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223A -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223A
KR20180044223A KR1020170146614A KR20170146614A KR20180044223A KR 20180044223 A KR20180044223 A KR 20180044223A KR 1020170146614 A KR1020170146614 A KR 1020170146614A KR 20170146614 A KR20170146614 A KR 20170146614A KR 20180044223 A KR20180044223 A KR 2018004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einforcing
cast iron
pipe structur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0920B1 (en
Inventor
고영태
이기천
Original Assignee
고영태
주식회사 청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태, 주식회사 청우산업 filed Critical 고영태
Priority to KR102017014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20B1/en
Publication of KR2018004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ast-in-place concrete pile,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cast-in-place concrete pile comprises: a step of preparing a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ed bar; a step of disposing the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ed bar on an excavation hole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and a step of placing concrete inside the disposed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ed bar to form a concrete unit. The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ed bar includes a steel pipe and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ipe.

Description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stee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piling structure using the steel pipe structure.

본원은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using the same.

토목, 건축, 플랜트 등 구조물 공사 현장에서는 상부 구조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파일 공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은 희생강관을 사용하거나 이중합성 강관을 이용하여 강관 내부를 굴착한 이후, 철근망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In construction sites such a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plant construction, file construction is indispensable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superstructure. Conventional installation of concrete piling concrete file was done by using sacrificial steel pipe or using double composite steel pipe to excavate the inside of steel pipe and then inserting reinforcing net into concrete.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희생강관을 적용한 파일 시공 방법은 지반 내 토압 및 수압을 지지하기 위한 두꺼운 희생강관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 희생강관 내 내부 토사를 굴착 및 제거하는 단계, 희생강관의 중공부 내부에 철근망을 삽입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general sacrificial steel pipe includes a step of inserting a thick sacrificial steel pipe to support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in the ground, a step of excavating and removing internal soil in the sacrificial steel pipe, Inserting the reinforcing net, and placing the concrete and completing the construction.

또한, 이중합성 강관을 적용한 파일 시공 방법은 지반 내 토압 및 수압을 지지하기 위한 두꺼운 굴착용 강관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 굴착용 강관 내 내부 토사를 굴착 및 제거하는 단계, 굴착용 강관의 중공부 내부에 얇은 희생강관 삽입 후 철근망을 삽입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타설 완료 후 굴착용 강관을 인발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참고로, 이러한 이중합성 강관을 적용한 파일 시공 방법은 단순히 희생강관의 두께를 얇게 하여 파일 시공에 소요되는 강재의 물량만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다.In addition,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double composite steel pipe includes a step of inserting a thick steel pipe for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in the ground, a step of excavating and removing internal gravel in the steel pipe for excavation, A step of inserting a reinforcing net after inserting a thin sacrificial steel pipe therein, and a step of pouring a steel pipe for excavation after completing the pouring of the concrete and completing the construction. For reference,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h a double composite steel pipe i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material required for pile construction by simpl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acrificial steel pip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파일 가설 완료 이후, 강관과 그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하지 못하고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부로부터 재하되는 하중 및 지반 내 하중을 철근콘크리트부가 100% 저항하는 것으로 설계를 수행한다.Since the steel pipe and the concrete placed therein do not behave integrally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le construc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cause the reinforced concrete portion to resist 100% of the load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in- Design is performed.

다시 말해,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파일 시공 완료 이후 강관과 철근콘크리트부가 분리된 비합성 구조로서, 강관을 제외한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외부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되며, 이로 인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are non-composite structures in which the steel pipe and the reinforced concrete portion are separa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ile construction,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xcluding the steel pipe is designed to withstand external loads.

완공 시 강관과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합성 구조가 아닌 분리 구조이므로, 강관의 높은 강성이 구조부재로 전혀 사용되지 못하는 낭비 요소가 있었다. 아울러,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직경 32 mm 이상의 철근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철근망을 제작하기 위한 장비 도입이 필요하였고, 제작된 철근망의 운반 및 시공 시에 철근망의 변형 등으로 인해 시공이 어렵고 정밀도 또한 떨어지게 된다.Since the steel pipe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re not a composite structure but a separate structure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re is a waste factor that high rigidity of the steel pipe can not be used at all as a structural member. In additio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at resists external loads requires reinforcing bars with a diameter of 32 mm or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equipment for making the reinforcing net in the field. Also, when the reinforcing net is manufactured and transport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truct and the precision is also reduced.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둥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146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6146.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관을 작용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사용하고 별도의 철근망을 생략할 수 있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eel bar which can be used as a structural member that resists a working load and can eliminate a separate reinforcing net, .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은,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공에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배치된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강관 및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강관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강관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주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Disposing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on the excavation hole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And forming a concrete portion by placing concrete in the disposed steel pipe structure with the reinforcing steel attached thereto, wherein the steel pipe structure having the steel pipe comprises a steel pipe and a plurality of steel pipes, eac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disposed integrally with the steel pipe.

또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강관; 및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강관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강관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주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And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ip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강관 및 강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주철근을 갖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가 굴착공에 배치된 후,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부가 형성됨으로써, 강관에 부착된 주철근을 매개로 강관과 철근콘크리트가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된 강합성 구조가 형성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강관을 작용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사용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철근망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이 필요 없이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이 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 원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고, 시공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ipe and the steel pipe is disposed in the excavation hol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structure with the reinforcing steel to form a concrete portion A steel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pipe and the reinforcing concrete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ast steel rope attached to the steel pipe can be formed. As a result, the steel pipe can be used as a structural member which resists the working load unlike the conventional steel pipe. Concrete piles can be constructed without need for rebar nett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개략적인 배근도이다.
도 3은 도 2a의 B-B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복수 개의 주철근 중 하나 이상(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강관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a는 도 2a의 C-C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단면보강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2a의 A-A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가이드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의 굴착공에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D-D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chematic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eel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schematic view of a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steel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FIG. 4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at at least one end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of a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an end of a steel pipe; to be.
FIG. 5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CC of FIG. 2A.
FIG. 5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of a steel pipe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eel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2A.
FIG. 6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uide member of a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bar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in a step of disposing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on a drilling hole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DD of FIG. 7A.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a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pper, lower, etc.) related to directions and positions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viewed in FIG. 2A, the 12 o'clock direction may be the upper side, and the 6 o'clock direction generally may be the lower side.

본원은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본원에서 설명하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일반적인 말뚝 기초(예를 들면, 말뚝-푸팅-교각 순으로 하부 구조가 시공될 때 말뚝 부분)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using the same. For reference,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but not limited to, a general pile foundation (e.g., a pile portion when the sub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e order of pile-footing-pier).

예를 들어, 본원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단일현장타설말뚝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가 적용되는 단일현장타설말뚝은 푸팅(footing) 없는 기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단일한 현장타설말뚝이 푸팅없이 계속적으로 상향 연장되어 교각 기둥과 직접 연결되는 말뚝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원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교각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말뚝-푸딩-교각 순으로 하부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 말뚝 부분이 아닌 교각 부분에도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ed steel tube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a single field drilled pile. Here, a single field drilled pile to which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is applied to a footing-free foundation, and a single drilled pile is continuously extended upward without footing to refer to a pile directly connected to the pillar column Can be understood. As another example, the reinforced steel tube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a bridge pier. Specifically, the steel-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 pier portion, not a pile por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pile-pudding-pier bridge structure in that order.

이처럼, 본원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강합성의 파일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 내지 다양한 구조 파트에 적용될 수 있다.As such,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r various structural parts in which a steel composite file structure can be used.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이하 '본 시공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에 이용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에 대해서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and a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를 준비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method includes a step (S100) of preparing a steel pipe structure 1 with a steel bar.

먼저,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will be described.

도 2a는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개략적인 배근도이며, 도 3은 도 2a의 B-B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복수 개의 주철근 중 하나 이상의 단부가 강관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5a는 도 2a의 C-C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단면보강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a는 도 2a의 A-A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가이드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FIG. 2A is a schematic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steel of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FIG. 2B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eel pipe structure with a steel pipe of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 And Fig. 4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at at least one end portion of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of a steel pipe-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of the present method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end of a steel pipe. Fig. 5A is a schematic view FIG. 6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AA of FIG. 2A,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steel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uide member of a steel pipe structure. Fig.

참고로, 도 2a는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므로, 도 2a에는 강관(11) 내부의 주철근(13) 중 일부만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15)에 인해 주철근(13)의 단부가 강관(11)으로부터 소정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 등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가 생략되었다. 아울러, 도 2a에는 주철근(13)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 배치되는 일 구현예에 대한 도시 또한 생략되었다.2A is a schematic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nly a part of the cast iron rope 13 inside the steel pipe 11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2A and the end of the cast iron rope 13 is connected to the steel pipe 11 And the like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FIG. 2A also omits an illustration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pipe 13 is protruded.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강관(11)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강관(11)은 건설용 파일에 적용되는 강관일 수 있다. 이를테면, 강관(11)은 통상 직경 1.0 m 내지 3.0 m의 대구경 강관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관(11)이 대략 직경 1.0 m 이상의 대구경 강관인 경우, 공장, 현장 제작장 등에서 강관(11)에 대한 주철근(13)의 일체적인 부착 공정(예를 들면, 용접 공정)의 수행을 위한 강관(11)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강관(11)은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도로 운송 시 적용되는 규정으로 인해 15 m 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 배치를 위한 굴착 깊이가 강관(11)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둘 이상의 강관(11) 간의 연결이 필요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a steel pipe structure 1 with a steel bar includes a steel pipe 11. Illustratively, the steel pipe 11 may be a steel pipe applied to a construction pile. For example, the steel pipe 11 may be a large diameter steel pipe having a diameter of 1.0 m to 3.0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steel pipe 11 for performing an integral attachment step (for example, a welding step) of the steel main body 13 to the steel pipe 11 at a factory, a field production site, or the like, when the steel pipe 11 is a large- 11) inner spa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it becomes easier to manufacture the steel pipe structure 1 with reinforcing bars. The steel pipe 11 may have a length of 15 m or less due to the regulations applicable to road transport of the steel-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Accordingly, when the excavation depth for the file arrangement exceeds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1, a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steel pipes 11 may be requir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복수 개의 주철근(13)을 포함한다. 주철근(13)에는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형철근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주철근(13)의 직경은 32 mm 이상일 수 있다.2A and 2B, the steel pipe structure 1 with reinforcing bars includes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 deformed reinforcing bar may be applied to the cast iron 13 to serve as a shear connection memb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cast iron rods 13 may be 32 mm or more.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과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extend vertically. 3,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re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ipe 11. Illustratively,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may be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

또한,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 중 하나 이상(적어도 하나)은 후술할 S300 단계에서 연결되는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과의 겹이음(lap joint) 길이가 확보되도록, 그의 단부가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2B and 4, at least one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be joined to the other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 An end portion thereof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so that a length of a lap joint with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is secured.

예시적으로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하나 건너 하나씩)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도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하나 건너 하나씩)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돌출된 주철근(13)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미돌출된 주철근(13')과 겹이음될 수 있고, 반대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미돌출된 주철근(13)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돌출된 주철근(13')과 겹이음될 수 있다. 이때, 주철근(13)의 돌출량은 해당 주철근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겹이음 길이가 확보될 수 있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7a를 참조하면, 이처럼 겹이음이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가며 형성됨으로써, 상하 방향(깊이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깊이에 겹이음이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철근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S. 2B and 4,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alternatel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one by o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urther,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other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alternatel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one by o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7A, the protruded cast iron rope 13 of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can be overlapped with the non-protruded cast steel rope 13 'of another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and on the contrary, The unprojected cast iron rope 13 of the structure 1 may be overlapped with the projected cast iron rope 13 'of another steel pipe-coated steel pipe structure 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rojecting amount of the cast iron rope 13 such that a sufficient lap joint length can be ensured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cast iron root and the like. Referring to FIG. 7A, since the folded joints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zigzag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lded joints from being continuously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same dept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epth direction) .

다만, 겹이음 방식은 상술한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의 주철근(13) 전부가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의 주철근(13') 전부가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 주철근(13, 13')의 중첩을 통해 형성되는 겹이음 길이는 필요 겹이음 길이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fold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example, all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and all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other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 At this time, the lap joint length formed through the superposition of the two cast iron rods 13, 13 'can be set to be twice or more the length of the necessary lap joint length.

또한, 도 2a 및 도 5a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국부 좌굴 및 변형이 억제되도록 강관(11)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단면보강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면보강부재(16)는 복수 개의 주철근(13)이 통과되는 복수 개의 통과 홀(161)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면보강부재(16)의 재질은 강관(11)과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강재일 수 있다.2A and 5A,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includes a ring-shaped cross-sectional reinforcing member 16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so as to suppress local buckling and deformation . 5A and 5B,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pass. Illustratively, the material of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may be a steel material so as to facilitate joining with the steel pipe 11. [

강관(11)은 시공 중에 발생하는 토압, 수압, 콘크리트 측압 등에 저항하는 구성인데,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에 따르면, 이러한 강관(11)에 복수 개의 주철근(13) 및 단면보강부재(16)가 구비되므로, 강관(11)의 강성이 보강되어 종래에 사용되던 희생강관보다 강관의 두께가 줄일 수 있다. 다만, 강관의 두께를 줄임에 있어서, 본원에서는 강관이 구조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강관 외측의 외부 환경(지하수, 해수 등)의 영향으로 인한 부식 가능성을 고려하여 구조부재로서의 구조 계산에서는 제외되는 더미 두께(부식을 감안한 두께 여유치)는 확보한 상태에서 구조 계산 결과에 따라 강관의 두께를 줄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강관의 부식을 고려한 더미 두께는 강관에 대한 방식 처리 상태, 외부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강관 부식 속도, 파일의 설계수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ipe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nd a cross section reinforcement Since the member 16 is provided, the rigidity of the steel pipe 11 is reinforced,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sacrifice steel pipe used in the related art. However, since the steel pipe is used as a structural member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the pile thickness excluding the structural calculation as the structural member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orrosion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ground water, seawater, etc.) outside the steel pipe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calculation.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dummy considering the corrosion of the steel pipe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reatment condition of the steel pipe, the expected corrosion rate of the steel pip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design life of the pile.

또한, 주철근(13) 및 단면보강부재(16)의 구비(부착) 없이 단순히 강관(11)의 두께가 얇아지면, 강관(11)의 운송 중이나 시공 중에 강관(11)에 꺾임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축방향 강성이 강관(11)과 주철근(13)의 일체적 결합에 의해 충분히 확보되고, 단면의 국부좌굴 및 변형은 단면보강부재(16)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참고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축방향 강성의 충분한 확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철근은 직경이 32 mm 이상임이 바람직하다.Further, if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1 is simply reduced without the provision of the main reinforcement 13 and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damage such as bending to the steel pipe 11 may occur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steel pipe 11 or during constru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e axial rigidity of the steel pipe structure 1 with reinforcing steel is sufficiently secured by the integral coupling of the steel pipe 11 and the steel main pole 13, and the local buckling and deformation of the cross section is prevented by the cross- 16). ≪ / RTI > For reference,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axial rigidity of the steel pipe structure 1 with reinforcing bar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steel main bar is 32 mm or more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단면보강부재(16)는 복수 개 구비되어 강관(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2A, a plurality of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s 16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eel pipe 11. As shown in Fig.

또한, 도 2a 및 도 6a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가이드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는 강관(11)의 단부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강관(11)의 단부의 용접에 의한 상호 결합 시, 복수 개의 주철근(13)의 열변형이 저감 또는 방지되도록, 복수 개의 주철근(13)과 강관(11)의 단부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5)의 효과는 자세히 후술한다.2A and 6A,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include a guide member 15. The guide member 15 is formed so that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is reduced or prevented when the ends of the steel pipe 11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of the end portions of the steel pipe 11 of the other steel pipe- ,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end portions of the steel pipe (11) from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The effect of the guide member 15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예시적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5)는 강관(11)의 단부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주철근(13)은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철근(13)은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부러진 상태로 강관(11)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부재(15)의 재질은 강관(11)과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강재일 수 있다.6A and 6B, the guide member 15 may be in the shape of a r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pipe 11. [ Referring to FIG. 6A, the cast iron 13 can be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Illustratively, the cast iron rope 13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end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 in a bent state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 Illustratively, the material of the guide member 15 may be a steel material so as to facilitate joining with the steel pipe 11. [

도 3을 참조하면,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에 부착 배치되는데, 가이드 부재(15)가 결합된 강관(11) 단부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면서 강관(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강관(11)의 내주면에 부착된 주철근(13)은 강관(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기 위해 구부림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연장되다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강관(11) 내측으로 비스듬히 구부러져 연장됨으로써, 강관(11)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주철근(13)은 상기 구부러진 방향과 반대방향(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다시 구부러져 연장됨으로써, 강관(11)의 상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주철근(13)은 강관(11)으로부터의 이격을 위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구부러질 수 있고,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대한 용이한 접합을 위해 다시 상하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재차 구부러질 수 있다. 3, the cast iron 13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t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to which the guide member 15 is coupled, And can be spaced inwardly from the steel pipe 11. The cast iron rope 13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can be bent to be spaced inward from the steel pipe 11. [ As a concrete example, the cast iron rope 13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nd may be gradually spaced inwardly from the steel pipe 11 by being bent obliquely 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11 at a predetermined angle . In addition, the cast iron rope 13 can be bent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outward direction), thereby extending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 [ That is, the cast iron rods 13 can be ben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separate from the steel pipe 11, and bent again to be parallel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for easy join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

또한, 주철근(13)과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t iron 13 and the guide member 15 can be joined by welding.

S100 단계는, 이러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를 준비하기 위해, 강관(11)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강관(11)은 공장 제작될 수 있다. 또한, S100 단계는 강관(11)에 복수 개의 주철근(13)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용접에 의해 강관(11)에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강관(11)이 직경 1.0 m 내지 3.0 m의 대구경 강관인 경우 용접 작업을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강관(11)에 대한 주철근(13)의 용접이 용이할 수 있다.Step S100 may include the step of preparing the steel pipe 11 in order to prepare such a steel pipe structure 1 with reinforcing bars. The steel pipe 11 can be manufactured in the factory. Also, the step S100 may include a step of coupling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to the steel pipe 11.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can be integrally joined to the steel pipe 11 by welding. When the steel pipe 11 is a large diameter steel pipe having a diameter of 1.0 m to 3.0 m, And the welding of the cast steel 13 to the steel pipe 11 can be facilitated.

또한, S100 단계는 강관(11)에 단면보강부재(16)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16)는 용접에 의해 강관(11)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step S100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steel pipe 11 with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can be joined to the steel pipe 11 by welding.

또한, S100 단계는 강관(11)에 가이드 부재(15)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는 용접에 의해 강관(11)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100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guide member 15 in the steel pipe 11. [ The guide member 15 can be joined to the steel pipe 11 by welding.

참고로, S100 단계는 시공 현장과 별개로 마련된 공장과 같은 제작장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준비된(제작 완료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시공 현장으로 운송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tep S100 may be performed at a manufacturing site such as a factory separate from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teel pipe structure 1 prepared (completed) can b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또한, S100 단계에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복수 개 준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점에 대한 파일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가 복수 개 필요로 될 수 있다. 또는, 파일 배치를 위한 굴착 깊이가 강관(11)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 지점에 대해 둘 이상의 강관(11) 간의 연결이 필요해질 수 있다. 본원에서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가 복수 개 준비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두 가지 케이스 중 두번째 케이스(한 지점에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가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후술하기로 한다.Further, in step S100,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al bodies 1 may be prepar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1 may be required when piling is performed on a plurality of points. Or, if the excavation depth for the file arrangement exceeds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1, a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steel pipes 11 may be required at one point. Hereinafter, a second case (when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attached steel pipe structures 1 are connected to one point) of the two cas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1 are prepared .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공에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를 배치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ethod includes a step S300 of placing a steel pipe structure 1 with a steel bar on a drilling hole formed by excavating a ground.

도 7a는 본 시공 방법의 S300 단계에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D-D를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7A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at step S300 of the present method, and FIG. 7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S300 단계에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1)는 복수 개가 굴착공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각각의 강관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해당 굴착공의 굴착 심도에 대응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시공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지반(굴착공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에서, 굴착공 내에 기삽입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와 추가 삽입되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수직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in step S300,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11 may b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and the respective steel pipes may be interconnect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al bodies 1 with reinforcing bars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in the excavation hole) sequentially in the construction site by a require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xcavation depth of the excavation hole. In step S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and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to be inserted fur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maintaining a vertical position.

S300 단계의 수행 시,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1)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강관(11)의 단부에 대하여 각각의 주철근(13) 간의 겹이음 길이가 확보되도록 복수 개의 주철근(13) 중 하나 이상(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attached steel pipe structures 11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step S300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bars 11, so that the overlapping lengths between the respective steel bars 13 are secured to the ends of the steel pipes 11, (At least one of them)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may be provided.

또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S300 단계에서,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 중 하나(어느 하나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주철근(13)은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 중 이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다른 하나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주철근(13)과 겹이음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이를테면, 기배치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주철근(13)과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이를테면 추가 배치되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주철근(13')은 강관(11)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서로 번갈아가며(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겹이음 위치가 분산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겹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주철근(13)은 이웃하는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주철근(13') 2개 중 어느 하나와 1:1로 쌍을 이루어 보다 가까이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7A and 7B, in step S300, the cast iron core 13 of on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attached steel pipe structures 1 (one of the reinforcing steel-attached steel pipe structur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overlap with the cast steel rods 13 of the other (one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opposite to the other). Referring to FIG. 7B, the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for example,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steel cord) The cast iron rods 13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 so that the folding positions can be dispersed, thereby achieving more stable folding. 7B, the cast iron rods 13 of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are paired with any one of the two cast iron rods 13 'of the neighboring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1' at a ratio of 1: 1 Can be arranged to be closer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주철근 단부의 돌출 및 본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종래의 통상적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처럼 철근망이 희생강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주철근(13)이 강관(11)의 내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므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강관(11) 간의 연결 시, 그 내면에 부착된 주철근(13) 간의 이음 또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The rebar-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applied to the projecting of the end of the cast iron root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a steel pipe inserted into the sacrificial steel pipe, 11, it is necessary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steel bars 13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structure 1 when the steel pipe assembly 1 is connected.

이에 대하여, 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복수 개의 주철근(13)이 상호 연결되는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되고, 본 시공 방법의 S300 단계는,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 각각은 굴착공 내에 기배치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 각각과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후술할 S500 단계)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주철근(13, 13')끼리 충분한 겹이음 길이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배치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주철근(13)과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주철근(13')이 서로 용접, 커플링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겹이음 길이 확보 및 콘크리트와의 강합성을 통한 상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end of a steel pipe 11 to whic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re interconnected. In step S300 of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Each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steel pipe structure 1' is arranged alternately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disposed in the excavation ho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djacent reinforcing steel rods 13 and 1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sufficient lap joint length by concrete (step S500 described later) placed in the interior of the attached steel pipe structure 1. [ 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main steel rods 13 of the steel reinforced concrete pipe structure 1 and the other main steel rods 13 'of the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coupling, The interconnections can be made stable through securing the joint length and steel composite with concrete.

또한, S300 단계에서,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 각각의 강관(11)은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Further, in step S300, the steel tubes 11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attached steel pipe structures 1 may be interconnected by welding.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 구조체(15) 각각은 가이드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5)에 의하면, 주철근(13)이 강관(11)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어 강관(11)간의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강관(11) 단부 인근의 용접열에 의해 주철근(13)이 열변형되고 강성 손실되는 것이 저감 내지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이처럼 주철근(13)의 열변형에 대한 우려가 해소됨에 따라, 용접을 통한 강관(11) 간의 강재 이음 정밀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5)의 강관(11) 반경 방향으로의 폭(링 폭)은 주철근(13)의 구조적 강성이 강관(11) 간의 용접시의 용접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만큼 주철근(13)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bodies 15 may include the guide member 15. According to this guide member 15, the cast iron rope 13 can be spaced inwardly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and welded by the welding heat near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generated by the welding between the steel pipes 11 Can be thermally deformed and stiffness loss can be reduced or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concern about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cast steel rope 13 is solved, the steel pipe joining accuracy between the steel pipes 11 through welding can be improved. That is, the width (ring width) of the guide member 15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 is set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steel pipe 11 in order to preven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steel pipe 13 from being damaged by welding heat at the time of welding 1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배치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500 of forming a concrete portion by placing concrete in a steel pipe structure 1 having a steel pipe disposed therein.

강관(11)에 용접으로 부착된 주철근(13)은 강관(11)과 일체적으로 인장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동시에, 주철근(13)은 강관(11)과 콘크리트부의 부착을 위한 전단연결재의 역할, 다시 말해, 일종의 스터드 역할을 하여 강관(11)과 콘크리트부가 일체화된 강합성 거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st iron rope 13 attached to the steel pipe 11 by welding can serve as a tensile member integrally with the steel pipe 11. [ At the same time, the cast steel rope 13 serves as a shear connector for attaching the steel pipe 11 to the concrete portion, that is, as a kind of stud, so that the steel pipe 11 and the concrete portion can be integrated with steel composite behavio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철근(13)에 이형철근이 적용됨으로써, 이형철근 표면의 요철(돌기) 형상을 통해 주철근(13)이 콘크리트부와의 부착을 위한 전단연결재의 역할 및 강관(11)과 콘크리트부 간의 강합성의 매개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이형철근은 환강의 표면에 요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철근(13)의 콘크리트부와의 부착을 위한 전단연결재로서의 역할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 deformed reinforcing bars to the cast steel rods 13, the role of the shear connecting member for attaching the cast iron rods 13 to the concrete portion through the irregularities (projections) of the deformed reinforcing rods surfac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mediating role of the steel composition between the concrete part and the concrete part. That is, since the deformed reinforcing bars are formed with protrusions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annulus, the role as the shear connecting member for attaching the cast iron rods 13 to the concrete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이러한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강합성 효과로 강관(11)을 구조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어,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대비 주철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e steel pipe 11 can be treated as a structural member by the steel composite effect, and the use amount of the cast iron muscle can be drastical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ificial concrete pile.

또한, 주철근(13)을 둘러싸고 있는 강관(11)이 본 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의 전단철근과 심부구속철근(띠철근)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의 철근망에 포함되는 심부구속철근 또한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el pipe 11 surrounding the cast steel 13 can serve as a shear reinforcement and a deeply-restrained reinforcing bar (belt reinforcement) of a spot-inserted concrete pile formed by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e deeply constrained reinforcing bars included in the reinforcing net can also be omitted.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의 완공 후 강관과 철근콘크리트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완공 후, 강관은 단순 거푸집 역할만을 하고 작용하중에 대해서 철근콘크리트가 모두 저항해야 했다. 이로 인해 필요 주철근의 양이 많아지고, 또한 전단에 대한 띠철근도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More specifically, the prior art has a separate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pipe and the reinforcing concrete are not joined together after completion of the piling concrete pile, so that after completion, the steel pipe serves only as a simpl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concrete must resist did.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necessary cast iron rods and also to the necessity of a reinforcing bar for shearing.

반면에,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강관(11)이 그 내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주철근(13)에 의해 콘크리트부와 일체적인 강합성 거동이 가능해지므로, 작용하중에 대해 강관(11), 주철근(13) 및 콘크리트부가 함께 저항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철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띠철근의 생략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steel composite 11 can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concrete portion by the cast iron 13 integral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the steel pipe 11, (13) and the concrete part can resist together. As a result, the amount of the cast iron used can be reduced, and the band bar can be omitted.

즉, 종래에는 강관이 단순히 거푸집 역할을 하며 철근콘크리트와 분리되어 있었는데,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강관(11)과 철근콘크리트가 모두 결합된 강합성 구조가 제공될 수 있어 외부하중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철근망의 생략이 가능하고, 강관(11)이 가설부재(희생강관)이 아닌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사용될 수 있어 원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ast, the steel pipe simply functions as a form and is separated from the reinforced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a steel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both the steel pipe 11 and the reinforced concrete are combined can be provided, can do.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reinforcing net, and the steel pipe 11 can be used as a structural member that is resistant to an external load other than a temporary member (a sacrificial steel pipe), and th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본 시공 방법에 있어서, 강관(11)의 두께는 설계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합에 대하여 저항하는 설계 두께 및 부식에 의해 감소 예상되는 부식 두께가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1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design thickness that resists against at least one load combination at the time of designing, and a corrosion thickness that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corrosion.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합은 파일에 대한 설계(구조 계산)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하중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강관(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부와 일체화되어 다양하게 고려되는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데, 강관(11)이 이러한 다양한 외부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안전측으로 설계되는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load combination may mean various load combinations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design (structural calculation) of the file. That is, the steel pipe 11 can be used as a structural member that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portion and resists various external loads, which is considered variously, and is designed to be safe so that the steel pipe 11 can resist such various external loads It can mean thickness.

또한, 부식 두께에 대해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강관은 지하수, 해수 등에 노출될 수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에 의해 그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의 강관은 콘트리트부와 일체화될 수 없어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가 아닌 희생강관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종래의 강관의 두께는 부식에 의한 두께 감소가 고려되어 설정되지 않았다. 반면에,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강관(11)은 주철근(13)을 매개로 콘크리트부와 강합성되어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취급되므로, 상술한 하중조합에 대하여 저항하는 설계 두께만을 고려하여 구비되어서는 향후 시간 경과에 따라 부식으로 인해 요구되는 상기 설계 두께보다 그 두께가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시공 방법은 이러한 구성의 곤란성을 고려하여, 설계 두께 및 강관(11)이 부식에 의해 감소 예상되는 부식 두께를 함께 고려하여 강관(11)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식 두께는 2 mm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강관(11)의 두께는 구조 설계상 구조부재로서 요구되는 필요 두께와 부식에 의해 감소될 두께의 합산 값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Further, in terms of corrosion thickness, steel pipes can be exposed to groundwater, seawater, etc., and the thickness thereof can be reduced by corrosion over time.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teel pipe of the on-site concrete pile can not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part and is treated as a sacrificial steel pipe instead of a structural member resistant to external load, the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steel pipe is set considering the reduction in thickness due to corrosion I di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steel pipe 11 is treated as a structural member resistant to an external load by being combined with the concrete portion through the cast iron rope 13, only the designed thickness that resists the above load combination is consider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hickness thereof is reduced more than the design thickness required due to corrosion over time in the future.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1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corrosion-resistant steel pipe 11 which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corrosion. Illustratively, the corrosion thicknes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2 mm.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1 can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required thickness required as a structural member in the structural design and the thickness to be reduced by corrosion.

한편, 본 시공 방법은, S300 단계 이전에, 굴착용 강관(케이싱)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을 이용해 굴착공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굴착용 강관을 이용한 굴착공 형성 단계는 S10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S100 단계와 S300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S10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steel pipe (casing) for excavation before the step S300. Illustratively, the step of forming the excavation hole may form a drilling hole using a Reverse Circulation Drill (RCD) method. For reference, the step of forming the excavation hole using the steel pipe for excavation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S100, or may be performed between steps S100 and S300,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step S100.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은 대구경의 말뚝 시공을 위해 대구경의 굴착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본 시공 방법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내부 직경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어, 강관(11) 내에서의 용접 작업이 용이해져 상술한 주철근(13), 가이드 부재(15), 단면보강부재(16) 등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The RCD (Reverse Circulation Drill) method forms a large-diameter excavation hole for large-diameter pil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RCD method, the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Welding work in the steel pipe 11 is facilitated, and it is easy to install the above-mentioned cast iron rope 13, the guide member 15,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and the like.

또한, 본 시공 방법은 S500 단계 이후에, 굴착용 강관을 인발(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00 단계 이전에 굴착용 강관을 이용하여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 S500 단계 이후에 굴착용 강관을 인발하는 단계 및 이러한 단계들과 관련된 부수적인 공정들(단계들)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알려진 기술 공정이라 할 것이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drawing (drawing) the steel pipe for excavation after step S500. The steps of forming the excavation hole using the steel pipe for excavation before step S300, drawing the steel pipe for excavation after step S500, and the ancillary processes (steps) associated with these steps may be perform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referred to as a known technology proces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이하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이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전술한 본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구성이므로, 앞서 살핀 본 시공 방법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since the present steel reinforced concrete pipe structure 1 has the structure applied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the previous construction method, It will be omitted.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강관(11)을 포함한다. 강관(11)의 두께는 설계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합에 대하여 저항하는 설계 두께 및 부식에 의해 감소 예상되는 부식 두께가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The present steel-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includes a steel pipe 11.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1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design thickness that resists against at least one load combination at the time of designing and a corrosion thickness that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corrosion.

또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복수 개의 주철근(13)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주철근(13)에는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형철근이 적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By way of example, a deformed reinforcing bar may be applied to the cast iron 13 to serve as a shear connector.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과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extend vertically.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re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ipe 11. Illustratively,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may be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

또한,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국부 좌굴 및 변형이 변형이 억제되도록 강관(11)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단면보강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16)는 복수 개의 주철근(13)이 통과되는 복수 개의 통과 홀(161)을 가질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16)는 복수 개 구비되어 강관(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include a ring-shaped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integrally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so as to suppress deformation of local buckling and deformation.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pass. A plurality of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s 16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eel pipe 11. [

또한,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 중 하나 이상(적어도 하나)은 연결되는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과의 겹이음(lap joint) 길이가 확보되도록, 그의 단부가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One or mor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the present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1 may be folded wit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another steel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the end of which is protruded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so that a joint length can be ensured.

또한,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는 가이드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는 강관(11)의 단부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강관(11)의 단부의 용접에 의한 상호 결합 시, 복수 개의 주철근(13)의 열변형이 저감 또는 방지되도록, 복수 개의 주철근(13)과 강관(11)의 단부를 이격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는 강관(11)의 단부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The present steel-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may include a guide member 15. The guide member 15 is formed so that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is reduced or prevented when the ends of the steel pipe 11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of the end portions of the steel pipe 11 of the other steel pipe- ,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end portions of the steel pipe (11) from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The guide member 15 may be in the shape of a r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pipe 11. [

이때, 주철근(13)의 일부는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철근(13)은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부러진 상태로 강관(11)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철근(13)과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cast iron 13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Illustratively, the cast iron rope 13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end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 in a bent state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 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t iron 13 and the guide member 15 can be joined by welding.

또한, 본원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제조 방법(이하 '본 제조 방법'이라 함)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제조 방법에 따라 상술한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가 제조되고, 제조된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가 본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앞서 살핀 본 시공 방법 및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pipe-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 present steel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manufactur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is applied to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he present steel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Structure 1,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본 제조 방법은 강관(11)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preparing the steel pipe 11. [

또한, 본 제조 방법은 강관(11)에 복수 개의 주철근(13)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주철근(13)은 강관(11)의 내주면에 용접 접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주철근(13)은 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와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1')의 복수 개의 주철근(13')과의 겹이음(lap joint) 길이가 확보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강관(1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시공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joining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to the steel pipe 11. [ For example,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may be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nd integrat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the cast iron rope 13 is formed so that a length of a lap joint between the present steel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of another steel pipe structure 1' And the end portion thereof can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 Thi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is construction method, so tha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제조 방법은 강관(11)에 단면보강부재(16)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보강부재(16)는 강관(11)의 내주면에 용접 접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단면보강부재(16)는 강관(11)의 단면 보강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면보강부재(16)는 그 통과 홀(161)에 주철근(13)이 통과되도록 복수의 주철근(13)과 조립된 상태에서 복수의 주철근(13)과 함께 강관(11)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강관(11)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강관(11) 내면에 단면보강부재(16)를 먼저 부착한 다음 복수의 주철근(13) 각각을 통과 홀(161)을 통과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예로, 강관(11) 내면에 주철근(13)을 먼저 부착한 다음 단면보강부재(16)를 강관(11)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attaching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to the steel pipe 11. [ For example,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can be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nd integrated. 2A, a plurality of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s 16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need for reinforcemen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pipe 11. [ The cross 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1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so that the cast iron rope 13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61 And then to the steel pipe 11. Alternatively, if necessary,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16 may be firs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nd then each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13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61. Alternatively, the cast steel reinforcing member 16 may be firs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nd then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본 제조 방법은 강관(11)에 가이드 부재(15)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15)는 강관(11)의 내주면에 용접 접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5)는 강관(11)의 가장 끝단에 대응하여 부착되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이드 부재(15)가 부착되는 강관(11)의 단부는 강관(11)의 가장 끝단 뿐만 아니라, 그와 이웃하는 인근 부분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가이드 부재(15)는 주철근(13)을 강관(11)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시키도록 강관(11)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attaching the guide member 15 to the steel pipe 11. [ For example, the guide member 15 can be weld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1 and integrated.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15 is not limited to being attached to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at the en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to which the guide member 15 is attached is broadly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but also a neighboring portion adjacent thereto. In other words, the guide member 15 may be attached to the steel pipe 11 so as to separate the cast iron wire 13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inwardly.

본 제조 방법은 강관(11)에 가이드 부재(15)가 부착된 다음,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주철근(13)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강관(11)에 주철근(13)이 먼저 부착된 다음 가이드 부재(15)가 부착되고, 주철근(13)과 가이드 부재(15)가 접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들간의 부착 순서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주철근(13)은 가이드 부재(15)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진 상태로 강관(11)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시공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is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attaching the cast iron rope 13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after the guide member 15 is attached to the steel pipe 11. [ For example, the steel pipe 11 may be firstly attached with the cast iron 13, then the guide member 15 may be attached, and the cast iron 13 and the guide member 15 may be joined. Howe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cast iron rope 13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steel pipe 11 in a bent state at least once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5. Thi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is construction method, so tha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1':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11: 강관
11':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강관
13: 주철근
13': 다른 철근부착 강관구조체의 주철근
15: 가이드 부재
16: 단면보강부재
161: 통과 홀
1: steel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steel
1 ': Steel pipe structure with other reinforcing bars
11: Steel pipe
11 ': Steel pipe with other steel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
13: Cast iron rods
13 ': Steel rods of other steel reinforced steel pipe structures
15: Guide member
16:
161: Through hole

Claims (12)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공에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배치된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강관 및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강관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강관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주철근을 포함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 of concrete piles,
Preparing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Disposing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on the excavation hole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And
And placing the concrete in the disposed steel pipe structure to form a concrete part,
Wherein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includes a steel pipe and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tegrally joined with the steel pipe, Concrete file constru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에는, 상기 콘크리트부와의 부착을 위한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형철근이 적용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so as to serve as a shear connection member for attachment to the concret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은 상기 강관의 내주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are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국부 좌굴 및 변형이 억제되도록 상기 강관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단면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단면보강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이 통과되는 복수 개의 통과 홀을 가지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includes a ring-shaped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integral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so as to suppress local buckling and deformation,
Wherein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pa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보강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강관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cross-section reinforcing members are provided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는 상기 굴착공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강관끼리 상호 연결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preparing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are provided,
Wherei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assemblies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and the steel pipes facing each other are interconnected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각각은, 상호 연결되는 강관의 단부에서 상기 상호 연결되는 강관 각각에 대한 주철근 간의 겹이음 길이가 확보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 중 하나 이상의 단부가 상기 강관의 단부보다 돌출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has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teel reinforcing rods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so that the overlapping length between the steel ropes for each of the steel pipes mutually connected is secure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pile install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중 하나의 주철근은, 상기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중 이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주철근과 겹이음 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assemblies is adjacent to the other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각각은, 각각의 상기 강관간의 용접에 의한 상호 연결에 의해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의 열변형이 저감 또는 방지되도록, 상기 강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을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pipe assemblies has a guide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from the end of the steel pipe so that thermal de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is reduced or prevented by mutual connection by welding between the steel pipes,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강관의 단부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링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주철근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강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uide member is ring-shaped integral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end portion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plurality of cast iron rods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steel pipe in a bent state so as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두께는, 설계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합에 대하여 저항하는 설계 두께 및 부식에 의해 감소 예상되는 부식 두께가 고려되어 설정되는 것인,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teel tube is set considering the design thickness resisting against at least one load combination at design time and the corrosion thicknes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corrosion.
철근부착 강관구조체로서,
강관; 및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강관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강관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주철근을 포함하는, 철근부착 강관구조체.
A reinforcing steel pipe structure,
Steel pipe; And
And a plurality of cast iron ro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ipe.
KR1020170146614A 2017-11-06 2017-11-06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KR101990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14A KR101990920B1 (en) 2017-11-06 2017-11-06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14A KR101990920B1 (en) 2017-11-06 2017-11-06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300A Division KR101797982B1 (en) 2016-10-21 2016-10-21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223A true KR20180044223A (en) 2018-05-02
KR101990920B1 KR101990920B1 (en) 2019-09-30

Family

ID=6218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14A KR101990920B1 (en) 2017-11-06 2017-11-06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598A (en) * 1996-04-26 1997-11-11 Shimizu Corp Joint structure of filled steel pipe concrete structural body
KR20060011598A (en)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internal steel tub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598A (en) * 1996-04-26 1997-11-11 Shimizu Corp Joint structure of filled steel pipe concrete structural body
KR20060011598A (en)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internal steel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20B1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2552A (en) The non-strut down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cast in place concrete pile
JP2007205161A (en)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48704B1 (en) Underground wall structure
KR101797982B1 (en)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JP4890217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JP2007297861A (en) Joint part structure of bridge pier with pile
JP2005090123A (en) Foo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87174B1 (en) Pre-founded Column System having Bearing-Shear Band and Beam-Column Connection System using Grouted Jacket having Bearing-Shear Band for Top-Down or Common Construction
JP5480744B2 (en) Foundation fo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567422B1 (en) Vertica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and horizontal regid connection
JP5875651B2 (en)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KR20180044223A (en) Pip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ile using the same
KR101249603B1 (en) Steel pipe installing structure for resistance in vertical stress of none-excavation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at the same
JP2009019362A (en) Structure for joining pile and column
KR101238640B1 (en) Pre-founded Column having Bearing-Shear Band for Top-Down or Common Construction
KR101238639B1 (en) Pre-founded Column having Bearing-Shear Band for Top-Down or Common Construction
JP5423134B2 (en) Foundation structure
JP2018168561A (en) Undergroun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JP6292028B2 (en) Embankment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238641B1 (en) Pre-founded Column having Bearing-Shear Band for Top-Down or Common Construction
JP5559075B2 (en) Underground structure
JP2010150818A (en) Pneumatic caiss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512236B1 (en) Economic cast in place pile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548146B2 (en) Segmented joint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JP7479170B2 (en) Prote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protection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