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219A -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219A
KR20180044219A KR1020170137151A KR20170137151A KR20180044219A KR 20180044219 A KR20180044219 A KR 20180044219A KR 1020170137151 A KR1020170137151 A KR 1020170137151A KR 20170137151 A KR20170137151 A KR 20170137151A KR 20180044219 A KR20180044219 A KR 20180044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driving
driving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228B1 (ko
Inventor
조범연
최경수
Original Assignee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8Mobile sepa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41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portable use, e.g. gas mas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정화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표시부를 통해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제어부 및전원부가 함께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정화부를 거쳐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에 이동되도록 해주는 마스크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감싸져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해주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Multifunctional wearable type ai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형태를 가지면서 공기정화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는 유해물질을 배출하게 되며, 현대인은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유해물질은 각종 매연이나 미세먼지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황사 및 각종 세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침투하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공기정화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는 정해진 공간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외에서 활동하는 경우,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요인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요인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일종으로 방독면이나 분진용 마스크가 있으나, 방독면의 경우, 크기가 크고 휴대가 불편하며, 사용이 간단하지 못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행동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진 마스크의 경우, 휴대 및 착용이 간단하지만 정화능력에 한계가 있어 장시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45328(2006.01.24.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체 가능한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킨 후, 본체와 연결되는 마스크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의 호흡기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화능력의 향상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정화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표시부를 통해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제어부 및전원부가 함께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정화부를 거쳐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에 이동되도록 해주는 마스크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감싸져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해주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정화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정화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확산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중앙에 구동모터가 관통 설치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외측둘레를 따라 상기 구동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확산시켜주는 복수의 날개가 구비된 디퓨저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부는 상기 확산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정화부는 구동부 커버와 확산부 커버와 정화부 커버에 의해 감싸져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커버와 상기 확산부 커버와 상기 정화부 커버는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정화부 커버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각각의 일단이 관통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각 타단은 상기 마스크의 양 측면에서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걸이부재는 사용자의 목뒤에 위치하는 넥부와, 상기 넥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놓여 장치의 무게를 어깨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에 의해 상기 연결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넥부는 중앙부가 이분되면서 결합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부는 일부분이 주름부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부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도록 공기온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온도조절부재는 화학반응 또는 전자장치에 의한 흡열 및 발열기능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크는 냉감소재로 구성되며, 자외선 차단 코팅 처리된 복층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층원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에어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관 또는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의 피복에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흡입구가 바닥면에 닿을 때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구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부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공기정화장치를 신체에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크기와 구성부품의 단순화를 통해 장치의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공기정화의 능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정화되어 마스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의 상태로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도 있고, 본체만을 사용하여 특정 공간에 두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연결관을 통해 마스크와 연결시켜 신체에 착용한 후 사용할 수도 있어 다양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의 본체 구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의 본체 내부 구성을 상세히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의 본체 구성의 전원부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의 사용에 있어 외부공기가 정화되어 마스크로 이동되는 과정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은 구동부, 확산부, 정화부, 제어부 및 전원부가 포함되는 본체와, 그러한 본체와 연결되어 정화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과, 그러한 연결관에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이동되도록 보조해주는 마스크와, 연결관에 연결되어 목에 감싸지면서 본체를 지지해주는 걸이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부(110)와, 그러한 구동부(1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확산부(120)와, 확산부(120)에 의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정화부(130)와, 구동부(110) 및 장치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 및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부(110)를 작동시키는 전원부(160)가 수용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켜 필요한 곳으로 토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체(10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면 전술한 구동부(110), 확산부(120), 정화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 전원부(160)를 감싸주기 위해 하우징이 구비되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102)과 그러한 상부 하우징(102)에 탈착되는 하부 하우징(104)으로 구성되고, 상부 하우징(102)의 연장된 하부에 상부 하우징(102)의 연장된 상부가 겹쳐지는 상태로 회전 및 역회전되어 탈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하우징(102)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회전홈이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104)의 상부 내주면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07)가 결합되고, 그러한 슬라이드 가이드(107)의 내주면에는 상부 하우징(102)의 회전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나선형 회전돌기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02)에 하부 하우징(104)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104)을 역회전시켜주면 하부 하우징(104)과 함께 슬라이드 가이드(107)가 역회전되면서 슬라이드 가이드(107)의 회전돌기가 하부 하우징(104)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 하우징(102)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04)이 회전 분리되며, 분리된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4)의 결합은 전술한 분리의 역순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부 하우징(104)은 저면에 외부의 공기를 본체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106)가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02)의 저면은 공기흡입구(10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위하여 관통된 상태로 구성된다.
공기흡입구(106)의 표면에는 공기흡입구(106)를 차단하지 않는 상태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점의 형태나 선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하부 하우징(104)이 바닥면 등에 놓여 사용될 때 바닥면에 공기흡입구(106)가 막히지 않고 돌기에 의해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부상됨에 따라 부상된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흡입구(106)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하우징(102)은 상측 전면에 출입공(105)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02)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04)을 분리시키면 전술한 출입공(105)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출입공(105)을 통해 상부 하우징(102) 내부로 정화부(130)의 필터(133)를 탈착시킬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2)은 상면에 표시부(140)가 구비되며, 이러한 표시부(140)는 상부 하우징(102)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면서 사용자에게 장치의 상태를 안내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전원의 온/오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및 구동부(11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부(140)에는 전원부(160)의 상태 및 필터(133)의 교체 알림, 각종 경고표시, 구동부(110)의 풍량 등이 단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구동부(110)와 확산부(120)와 정화부(130)와 제어부(150)와 전원부(160)가 순차적으로 수용되며, 구동부(110)는 상부 하우징(102)의 내부에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부(110)는 구동모터(112)와 그러한 구동모터(112)의 하측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12)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팬(113)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팬(113)이 회전되면 외부의 공기가 하부 하우징(104)의 공기흡입구(106)를 거쳐 상부 하우징(102)의 아래쪽 관통된 부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확산부(120)는 전술한 구동부(110)의 위쪽에 위치하여 구동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측의 정화부(130)로 확산시켜 정화부(130)에 공기가 균일하게 이동되도록 해준다.
확산부(120)는 중앙에 구동모터(112)가 관통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외측둘레를 따라 구동부(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확산시켜주는 복수의 날개가 구비된 디퓨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공과 외측둘레는 방사형의 리브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퓨저(122)는 러버재질의 러커버커(123)에 감싸지면서 구동부(110)의 진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구동부(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측을 향하여 고르게 이동되도록 해줄 수 있다.
정화부(130)는 전술한 확산부(1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확산부(120)로부터 확산되어 이동된 공기를 정화시켜준다.
정화부(130)는 디퓨저(122)의 형상과 상응할 수 있으며,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디퓨저(12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케이싱과 필터지로 이루어진 원형의 필터(133)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동부(110)와 확산부(120)와 정화부(130)는 상하가 관통되는 구동부 커버(111)와 확산부 커버(121)와 정화부 커버(131)를 통해 각각 감싸져 설치되고, 구동부 커버(111)와 확산부 커버(121)와 정화부 커버(131)는 서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구동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불필요하게 누설되지 않고 확산부(120)를 거쳐 정화부(130)를 통해 정화되어 필요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화부 커버(131)는 어느 한쪽 측면이 개방되어 필터(133)가 정화부 커버(131)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출입될 수 있으며, 개방된 측면은 전술한 상부 하우징(102)의 출입공(105)과 일치됨에 따라 정화부(130)의 필터(133)는 정화부 커버(131)의 개방된 측면과 상부 하우징(102)의 출입공(105)을 통해 출입될 수 있다.
또한, 정화부 커버(131)의 상측에는 상향 돌출된 배출구(132)가 형성되면서 필터(133)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132)로 안내되어 이동되며, 이러한 배출구(132)는 후술되는 연결관(200)으로 정화된 공기를 보내주게 된다.
예시된 도면에서 배출구(132)는 정화부 커버(131) 상측의 대향된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본체(100) 양측에 위치하여 상부 하우징(102)의 내부로 결합되는 후술될 연결관(200)과 연결되어 배출구(132)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연결관(20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정화부 커버(131)의 내부에는 정화부(13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후술되는 연결관(200)으로 이동되기 전, 정화된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킬수 있는 공기온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온도조절부재는 화학반응 또는 전자장치에 의한 흡열 및 발열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화부(130)의 상측에 위치하며, 후술될 전원부(160)를 제어하면서 전술한 구동부(11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전원부(160)의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 표시부(140)를 통해 안내하며, 전원부(160)에 외부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전원부(160)의 충전 및 구동부(110)를 작동시키고, 정화부(130)의 사용시간이나 오염상태를 판단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정화부(130)의 교체안내 또는 경고 등을 표시하며, 구동부(1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안내하고,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구동팬(113)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면서 단계별로 제어된 구동팬(113)에 의한 풍량의 상태를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전술한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부(11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며, 전원부(160)는 일 예로 리튬이온배터리가 될 수 있고, 전원부(160)는 상부 하우징(102)으로부터 출입시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어댑터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USB를 이용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관(200)은,
전술한 본체(100)의 내부에서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필요한 부위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관로가 형성된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관(2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관이나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관(2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102)의 상면 대향된 양측에 일단이 각각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02)의 상면을 통해 관통된 연결관(200)의 일단은 전술한 정화부 커버(131)의 배출구(132)와 연결 또는 근접되어 배출구(132)로부터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마스크(300)는,
일단이 본체(100)와 연결되는 전술한 연결관(200)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결관(200)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 또는 코 또는 입과 코를 통해 동시에 흡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스크(300)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설치될 수 있다.
마스크(300)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마스크(300)의 어느 한쪽에 통기장치가 더 구비되거나, 별도의 정화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마스크(300)는 냉감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코팅 처리된 복층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층원단으로 구성되면서 복층원단 사이에는 전술한 연결관(200)과 연결되는 에어노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걸이부재(400)는,
전술한 연결관(200)의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감싸지게 구성되어 본체(100)의 무게로 인해 연결관(200)이 늘어지거나 마스크(300)로부터 연결관(200)이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걸이부재(400)의 실시 예로는 사용자의 목뒤에 위치하는 넥부(410)와, 그러한 넥부(4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전술한 연결관(200)과 커넥터(430)를 통해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어깨에 놓여지게 되는 연장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넥부(410)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중앙부위가 이분되어 분리되면서 자석이나 후크나 벨크로테입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420)는 넥부(410)가 사용자의 목뒤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연장부(420)의 저면이 사용자의 어깨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러한 연장부(420)가 어깨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완충기능 및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장부(420)의 일부가 주름부(42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장부(420)는 플렉시블한 넓은 간격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장치의 무게를 어깨로 분산시켜준다.
필요에 따라 연장부(420)의 일부에는 신체와 닿는 안쪽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실리콘 등의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전술한 걸이부재(400)와 함께 본체(100)의 어느 한쪽에 고리나 벨트 등의 홀더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더부재를 피복을 이용하거나 허리 등의 신체 어느 한 부위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걸이부재(400)와 함께 본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으며,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연결관(200)으로부터 걸이부재(400)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체(100)를 홀더부재만을 이용하여 피복이나 신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2 : 상부 하우징
104 : 하부 하우징 105 : 출입공
106 : 공기흡입구 107 : 슬라이드 가이드
110 : 구동부 111 : 구동부 커버
112 : 구동모터 113 : 구동팬
120 : 확산부 121 : 확산부 커버
122 : 디퓨저 123 : 러버커버
130 : 정화부 131 : 정화부 커버
132 : 배출구 133 : 필터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160 : 전원부 200 : 연결관
300 : 마스크 400 : 걸이부재
410 : 넥부 420 : 연장부
421 : 주름부 430 : 커넥터

Claims (16)

  1.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정화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표시부를 통해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제어부 및전원부가 함께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정화부를 거쳐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에 이동되도록 해주는 마스크; 및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감싸져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해주는 걸이부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정화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정화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중앙에 구동모터가 관통 설치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외측둘레를 따라 상기 구동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확산시켜주는 복수의 날개가 구비된 디퓨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확산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정화부는 구동부 커버와 확산부 커버와 정화부 커버에 의해 감싸져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커버와 상기 확산부 커버와 상기 정화부 커버는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정화부 커버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각각의 일단이 관통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각 타단은 상기 마스크의 양 측면에서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걸이부재는,
    사용자의 목뒤에 위치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커넥터에 의해 상기 연결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놓이게 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는 중앙부가 이분되면서 결합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일부분이 주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도록 공기온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온도조절부재는 화학반응 또는 전자장치에 의한 흡열 및 발열기능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냉감소재로 구성되며, 자외선 차단 코팅 처리된 복층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층원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에어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관 또는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피복에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흡입구가 바닥면에 닿을 때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구가 상기 바닥면에서 부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KR1020170137151A 2016-10-21 2017-10-23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KR10203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7378 2016-10-21
KR1020160137378 2016-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219A true KR20180044219A (ko) 2018-05-02
KR102031228B1 KR102031228B1 (ko) 2019-10-11

Family

ID=6218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151A KR102031228B1 (ko) 2016-10-21 2017-10-23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127B1 (ko) * 2018-09-11 2019-03-05 비클시스템주식회사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WO2019146823A1 (ko) * 2018-01-29 2019-08-01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WO2020055106A1 (ko)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공기 유입 연결관의 자성 탈부착식 안면 마스크
KR20210145046A (ko) * 2020-05-22 2021-12-01 주식회사 파커스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28Y1 (ko) * 2005-08-12 2005-10-19 (주) 글로벌에너슨 에어믹서가 설치된 공기조화시스템
KR100545328B1 (ko) 2003-07-03 2006-01-24 조삼동 휴대용 공기정화 전자파 제거기
US20070240716A1 (en) * 2002-02-15 2007-10-18 Marx Alvin J Personal air filtering and iso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0716A1 (en) * 2002-02-15 2007-10-18 Marx Alvin J Personal air filtering and isolation device
KR100545328B1 (ko) 2003-07-03 2006-01-24 조삼동 휴대용 공기정화 전자파 제거기
KR200399228Y1 (ko) * 2005-08-12 2005-10-19 (주) 글로벌에너슨 에어믹서가 설치된 공기조화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23A1 (ko) * 2018-01-29 2019-08-01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KR101953127B1 (ko) * 2018-09-11 2019-03-05 비클시스템주식회사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WO2020054932A1 (ko)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WO2020055106A1 (ko)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공기 유입 연결관의 자성 탈부착식 안면 마스크
KR20210145046A (ko) * 2020-05-22 2021-12-01 주식회사 파커스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28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219A (ko)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KR102065707B1 (ko) 공기 유입 연결관의 자성 탈부착식 안면 마스크
EP3270070B1 (en) Portable air purifier
KR101953127B1 (ko)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CA2723604C (en) Integrated belt and plenum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WO2018188599A1 (zh) 一种空气净化装置和空气净化装置主机
US11007341B2 (en) Air purifier apparatus
KR101944498B1 (ko)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JP2010522044A (ja) レスピレーターの流量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8535571A (ja) 密封形フィルタを利用する携帯用空気浄化システム
KR101630369B1 (ko) 공기 공급형 마스크
WO20212246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деления частиц от текучей среды
US20230191168A1 (en) Wearable air purifier
KR102484402B1 (ko)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KR101914642B1 (ko) 안면 마스크
KR20210145046A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20180044218A (ko) 웨어러블형 공기정화기
CN205360287U (zh) 一种可调节温度的便携式空气净化器
WO2019146823A1 (ko) 다기능 웨어러블형 공기정화장치
KR20190131158A (ko) 산소 및 정화된 공기 제공 시스템
TWM614198U (zh) 管狀過濾器及用於過濾受污染的環境空氣之系統
CN212395638U (zh) 动力送风过滤式呼吸器
CN214596848U (zh) 空气净化机及电动空气净化呼吸器
CN207734482U (zh) 一种电动补氧送风器
WO2019146822A1 (ko) 웨어러블형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