320)는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이를 공증 서버(400)로 전송하여 공증을 요청한다. 그리고 이체 처리부(330)는 이체 요청 정보에 따른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체 처리부(330)는 공증 서버(400)로부터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받은 이후에 이체 요청된 금액을 이체한다. 다만, 지연이체 제도가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경우, 이체 처리부(330)는 공증 서버(400)에 의해 공증이 되었다 하더라도 법적으로 정해진 소정시간이 경과(지연)된 이후에 이체 요청된 금액을 이체한다.
다음으로, 공증 서버(400)에 대해 설명한다. 공증 서버(400)의 공증 요청 수신부(410)는 이체 서버(300)로부터 공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다. 공증 처리부(420)는 수신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제 2 거래자가 제 1 거래자로부터 자금을 빌린다는 사실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용 사실 데이터에는 제 1 거래자의 이름과, 제 2 거래자의 이름 및 계좌정보(은행, 계좌번호)와, 이체 금액(차용 금액)이 포함된다. 추가로, 차용 사실 데이터에는 변제일자와 이자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공증 처리부(420)가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한다는 것은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만을 가지고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공증용 이체 서버(300)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도 추가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공증 처리부(420)는 차용 사실 데이터를 공증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식별되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회신으로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차용 사실에 대한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한다. 공증 처리부(420)에 의해 공증 처리가 완료되면, 공증 완료 통지부(430)는 이체 서버(300)로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증 처리부(420)는 자동응답서비스(automated response service, ARS)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에 음성으로 전달하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한다. 이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공증 처리부(420)는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 및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공증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증용 데이터는 “A님께서 B C님의 계좌 D로 E원을 F까지 이자 G%로 빌려주셨습니다. 거래 사실에 동의하면 ‘동의합니다’라고 본인의 음성으로 말씀해 주십시오”와 같은 음성 안내 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공증 처리부(420)는 위와 같은 음성 안내 멘트에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의 적어도 일부 내용을 반영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A에는 제 1 거래자의 이름, B에는 제 2 거래자의 입금은행, C에는 제 2 거래자의 이름, D에는 계좌번호, E에는 이체 금액, F에는 변제일자, G에는 이자율이 반영된다. 이에 따라, “김철수님께서 국민은행 김하나님의 계좌 524906009999로 300만원을 2016.12.25까지 이자 2%로 빌려주셨습니다. 거래 사실에 동의하면 ‘동의합니다’라고 본인의 음성으로 말씀해 주십시오”와 같은 차용 사실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공증 처리부(42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ARS 연결한다. ARS 연결 방식에 있어서, 공증 처리부(42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직접 ARS 콜을 연결할 수도 있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에 ARS 콜을 위한 링크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여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에서 ARS 콜을 연결토록 할 수도 있다.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와 ARS 연결되면, 공증 처리부(42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음성 전달하며,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동의합니다”라는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여 공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한다. 즉, 공증 처리부(420)는 ARS 음성을 녹취 및 보관하여 공증을 완료한다. 그리고 공증 처리부(42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동의합니다”라는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감사합니다. 30분 후 출금 가능합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 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공증 처리부(420)는 녹취 파일을 백업할 수 있는데, 제3자의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인 TTP(Trusted Third Party)의 서버로 전송하여 녹취 파일을 백업할 수 있다. 그리고 물론 제 2 거래자가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이체 처리부(330)는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자금 이체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증 처리부(420)는 ARS를 이용한 공증 과정에서 제 2 거래자에게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그 입력된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증 처리부(420)는 이체받기로 한 입금계좌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며, 입력된 입금계좌번호와 이체 요청 정보에 포함된 입금계좌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검증 결과 정보가 잘못된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처리한다.
또한, 공증 처리부(420)는 ARS를 이용한 공증 과정에서 제 2 거래자에게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그 입력된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증 처리부(420)는 차용 사실 데이터 모두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전달하기 전에 차용 사실 데이터의 일부에 대해 제 2 거래자에게 직접 입력할 것을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제 2 거래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증 처리부(420)는 이체받기로 한 입금계좌번호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계좌번호의 마지막 세자리)를 입력 요청하며, 입력된 입금계좌번호와 이체 요청 정보에 포함된 입금계좌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한다. 즉, 일치 여부를 통해 제 2 거래자가 정당한 거래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것이다. 인증에 실패하면, 공증 처리부(420)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처리한다.
한편, 변제 알림부(440)는 차용 사실 데이터에 포함된 변제일자가 도래할 경우에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도래 사실을 알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제 알림부(440)는 변제일자로부터 소정일자 이전에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도래 사실을 알림한다. 알림 방식에 있어서, 변제 알림부(440)는 ARS나 SMS나 PUSH 문자 통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제 1 거래자는 제 2 거래자에게 돈을 이체하기 위해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체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한다.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와 이체 서버(300)는 통신 연결되며, 이체를 위한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는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이체 요청 정보에는 제 1 거래자의 출금 계좌번호, 제 2 거래자의 입금은행과 입금 계좌번호, 이체 금액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거래자는 자금 이체에 대해 공증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는 제 1 거래자로부터 공증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S150). 공증 요청 정보에는 제 2 거래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변제일자, 이자율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거래자 디바이스(100)는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체 서버(300)로 전송한다(S200). 이체 서버(300)는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다(S250). 공증 요청 데이터에는 제 1 거래자의 이름과, 제 2 거래자의 이름과 입금은행 및 입금 계좌번호와, 이체 금액과 변제일자 및 이자율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거래자의 이름은 이체 요청 정보나 공증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제 1 거래자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이체 서버(300)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바, 제 1 거래자의 이름을 포함시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이체 서버(300)는 생성된 공증 요청 데이터를 공증 서버(400)로 전송하여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에 대한 공증을 요청한다(S300). 공증 서버(400)는 공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한다(S350). 차용 사실 데이터에는 제 1 거래자의 이름과, 제 2 거래자의 이름과 입금은행 및 입금 계좌번호와, 이체 금액과 변제일자와 이자율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거래자의 전화번호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통신 연결하는데 이용한다.
공증 서버(40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와 통신 연결한다(S4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증 서버(400)와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는 ARS 콜로 연결된다. 공증 서버(400)는 통신 연결된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전송한다(S450). 즉, 제 2 거래자가 제 1 거래자로부터 돈을 차용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동의받기 위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ARS를 이용할 경우,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차용 사실 데이터는 “김철수님께서 국민은행 김하나님의 계좌 524906009999로 300만원을 2016.12.25까지 이자 2%로 빌려주셨습니다. 거래 사실에 동의하면 ‘동의합니다’라고 본인의 음성으로 말씀해 주십시오”와 같은 음성 멘트가 된다.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는 차용 사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거래자에게 출력하며, 제 2 거래자는 이를 확인하고 음성으로 응답한다.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는 제 2 거래자의 음성 데이터인 차용 동의 여부 데이터를 공증용 이체 서버(300)로 전송한다(S500).
공증 서버(400)는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차용 동의 여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제 2 거래자가 차용 사실에 동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2 거래자가 “동의합니다”라고 말하였는지 음성 분석하는 것이다. 제 2 거래자가 차용 사실에 동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공증 서버(400)는 차용 거래가 공증되었음을 기록한다(S550). 공증 처리가 완료되면, 공증 서버(400)는 이체 서버(300)로 공증 처리 완료 사실을 통지하며(S600), 공지 처리 완료를 통지받은 이체 서버(300)는 제 1 거래자로부터 요청된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한다(S900).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증 서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변제일자가 도래하면 그 도래 사실을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알림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증 서버(400)는 S450 과정 중에 차용 사실 데이터의 일부에 대해 제 2 거래자 디바이스(200)로 입력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른 입력 값을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거래자에게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그 입력된 정보를 검증하여 제 2 거래자가 정당한 거래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S500은 S450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 1 거래자 디바이스 200 : 제 2 거래자 디바이스
300 : 이체 서버 310 : 이체 요청 수신부
320 : 공증 요청부 330 : 이체 처리부
400 : 공증 서버 410 : 공증 요청 수신부
420 : 공증 처리부 430 : 공증 완료 통지부
440 : 변제 알림부

Claims (11)

  1.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위해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요청된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이체 서버; 및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를 포함하되,
    이체 서버는 공증 서버에 의해 차용 거래가 공증된 이후에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체 서버는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금액을 포함한 이체 요청 정보와 이체 금액에 대한 공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 및 공증 서버로 전송하고, 공증 서버로부터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받은 이후에 이체 요청 정보에 따른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며,
    공증 서버는 이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사실에 대한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며, 이체 서버로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하는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공증 서버는 자동응답서비스(automated response service, ARS)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에 음성으로 전달하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동의 데이터를 음성 수신하여 저장하는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공증 서버는 차용 사실 데이터의 일부에 대해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입력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른 입력 값을 인증하며, 인증에 성공할 경우에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동의 데이터를 음성 수신하여 저장하는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증 서버는 변제일자 도래시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변제일자 도래 사실을 알리는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거래자로부터 자금을 차용하고자 하는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 및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요청된 이체 금액을 포함한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공증 요청 수신부;
    공증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사실에 대한 차용 동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에 의해 제 1 거래자와 제 2 거래자 간의 차용 거래를 공증하는 공증 처리부; 및
    이체 서버로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하는 공증 완료 통지부;
    를 포함하는 이체 공증용 공증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공증 요청 데이터에는 변제일자와 제 1 거래자의 이름과 제 2 거래자의 이름이 더 포함된 이체 공증용 공증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공증 처리부는 자동응답서비스(automated response service, ARS)를 이용하여 차용 사실 데이터를 제 2 거래자 디바이스에 음성으로 전달하고,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동의 데이터를 음성 수신하여 저장하는 이체 공증용 공증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공증 서버는 차용 사실 데이터의 일부에 대해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입력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른 입력 값을 인증하며, 인증에 성공할 경우에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부터 차용 동의 데이터를 음성 수신하여 저장하는 이체 공증용 공증 서버.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제일자 도래시 제 2 거래자 디바이스로 변제일자 도래 사실을 알리는 변제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이체 공증용 공증 서버.
  11. 제 1 거래자로부터 이체 금액을 포함한 이체 요청 정보와 이체 금액에 대한 공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이체 요청 수신부;
    이체 요청 정보와 공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 데이터를 생성 및 공증 서버로 전송하는 공증 요청부; 및
    공증 서버로부터 공증 처리 완료를 통지받은 후에 이체 요청 정보에 따른 이체 금액을 제 2 거래자의 입금 계좌로 이체하는 이체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체 공증용 이체 서버.
KR1020180048659A 2018-04-26 2018-04-26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04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59A KR20180048512A (ko) 2018-04-26 2018-04-26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59A KR20180048512A (ko) 2018-04-26 2018-04-26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38A Division KR101891734B1 (ko) 2016-07-06 2016-07-06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512A true KR20180048512A (ko) 2018-05-10

Family

ID=6218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659A KR20180048512A (ko) 2018-04-26 2018-04-26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85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0342A1 (en) Digital asset account management
CN107683488B (zh) 数字资产中介电子结算平台
US20190251569A1 (en) System communications with non-sensitive identifiers
US8762275B2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multiple account holder functionality
US20190005491A1 (en) Secure account creation
US2015032476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und transfers over a network
US107136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a product using an electronic device
US10643208B2 (en) Digital payment system
WO2018204548A1 (en) Ledg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10295335A1 (en) Secure access-based resource delegation
CN103649979A (zh) 金融交易系统和方法
KR10224986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여신거래 서버 및 방법
JP2014002741A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JP6521421B1 (ja) 通貨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貨情報処理システム
CN113837763A (zh) 支付请求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303427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ding and receiving math-based currency via a fiat currency account
KR101891734B1 (ko)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0154576A1 (en) Cryptographic transactions supporting real world requirements
KR20180048512A (ko)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357917A1 (en) Account rebalancing daemon for use with secure digital asset custodians
KR20180022760A (ko)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53145A (ko) 보험계약 체결용 장치 및 보험계약 체결방법
KR20180005526A (ko) 금융사 서버 및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
RU2660603C2 (ru) Модульный сервер системы платежно-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вязей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клиентов при осуществлении коммерческих сделок (варианты)
KR20180010036A (ko) 핀테크 서버 및 이체 공증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