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711A -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711A
KR20180042711A KR1020160135211A KR20160135211A KR20180042711A KR 20180042711 A KR20180042711 A KR 20180042711A KR 1020160135211 A KR1020160135211 A KR 1020160135211A KR 20160135211 A KR20160135211 A KR 20160135211A KR 20180042711 A KR20180042711 A KR 2018004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manhole
water
hose
water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철
손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개발
Priority to KR102016013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711A/en
Publication of KR2018004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means of a by-pass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irculating sewage used in a water circulation work for sewage flowing through a sewer pipe for bypassing the sewer pipe in a construction section for a purpose of repairing the sewer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pparatus for circulating sewage for temporarily closing the sewer pipe to allow sewage flowing into a manhole to flow to another manhole through a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n irrigation structure having a diameter fixed between an inlet of the manhole and a sewage transport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a screw hole in an entrance of the manhole can securely install the sewage trasporter even if the entrance of the manhole is narrowed.

Description

하수 차오름 방식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water-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보수 등의 목적으로 하수관로를 통해 흐르는 하수가 공사 구간의 하수관로를 우회하여 흐르도록 조처하는 물돌리기 공사에 사용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로를 일시적으로 폐쇄하여 맨홀에 차오르는 하수를 호스를 통해 다른 맨홀로 흐르도록 하는 하수 차오름 방식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water turning device used for water turning operation for sewage flowing through a sewer pipe for the purpose of repairing a sewer pipe and bypassing a sewer pipe of a construction section to fl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for sewage water flowing through a hose to another manhole.

일반적으로 물돌리기 공사라 함은, 관로의 보수 등 공사를 목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를 통해 흐르는 하수를 우회하여 흐르도록 하는 공사를 말한다.In general, the term "water turning work" refers to a work that bypasses sewage flowing through a sewer line buried underground for the purpose of repairing a pipeline or the like and flows.

종래의 물돌리기 공사에서는 지상에 대형 양수기를 설치하고 맨홀을 통해 하수를 퍼올리는 방식으로 물돌리기 작업을 실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공사 방법은 전력 소모가 크고, 대형 양수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water turning work, a large water pump wa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water was turned by a method of pumping sewage through a manhole. However, such a construction method requires a large power consumption and difficulty in securing a space for installing a large water pump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물돌리기 공사에서는 양수기에 의하여 펌핑되는 하수의 양이 제한되어 있어서, 하수량이 많은 중대형의 관로에는 물돌리기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ater turning work, since the amount of sewage pumped by the water pump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erform the water turning work on the medium and large-sized pipe having a large sewage amount.

이에, 본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수기 없이 상류와 하류의 수위차를 이용한 자연유하 방식의 물돌리기 장치를 제안하기도 하였으며, 본 발명에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기술로서, 본 발명자가 제안한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가 국내등록특허 제10-1360172호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natural-watering water turning device using a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an upstream and a downstream without a water pump. As a technique in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turning a water-repellent water and a water-repelling devic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60172.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도 2a 및 도2b는 도 1의 상류측 맨홀(M1) 부분(A)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manhole-cauldron water turning method, and FIGS. 2 (a) and 2 (b) are enlarged views of a portion A of the upstream manhole M1 in FIG.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류측 관로(P1)로부터 흐르는 하수는 중간관로(P2)를 경유하여 하류측 관로(P3)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중간관로(P2)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중간관로(P2)의 맨홀(M2)을 통해 중간관로(P2)로 진입하여야 하며, 하수관로에는 상시 하수가 흐르고 있으므로 중간관로(P2)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우회시키는 것이 물돌리기 공법이다.1 and 2B, the sewage flowing from the upstream side pipeline P1 flows to the downstream side pipeline P3 via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When the maintenance of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is required, the operator must enter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through the manhole M2 of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Since sewage flows at all times to the sewage pipeline, the flow of the middle pipeline P2 Is to turn water temporarily.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공법은 상류측 관로(P1)와 중간관로(P2), 중간관로(P2)와 하류측 관로(P3) 사이에 각각 차수 부재(20)를 설치하여 하수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맨홀(M1)에 차오르는 하수가 호스(30)를 통해 맨홀(M3)로 흐르도록 하여 하수의 흐름을 우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manhole-seawater-type water turning method, the water distributing members 20 are provided between the upstream side pipeline P1 and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between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and the downstream side pipeline P3, And the sewage flowing into the manhole M1 flows through the hose 30 to the manhole M3, thereby bypassing the flow of the sewage.

도 2a에 나타난 것처럼 통상적으로 맨홀 뚜껑(50)은 규격화되어 직경(D1) 600mm로 제작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맨홀에는 맨홀 뚜껑(50)을 맨홀에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홀 등이 마련된 철개 구조물(40)이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며, 그로 인하여 맨홀의 최소 직경(D2)이 600mm보다 좁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2A, the manhole cover 50 is generally standardized and is manufactured to have a diameter (D1) of 600 mm. Meanwhile, a manhole structure 40 having a screw hole or the lik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to fix the manhole cover 50 to the manhole, so that the minimum diameter D2 of the manhole becomes narrower than 600 mm.

이 경우, 하수 송수기(10)의 하수 유입구의 직경이 철개 구조물(40)의 직경보다 커서 하수 송수기(10)을 적절하게 설치할 수 없게 되거나 하수 송수기(10)의 하수 유입구가 수밀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하수가 새어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this case, since the diameter of the sewage inlet of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rrigation structure 40, the sewer water dispenser 10 can not be installed properly or the sewage inlet of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 is not watert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eakage occurs.

또한, 종래에는 물돌리기 호스(30)가 절곡되어 막히거나 파손 등에 의하여 찢어짐이 생기는 경우 하수의 흐름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호스를 즉시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water turning hose 30 is bent and torn due to clogging, breakage,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change the hose because the flow of sewage is continuou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맨홀의 입구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하수 송수기 사이에 고정된 직경으로 제작된 철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맨홀의 입구 내부의 나사홀 등에 의하여 맨홀의 입구가 좁아지더라도 하수 송수기를 견고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structure having a diameter fixed between an inlet of a manhole and a sewerage transport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nho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age water turning device which can firmly install a sewage water transporter even if it becomes narro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맨홀과 맨홀 사이에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는 하수가 저류되는 하수 저류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물돌리기 호스의 절곡 등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물돌리기 호스를 추가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하수 토출기를 설치함으로써, 물돌리기 호스에 절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storage facility in which sewage flowing through a water turning hose is disposed between a manhole and a manhole so that even if breakage such as bending of the water turning hose occurs, And to provide a sewage water dischar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occurrence of bending in the water discharge hose by providing a sewage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is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s claimed and combinations there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관로로부터 중간관로를 경유하여 제2 관로로 흐르는 하수를 제1 맨홀과 제2 맨홀 사이의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우회하여 흐르도록 하는 하수도 물돌리기 장치로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상기 중간관로에 수밀하게 밀착됨으로써 하수가 상기 제1 관로로부터 상기 중간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수부재, 상기 제1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맨홀의 내부로부터 차오르는 하수를 지상으로 유출하는 하수 유입구 및 하수 유출구를 갖는 하수 송수기, 상기 하수 유입구가 내측에 결합하도록 원통 형상의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를 상기 제1 맨홀의 입구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하수 유입구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철개 구조물, 일 단이 상기 하수 유출구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제2 맨홀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하수가 상기 제2 맨홀로 흐르도록 하는 물돌리기 호스 및 상기 하수 송수기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wage circulating apparatus for circulating sewage flowing from a first pipeline through an intermediate pipeline to a second pipeline through a water turning hose between a first manhole and a second manhole, An intermediate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n inlet of the first manhole and which receives the air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manhole, A sewage water transporter having a sewage inlet and a sewag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ewage to the ground, a cylindrical upper support for connecting the sewage inlet to the inside, and a lower plate vertically fixing the upper support to the inlet of the first manhole, The upper support portion comprises a ridge structur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wastewater inlet, A water circulation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wage outl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manhole so that sewage discharged from the sewage outlet flows to the second manhole, And a packing member that expands when being injected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의 입구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하수 송수기 사이에 고정된 직경으로 제작된 철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맨홀의 입구 내부의 나사홀 등에 의하여 맨홀의 입구가 좁아지더라도 하수 송수기를 견고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teel structure having a diameter fixed between an inlet of a manhole and a sewer water transport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nhole, whereby the entrance of the manhole becomes narrower due to a screw hole or the like inside the entrance of the manhol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ewer water dispenser can be firm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과 맨홀 사이에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는 하수가 저류되는 하수 저류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물돌리기 호스의 절곡 등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물돌리기 호스를 추가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고, 하수 토출기를 설치함으로써, 물돌리기 호스에 절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wage storage facility in which sewage flowing through a water turning hose is stored between a manhole and a manhole can be easily replaced by adding a water turning hose even if breakage of the water turning hose or the like occurs, By providing the sewage injec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bend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water turning hos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a 및 도2b는 도 1의 상류측 맨홀(M1) 부분(A)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차오름 방식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도 3의 상류측 맨홀(M1) 부분(B)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송수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돌리기 호스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의 물돌리기 호스 교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토출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method of turning a manhole seawater.
Figs. 2A and 2B are enlarged views of a portion A of the upstream manhole M1 in Fig. 1; Fig.
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the upstream manhole M1 in Fig. 3;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ewag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placing a water turning hose when a water turning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eaks.
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ewage discharg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차오름 방식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P1, P2, P3)를 통해 상시 하수가 흐르게 되며, 하수관로의 설비 등을 위하여 하수 관로와 이어지는 맨홀(M1, M2, M3)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한편, 하수관로(P1, P2, P3)에는 하수가 항상 흐르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지하의 하수관로를 보강하는 등의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하수량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sewage flows at all times through the sewer lines P1, P2, and P3 embedded in the basement, and the manholes M1, M2, and M3 that connect to the sewage line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 On the other hand, since sewage is always flowing in the sewer lines P1, P2, and P3, the operator needs to treat the sewage supplied continuously in order to work such as reinforcing the sewer line in the underground.

본 발명의 하수 차오름 방식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는 이러한 환경에서 하수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류측의 하수관로(P1)와 중간관로(P2) 사이를 차단하여 맨홀(M1)에서 하수가 차오르도록 유도한 다음, 하수가 범람하는 것을 물돌리기 호스(400)를 통해 우회시켜 하류측의 맨홀(M3)을 통해 하수관로(P3)로 흘러나가게끔 조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emporarily bypassing the flow of sewage in such an environment and blocks the sewage line P1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intermediate line P2 so as to discharge the sewage water from the manhole M1 The water can be used to circulate the sewage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400 and flow out to the sewer pipe P3 through the manhole M3 on the downstream si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물돌리기 장치는 하수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의 하수관로(P1)와 중간관로(P2) 사이에 설치되는 차수부재(130)와, 상류측의 맨홀(M1)의 입구에 설치되는 하수 송수기(100), 맨홀(M1)의 입구에 설치되어 하수 송수기(100)를 결합시키는 철개 구조물(110), 그리고 철개 구조물과 하수 송수기(100)의 결합을 수밀하게 유지시키는 패킹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member 130 installed between the sewage pipe P1 and the intermediate pipe P2 on the upstream side, A sewer water transporter 10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M1 on the upstream side, a pier structure 11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M1 to connect the sewage water transporter 100, And a packing member 120 that keeps the coupling of the cap member 120 water tight.

먼저, 차수부재(130)는 상류측의 하수관로(P1)와 중간관로(P2) 사이에 설치되며,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중간관로(P2)에 수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상류측의 하수관로(P1)로부터 중간관로(P2)로 흐르는 하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차수부재(130)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에어백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류측의 하수관로(P1)로부터 상시 하수가 흐르게 되므로, 차수부재(130)에 의해 중간관로(P2)로 흐르는 하수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상류측의 맨홀(M1) 내부에서 하수가 차오르게 된다.First, the auxiliary member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upstream side sewage pipe P1 and the intermediate pipe P2. When the air is injected, the inflow member 130 is tightly adhered to the intermediate pipe P2 in a watertight manner, And functions to shut off the flow of sewage flowing to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Preferably, the stem member 130 may be in the form of an airbag that expands when air i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since sewage flows at all times from the sewage line P1 on the upstream side, the flow of sewage flowing to the intermediate pipeline P2 is blocked by the dehydration member 130, do.

하수 송수기(100)는 상류측의 맨홀(M1)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류측의 맨홀(M1)의 내부에서 차올라 지상으로 범람하는 하수가 물돌리기 호스(400)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하수 송수기(100)는 하단부가 상류측의 맨홀(M1)의 입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원통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수 송수기(100)는 상류측의 맨홀(M1) 내부에서 차오르는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구와 유입된 하수가 유출되는 하수 유출구를 갖는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수 송수기(100)는 차수부재(130)와 패킹부재(120)로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연결관, 공급호스 또는 공기 배출구와 이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관, 공급호스는 외부에 설치된 공기주입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M1 on the upstream side and serves to allow the sewage overflowing on the aquaria to flow into the water turning hose 400 from the inside of the manhole M1 on the upstream side.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disc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manhole M1 on the upstream side.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has a sewage water inlet through which sewage flowing in the manhole M 1 on the upstream side flows and a sewage water outlet through which sewage water flows out.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water leveling member 130 and the packing member 120, a supply hose or an air discharge port, and an opening / And the connection pipe and the supply hos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injector.

따라서 하수 송수기(100)는 상류측의 맨홀(M1)과 견고히 결합되어 수밀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류측의 맨홀(M1) 사이의 틈으로 하수가 새어나오게 된다. 한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맨홀에는 맨홀 뚜껑(50)을 맨홀에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홀 등이 마련되어 있어 맨홀의 최소 직경이 600mm보다 좁아지게 되어 하수 송수기(100)와 상류측 맨홀(M1)의 결합이 수밀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must be tightly coupled to the manhole M1 on the upstream side and kept watertight. Otherwise, sewage will leak into the gap between the manholes M1 on the upstream side. 2A and 2B, a conventional manhole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or the like for fixing the manhole cover 50 to the manhole, so that the minimum diameter of the manhole is narrower than 600 mm, And the upstream-side manhole M1 is difficult to be held in a watertight manner.

본 발명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는 하수 송수기(100)와 상류측 맨홀(M1) 사이에 설치되는 철개 구조물(110)과 패킹부재(120)를 통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The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rough the pillar structure 110 and the packing member 120 installed between the sewage water conveyor 100 and the upstream manhole Ml.

도 4는 도 3의 상류측 맨홀(M1) 부분(B)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송수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the upstream side manhole M 1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ewer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철개 구조물(110)은 하수 송수기(100)의 하수 유입구(114)가 내측에 결합하도록 원통 형상을 갖는 상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를 상류측 맨홀(M1)의 입구(111)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지지부는 하수 유입구(114)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류측 맨홀(M1)의 입구(111)의 최소 직경이 600mm보다 작고, 하수 송수기(100)의 하수 유입구(114)의 직경이 600mm인 경우, 철개 구조물(110)은 상부 지지부의 내경이 600mm이 되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개 구조물(110)은 하부 플레이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에 앙카 볼트(112)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류측 맨홀(M1)의 입구(111)에 수밀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4 and 5, the pillar structure 110 includes a cylindrical upper support portion and a lower support portion such that the wastewater inlet 114 of the sewage transporter 100 is coupled to the inside thereof. 111) of the lower plate. Here, the upper support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wage inlet 114. For example, if the minimum diameter of the inlet 111 of the upstream manhole M1 is less than 600 mm and the diameter of the sewage inlet 114 of the sewer water dispenser 100 is 600 mm, And the inner diameter is 600 mm.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late of the iron structure 110. The anchor bolt 112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iron structure 110 is fixed to the inlet 111 of the upstream side manhole M1 .

패킹부재(120)는 하수 송수기(100)의 하부 외부면을 따라 설치되며,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철개 구조물(110)의 상부 지지부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하수 송수기(100)와 철개 구조물(110)의 결합을 수밀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패킹부재(120)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에어 패킹일 수 있다.The packing member 120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and expands when the air is injected so that the packing member 120 close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pillar structure 110, In order to keep the coupling of the motorcycle tightly. For example, the packing member 120 may be a ring-shaped air packing that expands when air is introduced.

이에 따라, 차수부재(130)가 상류측 하수관로로부터 흐르는 하수의 흐름을 막아 상류측 맨홀(M1) 내부에서 하수가 차오르면, 하수 송수기(100)의 하수 유입구(114)를 통해 범람한 하수가 하수 유출구(116)를 통해 흘러나가게 되며, 철개 구조물(110)과 패킹부재(120)에 의하여 하수가 유출됨이 없이 하수 송수기(100)와 철개 구조물(110)의 결합이 수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sewage water flows through the sewage inlet port 114 of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the sewage water is drained from the sewage water in the upstream manhole Ml by blocking the flow of the sewage flowing from the upstream sewage l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wer water dispenser 100 and the irrigation structure 110 can be maintained watertight without flowing out the sewage water by the irrigation structure 110 and the packing member 120. [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하수 송수기(100)를 통해 유출되는 하수는 하류측 맨홀(M3)과 연결된 물돌리기 호스(400)를 통해 하류측 하수관로(P3)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다. 또한, 하류측 하수관로(P3)로 흐르는 하수가 중간관로(P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류측 하수관로(P3)와 중간관로(P2) 사이에 차수부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The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can flow through the downstream sewer pipe P3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400 connected to the downstream manhole M3. In order to prevent the sewage flowing to the downstream-side sewage pipe P3 from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pipe P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dehydration member between the downstream-side sewage pipe P3 and the intermediate pipe P2.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류측 맨홀(M1)과 연결된 물돌리기 호스(400)를 통해 하수가 하류측 맨홀(M3)로 흘러나가게 되며, 물돌리기 호스(400) 타단은 하류측 맨홀(M3)에 드리워질 수도 있지만,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하류측 맨홀(M3)에 하수 토출기(300)를 설치하여 물돌리기 호스(400)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하수 토출기(300)는 물돌리기 호스(400)와 연결되는 연결구와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는 하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갖는다.3, the sewage flows to the downstream manhole M3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400 connected to the upstream manhole M1 and the other end of the water turning hose 400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manhole M3, The sewage discharge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downstream manhole M3 as shown in FIG. 3 to prevent the water turning hose 400 from being bent. The sewage discharger 300 has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water turning hose 400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ewage flowing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is discharg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수 물돌리기 장치는 상류측 맨홀(M1)에 설치된 하수 송수기(100)와 하류측 맨홀(M3)에 설치된 하수 토출기(300) 사이에 설치되어 하수를 저류시킴과 동시에 하수의 흐름을 분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하수 저류 시설물(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age water circul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sewage water dispenser 100 installed in an upstream manhole M1 and a sewage water discharger 300 installed in a downstream manhole M3 And a sewage storage facility 200 that serves to store sewage and divert the sewage flow.

예를 들어, 상류측 맨홀(M1)에 설치된 하수 송수기(100)와 하류측 맨홀(M3)에 설치된 하수 토출기(300)를 연결하는 물돌리기 호스(400)가 지형적인 한계로 인하여 곧게 설치되지 못하거나, 물돌리기 호스(400)에 찢어짐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경우에도 하수 저류 시설물(200)을 적절한 경로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몰돌리기 호스(400)가 꺾임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손된 경우에도 물돌리기 호스(400)를 대체함으로써 돌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circulation hose 400 connecting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installed in the upstream manhole M1 and the sewage injector 300 installed in the downstream manhole M3 is installed straight up due to the geographical limitation Or breakage such as tearing in the water turning hose 400 may occu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above case, the sewage storage facility 200 is installed in an appropriate path, thereby preventing the molar hose 400 from being broken due to bending,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by replacing the power supply 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저류 시설물(200)은 상류측 맨홀(M1)에 설치된 하수 송수기(100)와 하류측 맨홀(M3) 사이의 적재적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돌리기 호스와 연결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호스 연결구와 각각의 호스 연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수 저류 시설물(200)은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저류되는 저류실을 갖는다.The sewage storage facility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a suitable place between the sewage water transporter 100 installed at the upstream manhole M1 and the downstream manhole M3, At least three hose connection ports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hose connection por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sewage storage facility 200 has a storage room in which sewage introduced into the sewage is stored.

도 6 및 도 7은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돌리기 호스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의 물돌리기 호스 교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water turning hose when the water turning ho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ke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수 저류 시설물(200)에는 세 개의 호스 연결구를 갖도록 설치되며, 평소에는 상류측 맨홀(M1)의 하수 송수기(100)와 연결된 물돌리기 호스(400a)에 연결된 호스 연결구와, 하류측 맨홀(M3)의 하수 토출기(300)와 연결된 물돌리기 호스에 연결된 호스 연결구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호스 연결구는 폐쇄하여 물돌리기 공사를 수행한다.6 and 7, the sewage storage facility 200 is provided with three hose connection ports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circulation hose 400a connected to the sewage water transporter 100 of the upstream side manhole M1, Only the hose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water circulation hos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the sewage discharger 300 of the downstream side manhole M3 is opened and the remaining hose connection port is closed to perform water turning work.

그러나 물돌리기 호스(400a)의 취급상의 부주의 또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물돌리기 호스(400a)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물돌리기 호스(400a)를 통해 하수가 흘러나오기 때문에 물돌리기 호스(400a)를 교체하여야 한다.However, the water turning hose 400a may be damaged due to careless handling of the water turning hose 400a or an external factor. In this case, since the sewage flows out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400a, the water turning hose 400a must be repla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하수 저류 시설물(200)의 다른 호스 연결구에 예비 물돌리기 호스(400b)를 연결하고, 하수 송수기(100)의 하수 유출구에 이를 연결함으로써, 파손이 발생한 물돌리기 호스(400a)를 우회하여 계속 물돌리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물돌리기 호스(400a)와 연결된 하수 송수기(100)의 하수 유출구와 하수 저류 시설물(200)의 호스 연결구는 폐쇄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reservoir turning hose 400b is connected to the other hose connection port of the sewage storage facility 200 and connected to the sewage outlet port of the sewage transporter 100, The water circulation hose 400a can be bypassed to continuously perform the water turning work. At this time, the sewage outlet of the sewage water dispenser 100 connected to the water turning hose 400a and the hose connecting opening of the sewage storing facility 200 are closed.

이와 다르게, 하나의 맨홀로부터 두 개 이상의 맨홀로 하수의 흐름이 분기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은 하수 저류 시설물(200)을 통해 상류측 맨홀(M1)로부터의 하수의 흐름이 두 개 이상의 맨홀로 분기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flow of sewage from one manhole to two or more manholes must be diverted.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allow the flow of sewage from the upstream manhole M1 to be branched into two or more manholes through the sewage storage facility 200.

한편, 본 발명의 하수 토출기(300)는 맨홀(M3)이 지상으로 돌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wage discharg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whether the manhole M3 protrudes to the ground.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토출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ewage discharg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M3)이 지상으로 돌출된 경우, 본 발명의 하수 토출기(300)는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는 하수가 수위차에 따라 하수 토출기(300)로 흐를 수 있도록 하수 토출기(300)의 일 측 하단에 연결구를 구비하고, 타 측의 상단에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수 토출기(300) 내부에서 하수가 차오르면, 토출구에 연결된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하수가 하류측 하수관로(P3)로 흘러나갈 수 있다.When the manhole M3 protrudes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8A, the sewage discharg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wage flowing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to flow to the sewage discharger 3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ifference A connection port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wage discharger 300, and a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In this case, when the sewage flows in the sewage discharger 300, the sewage can flow to the downstream sewage pipe P3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이와 달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M3)이 지상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하수 토출기(300)는 측면에 물돌리기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하단에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흘러나오는 하수는 토출구를 통해 하류측 하수관로(P3)로 흘러나가게 된다.8B, when the manhole M3 is on the ground, the sewage discharg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water turning hose at the side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at the lower end thereof have. In this case, the sewage flowing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flows to the downstream side sewage pipe (P3)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의 입구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하수 송수기 사이에 고정된 직경으로 제작된 철개 구조물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맨홀의 입구 내부의 나사홀 등에 의하여 맨홀의 입구가 좁아지더라도 하수 송수기를 견고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teel structure having a diameter fixed between an inlet of a manhole and a sewer water transport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nhole, whereby the entrance of the manhole becomes narrower due to a screw hole or the like inside the entrance of the manhol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ewer water dispenser can be firm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과 맨홀 사이에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는 하수가 저류되는 하수 저류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물돌리기 호스의 절곡 등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물돌리기 호스를 추가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고, 하수 토출기를 설치함으로써, 물돌리기 호스에 절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wage storage facility in which sewage flowing through a water turning hose is stored between a manhole and a manhole can be easily replaced by adding a water turning hose even if breakage of the water turning hose or the like occurs, By providing the sewage injec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bend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water turning hose.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laims (10)

제1 관로로부터 중간관로를 경유하여 제2 관로로 흐르는 하수를 제1 맨홀과 제2 맨홀 사이의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우회하여 흐르도록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로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상기 중간관로에 수밀하게 밀착됨으로써 하수가 상기 제1 관로로부터 상기 중간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수부재;
상기 제1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맨홀의 내부로부터 차오르는 하수를 지상으로 유출하는 하수 유입구 및 하수 유출구를 갖는 하수 송수기;
상기 하수 유입구가 내측에 결합하도록 원통 형상의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를 상기 제1 맨홀의 입구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하수 유입구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철개 구조물;
일 단이 상기 하수 유출구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제2 맨홀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하수가 상기 제2 맨홀로 흐르도록 하는 물돌리기 호스; 및
상기 하수 송수기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A sewage water spinning device for bypassing and flowing sewage flowing from a first pipe to a second pipe via an intermediate pipe through a water turning hose between a first manhole and a second manhole,
And an expansion member that is expanded when the air is injected and tightly adhered to the intermediate pipe so as to block the inflow of sewage from the first pipe to the intermediate pipe;
A sewage water dispenser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first manhole and having a sewage inlet and a sewag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ewage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manhole to the ground;
And a lower plate vertically fixing the upper support to the inlet of the first manhole, wherein the upper support has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wage inlet Steel structure;
A water turning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wage outl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manhole so that sewage discharged from the sewage outlet flows to the second manhole; And
A packing member installed along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wage transporter and expanded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sewage is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개 구조물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앙카 볼트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맨홀의 입구에 수밀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structure
And an anchor bolt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late to be watertightly fixed to the inlet of the first manhole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맨홀의 입구의 최소 직경이 600mm보다 작고, 상기 하수 유입구의 직경이 600mm인 경우,
상기 철개 구조물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내경이 600mm가 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inimum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first manhole is less than 600 mm and the diameter of the sewage inlet is 600 mm,
The steel structure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is 600 mm.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송수기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wer transporter
An air outlet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And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air outlet
≪ RTI ID = 0.0 >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에어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nd an air bag that expands when air is injected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에어 패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ing member
And a ring-shaped air packing that expands when air is introduced.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돌리기 호스와 연결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호스 연결구와 각각의 호스 연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및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저류되는 저류실을 구비하는 하수 저류 시설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hree hose connection ports connected to the water turning hos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hose connecting ports, and a storage room for storing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reof;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wag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저류 시설물은
상기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유입된 하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맨홀으로 분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wage storage facility
And the sewag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is branched into at least one manhole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저류 시설물은
상기 제1 맨홀과 연결된 제1 물돌리기 호스를 제1 호스 연결구에 연결하고 상기 제2 맨홀과 연결된 제2 물돌리기 호스를 제2 호스 연결구에 연결하여 상기 제1 물돌리기 호스로부터의 하수가 상기 제2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도록 하되,
상기 제1 물돌리기 호스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제3 호스 연결구에 상기 제1 맨홀과 연결된 제3 물돌리기 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호스 연결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wage storage facility
A first water turning hose connected to the first manhole is connected to a first hose connecting port, and a second water turning hose connected to the second manhole is connected to a second hose connecting port, 2 Let the water run through the hose,
Wherein when the first water turning hose is broken, a third water turning hose connected to the first manhole is connected to the third hose connecting port, and the first hose connecting port is closed.
Sewage water tu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물돌리기 호스를 통해 흐르는 하수를 상기 제2 맨홀로 토출시키는 하수 토출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물돌리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wage discharger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second manhole and discharging sewage flowing through the water turning hose to the second manhole;
≪ RTI ID = 0.0 >
Sewage water turning device.
KR1020160135211A 2016-10-18 2016-10-18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KR201800427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11A KR20180042711A (en) 2016-10-18 2016-10-18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11A KR20180042711A (en) 2016-10-18 2016-10-18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11A true KR20180042711A (en) 2018-04-26

Family

ID=6208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11A KR20180042711A (en) 2016-10-18 2016-10-18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7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718A (en) * 2019-01-25 2019-04-26 义乌市一丁点工艺品有限公司 A kind of conduit pipeline apparatus for examination and rep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718A (en) * 2019-01-25 2019-04-26 义乌市一丁点工艺品有限公司 A kind of conduit pipeline apparatus for examination and repair
CN109681718B (en) * 2019-01-25 2023-08-22 浙江一丁点工艺品有限公司 Water pipe pipeline overhauls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232B1 (en) Water fill-up type intermediate apparatus for water diverting and water diverting system with the same
KR20180102846A (en) Tube valve, system of controlling sewage amount using the same, and system of detecting leakage of intercepting pipeline
JP4493699B2 (en) Water-permeable segment and tunnel using this water-permeable segment
KR20210000431U (en) Waterworks with easy maintenance method
JP6069779B2 (en) Multi-layer sewer pipe
KR100902278B1 (en) The pollution prevention device of tubular well with check valve
KR20180042711A (en) Apparatus for bypassing the sewage using by the sewage filled up method
KR101548333B1 (en) Construction is highly convenient water and sewage pipes
KR101360172B1 (en) Manhole fill-up type water diverting method and water diverting apparatus
KR101907869B1 (en) Water reservoir using watertight type corrugated steel pipe
KR101934931B1 (en) Waterworks manhol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62708B1 (en) Fountain apparatus
JP7058527B2 (en) Fittings and sewage drainage system
KR100757490B1 (en) Water tank unit
KR102242126B1 (en) Natural flow type water bypassing system using a water trust device
KR100641264B1 (en) Radiation type pipe conduit cleaning equipment
KR102013751B1 (en) Concrete water tank with construction method of anchored fixed type lining
JP2000025114A (en) Repairing method of existing tube culvert
KR100694193B1 (en) Waterproof-sealed manhole
KR101069882B1 (en) Manhole having pipe connection part to prevent roadsink and water sealing
JP2016067339A (en) Water intake system
KR102432874B1 (en) Multi-function Pipeline cleaning system and Method
JP2005193176A (en) Impervious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mpervious state of impervious wall
JPH09195326A (en) Emergency water storage tank device equipped with water storage tank divided into plural parts
KR100878887B1 (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bypass pipe for movable we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