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781A - Cosmetic vessel - Google Patents

Cosmetic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781A
KR20180047781A KR1020160144486A KR20160144486A KR20180047781A KR 20180047781 A KR20180047781 A KR 20180047781A KR 1020160144486 A KR1020160144486 A KR 1020160144486A KR 20160144486 A KR20160144486 A KR 20160144486A KR 20180047781 A KR20180047781 A KR 2018004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discharge surface
impregnation
sealing por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6296B1 (en
Inventor
신호준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4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96B1/en
Priority to KR1020180007771A priority patent/KR102515462B1/en
Publication of KR2018004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ntainer comprises: an impregnation material impregnated with cosmetic products; a discharging surface having at least one outle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pressurizing the impregnation material so as to release the cosmetic product through the outlet; and a sealing part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to isolate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함침재 위에 토출면을 두어 토출면의 하강에 의해 화장품이 토출되도록 하되 토출면의 둘레로 화장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ging a cosmetic product by lowering a discharge surface by disposing a discharge surface on an impregnation material, while preventing the cosmetic product from leaking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Liquid cosmetics such as solid cosmetics such as foundations and sun blocks,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are used for protecting skin, brightening the skin, improving wrinkle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user can apply the cosmetic to the puff and apply it to the skin.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uff, it can be sold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a cosmetic container. In general, the puff and the like may be housed inside a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cosmetic product, the user may open the lid to pull out the puff, and bring the puff into contact with the cosmetic while holding the elastic cord or the like provided on the puff.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직접 화장품에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퍼프에 묻어서 퍼프가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펀지 등에 화장품을 함침시키고, 사용자가 퍼프로 스펀지를 누르게 되면 스펀지에 스며들어 있던 액체 화장품이 배출됨에 따라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In this case, since the user must directly contact the cosmetic with the puf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metic may be buried in the puff due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o press the cosmetic with the puff, thereby wasting the puff. Accordingly, recently, a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sponge or the like is impregnated with a cosmetic product,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ponge with the puff, the liquid cosmetics impregnated in the sponge are discharged and then supplied to the puff.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기존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스펀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서 퍼프에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묻어 나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과도한 압력으로 스펀지를 가압하게 되면, 퍼프에서 피부에 직접 닿는 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접한 면까지 화장품이 묻어나와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cosmetics more than necessary can be buried in the puff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pressing the sponge, and when the user accidentally presses the sponge with excessive pressure, There is a problem that cosmetics adhere to the face adjacent to the user's fingers and cause a great inconvenience to the user.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스펀지에 함침된 화장품을 퍼프에 묻혀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품을 바르고 다시 반복하여 퍼프를 화장료가 함침된 스펀지에 눌러서 접촉시키게 되는데, 이때 피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세균 등으로 인해 화장품에 심각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내에 오염된 미생물은 화장품 사용이 완료될 때까지 성장함에 따라 제품의 오염을 지속하여 결국에는 피부자극, 피부트러블, 피부알러지, 변취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불편한 경험을 겪게될 경우, 화장품을 기피하게 되며, 미용을 위해 사용한 제품이 오히려 개인의 위생과 피부 트러블을 초래함에 따라 심각한 불만을 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user puts the cosmetics impregnated on the sponge into contact with the skin such as the face, etc. by applying the cosmetics to the face and presses the puff onto the sponge impregnated with the cosmetic material, Mold, bacteria, etc. can cause serious contamination to cosmetics.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microorganisms in cosmetics continue to be contaminated as the cosmetics are used until they are used, resulting in skin irritation, skin troubles, skin allergies, and irritation. If a user experiences such an uncomfortable experience, he or she will avoid cosmetics, and the products used for cosmetics are seriously complained as they cause personal hygiene and skin troubles.

이러한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화장품을 보관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용물과 외부 오염원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취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잔량의 화장품은 안전하게 미생물의 오염 없이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다.In order to store and safely use the cosmetics so as to escape from microbial contamination,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contact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external contaminants, and to use only the amount of cosmetics desired to be used, Condition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storage state.

따라서 최근에는 화장품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화장품 위에 다수의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을 두고, 토출판을 퍼프로 누르면 토출구를 통해서만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prevent cosmetics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used a structure in which a toe publica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is provided on a cosmetic product, and a cosmetic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outlets when the toe publication is pouched.

그런데 토출판의 하강에 의하여 토출판 아래에 수용된 화장품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토출판의 둘레로 화장품이 새어나올 우려가 있어서, 토출판 아래의 화장품은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하더라도, 토출판 주변에 새어나오는 화장품으로 인해 미감을 심하게 해칠 우려가 있고 화장품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smetics accommodated under the earth cover due to the descending of the earth cover, cosmetics may leak around the earth cover, and even if the cosmetics under the earth cover are protected from external pollution, There is a concern that cosmetic products may seriously damage aesthetics and cosmetic products are wasted.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면으로 함침재를 눌러 화장품을 토출시킬 때, 토출면의 둘레로 화장품이 새어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which effectively prevents the cosmetic from leaking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when the cosmetic is discharged by pressing the impregnated material with the discharge surfa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함침하는 함침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갖고 상기 함침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해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함침재의 둘레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regnation material impregnating a cosmetic; A discharging surfac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mpregnating member having at least one discharging opening to pressurize the impregnating member to cause the cosmetic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ing opening;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to isolate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container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nd accommodating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a fixing unit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is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and when the discharging surface is pressed, the discharging surface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discharging surface presses the impregnating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내측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단차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has an inner side protruding to one opened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aling portion may have a step to be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fix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되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shape in which an outer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is recessed inward.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외측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내측이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외측과 상기 내측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늘어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on the outer side and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and when the discharge surface is pressed, the sealing portion can be extended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betwee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외측과 상기 내측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늘어나서 상기 토출면이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ischarge surface is pushed, the sealing portion stretches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is lowered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presses the impregnated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는 주머니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may have a bag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surface and surrounding the impregnated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는 주름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may have wrinkles that are compressed when the discharge surface moves in a direction to press the impregnation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주머니는, 상기 토출면의 가압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는 재질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g may have a material or shape that is reduced in volume as the discharge surface is pressed.

구체적으로, 상기 주머니는,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면에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g may be fixed to the discharge surface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so as to sur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갖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둘레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has a peripheral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aling portion is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and when the discharging surface is pressed, the sealing portion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pressurizes the impregnation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실링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실링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실링부가 하강하면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실링부가 상승하면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Specifically, on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has a groove that engages with the projection. When the sealing portion is lowered,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And when the sealing portion rises,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함침재의 하단을 수용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has a depression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ion member, and a clearance can be formed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함침재의 하단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may include a guid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ion member to form the depression.

구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는 용기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을 둘러싸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를 수용하는 그루브를 갖고,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를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실링부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에 걸리는 걸림구조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at the out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groove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accommod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ejection surface is pressed, so that the ejection surface presses the impregnation member, and the groove is formed in the container And may have a hooking structure that hangs around the body.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둘레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는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ag extending from the peripheral portion and surrounding the impregnated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수용되며 상기 함침재보다 낮은 함침성 또는 비함침성을 갖는 외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housing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round the impregnated member and has a lower impregnable or non-impregnable property than the impregnated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부재의 내면과 상기 함침재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는 번짐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bleeding preven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embe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번짐방지부는, 상기 외곽부재의 내면과 상기 함침재의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lur prevention port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구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며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상기 함침재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는 번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번짐방지부는, 상기 함침재의 외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container body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forms a clearance space a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a blur preven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the blur prevention part may b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구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며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수용되며 상기 토출면을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container body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forms a clearance space a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round the impregnated member and having an elastic force to push up the discharg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중앙보다 둘레의 높이가 낮은 상협하광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pregnation material may have a shape of a vertically lowered light having a lower peripheral height than the center.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상기 토출면에 의해 가압되는 표면이 돔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pregnation material may have a dome or trapezoidal shape on the surface to be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토출면은, 평평한 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과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휘어지거나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surface has a flat plate shape, and the 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surface, and may have a shape bent or bent while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 또는 상기 고정부의 내벽에 밀착되는 연질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may have a sof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jection surface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made of metal.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재 위에 토출구를 갖는 토출면을 마련하되, 토출면의 둘레에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부를 두어, 함침재의 압축에도 불구하고 토출면의 둘레로 화장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surface having a discharge port is provided on the impregnated material and a seal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cosmetic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so that the cosmetic material is wound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내측은 용기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이고 외측은 용기본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으며, 하측은 용기본체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측은 용기본체의 바닥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ner side may be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outer side may be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ower side may be th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side may be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t i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본체(10), 함침재(20), 토출면(30), 실링부(40), 고정부(50)를 포함한다.1 to 3, a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0, an impregnation material 20, a discharge surface 30, a sealing portion 40, (50).

용기본체(10)는, 후술할 함침재(20)를 수용한다. 용기본체(10)는 함침재(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의 상측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ainer body 10 may form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opened.

이때 용기본체(10)의 높이는 함침재(20)의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토출면(30)이 용기본체(10)에 마련되면, 토출면(30)은 용기본체(1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토출면(30)이 하강하면서 함침재(20)가 압축되어 화장품이 함침재(20)로부터 토출면(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does not protrude outward. In this case,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compressed while the discharge surface 30 is lowered by the user's depression so that the cosmetics are discharged from the impregnation member 20 to the discharge surface 30, Lt; / RTI >

용기본체(10)는 뚜껑(12)을 갖는 외용기(11)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뚜껑(12)은 힌지 등의 방식을 통해 외용기(11)를 개폐할 수 있으며, 외용기(11)에는 용기본체(10)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 can be interchangeably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11 having the lid 12 and the lid 12 can open and close the outer container 11 by way of a hinge or the like, (11)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10) is accommodated.

또한 외용기(11)에서 용기본체(10)가 수용되는 공간의 하부에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구멍을 통해 용기본체(10)를 밀어올려서, 용기본체(10)가 외용기(11)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A hole (not show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1 in which the container body 10 is received. The user pushes the container body 10 through the hole,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1).

따라서 외용기(11)에 결합되어 있는 용기본체(10)의 함침재(20)로부터 화장품이 소진된 경우, 기존의 용기본체(10)를 외용기(11)로부터 분리한 뒤, 사용자는 화장품이 충분히 함침되어 있는 함침재(20)가 수용된 새로운 용기본체(10)를 외용기(11)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0)의 교체를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smetic product is exhausted from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of the container body 10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11, after separating the conventional container body 10 from the outer container 11, The replacement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the new container body 10 containing the impregnated material 20 sufficiently impregnated to the outer container 11.

외용기(11)에 마련되는 뚜껑(12)이 개방되면 용기본체(10)의 상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함침재(20)의 상측에는 후술할 토출면(30)이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뚜껑(12)을 개방한 뒤 토출면(30)을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나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화장품을 함침재(20)로부터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lid 12 provided in the outer container 11 is opened and the discharging surface 3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The cosmetic may be discharged from the impregnation member 20 by pressing the discharging surface 30 with a makeup tool or a finger such as a puff after opening the lid 12.

다만 용기본체(10)의 상측과 뚜껑(12) 사이에는 속뚜껑(13)이 마련될 수 있고, 속뚜껑(13)은 용기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토출면(3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lid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lid 12 so that the inner lid 13 covers the discharge surface 30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 .

본 실시예는 외용기(11), 뚜껑(12), 속뚜껑(13) 등의 구성이 부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판매 및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을 알려둔다. 다만 토출면(30)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므로, 토출면(30)의 상면에는 둘레가 용기본체(10)(및/또는 후술할 고정부(50))에 결합되어 있는 보호필름(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호필름을 제거한 뒤 토출면(30)을 퍼프 등으로 눌러 사용할 수 있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old and used independently even in the absenc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container 11, the lid 12, the inner lid 13, and the like. Since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hrough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30 is covered with the container body 10 (and / A protective film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user can press the discharge surface 30 with a puff or the like afte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함침재(20)는, 화장품을 함침한다. 이때 함침되는 화장품은 액상일 수 있지만 파우더 형태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화장품의 종류, 형태, 및 점도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impregnation member 20 impregnates the cosmetic. The impregnated cosmetic may be in the form of a liquid, but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powder. That is, the kind, form, viscosity and the like of the cosmetic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함침재(20)는, 폴리우레탄 폼,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픈 셀 구조 또는 망상형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함침재(20)는, 화장품을 내부에 함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함침재(20)의 재질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foam, a sponge, or the like, and may have an open cell structure or a network-like structure. Of cours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capable of impregnating the cosmetics therein, and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일례로 함침재(20)는 NB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폴리우레탄이나 NSBR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외측 방향으로의 누액을 줄이고 중앙으로 화장품이 집중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pregnated material 20 may be made of an NBR material. In this cas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less concentr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polyurethane or NSBR material, and the cosmetic may be concentratedly discharged to the center.

함침재(20)는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되며, 함침재(20)의 상면은 용기본체(10)의 상단에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함침재(20)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이 용기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provided at a height not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 In this case, the cosmetic discharged from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

함침재(20)는 배출될 화장품을 함침하지만, 퍼프 등으로부터 직접 가압되지 않을 수 있다. 함침재(20)의 상면에는 토출면(30)이 마련되며 화장품의 토출은 토출면(30)의 가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함침재(20)는 토출면(30)을 통해 간접적으로 가압되어 함침되었던 내용물을 토출면(30)의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mpregnates the cosmetic product to be discharged, but may not be directly pressed from the puff or the like.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surface 30 and the discharge of cosmetics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indirectly pressed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30 The impregnated contents can be trans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surface 30. [

토출면(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31)를 갖고 함침재(20)의 일측에 마련된다. 토출면(30)은 함침재(2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함침재(20)를 가압해 화장품이 토출구(31)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with at least one discharge port (31). The discharge surface 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so that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be pressed to discharge the cosmetic product to the discharge port 31.

토출면(30)에 마련되는 토출구(31)는 토출면(30)이 퍼프 등으로 눌리면서 벌어지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고정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토출면(30)이 늘어나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퍼프에 의한 눌림 여부에 따라 토출구(31)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지만, 토출면(30)이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면 토출구(31)는 항상 고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31 provided in the discharge surface 3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ushed by a puff or the like, or may have a fixed cross-sectio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31 can be vari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pushed by the puff. However, if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a hard material, Size.

토출면(30)은 메쉬망일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31)를 갖는 판 형태일 수 있다. 토출면(30)이 메쉬망일 경우 토출면(3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엮여 이루어지는 직물 구조이거나 그물 구조일 수 있으며, 토출면(30)이 판 형태일 경우 토출면(30)은 금속이나 비금속 등의 재질에 의해 이루어지고 토출구(31)가 에칭이나 펀칭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30 may be a mesh screen or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t least one discharge port 31.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a mesh, the discharge surface 30 may have a fabric structure or a net structure in which warps and wefts are interwoven with each other.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the discharge port 31 may be formed by etching, punching, or the like.

토출면(30)이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화장솜이나 기타 세척 도구를 이용하여 토출면(30)의 상면에 묻은 화장품을 간단히 닦아내 토출면(30)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바,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metal, cosmetics on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simply wiped off using a cosmetic pad or other cleaning tool to cleanly control the discharge surface 30, .

또한 토출면(30)을 금속으로 하게 되면 화장품의 열이 토출면(30)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발산될 수 있어 화장품에 냉감 부여가 가능하며, 금속이 주는 느낌을 통해 미감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lso, if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a metal, the heat of the cosmetic product can be easily diver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30, so that a cool feeling can be given to the cosmetic product. .

또한 토출면(30)이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면, 함침재(20)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리면서, 함침재(20)의 일부에만 압축이 집중되어 함침재(20)의 형태가 부서지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or the like,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uniformly pressed as a whole and the compression is concentrated only in a part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The problem of breaking or deforming can be prevented.

토출면(30)은, 주변보다 중앙으로 갈수록 망목이 커지는 메쉬망이거나, 중앙에만 토출구(31)를 갖는 판 형태 또는 주변보다 중앙으로 갈수록 토출구(31)의 크기가 커지는 판 형태 등일 수 있지만, 토출면(30)에 형성되는 토출구(31)의 배치나 크기, 패턴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charge surface 30 may be a mesh net having a larger mesh size toward the center than the periphery thereof or a plate having a discharge port 31 only at the center or a plate having a larger discharge port 31 toward the center than the periphery, The arrangement, size, pattern, etc. of the discharge ports 31 formed in the surface 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다만 토출면(30)을 판 형태로 할 경우는 토출면(30)을 압력에 따라 처지는 형태로 하는 경우와 대비할 때 토출구(31)의 크기가 늘어나지 않고 고정되므로, 화장품의 토출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판 형태의 토출면(30)에 형성되는 토출구(31)의 크기는, 처질 수 있는 형태의 토출면(30)에 형성되는 토출구(31)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지만, 토출구(31)의 크기가 수치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31 is fix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when compared with a cas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30 is sagged with pressure,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cosmetic product may be relatively difficult have.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31 formed in the discharge surface 30 in the plate form can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31 formed in the discharge surface 30 that can be deformed, Is not limited numerically.

토출면(30)은, 후술할 실링부(40)에 의해 둘레가 고정된 상태로 용기본체(10)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토출면(30)이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토출면(30)은 퍼프 등에 의해 가압될 때 비교적 평면을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함침재(20)에 고른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3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container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is fixed by a sealing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Even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a mesh net,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lowered while maintaining a relatively flat surface when pressed by a puddle or the like, and can transmit a uniform pressure to the impregnated material 20. [

이를 위해 토출면(30)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토출면(30)은 인장된 상태로 실링부(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퍼프 등에 의해 토출면(30)이 눌릴 때 토출면(30)의 처짐이 방지되면서 토출면(30)이 평행하게 하강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fixed by the sealing portion 40 in a stretched state, and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ushed by the puff or the like, The ejection surface 30 can be lowered in parallel while the droplet 30 is prevented from sagging.

토출면(30)이 하강하면 함침재(20)가 압축되고, 함침재(20)에 함침되었던 화장품은 토출면(30)의 토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함침재(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는바, 토출면(30)에 가해졌던 외부의 압력이 해제되면, 함침재(2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토출면(30)을 밀어 올리게 되므로, 토출면(30)은 상승하게 된다.When the discharging face 30 descends, the impregnating member 20 is compressed and the cosmetic product impregnated in the impregnating member 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ing opening 31 of the discharging face 30. Since the impregnation member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discharge surface 30 is released,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 discharge surface 30 is raised.

즉 토출면(30)의 하강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토출면(30)의 상승은 함침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출면(30)의 승강 시 실링부(40)는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lowering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is made by the pressure externally applied, and the rising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can be ma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20, (40) can maintain the sealing state.

실링부(40)는, 토출면(30)의 둘레에 마련되어 함침재(20)의 둘레를 외부와 격리시킨다. 실링부(40)는 토출면(30)의 둘레에 고정되며, 토출면(30)이 눌리면 용기본체(10)의 내벽(1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토출면(30)이 함침재(20)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30 to isolate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from the outside. The sealing portion 40 is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essed, the sealing portion 40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be pressed.

실링부(40)는, 용기본체(10)의 내벽(14)에 밀착되도록,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실링부(40)는 용기본체(10)의 내벽(14)에 닿는 외면이 평면 형태일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마찰력이 증가함에 따라 토출면(30)의 하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40)의 외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곡면 형태를 가짐에 따라 실링부(40)의 외면과 용기본체(10)의 내벽(14)이 화장품의 누액을 방지하는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 curved surface shape whose outer surface is recessed inwar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 Of course, 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 flat outer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but in this case, the descending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as the frictional force increases.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the cosmetic product can do.

실링부(40)에는 상면에 단차(41)가 마련될 수 있는데, 단차(41)는 후술할 고정부(50)와 맞물려서 실링부(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함침재(20)가 토출면(30)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팽창하게 되면, 토출면(30)이 상승하면서 토출면(30)의 주변에 고정된 실링부(40) 역시 용기본체(10)의 내벽(14)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The stepped portion 4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 The stepped portion 41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40 from being separated by engaging with the fixing portion 50 described later. The sealing portion 40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is lifted while the discharging surface 30 rises and the sealing portion 40 is also pressed against the container body 10 In the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이때 실링부(40)와 토출면(30)이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링부(40)의 상측은 고정부(50)에 의해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고, 특히 실링부(40)의 상면에 마련되는 단차(41)에 의해 토출면(30) 및 실링부(4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용기본체(10)와 중심이 정렬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discharging surface 30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to be caught by the fixing portion 5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face 30 and the sealing portion 40 ar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without being deviated to one side by the step 4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 [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함침재(20)는 상면이 용기본체(10)에서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함침재(20)의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실링부(40)와 토출면(30)은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단차(41)를 둠에 따라 토출면(30)이 일측으로 치우친 압력을 받아 기울게 될 경우 실링부(40)가 용기본체(10)의 내벽(14)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have a height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even when the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applied,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ejection surface 30 The sealing portion 4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tilted under the pressure biased to one side as the step 41 is pla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wall 14 from deviating from the inner wall 14.

실링부(40)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실링부(40)의 상면은 경사면을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토출면(30)에 토출된 화장품이 실링부(40)를 넘어서 고정부(50) 등으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 height increas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 can be inclined so that the cosmetics discharged onto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fixing portion 50 or the like beyond the sealing portion 40.

고정부(50)는, 용기본체(10)의 둘레에 고정된다. 고정부(50)는 용기본체(10)의 둘레를 감싸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에 돌기 결합, 나사 결합, 접착, 융착, 용접, 억지끼움 등의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50) is fixed around the container body (10). The fixing portion 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a cross-section of the letter 'A' that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fixing portion 50 may be formed by projecting, screwing, And can be combin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interference fit.

고정부(50)에서 내측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고정부(50)의 내측 직경이 용기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의 직경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이때 고정부(50)에서 돌출되는 내측은, 실링부(40)의 단차(41)가 맞물리는 부분일 수 있다.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50)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is means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portion 5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one side opened in the container body 10. [ At this time, the inner side projecting from the fixing portion 50 may be a portion where the step 41 of the sealing portion 40 engages.

고정부(50)의 내측이 용기본체(10)의 내벽(14) 안쪽으로 돌출됨에 따라, 실링부(40) 및 토출면(30)이 함침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할 때 및/또는 토출면(30)이 기울 때,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discharging surface 30 rise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20 and / or when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50 protrudes into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Or when the ejection surface 30 is tilt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다만 고정부(50)에 의해 실링부(40)의 상승이 저지될 때 토출면(30)의 위치는, 도면과 같이 원상태로 복원된 함침재(20)에서 토출면(30)이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위치이거나, 또는 이와 달리 토출면(30)이 함침재(20)를 약간 압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30 when the sealing portion 40 is prevented from rising by the fixing portion 50 is set such that the discharge surface 30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impregnated material 20, , Or alternatively may be a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urface 30 make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slightly compress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링부(40)가 토출면(30)의 둘레에 고정되고, 토출면(30)이 퍼프 등에 의해 눌리면 실링부(40)가 용기본체(10)의 내벽(14)과 밀착된 상태로 실링부(40) 및 토출면(30)의 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함침재(20)로부터 빠져나오는 화장품이 토출구(31)를 통해서만 배출되고, 실링부(40)와 용기본체(10)의 내벽(14) 사이 등으로 누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is fixed to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ushed by the puff or the like, The cosmetic discharged from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 and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discharge surface 30 are lowered in the state of being closely contacted with the sealing portion 40, Between the inner wall 14 of the body 10 and the lik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4 and 5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실링부(40)가 앞선 실시예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4 and 5, the sealing part 40 of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 대비 갖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명세서 내 다른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3 내지 제9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임을 알려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other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omitted will be replaced with other contents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is is the same in the third to ninth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는, 외측이 고정부(50)에 고정되고 내측이 토출면(30)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40)는 용기본체(10)의 내벽(14)에 닿을 필요가 없으며, 용기본체(10)의 둘레에 고정된 고정부(50)와 함침재(20) 위에 놓인 토출면(30) 사이를 실링부(40)가 밀폐함으로써, 화장품의 누액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50 on the outer side and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on the inner side. In this case, the sealing portion 40 does not need to touc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fixing portion 50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discharge surface 30 are sealed by the sealing portion 40, leakage of the cosmetic product can be prevented.

다만 토출면(30)은 퍼프 등에 의해 눌리면서 하강하거나 함침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토출면(30)의 둘레와 고정부(50)의 내측 사이의 간극은 가변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ejection surface 30 and the inside of the fixing portion 50 can be varied since the ejection face 30 is pushed down by the puff or the like or rai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

이를 대비하기 위해 실링부(40)는, 토출면(30)이 눌리면 외측과 내측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늘어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실링부(40)는, 토출면(30)이 눌리면 외측이 고정부(50)에 고정되고 내측이 토출면(30)의 둘레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늘어나서, 토출면(30)이 평행하게 하강하여 토출면(30)이 함침재(20)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so as to extend while keeping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fixed state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essed. That is, the sealing portion 40 is stretched while the outer side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50 and the inner side is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essed,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arallel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30 pressurize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이후 토출면(30)에 가해진 가압이 해제되면, 함침재(20)의 복원력으로 인해 토출면(30)은 상승하게 되는데, 토출면(30)은 함침재(20)의 복원력에 더하여 실링부(40)의 수축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될 수 있다.The discharging surface 30 is lifte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20 because the discharging surface 30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20 40).

즉 실링부(40)는, 인장 및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및/또는 주름(42) 등을 이용하여 인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30)이 퍼프 등에 의해 눌리면 늘어났다가, 토출면(30)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수축되면서 토출면(30)을 끌어올릴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stretched and shrunk, and / o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stretched and shrunk by using a wrinkle 42 or the like. Therefore,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ushed by the puff or the like, the discharge surface 30 is contracted and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pulled up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charge surface 30 is released.

이 경우 토출면(30)은 평행하게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되며, 토출면(30)과 고정부(50) 사이에는 실링부(40)가 마련되므로 화장품은 토출구(31)를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charging face 30 is lowered or raised in parallel, and the sealing portion 40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ing face 30 and the fixing portion 50, so that the cosmetic product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discharging opening 31.

또한 함침재(2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최대로 상승하는 토출면(30)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함침재(20)와 이격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는 함침재(20)가 용기본체(10)에서 돌출되지 않는 부피를 갖기 때문이며, 이 경우 고정부(50)는 토출면(30)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내측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30 which rises to the maximum whil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may be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impregnation member 20 has a volum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container body 10. In this case, It may protrude to one side or not protrud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고정부(50)와 토출면(30) 사이를 실링부(40)로 실링하며, 실링부(40)가 인장 또는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토출면(30)의 승강에도 불구하고 토출면(30)과 고정부(50) 사이에서 누액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al portion 40 is seal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50 and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the sealing portion 4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stretched or stretchable, The leakage of liquid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the fixing portion 5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실링부(40)가 주머니(43)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른 실시예와 차이를 보일 수 있다.6 and 7,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other embodiments in that the sealing part 40 has the pouch 43.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는, 토출면(30)에서 연장되어 함침재(20)를 둘러싸는 주머니(4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주머니(43)는, 내부에 함침재(20)를 담으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개방된 일측이 토출면(30)의 하면 또는 토출면(30)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 bag 43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surrounding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t this time, the bag 43 is filled with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therein, and one side thereof is opened, and one open side of the bag 4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or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따라서 주머니(43)는, 토출면(30)과의 사이에서 함침재(20)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 이때 주머니(43)는, 토출면(30)의 가압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는 재질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bag 43 can isolat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surface 30. At this time, the pouch 43 may have a material or shape that is reduced in volume as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essed.

일례로 주머니(43)는, 토출면(30)이 함침재(2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는 주름(431)을 가질 수 있다. 주름(431)은 주머니(43)의 둘레에 마련되어, 주머니(43)가 자바라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uch 43 may have a corrugation 431 that is compressed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moves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 The pleats 431 may be provided around the pouch 43 so that the pouch 43 has a bellows structure.

이때 주름(431)은, 함침재(20)를 토출면(30)에 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주름(431)은 압축되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으며, 함침재(20)가 주머니(43) 내에 수용되면서 주름(431)이 늘어났다가, 함침재(20)가 토출면(30)에 의해 눌려서 화장품이 함침재(20)로부터 빠져나감에 따라 주름(431)이 점점 압축될 수 있고, 이 경우 함침재(20)의 상면은 항상 토출면(30)에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rugation 431 may be provided so as to bring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surface 30. For example, the corrugation 431 may have a restoring force to be compressed. When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received in the bag 43 and the corrugation 431 is stretched,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30 The corrugation 431 can be gradually compressed as the cosmetic material exits from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always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surface 30. [

본 실시예에서 주름(431)의 개수나 방향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주름(431)은 내측과 외측 방향으로 지그재그를 이루고 있지만,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지그재그를 이루는 경우도 가능함을 알려둔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and direction of the corrugations 43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drawing, the corrugations 431 are staggered inward and outward, but it is also known that the corrugations 431 may be stagger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8 and 9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링부(40)가 주머니(43)를 갖는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ling portion 40 having a bag 43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는, 함침재(20)를 둘러싸면서 개방된 일측이 토출면(30)의 하면 또는 둘레에 연결되는 주머니(4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링부(40)는 주머니(43) 외에도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부분을 동일/유사하게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 bag 43 which surround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nd is opened at one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r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 In addition, the sealing portion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same or similar portions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bag 43.

본 실시예에서 주머니(43)는, 토출면(30)의 가압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는 재질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주머니(43)는 풍선 등과 같이 이루어져서, 함침재(20)에서 화장품이 빠져나감에 따라 점차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g 43 may have a material or shape that is reduced in volume as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essed. The bag 43 may be formed as a balloon or the like, As you exit, the volume may gradually decrease.

이 경우 주머니(43)는 함침재(20)가 토출면(3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주머니(43)가 함침재(20)를 두르면서 토출면(30)의 하면에 부착될 경우 주머니(43)의 두께만큼 토출면(30)과 함침재(2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g 43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ing surface 30 of the impregnating member 20, or when the bag 43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ing surface 30 while covering the impregnating member 2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thickness of the bag 43. [

주머니(43)는, 함침재(20)를 둘러싸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토출면(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주머니(43)는 수축되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으며, 함침재(20)가 토출면(30)에 의해 눌려서 함침된 화장품을 배출함에 따라, 주머니(43)는 수축되면서 함침재(20)를 압축된 상태로 덮을 수 있다.The bag 43 can be fixed to the discharge surface 30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so as to sur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 The bag 43 can have a restoring force to be contracted and the bag 43 is contracted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compressed a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pushed by the discharge surface 30 to discharge the cosmetics impregnated therewith As shown in FIG.

이 경우 함침재(20)는 화장품이 빠져나가면서 주머니(43)의 축소에 의해 압축되어 함침재(20) 자체의 밀도가 점점 높아질 수 있지만, 함침재(20)는 토출면(30)에 가깝게 압축되며, 함침재(20)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함침재(20)에 함침된 화장품의 밀도는 이전보다 낮아지지 않게 되므로, 본 실시예는 불편함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화장품 토출량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compressed by the reduction of the bag 43 as the cosmetic material escapes and the density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tself may gradually increase. However,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close to the discharge surface 30 The density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ed into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reduced as the volum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reduced and the density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ed into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does not become lower than befor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fear of inconvenience, can do.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0 and 11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본체(10) 내부에 여유공간(17)이 형성될 수 있고, 실링부(40)가 고정부(50)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다.10 and 11,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earance space 17 can be form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50.

본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는 함침재(20)의 하단을 수용하는 함몰부(15)를 갖는다. 함몰부(15)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함침재(20)의 하단 형태에 대응되도록 원통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body 10 has a depression 15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The depressed portion 15 may b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shap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20. [

함침재(20)가 원통 형상일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지만, 함침재(20)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경우, 함몰부(15)가 함침재(20)에 대응되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갖게 되면 화장품이 함침된 함침재(20)를 함몰부(15)에 삽입할 때 함침재(20)의 하단 둘레가 압축되면서 화장품이 불필요하게 누액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15)는 함침재(20)의 하단 형태와 무관하게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impregnation member 20 has a trapezoidal shape, it is not a problem if the impregnation member 20 has a cylindrical shape. If the impregnation member 20 has a trapezoidal shape and the depression 15 has a trapezoid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mpregnation member 20, When the impregnated impregnation material 20 is inserted into the depressed portion 15, the bottom end of the impregnated material 20 is compressed, and the cosmetic may be unnecessarily leaked. Therefore, the depression 15 can have a cylindrical shape irrespective of the lower end shap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

그러나 본 실시예가 가이드부(16)를 마련함에 따라 함몰부(15)를 형성할 경우에는, 함침재(20)가 용기본체(10)에 수용된 후 가이드부(16)가 함침재(20)의 하단 둘레를 덮으면서 함몰부(15)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므로, 함몰부(15)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더라도 화장품의 누액이 방지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epression 15 is formed by providing the guide portion 16, since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 depression 15 is formed while covering the bottom edge, so that leakage of the cosmetic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depression 15 has a trapezoidal shape.

가이드부(16)는 함침재(20)의 하단 형태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링 형태 등일 수 있다. 함침재(20)를 용기본체(10) 내에 마련한 뒤 가이드부(16)를 용기본체(10) 내부에 설치하여 함침재(20)의 중심이 용기본체(10)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16)에서 함침재(20)에 인접한 일면은 함침재(20)에서 가이드부(16)에 인접하는 일면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1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hap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or may be a ring shape or the lik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n the guide portion 16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on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6 adjacent to the impregnation member 20 may correspond to on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adjacent to the guide portion 16.

즉 함침재(20)가 도면과 같이 원기둥이라면 가이드부(16)에서 함침재(20)에 인접한 일면은 수직면일 수 있고, 함침재(20)가 사다리꼴이라면 가이드부(16)에서 함침재(20)에 인접한 일면은 경사면일 수 있다.That is, i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a cylinder as shown in the drawing, on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6 adjacent to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be a vertical surface, and i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a trapezoid, ) May be an inclined surface.

물론 가이드부(16)는, 함침재(20)를 용기본체(10)에 수용한 후 및/또는 수용하기 전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 가이드부(16)에 의해 형성되는 함몰부(15)의 형태는 원통 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할 수 있다.Of course, the guide portion 16 may be provided before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 or before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latter case, the guide portion 16 may be provided with a depression 1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함몰부(15)를 통해 본 실시예는, 함침재(20)의 중심이 용기본체(10)의 중심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면(30)이 용기본체(10)에 마련될 때 토출면(30)의 중심에 함침재(20)의 중심이 정렬될 수 있다.Through the depressed portion 15, the present embodiment can cause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to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30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10.

용기본체(10)에서 함침재(20)의 둘레에는 여유공간(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의 내벽(14)과 함침재(2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데, 이 간극은 함침재(20)가 퍼프 등에 의해 눌릴 때, 함침재(20)가 과도하게 압축됨에 따라 누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learance space 17 may be formed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in the container body 10. That i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excessively compressed when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pushed by a puddle or the like Leakag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즉 함침재(20)가 눌리면 좌우로 퍼질 수 있는데, 용기본체(10)는 함침재(20)가 좌우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여유공간(17)을 형성함으로써, 함침재(20)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밀도가 과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0 is formed with the clearance space 17 in which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spread out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height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nsity from excessively increasing.

여유공간(17)은 앞선 실시예에서도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여유공간(17)의 폭은 하부 실링부(44)의 폭에 고정부(50)의 둘레부(51)의 폭을 더한 것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clearance space 17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in the peripheral portion 51 of the fixing portion 50 More than the width can be provided.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여유공간(17)을 충분히 둠으로써 함침재(20) 등이 퍼프 등에 의해 눌릴 때 옆으로 퍼지는 것을 넉넉하게 허용하여, 화장품이 함침재(20) 내에 함침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해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fficient space 17 is provided to allow the impregnating member 20 and the like to freely spread sideways when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pushed by a puddle or the like, so that the cosmetic can stably infiltrate the impregnated member 20 So that leakage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50)는, 용기본체(10)의 내벽(14)을 둘러싸는 둘레부(51)를 갖는다. 이때 둘레부(51)에는 실링부(4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므로, 둘레부(51)의 높이는 실링부(40)가 승강하는 높이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50 has a peripheral portion 51 surrounding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 At this time, sinc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1 can be provided to keep the sealing portion 40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1, the height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1 can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sealing portion 40 is raised and lowered.

둘레부(51)의 외측에는 용기본체(10)의 둘레를 수용하는 그루브(52)가 마련되며, 그루브(52)는 둘레부(51)와 외벽(53) 사이에 형성되는 함몰된 공간일 수 있다.A groove 52 for receiving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51. The groove 52 is a recessed space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51 and the outer wall 53 have.

그루브(52) 내에는 홈(521)이 마련될 수 있고, 홈(521)에는 용기본체(10)의 외벽(18)에 마련되는 돌기(181)가 삽입됨에 따라, 용기본체(10)의 둘레가 고정부(50)의 그루브(52)에 삽입된 상태로 용기본체(10)와 고정부(5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The groove 521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52 and the protrusion 181 provided on the outer wall 18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521,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fixing portion 50 can b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2 of the fixing portion 50.

물론 홈(521)과 돌기(181)의 위치는 서로 반대될 수 있으며, 홈(521)과 돌기(181) 외에도 돌기/돌기 결합이나 나사 결합, 억지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용기본체(10)에 고정부(50)를 결합할 수 있다.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grooves 521 and the protrusions 181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grooves 521 and the protrusions 181, various combinations of protrusions / protrusions, screwin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실링부(40)는, 토출면(30)의 둘레에 고정되고 토출면(30)이 눌리면 둘레부(5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토출면(30)이 함침재(20)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실링부(40)가 용기본체(10)의 내벽(1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했던 것과 달리, 실링부(40)가 고정부(50)의 둘레부(5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is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51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pressed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30 is in contact with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40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50, unlike the sealing portion 40 of the first embodiment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It is possible to ascend and descen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51.

이때 고정부(50)에는 돌기(54)가 마련되고, 실링부(40)에는 돌기(54)에 걸리는 홈(441)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돌기(54)와 홈(441)의 배치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40)가 하강하면 돌기(54)와 홈(441)이 서로 이격되고, 실링부(40)가 상승하면 돌기(54)와 홈(441)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50 is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54 and the sealin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the groove 441 engaged with the protrusion 54.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54 and the grooves 441 can be reversed. The protrusion 54 and the groove 4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sealing portion 40 descends and the protrusion 54 and the groove 441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sealing portion 40 rises.

돌기(54)와 홈(441)의 결합은 제1 실시예에서 실링부(40)의 단차(41)와 고정부(50)의 내측이 서로 맞물리는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돌기(54)와 홈(441)은, 앞선 실시예에서 단차(41)와 관련되는 구조로 대체될 수 있으며, 물론 반대로 앞선 실시예에서 단차(41)와 관련되는 구조가 본 실시예의 돌기(54)와 홈(441)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The engagement between the projection 54 and the groove 441 may be similar to the engagement of the step 41 of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inside of the fixing portion 50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s 54 and the grooves 441 can be replaced with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step 41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of course,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step 41 in the above- It can be replaced by the protrusion 54 and the groove 441 structure of the embodiment.

실링부(40)는, 상부 실링부(45)와 하부 실링부(44)를 가질 수 있으며, 홈(441)은 상부 실링부(45) 또는 하부 실링부(44)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부 실링부(45)의 외측보다 하부 실링부(44)의 외측이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경우, 홈(441)은 하부 실링부(44)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n upper sealing portion 45 and a lower sealing portion 44 and a groove 44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or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If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ealing part 44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ealing part 45, the groove 441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sealing part 44.

상부 실링부(45)와 하부 실링부(44)의 사이에는 토출면(30)의 둘레가 고정될 수 있고, 토출면(30)의 둘레는 상부 실링부(45)와 하부 실링부(44)의 결합에 의해 압착되어 실링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실링부(45)와 하부 실링부(44)의 결합은 구조적 결합 또는 화학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fixed between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and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and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formed by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and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And can be fixed to the sealing portion 40.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and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may be join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structural bonding or chemical bonding,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상부 실링부(45)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부 실링부(45)가 결합되는 하부 실링부(44)의 상면 역시 동일/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shape increas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to which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is coupled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상부 실링부(45)의 내측과 하부 실링부(44)의 내측은 일치할 수 있고, 또는 상부 실링부(45)의 내측이 하부 실링부(44)의 내측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inside of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and the inside of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or the inside of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urther inward than the inside of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have.

하부 실링부(44)에서 홈(441)의 내측은 외측보다 높이가 낮거나 같을 수 있고, 상부 실링부(45)의 외측은 하부 실링부(44)의 홈(441)의 내측과 나란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54)의 내측이 실링부(40)에 의해 덮이는 높이가, 돌기(54)의 외측이 실링부(40)에 의해 덮이는 높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441 in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may be lower or equal in height than the out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may be parallel to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441 of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have. The height at which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54 is covered by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outside of the projection 54 is covered by the sealing portion 40. [

따라서 돌기(54)가 도면과 같이 고정부(50)의 내측을 하향 절곡하여 형성될 경우, 고정부(50)의 내측과 상부 실링부(45)의 외측 사이에 높이 차이가 감쇄될 수 있어 편의성을 높이고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fixing portion 50 and the outside of the upper sealing portion 45 can be attenuated when the protrusion 54 is formed by bending down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portion 50 as shown in the figure, And improve aesthetics.

하부 실링부(44)의 내측은 토출면(30)의 하면에 위치하면서 함침재(20)의 둘레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하부 실링부(44)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간격에는 함침재(20)가 마련되지 않는 빈 공간에 형성되며, 이 공간은 여유공간(17)으로 함침재(20)의 압축 시 화장품 누액을 방지하도록 함침재(20)가 좌우로 퍼지게 하는 공간일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inner side of the lower sealing portion 44 can be provided around the impregnating member 20 while being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30. Therefore, The impregnating member 20 is formed in an empty space in which the impregnating member 20 is not provided and the impregnating member 20 is spre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revent leakage of the cosmetic product when the impregnating member 20 is compressed by the clearance space 17 And this is as described abov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2 and 13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고정부(50)가 생략될 수 있고, 실링부(40)가 용기본체(10)의 둘레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12 and 13, in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50 may be omitted, and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around the container body 10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는, 용기본체(10)의 내벽(14)을 둘러싸는 둘레부(46)와, 둘레부(46)의 외측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의 둘레를 수용하는 그루브(47)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47)는 둘레부(46)와 실링부(40)의 외벽(48) 사이에 함몰된 공간으로 용기본체(10)의 둘레를 수용한다.The sealing portion 4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46 surrounding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a sealing portion 40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46 to receive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Grooves 47 may be provided. The groove 47 receives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 in a space recess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46 and the outer wall 48 of the sealing portion 40.

따라서 실링부(40)는, 토출면(30)이 눌리면 용기본체(10)의 둘레를 그루브(47) 내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토출면(30)이 함침재(20)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descends while maintain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 in the groove 47 when the discharging surface 30 is pressed so that the discharging surface 30 pressurizes the impregnating member 20 .

이때 그루브(47)는, 실링부(4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본체(10)의 둘레에 걸리는 걸림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그루브(47)에는 돌기(471)가 마련되고 용기본체(10)의 외벽(18)에는 그루브(47)의 돌기(47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돌기(181)가 마련되며, 그루브(47)는 용기본체(10)의 돌기(181)에 의해 그루브(47)의 돌기(471)가 걸릴 때까지만 상승이 허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ove 47 may have a hooking structure that is hooked around the container body 10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40 from being separated upward. The protrusion 471 is provided on the groove 47 and the protrusion 181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18 of the container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protrusion 471 of the groove 47. The groove 47 Can be allowed to rise only until the protrusion 471 of the groove 47 is caught by the protrusion 181 of the container body 10.

실링부(40)는, 둘레부(46)에서 연장되어 함침재(20)를 둘러싸는 주머니(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43)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하며, 본 실시예는 주머니(43)의 개방되는 일측이 둘레부(46)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may further include a bag 43 that extends from the peripheral portion 46 and surrounds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The pouch 43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one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pouch 43 which is opened may be fixed to the peripheral portion 46.

이 경우 함침재(20)는 토출면(30)과 반대되는 하면이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함침재(20)의 하단 둘레에 화장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품의 잔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have a convex curved shape downwardly opposite to the discharge surface 30, which prevents the cosmetic material from remaining around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4 and 15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함침재(20)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14 and 15, the shap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can be changed in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함침재(20)는, 중앙보다 둘레의 높이가 낮은 상협하광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함침재(20)에서 토출면(30)에 의해 가압되는 표면은, 돔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may have a shape of a vertically lowered light having a lower height around the center.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30 may have a dome or trapezoidal shape Lt; / RTI >

이때 토출면(30)과 함침재(2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일례로 함침재(20)의 둘레와 토출면(30) 사이의 간격은, 함침재(20)의 중앙과 토출면(30)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the ejection surface 30 may be set to b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 May be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s (30).

함침재(20)의 표면이 돔 등의 형태를 가질 경우, 토출면(30)이 둘레가 실링부(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하강하면 토출면(30)은 함침재(20)의 표면 중 중앙 부분에 먼저 닿게 되고, 중앙 부분에 집중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When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has a dome shape or the like and the discharge surface 30 is lowered in a state where the periphery thereof is fixed by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pressure can be concentratedly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따라서 토출면(30)에는 중앙 부분에 화장품이 함침재(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는바, 토출면(30)의 둘레를 통해 실링부(40)의 상면에 화장품이 묻어 미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cosmetics can be discharged from the impregnation member 20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cosmetics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6 and 17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외곽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member 60. Fig.

본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함침재(20)의 둘레에 여유공간(1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여유공간(17)에는 외곽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다. 외곽부재(60)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함침재(20)의 둘레에 수용되며, 함침재(20)보다 낮은 함침성 또는 비함침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e 17 may be formed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uter space member 60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17. The outer member 60 is accommodated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may have a lower impregnation or non-impregnation property than the impregnation member 20.

외곽부재(60)는 함침재(20)와 동일/유사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일례로 함침성이 전혀 없는 실리콘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함침재(20)보다는 밀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함침재(20)가 토출면(30)에 의해 눌리면, 외곽부재(60)는 함침재(20)가 좌우로 퍼지는 것을 수용할 수 있다. 또는 외곽부재(60)는, 밀도가 함침재(20)의 밀도 이상이면서 좌우 방향의 탄성력이 함침재(20)보다 낮을 수 있다.The outer member 60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impregnating member 20 or a different material (for example, silicon having no impregnation property) and may have a lower density than the impregnating member 20. Therefore, when the impregnating member 20 is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30, the outer member 60 can receive the spreading of the impregnating member 20 from side to side. Or the outer frame member 60 may have a density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an elastic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lower than the impregnation member 20.

따라서 외곽부재(60)는 함침재(20)보다 밀도 및/또는 좌우 방향의 탄성력이 낮게 마련되되 함침성이 떨어지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함침재(20)가 눌리면서 좌우로 퍼지더라도 화장품이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outer member 60 is less denser and / or less elastic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impregnating member 20, impregnability is lowered or absent, so that even if the impregnating member 20 spreads to the left and right while being pressed, 10).

물론 외곽부재(60)는 화장품을 함침할 수 있지만, 외곽부재(60)에 함침되는 화장품은 잔류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외곽부재(60)에 의한 화장품 함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외곽부재(60)의 재질만으로는 화장품의 누액을 차단하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외곽부재(60)의 내면과 함침재(20)의 외면 사이에는 번짐방지부(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Of course, the outer member 60 can impregnate the cosmetic, but the cosmetic impregnated in the outer member 60 may remain, so that the present embodiment can minimize the cosmetic impregnation by the outer member 60. The blur prevention part 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smetics from being blocked by the material of the outer member 6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외곽부재(60)는, 함침재(20)가 상하로 압축될 때 외측으로 화장품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함침재(20)의 복원력을 보조하기 위해 상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outer frame member 60 can have upward and downward elastic forces to assist in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20 while preventing the cosmetic from leaking outward when the impregnated member 20 is vertically compressed.

함침재(20)가 NBR 등의 재질로 제작될 경우 함침재(20)의 복원력이 낮아 토출면(30)이 원 위치로 상승하는 것이 지연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상하 탄성력이 함침재(20)보다 높은 외곽부재(60)를 두어, 함침재(20)의 복원력을 보완할 수 있다.When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NBR or the like, the restoration for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is low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ise of the discharge surface 30 to the original position is delaye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e restoring for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by placing the outer member 60 higher than the outer member 20.

번짐방지부(70)는, 외곽부재(60)와 함침재(20) 사이에 마련되어, 함침재(20)가 토출면(30)에 의해 눌리면서 높이는 낮아지고 좌우로는 퍼지게 될 때 화장품이 함침재(20)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ur prevention portion 70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member 60 a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so that when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pressed down by the ejection surface 30 and the height is lowered and spreads to the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from the container body 10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번짐방지부(70)는 함침재(20) 및 외곽부재(60)보다 함침성이 떨어지거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폭이 얇은 빈 원통 형태 등일 수 있으며, 다만 번짐방지부(70)는 토출면(30)의 눌림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The blur prevention part 70 may be a hollow cylindrical shap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less impregnable or less impregnable than the impregnation material 20 and the outer member 60,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번짐방지부(70)는 외곽부재(60)의 내면 및/또는 함침재(20)의 외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수/방유 코팅 등과 같이 화장품과 동일/유사한 성질의 유동을 차단하는 코팅을 통해 화장품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The anti-fogging portion 70 may be formed by coat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60 and /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may be formed of a coating that blocks the flow of the same / The leakage of the cosmetic produc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서, 번짐방지부(70)를 함침재(20)의 외면에 코팅하여 함침재(20)가 토출면(30)에 의해 눌리더라도 화장품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누액되는 것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고 함침재(20)의 상하 탄성력이 충분히 보장된다면, 외곽부재(60)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mpregnation member 20 is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30 by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with the anti-smudge unit 70, the cosmetic is leak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outer member 60 can be omitted i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forces of the impregnation member 20 are sufficiently ensur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8 is a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탄성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80. Fig.

탄성부재(80)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함침재(20)의 둘레에 수용되며, 토출면(30)을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갖는다. 탄성부재(80)는 앞선 실시예의 외곽부재(60)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함침되는 재질은 아닐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80 is accommodated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has an elastic force to push up the discharge surface 30. [ The elastic member 80 can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s the outer member 60 of the previous embodiment, but may not be a material to be impregnated.

탄성부재(80)는, 함침재(20)의 둘레에 마련되고 단면이 곡선 형태를 이루어, 토출면(30)이 하강할 때 곡선의 휘어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토출면(30)의 하강을 허용할 수 있고, 이후 곡선의 휘어진 정도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토출면(30)을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토출면(30)에 부여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80 is provided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has a curved shape in section so that when the discharge surface 30 is lowered, the degree of curving of the curved surface is variable and the discharge surface 30 is allowed to descend And an elastic force for raising the discharge surface 30 can be imparted to the discharge surface 30 while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curv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또는 탄성부재(80)는 함침재(20)를 두르는 스프링일 수 있고, 탄성부재(80)의 재질은 금속이거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탄성부재(80)의 구조나 재질 등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만 탄성부재(80)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여유공간(17)에 마련되어, 함침재(20)의 복원력을 보강해줄 수 있다.Or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a spring for covering the impregnation member 20, and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provided in the clearance space 17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so as to prevent the impregnation member 20 You can reinforce your resilience.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19 and 20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토출면(30)이 금속 등의 경질로 이루어져서 평평한 판 형태를 가지며, 실링부(40)는 토출면(30)과 일체로 마련되고 토출면(3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19 and 20,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surface 30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and has a flat plate shape,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surface 30 and extends outwardly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30.

즉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는, 토출면(3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토출면(30)과 실링부(4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측면으로 말하면, 본 실시예 및 이하 실시예들의 경우 실링부(40)가 생략되고 토출면(30)의 둘레가 실링부(40)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4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ischarging surface 30, and the discharging surface 30 and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other respects, it is to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omitted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surface 30 may be interpreted to form the sealing portion 40. [

실링부(40)는, 토출면(3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휘어지거나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면과 같이 실링부(40)는 토출면(3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휘어졌다가 하방으로 휘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0 may have a shape bent or bent while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 For example,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curved upward and curved downward as it goes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as shown in the drawing.

이 경우 실링부(40)는, 용기본체(10)의 내벽(14) 또는 고정부(50)의 둘레부(5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실링부(40)의 곡선 단면은, 실링부(40)에서 고정부(50)의 둘레부(51) 등에 밀착되는 외측단이, 내벽(14) 또는 둘레부(51)와 예각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aling portion 40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peripheral portion 51 of the fixing portion 50, and the curved cross s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40,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4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51 of the fixing portion 50 may have an acute angle with the inner wall 14 or the peripheral portion 51.

또한 실링부(40)에서 상방으로 휘어졌다가 다시 하방으로 휘어지는 중간 지점인 상단은, 용기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부(50)의 내측에 걸리게 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40, which is an intermediate point bent upward and then bent downward, can be caught inside the fixing portion 50 protruding to one side opened in the container body 10.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21 and 22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실링부(40)가 토출면(30)의 둘레에 토출면(3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링부(40)의 형태가 앞선 실시예와 달라질 수 있다.21 and 22,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ortion 4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surface 30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the shape of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4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면(3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휘어지거나 절곡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40 may be bent or bent so as to form a stepped shape that goes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as shown in the figure.

즉 실링부(40)는 토출면(3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었다가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고정부(50)의 둘레부(51)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휘어져서 고정부(50)의 둘레부(51)에 밀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portion 40 extends obliquely down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is bent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extends downward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peripheral portion 51 of the fixing portion 50 And may be ben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51 of the fixing portion 50.

이때 실링부(40)가 계단 형태를 이루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단차(41)나 홈(441) 등과 동일/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ped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40 can realize the same / similar effect as the step 41 and the groove 441 described above.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단면도이다.23 and 24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실링부(40)에서 용기본체(10)의 내벽(14) 또는 고정부(50)의 둘레부(51)에 밀착되는 외측단에 연질부(49)가 마련될 수 있다.23 and 24, the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wall 14 of the container body 10 at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soft portion 49 may be provided at the outer end thereof,

실링부(40)가 토출면(30)과 일체로 마련되되 토출면(3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경우, 토출면(30)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링부(40) 역시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된다.When the sealing portion 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surface 30 and has a shape bent or bent while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30, the discharge surface 30 is a plat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he sealing portion 40 also has a thin thickness.

이때 실링부(40)가 고정부(50)의 둘레부(51) 등에 밀착되더라도, 실링부(40)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짐에 따라 실링부(40)와 둘레부(51)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바, 본 실시예는 탄성력을 갖는 스펀지나 고무,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질부(49)를 실링부(40)의 외측단에 마련하여, 실링부(4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화장품의 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Even if the sealing portion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51 of the fixing portion 50 or the like,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portion 40 and the peripheral portion 51 is lowered as the sealing portion 40 is made thinner The soft portion 49 made of a material such as sponge, rubber or resin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40 so that the sealing portion 40 is moved up and down The leakage of cosmetic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연질부(49)에서 둘레부(51)에 밀착되는 외면은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질부(49)는, 외면의 높이가 토출면(3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soft portion 49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51 may be curved inwardly convexly as described in the other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 the heigh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oft portion 49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jection surface 30.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 a known technology as another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1: 외용기 12: 뚜껑
13: 속뚜껑 14: 내벽
15: 함몰부 16: 가이드부
17: 여유공간 18: 외벽
181: 돌기 20: 함침재
30: 토출면 31: 토출구
40: 실링부 41: 단차
42: 주름 43: 주머니
431: 주름 44: 하부 실링부
441: 홈 45: 상부 실링부
46: 둘레부 47: 그루브
471: 돌기 48: 외벽
49: 연질부 50: 고정부
51: 둘레부 52: 그루브
521: 홈 53: 외벽
54: 돌기 60: 외곽부재
70: 번짐방지부 80: 탄성부재
1: Cosmetic container 10: Container body
11: outer container 12: lid
13: Inner lid 14: Inner wall
15: depression 16: guide part
17: Free space 18: Outer wall
181: projection 20: impregnation material
30: Discharge surface 31: Discharge port
40: sealing part 41:
42: pleat 43: pocket
431: Crease 44: Lower sealing part
441: groove 45: upper sealing part
46: circumference 47: groove
471: projection 48: outer wall
49: soft portion 50:
51: circumference 52: groove
521: groove 53: outer wall
54: projection 60: outer member
70: anti-fogging portion 80: elastic member

Claims (27)

화장품을 함침하는 함침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갖고 상기 함침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해 상기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함침재의 둘레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Impregnated materials impregnating cosmetics;
A discharging surfac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mpregnating member having at least one discharging opening to pressurize the impregnating member to cause the cosmetic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ing opening; And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surface to isolate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from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ainer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discharge surface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discharge surface is pressed,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presses the impregnated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내측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portion has an inner side protruded to an open side of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sealing portion has a stepped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fix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되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곡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has a curved shape inwardly reces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외측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내측이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외측과 상기 내측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uter side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is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surface, and when the discharge surface is pressed, the inner side is stretched while maintaining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fixed st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외측과 상기 내측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늘어나서 상기 토출면이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discharge surface is pressed, the discharge surface is lowered while maintaining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fixed state,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presses the infusion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는 주머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 pouch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surface to surround the impregnated materi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는 주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nd a wrinkle that is compressed when the discharge surface moves in a direction to press the impregnated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상기 토출면의 가압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는 재질 또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The apparatus of claim 8,
And the volume of the cosmetic container is reduc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su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The apparatus of claim 8,
And is fixed to the discharge surface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so as to sur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갖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둘레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ing portion has a peripheral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and is lowered while keeping the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when the discharging surface is pressed so that the discharging surface presses the impregnating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실링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실링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실링부가 하강하면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실링부가 상승하면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on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has a groove formed in the projection,
Wherein when the sealing portion descends,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sealing portion rises,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engage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함침재의 하단을 수용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And a depressed portion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ed member, and forming a clearance space around the impregnated memb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함침재의 하단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4,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ion member to form the depress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는 용기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을 둘러싸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를 수용하는 그루브를 갖고, 상기 토출면이 눌리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를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토출면이 상기 함침재를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실링부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에 걸리는 걸림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Wherein the sealing portion has a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a groov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to receive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accommod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discharging surface is pressed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pressurizes the impregnating member,
Wherein the groove has a hooking structure that is hook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upwar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둘레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는 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7.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6,
And a bag extending from the peripheral portion to surround the impregnated material.
제 2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수용되며 상기 함침재보다 낮은 함침성 또는 비함침성을 갖는 외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16,
Further comprising an outer shell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and has impregnation or non-impregnability lower than that of the impregnation memb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의 내면과 상기 함침재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는 번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bleeding preven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embe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번짐방지부는,
상기 외곽부재의 내면과 상기 함침재의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ed member is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며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상기 함침재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는 번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번짐방지부는, 상기 함침재의 외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ainer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forms a clearance space a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Further comprising a bleeding preven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an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Wherein the anti-bleeding portion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mpregnated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며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함침재의 둘레에 수용되며 상기 토출면을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ainer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forms a clearance space a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round the impregnated member and having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up the discharg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중앙보다 둘레의 높이가 낮은 상협하광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smetic container has a shape of a vertically lowered light having a lower peripheral height than the cente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상기 토출면에 의해 가압되는 표면이 돔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surface pressed by said discharge surface has a dome or trapezoidal shape.
제 3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면은, 평평한 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토출면과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토출면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휘어지거나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12,
The discharge surface has a flat plate shape,
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ing surface and has a shape bent or bent while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 또는 상기 고정부의 내벽에 밀착되는 연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And a soft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면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plate made of metal.
KR1020160144486A 2016-11-01 2016-11-01 Cosmetic vessel KR101986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86A KR101986296B1 (en) 2016-11-01 2016-11-01 Cosmetic vessel
KR1020180007771A KR102515462B1 (en) 2016-11-01 2018-01-22 Cosmetic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86A KR101986296B1 (en) 2016-11-01 2016-11-01 Cosmetic vesse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771A Division KR102515462B1 (en) 2016-11-01 2018-01-22 Cosmetic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781A true KR20180047781A (en) 2018-05-10
KR101986296B1 KR101986296B1 (en) 2019-09-30

Family

ID=6218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486A KR101986296B1 (en) 2016-11-01 2016-11-01 Cosmetic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29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1045A (en) * 2017-07-20 2020-01-23 コルマ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Kolmar Korea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material impregnation member
KR20210000576U (en) * 2019-09-02 2021-03-10 옥수정 Cosmetic container with air cushion
WO2021079649A1 (en) * 2019-10-22 2021-04-29 株式会社タイキ Cosmetic product, pad for liquid cosmetic preparations, and liquid cosmetic preparation impregnated body
CN112888342A (en) * 2018-10-15 2021-06-01 欧莱雅 Cosmetic device
KR20210131091A (en) * 2020-04-23 2021-11-02 정보슬 Cosmetic refill case that leaves no residue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52Y1 (en) * 2012-08-23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A Liquefied Compact Cosmetic Having Leaving Disfense of Residual Quantity of Cosmetic
KR200473573Y1 (en)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foundation container with screen net and wrinkle shaped storage
KR20140147706A (en)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 케이알 Cosmetinc container
KR20150017963A (en) * 2013-08-08 2015-02-23 라미화장품제조 주식회사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KR20150001424U (en) * 2013-10-02 2015-04-14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having discharging member with corrugation part
KR20150001786U (en) * 2013-10-31 2015-05-11 (주)아모레퍼시픽 A foundation container for preventing remains easily
KR20160000067U (en) * 2014-06-26 2016-01-07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ing plate made of metal
KR20160005242A (en) * 2014-07-04 2016-01-14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hort exhaust pump with suck back
KR20160011512A (en)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nc container
KR20160073358A (en) * 2016-06-01 2016-06-24 강성일 Cosmetic container having alower stopper and cosmetic charging method using thereof
KR20160002585U (en) * 2015-01-15 2016-07-26 코스맥스 주식회사 A air push bounce cosmetic container with sponge
KR20160112356A (en)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ntainer
KR20160003510U (en) * 2015-04-01 2016-10-12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having a brush enabling control angle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52Y1 (en) * 2012-08-23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A Liquefied Compact Cosmetic Having Leaving Disfense of Residual Quantity of Cosmetic
KR20140147706A (en)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 케이알 Cosmetinc container
KR20150017963A (en) * 2013-08-08 2015-02-23 라미화장품제조 주식회사 Metho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of air cushion cosmetic
KR200473573Y1 (en)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foundation container with screen net and wrinkle shaped storage
KR20150001424U (en) * 2013-10-02 2015-04-14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having discharging member with corrugation part
KR20150001786U (en) * 2013-10-31 2015-05-11 (주)아모레퍼시픽 A foundation container for preventing remains easily
KR20160000067U (en) * 2014-06-26 2016-01-07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ing plate made of metal
KR20160005242A (en) * 2014-07-04 2016-01-14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hort exhaust pump with suck back
KR20160011512A (en)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nc container
KR20160002585U (en) * 2015-01-15 2016-07-26 코스맥스 주식회사 A air push bounce cosmetic container with sponge
KR20160112356A (en)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ntainer
KR20160003510U (en) * 2015-04-01 2016-10-12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having a brush enabling control angle
KR20160073358A (en) * 2016-06-01 2016-06-24 강성일 Cosmetic container having alower stopper and cosmetic charging method using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1045A (en) * 2017-07-20 2020-01-23 コルマ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Kolmar Korea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material impregnation member
CN112888342A (en) * 2018-10-15 2021-06-01 欧莱雅 Cosmetic device
KR20210000576U (en) * 2019-09-02 2021-03-10 옥수정 Cosmetic container with air cushion
WO2021079649A1 (en) * 2019-10-22 2021-04-29 株式会社タイキ Cosmetic product, pad for liquid cosmetic preparations, and liquid cosmetic preparation impregnated body
KR20210131091A (en) * 2020-04-23 2021-11-02 정보슬 Cosmetic refill case that leaves no resid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296B1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7781A (en) Cosmetic vessel
KR101686354B1 (en) Cosmetic
EP3206526B1 (en) Device comprising a screen comprising a cellular material
US6883995B1 (en)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product
JP3907553B2 (en) Equipment for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such as cosmetic products
KR20150002427U (e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afety system for discharging of cosmetic contents
KR200484157Y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 discharging plate and mash net
KR101963142B1 (en) Cosmetic container
KR20150000015U (en) Tube typed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hut-off valve
KR101748933B1 (en) Cosmetic container
KR101914007B1 (en) Sealing label for cosmetic container
KR20180048457A (en) Cosmetic vessel
KR200477544Y1 (en) Cosmetic tube with end sealing structure by check valve
CN207721397U (en) Cosmetics containers
KR101903037B1 (en) Cosmetic vessel
KR20150003202U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a change puff
KR200490765Y1 (en) Cosmetic vessel
KR101842794B1 (en) Cosmetic vessel
KR101886142B1 (en) Cosmetic tube container having an applicator which is made from silicon with cushion
CN212165188U (en) Cosmetic container
KR102373857B1 (en) Cosmetic vessel
US20150230585A1 (en) Cosmetics capsule container
KR102123467B1 (en) Compact container for liquid type with rubber cover
KR20160130637A (en) Cosmetic container with spandex fabrics instead of urethan foam as impregnation material
KR20170081597A (en) Cosmetic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