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766A - 안전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안전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766A
KR20180045766A KR1020170013881A KR20170013881A KR20180045766A KR 20180045766 A KR20180045766 A KR 20180045766A KR 1020170013881 A KR1020170013881 A KR 1020170013881A KR 20170013881 A KR20170013881 A KR 20170013881A KR 20180045766 A KR20180045766 A KR 2018004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ressing
rotating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육남
Original Assignee
최육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육남 filed Critical 최육남
Priority to KR102017001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766A/ko
Publication of KR2018004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42Spindles an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개폐밸브의 유량을 단계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하여, 안전돌기가 안전홈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유량이 변하지 않아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어 수돗물 또는 사용하는 유체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개폐밸브{Safe-off valve}
본 발명은 안전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밸브의 유량을 단계별로 용이하게 조절하고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안전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주로 물의 이송을 위한 상.하수관이나 기름과 같은 유압라인 등과 같은 유체의 이송이나 가스등과 같은 기체 및 분말과 같은 각종 원료의 이송을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가스레인지 및 가스보일러 등의 가스 이용기구는 가스배관을 통해서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며, 이러한 가스배관의 소정 부위에는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개폐용 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용 밸브는 흔히 취급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가스 이용기구의 사용 여부에 따라 클로즈/오픈시키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가스 이용기구의 잦은 사용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은 개폐용 밸브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사를 하는 과정에서 개폐용 밸브를 완전히 잠그지 않고 호스를 분리시키기도 하고, 호스가 심한 손상에 의해 가스 누출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안전성이 보장된 개폐밸브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20063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밸브의 일측에 연결된 가스관의 둘레에 감겨 고정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부에 잠금상태로 놓여진 가스밸브의 레버를 수용하는 잠금홈 및 그 선단부에 잠금고리가 형성된 회동판과; 상기 가스밸브의 타측에 연결된 가스관의 둘레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잠금고리가 삽입되는 고리홈 및 삽입되는 잠금고리를 쇄정 및 해정하는 자물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개폐밸브는 유체의 온/오프만 가능하고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장치의 개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관을 연결시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완료시점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체결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체결되는 부분의 내열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20063호.(2000년11월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폐밸브의 유량을 단계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밸브에 간단한 구조의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손쉽게 개폐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부의 체결완료시점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체결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 및 내열성이 금속과 유사한 재질 중 단가가 저렴한 단가의 재질을 적용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을 이음하기 위한 가압부가 외부충격에도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관이 끼움결합 되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숫나사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결합공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암나사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회동플랜지를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하고 상기 회동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하여 회동플랜지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되어 조절부의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관이 끼움결합 되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숫나사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결합공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암나사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회동플랜지를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하고 상기 회동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하여 회동플랜지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되어 조절부의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관이 끼움결합 되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숫나사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결합공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암나사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회동플랜지를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하고 상기 회동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하여 회동플랜지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되어 조절부의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와 회동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조절부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돌기와 안전홈은, 방사형태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A),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 폴리브틸렌레프탈레이트(PBTP), 폴리설폰(PSU),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에테르 (PPE(PPO)),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안전 개폐밸브는 개폐밸브의 유량을 단계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하여, 안전돌기가 안전홈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유량이 변하지 않아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어 수돗물 또는 사용하는 유체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는 개폐밸브에 간단한 구조의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손쉽게 개폐되지 않도록, 조절부와 회동플랜지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회전체를 들어올려 작동한 후 놓으면 탄성부재의 인장력으로 치합상태가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작동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는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체결부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함으로 인해, 체결부의 체결완료시점을 알 수 있도록 체결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막고 유지보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는 체결부의 재질을 열·충격·마모에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engineering plastic)을 적용함으로 인해, 내구성 및 내열성이 금속과 유사한 재질 중 단가가 저렴한 재질을 적용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갖으면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는 관을 이음하기 위한 가압부가 외부충격에도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연결부재 내부로 체결부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고 초음파로 마감하여, 기밀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가압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안전 개폐밸브의 가압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몸체부 110, 체결부 120, 가압부 130, 조절부 140, 안전부 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절부 140를 회전시키면 유체가 이동하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는 몸체부 110, 체결부 120, 가압부 130, 조절부 140, 안전부 15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몸체부 110는 양측에 연결구 111와 연결부재 1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구 111와 연결부재 113에 각각 관 P이 끼움결합된다.
특히, 연결구 111의 외주연에는 관 P의 끼움방향으로 경사진 복수개의 걸림턱(미부호)을 형성하여 끼움은 용이하나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연결부재 113는 연결구 111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아울러, 연결부재 113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연결구 111와 중심이 일치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결부재 113는 외주연에 숫나사 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숫나사 114에는 체결부 120가 나사체결된다. 여기서, 숫나사 114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 115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 115는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외주연 전체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덧붙여, 몸체부 110의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 119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공간 119의 측면 내측으로 연결구 111 및 연결부재 113가 연통된다
또한, 체결부 120는 상기 연결부재 113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 121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수납공간 119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 12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암나사 121와 결합공 123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 125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사면 125은 가압편 133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해 결합공 123 방향으로 좁아지면서 경사지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암나사 121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 127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돌기 127는 호형상의 만곡된 복수개의 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된다.
즉, 몸체부 110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 127가 고정돌기 115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 100는 연결부재 113에 형성된 고정돌기 115에 체결부 12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 127가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함으로 인해, 체결부 120의 체결완료시점을 알 수 있도록 체결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막고 유지보수가 향상된다.
한편, 체결부 120의 재질은 열·충격·마모에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engineering plastic)이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기존의 플라스틱과는 달리 강도·탄성 외에 충격·마모·열·추위·약품·피로에 강하며,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미드(PA),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 폴리브틸렌레프탈레이트(PBTP), 폴리설폰(PSU),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에테르 (PPE(PPO)),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중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이렇게 적용된 체결부 120는 강도·탄성·경도·신장·밀도·성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로 인해, 관 P을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해 체결부 1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내,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갖으면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단가가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결국,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 100는 체결부 120의 재질을 열·충격·마모에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적용함으로 인해, 내구성 및 내열성이 금속과 유사한 재질 중 단가가 저렴한 재질을 적용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갖으면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단가가 절감된다.
한편, 가압부 130는 받침단턱 131, 가압편 133, 절개홈 133a, 걸림턱 135, 가압공간 137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결합공 123에 내입 시킬 수 있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 131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 135이 형성된 가압편 133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 133a을 형성시켜 가압편 133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 137을 형성한다.
이처럼, 가압부 130는 몸체부 110에 체결되는 체결부 120의 제1경사면 125이 걸림턱 135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 P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 135의 외주연이 경사면 125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 133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 137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편 133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개홈 1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개홈 133a의 간격과 갯수를 조절하여 가압편 133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걸림턱 135은 가압편 133의 외주연 끝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가압편 133의 내주연에 파지편 139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파지편 139은 가압편 133의 내주연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돌출된 파지편 139은 가압편 133이 관 P의 외주연을 가압시 관 P의 외주연 일부에 침투된다. 특히, 파지편 139의 재질은 관 P의 외주연으로 침투가 용이하도록 관 P의 재질보다는 강도가 강한 금속류가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관 P의 외주연 일부에 침투된 파지편 139으로 인해 관 P이 연결구 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력이 향상된다.
나아가, 파지편 139의 돌출부분을 관 P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관 P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 인해 관 P의 이탈방향으로 힘이 집중되어 관 P이 이탈되는 것이 더욱 어렵게 하였다.
한편, 조절부 140는 회동플랜지 141의 상부에 회전체 143를 결합하여 유체 공급량을 조절한다.
특히, 회동플랜지 141는 상기 수납공간 119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한다. 이러한, 회동플랜지 141의 측면에는 배수공 142을 관통시켰다. 이러한, 배수공 142은 회동플랜지의 회동 위치에 따라 연결부재 113와 연결구 111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회동플랜지 141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 141를 회전시키는 회전체 143를 마련한다. 이때, 회전체 143의 일측으로는 핸들 145이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나아가, 회전체 143의 저면 중앙에는 다각형 형상의 끼움돌기 147가 하부로 연장되어 있고, 회동플랜지 141의 상부면 중앙에는 상기 끼움돌기 147가 삽입되도록 끼움돌기 147의 형상과 대응되는 끼움홈 141a이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회동플랜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안착홈 14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 141d에 한 쌍의 패킹 141e이 끼움 결합된다.
즉, 회동플랜지 141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 P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한다.
한편, 안전부 150는 조절부 140를 회전상태를 제어한다. 먼저, 조절부 140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 151가 돌출된다. 더불어, 상기 안전돌기 151에 치합되는 안전홈 155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 153가 몸체부 110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안전돌기 151와 안전홈 155은 방사형태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안전돌기 151가 안전홈 155에 치합된 상태에는 회전체 143 회전하지 못하고, 회전체 143를 들어올리면 안전돌기 151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회전체 143의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안전 개폐밸브 100는 개폐밸브의 유량을 단계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 140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 151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 151에 치합되는 안전홈 155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 153가 몸체부 110에 설치하여, 안전돌기 151가 안전홈 155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유량이 변하지 않아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어 수돗물 또는 사용하는 유체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의 다른 실시 예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몸체부 110, 체결부 120, 가압부 130, 조절부 140, 안전부 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절부 140를 회전시키면 유체가 이동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몸체부 110, 체결부 120, 가압부 130, 안전부 150의 구성은 상기 언급된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조절부 140를 회전시키기 위해 안전부 150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처럼, 안전부 150의 치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회전체 143를 상승시켜야 하는데 핸들 145의 조작으로 회전체 143를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회전체 143의 중앙을 절개하여 핸들 145을 삽입한다. 그리고 핸들 145의 끝단에 캠부재 145a를 연장시킨 후 회전체 143에 힌지 결합한다. 즉, 도 5와 도 6 (b)와 같이 핸들 145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힌지축 145b과 다른 중심을 갖는 캠부재 145a가 받침부재 141b의 상부면을 밀어 회전체 143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개폐밸브 100의 다른 실시 예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몸체부 110, 체결부 120, 가압부 130, 조절부 140, 안전부 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절부 140를 회전시키면 유체가 이동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몸체부 110, 체결부 120, 가압부 130, 안전부 150의 구성은 상기 언급된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조절부 140를 회전시키기 위해 안전부 150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처럼, 안전부 150의 치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회전체 143를 상승시켜야 하는데 핸들 145의 조작으로 회전체 143를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회전체 143의 중앙을 절개하여 핸들 145을 삽입한다. 그리고 핸들 145의 끝단에 가압부재 145c를 연장시킨 후 회전체 143에 힌지 결합한다. 즉, 도 7 (b)와 같이 핸들 145을 회동하면 힌지축 145b 보다 연장된 가압부재 145c가 받침부재 141b의 상부면을 밀어 회전체 143를 상승시킨다.
한편, 몸체부 110의 표면에는 등간격으로 표시수단 110a을 형성하고 회전체 143의 표면에 지시수단 143a을 표시한다. 즉, 회전체 143가 회전하면 지시수단 143a이 표시수단 110a과 일치되는 상태를 통해 유량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체결부 120의 체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연결부재 113의 일측으로 오링 118을 삽입하고 체결부 120가 억지끼움된다. 이때, 체결부 120와 연결부재 113가 맞닿는 면 122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이음결합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 100는 관을 이음하기 위한 가압부 133a가 외부충격에도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연결부재 113 내부로 체결부 120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고 초음파로 마감하여, 기밀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안전 개폐밸브 100는 개폐밸브에 간단한 구조의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손쉽게 개폐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 140를 들어올리거나 핸들 145을 조작하면 안전홈 155에서 안전돌기 151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조절부 14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조작이 끝난 조절부 140의 상부를 가압하면 안전홈 155에 안전돌기 151가 치합된다.
또한, 조작이 끝난 조절부 140의 파지상태를 놓으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안전홈 155에 안전돌기 151가 치합된다.
더붙여, 조절부 140와 회동플랜지 141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157를 배치한다. 이때, 회동플랜지 141의 끼움홈 141a 주변으로 탄성부재 157가 수납되는 삽입홈 141c이 형성된다.
즉, 회전체 143를 들어올려 작동한 후 놓으면 탄성부재 157의 인장력으로 치합상태가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작동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 관 100 : 안전 개폐밸브
110 : 몸체부 111 : 연결구
113 : 연결부재 114 : 숫나사
115 : 고정돌기 117 : 삽입공
118 : 오링 119 : 수납공간
120 : 체결부 121 : 암나사
123 : 결합공 125 : 경사면
127 : 걸림돌기
130 : 가압부 131 : 받침단턱
133 : 가압편 133a : 절개홈
135 : 걸림턱 137 : 가압공간
139 : 파지편
140 : 조절부 141 : 회동플랜지
143 : 회전체 145 : 핸들
150 : 안전부 151 : 안전돌기
153 : 안전부재 155 : 안전홈
157 : 탄성부재

Claims (6)

  1. 일측에는 관이 끼움결합 되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숫나사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결합공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암나사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회동플랜지를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하고 상기 회동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하여 회동플랜지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되어 조절부의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폐밸브.
  2. 일측에는 관이 끼움결합 되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숫나사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결합공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암나사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회동플랜지를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하고 상기 회동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하며 상기 회전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체에 캠방식으로 회동하는 핸들을 힌지 결합하여 회동플랜지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되어 조절부의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폐밸브.
  3. 일측에는 관이 끼움결합 되는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숫나사가 끝나는 부근에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내부 중심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암나사와 결합공의 경계 부근에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암나사의 시작 부근 내주연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몸체부에 체결상태를 마감할 때 걸림돌기가 고정돌기에 압박 및 치합 되도록 한 체결부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도록 일측 외주연에 받침단턱을 형성시키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압편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개홈을 형성시켜 가압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내부에 가압공간을 형성시켜 몸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경사면이 걸림턱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이 빠져나가려는 힘으로 인해 걸림턱의 외주연이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가압편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가압공간에 삽입된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회동플랜지를 회전할 수 있게 내입하고 상기 회동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플랜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하며 상기 회전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체에 지렛대방식으로 회동하는 핸들을 힌지 결합하여 회동플랜지의 회동 각도에 따라 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내측 하부면에 복수개의 안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안전돌기에 치합되는 안전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부재가 몸체부에 설치되어 조절부의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폐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회동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조절부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폐밸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돌기와 안전홈은,
    방사형태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폐밸브.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A),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 폴리브틸렌레프탈레이트(PBTP), 폴리설폰(PSU),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에테르 (PPE(PPO)),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1020170013881A 2017-01-31 2017-01-31 안전 개폐밸브 KR20180045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81A KR20180045766A (ko) 2017-01-31 2017-01-31 안전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81A KR20180045766A (ko) 2017-01-31 2017-01-31 안전 개폐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92A Division KR101733058B1 (ko) 2016-10-26 2016-10-26 안전 개폐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66A true KR20180045766A (ko) 2018-05-04

Family

ID=6219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81A KR20180045766A (ko) 2017-01-31 2017-01-31 안전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7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414B1 (ko) * 2021-09-30 2022-02-25 이시연 에어벤트 장치 및 보일러 시스템
KR20220135125A (ko) * 2021-03-29 2022-10-06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수액 레귤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125A (ko) * 2021-03-29 2022-10-06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수액 레귤레이터
KR102368414B1 (ko) * 2021-09-30 2022-02-25 이시연 에어벤트 장치 및 보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577B2 (en) Fluid coupling system
US10047890B2 (en) Quick connection coupling
US8783736B2 (en) Quick connector for faucet
US8240718B2 (en) Sanitary quick connector
KR20180045766A (ko) 안전 개폐밸브
US5671777A (en) Couplings for joining fluid conduits
KR20020020738A (ko)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
KR100721502B1 (ko)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AU2017249395A1 (en) Swivel knuckle connection
KR101733058B1 (ko) 안전 개폐밸브
US20080023960A1 (en) Sanitary quick connector
US9803776B2 (en) Lock device and valve device
CA2967274C (en) Ball valve with integrated fitting
US7185877B2 (en) Quick-connect coupling for a gas appliance
JP4045865B2 (ja) シリンダバルブおよびこのシリンダバルブを用いた湯水混合栓
KR20230030208A (ko) 나사변환기능을 갖는 경량 앵글 스톱 어댑터 밸브
KR20190013549A (ko) 앵글밸브
KR20230087261A (ko) 유체 흐름 제어 밸브
KR102566458B1 (ko) 인식표가 구비된 밸브
US20230375092A1 (en) An improved thermo plastic ball valve assembly
JP2008069977A (ja) シリンダバルブ
KR101238868B1 (ko) 개폐밸브
US10865923B2 (en) Push-fit fitting and end bushing for use therewith
CA2502052C (en) A quick-connect coupling for a gas appliance
GB2198812A (en) Angl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