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984A -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984A
KR20180045984A KR1020160140591A KR20160140591A KR20180045984A KR 20180045984 A KR20180045984 A KR 20180045984A KR 1020160140591 A KR1020160140591 A KR 1020160140591A KR 20160140591 A KR20160140591 A KR 20160140591A KR 20180045984 A KR20180045984 A KR 20180045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signal
intelligent
dat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영
Original Assignee
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영 filed Critical 박도영
Priority to KR102016014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984A/ko
Publication of KR2018004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Processing 엔진, 증강현실 기반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AR Display 변환 엔진, 증강현실로 변환 처리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검토 판단하는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 또한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으로부터 넘오는 자료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 이를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가시화 한다.

Description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Bio-signal Display System using of Artificial Arguments Technology}
본 발명은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와 단말기로부터 나오는 생체신호를 변환하는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 그리고 그 변환된 생체신호 자료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와 지능형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래 지식 서비스 산업의 핵심으로 등장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동하여 제품화 하려는 경향이 높아 지면서, 2016년 이후 이를 특화된 시장(군사, 의료, 항공, 교육등)을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실감콘텐츠, 인공지능등 관련 기반 기술의 동반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의료기술의 발전과 함께 국민의 질 향상에 따른 복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첨단 IT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치료 위주의 공급자 중심 서비스에서 예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로 보건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을 변화 시켜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단순한 환자의 처치에 머물러 있고, 원거리의 지역적 접근성과 질환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곳에서는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하고 있으며 한계점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빠른 첨단의료기술의 패러다임의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하여 IT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 서비스를 확충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되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현재에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실생활에 근접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헬스케어 제품으로 확인하거나, 거동이 불편하신 부모님의 건강상태를 원거리 에서도 측정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원격의료 기술들은 스마트 기기등의 환경에 따라 체온, 심박수, 칼로리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에 이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등은 의사나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환자의 의료정보 위주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고 사용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가정에서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측정하거나, 원거리에 계신 부모님의 건강을 측정, 관찰하여 위급시 외부의 병원이나 기관에 전달 할 수 있는 지능형 단말기의 보급은 고가로 인해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용이하게 측정 인지 하게끔 할뿐만 아니라, 기존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유저로 하여금, 앱이나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증강기술을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관리하는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은 인간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나타난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생체신호 Processing 엔진,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나타난 생체신호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AR Display 변환 엔진,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나타난 생체신호를 증강현실로 변환 처리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검토 판단하는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단말기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나타난 생체신호를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으로 넘겨 자료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 상기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생체신호 Processing 엔진은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알고리즘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기반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AR Display 변환 엔진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증강현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변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로 변환 처리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검토 판단하는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은 증강현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변환 프로그램으로부터 받는 데이터를 지능적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적 판단이 가능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를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으로 넘겨받아 자료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는 자체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 차단이나 오작동으로부터 오류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자동 백업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Medical DATA 스토리지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자체 OS를 장착하여 단말기로 넘어온 데이터를 화면상에서 앱이나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는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토리지 서버 플랫폼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는 사람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부착형 센서와 사람의 주변에 설치된 설치물의 고정된 고정센서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는 스마트기기 및 모바일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주변의 무선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센서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센서는 근거리 통신망(NFC),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R),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엘티이(LTE), W-CDMA망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센싱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신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로 신체의 생체신호를 스마트 모발일 기기에 표시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측정 파악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의 흐름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요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방식에 따라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도어야 하며, 본 특허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나오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받아 프로세싱하는 Processing 엔진(210)과 AR Display 변환엔진(220),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23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200), 그리고 이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300), 상기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300)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 할 수 있는 부위에 웨어러블로 장착이 가능한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가 장착된 주변에 설치된 설치물의 고정된 고정센서를 포함한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는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얼굴에 착용이 가능한 안경형, 팔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형, 팔목에 착용이 가능한 시계형, 손가락에 착용이 가능한 반지형, 발에 신을 수 있도록 만든 신발형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는 스마트기기 및 모바일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주변의 무선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센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100)에 장착된 무선센서는 근거리 통신망(NFC),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R),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엘티이(LTE), W-CDMA망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센싱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플랫폼(200)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 하는 processing 엔진(210)과 증강현실에서 보여지도록 화면으로 변환하는 AR Display 변환 엔진(220), 이를 지능적으로 검토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230)을 포함 할 수 있다.
Processing 엔진(210)은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엔진으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단말기(100)로부터 나오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알고리즘으로 변화시켜 처리 할 수 있다.
AR Display 변환 엔진(220)은 Processing 엔진(210)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알고리즘으로 변화시킨 데이터를 증강현실에 맞춘 화면용 데이터로 그래픽화 하여 처리 할 수 있다.
지능형 검토 판단 엔진(230)은 증강현실에 맞도록 화면용 데이터로 그래픽화 된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검토 판단 하여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가공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300)는 클라우드 서버플랫폼(200)으로부터 가공되어 넘어온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필요시에는 전원 차단이나 오작동으로부터 오류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자동 백업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기(400)는 스마트기기 및 모바일 기기에서 증강현실을 바탕으로하여 그래픽화 되어 화면에 Display 되어 전달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 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은 전원을 인가후 시스템이 시작되면 생체신호 측정 단계(510)를 거쳐 생체신호 데이터 전송(520)단계, 생체신호 데이터 검증(530)단계, 생체신호 데이터 판단(540)단계, 생체신호 데이터 저장(550)단계, 생체신호 데이터 표시(560)단계를 거쳐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 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
200 :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
210 : Processing 엔진
220 : AR Display 변환엔진
230 :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
300 :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
400 : 디스플레이 단말기
510 : 생체신호 측정 단계
520 : 생체신호 데이터 전송
530 : 생체신호 데이터 검증
540 : 생체신호 데이터 판단
550 : 생체신호 데이터 저장
560 : 생체신호 데이터 표시

Claims (10)

  1. 인간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나타난 그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생체신호 Processing 엔진, 상기 생체신호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AR Display 변환 엔진,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검토 판단하는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 상기 생체신호를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으로 넘겨 자료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 상기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생체신호 Processing 엔진은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알고리즘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 Display 변환 엔진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증강현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변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검토 판단하는 지능형 검토판단 엔진은 증강현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변환 프로그램으로부터 받는 데이터를 지능적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적 판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를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으로 넘겨받아 자료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는 자체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 차단이나 오작동으로부터 오류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자동 백업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edical DATA 스토리지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자체 OS를 장착하여 단말기로 넘어온 데이터를 화면상에서 앱이나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Medical DATA 스토리지는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지능적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토리지 서버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는 사람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부착형 센서와 사람의 주변에 설치된 설치물의 고정된 고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는 스마트기기 및 모바일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주변의 무선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센서는 근거리 통신망(NFC),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R),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엘티이(LTE), W-CDMA망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KR1020160140591A 2016-10-27 2016-10-27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KR20180045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591A KR20180045984A (ko) 2016-10-27 2016-10-27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591A KR20180045984A (ko) 2016-10-27 2016-10-27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984A true KR20180045984A (ko) 2018-05-08

Family

ID=6218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591A KR20180045984A (ko) 2016-10-27 2016-10-27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940A (zh) * 2018-06-05 2019-12-13 鑀錹科技有限公司 医疗健康诊断的物联网架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282A (ko) * 2014-07-29 2016-02-1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장질환 조기 검출을 위한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186A (ko) * 2015-03-26 2016-10-07 주식회사 아트테크놀로지 바이오 레이더 기능과 이동 통신 기능을 연동한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282A (ko) * 2014-07-29 2016-02-1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장질환 조기 검출을 위한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186A (ko) * 2015-03-26 2016-10-07 주식회사 아트테크놀로지 바이오 레이더 기능과 이동 통신 기능을 연동한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940A (zh) * 2018-06-05 2019-12-13 鑀錹科技有限公司 医疗健康诊断的物联网架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manik et al. Internet of things, smart sensors, and pervasive systems: Enabling connected and pervasive healthcare
Ali et al. Real-time heart pulse monitoring techniqu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obile application
US10506926B2 (en) Multi-vital sign detector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S10586020B2 (en) Telemedicine components, devices,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Pawar et al. A framework for the comparison of mobile patient monitoring systems
Banos et al. Physiodroid: Combining wearable health sensors and mobile devices for a ubiquitous, continuous, and personal monitoring
US20140278475A1 (en) Tele-analytics based treatment recommendations
Guntur et al. Internet of Medical things: Remote healthcare and health monitoring perspective
Booth et al. Multimodal human and environmental sensing for longitudinal behavioral studies in naturalistic settings: Framework for sensor selection, deployment, and management
US20140310024A1 (en) Wifi cloud electronic vital-sign monitoring system
KR20200030495A (ko) 전자 의료 기록 시스템의 다중 활력 기호 검출기
CN108135538B (zh) 监测人的身体或心理能力
WO202107047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Al-Shaher et al. E-healthcare system to monitor vital signs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CN107615393A (zh) 输入构件、生物体信息管理系统、医疗和护理中的数据输入装置及其使用方法
CA3129965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KR101862159B1 (ko) 웨어러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Baig Smart vital signs monitoring and novel falls prediction system for older adults
US10736541B2 (en) Monitoring liquid and/or food consumption of a person
KR20180045984A (ko) 지능적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Bharathi et al.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Iqbal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in Home Health Based Monitoring System: Modern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KR20140022215A (ko) U-헬스케어 시스템용 중계 단말기 및 매니저 서버
KR1011484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