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761A -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761A
KR20180043761A KR1020180011289A KR20180011289A KR20180043761A KR 20180043761 A KR20180043761 A KR 20180043761A KR 1020180011289 A KR1020180011289 A KR 1020180011289A KR 20180011289 A KR20180011289 A KR 20180011289A KR 20180043761 A KR20180043761 A KR 2018004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paper
information
handwritt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폼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폼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폼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18001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761A/en
Publication of KR2018004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7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7/301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and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apparatus includes a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a disused surface among a case constituting the mobile terminal, and supports the conversion of contents written by an electronic pen on paper contacting the corresponding disused surface into data, and the storage of the data.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store a writing image for a corresponding writing content when a user puts paper on a surface which is not used among external surfaces constituting a case of a mobile terminal and records the writing content. Accordingly,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can be expanded, and a user can ensure emotion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handwriting using paper. At the same time, since the real-time properties required for handwriting using an electronic pen on a screen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clarity of a handwritten content included in a handwritten image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post-processing.

Description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시스템{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케이스 중 불용면에 대응되어 센싱부를 구비하고, 해당 불용면과 접촉된 종이에 전자 펜을 통해 필기되는 내용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including a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an insoluble face of a case constituting a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that supports conversion of contents written through an electronic pen into data and storing the data,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현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휴대 단말은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터치 패널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하는 전자 펜을 통해 터치 패널에 입력된 필기 내용을 인식하여 이를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Currently,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notebook computer has a touch panel, and recognizes handwriting input to the touch panel through a touch panel and an electronic pen operating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After conversion, it can be saved in image form.

이를 통해, 현재의 휴대 단말은 실제 종이에 필기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기 어려운 내용을 전자 펜을 통한 필기 입력으로 용이하게 입력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종이를 이용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휴대 단말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user experience similar to writing on actual paper,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contents that are difficult to input through the keypad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into the handwriting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pen, So that handwriting can be conveniently handled in a portable terminal.

그러나, 기존 휴대 단말에서 지원하는 필기 인식 처리 방식은 전자 펜을 통해 사용자가 필기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므로, 필기 시점과 필기된 내용을 휴대 단말의 터치 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시점의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여 고성능의 하드웨어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으며, 휴대 단말에서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필기 내용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빈번히 발생하여 사용상 불편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processing method supported by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must support the user to check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through the electronic pen in real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high-performance hardware is required because synchronization is required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to a touch panel in a portable terminal,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더군다나, 휴대 단말에 직접 필기하여 인식하는 기존의 필기 인식 방식은 전자기적으로 동작하므로 종이와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필기보다 종이를 이용한 필기를 선호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기존의 필기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that handwrites and recognizes handwritten terminals directly operates electronically,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the same user experience as paper. Accordingly, handwriting using paper is preferred to handwriting using a touch panel of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can not be provid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904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9041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케이스 중 사용되지 않는 불용면에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불용면에 접촉된 종이에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시 필기 내용을 상기 센싱부를 통해 인식하여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종이에 필기하면서 필기 내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필기 내용을 데이터로 저장하여 종이를 이용한 필기에 따른 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종이를 이용한 필기 내용의 확인을 통해 필기 시점과 데이터 변환 시점의 실시간성이 요구되지 않아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input on an unused insulated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recognizes the handwritten content during writing using an electronic pen on paper contacting the insoluble surface through the sensing unit,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contents of handwriting while writing on the paper, and also can save the handwriting contents as data so as to keep the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using paper, and to confirm the handwriting contents using paper So that the hardware burde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종이에 필기하는 과정에서 종이가 휴대 단말의 불용면에 대한 초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종이의 현재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이어쓰기가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determine the current placement state of the paper and to write the paper even if the initial placement state of the paper relative to the insolubl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nges during writing on paper. There is a purpose.

더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종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이미 사용된 종이에서 필기 내용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종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호출하여 기존 종이에서 필기 내용을 추가하는 동시에 필기 내용이 추가된 종이에 대응되는 데이터에 해당 필기 내용을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특정 종이와 관련된 데이터의 관리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using a large number of papers, when a user wishes to add handwritten content to a paper already used, the user can easily call up data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paper, add handwritten content on an existing paper, It is possible to add the corresponding handwriting content to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added paper, thereby enhancing the user convenience in the management of data related to a specific pa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는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외부면 중 미리 설정된 평탄면에 대응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며, 전자 펜에 의해 상기 평탄면과 접촉된 종이에 필기되는 필기 지점에 대응되어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필기 지점에 대한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기 지점에 대한 좌표를 식별하며,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종이에 필기되는 필기 내용에 대한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case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flat surface among outer surfaces of a case constituting a portable terminal,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handwriting point written on paper; and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handwriting point from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the coordinates and genera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bout the handwriting content written on the paper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싱부는 EMR 패드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 펜과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펜의 필기 지점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EMR pad, and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about a writing point of the electronic pen through the electromagnetic pen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정보 수신시 필기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필기 이미지 상에 상기 필기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필기 정보 중 미리 설정된 배치 표시 패턴과 일치하는 필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종이의 배치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필기 이미지의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handwritten image upon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insert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on the handwritten image, and write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matching the predetermined layout display pattern amo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andwriting ima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필기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필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필기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handwritten image includ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n a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tores the handwritten image includ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이미지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에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필기 정보 생성시 상기 영역에 속한 상기 필기 정보를 상기 종이에 대한 식별자로 설정하고, 상기 필기 이미지에 상기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t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area as an identifier for the paper when generat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andwriting image , And gives the identifier to the handwritten imag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필기 이미지의 파일명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identifier in the file name of the handwritten imag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생성된 상기 필기정보에 따른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기존 필기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존 필기 이미지를 호출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수신된 센싱정보에 따라 생성한 필기 정보를 상기 기존 필기 이미지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arches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when there is an existing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from the storage unit And add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to the existing handwritten imag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특정 필기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매크로 기능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필기 정보 중 상기 특정 필기 정보와 일치하는 필기 정보를 인식시 인식된 필기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매크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set different macro funct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pecific handwritte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select a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dwritten information amo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macro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information recognized when the information is recogniz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삭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필기 이미지에서 상기 삭제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필기 정보와 중복되는 중복 지점 또는 해당 중복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필기 정보를 상기 필기 이미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written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deletion pattern, the control unit sets the handwritten image in the handwritten image based on a duplicate point or a duplicate point that overlap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pattern And delete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located in the reference area from the handwritten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시스템은 휴대 단말의 케이스 외부면 중 미리 설정된 평탄면에 접촉된 종이에 필기 가능한 필기 수단을 구비하며, 내부에 코일이 형성된 전자 펜 및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전자 펜과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상기 평탄면과 접촉된 종이에 필기되는 필기 지점을 검출하여 상기 필기 지점에 대한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기 지점에 대한 좌표를 식별하여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종이에 필기되는 필기 내용에 대한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필기 인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ing device that can be written on a paper that is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flat surface among outer surfaces of a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ct a writing point written on a pap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through the electromagnetic pen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for the writing point,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the handwriting point as a basis and genera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bout the handwriting content written on the paper in accordance with the coordinates.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외부면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면에 사용자가 종이를 대고 필기 내용을 기록하면 자동으로 해당 필기 내용에 대한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 단말의 불용면을 디지타이저로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용도를 확장하고 사용자가 종이를 이용한 필기에 따른 감성과 편의성을 그대로 보장하는 동시에 기존과 같이 휴대 단말의 화면에 전자 펜을 이용하여 필기하는 방식에 요구되는 실시간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후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필기 이미지에 포함된 필기 정보에 대한 선명도를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store a handwritten image of the handwriting content when the user writes the handwritten content on the unused surface of the external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 of the surface as a digitizer expands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ensures the sensitivi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using paper by the user as it is and at the same time real time required for the writing method using the electronic pe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arpness of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andwritten image is greatly increased by applying various post-processing method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종이를 배치하고 필기하는 과정에서 종이의 배치 상태가 기존 배치 상태와 상이하게 흐트러진 경우에도 종이에 배치 표시 패턴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종이의 배치 상태를 식별하여 필기 정보가 종이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정렬되도록 하여 이어쓰기가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종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배치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에 적힌 필기 내용과 동일한 배치 상태로 필기 정보가 삽입된 필기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identifies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by inputting a batch display pattern on the paper even when the user disposes the pap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writes the paper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arrangement state, The information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so that it can be successively written. Thus, it is possible not only to support the user to arrange the paper as desired by the user, but also to insert the writing information in the same arrangement state as the written contents written on the paper And provides a handwritten image, thereby greatly enhancing user satisfaction.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기한 복수의 종이에 각각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각 필기 이미지에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기존에 사용한 종이에 필기 내용 추가시 해당 종이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를 호출하여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필기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종이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의 관리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nd manage a handwritte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aper handwritten by a user, assign an identifier set by the user to each handwritten imag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content can be inserted by calling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paper, so that not only the handwriting convenience can be ensured but also the user convenience for managing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each paper is greatly enhanced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시스템의 동작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 및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의 종이에 대한 배치 상태 인식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의 종이별 식별자 부여 과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의 필기 정보에 대한 삭제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recognizing a placement state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assigning an identifier for each paper.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deleting handwriting information of a handwriting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시스템의 동작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 및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시스템은 전자 펜(20)과 휴대 단말(10)에 구성되는 필기 인식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100 configured in the electronic pen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펜(20)은 슬리브 형태의 케이싱(21)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21)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22)의 일측에는 원추형 플러그(23)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원추형 플러그(23)의 일측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1)의 수용부(22)에는 필기 수단이 설치되고, 해당 필기 수단은 잉크가 충진되는 몸체(25)와 몸체(25)의 전단에 결합되는 펜촉(24)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펜촉(24)은 플러그(23)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2 (a), the electronic pen 20 has a casing 21 in the form of a sleeve, and the inside of the casing 21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2 whose one side is opened . A conical plug 23 may be screw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22,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ical plug 23. A wri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casing 21 and the writing means may comprise a body 25 filled with ink and a pen tip 24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25. [ And the pen nib 24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plug 23.

이때, 상기 필기 수단은 잉크 이외의 필기 재료로 이용 가능한 다른 필기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writing means can be replaced by another writing means usable as a writing material other than ink.

또한, 상기 전자 펜(20)은 상기 수용부(22) 내부에 전자기 유도를 위한 코일부(26)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20 may include a coil portion 26 for indu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receiving portion 22.

더하여, 상기 전자 펜(20)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20 may be configured as a stylus pen.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는 상기 휴대 단말(10)에 구성될 수 있으며, 센싱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는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에 구성되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외의 추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2 (b), the handwriting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includes a sensing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140).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unit included i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100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 ≪ / RTI >

또한,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는 휴대 단말(10)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0)은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include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have.

우선, 상기 센싱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외부면 중 사용되지 않는 불용면(不用面)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평탄면(A)에 대응되어 상기 휴대 단말(10)의 케이스(11)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부(110)는 상기 평탄면(A)과 접촉하는 종이(1)에 필기되는 필기 지점을 센싱하여(검출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the sensing unit 110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lat surface A corresponding to an unused surface (unus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sensing unit 110 senses a writing point written on the paper 1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A and senses the sensing point, Lt; / RTI >

이때, 상기 센싱부(110)가 구성되는 휴대 단말(10)의 케이스(11)는 상기 휴대 단말(10)이 노트북인 경우 커버 케이스이며, 상기 휴대 단말(10)이 태블릿 pc이거나 스마트폰인 경우 후면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case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 constituting the sensing unit 110 is a cover cas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notebook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t can mean the rear case.

일례로, 상기 센싱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종이(1)에 필기 내용을 필기하는 전자 펜(20)의 코일부(26)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하여, 상기 전자 펜(20)의 상기 종이(1)에 대한 필기 지점을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필기 지점에 대응되는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10 operates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with the coil unit 26 of the electronic pen 20 that writes the handwriting on the paper 1 by the user, A writing point for the paper 1 can be detected a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riting point can be generated.

이때, 상기 센싱부(110)는 상기 전자 펜(20)을 이용한 필기시 필기 지점과 함께 필압(筆壓)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필기 지점 및 필압에 대한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10 may sense a pen pressure along with a handwriting point during handwriting using the electronic pen 20, and may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point and the pressure.

또한, 상기 센싱부(110)는 상기 전자 펜(20)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상호 동작하여, 상기 전자 펜(20)의 필기 지점에 대한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패널(panel)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n EMR (Electro Magnetic Resonance) panel for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about a writing point of the electronic pen 20 by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the electronic pen 20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 / RTI >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기 지점에 대한 좌표를 식별하고, 상기 센싱부(11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좌표에 따라 상기 종이(1)에 필기되는 필기 내용에 대한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dentifies the coordinates of the handwriting poi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10 and identifies coordinates of the handwriting poi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bout the handwriting content written on the paper 1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필압 관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필기 정보에 따른 글자의 굵기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adjust the thickness of letters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pressure-pressure-related data includ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부(110)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시 상기 필기 정보가 삽입되는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하여 상기 필기 정보의 생성을 위한 필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필기 이미지(2)에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필기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a handwritten image 2 in which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s inserted when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110 to operate in a handwriting mode for generat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The hand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written image 2.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10)에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시 상기 필기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1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 단말(10)이 웨이크 업 모드(wake-up mode)에서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센싱정보 수신시 상기 필기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operates in the handwriting mode to receive the preset user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o generate the handwritten image 2,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switched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leep mode and the sens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To generate the handwritten image (2).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10)이 노트북인 경우 상기 노트북의 커버 케이스(cover case)를 닫는 경우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센싱정보 수신시 상기 필기 모드로 동작하여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한 후 상기 센싱정보에 따른 필기 정보를 상기 필기 이미지(2)에 삽입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notebook computer, the control unit 140 switches to a sleep mode when the cover case of the notebook PC is closed. When the cover case of the notebook PC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2)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2) and inser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into the handwriting image (2).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10)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슬립모드로 전환된 상태 또는 상기 휴대 단말(10)에 구성된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10)의 자세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 단말(10)의 후면 케이스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110)를 통한 센싱정보 수신시 상기 필기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한 후 상기 센싱정보에 따른 필기 정보를 상기 필기 이미지(2)에 삽입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control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sleep mode to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Determines the pos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operates in the handwriting mode when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while the back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faces upward After the handwritten image (2) is generated, the handwritt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written image (2).

이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 단말(10)이 노트북인 경우 상기 노트북의 커버 케이스에 대한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스위치 또는 센서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0)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의 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be a switch or a sensor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ver case of the notebook is open or clos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notebook.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 gyro sensor for determining the attitu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생성된 필기 정보가 상기 필기 모드의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필기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할 수도 있다.Also, the controller 140 may operate in the handwriting mode to generate the handwriting image (2) if the handwriting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andwriting mode have.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수신된 센싱정보에 따라 생성한 필기 정보를 상기 필기 이미지(2)에 삽입하여 상기 필기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이미지(2)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필기 이미지(2)를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nsert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into the handwriting image 2 to generate a handwriting image 2 includ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may store the handwritten image (2) in the storage unit (130).

이때, 상기 저장부(130)는 메모리(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memory, a hard disk, or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필기 정보 생성시 해당 필기 정보에 대한 잡음 필터링이나 베지어 곡선(bezier curve) 처리 등과 같은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후처리된 필기 정보를 필기 이미지(2)에 삽입하여 필기 정보의 선명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post-processing such as noise filtering or bezier curve processing on the handwritten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handwritten handwritten information to the handwritten image 2 So that the sharpness of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필기 이미지(2)를 상기 휴대 단말(1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펜(20)을 이용하여 종이(1)에 필기한 내용을 휴대 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데이터로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the handwritten image 2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So that the contents written on the paper 1 can be confirmed as data through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display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외부면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면에 사용자가 종이를 대고 필기 내용을 기록하면 자동으로 해당 필기 내용에 대한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 단말의 불용면을 디지타이저(digitizer)로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용도를 확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종이를 이용한 필기에 따른 감성과 편의성을 그대로 보장하는 동시에 기존과 같이 휴대 단말의 화면에 전자 펜을 이용하여 필기하는 방식에 요구되는 실시간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후처리를 적용하여 필기 이미지에 포함된 필기 내용 관련 필기 정보에 대한 선명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store a handwritten image of the handwriting content when the user writes the handwritten content on the unused face of the outer surface constituting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insufficiency of the terminal as a digitizer,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xtende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be assured of the sensitivi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using pap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greatly enhance the sharpness of the handwri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handwriting content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mage by applying various post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은 종이를 이용한 필기 내용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므로, 사용자가 종이를 통해 필기 내용을 직관적이며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필기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handwritten content using paper into data and stores it,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real-time confirm the handwritten content through paper, thereby greatly enhancing handwriting convenien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의 종이에 대한 배치 상태 인식에 대한 동작 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a placement state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수신된 센싱 정보에 따라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필기 정보 중 상기 필기 이미지(2)의 배치 상태 인식을 위해 미리 설정된 배치 표시 패턴과 일치하는 필기정보를 기초로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3 (a), the control unit 140 of the handwriting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generat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can b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written information matching the placement display pattern set in advance for recognizing the placement state of the handwritten image 2 among the information.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필기 정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이(1)의 모서리를 식별하기 위한 기호가 배치 표시 패턴으로 미리 설정되고,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수신된 센싱정보에 따라 생성한 필기 정보 중 해당 기호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종이(1)의 각 모서리 및 각 모서리의 배치 상태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set a symbol for identifying the edge of the paper 1 as a placement display pattern in advance as shown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The arrangement states of the corners and the corners of the paper 1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ymbol amo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paper 1, .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필기 이미지의 배치 상태를 조절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40 may adjust or se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andwriting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한편, 사용자가 센싱부(110)에 대응되어 종이(1)를 배치한 후 전자 펜(20)을 이용하여 종이(1)에 필기하는 과정에서 종이(1)가 기존 배치 상태와 상이하게 배치되는 경우 종이(1)에서는 평행하게 글자가 필기되더라도, 해당 글자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가 필기 이미지에서는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삽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laces the paper 1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unit 110 and then writes the paper 1 on the paper 1 using the electronic pen 20, the paper 1 is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arrangement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inclined and inserted at an angle in the handwriting image even if characters are written in parallel on the paper 1.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배치 표시 패턴을 종이(1)에 다시 필기하여 센싱부(110)를 통해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를 재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수신된 센싱정보에 따라 필기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배치 표시 패턴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1)가 기존 배치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를 식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3 (b), the user writes the placement display pattern on the paper 1 again using the electronic pen to determin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and displays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on the basis of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splay pattern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angle at which the paper 1 is inclined in the existing arrangement state.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와 일치되도록 또는 상기 종이(1)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어 상기 필기 이미지의 배치 상태를 조절 또는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40 may adjust or se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andwriting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or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이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종이(1)를 기존 배치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현재 배치 상태로 상기 종이(1)에 글자를 필기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종이(1)의 기울어진 현재 배치 상태가 적용된 필기 이미지에 상기 센싱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따라 생성된 필기정보를 삽입하여 종이(1)의 일측에 대하여 평행하게 필기되는 글자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가 필기 이미지의 일측에 대해서 평행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3 (c), even if the user writes a character on the paper 1 in a current arrangement state in which the paper 1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nventional arrangement, Is written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the paper (1) by inserting the 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0) into a handwriting image to which the current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So that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can be inserted parallel to one side of the handwritten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필기정보가 삽입된 필기 이미지의 현재 배치 상태를 식별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현재 배치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필기 이미지가 기울어진 배치 각도를 연산할 수 있으며, 해당 배치 각도에 따라 상기 필기 이미지를 기준 배치 상태에 대응되도록 조절 또는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필기 이미지에 포함된 필기 정보 역시 해당 기준 배치 상태에 대응되어 배치 각도가 조절 또는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identify the current arrangement state of the handwritten image in which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s inserted and compute an arrangement angle in which the handwritten image is inclined by comparing the current arrangement state on the basis of the preset reference arrangement state And the handwritten image can be adjusted or set to correspond to the reference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and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mage can also be adjusted or se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rangement state.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종이(1)를 비스듬하게 배치하여 필기하는 경우에도 상기 필기 이미지를 기준 배치 상태에 따라 똑바르게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필기 이미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10)에 구성된 표시부(120)를 통해 상기 필기 이미지를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르게 배치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user arranges the paper 1 obliquely and writes the handwriting image, the controller 140 can arrange the handwriting image according to the reference arrangement state, Or display the handwriting image so that the handwriting image can be arranged straight without being tilted to either 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종이(1)의 현재 배치 상태에 따라 필기 정보를 정렬하여 필기 이미지에 삽입함으로써, 배치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이어 쓰이는 필기 내용에 대응되어 필기 정보를 필기 이미지에 이어 삽입하여 사용자가 필기 내용을 이어 쓰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arrange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arrangement state of the paper 1, insert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nto the handwritten image, insert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nto the handwritten image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content used after the arrangement status is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no inconvenience of continuing the handwritten content.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종이를 배치하고 필기하는 과정에서 종이의 배치 상태가 기존 배치 상태와 상이하게 흐트러진 경우에도 종이에 배치 표시 패턴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종이의 배치 상태를 식별하여 필기 정보가 종이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정렬되도록 지원하여 이어쓰기가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종이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배치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에 적힌 필기 내용과 동일한 배치 상태로 필기 정보가 삽입된 필기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ven if the user disposes the pap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writes the paper in a different state from the existing arrangement state, when the user inputs a layout display pattern on the paper, So that the writing information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heets of paper. Thu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user to arrange the sheets as desir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ndwritten image in which handwritten information is inserted, thereby greatly enhancing user satisfaction.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의 종이별 식별자 부여 과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필기 이미지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B)에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필기 정보 생성시 상기 영역(B)에 속한 상기 필기 정보를 상기 종이(1)에 대한 식별자로 설정할 수 있다.4 (a), the control unit 140 of the handwriting recognizing apparatus 100 generat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B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handwriting image, The user can set the handwritten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area (B) as an identifier for the paper (1).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종이(1)에 대응되어 생성된 상기 필기 이미지에 상기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can assign the identifier to the handwriting imag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aper 1. [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정보에 따른 필기정보 및 상기 배치 표시 패턴을 기초로 제 1 종이(1a)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해당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B)에 1 페이지를 의미하는 '1p'를 필기한 경우 이에 대한 필기정보를 상기 제 1 종이(1a)에 대응되어 생성한 제 1 필기 이미지의 식별자로서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paper 1a based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layout display pattern, When '1p' representing one page is written in the predetermined area B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handwritten information on the '1p' is given as an identifier of the first handwritten imag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per 1a .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종이(1a)에 대한 필기를 종료하고 제 2 종이(1b)에 대한 필기를 시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정보에 따른 필기정보 및 상기 배치 표시 패턴을 기초로 제 2 종이(1b)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해당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B)에 2 페이지를 의미하는 '2p'를 필기한 경우 이에 대한 필기정보를 상기 제 2 종이(1b)에 대응되어 생성한 제 2 필기 이미지의 식별자로서 부여할 수 있다.4 (b), when the user finishes the writing on the first paper 1a and starts the writing on the second paper 1b,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writing of the writing paper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2b) indicating the second page is written in the area (B) preset by the user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paper (1b)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layout display pattern As the identifier of the second handwritten imag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per 1b.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필기 이미지의 파일명에 상기 식별자를 포함시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the identifier in the file name of the handwritten image and store the identifier in the storage unit 130. FIG.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배치 표시 패턴에 대응되는 센싱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식별자의 인식을 위한 영역(B)을 식별하고, 해당 영역(B)에 대응되어 생성된 필기정보를 식별자로 생성할 수 있다.If the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splay pattern is not received, the control unit 140 identifies the area B for recognizing the identifier based on the reference arrangement state, and corresponds to the area B And the generated handwritte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s an identifier.

더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필기 중인 종이에 대응되는 현재 식별자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현재 식별자와 상이한 식별자가 생성되어 식별자가 변경되는 경우 종이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temporarily stores the current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paper being handwritten by the current user, generates an identifier different from the current identifi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determines that the paper is replaced when the identifier is changed can do.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기존 종이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교체된 종이에 대응되는 새로운 필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새로운 필기 이미지에 필기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may store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paper in the storage unit 130, generate a new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placed paper, inser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to the new handwriting image, can do.

한편, 상술한 구성을 통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현재 필기되는 제 2 종이(1b)를 교체하여 기존에 사용한 기존 제 1 종이(1a)에 필기 내용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영역(B)에 대응되어 생성된 필기 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130)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기존 필기 이미지(제 1 필기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호출)할 수 있다.4 (c), the controller 140 may replace the second paper 1b currently being written by the user so that the first paper 1a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can be written (First handwritte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y searching the storage unit 130 based on th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hand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ea B, (Retrieved) from the storage unit 130. FIG.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기존 제 1 종이(1a)에 사용자가 필기 내용을 추가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130)로부터 상기 제 1 종이(1a)에 대응되어 추출된 상기 기존 필기 이미지(제 1 필기 이미지)에 상기 추가되는 필기 내용에 대응되어 생성된 필기 정보를 상기 기존 필기 이미지(제 1 필기 이미지)에 추가 삽입할 수 있다.When the user adds the handwriting content to the existing first paper 1a,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the existing handwriting image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1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per 1a, 1 handwritten image) can be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existing handwritten image (first handwritten image).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기한 복수의 종이에 각각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각 필기 이미지에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기존에 사용한 종이에 필기 내용 추가시 해당 종이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를 호출하여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이용한 종이에 다시 필기 내용을 추가시 이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필기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종이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의 관리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nd manage a handwritte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aper handwritten by a user, assign an identifier set by the user to each handwritten image, and write When adding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content by calling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paper, thereby creating a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 of the handwriting content to the previously used paper to guarantee the handwriting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greatly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managing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each paper.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인식 장치의 필기 정보에 대한 삭제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상기 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삭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필기 이미지 상에서 상기 삭제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필기 정보와 중복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필기 정보를 상기 필기 이미지에서 삭제할 수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leting handwriting information of a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10,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an be deleted from the handwritten image in the area overlapp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pattern on the handwritten image.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전자 펜(20)을 이용하여 종이(1)에서 삭제 대상 글자에 미리 설정된 삭제 패턴에 따른 두 줄을 긋는 경우 상기 센싱부(110)의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삭제 대상 글자에 그어진 두 줄에 대한 필기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필기 정보를 미리 설정된 상기 삭제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해당 삭제 패턴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와 중복되는 중복 지점에 위치하거나 해당 중복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영역 내에 위치하는 필기 이미지에 포함된 필기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aws two lines on the paper 1 in accordance with the deletion pattern preset in the deletion target character using the electronic pen 20,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ensing unit 11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10 Recogniz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or the two lines of the deletion target character, compar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with the deletion pattern set in advance, and if the handwriting information match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pattern, It is possible to delet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mage located in the reference area set in advance based on the point.

한편, 상기 전자 펜(20)은 상기 코일부(26)와 상기 센싱부(110)의 전자기 유도에 따라 상기 코일부(26)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펜 제어부 및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된 통신부와 미리 설정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10)의 통신부 및 상기 전자 펜의 송수신부 사이의 근거리 통신를 통해 상기 전자 펜(20)의 펜 제어부와 상호 통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20 includes a pen control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coil unit 26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of the coil unit 26 and the sensing unit 110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140 of the handwriting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transceiver unit of the electronic pen through a shor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pen control unit of the pen 20. [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to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기 전자 펜(20)은 상기 종이(1)에 적힌 필기 내용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수단(2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펜(20)은 삭제 수단(27)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20 may include a deletion means 27 for deleting the written contents written on the paper 1. The electronic pen 20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use the deletion means 27 And a button unit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이에 따라, 상기 전자 펜(20)의 펜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와 연동하여 상기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삭제 수단(27)의 이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버튼부의 입력에 따라 삭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펜(20)에 구성된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10)로 상기 삭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 of the deletion unit 27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through the button unit in cooperation with the button unit, the pen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pen 20 generates de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button unit The dele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transceiver configured in the electronic pen 20. [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10)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삭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삭제정보의 수신 시점부터 상기 센싱부(110)에 따른 필기 지점에 대응되는 필기 이미지 내의 필기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If the de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unit 110, Can be deleted.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삭제 정보의 수신 시점부터 상기 필기 이미지 상에서 상기 필기 지점에 대응되는 좌표에 위치하는 필기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필기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영역 내에 위치하는 필기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deletes handwriting information located at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point on the handwritten image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deletion information, or writes handwritten information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ference area on the basis of the handwriting point Can be dele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는 종이(1)에서 사용자가 삭제하는 필기 내용에 대응되어 필기 이미지에서 해당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필기 정보를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이(1)를 이용한 필기 내용의 삭제시 이를 필기 이미지에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let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content in the handwrit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content deleted by the user on the paper 1 Thus, when the handwritten content using the paper 1 is deleted, it can be accurately reflected on the handwritten image.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필기 인식 장치(100)의 제어부(140)에는 서로 다른 특정 필기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매크로(macro) 기능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필기 정보 중 상기 특정 필기 정보와 일치하는 필기 정보를 인식시, 인식된 필기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매크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크로 기능은 상기 제어부(140)의 동작 명령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of the handwriting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set different macro funct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pecific handwri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recognizi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dwritten information among the handwritte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macro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handwritten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macro function may be constituted by one or more instruction combinations for an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40. [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필기 정보에 해당되는 제 1 필기 정보 생성시 상기 제 1 필기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제 1 필기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기능에 따라 상기 필기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이메일(E-mail)로 송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recognizes the first handwritten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first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dwritten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first handwritt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cro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ndwritten information The handwritten image can be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e-mail (E-mail).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필기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제 1 필기 정보와 상이한 제 2 필기 정보 생성시 상기 제 2 필기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제 2 필기 정보에 대응되는 매크로 기능에 따라 현재 필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새로운 필기 이미지를 로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이 교체에 따른 필기 이미지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recognizes the second handwritten information when generating second handwritte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andwritten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current handwritten image can be stored and a new handwritten image can be loaded according to the macro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hereby replacing the handwritten image due to paper replacement.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10)에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필기 정보 및 매크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set the specific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macro function based on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put unit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배치표시 패턴이나 식별자 및 매크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필기 정보는 상기 필기 이미지에 삽입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rol unit 140 may not insert the handwritt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splay pattern or the identifier and the macro function in the handwriting imag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circuitry (e.g., CMOS-based logic circuitry),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utilizing transistors, logic gates, and electronic circuits in the form of various electrical structures.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종이 2: 필기 이미지
10: 휴대 단말 11: 케이스
20: 전자 펜 100: 필기 인식 장치
110: 센싱부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 paper 2: handwriting image
10: portable terminal 11: case
20: electronic pen 100: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110: sensing unit 120: display unit
130: storage unit 140:

Claims (1)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외부면 중 미리 설정된 평탄면에 대응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며, 전자 펜에 의해 상기 평탄면과 접촉된 종이에 필기되는 필기 지점에 대응되어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기 지점에 대한 좌표에 따라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 적용되는 필기 인식 장치.
A sensing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case and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lat surface of an outer surface of a case constituting a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writing point written on a paper contacted with the flat surface by an electronic pen, ;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handwriting poi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KR1020180011289A 2018-01-30 2018-01-30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0437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89A KR20180043761A (en) 2018-01-30 2018-01-30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89A KR20180043761A (en) 2018-01-30 2018-01-30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648A Division KR101853056B1 (en) 2016-10-20 2016-10-20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761A true KR20180043761A (en) 2018-04-30

Family

ID=6208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89A KR20180043761A (en) 2018-01-30 2018-01-30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76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773B1 (en) * 2018-10-02 2019-10-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Roll type electronic touch note
WO2022075605A1 (en) * 2020-10-08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773B1 (en) * 2018-10-02 2019-10-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Roll type electronic touch note
WO2020071575A1 (en) * 2018-10-02 2020-04-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Roll-type electronic touch notepad
WO2022075605A1 (en) * 2020-10-08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288B1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haptic effect with an input unit and method therefor
CN102112948B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handy terminal
US9632595B2 (en)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09107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edback of an input unit, and the input unit and method therefor
KR10208181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izer mode
KR1022644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1648446B1 (en)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and digital pen
KR102179156B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US90416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15142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ying Gesture Commands
KR20140097902A (en)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haptic pattern and method therefor
US99220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KR20140056959A (en) Mobile terminal
CN10400792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CN106681620A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terminal control
KR20180043761A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73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memo in a user terminal
KR2015000896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KR2015000757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bination
KR101853056B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writing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12226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10040656A (en)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4866215B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28135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