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91A -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191A
KR20180047191A KR1020160143033A KR20160143033A KR20180047191A KR 20180047191 A KR20180047191 A KR 20180047191A KR 1020160143033 A KR1020160143033 A KR 1020160143033A KR 20160143033 A KR20160143033 A KR 20160143033A KR 20180047191 A KR20180047191 A KR 2018004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ain
digital data
acoustic feedback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824B1 (ko
Inventor
안홍섭
박영진
김선권
양기동
이상화
조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04R25/453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electro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피드백 제거기, 및 이득이 조절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리시버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ling Acoustic Feedback in Hearing Aids}
본 발명은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대역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향 피드백은 스피커와 같은 음향발생장치와 마이크와 같은 음향감지장치 간의 음향 간섭으로서, 불필요한 잡음 소리를 발생시키고 보청기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이득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음향 피드백은 보청기 착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므로 보청기의 설계 제작에 있어서 음향 피드백의 제거는 매우 중요하다.
음향 피드백이 검출되면 보청기 신호 처리를 중단하는 종래의 불연속 시스템은, 백색 잡음과 같은 탐침 신호를 이용하여 피드백 경로를 추정하고 추정된 피드백 경로를 이용하여 적응 필터의 계수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불연속 시스템은, 탐침 신호에 의해 신호 대 잡음비가 감소되므로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심각한 난청에만 사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불연속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 종래의 연속 시스템은, LMS(least mean square), AP(affine projection) 계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되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적응 필터의 계수를 조절하여 피드백 경로를 추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속 시스템은, 피드백 성분만을 추정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원 음성의 손상을 가져오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신호처리프로세서의 성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필터의 차수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높은 이득이 필요한 중, 고도 난청의 경우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속 시스템은, 파워가 가장 큰 주파수 성분을 중심으로 피드백 경로를 추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파워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한 추정 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다중 대역 보청기의 경우 대역별로 다른 이득이 피드백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경로 추정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231866호(2013년2월8일공고)의 보청기 시스템에서는, 현재와 과거의 주파수 밴드별 스펙트럼의 평균 크기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검출하되, 전체 스펙트럼에 대한 진폭 크기의 변화를 바탕으로 음향 피드백을 탐지하고 노치 필터 방식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음향 피드백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잘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 다소 효과적이지는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입력되는 음향의 전체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변화만을 반영하여 피드백을 검출하기 때문에 잘못된 검출을 할 수 있어 어음 인지(speech recognition)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적응 필터 방식에 비해 주파수 영역에서의 적응형 노치필터를 이용하므로 낮은 복잡도를 가지며, 현재와 과거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서도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잘 발생될 수 있는 피드백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재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다중 대역 보청기의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피드백 제거기; 및 이득이 조절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리시버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제거기는, 적응 필터의 사용없이 및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없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현재 입력된 신호에 대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한다.
상기 피드백 제거기는, 상기 다중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이하의 대역에 대한 데이터의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는 에너지 평균 계산부; 상기 다중 대역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 보다 큰 대역 중 최대 에너지 대역을 탐색하는 최대 에너지 대역 탐색부;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 계산부; 및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 중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적용한다.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에 대한 소정의 범위의 주변부 대역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더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는 보청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음향 피드백 제거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및 이득이 조절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리시버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적응 필터의 사용없이 및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없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현재 입력된 신호에 대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한다.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이하의 대역에 대한 데이터의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다중 대역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 보다 큰 대역 중 최대 에너지 대역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 중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적용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에 대한 소정의 범위의 주변부 대역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더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적응 필터 방식에 비해 주파수 영역에서의 적응형 노치필터 형태를 이용하므로, 낮은 복잡도를 가지며 안정적으로 음향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 적응 필터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거 하는 방식과 결합하여 사용하면, 기존 방식이 안정적으로 피드백 경로 추정을 할 수 없는 상황 또는 잘못된 추정이나 발산 시에 보청기 사용자를 보호 할 수 있는 두 번째 단계의 안전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현재와 과거 프레임의 주파수 밴드별 스펙트럼의 평균 크기를 이용하여 피드백을 검출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잘 발생될 수 있는 피드백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재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처리하므로, 메모리 사용량과 계산량에서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보청기에 인가된 음향 피드백의 임펄스 응답 파형의 예들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a와 도 3b 각각에 대한 진폭 응답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a와 도 3b의 음향 피드백을 보청기에 인가할 때, 본 발명의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의 적용 가부에 따른 리시버 출력음원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는, 분석부(210), 피드백 제거기(220) 및 합성부(230)를 포함한다.
분석부(210)는 마이크(211)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N은 2이상의 자연수)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분석부(210)는, 음향(voice)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211), 마이크(211)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Analog/Digital) 컨버터(212), A/D 컨버터(212) 출력을 순차 저장하고 출력하는 입력 버퍼(213), 입력 버퍼(213)의 출력에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는 윈도우 적용부(214), 윈도우 적용부(214)의 출력을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를 생성하는 FFT 처리부(215)를 포함한다.
피드백 제거기(220)는 분석부(210)에서 출력되는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해당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에 대한 이득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피드백 제거기(220)는, 상기 다중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예, f1) 이하의 대역(예, Band_m 이하 대역)에 대한 데이터의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는 에너지 평균 계산부(221), 상기 다중 대역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예, f1) 보다 큰 대역 중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을 탐색하는 최대 에너지 대역 탐색부(222),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의 에너지와 에너지 평균 계산부(221)로부터의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 계산부(223), 및 비율 계산부(223)가 계산한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소정의 주파수(예, f1) 보다 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k,..,Band_N) 중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과 필요시 소정의 범위의 그 주변부 대역(..Band_k-2, Band_k-1, Band_k, Band_k+1,..)의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조절부(2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피드백 제거기(220)는 적응 필터의 사용없이 및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없이, 마이크(211)를 통해 현재 입력된 신호에 대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를 실시간 처리한다.
합성부(230)는 이득 조절부(224)에 의해 이득이 조절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출력 장치인 리시버(235)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한다.
이를 위하여, 합성부(230)는, 이득 조절부(224)에 의해 이득이 조절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하여 시간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IFFT 처리부(231), IFFT 처리부(231)의 출력에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는 윈도우 적용부(232), 윈도우 적용부(232)의 출력을 순차 저장하고 출력하는 출력 버퍼(233), 출력 버퍼(233)의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Digital/Analog) 컨버터(234), 및 D/A 컨버터(234)의 출력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리시버(235)를 포함한다.
이하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도 2의 흐름도와 같이, 분석부(210)가 마이크(211)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A/D 컨버터(212), 입력 버퍼(213), 윈도우 적용부(214), FFT 처리부(215)에서의 순차 처리를 통하여, 각 주파수 밴드로 분할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를 생성한다(S110).
분석부(210)에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를 출력하면, 피드백 제거기(220)는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1,..,Band_N)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해당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소정의 주파수(예, f1) 보다 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k,..,Band_N)에 대한 이득을 조절한다(S120).
즉, 에너지 평균 계산부(221)는 다중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예, f1) 이하의 대역(예, Band_m 이하 대역)에 대한 데이터의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고, 최대 에너지 대역 탐색부(222)는 다중 대역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예, f1) 보다 큰 대역 중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을 탐색하며, 비율 계산부(223)는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의 에너지와 에너지 평균 계산부(221)로부터의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의 에너지와 에너지 평균 간의 이와 같은 비율을 통해 피드백 발생 여부와 해당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주파수 밴드의 이득을 조절하여 피드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득 조절부(224)는, 비율 계산부(223)가 계산한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Band_k,..,Band_N) 중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과 필요시 소정의 범위의 그 주변부 대역(..Band_k-2, Band_k-1, Band_k, Band_k+1,..)의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이득 조절부(224)는,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의 에너지와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예, B)을 기초로 감쇄 이득을 산출하되,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 (Band_k,..,Band_N) 중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과 필요시 소정의 범위의 그 주변부 대역(..Band_k-2, Band_k-1, Band_k, Band_k+1,..)의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한 이득을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의 주파수와의 차이에 따른 이득(예, 주파수 차이가 커질수록 감쇄가 작아지도록 정한 이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and_k의 에너지가 Band_1~Band_m의 평균 에너지보다 매우 크면 Band_k의 이득은 0.1, Band_k+1, Band_k-1,..등의 이득은 0.5, Band_k+2,Band_k-2,..등의 이득은 0.7로 하여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득값의 숫자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다음에, 위와 같이 최대 에너지 대역(예, Band_k)의 에너지와 에너지 평균 간의 이와 같은 비율을 기초로, 피드백 제거기(220)가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이득을 조절한 후, 합성부(230)는 이득 조절부(224)에 의해 이득이 조절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출력 장치인 리시버(235)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한다(S130). 즉, 합성부(230)는 이득이 조절된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IFFT 처리부(231), 윈도우 적용부(232), 출력 버퍼(233), D/A 컨버터(234)의 순차 처리를 통하여, 음향 신호를 리시버(235)로 출력한다.
도 3a와 도 3b는 보청기에 인가된 음향 피드백의 임펄스 응답 파형의 예들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a와 도 3b 각각에 대한 진폭 응답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a와 도 3b의 음향 피드백을 보청기에 인가할 때, 본 발명의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의 적용 가부에 따른 리시버 출력음원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실험에는 16kHz 모노 음원이 사용되었으며, 보청기의 전향경로이득(forward path gain) 20 dB, 평균 대역(mean band) 0~1250Hz, 최대 탐색 대역(Max search band) 1250~8000Hz을 가정하였다.
도 3a, 도 4a와 같은, 응답 파형을 갖는 음향 피드백(feedback path 1)을 도 5와 같이 4초에서8초 사이에 인가하고, 도 3b, 도 4b와 같은, 응답 파형을 갖는 음향 피드백을 도 5와 같이 12초에서 16초 사이에 인가할 때, 510, 520과 같이 본 발명의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를 이용하여 음향 피드백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다만, 511, 521과 같이, 본 발명의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음향 피드백이 제거되지 않아 리시버로 출력되는 신호가 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200)는, 종래의 적응 필터 방식에 비해 주파수 영역에서의 적응형 노치필터 형태를 이용하므로, 낮은 복잡도를 가지며 안정적으로 음향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 적응 필터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거 하는 방식과 결합하여 사용하면, 기존 방식이 안정적으로 피드백 경로 추정을 할 수 없는 상황 또는 잘못된 추정이나 발산 시에 보청기 사용자를 보호 할 수 있는 두 번째 단계의 안전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현재와 과거 프레임의 주파수 밴드별 스펙트럼의 평균 크기를 이용하여 피드백을 검출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잘 발생될 수 있는 피드백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재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처리하므로, 메모리 사용량과 계산량에서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부(210)
피드백 제거기(220)
합성부(230)
에너지 평균 계산부(221)
최대 에너지 대역 탐색부(222)
비율 계산부(223)
이득 조절부(224)

Claims (11)

  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피드백 제거기; 및
    이득이 조절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리시버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거기는, 적응 필터의 사용없이 및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없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현재 입력된 신호에 대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거기는,
    상기 다중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이하의 대역에 대한 데이터의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는 에너지 평균 계산부;
    상기 다중 대역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 보다 큰 대역 중 최대 에너지 대역을 탐색하는 최대 에너지 대역 탐색부;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 계산부; 및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 중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에 대한 소정의 범위의 주변부 대역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는 보청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7.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및
    이득이 조절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리시버로 출력할 음향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적응 필터의 사용없이 및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없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현재 입력된 신호에 대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이하의 대역에 대한 데이터의 에너지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다중 대역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 보다 큰 대역 중 최대 에너지 대역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에너지 평균 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에 따라 상기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값이 감쇄되도록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중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 중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에너지 대역에 대한 소정의 범위의 주변부 대역에 대하여 감쇄 이득을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KR1020160143033A 2016-10-31 2016-10-31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06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33A KR102063824B1 (ko) 2016-10-31 2016-10-31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33A KR102063824B1 (ko) 2016-10-31 2016-10-31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91A true KR20180047191A (ko) 2018-05-10
KR102063824B1 KR102063824B1 (ko) 2020-01-08

Family

ID=621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033A KR102063824B1 (ko) 2016-10-31 2016-10-31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276A (zh) * 2021-07-08 2021-11-05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声反馈抑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467A (ko) 2021-05-03 2022-11-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641A (ko) * 1999-04-30 2000-11-25 윤종용 다중대역 보청기를 위한 적응 피드백 제거장치 및 방법
KR20110005669A (ko) * 2010-12-21 2011-01-18 (주)알고코리아 디지털 보청기의 신호처리 방법
KR101231866B1 (ko) * 2012-09-11 2013-02-08 (주)알고코리아 귀환소음을 제거하기위한 보청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641A (ko) * 1999-04-30 2000-11-25 윤종용 다중대역 보청기를 위한 적응 피드백 제거장치 및 방법
KR20110005669A (ko) * 2010-12-21 2011-01-18 (주)알고코리아 디지털 보청기의 신호처리 방법
KR101231866B1 (ko) * 2012-09-11 2013-02-08 (주)알고코리아 귀환소음을 제거하기위한 보청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276A (zh) * 2021-07-08 2021-11-05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声反馈抑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824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5907B2 (en) Nois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device with multiple microphones
US10827263B2 (en) Adaptive beamforming
JP6243536B2 (ja) エコー打ち消し
RU2483439C2 (ru) Робастная система подавления шума с двумя микрофонами
CN109087663B (zh) 信号处理器
US870575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ignal component for reducing noise in an input signal
TWI466107B (zh) 多麥克風之穩固雜訊抑制
KR101610656B1 (ko) 널 프로세싱 노이즈 감산을 이용한 노이즈 억제 시스템 및 방법
EP2675073A1 (en) Adaptive equalizer, acoustic echo canceller device, and active noise control device
US10979100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with acoustic echo cancellation
JP4689269B2 (ja) 静的スペクトルパワー依存型音響強調システム
US20110150067A1 (en) Echo canceller for eliminating echo without being affected by noise
WO2009117084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velope-based acoustic echo cancellation
KR20100003530A (ko) 전자기기에서 음성 신호의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EP36055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peech signal adaptive to noise environment
WO2009042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from multiple microphones
CN111868826B (zh) 一种回声消除中的自适应滤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17939B1 (ko) 원거리 장 사운드 캡처링
KR102063824B1 (ko) 보청기를 위한 음향 피드백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9326297B (zh) 自适应后滤波
JP2005514668A (ja) スペクトル出力比依存のプロセッサを有する音声向上システム
WO2009107750A1 (ja)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JP2009302599A (ja)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US10692514B2 (en) Single channel noise reduction
JP2010011272A (ja)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