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215A -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215A
KR20180045215A KR1020160139067A KR20160139067A KR20180045215A KR 20180045215 A KR20180045215 A KR 20180045215A KR 1020160139067 A KR1020160139067 A KR 1020160139067A KR 20160139067 A KR20160139067 A KR 20160139067A KR 20180045215 A KR20180045215 A KR 2018004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coupled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6931B1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31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Abstract

Disclosed are an overslam bumper,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The overslam bumper installed i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ehicle and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a vehicle main body when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es: a housing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 bump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absorb the impac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losed; and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bumper is able to return to an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ned.

Description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am bumper,

본 발명은 오버슬램 범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오버슬램 범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am bu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sam bumper rotatably provided.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후드, 본네트, 트렁크 또는 테일게이트와 같은 차량의 개폐장치에는 오버슬램 범퍼가 마련된다. 오버슬램 범퍼는 개폐장치의 개폐 시 차량 본체에 먼저 닿아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할 수 있다.Generally, an oversam bumper is provided in a vehic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such as a door, a hood, a bonnet, a trunk, or a tail gate of a vehicle. The oversam bumper first touches the body of the vehicl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o that shock and noise can be alleviated.

종래의 오버슬램 범퍼는 개폐장치에 고정되어 있어 상대부품과 접촉면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버슬램 범퍼가 충격 흡수 및 소음 완화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oversam bumper is fixed to the opening / closing device, so th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oversam bumper may not match the mating part. In this case, the oversam bumper may not faithfully perform the functions of shock absorption and noise reduc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versam bumper rotatably provided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 후드, 본네트, 트렁크 또는 테일게이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의 폐쇄 시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오버슬램 범퍼를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versam bumper capable of maintaining surface contact during closure of an opening / closing device including a door, a hood, a bonnet, a trunk or a tailg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위치 설계 자유도가 증가한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versam bumper with increased position design freedom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접촉부 외관이 미려해진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verslamp bumper having a contact surface appearanc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토션스프링의 장력과 오버슬램 범퍼의 고무 댐핑으로 이중 충격흡수가 가능한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versam bumper capable of double shock absorption by tension of a torsion spring and rubber damping of an oversam bumper,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개폐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장치의 닫힘 시 차량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오버슬램 범퍼는, 상기 개폐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개폐장치가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범퍼 및 상기 개폐장치가 열릴 때 상기 범퍼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sam bumper mounted on a vehic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and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is closed, comprising: a housing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A bump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absorb the bump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bump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ned.

상기 탄성부재는 양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범퍼와 결합되는 회전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xed end provided at both ends and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a rotating end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s and coupled with the bumper.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범퍼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the upper housing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bumper is inserted, and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범퍼는 상기 범퍼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상면에 걸쳐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may include a proj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umper,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projection and the upper surface.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단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xed e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rotation e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범퍼가 상기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lower housing coupled with the upper housing to prevent the bumper from disengaging from the upper housing.

상기 오버슬램 범퍼는 상기 고정단이 상기 제2결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versam bumper may further include a top cover coupled with the protrusion to prevent the fixed end from separating from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범퍼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may form a rotation axis of the bumper.

상기 상부하우징은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may include one of a female screw portion and a male screw portion, and the lower housing may include another one of a female screw portion and a male screw portion.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and the male screw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other of the female screw portion and the male screw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장치 및 상기 개폐장치가 닫힐 때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개폐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버슬램 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includes a body, an opening / closing devic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an oversam bumper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device to absorb impact applied to the body when the opening / . ≪ / RTI >

상기 오버슬램 범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개폐장치가 열릴 때 상기 오버슬램 범퍼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oversam bump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which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oversam bump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ned.

상기 오버슬램 범퍼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범퍼와, 상기 범퍼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범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versam bumper may include a housing, a bump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bumper and the hous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bumper.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범퍼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umper is inserted, and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범퍼는 상기 범퍼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상면에 걸쳐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may include a proj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umper,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projection and the upper surface.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단에 마련되는 고정단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고정단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단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e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rotary end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s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sam bumper rotatably provided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 후드, 본네트, 트렁크 또는 테일게이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의 폐쇄 시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오버슬램 범퍼를 제공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oversam bumper capable of maintaining surface contact during closure of an opening / closing device including a door, a hood, a bonnet, a trunk or a tailg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위치 설계 자유도가 증가한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versam bumper with increased position design freedom and a vehicle including the oversam bump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접촉부 외관이 미려해진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versam bumper having a sharp contact surfac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토션스프링의 장력과 오버슬램 범퍼의 고무 댐핑으로 이중 충격흡수가 가능한 오버슬램 범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sam bumper capable of absorbing double shocks by tension of a torsion spring and rubber damping of an oversam bumper,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버슬램 범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오버슬램 범퍼에서 탑 커버와 탄성부재와 범퍼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오버슬램 범퍼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상대부품과 접촉하지 않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상대부품과 접촉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상대부품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oversam bumper mounted on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sam bump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versam bumper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top cov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bumper at different angles in the oversam bumper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versam bumper shown in FIG. 4 from another angl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versam bumper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contact with a mating part.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a mating part.
10 is a view showing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ing in contact with a mating par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gns shown in the respective fig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components or component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 / 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 first ", "second ", and the like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front", "rear", "upper" and "low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vehicle refers to various devices that mov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such as human, object, or animal. Vehicles may include vehicles that run on roads or tracks, ships that move over the sea or river, and airplanes that fly through the sky using the action of air.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 vehicle running on a road or a track can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at least one wheel, and can be used for a three-wheeled or four-wheeled vehicle, a construction machine, a two-wheeled vehicle, a prime mover, . ≪ / RTI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외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terior of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runk of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내장(미도시)과 외장(10)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vehicle 1 includes a body having a built-in unit (not shown) and an outer unit 10, and a chassis having a mechanical unit necessary for traveling to the remainder of the vehicle except for the vehicle body .

차체의 외장(10)은 프론트 패널(11)과, 본네트(12)와, 루프 패널(13)과, 리어 패널(14)과, 측면 패널(15)과, 전후좌우 도어(16)와, 전후좌우 도어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트렁크(1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0 includes a front panel 11, a bonnet 12, a roof panel 13, a rear panel 14, a side panel 15,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doors 16, And a window glass 17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doors. In addition, the vehicle may include a trunk 101.

차체의 외장(10)은 프론트 패널(11)과, 본네트(12)와, 루프 패널(13)과, 리어 패널(14)과, 트렁크(101)와, 전후좌우 윈도우 글래스(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ior 1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front panel 11, a bonnet 12, a roof panel 13, a rear panel 14, a trunk 101 and a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window glasses 17 And a filler 18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차체의 외장(10)은 운전자에게 차량(1)의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closure 10 of the vehicle body may include a side mirror 19 that provides a rear view of the vehicle 1 to the driver.

차량(1)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미도시)와, 동력 전달 장치(미도시)와, 주행 장치(미도시)와, 조향 장치(미도시)와, 제동 장치(미도시)와, 현가 장치(미도시)와, 변속 장치(미도시)와, 연료 장치(미도시)와, 전후좌우 차륜(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of the vehicle 1 includes a power generator (not shown), a power transmission device (not shown), a traveling device (not shown), a steering device (not shown), a braking device (not shown) (Not shown), a speed change device (not shown), a fuel device (not shown),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els 20.

차량(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안전장치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미도시)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미도시, 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may include a safety device (not shown)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1 includes an airbag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a vehicle stability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stably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acceleration or cornering of the vehicle And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또한,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미도시)와,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미도시)와, 실내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와, 전후좌우 휠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미도시)와,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와, 요 레이트를 감지하는 요 레이트 센서(미도시)와,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n obstacle or another vehicle on the rear or side, a rai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a temperature sensor A wheel speed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els,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acceleration, a yaw rate sensor (not shown) And a gyro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posture of the vehicle.

또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와, 주행 장치와, 조향 장치와, 제동 장치와, 현가 장치와, 변속 장치와, 연료 장치와, 각종 안전장치 및 각종 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 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also includes a power generation devic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 travel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a suspension device, a speed shift device, a fuel device, various safety devices,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ntrol unit.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공조장치(미도시)와, 조명 장치(미도시)와,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와, 시트의 히터(즉, 열선. 미도시)와, 핸즈프리 장치(미도시)와, GPS(미도시)와, 오디오 장치(미도시) 및 블루투스 장치(미도시)와, 후방 카메라(미도시)와, 외부 단말기의 충전 장치(미도시)와, 하이패스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not shown), a lighting device (not shown), a navigation device (not shown), a heater (not shown) (Not shown), a GPS (not shown), an audio device (not shown) and a Bluetooth device (not shown), a rear camera (not shown), a charging device And a pass device (not shown).

또한, 차량(1)은 선루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선루프 개폐 장치(미도시)와, 전후좌우 도어(16)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장치(미도시)와, 윈도우 글래스(17)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개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further includes a sunroof switching device (not shown)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sunroof,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oors 16, And a window glass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glass.

또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on) 되면 시동모터를 동작시키고, 시동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킬 수 있다.Further, the vehicle 1 may include a start button (not shown)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starter motor (not shown). That is, when the start button is turned on, the vehicle 1 operates the starter motor and drives the engine (not shown), which is the power generato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arter motor.

또한, 차량(1)은 내비게이션 장치와, 오디오 장치와, 실내의 조명 장치(미도시)와, 시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미도시)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vehicle 1 may also include a battery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device, an audio device, an indoor illumination device (not shown), and a starter motor to supply driving power . Such a battery can perform charging using the power of the self-generator (not shown) or the engine while driving.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트렁크(101)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슬램 범퍼(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1 may include at least one oversam bumper 1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unk 10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슬램 범퍼(100)는 트렁크(101)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오버슬램 범퍼(100)는 도어, 본네트, 후드 및 테일게이트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개폐장치는 도어, 후드, 본네트,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versam bumper 1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unk 101,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 oversam bumper 100 may be provided on the door, bonnet, hood and tailgate.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include a door, a hood, a bonnet, a trunk, and a tail gate.

오버슬램 범퍼(10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장치에 설치되어 개폐장치의 닫힘 시 차량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의 닫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oversam bumper 100 is installed in an opening / closing device that is rotatably provided, and can absorb a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s closed. Further, the noise generated due to the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device can be allevia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버슬램 범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오버슬램 범퍼에서 탑 커버와 탄성부재와 범퍼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오버슬램 범퍼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versam bumper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top cov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bumper at different angles in the oversam bumper shown in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versam bumper shown in Fig. Sectional view of the oversam bumper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슬램 범퍼(100)는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과, 탑 커버(130) 및 범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7, the oversam bumper 100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110, a lower housing 120, a top cover 130, and a bumper 150.

상부하우징(110)은 상면에 마련되는 돌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돌기(111)는 트렁크(101)에 마련되는 홀(미도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돌기(111)가 홀(미도시)에 억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부하우징(110)은 트렁크(1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부하우징(110)과 트렁크(101)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오버슬램 범퍼(100)의 설치가 간편해지고, 생산원가가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The upper housing 110 may include a projection 111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protrusions 111 may be provided in a pair. The protrusion 111 can be fitted into a hole (not shown) provided in the trunk 101. The upper housing 110 can be coupled to the trunk 101 by engaging the projection 111 in a hole (not shown). At this time, since no separate fastening member is required for coupling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trunk 101, the installation of the oversam bumper 100 is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상부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삽입홈(112)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상부하우징(110)의 하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11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 The insertion groove 112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 inward.

상부하우징(110)은 그 하면에 삽입홈(112)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15)이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110 may include a rib 114 extending downward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groove 112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male screw thread 11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114.

상부하우징(110)은 제1결합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홈(113)은 삽입홈(112)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결합홈(113)은 삽입홈(112)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113)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홈(113)은 상부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groove 113. The first coupling groove 11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112. That is, the first coupling groove 113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 forming the insertion groove 112. The first coupling grooves 113 may be provided in pairs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groove 113 may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

오버슬램 범퍼(100)는 상부하우징(110)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versam bumper 10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120 adapted to engage with the upper housing 110.

하부하우징(120)은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21)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21)과 상부하우징(110)의 리브(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15)이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lower housing 120 may have a ring shape. A female thread 12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0. The male thread 121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0 and the male thread 11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b 114 of the upper housing 110 are threadedly engaged with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Can be combin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오버슬램 범퍼는(100)는 트렁크(101)가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versam bumper 100 may include a bumper 150 that absorbs impact when the trunk 101 is closed.

범퍼(150)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154)와, 완충부(154)의 상면(154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150 may include a shock absorbing portion 154 for absorbing impact and a protruding portion 151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54a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54. [

완충부(154)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154)는 트렁크(101)의 닫힘 시, 차량 본체(102)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완충부(154)는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본체(10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buffer 154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absorb shock. The buffer part 15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102 when the trunk 101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ffer part 154 can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shock applied to the body 102 can be absorbed.

범퍼(150)는 돌출부(151)의 상면과 완충부(154)의 상면(154a)에 걸쳐 형성되는 제2결합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홈(152)은 범퍼(150)의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직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탄성부재(140)의 단면이 직선 형상을 가지므로 탄성부재(140)의 단면 형상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The bumper 15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groove 15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51 and the upper surface 154a of the buffer part 154. [ The second coupling groove 152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whe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mper 150. This is to mat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astic member 140 because the cross section of the elastic member 140 to be described later has a linear shape.

돌출부(151)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5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5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탑 커버(13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암나사산(13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다.The protrusion 151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male screw thread 15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51. This is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female threads 131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130.

한편, 범퍼(150)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51)는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탑 커버(130)와 결합되어야 하므로 부드러운 재질로 마련되어서는 안 되는 반면, 완충부(154)는 충격을 흡수해야 하므로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마련되야 하기 때문이다. 즉, 돌출부(151)와 완충부(154)의 재질이 서로 달라야 하므로 범퍼(150)의 제조 시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이중 사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bumper 150 may be provided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The protruding portion 151 must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because it must absorb the impact while the protruding portion 151 includes a male thread and is to be coupled with the top cover 130 through the male thread. Because. That is, since the material of the projection 151 and the buffer 154 must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dual injection method capable of satisfying such a requirement in manufacturing the bumper 150 can be used.

오버슬램 범퍼(100)는 범퍼(15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versam bumper 10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40 adapt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bumper 150.

탄성부재(14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40)에 외력을 가해 탄성부재(140)의 일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고,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탄성부재(140)는 본래 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The elastic member 140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That is,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140 can be rotat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elastic member 140, and if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elastic member 14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탄성부재(140)는 탄성부재(140)의 양 끝단에 마련되는 고정단(141)과, 고정단(141)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단(142)과, 고정단(141)과 회전단(14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141)은 상부하우징(110)의 제1결합홈(113)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단(142)은 범퍼(150)의 제2결합홈(15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43)는 범퍼(150)의 회전축(R)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elastic member 140 includes a fixed end 14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140 and a rotation end 142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 141 and the fixed end 141 and the rotation end 142 (Not shown). The fixed end 141 can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13 of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rotation end 142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engagement recess 152 of the bumper 150. The connection portion 143 may form the rotation axis R of the bumper 150.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오버슬램 범퍼(150)는 범퍼(150)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탑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31)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30)와 범퍼(150)의 돌출부(151)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탑 커버(130)가 범퍼(150)와 결합함으로써 범퍼(150)에 결합된 탄성부재(140)가 범퍼(1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versam bumper 150 may include a top cover 130 adapted to engage the bumper 150. A female screw thread 1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130. The top cover 130 and the projection 151 of the bumper 150 can be screwed together. The elastic member 140 coupled to the bumper 150 can be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bumper 150 when the top cover 130 is engaged with the bumper 15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150)의 조립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the oversam bumper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는 범퍼(15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의 회전단(142)과 연결부(143)의 일부분은 범퍼(150)의 상면에 마련된 제2결합홈(152)에 끼워질 수 있다. 다만, 제2결합홈(152)에 탄성부재(14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탄성부재(140)가 범퍼(150)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탑 커버(130)를 범퍼(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elastic member 1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mper 150. The rotation end 142 of the elastic member 140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143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5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mper 150. [ Since the elastic member 140 is not fixed to the bumper 150 by inserting the elastic member 140 in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52, the top cover 130 can be coupled to the bumper 150 .

상기한 바와 같이, 탑 커버(1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5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40)를 제2결합홈에 끼운 후, 탑 커버(130)와 돌출부(151)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탄성부재(140)가 범퍼(15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탑 커버(130)와 범퍼(15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emale thread 13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130, and the male thread 15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51. The elastic member 140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bumper 150 by screwing the top cover 130 and the protrusion 151 after the elastic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 At this tim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top cover 130 and the bumper 15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ssembly is simpl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삽입홈(112)과 제1결합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11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리브(114)가 마련될 수 있고, 리브(1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15)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n insertion groove 112 and a first coupling groove 113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 A rib 114 protruding downward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 and a male screw thread 115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114.

탑 커버(130)와 탄성부재(140)가 결합된 범퍼(150)를 상부하우징(110)의 삽입홈(112)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40)의 고정단(141)이 제1결합홈(113)에 삽입되어야 한다. 고정단(141)이 제1결합홈(113)에 삽입된 후, 하부하우징(120)을 상부하우징(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2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하부하우징(120)은 리브(114)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이 결합함으로써 탄성부재(140)와 탑 커버(130) 및 범퍼(150)가 상부하우징(110)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The bumper 150 to which the top cover 130 and the elastic member 140 are couple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 of the upper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fixed end 141 of the elastic member 140 should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13. The lower housing 12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10 after the fixed end 1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3. [ Since the female thread 121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0, the lower housing 120 can be screwed to the rib 114. The elastic member 140 and the top cover 130 and the bumper 150 are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10 by the engagement of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

상기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150)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체결과정이 없어 조립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oversam bumper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is simple since there is no fastening process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상대부품과 접촉하지 않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상대부품과 접촉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가 상대부품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versam bumper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versam bumper is not in contact with a counterpart, and FIG. 9 is a cross-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versam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contact with a mating part. Referring to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150)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versam bumper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의 연결부(143)는 범퍼(150)의 회전축(R)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범퍼(150)는 연결부(14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마련되는 탄성부재가 범퍼(150)가 회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범퍼(150)는 회전하지 않고,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을 가해 범퍼(150)가 회전하더라도 외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범퍼(150)는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7, the connecting portion 143 of the elastic member 140 may form the rotation axis R of the bumper 150. [ That is, the bumper 150 can rotate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143. However, an elastic member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can prevent the bumper 150 from rotating. That is, unless an external force that is stron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is applied, the bumper 150 does not rotate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stron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so that even if the bumper 150 rotates, The bumper 1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01)에 장착된 오버슬램 범퍼(150)가 차량 본체(102)와 접촉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는 범퍼(150)가 제자리에 위치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01)가 닫히면서 범퍼(150)가 본체(102)에 접촉하면, 범퍼(150)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개폐장치(101)가 열리면 다시 범퍼(150)는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The bumper 150 is in place before or after the oversam bumper 150 mount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1 contacts the vehicle body 102 as shown in Fig. 9 and 10, when the bumper 1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2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1 is closed, the bumper 150 can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R. [ Whe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101 is opened, the bumper 150 can be rotat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오버슬램 범퍼(100)가 회전하는 것은 범퍼(150)의 하면(155)과 본체(102)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함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슬램 범퍼(150)가 본체(102)와 면 접촉하는 경우에는 범퍼(150)가 회전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슬램 범퍼(150)가 본체(102)와 선 접촉하는 경우에는 오버슬램 범퍼(150)와 본체(102)가 면 접촉할 수 있도록 범퍼(150)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오버슬램 범퍼(150)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과 고무 재질을 갖는 완충부(154)의 댐핑을 통해 이중으로 충격흡수를 할 수 있다. 즉, 오버슬램 범퍼(150)의 충격 흡수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oversam bumper 100 is rotat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ottom surface 155 of the bumper 150 and the main body 102. That is, as shown in FIG. 10, when the oversam bumper 15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2, the bumper 150 does not rotate. 9, when the oversam bumper 150 is in lin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2, the bumper 150 is rotated (rotated) so that the oversam bumper 150 and the main body 102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 At this time, the oversam bumper 150 can double shock absorption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and the damping of the buffer 154 having the rubber material. That is, the shock absorbing capability of the oversam bumper 150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150)는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기존의 오버슬램 범퍼는 회전하지 못하므로 오버슬램 범퍼를 개폐장치에 장착할 때 본체와의 접촉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즉, 기존에는 오버슬램 범퍼가 회전하지 않고도 본체와 면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야 했다. 이러한 설계를 거치더라도 차량 조립 중 발생할 수 있는 부품 산포에 의해 여전히 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150)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도 회전을 통해 면 접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버슬램 범퍼가 선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에서의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sam bump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Since the conventional oversam bumper does not rotat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oversam bumper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main body when mounting the oversam bumper o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 oversam bumper had to be designed so that it could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ain body without rotating. Even with such a design, surface contact may still not be achieved due to possible component scattering during assembly of the vehicle. However, since the oversam bump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rface contact is possible through rotation even if there is a slight error. In addition, the noise inside the vehicle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oise that can be caused by the line contact of the oversam bumper. Thus, the user's convenien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차량
100; 오버슬램 범퍼
110; 상부하우징
120; 하부하우징
130; 탑 커버
140; 탄성부재
150; 범퍼
One; vehicle
100; Oversam bumper
110; Upper housing
120; Lower housing
130; Top cover
140; Elastic member
150; bumper

Claims (10)

차량의 개폐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장치의 닫힘 시 차량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오버슬램 범퍼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개폐장치가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범퍼; 및
상기 개폐장치가 열릴 때 상기 범퍼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1. An oversam bumper mounted on a vehic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a vehicle body whe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is closed,
A housing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 bump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losed; And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bump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s opened; / RTI > bum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범퍼와 결합되는 회전단을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fixed end provided at both ends and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a rotating end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 and coupled with the bump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범퍼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을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housing,
Wherein the upper housing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umper is inserted, and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범퍼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상면에 걸쳐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mper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up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umper,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over the projection and the upper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단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되는 오버슬램 범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ed end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rotary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범퍼가 상기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to prevent the bumper from disengaging from the upper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이 상기 제2결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top cover coupled with the protrusion to prevent the fixed end from separating from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범퍼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오버슬램 범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forms a rotation axis of the bump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per housing includes one of a female screw portion and a male screw portion, and the lower housing includes another one of a female screw portion and a male screw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오버슬램 범퍼.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and the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and the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over.
KR1020160139067A 2016-10-25 2016-10-25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856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67A KR101856931B1 (en) 2016-10-25 2016-10-25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67A KR101856931B1 (en) 2016-10-25 2016-10-25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15A true KR20180045215A (en) 2018-05-04
KR101856931B1 KR101856931B1 (en) 2018-06-25

Family

ID=6219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67A KR101856931B1 (en) 2016-10-25 2016-10-25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94B1 (en) * 2018-05-29 2019-10-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Window-side Shock-absorbing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980B1 (en) * 2020-12-02 2022-12-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Over slam bumper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3516B2 (en) 2003-01-27 2007-10-1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Vehicle air suspens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94B1 (en) * 2018-05-29 2019-10-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Window-side Shock-absorb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31B1 (en)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487B1 (en) Tailgat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46989B1 (en) Doors with adaptive positioning
EP3372437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method of manufacturing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US8260519B2 (en) Retractable wheel covers
KR101856931B1 (en) Overslam bump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814802B2 (en) Vehicular door
US20180364479A1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head-up display for vehicle
JP4008661B2 (en) Traveling toy
US10730371B2 (en) Vehicular door
KR101875437B1 (en) Fuel door apparatus
CN108215694A (en) The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of height of car can be adjusted
US20190162008A1 (en) Vehicular door
KR102613172B1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20363193A1 (en) Vehicle external features
JP7408525B2 (en) mobile object
KR102570294B1 (en) Apparatus for coupling door trim of vehicle
CN209116215U (en) Vehicle lamp structure
US20230061443A1 (en) Automatic sunvisor assembly
KR100844660B1 (en)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for automobile
KR20090092111A (en) Sun visor for vehicles
KR200422257Y1 (en) Side mirror
KR0185900B1 (en) Door inside handle with one body locking knob
JP2023158518A (en) Vehicular glass molding peripheral structure
KR20180057935A (en) Car door belt molding
TWM644339U (en) Motorcycle with containe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