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599A -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 Google Patents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599A
KR20180046599A KR1020160141948A KR20160141948A KR20180046599A KR 20180046599 A KR20180046599 A KR 20180046599A KR 1020160141948 A KR1020160141948 A KR 1020160141948A KR 20160141948 A KR20160141948 A KR 20160141948A KR 20180046599 A KR20180046599 A KR 2018004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racter
user
location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포스트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트미디어 filed Critical (주)포스트미디어
Priority to KR102016014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599A/en
Publication of KR2018004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5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es: a beacon means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of a tourism site or a tourism facility and transmits push information including a preset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o an adjacent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which receives the push information, inser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into a posting inputted from a user while accessing a control server, and generates and uploads posting information; the control server which generates and stores thread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where the posting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is grouped for each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and constructs a thread DB; and a display terminal which is linked with the beacon means and receives and displays the thread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ontrol server whil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he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enables a user to conveniently upload opinions of various tourists of a specific tourism place or facility through a location-based push without performing a troublesome procedure, and form a thread grouped from the opinions on the basis of a location.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thread to a plurality of tourists through a display means, and thus the tourists can obtain more intuitive and efficient tourism information.

Description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0002]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

본 발명은 특정 관광지나 시설에 대한 다양한 여행자의 의견을 위치 기반 푸시를 매개로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업로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치 기반으로 그룹핑한 글타래를 형성하여 다수의 여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upload various traveler's opinions about a specific tourist or facility through a location-based push without going through troublesome procedures, and can form a grouping based on a location basis to provide it to a large number of travelers Based classroom service providing system.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급화되며 대부분의 성인이 스마트폰을 소지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인터넷 통신수단, GPS 수단, 카메라 뿐만 아니라, 별도의 웹서버로부터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각종 앱을 다운받아 스마트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운영체제(OS)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과 현대인의 생활수준 향상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관광정보, 맛집정보, 문화정보, 레저정보 등을 포함하는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use of smart phones has become popular, and most adults have smart phones and are making good use of them in various situations. 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OS) capable of downloading various app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rom a separate web server and executing it on a smart phone as well as an Internet communication means, a GPS means, and a camera.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of modern people, many service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including tourism information, restaurant information, cultural information, and leisure information by using smart phone are being released.

현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매개로 상기 여행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개인 블로그, 인터넷 까페 등에서 특정 지역을 지칭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검색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검색 결과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와는 다른 노이즈 정보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전체 검색 결과 데이터 중 특정 지역이나 특정 시설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핵심 정보를 수작업으로 선별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키워드를 변경하여 검색한 경우에는 이전 검색 키워드에 대한 자료에서 얻은 핵심 정보는 함께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order to obtain the travel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phone, a method of searching the Internet portal site, personal blog, Internet cafe, or the like based on a keyword designating a specific area is the most popular method. In this case, It is troublesome that the user has to manually select the key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specific region or the specific facility among the entire search result data because the user includes a lot of noise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desires to obtain, The key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ata on the previous search keyword can not be viewed together.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기술,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사이니지 및 키오스크 등의 무인정보안내시스템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 무인정보안내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서 문자나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주변 관광 정보, 광고 정보, 교통 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정보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정보안내시스템의 경우, 기 저장된 정보를 단순한 명령에 의해 출력하는 데 그쳐, 다양한 여행자에 의한 다각적 시각을 포함하는 관광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활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In recent years, unmanned information guidance systems such as digital signage and kiosks have become commonplace as display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volved. The unmanned information guidance system is generally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haracters and images on a screen in a public place and is provided at a specific place to provide surrounding tourism information, advertisement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unmanned information guidance system, it has been difficult to utilize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as a communication tool that can provide tourist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viewpoints by various travelers, .

따라서, 특정 관광지나 시설에 대한 다양한 여행자의 의견을 위치 기반 푸시를 매개로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업로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치 기반으로 그룹핑한 글타래를 형성하여 다수의 여행자에게 디스플레이 수단을 매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관광 정보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여행자가 특정 관광지나 시설에 대한 의견을 업로딩함에 있어서 웹 상에서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위치 기반 푸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upload various traveler's opinions on a specific tourist or facility through a location-based push without going through troublesome procedures, and to form a group by grouping them on a location basis to provide a plurality of travelers with a display means To make it possible to obtain more intuitive and efficient tourist information, and to allow visitors to easily use the location-based push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the troublesome process on the web in uploading opinions on a specific tourist or facil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and advanced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특허 문헌 0001) 한국 등록 특허 제 10-1229110호(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No. 10-1229110 (특허 문헌 0002)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4-0070702호(Patent Document 00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0702 (특허 문헌 0003) 한국 등록 특허 제 10-1654827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1654827

본 발명은 특정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에 대한 다수 사용자들의 게시글을 위치 기반으로 분류하여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해당 위치에 머무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posts of a plurality of users for a specific sightseeing spot or a tourist facility on the basis of location and generates the topic information by loc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terminal 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or the user terminal staying at the location The main purpos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게시글에 대한 관심도와 상기 게시글을 업로딩한 사용자인 게시자에 대한 호감도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 내 게시글 의 노출 우선순위를 차등 설정토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the exposure priorities of the posts in the by-position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terest in a specific post and the likelihood of the publisher who uploaded the po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시글을 작성한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기반으로 분석된 관상 정보를 바탕으로 기 저장된 복수의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를 선정하여 이를 상기 게시글과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a specific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characters based on the analyzed corpus information based on the face photograph of the user who created the post and to provide the selected character together with the post.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실시간으로 특정 사용자의 관상 정보를 분석하고, 본인의 관상 정보와 유사한 관상 정보를 갖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업로딩한 게시글 정보를 차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alyze the coronary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n real time and differentially receive the posted information upload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having coronary information similar to the coronary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비콘 수단과 사용자 단말, 관제 서버 및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 일 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설정된 위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 수단; 상기 푸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제 서버에 접속한 상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게시글에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게시글 정보를 생성하고 업로딩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게시글 정보를 상기 위치 식별 코드별로 그룹핑한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여 글타래 DB를 구축하는 관제 서버; 상기 비콘 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코드와 대응되는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tion based group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beacon unit, a user terminal, a control server, and a display terminal, A beacon means for transmitting push informat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o the adjacent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receiving the push information and accessing the control server and generating and uploading post information by inserting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into a post received from a user; A control server configured to generate and store a thread DB according to a position grouped by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the pos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upled to the beacon means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ontrol server in a state of being give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을 매개로 특정 게시글에 대한 관심도와 상기 게시글을 업로딩한 사용자인 게시자에 대한 호감도를 입력받아 이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 내 게시글의 노출 우선순위를 차등 설정하는 선도호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receives the degree of interest for a specific post and the likelihood for the publisher, which is a user who uploaded the post,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display terminal, And a leading call judgment module for setting a difference in ranking.

더불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키오스크 기기로서 상기 비콘 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phone of a user, and the display terminal may include the beacon means as a kiosk device.

추가적으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형성된 카메라 모듈을 매개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수집하는 안면 사진 수집부, 상기 안면 사진에서 안면의 각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각 구성요소의 형태, 크기, 위치, 간격 등을 분석하여 관상 정보를 생성하는 관상 분석부, 관상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안면 캐릭터를 기 수록한 캐릭터 DB에서 상기 관상 정보와 매칭도가 높은 상기 안면 캐릭터를 선정하는 캐릭터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딩된 상기 게시글 정보에 해당 사용자의 상기 안면 캐릭터를 포함시키는 캐릭터 부여부를 포함하는 캐릭터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may include a facial image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facial photographs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formed in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each facial component from the facial photograph, A tubular analyzer for generating tubular information by analyzing shape, size, position, interval, and the like, and selecting the facial character having a high degree of matching with the tubular information in a character DB in which a plurality of facial characters And a character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character determining unit and a character giving unit that includes the face character of the user in the posted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게시글 정보를 상기 안면 캐릭터별로 분류하여 안면 캐릭터별 게시글 정보를 생성하는 캐릭터별 분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haracter classifying module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pieces of the po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iece-by-position game information by the face characters to generate post information for each face character.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 수단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매개로 현재 인접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수집한 안면 사진을 분석하여 관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캐릭터 DB와 연동하여 상기 관상 정보와 대응되는 안면 캐릭터를 추출해 실시간 안면 캐릭터를 설정하는 실시간 캐릭터 설정부, 상기 실시간 안면 캐릭터와 대응되는 상기 안면 캐릭터별 게시글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맞춤형 게시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terminal may include a camera module, generate the tubula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facial photographs collected by photographing the present adjacent user via the beacon unit and the camera module, A real-time character setting unit for extracting a fac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nd setting a real-time facial character, and a customized post-providing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facial character-based po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l-time facial character.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동일한 단말이며, 상기 비콘 수단은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stly,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terminal are the same terminal as a user's smartphone, and the beacon means is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1) 특정 관광지나 시설에 대한 다양한 여행자의 의견을 위치 기반 푸시를 매개로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업로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치 기반으로 그룹핑한 글타래를 형성하여 다수의 여행자에게 디스플레이 수단을 매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관광 정보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고,1) It is possible to easily upload various traveler 's opinions about a specific tourist or facility through a location - based push without going through troublesome procedures and form a group by grouping them based on location, so that a plurality of travelers are provided with a display means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more intuitive and efficient tourist information in a variety of ways,

2) 여행자가 특정 관광지나 시설에 대한 의견을 업로딩함에 있어서 웹 상에서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위치 기반 푸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2) It is easy for travelers to upload their opinions on specific attractions or facilities using location-based push without tedious procedures on the web,

3) 사용자의 관상 정보가 추상적으로 반영된 안면 캐릭터를 게시글에 포함시키고 이를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관상 정보에 따라 일정 수준 사용자의 성격 등을 개략적으로 유추하고, 관광 및 여행 중 관심을 갖는 분야나 감상의 정도 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어 종래의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 등과는 차별되는 재미와 효과를 제공한다. 3) By incorporating facial characters that abstractly reflect the user's facial information into the posts and classifying them, it is possible to roughly deduce a certain level of user's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facial information,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predicting the field or the degree of appreciation in advance, thereby providing the fun and effec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비콘 수단과 사용자 단말, 관제 서버 및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여,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에 위치한 비콘 수단을 매개로 위치를 식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로부터 게시글을 입력받아 상기 관제 서버에서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며 해당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해당 위치에 머무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 기반 글타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개인 소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구동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상기 관제 서버는 다양한 정보를 수록하고 관리하는 웹서버일 수 있다. The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eacon means, a user terminal, a control server, and a display terminal, identifies a location via a beacon means located at a sightseeing spot or a tourist facility, And provides the location based based on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terminal 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or the user terminal staying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 phone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installing and running an application to a user's personal owned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may be a web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various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성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은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에서 사용자들의 유동이 많은 입구, 출구 등의 지점에 설치된 키오스크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에는 상기 비콘 수단(10)이 내장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각 구성 간 통신 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비콘 수단(10)과 상기 사용자 단말(20) 간 통신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과 상기 관제 서버(100) 간 통신은 3G, LTE, Wi-Fi 등의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the display terminal 30 includes kiosk devices and digital signage installed at points such as entrance, exit, etc., where users flow in a sightseeing spot or a tourist facility. Or the lik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acon means 10 is installed in the display terminal 30. Hereinafter, the beacon means 10 and the user terminal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luetooth 4.0 (BLE) protocol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and the user terminal 20 20, and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3G, LTE, or Wi-Fi may be applie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terminal 30 and the control server 100.

도 1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각 구성을 설명하면, 비콘 수단(10)은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 일 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기 설정된 위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비콘 수단(10)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에 내장되어 형성된 경우, 상기 위치 식별 코드는 디스플레이 단말(30)이 설치된 위치의 GPS 좌표를 지칭하는 코드일 수 있고, 그 외 다른 식별력을 갖는 임의의 코드인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푸시 정보는 상기 위치 식별 코드 외, 본 발명의 관제 서버(100)에 게시글을 업로딩하기 위해 접속해야 하는 웹페이지의 URL 주소나 링크가 포함된 아이콘, 팝업 등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beacon unit 10 transmits push informat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20 adjacent to one side of a sightseeing spot or a sightseeing facility When the beacon means 10 is built in the display terminal 30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code indicat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location where the display terminal 30 is installed , Or any other code having a different discriminating power. In addition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he push information may include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a URL address of a web page to be accessed for uploading a post to the control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on including a link, have.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비콘 수단(10)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푸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접속 정보를 매개로 상기 관제 서버(1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게시글을 입력받고, 상기 게시글에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작성 시간, 게시자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한 게시글 정보를 생성해 상기 관제 서버(100)에 업로딩한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푸시 정보를 메시지 송수신 수단, 즉 SMS 수단 또는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수단을 통해 전송받고, 기 설치된 인터넷 접속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100)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게시글 정보의 업로딩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user terminal 20 receives the push information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eacon means 10 and receives a post from the user while accessing the control server 100 via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post information including the creation tim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publisher, and uploads the pos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00. The above-mentioned series of processes is implemented through a separat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or is transmitted through the message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that is, the SMS means or the Internet message sending / receiving means, It is also possible to access the web page managed by the control server 100 via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upload the post information.

관제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받은 게시글 정보를 상기 위치 식별 코드별로 그룹핑한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분류 및 저장하여 글타래 DB(100A)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추가적으로는 상기 비콘 수단(10)이 설치된 위치를 기반으로 생성된 게시글 정보를 특정 기준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등 위치 기반 글타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The control server 100 basically generates topic information for each position grouped by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which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classifies and stores the classified topic information, and constructs and manages the thread DB 100A In addition, the beacon means 10 plays a pivotal role in managing data for a location bas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beacon means 10, .

디스플레이 단말(30)은, 상기 비콘 수단(10)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상기 관제 서버(100)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코드와 대응되는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특정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 일 측에 고정 설치된 기기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은 상기 비콘 수단(10)을 내장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isplay terminal 30 is connected to the beacon means 10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ontrol server 100 while receiving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A kiosk device, a digital signage, and a devic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a specific sightseeing spot or a sightseeing facility, and the display terminal 30 may be formed by incorporating the beacon means 10 It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관제 서버(100) 및 디스플레이 단말(30)은 상술한 일 실시예 외 다른 수단 및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할 것인바,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은 키오스크 기기 등의 별도의 장치를 활용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겸용으로 활용되도록 하여, 비용절감, 편의성 등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이 하나의 모바일 기기, 즉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적용되어, 이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100)와 연동하여 게시글 정보의 업로딩 및 게시글의 열람이 모두 가능토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상기 비콘 수단(10)은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2, the user terminal 20, the control server 100, and the display terminal 30 may be implemented by means and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display terminal 30 may be utilized as the user terminal 20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such as a kiosk device to increase the cost and convenience. That is,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isplay terminal 30 are applied to one mobile device, that is, a smart phone of a user, through which the uploading of the bulletin information and the browsing of the bulletin The beacon means 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도 3은 본 발명의 관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관제 서버(100)의 세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관제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글타래 DB 생성 모듈(110)을 포함하는바,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받은 게시글 정보를 상기 위치 식별 코드별로 그룹핑한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여 글타래 DB(100A)를 구축하는 것이다. 상기 글타래 DB 생성 모듈(110)과 연동되는 상기 글타래 DB(100A)는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상기 관제 서버(100)와 연동된 메모리 장치이거나, 인터넷 서버 상의 클라우드 저장장치인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3,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trol server 100 basically includes a thread DB generation module 110, which, as described above, And creates and stores the thread information for each position grouped by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and constructs the thread database 100A. The thread DB 100A interlocked with the thread DB generating module 110 may be a memory devic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server 100 as a data storage device or a cloud storage device on the Internet server.

상기 관제 서버(100)는 상기 글타래 DB(100A) 내 저장된 위치별 글타래 정보 내 게시글 정보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을 매개로 맞춤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호도 판단 모듈(120)과 캐릭터 제공 모듈(130) 및 캐릭터별 분류 모듈(1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100 divides the posted information in the stored topic information in the thread DB 100A into various criteria and provides the se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terminal 30 in a personalized manner. A module 120, a character providing module 130, and a character classification module 14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상술한 추가 구성을 차례로 설명하면, 상기 선호도 판단 모듈(120)은 상기 게시글 정보들을 선호도 순으로 구분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을 매개로 특정 게시글에 대한 관심도와 상기 게시글을 업로딩한 사용자인 게시자에 대한 호감도를 입력받아 이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 내 게시글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에 전송되어 노출됨에 있어서, 노출 우선순위를 차등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preference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classify the post information in order of preference, and basically, the user terminal 20 or the display terminal 3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the likelihood of the publisher who has uploaded the posted article is input to the display terminal 30 and the displa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terminal 30, And performs a differential setting function.

이 때 상기 관심도 및 호감도는 상기 게시글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등에 별도로 마련된 아이콘 등을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터치 등의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한 해당 게시글 정보의 열람 횟수, 해당 게시글 정보가 열람된 상태로 지속된 시간, 특정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열람된 횟수인 재열람 횟수 등에 의해 상기 관심도 및 호감도를 판단 및 산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degree of interest and the likelihood of the user can be input from a user through a touch panel or the like via an icon provided separately on a web page providing the bulleti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bulletin information is view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and calculate the degree of interest and the likelihood by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user has repeatedly browsed by the specific user, the number of times of re-reading, and the like.

상기 캐릭터 제공 모듈(130)은, 상기 게시글을 작성한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복수의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를 선정하여 이를 상기 게시글과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게시글을 작성한 사용자를 특징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캐릭터 제공 모듈(130)은 안면 사진 수집부(131), 관상 분석부(132), 캐릭터 판단부(133), 캐릭터 부여부(134)를 포함한다. The character providing module 130 can select a specific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characters based on a facial image of the user who created the post and provide the selected character together with the post. It is the standard to be able to classify. The character providing module 130 includes a face photograph collecting unit 131, a tubular analyzing unit 132, a character determining unit 133, and a character assigning unit 134.

상기 안면 사진 수집부(131)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된 영상인 안면 사진을 수집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인 모바일 단말, 즉 스마트폰 등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 등을 매개로 기 촬영된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전송받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촬영하여 전송받는 방식으로 안면 사진을 수집할 수 있다. The facial image collecting unit 131 collects facial photographs in which the face of the user is photographed. The facial photograph collecting unit 131 collects facial photographs of the face of the user through a camera module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The facial photographs can be collected by receiving facial photographs of the photographed user selected from the user or receiving facial photographs of the user in real time.

상기 관상 분석부(132)는, 상기 안면 사진에서 안면의 각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각 구성요소의 형태, 크기, 위치, 간격 등을 분석하여 관상 정보를 생성한다.The tubular analyzing unit 132 extracts each facial component from the facial photograph, and generates the tubula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hape, size, position, interval,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상기 캐릭터 판단부(133)는, 관상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안면 캐릭터를 기 수록한 캐릭터 DB(100B)와 연동하여, 상기 관상 정보와의 매칭도가 높은 상기 안면 캐릭터를 추출하여 선정한다. 이 때 상기 캐릭터 DB(100B)에 포함된 안면 캐릭터는, 사람의 얼굴 형상의 아바타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물을 의인화 또는 캐릭터화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상 정보는, 강아지상, 고양이상, 여우상, 뱀상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안면 캐릭터는 상기 관상 정보에 포함된 동물을 캐릭터화한 이미지 아이콘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haracter determination unit 133 extracts and selects the face character having a high degree of matching with the tubular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haracter DB 100B, in which a plurality of facial character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oronary are written. At this time, the face character included in the character DB 100B may be an avatar of a human face shape, but most preferably, the animal may be an anthropomorphic character or a characterized one. In this case, the tubular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dog image, a cattle image, a foxtail image, a snake image, etc., and the facial character may be formed of an image icon that characterizes an animal included in the tubular information.

상기 캐릭터 부여부(134)는, 상기 캐릭터 판단부(133)를 통해 추출된 상기 안면 캐릭터를 상기 게시글에 삽입함으로써, 특정 게시글 열람 시 게시글 내용과 함께 상기 안면 캐릭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haracter assigning unit 134 inserts the facial character extracted through the character determining unit 133 into the posting so that the facial character can be provided along with the posting content when a specific posting is viewed.

상기 캐릭터별 분류 모듈(140)은,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게시글 정보를 상기 안면 캐릭터별로 분류하여 안면 캐릭터별 게시글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단말(30)을 매개로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제공받음에 있어서, 상기 안면 캐릭터를 기준으로 게시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module 140 classifies a plurality of pieces of po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iece-by-piece information by the face characters to generate post information for each face character so that the display terminal 30, The user can selectively receive the bulletin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face character.

상기 캐릭터 제공 모듈(130) 및 캐릭터 분류 모듈이 추가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관상 정보가 추상적으로 반영된 안면 캐릭터를 상기 게시글 정보에 포함시키고 이를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흥미도를 더욱 증가시키고자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관상 정보에 따라 일정 수준 사용자의 성격 등을 유추할 수 있고, 관광 및 여행 중 관심을 갖는 분야나 감상의 정도 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어 종래의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 등과는 차별되는 재미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character providing module 130 and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module are additionally formed so that the facial character in which the user's conformational information is reflected in an abstract manner can be included in the posted information and can be classified and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basic objective of further increasing the degree. In addition, it is generally possible to deduce a certain level of user's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coronary information, and to use as a reference for predicting the field of interest or appreciation in sightseeing and travel, Can realize differentiating fun and effect.

이 때, 특정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관상 정보와 유사한 관상 정보를 갖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업로딩한 게시글 정보를 차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에는 실시간 캐릭터 설정부와 맞춤형 게시글 제공부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terminal 30 is provided with a real-time character setting unit and a customized character setting unit, in order to allow a specific user to differently receive posting information upload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having coronary information similar to their own. You can make sure that you include more posting parts.

상기 실시간 캐릭터 설정부의 설명에 앞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에는 카메라 모듈이 형성되어야 할 것인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30)이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인 경우에는 종래 스마트폰에 형성된 카메라로 대체될 수 있고, 키오스크 기기 등 고정형 기기인 경우에는 전면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real-time character setting unit, a camera module should be formed on the display terminal 30, and if the display terminal 30 is a smart phone of a user, , And in the case of a fixed type device such as a kiosk devic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camera module disposed toward the front part.

상기 실시간 캐릭터 설정부는, 키오스크 기기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단말(30)에 현재 인접한 사용자를 상기 비콘 수단(10)과 카메라 모듈을 매개로 촬영함으로써 수집한 안면 사진을 분석하여 관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캐릭터 DB(100B)와 연동하여 상기 관상 정보와 대응되는 안면 캐릭터를 추출해 실시간 안면 캐릭터를 설정하는 것으로,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위하여 상기 관제 서버(100)와 통신수단을 매개로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관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안면 캐릭터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관제 서버(100)의 관상 분석부(132) 및 상기 캐릭터 판단부(133)를 통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al-time character setting unit generates the tubula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facial photographs collected by photographing the user who is currently adjacent to the fixed display terminal 30 such as a kiosk device via the beacon unit 10 and the camera module, And a faci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information and extracting a faci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DB 100B to set a real time facial character. In order to improve data processing efficiency, the tubular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ace character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tubular analysis unit 132 and the character determination unit 133 of the control server 100. [

맞춤형 게시글 제공부는, 상기 실시간 안면 캐릭터와 대응되는 상기 안면 캐릭터별 게시글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과 인접한 사용자와 관상 정보가 유사한 타 사용자들이 기 업로딩한 상기 게시글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ustomized forum providing unit receives and displays the posted information of the faci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real time facial character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uploaded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s similar to the user who is similar in appearance information to the display means It is possible.

상기 실시간 캐릭터 설정부 및 맞춤형 게시글 제공부는 디스플레이 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매개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유사한 구성을 상기 관제 서버(100)에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단말(30)과의 통신을 통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real-time character setting unit and the customized post-providing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isplay terminal 30, and a similar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control server 100 to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terminal 3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비콘 수단
20: 사용자 단말
30: 디스플레이 단말
100: 관제 서버
100A: 글타래 DB
100B: 캐릭터 DB
110: 글타래 DB 생성 모듈
120: 선호도 판단 모듈
130: 캐릭터 제공 모듈
131: 안면 사진 수집부
132: 관상 분석부
133: 캐릭터 판단부
134: 캐릭터 부여부
140: 캐릭터별 분류 모듈
10: beacon means
20: User terminal
30: Display terminal
100: control server
100A: Thread DB
100B: Character DB
110: Thread DB creation module
120: Preference determination module
130: Character providing module
131: Facial image collecting unit
132: coronary analysis unit
133: Character determination section
134: Character Assignment
140: Character Classification Module

Claims (7)

비콘 수단과 사용자 단말, 관제 서버 및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광지 또는 관광 시설물 일 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설정된 위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 수단;
상기 푸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제 서버에 접속한 상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게시글에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게시글 정보를 생성하고 업로딩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게시글 정보를 상기 위치 식별 코드별로 그룹핑한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여 글타래 DB를 구축하는 관제 서버;
상기 비콘 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코드와 대응되는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location-based threa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beacon means, a user terminal, a control server, and a display terminal,
Beacon means for transmitting push informat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o the adjacent user terminal located at one side of a sightseeing or sightseeing facility;
A user terminal receiving the push information and accessing the control server and generating and uploading post information by inserting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into a post received from a user;
A control server configured to generate and store a thread DB according to a position grouped by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the pos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upled to the beacon means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ontrol server in a state of being give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Service deliver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을 매개로 특정 게시글에 대한 관심도와 상기 게시글을 업로딩한 사용자인 게시자에 대한 호감도를 입력받아 이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 내 게시글의 노출 우선순위를 차등 설정하는 선도호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server,
A user inputting a preference degree of a particular post and a preference degree of a publisher who has uploaded the posted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display terminal, And a determin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키오스크 기기로서 상기 비콘 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smartphone of a user,
Wherein the display terminal comprises the beacon means as a kiosk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형성된 카메라 모듈을 매개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수집하는 안면 사진 수집부,
상기 안면 사진에서 안면의 각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각 구성요소의 형태, 크기, 위치, 간격 등을 분석하여 관상 정보를 생성하는 관상 분석부,
관상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안면 캐릭터를 기 수록한 캐릭터 DB에서 상기 관상 정보와 매칭도가 높은 상기 안면 캐릭터를 선정하는 캐릭터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딩된 상기 게시글 정보에 해당 사용자의 상기 안면 캐릭터를 포함시키는 캐릭터 부여부를 포함하는 캐릭터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server,
A face photographing unit for collecting a face photograph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formed in the user terminal,
A coronary analysis unit for extracting each facial component from the facial photograph and generating the coron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hape, size, position and interval of each component,
A character determination unit for selecting the face character having a high degree of matching with the tubular information in a character DB based on a plurality of facial characters classified according to a coronary pattern;
And a character providing module that includes the character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posted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위치별 글타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게시글 정보를 상기 안면 캐릭터별로 분류하여 안면 캐릭터별 게시글 정보를 생성하는 캐릭터별 분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server,
And a character classifying module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pieces of po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osition-based thread information into the face-by-face characters to generate post information for each face charact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 수단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매개로 현재 인접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수집한 안면 사진을 분석하여 관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캐릭터 DB와 연동하여 상기 관상 정보와 대응되는 안면 캐릭터를 추출해 실시간 안면 캐릭터를 설정하는 실시간 캐릭터 설정부,
상기 실시간 안면 캐릭터와 대응되는 상기 안면 캐릭터별 게시글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맞춤형 게시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play terminal,
A camera module,
A faci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information is extracted by interfacing with the character DB, and a real-time facial character is set by analyzing a facial photograph collected by photographing a user currently adjacent to the beacon unit and the camera module, A real-time character set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customized forum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face-by-face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l-time face charac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동일한 단말이며,
상기 비콘 수단은,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글타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terminal,
The same terminal as the user's smartphone,
The beacon means comprises:
Wherein the application is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KR1020160141948A 2016-10-28 2016-10-28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KR201800465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48A KR20180046599A (en) 2016-10-28 2016-10-28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48A KR20180046599A (en) 2016-10-28 2016-10-28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99A true KR20180046599A (en) 2018-05-09

Family

ID=6220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948A KR20180046599A (en) 2016-10-28 2016-10-28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5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278B1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friends, and terminal thereof
KR101615892B1 (e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for processing big data for travel infomati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he same
JP2018504661A (en) Mobile self-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00002756A (en) Matrix blogging system and service support method thereof
CN106570799A (en) Intelligent travel method for intelligent audio and video guide based on two-dimensional code
WO2021169741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70030379A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travel curation service
Hsu et al. A mobile RFID-based tour system with instant microblogging
US20220148231A1 (en) Virtual prop alloc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es
JP2017207469A (en) Route logging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client device
CN107437393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self-help guide
CN110019645A (en) Index base construction method, searching method and device
CN103562957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40027011A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friends, and terminal thereof
KR20190047200A (en) Platform for providing smart sightseeing information based on bid data
US20160162593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029193B1 (en) Tourist imformation system
CN107729528A (en) A kind of building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 computer install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015643A (en) System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touring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WO20212250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erver
JP6066824B2 (en) Post information display system, server, terminal device, pos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70030380A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travel route using map
KR20180046599A (en) Location-based Thread Provider System
KR201401462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o-social service based on location, geo-social service system
KR102054513B1 (en) Method for providing treasure-hunting service interworking online and off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