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492A -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492A
KR20180046492A KR1020160141671A KR20160141671A KR20180046492A KR 20180046492 A KR20180046492 A KR 20180046492A KR 1020160141671 A KR1020160141671 A KR 1020160141671A KR 20160141671 A KR20160141671 A KR 20160141671A KR 20180046492 A KR20180046492 A KR 20180046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authentication
key
unit
encry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562B1 (ko
Inventor
신상호
이동엽
곽승호
김맹남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6014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5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은 가상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하거나 생성된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는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패키지에 포함된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압축 패키지의 헤더에 타원곡선 암호화키를 삽입한 다음 암호화하고,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가 삽입된 압축 패키지의 노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켓 플레이스; 및 상기 마켓 플레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고,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 및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에 대응되는 복호화키를 생성, 관리 및 저장하는 키 관리 보안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Security system for selling and using e-training contents}
본 발명은 이트레이닝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트레이닝 컨텐츠의 거래와 사용의 안정적인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호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이트레이닝(e-training) 시스템은 훈련 모형(예를 들면, 자동차 면허 실시 코스 훈련, 포크레인 조작 훈련, 천장 크레인 조작 훈련, 자동차 엔진 부품 조립 훈련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 정보기술과 지식공학의 놀라운 발전으로, 파일에 대한 패키징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복잡한 양상을 띠며 발전해 가고 있다. 웹의 증가로 정보의 공유와 배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의 안전한 배포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데이터의 안전한 배포는 허가된 사용자가 정당한 거래에 의해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플랫폼의 사용 증가로 웹, PC, 모바일, 태블릿 등 배포 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여러 플랫폼 환경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는 각 기기의 장점을 살려 언제, 어디서든 개발, 서비스, 거래, 학습, 교육 등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인터랙션의 경험 가치 증대를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트레이닝 중요성이 점차 대두 되면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산업 훈련을 보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실험, 실습 및 장비 교육에서 체험형, 실습 위주의 교육 훈련을 실시하여 학습자에게 실제적/능동적 학습을 촉진하고 학습적 효과를 향상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이트레이닝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되고 있다.
특히, 고가의 외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이트레이닝 시스템을 개발하여 구매 및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높아 이트레이닝 제품의 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으나, 이 부분이 이트레이닝 시장 확대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개발된 컨텐츠가 각각의 특성에 맞게 각기 다른 저작도구로 개발되어 있어서 핵심 기능 컴포넌트의 재사용 및 재구성이 어려워 개발기간과 개발 비용이 아주 높으며, 개발 기업 및 개발자간의 컴포넌트 공유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러한 대안으로 이트레이닝 통합플랫폼 활용도 향상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컴포넌트 및 컨텐츠 거래 마켓 플레이스를 개발 구축하고, 개발자, 판매자 및 구매자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자료, 보안 및 결제, 검색엔진, 기술 동향 등의 기능이 포함된 통합 포털 서비스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다중사용자 시스템의 경우 공유된 정보의 선택적인 접근과 정당한 거래에 의한 배포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공유된 정보의 접근 제어 방법이 꼭 필요하다. 접근 제어 기술을 위해 이용되는 접근 제어 정책은 XML 문서를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를 표현한다. XML 접근 제어 방법은 권한 부여된 사용자에게 XML 데이터의 제한된 부분을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하다.
이트레이닝 컨텐츠 개발에 있어서 여러 개발 플랫폼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특정 개발 플랫폼에 의존적이며, 상호 호환이 되지 않아 재사용성 및 비용이 증가한다. 공통 플랫폼 활용과 보안이 적용된 애셋(Asset) 패키지 방법과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 방법으로 인해 시장 활성화 및 이트레이닝 산업 분야 발전에 기여 할 방안이 요구 된다.
본 발명은 이트레이닝 컨텐츠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켓 플레이스를 중심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배포 및 판매와, 사용이 탁월한 보안 환경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공통 개발 플랫폼 환경과 마켓 플레이스, 구매자, 판매자(저작권자) 사이의 애셋 패키지의 보안성을 강화하여, 저작권 보호에 만전을 기하면서 이트레이닝 시장의 활성화와 대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은 가상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하거나 생성된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는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패키지에 포함된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압축 패키지의 헤더에 타원곡선 암호화키를 삽입한 다음 암호화하고,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가 삽입된 압축 패키지의 노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켓 플레이스; 및 상기 마켓 플레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고,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 및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에 대응되는 복호화키를 생성, 관리 및 저장하는 키 관리 보안 수단;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암호화 시스템에 의해서, 저작권자의 생산한 컨텐츠가 저작권의 보호 내에서 안정적으로 거래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결국 이트레이닝 컨텐츠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켓 플레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관리부와 키 관리 보안 수단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컨텐츠의 암호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실행 프로그램 리소스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저작권자가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을 이용해서 저작권자의 서명과 XML 파싱 모듈을 통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화면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성 후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한 보안 패키지 및 판매/사용을 하기 위하여 판매의 대상이 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하는 저작권자(30)와, 상기 저작권자(30)가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 패키지 및 저작권자에 대한 인증 후 해당 컨텐츠의 안정적인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켓 플레이스(10)와,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를 통하여 컨텐츠를 구입 및 사용하고자 하는 구매자(40)와,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서의 컨텐츠 자체에 대한 보안과 컨텐츠 판매 및 사용을 위한 보안을 위한 인증키 등을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키 관리 모듈이 구성된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포함한다.
또한, 저작권자가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생성된 바이너리 파일들에 대한 XML 암호화 및 압축 패키징을 수행한 다음 압축된 패키지를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로 전달하는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을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40)도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압축 패키지를 정당히 구매한 경우에 그에 대한 사용이 원활할 수 있도록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구매자(40)의 구매 및 사용 활동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서는 완성된 형태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함수 형태, 라이브러리 형태, 핵심 엔진 등을 모두 가리키는 애셋(Asset)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매커니즘을 통한 키 관리를 수행하고, 이러한 키는 공개키와 개인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전체 파일들을 애셋 패키지화하여 데이터 형태로 구성시키고, 데이터 보호를 위해 무한대수 암호알고리즘인 타원 곡선 암호로 암호 패키징하고, 전자 서명을 통해 컨텐츠의 소유에 대한 허가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저작권자(30)는 통합 개발 환경 툴인 이트레이닝 저작도구를 통하여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나타내는 애셋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 이트레이닝 저작도구는 상기 마켓 플레이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트레이닝 저작도구는 스마트 TV 플랫폼, 안드로이드 플랫폼, iOS 플랫폼, PC(windows, Mac) 플랫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30)는 이트레이닝 저작도구 툴 내에서 배포 및 실행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직전에 XML 파싱을 통한 암호화 인코딩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저작권자(30)는 전자서명을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애셋의 헤더 패킷에 해당 저작권자의 소유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둔다.
상기 구매자(40)는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 접속하여 구매가능한 애셋을 구매 및 사용하고자 하는 자로서,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서 애셋을 구매하고자 할 때에는 구매자 인증이 수행되고, 마켓 플레이스(10)에서 발급받은 암호화 키(개인 키)와 XML 파싱 복호화를 통해 해당 애셋을 편집 및 가공할 수 있는 리소스 및 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구매자(40)는 구매한 애셋을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때에는, 구매자가 판매자인 저작권자가 되는 상황도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은 인증기관 또는 신뢰기관이라 할 수 있으며, 공인인증서와 같은 전자서명을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통하여 구매자와 저작권자가 유효한 인증서를 발급받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켓 플레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켓 플레이스(10)는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 암호화된 패키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더 암호화를 수행하는 암호화부(110)와, 상기 암호화부(110)에 의하여 암호화된 패키지에 대해서 복호화를 수행하는 복호화부(120)와,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거나 저작권자 및 구매자의 인증을 위하여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통하여 인증을 인증 관리부(130)와, 상기 저작권자측 또는 구매자측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키지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저작권자측 PC나 서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이 구성되어, 저작권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암호화 관련한 보안 설정과 함께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로 암호화된 패키지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저작권자(30)측의 PC나 서버에 구성되거나, 구매자(40)의 PC나 서버측에도 구성될 수 있으며, 간략히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을 하나만 도시하여 둔 것이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와 통신 연결된 키 관리 보안 수단(21)은 상기 인증 관리부(130)에서의 패키지 암호화 인증, 패키지 복호화 인증, 저작권자 인증 및 구매자 인증 등의 보안에 필요한 인증 키의 생성, 분배, 부여, 및 폐기 등의 전체적인 인증키를 관리하는 장치 또는 서버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저작권자이든 이트레이닝 컨텐츠인 패키지를 사용하는 모든 허가 받은 사용자를 가리키거나,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저작권자가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하는 것을 도와주고, 구매자는 구매한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안과 관련되는 기능과 컨텐츠/패키지의 배포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해 집중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은 저작권자가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을 이용해서 저작권자의 서명과 XML 파싱 모듈을 통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화면 사진이다. 본 실시예의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은 저작권자 뿐만 아니라 컨텐츠 사용을 희망하는 구매자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 생성과 함께 보안상의 인증 및 압축의 과정이 거친 다음 마켓 플레이스(10)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에 등록되는 패키지 형태의 애셋은 하나의 압축 형태인 패키지 파일로 결과물로 생성된다.
저작권자(30)가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을 이용해서 생성한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컴파일할 경우에 보여지는 실행 버전의 파일은 도 6에 예시되며,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실행 프로그램 리소스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작성하는 파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핵심 엔진 라이브러리, API 모음, 그림이나 텍스트 등의 리소스 파일들, 바이너리 코드 파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해 내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관련된 보안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저작권자의 전자 서명을 인증하기 위한 전자서명 인증 모듈(11)과, 생산된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XML 암호화하기 위한 XML 암호 모듈(15)과, 상기 XML 암호화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기 위한 XML 복호 모듈(12)과, 프로젝트 로딩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로딩 모듈(13)과, 패키지 내에 포함된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패키지 파일 추출 모듈(14)과, 암호화된 패키지를 압축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지 생성 모듈(16)을 포함한다.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배포 가능한 파일을 생산해 내기 위하여, 상기 XML 암호 모듈(15)에 의하여 이트레이닝 컨텐츠(파일)의 XML 암호화가 수행되고, XML 암호화된 컨텐츠는 상기 패키지 생성 모듈(16)에 의하여 압축 패키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서명 인증 모듈(11)은 압축 패키지에 대해서 저작권자의 저작권을 증명/인증하기 위하여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을 요청하여, 압축 패키지에 대한 저작권자의 인증 또는 증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서명 인증 모듈(11)에 의해서는, 압축 패키지와 함께 상기 압축 패키지에 대한 인증 완료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키지 생성 모듈(16)은 압축 패키지와, 저작권자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다시 압축을 수행하고, 단일의 압축 패키지(예를 들면, tcfs 파일)를 생성한다.
TCFS(Totalsoftbank Crypto File System)는 XML 암호화 파일(컨텐츠)에 대한 압축 패키지 형성 후 저작권자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재압축된 패키지의 확장자명의 일 례이다.
특히,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의 XML 암호 모듈(15)에 의하여 이트레이닝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가 수행된 다음, 단일의 통합 패키지로 형성하기 전에는,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때,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마켓 플레이트(10)의 인증 관리부(130)를 통한 서명 인증이 수행된다.
즉, XML 암호화가 이루어진 이트레이닝 컨텐츠는 1차 압축 패키징되고,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압축 패키지에 수록하기 위하여,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인증 관리부(130)로 입력된 해당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에 대해서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인증 관리부(130)는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으로부터 요청받은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에 저장 또는 관리되고 있는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인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으로 전달한다.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로부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하다고 하는 경우에,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패키지에 추가 기록한 다음 다시 압축 패키징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패키지 파일(예를 들면, tcfs 파일)은 마켓 플레이스(10)로 전송/업로드되고,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등록 웹페이지에서는 해당 압축 패키지(실제로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셋)에 대한 설명/내용과, 이미지 등의 정보와 함께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암호화부(110)는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패키지에 대하여 타원곡선 암호를 이용한 추가 암호화를 수행한다.
즉,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암호화부(110)는 타원곡선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며, 압축 패키지의 헤더 부분에 그 정보를 삽입시키고,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 관리부(130)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으로부터 고유 암호키를 부여받아 마켓 플레이스에서의 적격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압축 패키지의 헤더 부분에 삽입되는 타원곡선 암호로 구성된 공개키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암호 시스템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작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응용프로그램 단계에서 타원곡선 암호를 사용하여 파일구조를 변경하게 되는데, 컨텐츠 데이터를 패키지화할 때에 데이터의 일부(헤더)를 변경하여 패키지한다. 이것은 패키지 단계에서부터 보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저작권자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데이터들이 패키지화된 다음 구매자를 위하여 언패키지를 할 때에도 인증키 내지는 암호키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타원곡선 암호의 암호화 크기는 160비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짧은 암호화 길이에도 불구하고 패키징 및 언패키징 단계에서 각각 보다 높은 보안성을 유지해나갈 수 있다. 즉, 비용 절감 및 효율성의 측면에서 빠른 처리를 통한 자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마켓 플레이스(10)와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의 동작이나 각 구성요소의 역할을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여 본다.
이트레이닝 교육과 관련되는 컨텐츠(파일)를 저작권자가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을 사용하여 생산한 경우, 해당 생산된 컨텐츠의 바이너리 파일들에 대한 XML 암호화가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 자체 수행된다(S101).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는 XML 암호화를 수행한 다음, 패키지 생성 모듈(16)에 의하여 압축 패키징이 수행되고(S102), 이러한 패키징의 결과물인 압축 패키지에 대한 저작권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저작권자의 인증 완료에 대한 메세지를 상기 압축 패키지에 삽입한 다음 상기 패키지 생성 모듈(16)에 의한 재 압축 패키징이 수행된다(S103).
그 다음,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재압축된 패키지를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로 전송하고(S104),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통하여 저작권자의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통하여 압축 패키지에 포함된 저작권자 인증 메세지로부터 저작권자의 인적 정보, 유효한 서명값, 정상적인 패키지 파일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05).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압축된 패키지에서 저작권자 인증 메세지를 독출해내기 위하여, 복호화부(120)에 의한 압축 패키지의 복호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유효한 저작권자에 의한 인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타원곡선 암호화 키(공개키)를 상기 압축 패키지의 헤더 부분에 삽입한 다음, 암호화를 수행한다(S106). 타원곡선 암호화 키를 압축 패키지의 헤더에 삽입 후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암호화부(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타원곡선 암호화키가 헤더에 삽입된 암호화된 패키지에 대한 노출 및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07).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인증 관리부(130)는 저작권자의 인증 메시지에 대한 유효 여부와, 패키지의 헤더에 삽입된 타원곡선 암호화키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데, 상기 인증 관리부(130)는 인증키 또는 공개키 등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이용한다.
즉,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은 전자서명의 유효성과 정상적인 사용자의 공인인증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은 암호화키(공개키 등)를 생성, 관리, 소멸 및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인증 관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키(저작권자의 인증/공인인증/서명, 타원곡선 암호화키)가 이전에 생성된 암호화키에 대응되는지 여부와, 해당 암호화키가 유효한 경로로 전달되었는지 여부와, 해당 암호화키의 유효 기간인지 여부 등에 대해서 확인한 다음 상기 인증 관리부(130)로 그 유효성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전달한다.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과의 통신을 통해 암호화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관리부(130)는 키분배 API와, 키인증 API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관리부와 키 관리 보안 수단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증 관리부(130)의 키분배 API(131)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에 의하여 생성되는 암호화키를 각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 또는 각 컨텐츠 또는 각 압축 패키지들에 중복되지 않게 사용되도록 분배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인증 관리부(130)의 키인증 API(132)는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으로부터 패키지가 전달되는 경우에 저작권자의 서명/인증에 대한 유효성과, 타원곡선 암호키에 대한 유효성을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과 키 확인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암호화키들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상기 키인증 API(132)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으로 해당 암호화키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확인 결과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암호화키에 대한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키 생성, 관리, 소멸 및 저장이 별도의 키 관리 보안 수단(21)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마켓 플레이스(10) 내의 인증 관리부에서는 외부에서 생성된 키에 대한 분배와 확인하여야 할 키에 대한 인증을 각각의 별도 API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키 관리를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구매자가 마켓 플레이스(10)에서 정당한 비용 지불을 통해 정상적인 상거래가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키 인증을 통해 해당 거래된 패키지에 대한 타원곡선 암호를 복호화한다.
타원곡선 암호는 한쌍의 대응되는 키들이 존재하도록 관리되는데,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였다면, 상기 공개키와 대응되는 비밀키를 이용하여서는 암호화된 패키지 또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즉, 비밀키를 이용하여서만 해당 타원곡선 암호에 대한 복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비밀키는 키 관리 보안 수단(21)에 의하여 생성 및 관리된다.
따라서, 특정 패키지에 대한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으로 암호화키인 공개키에 대응되는 복호화키인 비밀키를 전달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마켓 플레이스(10)의 인증 관리부(130)는 타원곡선 암호가 제거된 패키지에 대해서,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에 대한 메세지를 구매자의 서명 또는 인증에 대한 정보로 교체한다. 즉, 해당 구입된 패키지의 소유권은 구매자가 되므로, 저작권자의 소유를 구매자의 소유로 변경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마켓 플레이스(10)는 해당 패키지에 대한 사용을 정상 구매자만이 가능하도록 보안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 XML 복호화가 이루어지는 때에 사용하기 위한 일회성 비밀번호도 부여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일회성 비밀번호 역시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에 의하여 생성 및 관리된다.
그 다음, 구매자는 자신의 PC 또는 서버에 설치된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으로 해당 패키지가 복호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구매자측으로 다운로드되는 파일은 앞선 예서의 tcfs파일과 같은 통합 패키지가 된다.
따라서, 구매자는 통합 패키지에 대해서 추가 복호화를 하여야 하는데, 이때, 구매자가 서명 또는 인증하여야 하는데,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은 구매를 통한 타원곡선 암호를 해제한 구매자의 정보와, 통합 패키지를 복호화하기 위한 구매자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더 확인한다. 즉, tcfs 형태의 통합 패키지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구매자가 추가로 서명 또는 인증하는 정보와, 타원곡선 암호를 복호화한 구매자의 서명 또는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21)을 통하여 확인하는 절차가 더 수행된다.
그 다음, 구매자의 추가 인증이 확인된 다음에,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는 통합 패키지에 대한 압축 해제가 수행되는데, 구매자는 부여받았던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그 입력된 비밀번호는 마켓 플레이스(10)에 의하여 검증받은 다음, 구매자의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 수백개의 바이너리 파일들이 XML 복호화된다.
이러한 XML 복호화가 이루어지면, 구매자가 수정 편집 가능한 상태의 이트레이닝 컨텐츠 상태가 되고,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1)에서는 프로젝트로 로딩되어 구매자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이트레이닝 관련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이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가상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하거나 생성된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는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패키지에 포함된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압축 패키지의 헤더에 타원곡선 암호화키를 삽입한 다음 암호화하고,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가 삽입된 압축 패키지의 노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켓 플레이스; 및
    상기 마켓 플레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고,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 및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에 대응되는 복호화키를 생성, 관리 및 저장하는 키 관리 보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은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생산한 상기 저작권자 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은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컴파일하여 생성되는 바이너리 파일을 XML 암호화하는 XML 암호화 모듈과, 상기 XML 암호화 모듈에 의하여 암호화된 파일에 대하여 압축 패키징을 수행하는 패키지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생성 모듈은,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수록하여 압축 패키징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켓 플레이스는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패키지에 대하여 타원곡선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진행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 및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암호화키들에 대해서 각각의 이트레이닝 컨텐츠 또는 각각의 저작권자에 분배하는 키분배 API와,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과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 및 복호화키에 대해서 유효한지 여부를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키인증 API를 포함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이트레이닝 컨텐츠를 구매하는 경우에,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타원곡선 암호화키에 대응되는 타원곡선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 패키지에 기록된 타원곡선 암호에 관련되는 삽입 코드를 제거하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으로 XML 복호화시에 필요한 일회성 비밀번호를 전달하고,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는 상기 키 관리 보안 수단에 의하여 생성 및 관리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압축 패키지에 저장된 상기 저작권자의 서명 또는 인증에 대한 정보 대신에 상기 구매자의 정보를 대체 기록하여 두고,
    상기 이트레이닝 저작 수단은 상기 마켓 플레이스에서 전달되는 상기 압축 패키지에 대해서 상기 인증 관리부에 의하여 기록된 구매자의 정보와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확인한 다음 상기 압축 패키지에 대한 XML 복호화를 수행하는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KR1020160141671A 2016-10-28 2016-10-28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KR10185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71A KR101858562B1 (ko) 2016-10-28 2016-10-28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71A KR101858562B1 (ko) 2016-10-28 2016-10-28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92A true KR20180046492A (ko) 2018-05-09
KR101858562B1 KR101858562B1 (ko) 2018-05-16

Family

ID=6220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71A KR101858562B1 (ko) 2016-10-28 2016-10-28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513A (ko) * 2018-11-28 2020-06-05 (주)토탈소프트뱅크 마켓플레이스 에셋스토어의 에셋 패키지에 대한 가치 측정 시스템
CN114499860A (zh) * 2022-03-22 2022-05-13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签名公钥压缩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58B1 (ko) * 2020-02-11 2020-08-24 주식회사 딜리버리티 택시 승객이 물건 배송에 참여하도록 하는 물건 배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732A (ja) 2001-06-12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暗号化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暗号化情報再生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513A (ko) * 2018-11-28 2020-06-05 (주)토탈소프트뱅크 마켓플레이스 에셋스토어의 에셋 패키지에 대한 가치 측정 시스템
CN114499860A (zh) * 2022-03-22 2022-05-13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签名公钥压缩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562B1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2430B1 (en) Token Passing Technique for Media Playback Devices
US20200014545A1 (en) Method for Using Cryptography to Protect Deployable Rapid On-Site Manufacturing 3D Printing Systems and Enable a Single Time Printing Protocol
US9336359B2 (en) Device certificate individualization
CN101682501B (zh) 用于执行认证协议的方法和便携式存储设备
US7124443B2 (en) Information transaction system
CN101903889B (zh) 数字版权管理的设备和方法
CN102484638B (zh) 经由多个中间客户端在线递送的身份数据的分层保护和验证
JP2004528632A (ja) プログラマブル携帯データ記憶媒体用プログラムの分散生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657424B (zh) 一种基于区块链的遥感成果版权管理方法
CN101714195A (zh) 一种基于数字证书的新型数字版权保护方法和装置
CN109697365A (zh) 信息处理方法及区块链节点、电子设备
CN101084482A (zh) 电子软件分配方法及使用以硬件识别为基础的数字权利管理方法的系统
CN111292041A (zh) 一种电子合同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141626A (zh) 利用对媒体内容的硬件辅助保护的系统和方法
Hassan et al. A robust computational DRM framework for protecting multimedia contents using AES and ECC
US201301739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 security cooperation
KR101858562B1 (ko) 이트레이닝 컨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US8745375B2 (en) Handling of the usage of software in a disconnected computing environment
KR101744697B1 (ko) 이트레이닝 콘텐츠 사용을 위한 암호화된 패키지 생성 및 전송 시스템
CN102236753B (zh) 版权管理方法及系统
CN107919958A (zh) 一种数据加密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678129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JP2006129143A (ja) 秘密情報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サーバ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鍵情報保持装置
CN108268756A (zh) 版权标识及业务处理系统
JP2002352146A (ja) コンテンツ部分課金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部分課金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部分課金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