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506A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506A
KR20180046506A KR1020160141704A KR20160141704A KR20180046506A KR 20180046506 A KR20180046506 A KR 20180046506A KR 1020160141704 A KR1020160141704 A KR 1020160141704A KR 20160141704 A KR20160141704 A KR 20160141704A KR 20180046506 A KR20180046506 A KR 2018004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lens
image
magn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506A/ko
Publication of KR2018004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와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Display module and Wearable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일 예로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ed device)가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는 사용자의 양안을 감싸도록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좌우 양안 앞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구현되는 영상으로는 3차원 영상을 통한 가상 공간이나 게임 프로그램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은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4)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전면을 커버하는 윈도우(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윈도우(2)는 사용자의 눈(E)과 디스플레이부(4)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투과시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에 따르면, 사용자 눈(E)의 수정체는 단일 초점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3차원 영상에 따른 거리감으로 인해, 사용자는 쉽게 눈의 피로감과 어지로움을 느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4)로부터 사용자 눈(E) 사이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체 영상 구현에 따라 사용자 눈의 수렴 및 초점 불일치가 발생된다. 특히, 사용자의 양안에 근접하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기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력 저하 및 피로감 발생은 심각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고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와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렌즈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환경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시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을 엑츄에이터를 통해 제어하므로, 구동에 대한 제품 품질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상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기기로서,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양안을 감싸도록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드 장치(head mounted device)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헤드 마운드 장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영상을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 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0) 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을 포함한 각종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착용부(12)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의 일부에 감기거나 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면에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착용부(12)는 신축성 있는 밴드(Band)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타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 착용 시, 사용자의 양안(E)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출력 영상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별도의 커버(80)에 의해 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5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사용자의 양안에 대응하도록 각각 좌, 우측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렌즈(20), 상기 디스플레이부(30) 및 상기 엑츄에이터(50)는 복수로 각각 구비된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단일 화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제 1 영상이 출력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상이 출력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20)는 상기 제 1 영역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영역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영상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복수의 영상 패널, 즉 제 1 영상이 출력되는 제 1 영상패널과, 제 2 영상이 출력되는 제 2 영상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는 상기 렌즈(20)는 상기 제 1 영상패널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영상패널 전방에 배치되는 제 2 렌즈를 포함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렌즈(20)의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는 것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영상 정보가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 이다.
이 중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3차원 화상을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0)에서 출력되는 화면 각각이 양안 시차 효과를 주어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렌즈(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사용자의 양안(E) 사이에 위치한다. 즉, 상기 렌즈(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렌즈(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전면을 커버한다. 상기 렌즈(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상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렌즈(2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형성하여, 사용자는 상기 렌즈(2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렌즈(20)는 투명의 유리로서, 사용자는 상기 렌즈(2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렌즈(20)는 광학 유리로 제작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20)를 통해 출력 화면의 초점 및 시야각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탄성부재(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후술할 엑츄에이터(5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 제공 및 지지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4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외측, 일 예로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외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엑츄에이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엑츄에이터(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7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면 중 상기 마그네트(90)와 마주하는 영역에 결합되는 코일(Coil)(60)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70)와 상기 코일(60)이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이동을 위한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코일(6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트(70)가 상기 코일(60)과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60)과 상기 마그네트(70)는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내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 상에서 별도의 커버에 수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이 상기 커버(80)의 내부에 구비 시에는, 상기 커버(80)의 내면에 상기 코일(60) 또는 마그네트(70)가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외측에 상기 마그네트(70) 또는 코일(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6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원할한 이동을 위해, 상기 마그네트(7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마그네트(70)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60) 및 상기 마그네트(7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7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상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이 상기 마그네트(70)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마그네트(70) 와 상기 코일(61, 62)은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일(6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60)에서 전기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70)에는 상기 전기장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위한 자기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상기 렌즈(20)의 광축방향, 즉 전, 후방으로 상대이동 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렌즈(20)에 대해서 상대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렌즈(20)까지의 직선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코일(60)과 상기 마그넷(70)은,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량이 조절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이동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별도의 캐리어(55)가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캐리어(5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외측에서 상기 마그네트(70) 또는 상기 코일(6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상기 캐리어(55)가 결합 시, 상기 코일(60)과 상기 마그네트(70)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상기 캐리어(55) 자체가 전,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50)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위치,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렌즈(20) 간 직선 거리를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상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 상기 렌즈(20) 간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이동 방향은 상기 렌즈(20) 및 디스플레이부(30)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은 디스플레이부와 렌즈 간 거리가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수정체는 항상 단일 초점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인간의 뇌는 시각 정보를 눈의 조절거리와 일치하게 수렴하므로, 인공적인 영상에 의해 조절된 자극은 뇌의 수렴과 불일치하여 시각 피로가 발생하고 새로운 형태의 자극에 어지럼증이 일어난다.
즉 출력되는 영상이 3D 입체 영상일 때, 영상 원근감에 관계 없이 렌즈와 디스플레이부 간 거리는 일정하므로, 인간의 수정체는 항상 일정 두께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뇌에서 받아들이는 수렴과 초점이 불일치되어, 사용자는 눈에 피로감과 어지러움을 느낀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101)에 따르면 영상 원근감을 고려하여 상기 렌즈(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 간 거리가 조절되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 형성 영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위치가 변화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1)의 구동을 설명하면, 가까이 있는 대상(F)에 초점을 두어 영상이 출력될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상기 렌즈(20)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근거리를 인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멀리 있는 대상(B)에 초점을 두어 영상이 출력될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상기 렌즈(20)와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원거리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영상의 원근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렌즈(20)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정체 두께를 조절하고 수렴과 초점을 일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렌즈(2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고,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이 멀어질수록 상기 렌즈(20)에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환경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시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움직임을 엑츄에이터를 통해 제어하므로, 구동에 대한 제품 품질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와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렌즈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웨어러블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렌즈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영상이 출력되는 제1영역과 제2영상이 출력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제1영역 전방에 배치되는 제1렌즈와 상기 제2영역 전방에 배치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영상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영상이 출력되는 제 1 영상패널과 제 2 영상이 출력되는 제 2 영상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1영상패널 전방에 배치되는 제1렌즈와 상기 제2영상패널 전방에 배치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코일;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지지되도록,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영상에서 포커싱되는 객체의 거리정보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는 웨어러블 기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제1 거리의 제1객체에 포커싱된 제1영상과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의 제2객체에 포커싱된 제2영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는
    상기 제2영상이 출력될 때 보다 상기 제1영상이 출력될 때 상기 렌즈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웨어러블 기기.
  17.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렌즈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모듈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캐리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캐리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코일과 마주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160141704A 2016-10-28 2016-10-28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KR20180046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04A KR20180046506A (ko) 2016-10-28 2016-10-28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04A KR20180046506A (ko) 2016-10-28 2016-10-28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06A true KR20180046506A (ko) 2018-05-09

Family

ID=6220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704A KR20180046506A (ko) 2016-10-28 2016-10-28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29A1 (ko) * 2022-07-04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29A1 (ko) * 2022-07-04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3678B2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ベースの没入型ヘッドセット
US9658460B2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US20120162764A1 (en) Head-mounted display
US9874755B2 (en) Adjustable dual-screen head-mounted displays
US10514542B2 (en) Head-mounted display
US9268138B2 (en) Head-mounted display
US81745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11741B1 (ko)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08693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20130063817A1 (en) Stereo vision viewing systems
US11036052B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s with audio delivery conduits
GB2516242A (en) Head mounted display
WO2017015969A1 (zh) 头戴式电子装置
CN107003518B (zh) 头戴电子装置
JP2023512879A (ja) スキャンビームシステム用の空間・時間変動偏光補正光学系
US20190331917A1 (en) Personal 3d and 2d viewing device
KR20180046506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웨어러블 기기
EP3514603A1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thereof
CN105589198A (zh) 一种头戴式显示器
JPH05183942A (ja) 3次元ディスプレイ
JPH05183943A (ja) 3次元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