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042A -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 Google Patents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042A
KR20180043042A KR1020160135837A KR20160135837A KR20180043042A KR 20180043042 A KR20180043042 A KR 20180043042A KR 1020160135837 A KR1020160135837 A KR 1020160135837A KR 20160135837 A KR20160135837 A KR 20160135837A KR 20180043042 A KR20180043042 A KR 2018004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internet
internet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극
이남경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042A/en
Publication of KR2018004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anagement platform registering method in an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operating in a wireless router mode when power is applied; receiving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establishing 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connecting to wired or wireless-based Internet during the established session; transmi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nnected Internet; terminating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executing a predetermined service function of the IoT devi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register the IoT device in a management platform of the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device,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Internet device and a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therefor.

최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트랜드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 IoE) 또는 소물인터넷 (Internet of Small Things, IoST)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제조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을 출시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emergence of Internet of Things (IoT), Internet of Everything (IoE) or Internet of Small Things (IoST) as one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trends, Has released a wide variety of Internet devices.

그러나 이러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종류는 수없이 많을 뿐만 아니라, 각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플랫폼을 적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을 출시하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기 위한 셋업 및 네트워크 등록 방법도 각각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re are many kinds of Internet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up and network registration methods for using the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each manufacturer releases Internet devices using different platforms.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활용 및 범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누구든지 쉽게 디바이스 사용이 가능하도록 유도해주는 방법 및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versatility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methods and techniques are required to induce anyone to easily use the device.

즉, 수없이 많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의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를 인터넷에 연결하고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서버의 관리 플랫폼에 등록하는 방법 및 절차의 다양성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numerous object internet devices, there is a need to solve the problem of a variety of methods and procedures for connecting the device to the Internet and registering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of the management server responsible for management.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3013호(발명의 명칭: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는 사용자가 구입한 사물기기를 쉽고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고,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과 로직에 따른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관리서버에서 저작 및 생성하고, 사물기기의 센서들이 센싱하는 정보들 중에서 의미있는 정보들만을 저장하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83013 (entitled " Internet support system for objects ") allows a user to easily register a purchased object device on a management server, A management server manages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according to the sensed information, and only meaningful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s of the object device is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사용하기에 앞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인증 및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서버의 관리 플랫폼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registering an object Internet device on a management platform of a management server that is responsible for authentication and management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prior to us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시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시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수립된 세션동안 유선 또는 무선 기반의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인터넷을 통해 관리 서버로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리부팅을 통해 상기 무선 공유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gistering a management platform in an Interne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perating in a wireless router mode when power is applied; Receiving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Establishing 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Connecting to a wired or wireless based Internet during the established session; Transmi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via the connected Internet; Terminating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executing a predetermined service function of the destination Interne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관리 서버에서의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시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시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을 수립하며, 상기 수립된 세션동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기반의 인터넷으로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등록 정보를 전송하며, 리부팅을 통해 상기 무선 공유기 모드를 종료시킨 뒤 기 설정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시킨다.The object Interne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registration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in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like. At this time, as the program is executed, the processor ca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to operate in a wireless router mode when power is applied, receives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Establishes a session, accesses the wired or wireless based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during the established session, transmits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via the connected Internet, and exits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executes the preset service func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관리 플랫폼과 여러 제조사들에서 제조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관리 플랫폼 또는 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등록시켜 연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riety of management platforms and object Internet devices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can be easily registered on a management platform or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objects.

또한, 기존 방법 대비 사용자 인터랙션이 최소화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활용에 대한 장벽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Also, as the user interaction is minimiz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rrier to the utiliz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is low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bject Internet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et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hrough FIG. 5 are flowcharts of a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in an object Inter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Whenever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 및 이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Internet device (100) and a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사용하기에 앞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인증 및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서버(300)의 관리 플랫폼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등록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us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platform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responsible for authentication and management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can be managed more easily by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objects.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bject Internet suppor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object Internet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1)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The object Internet suppor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Internet device 100, a user device 200, and a management server 300.

이때,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FIG. 1 can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One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A broadcast network, an analog broadcast network,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nd the like.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사물들로서, 그 예로 전화기, 에어컨, 선풍기, TV, 전등, 오디오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may be a variety of objects in the vicinity, such as a telephone, an air conditioner, a fan, a TV, a lamp, audio, and the like.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서버(300)에 등록시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즉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device 200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by register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 The user device 20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such as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a PHS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WL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관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등록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한다.The management server 300 refers to a server that operates a management program that can register and manage one or more object Internet devices 100 in an integrated mann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30.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110)은 유선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user device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bot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a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device, a cable home (MoCA), an Ethernet, an IEEE1294, an integrated wired home network, and an RS-485 control devic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be implemented with a wireless LAN (W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 GHz WPAN, Binary-CDMA, wireless USB technology and wireless HDMI technology.

메모리(120)에는 관리 서버(300)에서의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In the memory 120, a program for registration as a management platform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stored. At this time, the memory 12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which keep the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a compact flash (CF) card, a secure digital (SD) card, a memory stick, a solid-state drive (SSD) A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 such as a NAND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and the like, and an optical disc drive such as a CD-ROM, a DVD-ROM, etc. .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거나 기 설정된 본연의 서비스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30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executes a process for registration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or a predetermined service fun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1 and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oles can be performed.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us, by way of example, an element may compris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within thos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에서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i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에서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의 순서도이다.3 to 5 are flowcharts of a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i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플랫폼에 등록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register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n the management platform.

먼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한다(S301). 즉,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본래의 기능,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온도/습도 센서인 경우 전원이 인가된 후 최초 온도, 습도를 측정하지 않고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Firs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operates in a wireless router mode as power is applied (S301). That is, whe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s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operates in the wireless router mode without measuring the initial temperature and humidity after power is applied do.

이때,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예를 들어 와이파이 공유기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wireless router mode means tha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operates as a Wi-Fi router, for example.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와이파이인 경우, 와이파이 신호)를 송출하고, 주변의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송출된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검색하면 SSID(Service Set Identifier)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ransmits a wireless network signal (Wi-Fi signal in the case of Wi-Fi), and the surrounding user device 200 can check the SSID (Service Set Identifier) .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무선 공유기 모드에서의 SS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특정 SSID로 검색이 가능한 무선 공유기의 SSID와 비밀번호를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해두거나, 내부 포장지, 내부 패키지 안에 포함시켜 놓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may have previously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SID and the password in the wireless router mode. That is,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may store the SSID and the password of the wireless router, which can be searched by the specific SSID, in the memory 120, or may include the SSID and the password in the inner package or the inner package.

이러한 식별정보는 다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와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SSID 및 비밀번호의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 형태이거나, 또는 실제 SSID 및 비밀번호 형태일 수 있다.Th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r distinguishing from the other object Internet device 100, and may be in the form of a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of an SSID and a password, or may be in the form of an actual SSID and a password.

이와 같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무선 공유기 모드가 되어,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SSID를 검색 가능하게 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을 시도하고(S303), 이러한 접속 시도 정보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305).Whe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becomes wireless router mode and the user device 200 can search for the SSID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he user device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S303),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to the thing Internet device 100 (S305).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QR 코드를 캡쳐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QR 코드를 캡쳐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SSID 및 비밀번호의 정보를 획득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device 200 captures the QR code using the general-purpose application capable of capturing the QR code, acquires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nd attempts to access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can do.

만약 QR 코드 대신 실제 무선 네트워크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내부 패키지 안에 직접 표시해 놓은 경우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실제 SSID 및 비밀번호가 직접 입력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와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If the SSID and the password of the actual wireless network are displayed directly in the internal package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nstead of the QR code, It can try to connect with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접속 시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원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과 세션을 수립한다(S307).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desires to registe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by receiving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so tha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Establishes 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S307).

다음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수립된 세션을 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웹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전송한다(S309). 이러한 웹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실행파일의 일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웹 서버로 접속하였을 때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등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대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게끔 하는 기능이 포함된 실행파일에 관한 것이다.Nex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ransmits the web-based application package to the user device 200 through the established session (S309). Such a web-based application package may be a part of an executable file that runs on a web browser, and may be similar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downloading a virus or malicious code when connected to a specific web server, for exampl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cutable file including a function of caus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o transmit necessary information instead of a virus or a malicious code.

다음으로, 웹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애플리케이션 패키지가 구동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이력 정보를 수집한다(S311). Next, the user device 200 receiving the web-based application package collects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as the application package is driven (S311).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 단에서 동작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게 이러한 절차를 노출시키지 않으나, 특정 목표나 의도를 위해 사용자에게 동작 상황을 표시해주는 UI(User Interface)가 존재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package operates at the background end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re may be a UI (User Interface) that notifies the user of this procedure but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to the user for a specific goal or intention.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구동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사용되었던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이력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의 SSID 및 비밀번호 히스토리)을 수집하고, 이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313).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접속 이력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특정 접속 정보를 입력하게끔 할 수도 있다.When the application package is activated on the user device 200, the wireless device acquires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e.g., SSID and password history) of the wireless network used in the user devic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S313). At this time, the user device 200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or may manually input specific access information by the user's selection.

한편, 웹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유효기간이 존재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다시 동작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b-based application packa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rated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or can be automatically deleted.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전송한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이력 정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한다(S315).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connects to any one of the wireless networks included in the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transmitted from the user device 200 at step S315.

이렇게 인터넷 접속까지의 과정이 종료되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300)의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위해 자신의 상세 정보가 포함된 등록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S317), 관리 서버(300)는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플랫폼 상에 등록한다(S319).When the process up to the Internet connection is completed,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ransmits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ts detail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for registration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S317 ,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on the management platform (S319).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관리 플랫폼에 등록 절차를 진행하면서, 리부팅을 통해 무선 공유기 모드를 종료시키고, 기 설정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한다(S321).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온도/습도 센서인 경우, 리부팅 후 더 이상 와이파이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공유기로 동작하지 않고,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erminates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executes a predetermined service function while registering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S321). For example, i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s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does not operate as a wireless router that transmits a Wi-Fi signal after rebooting, and performs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도 4는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플랫폼에 등록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dure for register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n the management platform when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200. [

먼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한다(S401). 이때,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내용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Firs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operates in a wireless router mode as power is applied (S401).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ng Internet device 100 in the wireless router mode is as described in FIG.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접속을 시도하며(S40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공유기 모드에서의 SS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접속 시도 정보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S405). Next, the user device 200 tries to connect to the user device 200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S403).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SID and the password in the wireless router mode is inputted through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S405).

즉,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을 위한 SS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That is, a QR code is scanned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200, or an SSID and a password for accessing the wireless network are input to attempt to access the user device 200.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접속 시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원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과 세션을 수립한다(S407).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desires to registe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by receiving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so tha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Establishes 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S407).

세션 수립이 완료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사용하였던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S409), 이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411).When the session establishment is completed, the user device 200 collects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S409),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to the thing Internet device 100 (S41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이력 정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한다(S413).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connects to any one wireless network included in the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n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S413).

이렇게 인터넷 접속이 완료되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300)의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위해 자신의 상세 정보가 포함된 등록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S415), 관리 서버(300)는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플랫폼 상에 등록한다(S417).When the Internet connection is completed,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ransmits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ts detail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for registration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S415) The server 300 receiv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on the management platform (S417).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관리 플랫폼에 등록 절차를 진행하면서, 리부팅을 통해 무선 공유기 모드를 종료시키고, 기 설정된 본래의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S419).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erminates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original service function while registering in the management platform (S419).

도 5는 사용자 디바이스(200) 상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플랫폼에 등록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registering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n the management platform when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200. [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유선 통신 모듈이 유선 인터넷과 연결된 상태에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한다(S501). 이때,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내용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Whe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wired Interne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operates in the wireless router mode as the power is applied (S501).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ng Internet device 100 in the wireless router mode is as described in FIG.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무선 공유기 모드가 되어,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SSID를 검색 가능하게 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을 시도하고(S503), 이러한 접속 시도 정보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505).Whe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becomes wireless router mode and the user device 200 is able to retrieve the SSID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he user device 200 searches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S503),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to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S505).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QR 코드를 캡쳐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QR 코드를 캡쳐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의 SSID 및 비밀번호의 정보를 획득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실제 SSID 및 비밀번호가 직접 입력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와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device 200 captures the QR code using the general-purpose application capable of capturing the QR code, acquires the SS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nd attempts to access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can do. Or may attempt to connect with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by directly inputting the actual SSID and password through the user device 200. [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접속 시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원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과 세션을 수립한다(S507).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desires to registe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by receiving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so tha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Establishes 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S507).

다음으로, 수립된 세션을 통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소를 전송한다(S509). Next,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ransmits the address of the web-based user interface to the user device 200 through the established session (S509).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주소로 접속하여(S511), 웹 페이지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P 주소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S513),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미리 연결되어 있던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S515). 이때,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아 유선 기반의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S511 및 S513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a).The user device 200 accesses the received address at step S511 and inputs the IP address information using the user interface provided at the web page at step S513, To access the Internet (S515). At this time,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may be automatically allocated an IP address and connect to the wired Internet. In this case, steps S511 and S513 may be omitted (a).

이렇게 인터넷 접속까지의 과정이 종료되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300)의 관리 플랫폼으로의 등록을 위해 자신의 상세 정보가 포함된 등록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S517), 관리 서버(300)는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플랫폼 상에 등록한다(S519).When the process up to the Internet connection is completed,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ransmits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ts detail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for registration with the management platform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S517 ,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on the management platform (S519).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는 관리 플랫폼에 등록 절차를 진행하면서, 리부팅을 통해 무선 공유기 모드를 종료시키고, 기 설정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한다(S521).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가 온도/습도 센서인 경우, 리부팅 후 더 이상 와이파이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공유기로 동작하지 않고,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terminates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executes a predetermined service function while registering in the management platform (S521). For example, i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is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does not operate as a wireless router that transmits a Wi-Fi signal after rebooting, and performs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52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서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301 to S521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In addition, the contents already described in Figs. 1 and 2 can be applied to the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of Figs. 3 to 5 even if other contents are omitt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관리 플랫폼과 여러 제조사들에서 제조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용이하게 관리 플랫폼 또는 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300)에 등록시켜 연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manufactured by various management platforms and various manufacturers can be easily registered in a management platform or a management server 300 that manages the object platform, have.

또한, 기존 방법 대비 사용자 인터랙션이 최소화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 활용에 대한 장벽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user interaction is minimiz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rriers to utiliz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re lower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00)에서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management platform registration method in the object Interne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the computer or a command executable by the computer .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ose elem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100: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사용자 디바이스
300: 관리서버
1: Internet support system for objects
100: Things Internet Devices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Memory
130: Processor
200: User device
300: management server

Claims (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의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시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시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수립된 세션동안 유선 또는 무선 기반의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인터넷을 통해 관리 서버로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리부팅을 통해 상기 무선 공유기 모드를 종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플랫폼 등록 방법.
A method for registering a management platform in an object Internet device,
Operating in a wireless router mode as power is applied;
Receiving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Establishing a sess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attempt information;
Connecting to a wired or wireless based Internet during the established session;
Transmi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via the connected Internet;
Terminating the wireless router mode through rebooting; and
And executing a predetermined service func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KR1020160135837A 2016-10-19 2016-10-19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KR201800430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37A KR20180043042A (en) 2016-10-19 2016-10-19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37A KR20180043042A (en) 2016-10-19 2016-10-19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42A true KR20180043042A (en) 2018-04-27

Family

ID=6208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37A KR20180043042A (en) 2016-10-19 2016-10-19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04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59A (en)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코맥스 USER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IoT GATEWAY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59A (en)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코맥스 USER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IoT GATEWAY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providing profile in communication system
ES2770699T3 (en) Cloud devic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9451445B2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selection
US201803680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ccess,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00798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file
CN105282731B (en) Processing configures the method for profile and the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is method
US11190939B2 (en) Field programmable network hub with software defined radio
ES2753648T3 (en) Captive proxy portal traffic for limited input device
US9439062B2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application identifier handling
JP6231044B2 (en) Handling of appl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lectronic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eSIM)
CN110692280A (en) Network access method, equipment and system
CN104982072A (en) Online signup provisioning techniques for hotspot connections
WO2017167017A1 (en)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4094640A (en) Captive portal state detection and avoidance for multiple-interface traffic offloading
US10194382B2 (en) Auto-discovery of amenities
EP428056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17097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hort-distance wireless channel
KR20180043042A (en) IoT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MANAGEMENT PLATFORM THEREOF
US20160112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thered device to select external data network
US92044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correction of a WiFi login failure
JP6306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M2M service providers on an M2M node
US20130318250A1 (en) Method for connecting between terminals
ES2831384T3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server and a secure element
KR101906179B1 (en) Autho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a user equipment for connecting a network
TW201828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hannel including a wireless channel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and a short-range wireless channel establishing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