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156A - 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156A
KR20180045156A KR1020160138969A KR20160138969A KR20180045156A KR 20180045156 A KR20180045156 A KR 20180045156A KR 1020160138969 A KR1020160138969 A KR 1020160138969A KR 20160138969 A KR20160138969 A KR 20160138969A KR 20180045156 A KR20180045156 A KR 20180045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optical system
sensor
conditional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644B1 (ko
Inventor
김세진
조재훈
강선명
Original Assignee
엘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44B1/ko
Priority to CN201780062497.1A priority patent/CN109844602A/zh
Priority to PCT/KR2017/011562 priority patent/WO2018080100A1/ko
Publication of KR2018004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44B1/ko
Priority to US16/393,891 priority patent/US110029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렌즈 광학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카메라 모듈에 탑재되어 촬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 사이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센서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4 렌즈는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센서측면은 모두 비구면이고,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비구면이고,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의 센서측면은 오목하고,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의 물체측면 및 센서측면은 모두 비구면이고, 조리개는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θ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BFL 상기 제6 렌즈의 센서측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1.4<tanθ/f<-1.1
4.0< TTL/BFL<6.0

Description

렌즈 광학계{Lens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상용 카메라모듈에 탑재될 수 있는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촬상용 카메라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와 렌즈 광학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로는 통상적으로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 또는 씨모스 이미지센서(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CMOS 이미지센서)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카메라모듈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 전자 장치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미감의 향상을 위해서 점차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형태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장치도 역시 점차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형태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되고, 두께가 작은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카메라 모듈에는 한 번의 촬영으로 더욱 많은 정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넓은 화각을 가지는 가지는 렌즈가 요구된다. 그러나 넓은 화각을 가지면서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수차 및 왜곡 등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렌즈를 설계하는 것은 난해하다.
따라서 소형이고 화각이 넓으면서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고성능의 렌즈 광학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이고 화각이 넓으면서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의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렌즈 광학계의 렌즈들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고, 특히 단가가 낮은 재질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 사이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센서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4 렌즈는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센서측면은 모두 비구면이고,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비구면이고,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의 센서측면은 오목하고,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의 물체측면 및 센서측면은 모두 비구면이고, 조리개는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θ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BFL 상기 제6 렌즈의 센서측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1.4<tanθ/f<-1.1
4.0< TTL/BFL<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은 유효경 내에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면은 유효경 내에서 오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제6 렌즈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4 렌즈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률이 상기 제6 렌즈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률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5 렌즈는 굴절률이 1.5 이상이고 1.6 이하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7<f1/f<-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V1은 상기 제1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0<(V1+V2)/2<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RA(MAX)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0.0deg<CRA(MAX)<35.0de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FS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상기 조리개 사이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할 수 있다.
<조건식>
0.2<FSL/TTL<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소형이고 화각이 넓으면서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렌즈 광학계의 렌즈들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고, 특히 단가가 낮은 재질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물체와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IS) 사이에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 제4 렌즈(L4),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가 위치한다. 제1 내지 제6 렌즈 (L1, L2, L3, L4, L5, L6)는 물체측에서 센서(IS)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렌즈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을 가진다. 하나의 렌즈에 있어서, 물체 측을 바라보는 면은 광이 렌즈로 들어오는 면인 입사면에 해당한다. 또한, 하나의 렌즈에 있어서, 센서(IS) 측을 바라보는 면은 렌즈에서 광이 나가는 면인 출사면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n번째 렌즈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인 면을 Sn1로 표시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인 면은 Sn2로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은 S11로 표시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은 S12로 표시된다. 또한, 제2 렌즈(L2)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은 S21로 표시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은 S22로 표시된다. 또한, 제3 렌즈(L3)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은 S31로 표시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은 S32로 표시된다. 또한, 제4 렌즈(L4)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은 S41로 표시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은 S42로 표시된다. 또한, 제5 렌즈(L5)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은 S51로 표시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은 S52로 표시된다. 또한, 제6 렌즈(L6)의 물체측면이자 입사면은 S61로 표시되고, 센서측면이자 출사면은 S62로 표시된다.
렌즈 광학계는 조리계(S)를 포함한다. 조리개(S)는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서 조리개(S)는 제2 렌즈(L2)의 센서측면(S22)에 걸쳐게 위치할 수도 있다. 조리개(S)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렌즈 광학계 내부로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 광학계는 광학 필터(OF)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터(OF)는 제6 렌즈(L6)와 센서(I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필터(OF)는 센서(IS)가 감지하는 대역 이외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필터(OF)는 센서(IS)가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IS)인 경우 적외선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고, 센서(IS)가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IS)인 경우 가시광선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IS)는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IS)일 수 있다. 센서(IS)는 제1 내지 제6 렌즈(L1~6)를 통과한 광이 센서(IS)의 물체측면 상에서 상이 맺히도록 제6 렌즈(L6)의 후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제1 렌즈(L1)는 부(-, nega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은 유효경 내에서 볼록하고, 센서측면(S12)은 근축에서 오목하다.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은 근축에서 볼록할 수도 있고, 오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근축이라는 것은 광축에 근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렌즈의 유효경에서 광축에 근접한 일부분을 의미한다. 제1 렌즈(L1)는 유효경 내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진다.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 및 센서측면(S12)은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1 렌즈(L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1 렌즈(L1)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렌즈(L2)는 정(+, posi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 렌즈(L2)의 물체측면(S21)은 유효경 내에서 오목하고, 센서측면(S22)은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2 렌즈(L2)의 물체측면(S21)은 근축에서 볼록할 수도 있고, 오목할 수도 있다. 제2 렌즈(L2)의 물체측면(S21) 및 센서측면(S22)은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2 렌즈(L2)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렌즈(L2)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렌즈(L3)는 정(+, posi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3 렌즈(L3)의 물체측면(S31)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센서측면(S32)도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3 렌즈(L3)의 물체측면(S31) 및 센서측면(S32)은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3 렌즈(L3)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3 렌즈(L3)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렌즈(L4)는 부(-, nega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4 렌즈(L4)의 물체측면(S41)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한 형태이다. 따라서 제4 렌즈(L4)의 물체측면(S41)은 유효경 전체에서는 대략 오목한 형태를 가지나,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은 양의 값을 가진다. 제4 렌즈(L4)의 센서측면(S42)은 근축에서 오목하다. 제4 렌즈(L4)의 물체측면(S41) 및 센서측면(S42)은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4 렌즈(L4)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제4 렌즈(L4)는 제1, 2, 3, 5 렌즈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4 렌즈(L4)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4 렌즈(L4)는 굴절률이 1.65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렌즈(L5)는 정(+, posi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5 렌즈(L5)의 센서측면(S52)은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5 렌즈(L5)의 물체측면(S51) 및 센서측면(S52)은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5 렌즈(L5)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5 렌즈(L5)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6 렌즈(L6)는 부(-, nega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6 렌즈(L6)의 물체측면(S61)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한 형태이다. 따라서 제6 렌즈(L6)의 물체측면(S61)은 유효경 전체에서는 대략 오목한 형태를 가지나,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은 양의 값을 가진다. 제6 렌즈(L6)의 센서측면(S62)은 근축에서 오목하다. 제6 렌즈(L6)의 물체측면(S61) 및 센서측면(S62)은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6 렌즈(L6)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제6 렌즈(L6)는 제1, 2, 3, 5 렌즈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6 렌즈(L6)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6 렌즈(L6)는 굴절률이 1.65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렌즈(L4) 및 제6 렌즈(L6) 모두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되지만, 제4 렌즈(L4)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률이 제6 렌즈(L6)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률보다 더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1>
-1.4<tanθ/f<-1.1
여기서, θ는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고, f는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조건식 1을 만족한다면, 렌즈 광학계는 광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대각 방향의 화각이 120.0degree로서 광각의 성능을 구현하였다. 본 실시예와 같이, 화각(θ)이 충분히 큰 상태에서 초점거리(f)는 조건식 1을 만족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초점거리(f)가 길어서 조건식 1의 하한을 벗어난다면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길이(TTL)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초점거리(f)가 짧아서 조건식 1의 상한을 벗어난다면 구면 수차 및 코마 수차가 증가하여 광학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조건식 2>
4.0< TTL/BFL<6.0
여기서, TTL은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BFL 제6 렌즈(L6)의 센서측면(S62)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다.
조건식 2를 만족한다면, 광학 렌즈계의 전체 트랙 거리(TTL)가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렌즈계를 탑재한 카메라 모듈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전자 장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건식 3>
-1.7<f1/f<-1.4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거리이고, f는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조건식 3을 만족한다면, 광각이면서 광학 성능이 우수한 렌즈 광학계가 제작될 수 있다.
<조건식 4>
50<(V1+V2)/2<60
여기서, V1은 상기 제1 렌즈(L1)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상기 제2 렌즈(L2)의 아베수이다.
제1 렌즈(L1) 및 제2 렌즈(L2)는 평균적으로 아베수가 50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광학계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 단가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조건식5>
30.0deg<CRA(MAX)<35.0deg
여기서, CRA(MAX)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다.
조건식 5를 만족한다면, 렌즈 광학계가 광각이면서 광학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건식6>
0.2<FSL/TTL<0.3
여기서, FSL은 상기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상기 조리개(S) 사이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TTL은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다.
조건식 6은 렌즈 광학계에서 조리개(S)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이다. 조건식 6을 만족한다면, 조리개(S)는 대략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아래의 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구성 요소 r d N f V
제1 렌즈(L1) S11* -17.3708 0.2500 1.5340 -2.0921 55.8559
S12* 1.2000 0.3305      
제2 렌즈(L2) S21* 8.1705 0.3167 1.5465 3.0453 56.0928
S22* -2.0614 0.1000      
조리개(S) Infinity 0.1000    
제3 렌즈(L3) S31* 2.2396 0.4741 1.5465 1.6724 56.0928
S32* -1.4286 0.1000      
제4 렌즈(L4) S31* 3.0710 0.2300 1.6574 -3.4545 21.4744
S32* 1.2668 0.2079      
제5 렌즈(L5) S51* -2.2194 0.6208 1.5465 1.5668 56.0928
S52* -0.6789 0.1000      
제6 렌즈(L6) S61* 1.3895 0.3600 1.6455 -2.0625 23.5165
S62* 0.6108 0.2300      
Focal Length(F) 1.4315
Fno 1.9800
CRA(MAX) 33.9907
TTL 3.9200
DFOV 120.0
상기 표에서 렌즈면에 표시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r은 해당하는 렌즈 면의 곡률반경이고, d는 해당하는 렌즈 면이 물체측면인 경우에 해당하는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이고, 해당하는 렌즈 면이 센서측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렌즈의 출사면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렌즈, 조리개(S) 또는 필터)와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S22의 d는 제2 렌즈(L2)의 센서측면(S22)과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S)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S62의 d는 제6 렌즈(L6)의 센서측면(S62)과 제6 렌즈(L6)의 후측에 위치하는 필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N는 해당하는 렌즈의 굴절률이고, f는 해당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는 해당하는 렌즈의 아베 수(Abbe number)이다. 여기서 r, d 및 f의 거리 단위는 mm이다.
Focal Length(F)는 전체 렌즈 광학게의 초점거리이고, CRA는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고, TTL은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거리(total track length)로서 구체적으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DFOV는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다. 여기서 F 및 TTL의 단위는 mm이고, CRA 및 DFOV의 각도는 도(degree)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면 중 비구면인 면은 다음의 수학식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낸다. 또한, A2 내지 A12는 비구면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비구면인 면의 비구면계수에 관한 표이다.
K A2 A4 A6 A8 A10 A12
S11 0.0000 0.4898 -0.8740 0.6921 -0.2610 0.0423 0.0000
S12 0.1928 0.7390 2.1821 -21.2720 82.9568 -173.1436 147.0673
S21 99.0000 0.0455 -0.0735 -2.6281 4.4360 -12.3945 12.5269
S22 0.0000 0.3204 -3.2054 18.9712 -82.4468 179.3358 -153.5533
S31 10.9585 0.1599 0.1465 -6.9104 17.3975 -8.4085 -46.2617
S32 3.0009 -0.2435 1.7038 -1.5479 -18.0237 58.9576 -58.6302
S41 0.0000 -1.3350 0.1172 17.4425 -93.1034 191.9022 -136.7373
S42 1.0251 -0.9266 0.2572 5.2783 -19.0560 26.7389 -13.7392
S51 6.0917 0.8364 -2.3802 5.1492 -4.2636 -1.2787 2.8543
S52 -0.7977 0.6209 -0.1424 -2.6312 6.2935 -5.3817 1.5956
S61 -31.1830 0.0301 -0.9605 1.0915 -0.7186 0.2954 -0.0527
S62 -5.9769 -0.1524 -0.0642 0.1561 -0.1148 0.0381 -0.0051
도 1 및 위의 두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상술한 특성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는 본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에서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6의 값을 계산한 것이다.
조건식 대상값 제1 실시예의 대상값
조건식 1 -1.4<tanθ/f<-1.1 tanθ/f -1.2100
조건식 2 4.0< TTL/BFL<6.0 TTL/BFL 5.3699
조건식 3 -1.7<f1/f<-1.4 f1/f -1.4615
조건식 4 50<(V1+V2)/2<60 (V1+V2)/2 56.0928
조건식 5 30.0deg<CRA(MAX)<35.0deg CRA(MAX) 33.9907
조건식 6 0.2<FSL/TTL<0.3 FSL/TTL 0.2544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6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아래의 표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구성 요소 r d N f V
제1 렌즈(L1) S11* -10.4623 0.2907 1.5340 -2.3046 55.8559
S12* 1.4083 0.3746      
제2 렌즈(L2) S21* -5.4394 0.2803 1.5465 6.2751 56.0928
S22* -2.1416 0.0049      
조리개(S) Infinity 0.0201    
제3 렌즈(L3) S31* 2.2204 0.5400 1.5465 1.6528 56.0928
S32* -1.3918 0.1000      
제4 렌즈(L4) S31* 3.6368 0.2400 1.6574 -4.1334 21.4744
S32* 1.5146 0.1244      
제5 렌즈(L5) S51* -3.7041 0.6500 1.5465 1.3378 56.0928
S52* -0.6485 0.1000      
제6 렌즈(L6) S61* 1.4867 0.3100 1.6455 -1.8358 23.5165
S62* 0.6055 0.2450      
Focal Length(F) 1.4067
Fno 1.9800
CRA(MAX) 34.0061
TTL 3.9300
DFOV 120.0
상기 표에서 렌즈면에 표시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r은 해당하는 렌즈 면의 곡률반경이고, d는 해당하는 렌즈 면이 물체측면인 경우에 해당하는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이고, 해당하는 렌즈 면이 센서측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렌즈의 출사면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렌즈, 조리개(S) 또는 필터)와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S22의 d는 제2 렌즈(L2)의 센서측면(S22)과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S)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S62의 d는 제6 렌즈(L6)의 센서측면(S62)과 제6 렌즈(L6)의 후측에 위치하는 필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N는 해당하는 렌즈의 굴절률이고, f는 해당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는 해당하는 렌즈의 아베 수(Abbe number)이다. 여기서 r, d 및 f의 거리 단위는 mm이다.
Focal Length(F)는 전체 렌즈 광학게의 초점거리이고, CRA는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고, TTL은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거리(total track length)로서 구체적으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DFOV는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다. 여기서 F 및 TTL의 단위는 mm이고, CRA 및 DFOV의 각도는 도(degree)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면 중 비구면인 면은 다음의 수학식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2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낸다. 또한, A2 내지 A12는 비구면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비구면인 면의 비구면계수에 관한 표이다.
K A2 A4 A6 A8 A10 A12
S11 79.7597 0.9247 -1.5398 2.2304 -1.9774 0.4752 0.1366
S12 4.1656 1.4744 0.7865 -12.3596 77.1424 -104.1041 -64.4262
S21 89.5524 0.1507 -1.0051 7.2134 -68.4983 294.7238 -473.0470
S22 7.4141 0.1356 -6.8708 50.3921 -224.6766 547.6092 -563.7115
S31 -10.9074 0.3414 -6.6936 49.2324 -224.8519 552.1896 -577.6610
S32 3.1002 -0.3378 0.6956 -0.9107 -6.1920 30.5764 -34.8779
S41 2.5841 -1.1934 0.2269 3.2845 -18.6004 56.5935 -60.1168
S42 1.0995 -0.6176 -0.0253 1.6043 -5.3225 8.7383 -5.5099
S51 15.3891 0.7080 -0.5591 -1.1182 3.2463 -2.9957 1.0962
S52 -0.9238 1.0525 -1.9917 3.3908 -3.2766 1.7025 -0.3525
S61 -29.1487 0.1778 -1.5273 2.9688 -3.7867 2.4813 -0.5997
S62 -5.6576 -0.2074 0.1029 -0.0819 0.0436 -0.0150 0.0023
도 2 및 위의 두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상술한 특성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는 본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에서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6의 값을 계산한 것이다.
조건식 대상값 제2 실시예의 대상값
조건식 1 -1.4<tanθ/f<-1.1 tanθ/f -1.2313
조건식 2 4.0< TTL/BFL<6.0 TTL/BFL 4.3911
조건식 3 -1.7<f1/f<-1.4 f1/f -1.6383
조건식 4 50<(V1+V2)/2<60 (V1+V2)/2 56.0928
조건식 5 30.0deg<CRA(MAX)<35.0deg CRA(MAX) 34.0061
조건식 6 0.2<FSL/TTL<0.3 FSL/TTL 0.2419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6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아래의 표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구성 요소 r d N f V
제1 렌즈(L1) S11* -10.6473 0.2800 1.5340 -2.3608 55.8559
S12* 1.4431 0.3579      
제2 렌즈(L2) S21* -5.8246 0.2779 1.5465 6.4988 56.0928
S22* -2.2435 0.0067      
조리개(S) Infinity 0.0096    
제3 렌즈(L3) S31* 2.2748 0.5341 1.5465 1.6711 56.0928
S32* -1.3992 0.1000      
제4 렌즈(L4) S31* 3.8787 0.2500 1.6574 -4.1509 21.4744
S32* 1.5609 0.1068      
제5 렌즈(L5) S51* -3.7315 0.6921 1.5465 1.2963 56.0928
S52* -0.6344 0.1000      
제6 렌즈(L6) S61* 1.4857 0.3100 1.6455 -1.7690 23.5165
S62* 0.5928 0.2550      
Focal Length(F) 1.4268
Fno 1.9800
CRA(MAX) 33.5000
TTL 3.9300
DFOV 120.0
상기 표에서 렌즈면에 표시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r은 해당하는 렌즈 면의 곡률반경이고, d는 해당하는 렌즈 면이 물체측면인 경우에 해당하는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이고, 해당하는 렌즈 면이 센서측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렌즈의 출사면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렌즈, 조리개(S) 또는 필터)와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S22의 d는 제2 렌즈(L2)의 센서측면(S22)과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S)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S62의 d는 제6 렌즈(L6)의 센서측면(S62)과 제6 렌즈(L6)의 후측에 위치하는 필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N는 해당하는 렌즈의 굴절률이고, f는 해당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는 해당하는 렌즈의 아베 수(Abbe number)이다. 여기서 r, d 및 f의 거리 단위는 mm이다.
Focal Length(F)는 전체 렌즈 광학게의 초점거리이고, CRA는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고, TTL은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거리(total track length)로서 구체적으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DFOV는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다. 여기서 F 및 TTL의 단위는 mm이고, CRA 및 DFOV의 각도는 도(degree)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면 중 비구면인 면은 다음의 수학식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3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낸다. 또한, A2 내지 A12는 비구면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비구면인 면의 비구면계수에 관한 표이다.
K A2 A4 A6 A8 A10 A12
S11 79.7597 0.9435 -1.6126 2.3962 -2.2033 0.5417 0.1752
S12 4.5724 1.4910 0.7094 -13.8033 96.7733 -197.2828 93.2161
S21 99.0000 0.1507 -1.0051 7.2134 -68.4983 294.7238 -473.0470
S22 7.8248 0.1911 -8.3799 63.8263 -288.1291 702.8642 -720.4247
S31 -10.9074 0.4015 -7.9098 60.4833 -274.3843 663.8063 -674.1102
S32 3.0562 -0.3755 1.0932 -1.7275 -8.1147 41.5280 -48.0062
S41 2.5841 -1.2663 0.7258 2.3696 -19.9269 61.4991 -63.4491
S42 1.1062 -0.6384 0.3601 0.3663 -3.5761 7.2819 -4.7727
S51 15.2312 0.7012 -0.4333 -1.7096 4.0617 -3.2191 0.9294
S52 -0.9110 1.0605 -2.1130 3.7178 -4.0138 2.6114 -0.7457
S61 -29.1487 0.1870 -1.5486 2.9084 -3.5846 2.2463 -0.5135
S62 -5.4719 -0.1914 0.0529 -0.0151 -0.0042 0.0028 -0.0006
도 3 및 위의 두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상술한 특성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는 본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에서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6의 값을 계산한 것이다.
조건식 대상값 제3 실시예의 대상값
조건식 1 -1.4<tanθ/f<-1.1 tanθ/f -1.2139
조건식 2 4.0< TTL/BFL<6.0 TTL/BFL 4.3425
조건식 3 -1.7<f1/f<-1.4 f1/f -1.6546
조건식 4 50<(V1+V2)/2<60 (V1+V2)/2 56.0928
조건식 5 30.0deg<CRA(MAX)<35.0deg CRA(MAX) 33.5000
조건식 6 0.2<FSL/TTL<0.3 FSL/TTL 0.2347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6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아래의 표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구성 요소 r d N f V
제1 렌즈(L1) S11* 13.2691 0.2940 1.5340 -2.0987 55.8559
S12* 1.0255 0.4287      
제2 렌즈(L2) S21* 7.7431 0.2804 1.5465 3.7927 56.0928
S22* -2.7942 0.0100      
조리개(S) Infinity Infinity 0.0283    
제3 렌즈(L3) S31* 2.7426 0.4921 1.5465 1.7062 56.0928
S32* -1.3231 0.1000      
제4 렌즈(L4) S31* 3.0078 0.2500 1.6574 -4.0956 21.4744
S32* 1.3739 0.1814      
제5 렌즈(L5) S51* -2.8358 0.6500 1.5465 1.2903 56.0928
S52* -0.6105 0.1000      
제6 렌즈(L6) S61* 1.4439 0.3000 1.6455 -1.6588 23.5165
S62* 0.5647 0.2550      
Focal Length(F) 1.3910
Fno 1.9800
CRA(MAX) 33.6612
TTL 3.9200
DFOV 120.6000
상기 표에서 렌즈면에 표시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r은 해당하는 렌즈 면의 곡률반경이고, d는 해당하는 렌즈 면이 물체측면인 경우에 해당하는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이고, 해당하는 렌즈 면이 센서측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렌즈의 출사면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렌즈, 조리개(S) 또는 필터)와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S22의 d는 제2 렌즈(L2)의 센서측면(S22)과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S)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S62의 d는 제6 렌즈(L6)의 센서측면(S62)과 제6 렌즈(L6)의 후측에 위치하는 필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N는 해당하는 렌즈의 굴절률이고, f는 해당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는 해당하는 렌즈의 아베 수(Abbe number)이다. 여기서 r, d 및 f의 거리 단위는 mm이다.
Focal Length(F)는 전체 렌즈 광학게의 초점거리이고, CRA는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고, TTL은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거리(total track length)로서 구체적으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DFOV는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다. 여기서 F 및 TTL의 단위는 mm이고, CRA 및 DFOV의 각도는 도(degree)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면 중 비구면인 면은 다음의 수학식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4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낸다. 또한, A2 내지 A12는 비구면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비구면인 면의 비구면계수에 관한 표이다.
K A2 A4 A6 A8 A10 A12
S11 79.7597 0.4364 -0.5851 0.5023 -0.3315 0.0985 0.0000
S12 1.0585 0.7749 0.4016 -0.7812 -6.7496 54.0967 -88.9830
S21 99.0000 -0.1295 0.6667 -10.3445 50.5502 -134.7000 139.2732
S22 1.3375 0.4765 -6.0989 34.6891 -128.2281 259.9933 -198.2307
S31 10.3758 0.6119 -6.5676 38.9336 -159.1419 359.8946 -349.4029
S32 2.8251 -0.6955 3.2721 -9.7723 17.1528 -11.0797 0.2838
S41 2.4246 -1.6133 1.9718 -0.9122 -12.8692 49.7979 -53.7428
S42 1.0834 -0.7537 0.1200 2.8858 -9.6489 13.9858 -8.1411
S51 9.7082 0.5531 -0.5708 0.5006 -0.2154 -0.1125 0.3401
S52 -0.8839 0.9743 -1.9907 3.5704 -3.9464 2.6165 -0.7040
S61 -29.1487 0.0522 -1.0440 1.9564 -2.2465 1.3069 -0.2813
S62 -5.3262 -0.2044 0.0899 -0.0186 -0.0237 0.0153 -0.0028
도 4 및 위의 두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상술한 특성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는 본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에서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6의 값을 계산한 것이다.
조건식 대상값 제4 실시예의 대상값
조건식 1 -1.4<tanθ/f<-1.1 tanθ/f -1.2156
조건식 2 4.0< TTL/BFL<6.0 TTL/BFL 4.8696
조건식 3 -1.7<f1/f<-1.4 f1/f -1.5088
조건식 4 50<(V1+V2)/2<60 (V1+V2)/2 56.0928
조건식 5 30.0deg<CRA(MAX)<35.0deg CRA(MAX) 33.6612
조건식 6 0.2<FSL/TTL<0.3 FSL/TTL 0.2585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6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L3: 제3 렌즈 L4: 제4 렌즈
L5: 제5 렌즈 L6: 제6 렌즈
S11: 제1 렌즈의 물체측면 S12: 제1 렌즈의 센서측면
S21: 제2 렌즈의 물체측면 S22: 제2 렌즈의 센서측면
S31: 제3 렌즈의 물체측면 S42: 제4 렌즈의 센서측면
S41: 제4 렌즈의 물체측면 S42: 제4 렌즈의 센서측면
S51: 제5 렌즈의 물체측면 S52: 제5 렌즈의 센서측면
S61: 제6 렌즈의 물체측면 S62: 제6 렌즈의 센서측면
IS: 센서 S: 조리개
OF: 광학 필터

Claims (16)

  1.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 사이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센서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4 렌즈는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 및 센서측면은 모두 비구면이고,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비구면이고,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의 센서측면은 오목하고,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의 물체측면 및 센서측면은 모두 비구면이고,
    조리개는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θ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대각 방향의 화각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BFL 상기 제6 렌즈의 센서측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1.4<tanθ/f<-1.1
    4.0< TTL/BFL<6.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근축의 유효경 내의 주변에서는 오목한 렌즈 광학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은 유효경 내에서 볼록한 렌즈 광학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면은 유효경 내에서 오목한 렌즈 광학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한 렌즈 광학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의 센서측면은 근축에서 볼록한 렌즈 광학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된 렌즈 광학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된 렌즈 광학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제6 렌즈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4 렌즈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률이 상기 제6 렌즈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률보다 더 큰 렌즈 광학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5 렌즈는 굴절률이 1.5 이상이고 1.6 이하인 재질로 형성된 렌즈 광학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렌즈 광학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 광학계.
  13. 제1 항에 있어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1.7<f1/f<-1.4
  14. 제1 항에 있어서,
    V1은 상기 제1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50<(V1+V2)/2<60
  15. 제1 항에 있어서,
    CRA(MAX)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30.0deg<CRA(MAX)<35.0deg
  16. 제1 항에 있어서,
    FS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상기 조리개 사이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0.2<FSL/TTL<0.3
KR1020160138969A 2016-10-25 2016-10-25 렌즈 광학계 KR10191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969A KR101915644B1 (ko) 2016-10-25 2016-10-25 렌즈 광학계
CN201780062497.1A CN109844602A (zh) 2016-10-25 2017-10-19 透镜光学系统
PCT/KR2017/011562 WO2018080100A1 (ko) 2016-10-25 2017-10-19 렌즈 광학계
US16/393,891 US11002945B2 (en) 2016-10-25 2019-04-24 Optical le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969A KR101915644B1 (ko) 2016-10-25 2016-10-25 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56A true KR20180045156A (ko) 2018-05-04
KR101915644B1 KR101915644B1 (ko) 2018-11-07

Family

ID=6202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969A KR101915644B1 (ko) 2016-10-25 2016-10-25 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02945B2 (ko)
KR (1) KR101915644B1 (ko)
CN (1) CN109844602A (ko)
WO (1) WO2018080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1864B (zh) 2018-01-24 2018-1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8761737B (zh) * 2018-07-26 2020-07-03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CN111025541B (zh) * 2019-12-23 2022-01-25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1077648B (zh) * 2019-12-23 2021-12-14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WO2021159406A1 (en) * 2020-02-13 2021-08-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imaging device
CN112230397B (zh) * 2020-12-14 2021-02-23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250A (ja) * 2012-08-24 2014-03-13 Sony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4240918A (ja) 2013-06-12 2014-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TWI519810B (zh) * 2013-10-03 2016-02-01 光燿科技股份有限公司 廣視角光學鏡頭
TWI479190B (zh) 2014-03-24 2015-04-0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光學鏡組、取像裝置以及車用攝影裝置
CN104238084B (zh) * 2014-05-29 2017-01-18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KR101719880B1 (ko) * 2014-12-19 2017-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102380229B1 (ko) * 2015-03-06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TWI606255B (zh) * 2015-08-26 2017-1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02945B2 (en) 2021-05-11
KR101915644B1 (ko) 2018-11-07
US20190265443A1 (en) 2019-08-29
CN109844602A (zh) 2019-06-04
WO2018080100A1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644B1 (ko) 렌즈 광학계
KR102270077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164946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US9235029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lens
KR101425793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425790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1699681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60108080A (ko) 촬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50058972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KR101425791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2048984B1 (ko) 소형 망원 광학계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60112306A (ko) 초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661922B1 (ko) 렌즈 광학계
KR20170054335A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1831203B1 (ko) 렌즈 광학계
KR10171032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052545B1 (ko) 촬상 렌즈
KR102599615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1547462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568944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363470B1 (ko) 렌즈 광학계
KR20150012571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KR102139492B1 (ko) 렌즈 광학계
KR102159667B1 (ko) 렌즈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