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43A -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43A
KR20180042643A KR1020160135079A KR20160135079A KR20180042643A KR 20180042643 A KR20180042643 A KR 20180042643A KR 1020160135079 A KR1020160135079 A KR 1020160135079A KR 20160135079 A KR20160135079 A KR 20160135079A KR 20180042643 A KR20180042643 A KR 2018004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ub
mouse
master computer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664B1 (ko
Inventor
윤해진
방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윤해진
에이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윤해진, 에이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6013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6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마우스, 모니터, 키보드와 동기화시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가 연결되며, 서브 컴퓨터의 연결시에 가상의 모니터와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서브 컴퓨터의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시켜주는 마스터 컴퓨터를 포함하여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컴퓨터를 운영할 경우 운영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복수의 컴퓨터를 공유하기 위한 별도의 공유장치 구현 비용을 절감해준다.

Description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Sharing devices to synchronize the external image and input device}
본 발명은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마우스, 모니터, 키보드와 동기화시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분산되어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모니터와 키보드 및 마우스로 공유하여,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려는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를 위한 공유장치는 마우스, 모니터, 키보드를 각각 공유한다는 의미에서 KVM(Keyboard Video Mouse) 장치, KVM 스위치 또는 KVM 공유기 등으로 불린다.
일반적인 KVM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소스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선택버튼이 마련되어 있거나, 선택버튼을 대신하는 특정한 연속 동작을 키보드, 마우스로 대신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소스로 모니터의 화면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KVM 장치는 모든 영상소스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일일이 수동으로 전환하여 해당 영상소스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마찬가지로 마우스, 키보드, 오디오 등의 신호 입출력도 사용자의 수동 전환에 따라 해당 영상소스와 함께 전환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버튼 수동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에 의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연결된 영상소스로부터의 영상을 하나의 모니터에 동시에 분할하여 표시하고,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입출력을 전환할 수 있는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8624호(2008.05.02. 등록)(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수의 컴퓨터와 키보드 및 마우스를 상호 연결해주기 위한 공유장치를 별도로 구성하고, 공유장치를 모니터에 연결하여 각각의 영상 소스를 분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방식이므로 공유장치의 구현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연결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공유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컴퓨터를 모니터와 키보드 및 마우스에 연결해주는 방식이므로, 각각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OS)가 상이한 경우, 이를 공유할 수 없는 단점과 다중 모니터 환경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마우스, 모니터, 키보드와 동기화시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도 OS, 안드로이드 OS, 리눅스 OS 등의 OS를 운영하는 다수의 컴퓨터 환경에서 하나의 컴퓨터가 마스터가 되어 다른 컴퓨터의 영상과 입출력장치를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한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는 물리적으로 입력장치 및 모니터 장치와 연결되며, 연결된 서브 컴퓨터에 가상의 모니터와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로 동작하여 상기 서브 컴퓨터의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시켜주는 마스터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서브 컴퓨터와 연결시 상기 서브 컴퓨터에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를 전송하여 입력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신호 발생부는 모니터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이 선택 또는 활성화되면 상기 마스터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를 상기 서브 컴퓨터의 입력장치로 연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서브 컴퓨터와 연결시 상기 서브 컴퓨터에서 모니터로 인식되도록 하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영상 입력부는 마스터 컴퓨터의 모니터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이 실행되면 상기 서브 컴퓨터의 화면 영상을 상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모니터에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이 선택 또는 활성화 되면, 상기 마스터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 및 마우스를 상기 서브 컴퓨터에 가상의 키보드, 가상의 마우스, 가상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키보드, 마우스 신호를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상기 마스터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를 동기화시켜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영역 위로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가 위치하면 서브 컴퓨터로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위치와 상기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위치가 동일하도록 동기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을 선택하여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이 활성화되면, 키보드 데이터와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의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의 이동을 기초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및 마스터 컴퓨터 화면 을 분석하여, 마스터 컴퓨터 화면 또는 활성화되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해주는 선택화면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에서 발생한 마스터 컴퓨터 화면을 결합하여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영상 생성부는 상기 마스터 컴퓨터 화면 위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보이도록 하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마스터 컴퓨터의 또 다른 실행 프로그램 표시창이 있다면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과 중첩 또는 분할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마스터 컴퓨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마우스, 모니터, 키보드로 동기화시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유장치를 제작하거나 장비를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 OS, 안드로이드 OS, 리눅스 OS 등의 OS를 운영하는 다수의 컴퓨터 환경에서 하나의 컴퓨터가 마스터가 되어 다른 컴퓨터의 영상과 입출력장치의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어, 다수 컴퓨터의 관리 및 운영 효율 향상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만으로 복수의 컴퓨터 화면에서 사용 컴퓨터가 자동으로 실시간 전환되어 사용자는 마치 마스터 컴퓨터 1대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해주도록 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서브 컴퓨터에서 키보드 및 마우스 동기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화면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서브 컴퓨터(100)와 마스터 컴퓨터(2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하드웨어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서브 컴퓨터(100)의 비디오/오디오는 서브 컴퓨터(100)에서 마스터 컴퓨터(200)로 전달되고, 마스터 컴퓨터(200) 키보드/마우스 신호는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서브 컴퓨터(100)로 전달된다.
마스터 컴퓨터(200)는 메인 컴퓨터 역할을 하며, 물리적으로 키보드(10)와 마우스(2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아울러 모니터(300)도 연결된다.
마스터 컴퓨터(200)의 사용시에는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화면 영상이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되며, 입력장치인 키보드(10) 및 마우스(20)가 물리적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키보드/마우스 입력장치를 사용하면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이를 인식하여 동작하고 화면을 모니터(300)에 표시한다.
또한, 마스터 컴퓨터(200)는 연결된 서브 컴퓨터(100)의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 기능을 대신하여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가상의 키보드, 가상의 마우스, 가상의 모니터로의 역할을 제공한다.
이로써 서브 컴퓨터(100)는 마스터 컴퓨터(200)의 하드웨어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와 스피커가 없는 상태에서도 마치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와 스피커가 연결된 것처럼 동작하게 된다.
특히, 마스터 컴퓨터(200)는 서브 컴퓨터(100)와 연결시 서브 컴퓨터(100)의 가상모니터와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와 가상의 스피커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서브 컴퓨터(100)의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를 동기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마스터 컴퓨터(200)나 서브 컴퓨터(100)는 윈도 OS, 안드로이드 OS, 리눅스 OS 등 서로 같거나 다른 종류의 OS를 이용할 수 있다. 마스터 컴퓨터(200)는 OS를 한 개 이상 운영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참조부호 100은 서브 컴퓨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0은 마스터 컴퓨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은 키보드, 참조부호 20은 마우스, 참조부호 300은 모니터, 참조부호 400은 오디오 출력수단을 나타낸다.
마스터 컴퓨터(200)는 주지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키보드(10)와 마우스(20) 및 모니터(300)가 연결된다. 여기서 물리적인 연결 방법은 케이블, 무선, 블루투스 등의 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컴퓨터(100)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가상의 모니터와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와 가상의 스피커로 동작하며,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서브 컴퓨터(100)의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키보드 및 마우스)를 동기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서브 컴퓨터(100)와 연결시 상기 서브 컴퓨터(100)에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를 전송하여 입력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2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 발생부(201)는 모니터(300)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과 마스터 컴퓨터(200)의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이 선택 또는 활성화 또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 영역 위에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가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입력장치인 키보드(10) 또는 마우스(20) 또는 이 모든 입력 장치를 상기 서브 컴퓨터(100)에 가상으로 연결해주어, 서브 컴퓨터(100)의 입력장치처럼 동작하도록 한다.
영상 입력부(202)는 초기 서브 컴퓨터(1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면, 마치 모니터가 연결된 것과 같이 가상의 모니터 역할을 해주며, 서브 컴퓨터(100)가 동작을 하면 서브 컴퓨터(100)에서 발생한 화면 영상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모니터(300)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과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이 선택 또는 활성화 또는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 위치 인식이 되면 입력장치인 키보드(10) 및 마우스(20)를 서브 컴퓨터(100)에 가상으로 연결하여 입력장치를 서브 컴퓨터(100)와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에 동기화시켜주는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4)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C)의 중앙처리장치(CPU)라고 할 수 있다. 기존 퍼스널컴퓨터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를 활용하여 제어부(204)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어부(204)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204)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표시창 영역 위로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가 위치하면 서브 컴퓨터(100)로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100)의 서브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가 움직이도록 하여 동기화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04)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표시창을 선택하여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이 활성화되면, 키보드 데이터와 마우스 데이터가 서브 컴퓨터(100)로 전송되어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마우스(20)의 입력 신호에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가 이동하고,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 또는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 중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가 어느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04)에 전달해주는 선택화면 인식부(20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202)를 통해 입력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발생한 마스터 컴퓨터 화면을 결합하여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206), 상기 영상 생성부(206)에서 생성된 영상을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207)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생성부(206)는 상기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 위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을 표시하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크기를 최대화, 최소화, 기타 크기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마스터 컴퓨터(100)에 또 다른 실행 프로그램 표시창이 있다면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과 중첩, 분할 등을 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서브 컴퓨터(100)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2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입력부(203)도 서브 컴퓨터(100)에서 보면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마스터 컴퓨터(200)와 서브 컴퓨터(100)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C)를 의미하며, 마스터 컴퓨터(2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이외에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에서 구비하는 메인 보드 및 기타 컴퓨터 구성을 그대로 구비한 것으로 가정한다. 서브 컴퓨터(100) 또한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C)의 구성을 그대로 구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스터 컴퓨터(200)에 입력장치인 키보드(10) 및 마우스(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모니터(300) 및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수단(400)이 마스터 컴퓨터(2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 장치(키보드(20), 마우스(10))를 조작하면, 기존 컴퓨터처럼 이를 인식하고, 마스터 컴퓨터의 메인 보드를 제어하는 OS를 통하여 마스터 컴퓨터(200)가 동작한다. 이때 마스터 컴퓨터(2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화면 영상은 영상 생성부(206)를 통해 처리되고, 영상 출력부(207)를 통해 모니터(300)에 화면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이라고 한다. 아울러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는 오디오 출력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오디오 출력수단(400)으로 송출된다.
여기서 마우스(20)는 모니터(300)의 화면상에 마우스 커서들을 위치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와 버튼을 누르는 클릭 동작 데이터를 발생한다.
마스터 컴퓨터(200)가 단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서브 컴퓨터(100)를 마스터 컴퓨터(200)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예컨대, 서브 컴퓨터(100)의 키보드 및 마우스 입력 부분은 공유장치의 일부인 신호 발생부(201)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오디오 출력 부분은 공유장치의 일부인 오디오 입력부(203)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영상(비디오) 출력 부분은 공유장치의 일부인 영상 입력부(202)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공유 장치의 신호 발생부(201), 오디오 입력부(203), 영상 입력부(202)가 각각 개별로 존재할 수도 있고, 하나의 합쳐진 형태 일 수도 있다.
서브 컴퓨터(100)가 하드웨어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면, 공유장치 역할을 하는 마스터 컴퓨터(200)는 서브 컴퓨터(100)의 공유를 위해, 신호 발생부(201)에서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 신호를 발생하여 서브 컴퓨터(100)에 전송하여 입력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서브 컴퓨터(100)에서 인식시킨다. 여기서 가상의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는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입력부(202)도 가상의 모니터 역할을 하여 서브 컴퓨터(100)에서 마치 모니터가 실제 물리적으로 연결된 것과 같이 동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의 하드웨어는 PCI-e, PCI 방식의 카드 형태이거나 USB 등과 같은 외장형태로 마스터 컴퓨터(200)의 메인보드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가상의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가상의 모니터와 가상의 스피커 역할을 하도록 하면, 서브 컴퓨터(100)의 메인보드에서 OS가 이를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스피커, 기타 입력장치로 인식하고, 서브 컴퓨터(100)의 화면을 출력하게 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서브 컴퓨터(100)의 화면 영상은 공유장치 역할을 하는 마스터 컴퓨터(200)의 영상 입력부(202)에 입력된다. 여기서 서브 컴퓨터(100)에서 출력되는 화면 영상을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이라고 하며 이를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의 위에 하나의 창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 이라고 한다.
영상 입력부(202)에서 입력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은 영상 생성부(206)에 전달되며, 영상 생성부(206)는 마스터 컴퓨터 화면과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화면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영상 출력부(207)에 전달한다. 본 발명은 언급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된 것 이외에 복수의 영상을 결합하는 알려진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방식의 변경은 키보드(10)를 이용하거나 마우스(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방식 설정을 선택함으로써 변경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형태는 도 1의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된 형태일 수 있다.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위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적절한 위치가 선택되는 형태이며, 사용자는 마우스(20)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크기,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에서 모니터(300)에 부가된 참조부호 303은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04는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를 나타낸다.
마스터 컴퓨터(200)와 서브 컴퓨터(100)는 각각의 OS에 의해 구동하며, 마우스 커서의 위치도 해당 컴퓨터에서 사용에 따라 마우스의 그 위치가 각각 표시된다. 서브 컴퓨터(100)는 마스터 컴퓨터(200)와 별도로 운영되는 OS를 내장한 독립된 컴퓨터로서, 상기 마스터 컴퓨터(20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니터(300)에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과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우스(20)를 이용하여 원하는 화면 영상(화면 또는 표시창)을 선택한다. 여기서 원하는 화면 영상은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영상의 선택은 마우스(20)를 조작하여 입력 영상(마스터 컴퓨터 화면(301),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표시 영역 위로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를 위치시키면, 해당 화면 영상 컴퓨터(마스터 컴퓨터(200) 또는 서브 컴퓨터(100))로 마우스 데이터가 전송되어, 실제로 해당 장치의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게 되고, 입력장치와 영상의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기화란 마스터 컴퓨터(200)의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의 위치와 서브 컴퓨터(100)의 서브 컴퓨터 마우스 커서(303)의 위치를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에 동일한 위치에 일치시키는 것과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마우스(20)를 이용하여 마스터 컴퓨터 화면(301)의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를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의 표시창 영역 위로 이동시키면 선택화면 인식부(205)에서 이를 인식하여 선택 화면 정보를 제어부(204)에 전달한다. 제어부(204)는 신호 발생부(201)를 제어하여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을 운영하는 서브 컴퓨터(100)로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100)는 마우스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OS가 실제 마우스 이동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모니터(300)에 표시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에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가 해당 화면 위에 있게 되면 선택화면 인식부(205)는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204)에 전달한다, 제어부(204)는 신호 발생부(201)를 제어하여 마우스 데이터를 서브 컴퓨터(100)에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302)이 선택되거나 활성화되면 마우스 데이터와 키보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러한 마우스와 키보드의 동기화는 사용자가 마스터 컴퓨터(200) 외에 외부의 다른 서브 컴퓨터(100)을 별게의 컴퓨터로 인식하기보다는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실행중인 하나의 작업 프로그램 창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고, 마스터 컴퓨터(200)와 서브 컴퓨터(100)를 상호 전환하며 사용하는 데 있어 수동 전환을 하는 별도의 조작 및 동작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실시간 전환된다.
이후 서브 컴퓨터(100)의 OS가 마우스 이동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되고, 그에 대응하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은 영상 입력부(202), 영상 생성부(206), 영상 출력부(207)를 순차 경유하여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로써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와 서브 컴퓨터 마우스 커서(303)가 동기화된다. 도 3은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와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가 동기화된 것의 예시 도이다.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304)와 서브 컴퓨터 마우스 커서(303)의 동기화를 하기 위하여, 입력장치인 키보드(10)와 마우스(20)가 물리적으로 서브 컴퓨터(100)에 연결된 것과 같은 가상의 키보드, 가상의 마우스의 동작을 마스터 컴퓨터(200)에서 서브 컴퓨터(100)로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면, 서브 컴퓨터(100)가 동작을 하여 화면 영상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되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이 모니터(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로써 서브 컴퓨터(100)와 입력장치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영상과 입력장치의 공유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컴퓨터를 운영하고, 하나의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를 마치 복수의 컴퓨터에 각각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를 이용하는 것처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수의 컴퓨터 운영에 효율성을 도모해주고, 별도의 공유장치를 구비하는 비용도 절감해주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독립된 OS를 사용하는 복수의 컴퓨터에 하나의 키보드와 마우스 및 모니터를 결합하여, 상호 동기화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적용된다.
10: 키보드
20: 마우스
100: 서브 컴퓨터
200: 마스터 컴퓨터
201: 신호 발생부
202: 영상 입력부
203: 오디오 입력부
204: 제어부
205: 선택화면 인식부
206: 영상 생성부
207: 영상 출력부
300: 모니터
301: 마스터 컴퓨터화면
302: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303: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
304: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
400: 오디오 출력수단

Claims (11)

  1. 물리적으로 입력장치 및 모니터 장치와 연결되며, 연결된 서브 컴퓨터에 가상의 모니터와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를 제공하여 상기 서브 컴퓨터의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시켜주는 마스터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서브 컴퓨터와 연결시 상기 서브 컴퓨터에 가상의 키보드 및 가상의 마우스 신호를 전송하여 입력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모니터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이 선택 또는 활성화되면 상기 키보드와 마우스를 상기 서브 컴퓨터에 연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서브 컴퓨터와 연결시 상기 서브 컴퓨터에서 모니터로 인식되도록 하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영상 입력부는 마스터 컴퓨터의 모니터에 서브 컴퓨터화면 영상 표시창이 실행되면 상기 서브 컴퓨터의 화면 영상을 상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모니터에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이 선택 또는 활성화되면, 상기 마스터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 및 마우스를 상기 서브 컴퓨터에 가상의 키보드, 가상의 마우스, 가상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키보드, 마우스 신호로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상기 마스터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를 동기화시켜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영역 위로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가 위치하면 서브 컴퓨터로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마스터 컴퓨터의 마우스 위치와 상기 서브 컴퓨터의 마우스 위치가 동일하도록 동기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8. 청구항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을 선택하여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이 활성화되면, 키보드 데이터와 마우스 데이터가 전송되어 서브 컴퓨터의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9. 청구항 1에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마스터 컴퓨터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기초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및 마스터 컴퓨터 화면의 표시 영역 중에서, 마스터 컴퓨터 화면 또는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의 선택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해주는 선택화면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10. 청구항 6에서, 상기 마스터 컴퓨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과 마스터 컴퓨터에서 발생한 마스터 컴퓨터 화면을 결합하여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마스터 컴퓨터 화면 위에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 보이도록 하며,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마스터 컴퓨터의 또 다른 실행 프로그램 표시창이 존재하면 서브 컴퓨터 화면 영상 표시창과 중첩 또는 분할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KR1020160135079A 2016-10-18 2016-10-18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KR10189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79A KR101890664B1 (ko) 2016-10-18 2016-10-18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79A KR101890664B1 (ko) 2016-10-18 2016-10-18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43A true KR20180042643A (ko) 2018-04-26
KR101890664B1 KR101890664B1 (ko) 2018-08-22

Family

ID=6208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079A KR101890664B1 (ko) 2016-10-18 2016-10-18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6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7227A (zh) * 2020-01-23 2021-07-2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画面的控制方法及显示系统
WO2023068521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화면을 공유하는 소스 장치, 싱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47998B2 (en) 2020-09-02 2024-04-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644A (ja) * 1995-01-31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制御システム
US20040047344A1 (en) * 2002-08-15 2004-03-11 Chan Kevin Hsunko Method and system for an "Always-on" internet device
KR200434598Y1 (ko) * 2006-09-28 2006-12-22 주식회사 케이 썸 씨앤 에프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0828624B1 (ko) 2006-07-19 2008-05-09 윤해진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JP2010102682A (ja) * 2008-10-21 2010-05-06 Aten Internatl Co Ltd 遠隔デスクトップ共有技術を使った、pip機能を備えたkvmスイッチ
KR20160035396A (ko) *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644A (ja) * 1995-01-31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制御システム
US20040047344A1 (en) * 2002-08-15 2004-03-11 Chan Kevin Hsunko Method and system for an "Always-on" internet device
KR100828624B1 (ko) 2006-07-19 2008-05-09 윤해진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434598Y1 (ko) * 2006-09-28 2006-12-22 주식회사 케이 썸 씨앤 에프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JP2010102682A (ja) * 2008-10-21 2010-05-06 Aten Internatl Co Ltd 遠隔デスクトップ共有技術を使った、pip機能を備えたkvmスイッチ
KR20160035396A (ko) *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7227A (zh) * 2020-01-23 2021-07-2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画面的控制方法及显示系统
US11947998B2 (en) 2020-09-02 2024-04-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device
WO2023068521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화면을 공유하는 소스 장치, 싱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664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4140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s
US8639812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s
US20100013759A1 (en) Kvm switch with separate on-screen display and control channels
KR101890664B1 (ko)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US8196059B2 (en) Switch and on-scree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KR20190096811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8624B1 (ko)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0676366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
US20190227666A1 (en) Touch scree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625999B2 (en) Integrated input control and output display system
KR101908365B1 (ko) 스플릿 기능을 구비한 kvm 스위칭 장치
KR101906328B1 (ko) 스플릿 기능을 구비한 kvm 스위칭 장치
KR102254873B1 (ko) Pbp 모니터 전용 kvm 스위칭 장치
CN111273805A (zh) 一种多信号源显示触控装置、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9274692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presentation
CN112882673A (zh) 拼贴画显示系统及其数据处理方法
TW201738726A (zh) 電子裝置及影像傳輸控制方法
KR200434598Y1 (ko)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0756674B1 (ko) 다수 모니터 사용을 위한 컴퓨팅 시스템
KR20190000328A (ko) 입출력을 공유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1038884B1 (ko) 네트워크 모니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2898A (ko) 입출력을 공유하는 영상처리장치
CN212211238U (zh) 一种多接口便携显示屏
KR20070087444A (ko) 듀얼 뷰 모니터 화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05144A (ko)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