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00A -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500A
KR20180044500A KR1020160138056A KR20160138056A KR20180044500A KR 20180044500 A KR20180044500 A KR 20180044500A KR 1020160138056 A KR1020160138056 A KR 1020160138056A KR 20160138056 A KR20160138056 A KR 20160138056A KR 20180044500 A KR20180044500 A KR 20180044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camera
image
tim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5345B1 (en
Inventor
임진국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임진국
조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국, 조세훈 filed Critical 임진국
Priority to KR102016013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3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4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real time observation and detection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a user gaz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processing an overlapping image signal and a device thereof. The method for processing an overlapping image signal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in a system composed to obtain the image information in at least two directions; obtaining the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ransmitting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se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be selectively displayed through a step of receiving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and selec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rection and a step of comparing a similarity degree between the selected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set image information in at least one region.

Description

이동용 시각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 및 구현 방법{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using a moving time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두 대의 카메라, 영상처리시스템, 이동 가능한 시각표시장치 등을 이용하여 관측 및 탐지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할 때 하나의 영상 정보에 다른 추가적인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대상이나 영역을 실시간 관측 및 탐지하고자 할 때에 해당 정보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관측 및 탐지가 이루어지게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image information to one image information when the observation and detection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real time using two cameras, an image processing system, a movable time display device, and the lik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observing and detecting 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nformation when it is desired to detect and providing various views.

일반적으로 기업이나 국공립 기관, 공항, 소방 및 방재센터,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관측 및 탐지용으로 운용되는 고감도 감시 카메라나 건물내부, 복도, 현관, 엘리베이터 내부 등에 설치되어 운용하는 소형 돔 형태의 카메라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정보는 해당 영상입력장치의 성능에 따라 촬영된 영상정보를 유무선을 이용하여 모니터 장치나 영상저장장치로 송출한다. Generally, a small dome-type camera installed in a high-sensitivity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side a corporation, a public or public institution, an airport, a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center, or a public facility for observation and detection, or inside a building, a hallway, It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provides video information. The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monitor or an image storage device using wired or wireless lin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input device.

일반적인 관측 및 탐지용 카메라는 카메라렌즈가 향하고 있는 방향의 특정 각도 범위에서의 영상만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부의 360도 방향회전을 통하여 다른 각도에서 관측된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영상들은 모니터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관찰자의 시각에 필요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기 어렵고, 특정부분에 대한 자세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경우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 실시간의 영상정보의 확인을 하는데 그 효과나 효율이 높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여러 대를 설치하지만 설치 및 운용 비용이 증가되고 한정된 시각정보를 보게 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실감이 높지 않다. 또한 각기 다른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을 연결하여 여러 개의 화면에 길게 표현하는 이른바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감시자의 입장에서는 넓은 범위의 카메라 영상이 화면에 나타난다 하여도 시각의 범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시간 감시를 요구하는 환경에서는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파노라마 영상의 효과가 낮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CCTV 카메라의 다른 형태인 360도 관측용 어안 렌즈나 특수렌즈를 채용한 카메라는 1개의 렌즈로 다양한 방향을 관측할 수 있지만 영상이 왜곡되고 특정 영역에 대한 확대 축소가 용이하지 않고, 왜곡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별도의 영상처리를 해야 하고, 그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탐지기능의 성능을 높이는데 기술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완벽하게 왜곡된 영상을 회복하는데 부가적인 영상처리를 위한 모듈을 필요로 하게 된다.Typical observation and detection cameras only provide images in a specific angle range in the direction the camera lens is pointing. And provides image information observed at different angles through 360 degre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unit as needed. In addition, since these images provide the user with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or the observer's view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when detailed image information is required for a specific part, The effect is not high enough to confir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veral camera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but the realistic feeling is not high from the viewpoint of users who see limited visual information with increased installation and operation costs. In addition, although a panoramic image is provided in which images input from different cameras are connected and displayed on a plurality of screens for a long time, even if a wide range of camera imag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n environment requiring surveillance, the effect of unilaterally provided panorama images is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amera using a 360 ° observation fisheye lens or a special lens, which is another type of CCTV camera used, can observe various directions with a single lens, but the image is distorted and the zoom in /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etection func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due to the necessity of separate image processing for correcting the distortion phenomenon, and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and additional image processing A module for the < / RTI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대하여 실시간 관측 및 탐지기능을 높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관측 및 탐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므로 최소한의 시스템 구성으로 사각지대, 현장감을 높여주고, 기존 시스템 가지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users to perform more effective observation and detection by enhancing real-time observation and detection functions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reby improving a blind spot and a presence feeling with a minimum system configuration,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본 발명은 기존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갖고 있는 특정각도에서 관측된 영상만 제공하는 것과 확대 축소가 곤란한 파노라마영상 또는 360도 영상 및 일반 모니터로 제공되어 관측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시선과 일치되는 실시간 관측 및 탐지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noramic image or a 360-degree image and a general monitor which are difficult to enlarge or reduce only the images observed from a specific angle of the existing surveillance camera system, To a system for improving real-time observation and detection performance. 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로써 제1카메라로 구성된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와 제1카메라보다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예를 들면, 360도 또는 시야각이 넓은 파노라마 영상입력이 가능한 제2카메라로 구성된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가 구비되고 특정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운동부(300)에 배치되며,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와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에서 관측된 영상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영상신호전달부(500),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가공하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400)으로 구비된다. 상기 영상신호전달부(500)는 상기 제1,2영상정보 입력부(100,200)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400)를 연결하고 상기 신호전달부(500)를 통해 전달된 각각의 영상정보를 영상처리시스템(400)에서 하나의 영상정보로 변환하여 시각표시장치(600)로 제공한다. 상기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의 방향에 대하여 사용자의 감시 또는 관찰하고자 하는 방향을 입력받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의 방향과 연동된 영역을 포함한 상기 제2영상정보입력부(200)의 적어도 일부의 영상정보가 상기 시각표시장치(600)에 표시된다. 또한 제1카메라 또는 제2카메라가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원하는 방향에 대하여 입력받은 움직임 신호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시각표시장치(600)에 사용자의 의도하는 방향의 영상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configured by a first camera and a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having a wider viewing angle than the first camera, And a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composed of a second camera capable of inputting a wide panorama imag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are disposed in at least one rotation unit 300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2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400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he image signal transfer unit 50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s 100 and 200 and the image processing system 400 to each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fer unit 500, (400) to provide one image information to the time display device (60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for receiving a direction to be monitored or observ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including the area linked with the direction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device 600. [ In addition, the first camera or the second camera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camera or the second camer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 or a desired direction, To display an ima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상기한 과제해결의 일 실시예 이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들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and drawings.

상기와 같이 구성되거나 방법을 적용하고 활용 및 응용을 하게 되면 종래의 특정위치에 설치되어 특정각도에서 관측되는 영상만을 제공하므로 인해 관측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설치비용과 운용 유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와, 이를 대체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360도 방향으로 관측이 가능한 카메라가 가지고 있는 확대 및 축소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적어도 한대의 주 감시용 제1카메라와 상기 주 감시 카메라보다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주 감시카메라의 영상이 표시되는 시각표시 장치에 상기한 제2카메라의 영상을 감시자의 시선 또는 실시간 감시 또는 관찰영역의 영상과 중첩시켜 시각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게 되면 실시간 관측 및 탐지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실시간 감시 또는 관찰자의 의도의 탐지나 관찰기능을 하나의 시각표시장치에서 구현됨으로 별도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적어도 감시 또는 관찰자의 시선에 변화를 주지 않고 관찰이나 감시를 함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관측 및 탐지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In order to prevent the observation effect from being degraded due to the provision of only the image observed at a specific angle, which is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related art,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operation maintenance cost are increased and the problem that the camera which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360 degrees to observe can not have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function is replaced by at least one first main camera And at least one second camera having a wider viewing angle than the main monitoring camera to display the image of the main monitoring camera in the time display device, When superimposed on the image and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device Time observation and detection performance can be enhanced and real time monitoring or observer's intention detection / observ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one visual display device, so that it is not displayed on a separate screen, and at least observation or monitoring So that more effective observation and detection is possible.

또한 사용자와 카메라들이 장착된 시스템과의 거리가 이격되어 무선으로 연결이 된 상황에서 시스템의 진행방향이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보다 시야각이 큰 다른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시스템의 전방과 주변부를 하나의 시각표시장치를 통해서 영역에 따라 중첩 또는 해당 방향의 영상을 실시간 관찰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와 시스템이 이격된 상황에서도 실시간 영상정보를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equipped with the cameras is remote and the camera is connected wirelessly, the camera is composed of a camera arr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a front direction of the system and another camera having a larger viewing angle than the camera, The real time image information can be effectively viewed even in a state where the user and the system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llowing the user to observe the image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or the direction in real time through one tim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의 방법의 절차
도 4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의 방법의 절차
도 5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의 방법의 절차
1 is a block diagram of a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a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 method of providing a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using a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 method of providing a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using a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 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중첩영상신호 처리시스템은 제1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카메라와 제2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1카메라보다 시야각이 큰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송신부와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2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전달된 상기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시각표시 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camera capable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 camera capable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viewing angl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amera, A first transmitter for externally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a second transmitter for externally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camera;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nsmitter, And a time display device for selectively displaying the time display area in at least one time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은 제1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카메라와 제2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1카메라보다 시야각이 큰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영상신호 전달부와 상기 영상신호 전달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시각표시 영역에 표시가능하게 하나의 중첩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과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중첩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시각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rst camera capable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one first camera capable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viewing angl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amera,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a video signal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and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camera,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one superimposed video signal so as to be able to be displayed in one time display area, and a tim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superimposed video signals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및 원거리 영상정보 입력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카메라로 구성된 제1영상입력부, 상기 제1카메라의 시야각보다 더 큰 영상정보의 범위나 더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로 구성된 제2영상입력부와 제1영상입력부와 제2영상 입력부가 설치되고, 적어도 제1영상입력부를 선회고저 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가 내장되고 특정 장소 및 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운동부와 회전운동부와 제1영상정보입력부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부와 제1영상정보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와, 제1영상정보입력부와 제2영상입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영상입력부에서 나오는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전달부와,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신호전달부에서 송신된 2개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영상으로 합치는 영상처리시스템과 하나로 합쳐진 영상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시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image input unit configured by at least one first camera that inputs near and far image information, a second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range of image information larger than a viewing angle of the first camera There is provided a second image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having a wider viewing angle, a first image input unit and a second image input unit, at least one drive motor capable of turning at least a first image input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rotation unit, the rotation unit, and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A signal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put units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imag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put units,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mbining two image signals into one image, and a time display device for visually providing a combined image to a user.

상기 시각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서는 HMD (Head Mounted Display) 방식의 시각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시 이외의 본 발명의 사상에 응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상현실기반의 시각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카메라는 360도 방향으로 동시에 영상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The time displa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time display device of HMD (Head Mounted Display) type is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virtual reality-based visual apparatuses applicable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can be applied. Also, the second camera may be a camera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image information in a 360-degre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제공 시스템은 하나의 제1카메라로 구성된 제1영상 입력부, 상기 제1영상 입력부의 상기 제1카메라보다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로 구성된 제2영상 입력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하나의 영상신호전달부, 영상입력부를 고정하는 마운트와 하나이상의 고정모터를 회전운동부, 회전운동부와 영상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동작제어부, 관측 및 탐지된 영상을 수신하여 하나의 중첩 영상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시각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e input unit configured by one first camera, at least one image input unit having a wider viewing angle than the first camera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A second image input unit including two cameras, a video signal transmitting unit of a wired or wireless type, a mount for fixing the image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rotation unit, the rotation unit, and the image input unit.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receiving the observed and detected images and processing them as one superposed image, and at least one tim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제2카메라는 영상정보에 사용자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에 대하여 대응되는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카메라를 중심으로 입력될 수 있는 소리에 대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가지고, 해당 입력부에 의한 소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시 또는 관찰의 방향에 따라 연동되어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스피커 시스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ha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with respect to a sound that can be inpu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cond cameras so that the dir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lative position and direction can be determined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a speaker system that can include sound information by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and outputs the audio information interlocked with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nitoring or observation.

또한 상기한 스피커 시스템과 상기한 시각표시장치는 일체화된 하나의 장비에 구현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일체화된 장비는 헬멧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peaker system and the above-described time display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one integrated device. The integrated equipment described above may be in the form of a helmet.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중첩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바, 제1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들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영상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영상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송신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영상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방향의 영상정보에서 표시할 영상정보를 선택하는 것과 상기 선택된 제2방향의 영상정보와 제1방향의 영상정보와의 유사정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cessing a superimposed image signal by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t least two directions,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Receiving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setting image information to be selectively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set image information in at least one are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signal processing method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set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may include selec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select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selected second direction, And comparing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informa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도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은 1개의 PTZ기능을 가진 CCTV 카메라로 구성된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 360도 관측기능이 내장된 하나의 카메라로 구성된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회전운동부(300)에 각각 배치되며, 제1영상정보입력부(100)와 제2영상정보입력부(200)에서 관측된 영상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영상신호전달부(500), 수신된 영상정보를 가공하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400)으로 구비된다. 신호전달부(500)는 제1,2영상정보 입력부(100, 200)와 영상처리시스템(400)를 연결하고 신호전달부(500)를 통해 전달된 각각의 영상정보를 영상처리시스템(400)에서 하나의 영상정보로 합쳐 시각표시장치(600)로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verlapp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im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configured by a CCTV camera having one PTZ function, one camera having a 360 degree observation function A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configured by a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and a rotation unit 300 installed and fixed at a specific place,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400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he signal transfer unit 50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s 100 and 200 to the image processing system 400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fer unit 500 to the image processing system 400. [ And provides it to the time display device 600. The time display device 600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제공시스템에 대한 상세 동작을 도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operation of the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im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각표시장치(600)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은 특정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회전운동부(300)에 하나의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와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가 설치된다.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는 특정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특정지역 또는 공간을 관측 및 탐지하여 관측 및 탐지된 영상신호(S110)를 영상신호전달부(500)로 보낸다.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는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를 중심으로 보여지는 360도 방향의 공간정보에 대한 영상신호(S210)를 영상신호전달부(500)로 보낸다. 영상신호전달부(500)는 제1,2영상정보 입력부(100,200)에서 보내온 영상신호 (S110, S210)를 영상처리시스템(400)의 영상수신부(410)로 송신한다. Referring to FIG. 2, an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ime display device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and a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in a rotation unit 300, A video information input unit 200 is provided.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faces the specific direction and observes and detects a specific region or space, and sends the image signal S110, which is observed and detected, to the image signal transmission unit 500. [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sends a video signal S210 for spatial information in the 360-degree direc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to the image signal transfer unit 500. The video signal transmitting unit 500 transmits the video signals S110 and S210 s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video information input units 100 and 200 to the video receiving unit 410 of the video processing system 400. [

영상처리시스템의 영상수신부(410)는 수신된 2개의 영상신호(S110, S210)를 영상처리부(420)로 보내며, 2개의 영상신호(S110, S210)를 수신한 영상처리부(420)는 중첩영상신호(S410)를 생성한다. 영상처리부(420)에서 중첩영상신호(S410)를 생성하면 영상송신부(430)는 시각표시장치(600)로 중첩영상신호(S410)로 송신한다. 시각표시장치는(600)는 중첩영상신호(S410)를 영상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360도 관측영상과 특정지역 또는 공간의 관측영상을 동시에 제공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410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sends the received two image signals S110 and S210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42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420 receiving the two image signals S110 and S210 receives the superimposed image Signal (S410). When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S410 is generated in the video processing unit 420, the video transmitting unit 430 transmits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S410 to the time display unit 600. [ The time display device 600 converts the superposed video signal S410 into imag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360-degree observation image and an observation image of a specific region or space at the same time.

동작제어부(700)는 적어도 상기 제1영상입력부의 카메라의 시야각에 대하여 상하좌우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부와 조종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영상정보 입력부의 카메라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700)를 조작하여 회전운동부(300)을 선회구동할 수 있으며, 제1영상정보 입력부를 고저 구동시킨다. 이때 제2영상정보 입력부(200)는 고정되어 어떠한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는다. 필요시 고정 설치된 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됨으로 입력영상의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된 것으로 예시로 한다. 상기한 동작제어부는 추가적으로 동장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한 회전운동부(300) 또는 달리 표현될 수 있는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설치 될 수 있다. 상기한 신호발생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동작제어부에서 상기한 구동부에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제1 카메라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700 includes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viewing angle of the camera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and has a control function for changing the camera focal length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 ≪ / RTI > The rotary motion unit 300 can be swivel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700 and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is driven at a high level. At this time,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200 is fixed and does not move in any direction. If necessary, the area of the input image can be changed by being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mounting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it is fix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motion control signal, and the signal generating unit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rotatable unit 300 or a housing that may be otherwise represen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driving unit by the signal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는 회전운동부(300)의 선회구동 및 제1영상정보 입력부(100)의 고저구동에 따른 변경된 관측 및 탐지 영상정보를 영상신호(S110)로 변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영상처리부(420)로 전달되면 영상처리부(420)는 변경된 영상신호(S110)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중첩영상신호(S410)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위치 또는 방향 변환에 따른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도록 한다.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converts the observation and detection image information changed due to the turning motion of the rotation unit 300 and the high and low driving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100 into the image signal S110, The image processing unit 420 processes the changed image signal S110 in real time and generates the superposed image signal S410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direction conversion in real time.

또한 상기 제2영상입력부는 영상정보에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는 다수개의 음성신호 입력부를 가지고,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들에 의한 음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상기한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스피커 시스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dio signal input unit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camera, and may include audio information by the audio signal input units, And a speaker system for outputting the speaker signal.

또한 상기한 스피커 시스템과 상기한 시각표시장치는 소리발생장치를 가지는 헤드셋과 시각표시장치로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소리발생장치와 시각표시장치는 일체화된 하나의 장비에 구현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각표시장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일체화된 장비는 헬멧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peaker system and the above-described time display device may be constituted by a headset hav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time display devic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and the time display device may be integrated into one integrated device. For example, the time display device may be a virtual reality and an augmented reality device. The integrated device described above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helmet.

도 3은 본 실시예의 시각표시장치를 이용한 중첩영상정보 제공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중첩영상에 대한 개략도이다. 중첩영상신호 표시영역(S420)에 제2영상정보 입력부의 영상신호(S210)를 배경영상으로 하고 제1영상정보 입력부의 영상신호(S110)를 배경영상인 영상신호(S210) 앞에 사각형 모양으로 투영하여 두 개의 영상신호(S110, S210)를 동시에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중첩영상신호 표시영역(S420)에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400)에서 생성된 중첩영상신호(S410)가 표시가 될 수 있고, 이 때 중첩영상신호(S410)는 배경영상과 특정지역이나 공간, 피사체를 보여주는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사각형 모양의 제1영상정보 입력부의 영상신호(S110)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대적인 영상의 밝기를 달리 설정하거나 부가적인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3 is a schematic view of a superimposed image provided by the superimpos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tim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deo signal S210 of the second video information input unit is set as the background video and the video signal S110 of the first video information input unit is projected in a square shape before the video signal S210 as the background video in the superposed video signal display area S420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video signals S110 and S210.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S410 generated by the video processing system 400 may be displayed on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display area S420, Area, space, and subject. The image signal S110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having a rectangular shape can be adjusted in size. Also, the brightness of each relative image can be set differently or additional signals can be displayed.

도4는 제2실시예로써 입력되는 서로 다른 영상정보가 시각표시장치(600)로 전달되는 과정이 무선에 의하여 전달 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영상이 입력되는 위치가 탐지 또는 감시하려는 위치와의 거리가 멀거나, 상대적인 거리와 위치가 변화되는 외부환경이나 사용환경인 경우에는 무선에 의한 영상신호의 전달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써 구난이나 소방용 감시장치가 위험지역이나 화재가 난 건물내부 등 사용자의 시각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무선에 의하여 실시간 영상정보가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different image information inputted as the second embodiment to the time display device 600 is transmitted by radio.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is input is implemented in the external environment where the distance to the position to be detected or monitored is long or the relative distance and position is changed or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image signal by wireless when using environment. As an example, when a rescue or fire-fighting surveillance system deviates from the user's visual range, such as a dangerous area or a fire-exposed building, it is preferable that real-time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radio.

도5는 제3실시예로써 입력되는 서로 다른 영상정보가 시각표시장치(600)로 전달되는 과정이 무선에 의하여 전달 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2실시예에서 영상처리시스템(400)을 거치지 않고 각각 영상입력부(100,200)에서 만들어진 영상이 시각표시장치(600)인 가상현실장치으로 전달이 되어 시각표시장치(600)에서 각각의 영상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즉, 상기 생성된 각각의 영상정보가 사전에 중첩영상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표시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ifferent image information to the time display device 600 is transmitted by radio, The image generated in the display devices 100 and 200 is transmitted to the virtual reality device as the time display device 600 and each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time display device 600. [ That is,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out generating the superimposed image signal in advance.

또한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상기 중첩영상신호 표시영역(S420)에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제1영상정보 입력부에서 생성된 영상신호(S110)와 제2영상정보입력부에서 생성된 영상신호(S210)가 중첩영상신호 표시부(S420)에 선택적으로 표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정보와 제2영상정보는 사용자의 시각과 지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영상표시 장치 또는 동일한 방향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 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으로 시각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상기 제1카메라의 제1방향과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변화를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인식부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시각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전방을 향하여 보고 있는 경우에는 제1영상의 제1카메라 방향과 제2카메라의 방향이 일치되거나 유사한 방향인 경우에는 제2카메라의 넓은 시야각의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제1카메라에 의한 영상만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시각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이 제1 카메라의 제1방향과 다르거나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시각표시 영역에 제2카메라의 영상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시각에 연동하여 상기 시각표시 영역에 해당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인식부는 외부의 카메라에 의하여 사용자의 전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얼굴이 회전한 각도를 인식하여 제1 방향에 대하여 변화된 사용자의 시선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나 귀 등에 안경, 헤드셋 등의 형태로 신체에 착용한 장치에서 상기 제1방향과의 상대적인 변화된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대적인 시선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장치와 같은 경우에는 내부에 탑재되거나 부가장치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3차원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시선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1 to 5, an image displayed in the superimposed image signal display area S420 may include a video signal S110 generated by the first video information input unit and a video signal S210 generated by the second video information input unit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display unit S420.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in one image display device or a predetermined area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user's time and direction. That is,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which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 a user mo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change in the user's gaz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in the time display area by a negativ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oking forward, if the first camera direction of the first image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or the similar directi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wide view angle of the second camera is not selectively displayed, It is possible to set the display in the time display area so that only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can be viewed by the user. When the user's gaz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or is out of the area, the user can display the video information in the time display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of the user in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second camera have. The motion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e angle of the face rotated relative to the front of the user by an external camera, and measures the gaze of the user changed in the first direction. Further, in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in the form of glasses, a headset, etc. on the user's head or ear, a relative change relative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measured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relative gaze can be measured. Also, in the case of a virtual reality apparatus, the direction of a line of sight can be recognized by measuring a movement of a three-dimensional user by means of a sensor installed inside or attached to an additional apparatus.

상기 도4내지 도5의 경우는 예컨데 드론과 같은 무인소형 비행체에서 구현이 될 수 있는바, 비행체의 진행 또는 전방을 향한 제1카메라와 광시야각을 가지거나 360도 영상정보 획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가 설치된 비행체를 지상 또는 제3의 장소에서 상기 비행체에 있는 다수의 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하나의 시각표시 장치에서 방향에 따라서 중첩영상 또는 해당영역의 영상을 관찰하게 함으로써 비행체를 이용한 감시 또는 관찰 등의 작업에서 보다 실효성을 가지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무인차량이나 원격조종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진행방향의 카메라와 광시야각, 파노라마, 360도 카메라와 같은 제2 카메라의 영상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과 진행방향의 제1카메라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중첩하여 영상을 제공함으로 현실감과 실시간 상황을 인식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조정을 통한 로봇조작이나 작업자와 이격되어 있는 특수 작업이나 특수목적 장비의 원격조종을 통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보다 현실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4 to 5 may be implemented in a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having a wide view angle with respect to a first camera facing forward or forward, It is possible to observe a superimposed image or an image of a corresponding area in a single time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the images of a plurality of cameras in the air vehicle on the ground or at a third place, It is possible to make the work more effective in the work such as observation. Also, in the unmanned vehicle or the remote control vehicle,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selected using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such as the camera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wide viewing angle, panorama, So that it becomes easy to recognize real-time situations and real-time situa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realistic environment in real time in a process of performing a robot operation through remote control, a special operation separated from an operator, or a remote control operation of a special purpose apparatu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제1영상정보 입력부
200: 제2영상정보 입력부
300: 회전운동부
400: 영상처리시스템
500: 신호전달부
600: 시각표시장치
700: 동작제어부
800: 동작인식부
S110: 제1영상신호
S210: 제2영상신호
S410: 중첩영상신호
S420: 중첩영상 표시영역
100: first image information input section
200: second image information input unit
300:
400: Image processing system
500:
600: time display device
700:
800:
S110: First video signal
S210: a second video signal
S410: superimposed video signal
S420: overlapped video display area

Claims (14)

제1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카메라와
제2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1카메라보다 시야각이 큰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송신부와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2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전달된 상기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시각표시 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At least one first camera capable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A housing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amera;
A first transmitter for externally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A second transmitter for externally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camera;
And a time display device for selectively display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n at least one time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적어도 제1카메라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동작제어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하우징과 실제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changing a direction of at least a first camera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hanging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substantially apart from the housing Superimposed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송신부와 상기 제2송신부를 상기 시각표시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and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are transmitted to the tim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시각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상기 제1카메라의 제1방향과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변화를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인식부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시각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which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 a user a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nge in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Is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시 영역은 가상현실장치에서 표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display area is displayed in a virtual reality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격조종 차량, 무인차량, 무인항공기, 원격조종 작업용 로봇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housing is installed in any one of a remote control vehicle, an unmanned vehicle, a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robot for remote control work,
제1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카메라와
제2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1카메라보다 시야각이 큰 적어도 하나의 제2카메라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영상신호 전달부와
상기 영상신호 전달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시각표시 영역에 표시가능하게 하나의 중첩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과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의 중첩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시각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At least one first camera capable of obtain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A housing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amera;
An imag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and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camera to the outside;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one superimposed video signal so that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signal transmitting unit can be displayed in at least one time display area;
And a tim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제1카메라의 제1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동작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구동부에 대한 동작제어 신호발생부는 상기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n operation driving unit for chang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an operation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for the operation driving unit is installed to be substa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상기 제1카메라의 제1방향과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변화를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인식부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시각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 a user a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nge in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tim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ime display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전달부는 무선에 의하여 상기한 영상신호들을 상기 영상처리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image signal transfer unit transfers the image signals to the image processing system by wireles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시 장치는 가상현실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display device is a virtual realit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격조종 차량, 무인차량, 무인항공기, 원격조종 작업용 로봇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housing is installed in any one of a remote control vehicle, an unmanned vehicle, a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robot for remote control work,
제1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들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영상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영상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첩영상신호 처리 방법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 a first direction;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ransmitting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Receiving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set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set video information in at least one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영상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방향의 영상정보에서 표시할 영상정보를 선택하는 것과 상기 선택된 제2방향의 영상정보와 제1방향의 영상정보와의 유사정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중첩영상신호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set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may include selec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select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selected second direction, And compar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superimpose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20160138056A 2016-10-23 2016-10-23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KR102625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056A KR102625345B1 (en) 2016-10-23 2016-10-23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056A KR102625345B1 (en) 2016-10-23 2016-10-23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00A true KR20180044500A (en) 2018-05-03
KR102625345B1 KR102625345B1 (en) 2024-01-12

Family

ID=6224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056A KR102625345B1 (en) 2016-10-23 2016-10-23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34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071A (en) * 1997-10-29 1999-05-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Radio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device, mobile relay station and radio mobile working machine
JP2000333161A (en) * 1999-05-21 2000-11-30 Hitachi Denshi Ltd Monitoring cctv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071A (en) * 1997-10-29 1999-05-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Radio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device, mobile relay station and radio mobile working machine
JP2000333161A (en) * 1999-05-21 2000-11-30 Hitachi Denshi Ltd Monitoring cctv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345B1 (en)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8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t least one observation area
JP5189536B2 (en) Monitoring device
KR100716306B1 (en) System to monitoring forest fire
US103974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t least one observation area
KR20100129125A (en) Intelligent panorama camer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video monitoring system
KR2017004445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amera using Head mount display
EP1611744B1 (en)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ermitting eye contact between participants in a videoconference
KR101297294B1 (en) Map gui system for camera control
KR20110044101A (en) Watching apparatus using dual camera
KR20100121086A (en) Ptz camera application system for photographing chase using sound sour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452342B1 (en) Surveillance Camera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1109630A (en) Universal head for camera apparatus
JP5309499B2 (en) Security camera device in elevator
KR101619839B1 (en) Size and distance of the object detection device using a stereo camera PTZ functions are available
KR20180044500A (en)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mplemented using a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CN210075404U (en) Panoramic camera system
JP2002101408A (en) Supervisory camera system
KR2017006895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JP7461766B2 (en) Monitoring system
KR101061868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dual surveillance camera
JP2006115080A (en) Monitor camera controller and monitor camera system
CN110855886A (en) Unmanned platform remote control operation visual sound system
JP2008085607A (en) Monitoring camera system
KR20190109168A (en) Multi-User Oper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Mixed Reality Device
JPH05241540A (en) Visu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