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865A -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865A
KR20180041865A KR1020160134137A KR20160134137A KR20180041865A KR 20180041865 A KR20180041865 A KR 20180041865A KR 1020160134137 A KR1020160134137 A KR 1020160134137A KR 20160134137 A KR20160134137 A KR 20160134137A KR 20180041865 A KR20180041865 A KR 2018004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nanofibers
metal
transparent substr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2888B1 (en
Inventor
윤석구
안성필
조홍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888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having hydrophobic property and a heat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comprises: a transparent substrate; a hydrophobic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and a heat generation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metal fibers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erein.

Description

투명 발열체 및 이의 제조 방법{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투명 발열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기판 상에 소수성 특성 및 발명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투명 발열체 및 상기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having a hydrophobic property and an inventive funct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겨울철이나 비 오는 날에 자동차의 유리, 스키 고글, 안경 등 에는 안팎의 온도 차이로 인해 성에 및 결빙에 발생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제한하므로 사고를 유발하기 쉽다. 또한 강설이나 결빙으로 인해 가로등 시설 장비들의 훼손 및 기능저하로 누전과 점??소등 상태 불량 때문에 가로등이 자주 꺼져 각종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현재 발코니 확장 및 전명 유리 구조 건축물이 유행하면서 창호의 겨울철 결로 발생 문제 등이 나타나고 있다.Glasses, ski goggles and glasses for automobiles on winter or rainy days are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In addition, due to snow or frost, it is possible to cause various accidents due to frequent lighting of street lights due to poor lighting condition due to damage and deterioration of streetlight equipment equipment. Also, balcony expansion and Jeonmyeong glass structure are popular, And a problem of occurrence.

현재 성에 방지를 위해 출시된 제품들은 대부분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표면처리용 제품이며, 이러한 제품들은 적외선 반사에 의존하는 단열제거나 제 기능을 유지하는 시간이 극히 짧아 근본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영구적으로 성에 및 결빙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발열 유리가 개발되고 있고, 실제로 자동차 뒷유리에 열선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앞 유리, 고글 및 창호 등에는 시야를 방해하는 열선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투명한 발열체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구로 기본 발열 유리는 ITO(Indium Tin Oxide)를 sputtering과 Photo lithography방법을 통해 유리 표면에 형성 및 제조하였으나, 상기된 제조 방법은 공정의 복잡성과 재료 낭비의 단점에 발열유리 보편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투명 ITO 발열유리는 높은 저항으로 인해 저전압에서 성에 및 결빙을 제거할 만큼 충분한 발열 성능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경제성 있는 투명 발열체 제조 기술개발이 필요하다.Currently, most of the products introduced for the prevention of glare are surface treatment products using chemical methods, and these products can not respond fundamentally because the time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insulation or the function depending on the infrared reflection is extremely short.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 heat-generating glass has been developed as a method of permanently removing the castle and freezing. 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use heat rays that interfere with vision in automobile windshields, goggles and window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For this purpose, ITO (Indium Tin Oxide) was formed and produced on the glass surface by sputtering and Photo lithography method. However,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is an obstacle to the generalization of heat glass to the disadvantages of process complexity and material waste have. In addition, since transparent ITO heat-generating glass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achieve sufficient heat-generating performance to remove the gaps and freezing at low voltage due to high resist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conomical transparent heat-generating material manufacturing technique.

또한 차세대 기술로 웨어러블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세계 각국에서 자유롭게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고, 센서, 태양전지 및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 게 응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연 투명 히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인 열관리 분야 뿐만 아니라 건축물에 이용하여 겨울철 난방비 저감을 통해 국가적 에너지 효율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wearable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technology, an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are freely bent or extend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re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sensors, solar cells, and batteries. In addition, flexible transparent heater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national energy efficiency by reducing heating cost in winter by using it in buildings as well as personal heat management field of wearable devices.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투명 기판 상에 소수성 특성 및 발명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투명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which can simultaneously have a hydrophobic property and an inventive funct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투명 발열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상기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물에 대하여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소수성층 및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호 연결된 금속 섬유들이 구비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발열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comprising: a transparent substrate; a hydrophobic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hydrophobic layer being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And a heating layer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metal fibers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구리로 코팅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fibers may be coated with copp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매트릭스 형태로 분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fibers may be distributed in a matrix 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전해도금 섬유(electroplated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fibers may include electroplated fi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sin may include an epoxy resin.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투명 기판을 준비한 후,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물에 대하여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소수성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내부에 금속 섬유가 구비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발열층을 형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comprising: prepar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hydrophobic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 On the other hand, a heat generating layer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metal fibers therei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층은 상기 일면을 향하여 소수성 물질을 분사하는 콜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obic layer may be formed through a cold spray process for spraying a hydrophobic material toward the on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은 PTFE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obic material may include PTF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기재 상에 전도성 고분자 섬유를 전기 방사시켜 상기 기재 상에 상호 교차하는 나노 섬유들을 형성한다. 상기 나노 섬유들 각각에 금속 입자를 부착시킨 후 상기 금속 입자가 부착된 나노 섬유들 각각의 표면에 전기도금 공정을 통하여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을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전사시킨 후, 상기 나노 섬유들을 덮도록 고분자 수지로 코팅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ing layer is formed by electrospinning conductive polymer fibers on a substrate to form mutually crossing nanofibers on the substrate. After attaching metal particles to each of the nanofibers, metal-coated nanofiber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nanofibers to which the metal particles are attached through an electroplating process. The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are transfer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n coated with a polymer resin to cover the nanofi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를 질소 분위기에서 건조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may be further dried in a nitrogen atmosphere to form the heating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수성층 및 발명층이 투명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성에 발생의 억제 및 결빙 감소를 통한 시야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저전압 구동 조건에서 발열 특성이 우수하며,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발열 특성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ydrophobic layer and the inventive layer are provid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gaps and to secure the visibility by reducing the freezing. Further, the heat generating characteristic is excellent under the low voltage driving condition, and the uniform heat generating characteristic can be realized over the whol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 중 발열층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투명 발열체의 전기 방사 공정 시간별 파장변화에 따른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투명 발열체 샘플들에 인가 전압에 따른 발열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투명 발열체에 대한 벤딩 테스트 및 스트레칭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7은 투명 발열체 샘플들에 소수성 특성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generating layer forming proces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the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i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time.
FIG. 4 is a graph showing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to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samples.
5 and 6 are photographs showing results of a bending test and a stretching test on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7 is a photograph showing hydrophobic characteristics in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sampl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대상물들의 크기와 양은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the quantities of objects are shown enlarged or reduced from the actual size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step, function, element, or combination of feature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Quot; or " an " or < / RTI >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100)는 투명 기판(110), 소수성층(120) 및 발열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발열체(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광투과성, 물에 대하여 소수성 및 발열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10, a hydrophobic layer 120, and a heating layer 130.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may have optically transparent light transmittance, hydrophobicity to water, and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상기 투명 기판(110)은, 예를 들면 실리카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기판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투명 기판(110)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고분자 기판일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may be an organic substrate made of, for example, a silica material.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may be a polymer substrate made of a polymer material.

상기 소수성층(120)은 상기 투명 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소수성층(120)은 물에 대하여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소수성층(120)에 물이 컨택할 경우, 물이 흡수되지 않고 상기 투명 기판(11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잔류할 경우, 물방울 형태로 상기 투명 기판(110) 상에 존재할 수 있다.The hydrophobic layer 1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The hydrophobic layer 1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Therefore, when the water is contacted with the hydrophobic layer 120, water may be present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in the form of droplets when the water is not absorbed and removed from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or remains.

상기 소수성층(120)은 소수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 예를 들면,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phobic layer 120 may include a hydrophobic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따라서, 상기 투명 발열체(100)의 일면이 외부 환경 아래에서 비와 같은 수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일면으로부터 수분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수분에 의한 투명 발열체(100)의 오염을 억제하고 나아가 상기 수분에 의한 상기 일면에 성에 발생에 따른 시야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발열체(100)의 일면이 증대된 표면 거칠기 및 감소된 표면 에너지를 가짐에 따라, 결빙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is exposed to moisture such as rain under an external environment, moistur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one side. Thus, contamination of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100 due to moisture can be suppressed,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securing a visual field due to the occurrence of gaps on the one surface by the moisture. Further, as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has increased surface roughness and reduced surface energy, the ice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상기 발열층(130)은 상기 투명 기판(110)의 타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발열층(130)은 상기 소수성층(120)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층(130)은, 내부에 상호 연결된 금속 섬유들(135)이 구비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전기가 인가될 경우,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로부터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써, 투명 발열체(100)의 타면이 실내와 접촉할 때, 상기 실내 및 외부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성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수성층(120) 상 잔류할 수 있는 수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성에 또는 결빙을 상기 발열층(130)은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heating layer 13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That is, the heating layer 13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ydrophobic layer 120. The heating layer 130 is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metal fibers 135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if electricity is applied by interconnecting the metal-coated nanofibers 135, heat may be generated from the metal-coated nanofibers 135. Thus, whe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room,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temperature dependency between the room and the outside. Further, the heating layer 130 may be further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layer 120, which may be caused by water remaining on the hydrophobic layer 120.

한편, 상기 발열층(130)은 외부로부터 열을 차단함으로써, 창호로 이용될 경우 외부로부터의 태양 복사열을 차단하거나, 실내 복사열의 외부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heat generating layer 130 is used as a window by blocking heat from the outside, it can block the solar radiation heat from the outside or suppress external leakage of the indoor radiation heat, thereby performing the heat insulating function.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 각각은 나노 섬유의 표면에 구리가 코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이 보다 경제적으로 우수하면서 동시에 전기적으로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Each of the metal coated nanofibers 135 may have a surface coated with copper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As a result, the nanofibers 135 coated with the metal can be more economically superior while secur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은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 발열층(130) 내부에 분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은 상호 매트릭스 형태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우수한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층(135)이 전체적인 영역에 걸쳐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이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분포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수한 광투과도를 구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135 may be distributed within the heating layer 130 in the form of a matrix. The metal-coated nanofibers 135 are mutually connected in a matrix form to ensure excellent electrical connectivity. In addition, the heating layer 135 may have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entire area. Meanwhile, since the nanofibers 135 coated with the metal are distributed in a matrix form, relatively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can be real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은 전해도금 섬유(electroplated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나노 섬유들(135)은 방사 처리된 고분자 전도성 섬유에 전해도금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노 섬유들(135) 사이에는 안정적으로 상호 연결된 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노 섬유들(135) 간의 전기적 연결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135 may comprise electroplated fibers. That is, the metal-coated nanofibers 135 may be formed on the spin-treated polymer conductive fiber through a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Therefore, the junctions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between the nanofibers 135,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nanofibers 135 can be ens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외부의 오염원, 예를 들면 수분, 화학물질과 같은 화학적인 충격 또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나노 섬유들(135)을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투명 발열체(100)가 연성을 구비함으로써, 취성에 따른 충격에 의한 파손이 억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sin may include an epoxy resin. The polymer resin may protect the nanofibers 135 from external contaminants such as moisture, chemical or physical impacts such as chemicals. Thus, since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has ductility, breakage due to impact due to brittleness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발열체(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광투과성, 물에 대하여 소수성 및 발열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발열체(100)는 우수한 광투과성을 가진 상태에서, 그 일면에는 소수성 특성 및 타면에는 발열 특성을 동시에 가짐으로써 자동차 유리 등에 응용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optically transparent light transmittance, hydrophobicity and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water. Therefore,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00 can be applied to an automobile glass or the like by having a hydrophobic property on one side thereof and a heat-generating property on the other side in a state of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 중 발열층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generating layer forming proces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먼저 투명 기판을 준비한다. 상기 투명 기판은 예를 들면 실리카 물질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투명 기판은 우수한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first prepared.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es,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made of a silica material. Therefore,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have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이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물에 대하여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소수성층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은 우수한 소수성 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물과 같은 액체가 흡수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Next, a hydrophobic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s a resul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has excellent hydrophobic properties, so that absorption of liquid such as water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suppressed.

예를 들면, 상기 소수성층은 상기 일면을 향하여 소수성 물질을 분사하는 콜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콜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소수성층은, 상기 기판의 일면과 우수한 접촉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개선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hydrophobic layer may be formed through a cold spray process that sprays a hydrophobic material toward the one surface. As a result, the hydrophobic layer formed through the cold spray process can have excellent durability while having excellent contact force with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콜드 스프레이 공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An example of the cold spray process will be described.

소수성 물질인 PTFE를 투명 기판의 일면 위에 코팅한다. 이때 사용되는 PTFE 입자의 평균 직경은 1 μm 이다.The hydrophobic PTFE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TFE particles used is 1 占 퐉.

상기 콜드 스프레이 공정에 이용되는 콜드 스프레이 장치는 컴프레서(compressor), 분말 피더(powder feeder), 노즐(nozzle) 및 스테이지(x-y motor stage)를 포함한다. 상기 컴프레서(Compressor)는 공기 압력(P0)을 약 6 bar 정도로 압축하여 음속 유량을 형성하고 히터(heater)로 주위 온도를 약 400˚C도 가열함으로써 초음속으로 고분자 입자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코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분말 피더(Powder feeder)는 노즐 안으로 고분자(PTFE) 입자들을 주입한다. 스테이지(x-y motor stage)는 투명 기판을 x-y축으로 이동시킨다. The cold spray apparatus used in the cold spray process includes a compressor, a powder feeder, a nozzle, and a stage (x-y motor stage).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air pressure P0 to about 6 bar to form a sonic flow rate, and by heating the ambient temperature to about 400 DEG C with a heater, the polymer particles are co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t supersonic speed I will. At this time, the powder feeder injects the polymer (PTFE) particles into the nozzle. The stage (x-y motor stage) moves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x-y axis.

이로써, 상기 콜드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콜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하여 상기 소수성 물질인 PTFE 고분자 분말이 상기 투명 기판의 일 면상에 코팅됨으로써 상기 소수성층이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Thus, the PTFE polymer powder as the hydrophobic substance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rough the cold spray process using the cold spray apparatus, so that the hydrophobic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기판(110)의 타면에, 내부에 상호 연결된 나노 섬유들이 구비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발열층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금속 섬유들 사이에 전압이 인간될 경우, 전압차에 따라 상기 금속 섬유들로부터 열이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a heating layer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nanofibers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voltage between the metal fibers is human, heat may be generated from the metal fibers depending on the voltage difference.

상기 발열층은 전기 방사 공정, 전기 도금 공정, 전사 공정 및 고분자 코팅 공정을 통하여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rough an electrospinning process, an electroplating process, a transfer process, and a polymer coating process.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재 상에 전도성 고분자 섬유를 전기 방사시켜 상기 기재 상에 상호 교차하는 나노 섬유들(21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나노 섬유들 각각에 금속 입자(220)를 부착시킨다. 이로써, 상기 금속 입자들(220)이 후속하는 전기도금 공정에서 시드 입자로 기능한다. In more detail, the conductive polymer fibers are electrospun on a substrate to form mutually crossing nanofibers 210 on the substrate. Then, the metal particles 220 are attached to each of the nanofibers. As a result, the metal particles 220 function as seed particles in a subsequent electroplating process.

이후, 상기 금속 입자(220)가 부착된 나노 섬유들(210) 각각의 표면에 전기도금 공정을 통하여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235)을 형성한다.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235)은 증대된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도금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235)은 상호 연결된 접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reafter, metal coated nanofibers 23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nanofibers 210 to which the metal particles 220 are attached through an electroplating process. The metal coated nanofibers 235 may have an increased average diameter. In additio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235 formed through the electroplating process have interconnected junctions, so that electrical connectivity can be improved.

이후,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235)을 상기 기판(110)의 타면에 전사시킨다. 이어서, 상기 금속 나노들을 덮도록 고분자 수지로 코팅한다. 이로써,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 상에 금속 나노 섬유들을 갖는 발열층이 형성된다.The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235 are transfer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hen, the metal nano-particles are coated with a polymer resin to cover the metal nano-particles. Thus, a heat generating layer having metal nanofibers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를 질소 분위기에서 건조하는 건조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의 표면 상에 산화방지막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이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에도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ying process for drying the metal coated nanofibers in a nitrogen atmosphere may be further performed. In this case, an oxidation preventing film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metal coated nanofibers. Thus, even when the metal coated nanofibers are exposed to the air, the surfaces of the metal coated nanofib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투명 발열체의 특성 평가Evaluation of properties of transparent heating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발열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투명 발열체 샘플들을 제조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samples were prepared.

소수성 물질인 PTFE를 유리 기판의 일면 위에 코팅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PTFE 입자의 평균 직경은 1 μm 이다. 상기 콜드 스프레이 공정에 이용되는 콜드 스프레이 장치가 이용되었다. 컴프레서(Compressor)는 공기 압력(P0)을 약 6 bar 정도로 압축하여 음속 유량을 형성하고 히터(heater)로 주위 온도를 약 400˚C로 가열하였다. 이로써, 상기 콜드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콜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하여 상기 소수성 물질인 PTFE 고분자 분말이 상기 유리 기판의 일 면상에 코팅됨으로써 상기 소수성층이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형성되었다. The hydrophobic PTFE was coated on on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TFE particles used is 1 占 퐉. A cold spray device used in the cold spray process was used.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air pressure P0 to about 6 bar to form a sonic flow rat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s heated to about 400 ° C with a heater. As a result, the hydrophobic layer was coated on on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by coating the hydrophobic PTFE polymer powder through the cold spray process using the cold spray apparatus.

한편, CuEF(copper electroplated fiber) heater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CuEF-heater의 제조하기 위하여, 나노 섬유 제작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PAN을 사용하였다. 전기 방사 용액은 PAN 8 wt%의 용액으로 용매는 DMF를 사용하였다. 전기 방사를 통해 방사된 나노섬유는 기판에 코팅되면서 용매들이 거의 증발하고 고분자가 경화를 통해 형성하였다. 나노 섬유 매트는 Free-standing으로 제작되고, 전기 도금을 위해 나노 섬유 표면에 스퍼터를 이용하여 Pt 입자들을 고정시켰다. 전도성을 띈 Pt 입자들은 전기 도금시, 도금공정의 시드로 기능하여 나노 섬유에 금속이 전체적으로 도금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리 코팅된 나노 섬유들을 덮도록 코팅 공정을 수행하여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발열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소수성층 및 발열층을 포함하는 투명 발열체가 제조되었다.Meanwhile, PAN was used as a polymer used in the fabrication of the nanofibers in order to fabricate a CuEF-heater as a process of manufacturing CuEF (copper electroplated fiber) heater. The electrospinning solution was a solution of 8 wt% PAN and the solvent was DMF. The nanofibers emitted by electrospinning were coated on the substrate and the solvents were almost evaporated and the polymer formed through curing. The nanofiber mat was fabricated free-standing, and the Pt particles were fixed by sputtering on the nanofiber surface for electroplating. Conductive Pt particles functioned as a seed in the plating process during electroplating, so that the metal could be entirely plated on the nanofiber. Then, a coating process was performed to cover the copper-coated nanofibers using an epoxy resin to form a heating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As a result, a transparent heating element including a hydrophobic layer and a heating layer was produced.

도 3은 투명 발열체의 전기 방사 공정 시간별 파장변화에 따른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i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time.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방사 시간이 증가할수록 나노 섬유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광투과도를 측정시, 빛 흡수량과 반사량이 증가하여 투과도가 줄어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방사 시간이 5초에서 180초로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는 96%에서 30%로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3, as the electrospinning time increases, the number of nanofibers increases. Therefore,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is measured, the light absorption amount and the reflection amount increase, and the transmittance decreases.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ttance decreases from 96% to 30% as the electrospinning time increases from 5 seconds to 180 seconds.

반면에, 나노 섬유가 증가할수록 도금되는 나노 섬유 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면저항은 감소한다. 또한 전기 도금으로 구리 코팅된 나노 섬유는 자가 접합되어 접촉저항 및 면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nanofibers increases, the number of nanofibers plated increases, so the sheet resistance decreas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pper-coated nanofibers by electroplating are self-bonded and the contact resistance and sheet resistance are remarkably reduced.

도 4는 투명 발열체 샘플들에 인가 전압에 따른 발열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to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samples.

도 4를 참조하면, 인가 전압에 따라 다양한 온도를 발생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투과도가 중요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낮은 면저항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고, 저전력에도 높은 열을 발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various temperatures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and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low sheet resistance case can be used for an application in which the transmittance is not important, and high heat can be emitted even at low power.

도 5 및 도 6은 투명 발열체에 대한 벤딩 테스트 및 스트레칭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5 and 6 are photographs showing results of a bending test and a stretching test on the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박막(thin film) 형태의 투명 전극은 bending 실험 진행시 감소하는 곡률 반경(bending radius)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투명 전극에 crack이 발생하고 이 crack에 의하여 저항이 매우 증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in a general thin film transparent electrode, a crack occurs in a transparent electrode due to a stress generated according to a bending radius which is reduced in the bending test, The resistance is greatly increased.

벤딩(bending) 테스트시 발생한 저항 변화를 저항 변화율(ΔR=(R-R0)/R0)로 계산하여 그래프에 표시되었다.The resistance change in the bending test is shown in the graph by calculat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 R = (RR 0 ) / R 0 ).

R0는 전극의 초기 선 저항 값을 측정한 것이며 R은 bending에 의한 저항 값을 나타낸다. 저항 변화율이 작을수록 안정적인 기계적 특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CuEF-TFH의 bending 실험은 투과도 96%의 샘플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진행은 곡률 반경(bending radius) 1.3 mm 및 변형률 0.01%을 1000회 동안 실시하였다. 또한 100회 마다 저항변화율 및 인가 전합 1.5 V의 포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CuEF-TFH는 0.03%의 저항 변화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bending 100회 마다 1.5 V를 인가 시, 포화 온도가 약 61 ℃로 안정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R 0 is the measurement of the initial lin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and R is the resistance due to bending. The smaller the rate of change of resistance, the more stable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CuEF-TFH bending test was carried out with a sample with a permeability of 96%.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arried out 1000 times with a bending radius of 1.3 mm and a strain of 0.01%. The resistance change rate and the saturation temperature of the applied junction of 1.5 V were measured every 100 tim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uEF-TFH is stable with 0.03% resistance change. In addition, when 1.5 V is applied every 100 times of bendi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turation temperature is stable at about 61 캜.

한편, 인장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CuEF-TFH를 ECO Flex에 전사하여 인장을 가한 실험으로서 초기 상태에서 인장을 시작하여 변형률 300%까지 인장하여 전극의 파괴되는 실험을 관찰하였다. 그림은 CuEF-TFH의 인장 실험 결과이다. 실험 결과 CuEF-TFH는 변형률 300%까지 저항 변화율이 1.3%로 인장 실험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인장 실험을 하는 동시에 전압을 1.5 V를 인가하여 IR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CuEF-TFH의 표면 온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표면 온도는 약 60 ℃로 매우 안정하였다. 이는 CuEF-TFH의 구조가 매트릭스 형태로 그물처럼 얽혀있어, 인장 테스트시 얽혀있는 그물이 펴지기 때문에 저항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the tensile test, CuEF-TFH was transferred to ECO Flex and the tensile test was started. The figure shows the tensile test results of CuEF-TF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uEF-TFH showed good resistance to tensile tests at a strain rate of 1.3% up to 300% strai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uEF-TFH was confirmed to be 60 ° C, and the surface temperature was very stable.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of CuEF-TFH is intertwined like a net in the form of a matrix.

도 7은 투명 발열체 샘플들에 소수성 특성을 나타낸 사진들이다.7 is a photograph showing hydrophobic characteristics in 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samples.

도 7을 참조하면, 투명 발열체로서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성에 제거 효율이 매우 중요하며, 성에 제거 실험은 투과도 96% 샘플로 진행하였다. 도 7에서 보듯이 오른쪽 부부은 CuEF-TFH가 전사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유리만 있는 상태이다. 각 부분 위에 몇 방울 DI water를 떨어뜨리고 약 10분 동안 냉동고에 유지하여 빙결상태로 만들었다. CuEF-TFH의 양끝단에 1.5 V 전압을 인가하고, 시간에 따라 성에 및 응결된 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전압을 인가하고 15초 후 CuEF-TFH가 전사된 부분의 성에는 완전히 제거 되고 얼음이 녹고 있는 상태이지만, 다른 부분은 성에 및 얼음의 변호가 거의 없다. 이후 20초가 더 지난 뒤, CuEF-TFH가 전사된 부분의 얼음이 완전이 녹았으나, CuEF-TFH가 전사되지 않는 부분은 얼음이 다 녹지 못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듯 CuEF-TFH가 전사된 필름은 매우 빨리 성에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얼음을 제거 할 수 있다. 그러므로 CuEF-TFH는 광고판과 자동차 앞유리 및 사이드 미러 등에 사용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order to confirm the function as a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the degreasing efficiency is very important, and the degreasing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ransmittance of 96%. As shown in FIG. 7, CuEF-TFH is transcribed on the right side and only glass is on the other side. A few drops of DI water were dropped on each part and kept in the freezer for about 10 minutes to freeze. A voltage of 1.5 V was applied across both ends of the CuEF-TFH, and the state of the gelled and condensed water was observed over time. After 15 seconds, the CuEF-TFH is completely removed and the ice is completely melted. However, the other parts are almost free from defects of ice and castle. After 20 seconds, the ice in the CuEF-TFH-transferred part was completely dissolved, but the part where CuEF-TFH was not transferred was not completely dissolved. In this way, the film transferred with CuEF-TFH not only removes the film very quickly, but also effectively removes ice. Therefore, CuEF-TFH can be used for billboards, automobile windshields and side mirror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Vari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100 : 투명 발열체 110 : 투명 기판
120 : 소수성층 130 : 발열층
135, 235 :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
100: transparent heat generating element 110: transparent substrate
120: hydrophobic layer 130: exothermic layer
135, 235: metal coated nanofibers

Claims (10)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물에 대하여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소수성층; 및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호 연결된 금속 섬유들이 구비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발열층을 포함하는 투명 발열체.
A transparent substrate;
A hydrophobic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And
And a heat generating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metal fibers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구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fiber is coated with c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매트릭스 형태로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fibers are distributed in a matrix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는 전해도금 섬유(electroplated fi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fiber comprises electroplated fi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The transparent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resin comprises an epoxy resin. 투명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물에 대하여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내부에 금속 섬유가 구비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발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hydrophobic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obicity against water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nd forming a heat generating layer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metal fiber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일면을 향하여 소수성 물질을 분사하는 콜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orming of the hydrophobic layer is performed through a cold spray process that injects a hydrophobic material toward the one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은 PTF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ydrophobic material comprises PTF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전도성 고분자 섬유를 전기 방사시켜 상기 기재 상에 상호 교차하는 나노 섬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 섬유들 각각에 금속 입자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 입자가 부착된 나노 섬유들 각각의 표면에 전기도금 공정을 통하여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들을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노 섬유들을 덮도록 고분자 수지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forming the heating layer comprises:
Electrostatically spinning conductive polymer fibers on a substrate to form cross-linked nanofibers on the substrate;
Attaching metal particles to each of the nanofibers;
Forming metal coated nanofibers through electroplating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nanofibers having the metal particles attached thereto;
Transferring the metal coated nanofiber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d coating the nanofibers with a polymer resin so as to cover the nanofib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코팅된 나노 섬유를 질소 분위기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forming the heating layer comprises:
And drying the metal coated nanofibers in a nitrogen atmosphere. ≪ RTI ID = 0.0 > 11. < / RTI >
KR1020160134137A 2016-10-17 2016-10-17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42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37A KR102042888B1 (en) 2016-10-17 2016-10-17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37A KR102042888B1 (en) 2016-10-17 2016-10-17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65A true KR20180041865A (en) 2018-04-25
KR102042888B1 KR102042888B1 (en) 2019-11-27

Family

ID=6208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37A KR102042888B1 (en) 2016-10-17 2016-10-17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88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967B1 (en) * 2018-11-15 2020-05-18 (주)아이테드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electrode munufacturing method
KR102190788B1 (en) * 2019-06-19 2020-12-14 김영태 Apparatus for mounting and charging a stick-type heating module
KR102190787B1 (en) * 2019-06-19 2020-12-14 김영태 Stick-type heat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ne heater included there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9530A (en) * 2010-09-17 2012-03-27 (주)탑나노시스 Transparent conductive sheet including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25920A (en) * 2012-05-10 2013-11-20 아로 주식회사 Transparent heating substrate using carbon nano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KR20160117660A (en) * 2015-03-30 2016-10-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apparatus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9530A (en) * 2010-09-17 2012-03-27 (주)탑나노시스 Transparent conductive sheet including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25920A (en) * 2012-05-10 2013-11-20 아로 주식회사 Transparent heating substrate using carbon nano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KR20160117660A (en) * 2015-03-30 2016-10-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967B1 (en) * 2018-11-15 2020-05-18 (주)아이테드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electrode munufacturing method
KR102190788B1 (en) * 2019-06-19 2020-12-14 김영태 Apparatus for mounting and charging a stick-type heating module
KR102190787B1 (en) * 2019-06-19 2020-12-14 김영태 Stick-type heat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ne heater includ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888B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A hierarchically structured self-cleaning energy-free polymer film for daytime radiative cooling
Wang et al. Superhydrophobic porous film for daytime radiative cooling
Adak et al. A state-of-the-art review on the multifunctional self-cleaning nanostructured coatings for PV panels, CSP mirrors and related solar devices
Wang et al. Verification of icephobic/anti-icing properties of a superhydrophobic surface
KR20180041865A (en) Transparent heater of manufacturing the same
Roslizar et al. Self-cleaning performance of superhydrophobic hot-embossed fluoropolymer films for photovoltaic modules
KR100988646B1 (en) Light sense assisting apparatus having electro-conductive transparent layer
Hao et al. All-day anti-icing/deicing film based on combined photo-electro-thermal conversion
Song et al. Hybrid metamaterial textiles for passive personal cooling indoors and outdoors
CN104483762B (en) A kind of Anti-fog glasses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with graphen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Kim et al. Smart wearable heaters with high durability, flexibility, water-repellent and shape memory characteristics
EP2454069A1 (en) Manufacturing of multifunctional electrically conductive/transparent/flexible films
Wang et al. Ultraflexible photothermal superhydrophobic coating with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based on plasmonic TiN nanoparticles
Kim et al. Photo-induced healing of stretchable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with embedded metallic nanowires
Dong et al. Slippery passive radiative cooling supramolecular siloxane coatings
Sun et al. Superhydrophobic SiO2–Glass Bubbles Composite Coating for Stable and Highly Efficient Daytime Radiative Cooling
CN105405492A (en) Preparation method for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with high thermal stability and product thereof
Lee et al. SWCNT–Ag nanowire composite for transparent stretchable film heater with enhanced electrical stability
Lee et al. Hybrid windshield-glass heater for commercial vehicles fabricated via enhanced electrostatic interactions among a substrate, silver nanowires, and an over-coating layer
Wang et al. Bioinspired anti-icing hydrogel enabled by ice-nucleating protein
Yan et al. Towards Large‐Scale Fabrication of Self‐Healable Functional Hydrogel Coatings for Anti‐Fog/Frost Surfaces and Flexible Sensors
EP3440025B1 (en) Outboard durable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 on aircraft canopy
CN113024866B (en) Daytime passive radiation refrigeration hydrophobic cellulose material with anisotropic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 et al. Bioinspired Hierarchical Multi‐Protective Membrane for Extreme Environments via Co‐Electrospinning‐Electrospray Strategy
DE102014109030A1 (en) Conductive polymer deicing films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2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2

Effective date: 201909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