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929A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929A
KR20180041929A KR1020160134330A KR20160134330A KR20180041929A KR 20180041929 A KR20180041929 A KR 20180041929A KR 1020160134330 A KR1020160134330 A KR 1020160134330A KR 20160134330 A KR20160134330 A KR 20160134330A KR 20180041929 A KR20180041929 A KR 2018004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block
web frame
shi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929A/en
Publication of KR2018004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9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2Web frames; Web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4Frames of longitudinal type; Bulkhea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2Double bottoms; Tank t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comprises: a base member forming a side; a longitudinal member provided on the base member; and a web frame member having a slit hol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member. The longitudinal member comprises: a vertical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The horizontal member has a seam for the web frame member to be penetrated and inserted.

Description

선박{Ship}Ship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선박을 건조할 경우, 선박이 대형으로 이루어져 선체의 선형을 한 번에 제작할 수 없다. 따라서,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선박의 블록(block)을 수십 개 혹은 수백 개로 분할 제작한 후, 제작된 블록을 하나의 선체로 조립하게 된다.When the ship is to be built, the ship can not be made linear at once because of the large size of the ship. Therefore, the parts are assembled with a material such as a steel plate or a section steel, and the blocks of the ship are divided into several tens or hundreds of parts from these parts, and then the manufactured blocks are assembled into one hull.

뿐만 아니라,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며, 이러한 이유로 블록건조법이 이용된다.In addition, the shipbuilding industry, which starts with ordering of ships and is designed, constructed and delivered, determines the survival and success of the industry by the profitability of the business in the proces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such profitability is the productivity of the ship 's drying method. For this reason, the block drying method is used.

블록 건조법은 소조립장 등에서 여러 강재가 서로 연결되어 조립품을 이루고 조립품이 PE장으로 운반되어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제작하고, 그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방법이다.The block dry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assembly, and the assembly is transported to a PE sheet to divide the hull into dozens or hundreds of blocks so that individual blocks are assembled on the ground, It is a method to mount on the ferry and assemble with one hull.

특히, 블록의 형상에 따라 블록이 조립된 후, 블록의 탑재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범위까지 몇 개의 블록이 결합 되는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PE(Pre-Erection) 작업이라 한다.Particularly, after the blocks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lock, several blocks are combined to a weight range in which the crane can be lifted in order to reduce the mounting period of the block. In this way, -Erection) operation.

이러한 PE 작업은 여러 개의 소형 블록들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뭉쳐서 한번에 탑재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선박의 생산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This PE work is advantageous in that a plurality of small blocks can be assembled into one large block and loaded at a time,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ship.

한편, 선박은 뒤틀림 방지 등의 이유로 선박의 쉘(SHELL) 내면에 론지부재와 웹프레임부재가 마련된다. 여기서, 론지부재는 절단면이 T자 형상을 이루어 상단 구조물의 간섭으로 인해 웹프레임부재의 직립 탑재가 불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hip is provided with a lounger member and a web frame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of the ship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warpage or the like. Here, the roofing member has a T-shaped cut surface, and it is impossible to mount the web frame member upright due to interference of the upper structure.

게다가, 윈치는 일반적으로 고정시킨 후 이용하므로 재배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웹프레임부재를 가까운 거리에서 삽입하기 위해 웹프레임부재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의 양단에 윈치가 마련되면, 다른 쪽의 윈치로 인해 한쪽의 윈치 작업시 다른 쪽의 윈치가 웹프레임부재를 가로막게 되어 작업이 불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winch is generally used after fixing it, it is difficult to relocate it, and when a win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web frame member is installed for inserting the web frame member at a close distance, The winch of the other side interferes with the web frame member and the operation is impossible.

이에 따라, 한쪽에만 윈치가 마련되어, 복수의 웹프레임부재를 설치시 윈치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웹프레임부재 또한 반대편으로부터 끌어당겨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As a result, the winch is provided on only one side, and the web frame member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inch when the plurality of web frame members are installed is also pulled from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게다가, 더블바텀 구조물에서 탑사이드를 이루는 제1 블록과 이에 대향하여 쉘을 이루는 제2 블록을 연결시, 제2 블록을 제1 블록의 끝에서부터 설치위치까지 끌어당겨야 하므로, 제2 블록 면적만큼의 작업공간이 필요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용접 등의 실질적 공간 이외에 운반을 위한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장의 효율성이 저하되어 개선이 요구된다.Further, when connecting the first block constituting the top side and the second block constituting the shell opposite to the first block constituting the top side in the double bottom structure, the second block must be pulled from the end of the first block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Since the work space is required,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for transporting is required besides the substantial space such as welding,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site is lowered, and improv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이 용이하며, 블록을 조립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감소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which is easy to operate and in which a work space for assembling a block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마련되는 론지부재; 및 상기 론지부재에 대응되는 슬릿홀을 가지는 웹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론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웹프레임부재가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갭(Sea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ip comprising: a base member; A longe member provided on the base member; And a web frame member having a slit hole corresponding to the longevity member, the longevity member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wherein the horizontal member has a gap to allow the web frame member to be inserted through the web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갭은, 상기 웹프레임부재가 설치되는 영역으로부터 50mm 내지 200mm의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ap may be formed in a range of 50 mm to 200 mm from a region where the web frame member is installed.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는, 제1 면을 이루는 제1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이루는 제2 베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first base member constitut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base member constituting a second surface opposed to the first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론지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1 론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2 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ngevity member includes: a first longe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base member; And a second launcher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은 더블바텀의 탑사이드를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더블바텀의 쉘을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ide may form a top side of a double bottom, and the second side may be a shell of the double bottom.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상기 웹프레임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ase member and the second base member may be connected by the web fram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직립탑재가 가능하여 제2 블록을 제1 블록의 단부로부터 설치 위치까지 끌어당길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제2 블록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없어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upright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ull the second block from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block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space for arranging the second block is not required, Can be use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으로부터 웹프레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에 제2 블록이 탑재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과 제2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b frame member is separated from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block is mounted on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are assembled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으로부터 웹프레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에 제2 블록이 탑재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 블록과 제2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b frame member is separated from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block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are assembled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박 건조시에 수많은 블록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소조립 공장에서 크기가 작은 몇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고, 이들이 대조립공장에서 연결되어 높이가 수십 미터까지 되는 대형의 블록이 된다.Referring to FIGS. 1 to 5, the shi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large number of blocks at the time of ship drying. For example, in a sub-assembly plant, several small member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connected to one another at a large assembly plant, resulting in a large block of up to several tens of meters in height.

그리고 선박(100)은 다수의 부재가 서로 연결된 수십 또는 수백 톤의 무게를 이루는 블록 단위로 만들어져 도크(dock)에서 탑재 및 조립되어 완성된다.The ship 100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members in a dock in a block unit which weighs several tens or hundreds of tons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선박(100)은 대형의 구조물을 이루기 위해, 베이스부재(130), 론지부재(140), 웹프레임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30), 론지부재(140), 웹프레임부재(150)는 용접으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용접의 방법으로 연결된 후 다른 블록이 탑재되어 조립되거나, 미리 조립된 다른 블록에 탑재되어 연결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블록건조법이 이용될 수 있다.The vessel 100 includes a base member 130, a long member 140, and a web frame member 150 to form a large structure. Here, the base member 130, the long member 140, and the web frame member 1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to form one block. Alternatively, another block may be mounted and assembled As mounted and connected to other assembled blocks, conventional block drying methods can be used.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30)는 면을 이룬다. 베이스부재(130)는 선박(100)에서 선수, 선미, 중심부 중 어느 한 곳의 쉘(shell)을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선박(100)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관계없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se member 130 forms a face. The base member 130 may form a shell at any one of a bow, a stern, and a center in the ship 100, and may form a structure regardless of the side or bottom surface of the ship 100.

또한, 베이스부재(130)의 위치가 선수, 선미에 마련되는 경우 중심부에 마련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곡률반경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선박의 중심부는 선미와 선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선미와 선수는 선박의 운항속도를 높이기 위해 굴곡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재(130)는 선박(100)의 외형에 대응하여 곡판 또는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박의 강성 등을 고려하여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when the position of the base member 130 is provided at the fore and aft ends, the radius of curvature can be made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base member 130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ship is relatively flat compared to the stern and the bow, because the stern and bow are bent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ship. Accordingly, the base member 130 may be formed of a curved plate or a flat plat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hip 100, and may be formed of a steel 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of the ship.

아울러, 베이스부재(130)는 선박(100)의 외곽뿐만 아니라 더블바텀 구조에서내측면을 이룰 수도 있으며, 선박(100)의 운항시 필요한 연료 또는 하물을 보관하기 위한 탱크의 구조물(벽면, 바닥면, 상면 등)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베이스부재(130)는 선박의 외곽을 이루거나 공간을 구획하는 측면 또는 내측면 등 그 위치와 기능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base member 130 may form an inner side surface as well as an outer surface of the ship 100 in a double bottom structure. The base member 130 may include a tank structure (a wall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 An upper surface, or the like). That is,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base member 130 are not limited, such as a side surface or an inner surface defin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ip or partitioning the space.

여기서, 베이스부재(130)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베이스부재(130)는 제1 베이스부재(130A) 및 제2 베이스부재(130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se member 130 may be a single plate. Alternatively, the base member 130 may include a first base member 130A and a second base member 130B.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부재(130A)는 제1 면(일례로 top side)을 이룰 수 있어 후술되는 제1 론지부재(140A)와 연결되어 제1 블록(110)을 이루고, 제2 베이스부재(130B)는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일례로, shell)을 이루어 후술되는 제2 론지부재(140B)와 연결되어 제2 블록(120)을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ase member 130A can form a first side (e.g., a top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ow member 140A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first block 110, 130B may be formed as a second surface (e.g., a shell)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form a second block 120 by being connected to a second launching member 140B described later.

즉, 베이스부재(130)가 제1 베이스부재(130A) 및 제2 베이스부재(130B)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 각각의 제1 면과 제2 면을 이루는 구성이 될 수 있고, 베이스부재(130)가 하나의 판 일례로 제1 베이스부재(130A) 또는 제2 베이스부재(130B)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하나의 제1 블록(110) 또는 제2 블록(120)을 이룰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base member 130 includes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first block 110 and the second block 120, respectively, And the base member 130 may have any one of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as a single plate to form one of the first block 110 or the second base member 130B. 2 block 120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는 더블바텀의 구조물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1 면은 더블바텀의 탑사이드를 이루고, 제2 면은 더블바텀의 쉘을 이루는 바와 같이, 더블바텀의 탑사이드와 쉘을 이루는 베이스부재(130)는 론지부재(140) 및 웹프레임부재(150)와 연결되어 더블바텀을 이룰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ouble bottom structur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base member 130, which forms the shell with the top side of the double bottom, forms the top side of the double bottom, and the second side forms the double bottom shel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ember 150 to form a double bottom.

게다가,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1101은 소조로서, 일반적으로 마련되는 의장품 일 수 있다.In addition, an unillustrated identification code 1101 may be a fitting generally provided as a sink.

론지부재(140)(Longitudinal Member)는 베이스부재(130) 상에 마련되며, 베이스부재(130)에 복수개가 일렬로 용접방법으로 연결됨으로써, 베이스부재(130)의 강도를 보강하여 선박(100)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 longitudinal member 140 is provided on the base member 130 and a plurality of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130 by a welding method so a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member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istortion phenomenon of the display device.

여기서, 론지부재(140)는 세로 또는 가로 길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고, 론지부재(140)가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론지부재(140)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열을 이룰 수 있으며, 론지부재(140)가 가로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론지부재(140)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행을 이룰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론지부재(14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longevity member 140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and when the longe member 14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longe member 140 may be heat- The plurality of laundries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aundries 140 are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이러한, 론지부재(140)는 베이스부재(130)에 용접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베이스부재(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강판 특히, T형의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ngevity memb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130 by a welding method. The base member 130 may be made of a steel sheet, particularly, a T-shaped beam.

예를 들어, 론지부재(140)는 수직부재(141) 및 수평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ngevity member 140 may include a vertical member 141 and a horizontal member 142.

수직부재(141)는 베이스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130)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되어 베이스부재(130)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The vertical member 141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130 and may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ase member 130 to form a skeleton so as to reinforce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member 130.

그리고 수평부재(142)는 수직부재(141)에 연결될 수 있는데, 수직부재(141)와 직각을 이루어, 베이스부재(130)와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즉, 베이스부재(130)와 수평부재(142)의 사이에 수직부재(141)가 가로질러 마련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member 142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141 and may be parallel to the base member 130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member 141. That is, a vertical member 141 may be provided across the base member 130 and the horizontal member 142.

이러한, 론지부재(140)는 수직부재(141)와 수평부재(142)가 일체로 마련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재(130)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long member 140 may be welded to the base member 130 in a state where the vertical member 141 and the horizontal member 142 are integrally provided.

특히, 본 실시예의 수평부재(142)는, 웹프레임부재(150)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켜 작업장의 면적이 과도하게 요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작업공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웹프레임부재(150)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갭(143)(Seam)을 가질 수 있다.Particularly, the horizontal member 142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eb frame member 150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member 142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web frame member 150 is minimized to prevent the work area from being excessively required, And may have a gap 143 (Seam) inserted therethrough.

예를 들어, 갭(143)은, 베이스부재(130)상에서 웹프레임부재(150)가 설치되는 영역으로부터 50mm 내지 200mm의 범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웹프레임부재(150)가 설치되는 영역으로부터 100mm이격된 위치에서의 수평부재(14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ap 143 may be formed in a range of 50 mm to 200 mm from the region where the web frame member 150 i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130, and preferably, the web frame member 15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member 142 at a position spaced 100 mm from the region.

이와 같이, 갭(143)이 웹프레임부재(150)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은, 갭(143)이 웹프레임부재(15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웹프레임부재(150)와 론지부재(140)가 공간 없이 용접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gap 143 i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web frame member 150 is installed because the gap 143 is spaced apart from the web frame member 150 so that the web frame member 150 and the long- 140 are welded without a space.

물론, 갭(143)은 웹프레임부재(150)가 론지부재(140)와 연결된 이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메꾸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갭(143)은, 웹프레임부재(150) 및 베이스부재(130)와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메꾸어지지 않고 갭(143)이 형성된 상태로 선박의 건조가 완료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gap 143 may be fill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after the web frame member 150 is connected to the longe member 140. However, since the gap 143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web frame member 150 and the base member 130, the drying of the ship may be completed with the gaps 143 formed without filling.

아울러, 베이스부재(130)가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를 포함하는 경우, 론지부재(140)는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 각각에 마련되도록, 제1 론지부재(140A) 및 제2 론지부재(140B)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base member 130 includes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The first and second longrobe members 140A and 140B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40A and 140B.

즉, 제1 베이스부재(130A)에 연결되는 제1 론지부재(140A)가 마련되고, 제2 베이스부재(130B)에 연결되는 제2 론지부재(140B)가 마련되어,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 각각을 보강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130A and 130B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130A and 130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130A and 130B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130A and 130B,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respectively.

웹프레임부재(150)(Web Frame Member)는 론지부재(140)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론지부재(140)와 함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선박(100)에서 층을 이룰 수 있다.The web frame membe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130 as well as the longe member 140 so that it can form a layer in the vessel 100 while reinforcing the strength together with the longe member 140 .

이러한, 웹프레임부재(150)는 일렬로 마련되는 복수의 론지부재(140)를 가로질러 베이스부재(130) 상에 직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web frame member 150 may be provided at right angles to the base member 130 across the plurality of longing members 140 provided in a row.

이때, 베이스부재(130)가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를 포함하는 경우, 웹프레임부재(150)는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 사이를 가로질러 마련되어,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를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ase member 130 includes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the web frame member 150 includes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So that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특히, 웹프레임부재(150)는 론지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론지부재(140)에 대응되는 슬릿홀(151)을 가진다. 슬릿홀(151)은 론지부재(140)의 수직부재(141)의 형상에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관통되는 홀과 수평부재(142)의 형상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관통되는 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eb frame member 150 has a slit hole 151 corresponding to the longon member 140 so that the longon member 140 can be inserted. The slit hole 151 may be formed by vertically extending hol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member 141 of the roofing member 140 and through holes horizontally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142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rizontal member 142 have.

예를 들어, 슬릿홀(151)은 수직부재(141)와 끼움되어 이격거리가 없거나 수직부재(141)로부터 좌우 각각으로 5mm 내외의 여유 간격을 이룰 수 있고, 수평부재(142)로부터 상하 각각으로 50mm의 여유 간격을 이룰 수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lit holes 151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vertical member 141 to provide a clearance of about 5 mm between the vertical member 141 and the horizontal member 142, 50 mm,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선박(100)은 론지부재(140)의 갭(143)에 의해 웹프레임부재(150)가 베이스부재(130)의 일단 끝으로부터 연결부위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 이동거리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더블바텀을 조립시 제1 베이스부재(130A)와 제2 베이스부재(130B)의 연결과정에서 제1 베이스부재(130A)를 제2 베이스부재(130B)의 일단부로부터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제1 베이스부재(130A)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제1 베이스부재의 면적에 해당)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장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아래와 같다.In such a vessel 100, since the web frame member 150 does not need to move from one end of the base member 130 to the connection site by the gap 143 of the lounger member 140,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first base member 130A from one end of the second base member 130B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rst base member 130A and the second base member 130B when assembling the bottom, A work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base member) for sliding the member 130A is not required, so that the work site is not limited. This is shown below.

예를 들어, 더블바텀을 조립하는 경우, 제1 블록(110)과 제2 블록(120)을 준비한 이후, 제1 블록(110)을 제2 블록(120)에 용접의 방법으로 조립한다.For example, when assembling the double bottom, the first block 110 and the second block 120 are prepared, and then the first block 110 is assembled to the second block 120 by welding.

여기서, 제1 블록(110)을 준비시, 제1 베이스부재(130A)에 제1 론지부재(140A)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부재(130A) 상에 웹프레임부재(150)를 연결하여야 하는데, 제1 론지부재(140A)의 수평부재(142)가 웹프레임부재(150)를 간섭하게 되어 웹프레임부재(150)의 직립 탑재가 어려우므로, 슬릿홀(15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측면이 개방된 제1 베이스부재(130A)의 일단부에서 제1 론지부재(140A)의 단부를 슬릿홀(151)에 끼운 후 웹프레임부재(150)를 설치 위치까지 윈치를 이용하여 끌어당긴다.Here, when the first block 110 is prepared, the first launching member 140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member 130A. At this time, the web frame member 150 must b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member 130A. However, the horizontal member 142 of the first long web member 140A interferes with the web frame member 150, The end of the first launching member 140A at one end of the first base member 130A whose side is opened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151 so that the slit hole 151 can be inserted The web frame member 150 is pulled up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using a winch.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재(142) 상에 갭(143)이 형성되므로, 웹프레임부재(150)의 슬릿홀(151)이 갭(143)을 통해 삽입 가능하여, 수평부재(142)의 간섭없이 제1 베이스부재(130A)의 상에 웹프레임부재(150)를 직립탑재한다.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ap 143 is formed on the horizontal member 142, the slit hole 151 of the web frame member 15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gap 143 so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horizontal member 142 The web frame member 150 is mounted upright on the first base member 130A.

이에 따라, 웹프레임부재(150)를 이동시켜야 하는 거리가 줄어들어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ance by which the web frame member 150 is moved can be reduced, and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특히, 제1 블록(110)을 제2 블록(120)에 연결할 경우에는, 제2 블록(120) 상에 제1 블록(110)을 조립하는데, 이때, 크레인을 이용하여 제1 블록(110)을 턴오버시킨 이후, 제2 블록(120)에 제1 블록(110)이 대향하도록 운반한다.Particularly, when the first block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 120, the first block 110 is assembled on the second block 120, The first block 110 is transported to the second block 120 so that the first block 110 is opposed to the second block 120. [

여기서, 제2 블록(120) 또한 제1 블록(11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갭(143)이 형성되는 제2 론지부재(140B)를 포함하므로, 제1 블록(110)에 설치된 웹프레임부재(150)가 제2 블록(120)의 단부로부터 설치위치까지 슬라이딩될 필요가 없다.Since the second block 120 includes the second long member 140B having the same or similar gap 143 as that of the first block 110, 150 need not slide from the end of the second block 120 to the mounting position.

즉, 종래에는 제2 블록(120)의 제2 론지부재(140B)가 개구되는 단부 즉, 맨 끝인 측면에 제1 블록(110)이 위치되어야 하므로, 제1 블록(110)의 단면적과 제2 블록(120)의 단면적이 합쳐지는 공간이 필요하며, 제2 블록(120)의 끝에서 제1 블록(110)을 위치시킨 후 웹프레임부재(150)의 슬릿홀(151)에 제2 론지부재(140B)를 끼워서 설치위치까지 윈치를 이용하여 끌어당겨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That is, since the first block 110 must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second block 120 where the second rung member 140B is opened, that is, the end of the second block 120, the sectional area of the first block 110, The first block 110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second block 120 and then the slit hole 151 of the web frame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151 of the second block 120, (140B) to be installed and pull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using a winch, so that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제2 블록(120)에서 수평부재(142)의 갭(143)을 통해 웹프레임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어, 직립탑재가 가능하여, 갭(143)으로부터 설치위치까지 이동하면 되므로, 웹프레임부재(150)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 갭(143)이 위치되는 이격거리(예를 들어 50mm이격되는 경우, 50mm) 만큼만 제1 블록(110)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작업공간이 제2 블록(120)의 단면적 만큼의 공간이 필요없어 작업공간이 줄고, 이동거리가 줄어들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web frame member 15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gap 143 of the horizontal member 142 in the second block 120, so that the web frame member 150 can be mounted upright, The first block 110 may be moved only by a separation distance (for example, 50 mm when the gap 143 i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web frame member 150 is installed, for example, 50 mm). Accordingly, since the work space does not need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lock 120, the work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travel distanc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선박 110: 제1 블록
120: 제2 블록 130: 베이스부재
130A: 제1 베이스부재 130B: 제2 베이스부재
140: 론지부재 140A: 제1 론지부재
140B: 제2 론지부재 141: 수직부재
142: 수평부재 143: 갭
150: 웹프레임부재 151: 슬릿홀
100: ship 110: first block
120: second block 130: base member
130A: first base member 130B: second base member
140: longe member 140A: first longe member
140B: second lobe member 141: vertical member
142: horizontal member 143: gap
150: web frame member 151: slit hole

Claims (6)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마련되는 론지부재; 및
상기 론지부재에 대응되는 슬릿홀을 가지는 웹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론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웹프레임부재가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갭(Sea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 base member constituting a face;
A longe member provided on the base member; And
And a web frame member having a slit hole corresponding to the launcher member,
The long-
A vertical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Wherein the horizontal member has a seam to allow the web frame member to be inserted there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웹프레임부재가 설치되는 영역으로부터 50mm 내지 200mm의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eb frame member is formed in a range of 50 mm to 200 mm from an area where the web frame member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제1 면을 이루는 제1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이루는 제2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comprises:
A first base member constituting a first surface; And
And a second base member constitut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론지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1 론지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2 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launch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base member; And
And a second launcher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더블바텀의 탑사이드를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더블바텀의 쉘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ide forming a top side of a double bottom,
And said second surface comprises a shell of said double botto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상기 웹프레임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base member and the second base member are connected by the web frame member.

KR1020160134330A 2016-10-17 2016-10-17 Ship KR201800419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30A KR20180041929A (en) 2016-10-17 2016-10-17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30A KR20180041929A (en) 2016-10-17 2016-10-17 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29A true KR20180041929A (en) 2018-04-25

Family

ID=6208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30A KR20180041929A (en) 2016-10-17 2016-10-17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9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052A (en) * 2020-02-28 2020-06-12 广船国际有限公司 Ship section bar penetratio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052A (en) * 2020-02-28 2020-06-12 广船国际有限公司 Ship section bar penetra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409B1 (en) Lashing Bridge for a Cargo Ship
JP4199217B2 (en) Hull block construction method with corrugated bulkhead
KR101462298B1 (en) Heli Deck Support of Drill Ship
JP7033390B2 (en) Deck crane installation structure and ships
KR20130072801A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op side module and building method having the same
KR20180041929A (en) Ship
WO2017056972A1 (en) Ocean floating body structure
US9919772B2 (en) Hull support structure of liquefied gas tank and liquefied gas carrier
KR20150015908A (en) Carrier for moving block
KR102035578B1 (en) Cargo hold structure for container ship
KR102455882B1 (en) Cargo l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55760A (en) Assembling method of hopper assembly block for vessel and hopper assembly block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110857B1 (en) Supproting cap of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block of ship
KR20130109517A (en) Double hull with fuel oil tank
KR20200049952A (en) Workstation system for lng cargo hold
KR20200076208A (en) Workstation system for lng cargo hold
KR20130041541A (en) Ontainership cell guide
KR20140070775A (en) Liquefied gas carrier ship mounted with eternal access assembly
JP2005041371A (en) Cross deck structure of hull
NL2019643B1 (en) Vessel, in particular an offshore vessel for transporting an offshore load or a shipping vessel for transporting a shipping load
KR20140046903A (en) Method for assembling torsion box of big container ship
KR200471227Y1 (en) Jig for support of ballasting line
KR101808871B1 (en) Support Structure of Container Ship
KR102189814B1 (en) Liquid dome and float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1743581B1 (en) Reinforced structure for emergency towing system of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