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400A -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 Google Patents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400A
KR20180045400A KR1020160139441A KR20160139441A KR20180045400A KR 20180045400 A KR20180045400 A KR 20180045400A KR 1020160139441 A KR1020160139441 A KR 1020160139441A KR 20160139441 A KR20160139441 A KR 20160139441A KR 20180045400 A KR20180045400 A KR 2018004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turbocharger
engine
condensed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훈
김기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400A/ko
Publication of KR2018004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 F02B29/0468Water separation or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02B39/005Cooling of pump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차저, 상기 터보차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냉각부, 상기 공기냉각부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에서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응축수포집부, 상기 응축수포집부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배출라인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Turbo Charger Engine having Compressed Air Loss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연료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즉, 엔진은 선박,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엔진은 엔진블록 상에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다수의 실린더,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실린더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기밸브 및 실린더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밸브 등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한편, 엔진에는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실린더 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터보차저가 설치된다. 터보차저가 설치된 엔진을 터보차저 엔진이라 한다. 터보차저는 배기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압축기, 터빈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구동축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터보차저는 배기가스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압축하고, 압축한 공기를 실린더로 공급하여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고온이므로 엔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각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 에어쿨러이다. 에어쿨러가 압축공기를 냉각하면, 응축수가 발생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차저 엔진은 상기 에어쿨러와 상기 엔진 사이에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수제거장치를 설치한다. 응축수가 엔진에 공급되면 엔진의 수명단축 및 엔진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응축수제거장치에서 포집된 응축수는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응축수와 함께 압축공기도 함께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차저 엔진은 출력이 낮은 경우에는 압축공기의 양이 적으므로 에어쿨러가 압축공기를 냉각하여도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차저 엔진은 저출력 시 배관을 통해 응축수 없이 압축공기만 배출되므로,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감소되어 엔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차저 엔진은 저출력 시 연소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스모크(Smoke)의 양이 증대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출력에 따라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은 엔진의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차저; 상기 터보차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냉각부; 상기 공기냉각부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에서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응축수포집부; 상기 응축수포집부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배출라인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은 상기 터보차저와 상기 공기냉각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터보차저에서 상기 공기냉각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측정한 압축공기의 압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가 제공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배출라인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가 제공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상기 배출라인이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 또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에 따라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스모크(Smoke)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서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이 고출력인 경우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이 저출력인 경우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에서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이 고출력인 경우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이 저출력인 경우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출력에 따라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응축수 및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크게 터보차저(2), 공기냉각부(3), 응축수포집부(4), 배출라인(5), 개폐부(6), 및 제어부(7)를 포함한다.
실린더(10)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는 챔버(Chamber)이다. 상기 실린더(10)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부(미도시)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고, 상기 터보차저(2)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터보차저(2)에서 압축된 공기는 공기냉각부(3), 응축수포집부(4)를 거쳐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엔진(1)의 출력은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비례한다. 예컨대, 상기 엔진(1)의 출력이 고출력이면 상기 실린더(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많으므로, 상기 터보차저(2)가 더 많은 양의 공기를 압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1)의 출력이 고출력이면, 상기 터보차저(2)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크다. 예컨대, 상기 엔진(1)의 출력이 저출력이면 상기 실린더(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적으므로,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하는 공기의 양이 적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1)의 출력이 저출력이면, 상기 터보차저(2)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상기 터보차저(2)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보차저(2), 상기 공기냉각부(3), 상기 응축수포집부(4), 상기 배출라인(5), 상기 개폐부(6), 및 상기 제어부(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터보차저(2)는 엔진의 실린더(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1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Air)를 압축한다. 상기 터보차저(2)는 터빈(미도시) 및 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과 상기 압축기는 상기 터빈의 구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빈은 상기 압축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터빈은 상기 실린더(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터빈날개를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빈날개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터빈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동력전달축으로 연결된 상기 압축기가 공기(Air)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터빈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Air)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는 공기냉각부(3), 및 응축수포집부(4)를 거쳐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률은 상기 터빈이 제공하는 구동력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하면, 압축된 압축공기는 고온이 된다. 고온의 압축공기가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공기냉각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냉각부(3)는 상기 터보차저(2)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냉각부(3)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 및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고온의 압축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매는 물, 질소(N2), 저온의 공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고온의 압축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냉각부(3)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상기 냉매에 열을 빼앗겨서 저온으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보차저(2)에서 상기 공기냉각부(3)에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의 온도는 약 220 ℃이고, 상기 공기냉각부(3)에서 냉각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는 약 45 ℃일 수 있다. 상기 공기냉각부(3)는 에어쿨러(Air Cooler)일 수 있다. 상기 공기냉각부(3)가 상기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격하게 냉각시킴에 따라 상기 공기냉각부(3)를 통과한 압축공기에는 응축수(Condensat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가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면, 연소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스모크(Smoke)가 증가하고 엔진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응축수포집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상기 공기냉각부(3)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에서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일측이 상기 공기냉각부(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를 통해 상기 공기냉각부(3) 및 상기 실린더(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워터미스트캐처(Water Mist Catcher)일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엔진의 출력이 고출력인 경우. 즉,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일 경우에 응축수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은 상기 터보차저(2)에서 압축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상기 공기냉각부(3)가 압축공기를 냉각시켰을 때 응축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압력을 의미하며,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보차저(2)에서 압축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보차저(2)에서 압축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상기 엔진의 출력이 고출력인 경우에 발생된 응축수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서 포집된 응축수는 상기 개폐부(6)가 상기 배출라인(5)을 개방하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와 함께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상기 엔진의 출력이 저출력인 경우는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응축수를 포집할 수 없다.
상기 배출라인(5)은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출라인(5)은 일측이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 결합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5)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일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5)에는 개폐부(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6)는 상기 배출라인(5)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부(6)는 상기 배출라인(5)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서 포집된 응축수, 및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6)는 상기 배출라인(5)의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6)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 또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상기 릴리프밸브는 기계식밸브이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자식밸브이다. 상기 릴리프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모두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배출라인(5)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상기 배출라인(5)의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릴리프밸브는 기계식이므로, 전기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달리 정전과 같은 상황에서도 상기 배출라인(5)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6)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개폐부(6)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개폐부(6)를 제어하여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배출라인(5)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7)는 엔진의 출력이 고출력일 경우, 상기 배출라인(5)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서 포집된 응축수, 및 압축공기는 상기 배출라인(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10)에는 순수한 압축공기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고출력일 경우 상기 배출라인(5)을 개방시켜 상기 실린더(10)에 응축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실린더(1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7)는 엔진의 출력이 저출력일 경우, 상기 배출라인(5)이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배출라인(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실린더(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엔진의 출력이 저출력이므로,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하는 압축공기의 양이 적어서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응축수포집부(4)는 응축수를 포집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저출력일 경우 상기 배출라인(5)을 폐쇄시켜 상기 실린더(1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상기 실린더(10)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는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모크(Smoke)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측정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압력과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한 압축공기의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개폐부(6)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터보차저(2)가 압축한 압축공기의 압력 정보를 얻기 위해 측정부(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8)는 상기 터보차저(2)에서 상기 공기냉각부(3)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정부(8)는 상기 터보차저(2)와 상기 공기냉각부(3)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8)는 상기 터보차저(2)와 상기 공기냉각부(3)를 연결하는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터보차저(2)에서 상기 공기냉각부(3)로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8)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상기 측정부(8)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7)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8)는 측정한 압축공기의 압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7)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측정부(8)가 제공하는 압축공기의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라인(5)이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부(6)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측정부(8)는 상기 응축수포집부(4)와 상기 실린더(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서 상기 실린더(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1)은 상기 터보차저(2)에서 상기 공기냉각부(3)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및 상기 응축수포집부(4)에서 상기 실린더(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7)에 제공하여 상기 배출라인(5)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2 : 터보차저 3 : 공기냉각부
4 : 응축수포집부 5 : 배출라인
6 : 개폐부 7 : 제어부
8 : 측정부

Claims (5)

  1. 엔진의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차저;
    상기 터보차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냉각부;
    상기 공기냉각부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에서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응축수포집부;
    상기 응축수포집부에서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배출라인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차저와 상기 공기냉각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터보차저에서 상기 공기냉각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측정한 압축공기의 압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가 제공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배출라인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가 제공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상기 배출라인이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 또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KR1020160139441A 2016-10-25 2016-10-25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KR20180045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41A KR20180045400A (ko) 2016-10-25 2016-10-25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41A KR20180045400A (ko) 2016-10-25 2016-10-25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00A true KR20180045400A (ko) 2018-05-04

Family

ID=6219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41A KR20180045400A (ko) 2016-10-25 2016-10-25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4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489A (en) Supercharged multi-cylinder reciprocating piston-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everal exhaust gas turbochargers operating in parallel
KR101933585B1 (ko) 가스 터빈 장치
EP2740907A1 (en) Load ramp and start-up system for combined cycle power plant and method of operation
JP5173776B2 (ja) 排気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5788025B2 (ja) レシプロ式内燃機関によって吸入される空気の圧力および温度状態をシミュレートする装置
US9038383B2 (en) Flywheel assembly for a turbocharger
KR20180045400A (ko) 압축공기 손실 저감 기능이 부가된 터보차저 엔진
US5353597A (en) Inlet air cooling system
GB2491459A (en) Means for throttling the exhaust gases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957838B1 (en) Gas engine heat pump
JP2012225179A (ja) 過給機システム、内燃機関及び過給機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80134577A (ko) 복합 발전장치
KR20180080050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463641A (en) Making use of the waste heat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02836B1 (ko) 유압구동식 냉방장치
KR101962491B1 (ko) 저온에서의 엔진 성능 향상을 위한 흡기계 및 그것의 운전 방법
WO2021095313A1 (ja) ガスエンジンシステム
KR20090065389A (ko) 차량용 2단 터보차저 장치
KR101994474B1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
KR100921124B1 (ko)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
KR20010055346A (ko) 터보챠저의 열화 방지 장치
KR102265182B1 (ko) 2단 과급 엔진의 흡기 냉각 시스템
RU26328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дачи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воздуха в дизель
KR20220105421A (ko) 가스엔진 히트펌프
JP2023166928A (ja) 圧縮機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