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378A -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 Google Patents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378A
KR20180041378A KR1020160133440A KR20160133440A KR20180041378A KR 20180041378 A KR20180041378 A KR 20180041378A KR 1020160133440 A KR1020160133440 A KR 1020160133440A KR 20160133440 A KR20160133440 A KR 20160133440A KR 20180041378 A KR20180041378 A KR 2018004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air conditioning
humidit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4780B1 (en
Inventor
양인형
김성호
전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80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of a sink cabinet. The module of a sink cabinet comprises: a sink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modu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drying device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removing moisture from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air to a space inside the module is disposed.

Description

세면대 하부장 모듈{Module of Washstand Furniture}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 basin bottom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 basin bottom module including a drying device.

욕실에는 욕실용품을 정리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본체에 거울이 구비된 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수용공간에 욕실용품을 수납하는 형태로 상부장을 두어 용실용품을 정리한다.Since there is a relatively short storage space for arranging bathroom items in the bathroom, a door provided with a mirro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door is opened, and a bathroom is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부장 이외의 욕실 하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KR 20-2011-0011271는 세면대의 하부장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에 세탁바구니를 두어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In order to utilize the lower space of the bathroom other than the upper part,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KR 20-2011-0011271 forms a storage space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stand and utilizes the lower space of the washstand by placing a laundry basket in the storage space.

다만, 수납공간을 활용하더라도 습기가 많은 욕실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전기제품을 선택하여 안정적으로 보관 및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storage space is utiliz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and use the electric product that the user needs in a moisture-resistant bathroom.

또한, 하부장 내부에 집기등을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모듈 등을 사용하는 경우, 욕실의 습한 공기를 이용하면, 제대로 건조장치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Further, when a module or the like relating to a device for drying a house or the like is us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or, it is difficult to proper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drying device by using moist air in the bathroo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욕실에서 사용되는 전기제품을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모듈화하여 배치함으로써, 욕실공간을 활용하여 전기적 모듈을 사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appliance for use in a bathroom by modularly arranging the electric appliance inside the bathroom cabinet so as to provide a bathroom cabinet using the electric modu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욕실의 습한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장 내부의 모듈을 건조하거나 순환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 basin submodule module including a drying device for drying or circulating a module inside a lower portion by using moist air in a bathroo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면대 하부장이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공조모듈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에 따라 열전모듈을 작동시키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bottom floor for opera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when the sink bottom floor includes the air conditioning modu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면대 하부장은 전기제품을 모듈화하여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배치하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 모듈을 제어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bottom part of the wash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appliance as a modularized bottom part of the washstand, and a bottom part of the washstand for controlling each module by supplying power to the modu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은 내부에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여, 욕실의 습한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만들어 모듈 내부로 유동시키는 모듈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dule dispos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device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therein to provide a module for making humid air in the bathroom into dry air to flow into the modu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면대 하부장은 공조모듈을 포함하고, 공조모듈과 모듈을 연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에 따라 건조장치를 작동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ink bottom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module and provides a sink bottom floor for operating the dry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humidity of the air introduced in connec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module and the module.

첫째, 전기적 제품을 모듈화하여 세면대 하부장에 배치함으로써, 욕실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athroom space can be utilized by modularizing an electrical product and placing it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stand.

둘째, 세면대 하부장에 배치되는 모듈에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두어 욕실의 습한 공기로 모듈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dul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stand can be provided with a drying device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to dry the inside of the module with moist air in the bathroom.

셋째, 세면대 하부장에 배치된 공조모듈과 함께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파악하여 불필요하게 열전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낭비되는 전력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in addition 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st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power consumption by u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unnecessarily by grasping the air flowing into the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모듈케이스가 인출된 상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과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하부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배출구 및 모듈배출구가 형성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과 공조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열전모듈을 작동시키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in which one module case is taken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modu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rtion including a module and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e including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ying apparatus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of air flowing through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dule having an internal outlet and a modul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module and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 chart for operating a thermoelectric module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wash basin botto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모듈케이스가 인출된 상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과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하부장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in which one module case is taken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modu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rtion including a module and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10)은 급수밸브(24)와 물을 담는 세면보올(22)이 구비된 세면대(20);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용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200)을 포함한다.The botto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shstand 20 having a water supply valve 24 and a toilet bowl 22 for containing water; A housing (30) disposed below the washstand and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module (200) housed in a housing space formed in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operat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의 구성을 설명한다.1 to 4, the structure of the low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세면대(20)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대(20) 상단에는 급수밸브(24)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세면보올(22)이 구비된다. 또한, 세면대(20)는 세면보올(22)에 담겨있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시설(미도시)과 연결된다. The sink 20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toilet or the washroom and is designed to wash hands or face. A water supply valve (2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washstand (20) and a toilet bowl (22) capable of holding water is provided at the center. Further, the washstand 20 is connected to a drainage facility (not shown) for drain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shbowl 22.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보올(22)은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하우징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ilet bowl 22 may be an enamel sink, pottery sink,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ilet bowl 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variously deformed in shape and an enamel sink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housing at the bottom.

하우징(30)은 세면대(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장(10)의 둘레 및 바닥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30)의 상부는 세면보올(22)과 연결된다.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세면보올(22)은 하우징(30)에 연결되는 부분이 실링된다.The housing 3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shstand 20 and forms the contour of the circumference and bottom of the bottom 10.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0 is connected to the toilet bowl 22.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used in the bathroom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portion of the toilet bowl 22 connected to the housing 30 is sealed.

하우징(30)의 하부에는 하부장(10)을 욕실의 바닥면을 일정거리 이격하기 위한 하부장 다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부장 다리(50)는 하부장(10)의 사용용도 및 공간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하부장 다리가 생략되는 경우 하우징의 하부는 욕실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욕실 바닥면과 하우징 하부는 실링될 수 있다. The lower housing 1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leg 50 for spacing a floor of the bathroo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owever, the lower leg legs 5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e and the space of the lower leg 10. When the lower leg is omitted,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and the bottom of the bathroom and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can be sealed so that the water used in the bathroom is not introduced into the housing.

하우징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배치된다.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은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기장치이다. 모듈의 외부규격은 일정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At least one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modul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is an electrical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bathroom.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nal standard of the module is a constant form. The module performs various functions depending on the type.

하우징 내부에서 모듈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하우징의 전방에 2개의 모듈(A, B)이 배치되고, 후방에 하나의 모듈(C)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에 배치된 모듈(C)의 공간에는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시설이 배치될 수 있다. Modules within the housing can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4 (a), two modules A and B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housing, and one module C may be arranged in the rear. In this case, a drainage unit for draining the water of the washstand can be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module C disposed at the rear.

도 4의 (b)와 같이, 3개의 모듈이 나란히 좌우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4 (b),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hree modules are arranged laterally side by side.

도 4의 (c) 또는 도 4의 (d)와 같이, 도 4의 (a) 또는 도 4의 (b)와 같은 구성에 D모듈을 더 포함하는 배치도 가능하다. 납작한 판 형상의 D모듈은 욕실을 건조하거나, 신체를 건조하도록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모듈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C or FIG. 4D,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D module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A or FIG. 4B. The flat D shaped module may be an air conditioning module that discharges air to the outside to dry the bathroom or dry the body.

공조모듈(D)이 다른 모듈(A, B, C)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공조모듈(D)은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하거나, 욕실의 바닥을 건조할 수 있다. Whe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D is disposed below the other modules A, B, and C, the air conditioning module D can dry the user's body or dry the bottom of the bathroom.

상기 도면에 도시된 모듈의 배치는 실시예로써, 모듈의 배치구조는 모듈의 개수, 위치 및 크기, 하우징의 크기 및 사용용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modules shown in the drawings is an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odules may be various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position and size of the modules, the size of the housing, and the intended use.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10)은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2개이상으로 구획하고, 상기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모듈 케이스(100)는 모듈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모듈(200)은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착탈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00)는 모듈(200)의 외형을 둘러싸는 크기로 형성된다.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 내부의 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 복수개의 모듈 케이스(100)는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모듈을 수용한다.The botto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odule case that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into two or more spaces and accommodates the modules. The module case 100 is a space in which the module is housed. The module 20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odule case 100. The module case 1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 The module case 100 can be taken out of the housing. The module case 10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hape of the module 200. The module case 100 occupies a certain space inside the housing. The plurality of module cases (100) partition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30) to accommodate the module.

모듈케이스(100)는 모듈(200)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흡입구(110) 및 배기구(1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구(110) 및 배기구(120)는 모듈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모듈케이스(100)의 흡입구(110) 및 배기구(120)는 이하 설명할 모듈(200)의 모듈흡입구(260) 및 모듈배기구(27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module case 100 is formed with an inlet 110 and an outlet 120 for flowing air inside and outside the module 200. The intake port 110 and the exhaust por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case.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of the module case 10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nlet 260 and module outlet 270 of the module 200 to be described below.

도 4의 (c) 또는 도 4의 (d)와 같은 구조에서, 복수개의 모듈(A, B, C) 하부에 공조모듈(D)이 배치된 경우, 공조모듈(D)로 흡입된 공기를 모듈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D whe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D is disposed under the plurality of modules A, B and C in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4C or FIG. It can flow into the module.

또한, 도 4의 (a) 또는 도 4의 (b)와 같은 모듈 구조를 갖는 하부장(10)은 직접적으로 하우징(30)의 바닥면으로 연통되어 모듈(200) 내부와 하부장(10)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4A or 4B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so that the inside of the module 200 and the outside of the module 10 Air can flow.

모듈케이스(100)는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전원공급부는 모듈(200)이 모듈 케이스(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모듈의 전원부(204)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모듈(200)은 모듈 케이스(100)와 결합하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In the module case 100,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dule 200 is disposed.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unit 204 of the module in a state where the module 200 is mounted in the module case 100. [ When the module 200 is coupled with the module case 100,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10)은 모듈 케이스(100)를 포함하는 경우, 모듈(200)이 장착되는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전원공급부가 배치된다. 다만, 모듈 케이스(1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30) 내부에 전원공급부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sub flo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module case 100,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e 100 in which the module 200 is mounted. However, when the module case 100 is not includ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

하우징(30)의 상부에는 하부장(10) 내부의 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40)가 형성된다. 입력부(40)는 사용자가 직립자세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세면대 바로 아래인 하우징(30)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input unit 40 for inputting a comman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dule 200 inside the sub floor 1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30. The input unit 4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0 immediately below the washstand at a position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in an upright posture.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하부장(10)의 모듈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력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LED 등의 표시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40)는 터치패널로 형성되어 표시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40 includes a button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odule of the sub floor 10 from the user. In addition, a display unit (not shown) such as an LCD or an LED for visually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input unit 40 may be formed of a touch panel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unit.

상기 입력부(40)의 배면의 하우징 내측에는 제어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각 모듈을 인식하고, 각 모듈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put unit 40. The control unit 400 recognizes each module and controls each module.

상기 입력부(40)의 배면의 하우징(30) 내측에는 각 모듈을 인식하고,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30) 하부에 배치된 공조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부(40)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한다.Inside the housing 30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put unit 40, a control unit 400 for recognizing each module and controlling each module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disposed under the housing 30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40 to control commands inputted from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배출구 및 모듈배출구가 형성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저면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e including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ying apparatus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of air flowing through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dule having an internal outlet and a modul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210)를 포함하는 모듈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odule including the drying apparatu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은 외부의 습한공기를 흡입하여, 모듈(200) 내부의 공간으로 건조된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장치(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은 상부에 세면대가 배치되고, 하부에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수납되는 모듈에 있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모듈 내부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열전모듈(230)이 배치된 건조장치(210)를 포함한다.Th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ying device 210 for sucking humid air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he dried air into a space inside the module 200. Th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dule housed in a lower part of a washstand includ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module in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200. The module 200 removes moisture from the externally sucked air, And a drying device 210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230 for discharging the heat to the space is disposed.

건조장치(210)는 모듈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다. 건조장치(210)는 모듈(200) 내부의 공간(202)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열전모듈(230)을 포함한다. The drying device 2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odule. The drying device 210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230 that removes moisture from the air sucked into the space 202 inside the module 200.

건조장치(210)에는 열전모듈(230)을 따라 건조유로(220)가 형성된다. 건조장치(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전모듈(230) 주위로 형성된 건조유로(220)를 통과한다. 건조유로(220)를 통과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모듈 내부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A drying channel 220 is formed in the drying device 210 along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device 210 passes through the drying channel 220 formed around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ing channel 220 is removed from the space inside the module by removing the moisture.

건조장치(210)는 건조유로(220)로 공기가 유입되는 모듈흡입구(260)가 모듈(20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건조장치(210)는 건조유로(220)를 통과한 공기가 모듈 내부의 공간(202)으로 배출되는 내부배출구(280)가 모듈(20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다.The drying apparatus 210 is formed with a module inlet 260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nto the drying channel 2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200. The drying apparatus 210 has an internal discharge port 280 formed 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odule 200. The internal discharge port 280 discharg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rying channel 220 to the space 202 inside the module.

열전모듈(230)은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이다. 열전모듈(230)은, 전류가 흐를 때, 냉각되는 냉각부(232)와 가열되는 가열부(234)를 포함한다. 열전모듈(230)은 2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된 회로를 포함한다. 펠티어 효과에 의해, 열전모듈(230)은 2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된 회로에 전류가 흐를 때, 전류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냉각되고, 다른 쪽 단자는 가열된다. 냉각부(232)는 냉각되는 쪽의 단자이고, 가열부(234)는 가열되는 쪽의 단자이다. 냉각부(232)와 가열부(234)를 따라 건조유로(220)가 형성된다.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an element using various effects expressed by the interaction of heat and electricity.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ncludes a cooling part 232 to be cooled and a heating part 234 to be heated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ncludes two different metal circuits. With the Peltier effect,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energized in a circuit composed of two different metals, one terminal is cooled and the other terminal is he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direction. The cooling section 232 is a terminal to be cooled, and the heating section 234 is a terminal to be heated. The drying channel 220 is formed along the cooling part 232 and the heating part 234.

열전모듈(230)의 냉각부(232)는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흡열핀(240)이 연결된다. 가열부(234)는 유동하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는 방열핀(250)이 연결된다. 흡열핀(240)과 방열핀(250)은 건조유로(220) 상에 배치된다.The cooling part 232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connected to the heat absorbing fin 240 absorbing heat from the flowing air. The heating unit 234 is connected to a heat dissipation fin 250 that radiates heat to the flowing air. The heat absorbing fin 240 and the heat dissipating fin 250 are disposed on the drying passage 220.

건조유로(220)로 유입된 공기는 흡열핀(240)을 통과하여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가 제거된다. 건조유로(220)를 유동하는 공기는 방열핀(250)을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상대습도가 낮아져 건조하고 따뜻한 공기를 형성한다. 흡열핀(240)과 방열핀(250)은 건조유로(220)에는 유입된 공기가 흡열핀(240)을 통과한 후, 방열핀(250)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drying channel 220 passes through the heat absorbing fin 240, and moisture is condensed to remove moistur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rying channel 220 passes through the radiating fins 250, and the temperature rises to lower the relative humidity to form dry and warm air. The heat absorbing fin 240 and the heat dissipating fin 250 are arrang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passage 220 passes through the heat absorbing fin 24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ng fin 250.

건조유로(220)는 모듈흡입구(260)로부터 내부배출구(280)로 연결된다. 건조장치(210)는 모듈(200)의 측면에 배치된다. 건조유로(220)는 모듈의 측면부에서 상승유로(222)와 하강유로(224)를 형성한다. The drying channel 220 is connected from the module inlet 260 to the inner outlet 280. The drying device 21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dule 200. The drying channel 220 forms a rising channel 222 and a falling channel 224 at a side portion of the module.

모듈흡입구(260)를 통해 건조유로(2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승유로(222) 및 하강유로(224)를 거쳐 내부배출구(280)로 모듈 내부의 공간(202)으로 배출된다. 열전모듈(230)은 상승유로(222)와 하강유로(224) 사이에 배치된다. 열전모듈(230)은 상승유로(222)를 향하는 면에 냉각부(232)가 배치된다. 하강유로(224)를 향하는 면에 가열부(234)가 배치된다. 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drying channel 220 through the module inlet 260 is discharged to the space 202 inside the module through the rising channel 222 and the lower channel 224 and the inner outlet 280.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disposed between the rising channel 222 and the lower channel 224. The cooling module 232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facing the rising channel 222. And the heating portion 234 is dispo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flow path 224. [

상승유로(222)에는 냉각부(232)에 연결되어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흡열핀(240)이 배치된다. 하강유로(224)에는 가열부(234)에 연결되어 유동하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는 방열핀(250)이 배치된다.A heat absorbing fin 24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oling part 232 and absorbs heat, is disposed in the rising flow path 222. A radiating fin 250 connected to the heating part 234 and radiating heat to the flowing air is disposed in the downflow channel 224.

건조유로(220)에는 상승유로(222)와 하강유로(224)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226)가 형성된다. 상승유로(222)는 만곡부(226)에 의해 하강유로(224)와 연결되어 모듈 측면의 좁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유로(220)는 습기제거 및 가열과정을 거친 건조한 공기를 모듈 내부공간(202)으로 배출한다. The drying channel 220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226 for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between the rising channel 222 and the falling channel 224. The lift passage 222 is connected to the downward flow passage 224 by the curved portion 226 and can be disposed in a narrow space on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The drying channel 220 discharges dry air that has undergone the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processes into the module internal space 202.

모듈(200)은 공기가 흡입되는 모듈흡입구(260) 및 모듈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모듈배출구(270)가 형성된다. 모듈흡입구(260)는 건조유로(220)의 일단에 형성된다. 모듈흡입구(26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유로(220)를 통과한다. 건조유로(220)의 타단에는 건조유로(220) 내부의 공기가 모듈 내부공간(202)으로 배출되는 내부배출구(280)가 형성된다. 내부배출구(280)는 모듈의 하부 측면에서 형성된다.The module 200 is formed with a module inlet 26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module outlet 270 through which air in the module is discharged. The module inlet 26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rying channel 22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odule inlet 260 passes through the drying channel 220. At the other end of the drying duct 220 is formed an inner outlet 280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drying duct 220 is discharged into the module internal space 202. The inner outlet 280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내부배출구(280)는 모듈(20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다. 내부배출구(280)는 하강유로(224)의 단부에 형성된다. An inner outlet 280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module 200. The inner discharge port 28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ownflow channel 224.

건조장치(210)는 건조유로(22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290)을 포함한다. 팬(290)은 모듈흡입구(260)에 배치된다. 팬(290)은 건조유로(220)로 공기를 흡입한다. 팬(290)은 건조유로(22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290)은 하부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으로 공기를 유동하기 위해 원심팬을 사용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210 includes a fan 290 for sucking air into the drying channel 220. The fan 290 is disposed in the module inlet 260. The fan 290 sucks air into the drying channel 220. The fan 290 flows air inside the drying channel 220. The fan 2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use a centrifugal fan to draw air on the lower surface to flow air to the side.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은 모듈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모듈배출구(270)가 형성된다. 모듈배출구(270)는 모듈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모듈배출구(270)는 모듈흡입구(26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module outlet 270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module is discharged. A module outlet 270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The module outlet 270 is formed apart from the module inlet 260.

모듈(200)은 전원부(204)를 더 포함한다. 모듈(200)은 전원부(204)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열전모듈(230)에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팬(290)을 작동시키거니, 기타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204)는 모듈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모듈(200)의 다른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dule 200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04. The module 2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4 and supplies current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or operates the fan 290 to supply power to the other modules. The power supply unit 2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However, it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200 as an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단면도이다. 10 is a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욕실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욕실 바닥이나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하도록 공기를 배출하는 공조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300)은 욕실건조 및 신체건조 이외에 하우징 내부의 모듈로 공기를 유동하게 할 수 있다.The sink bottom flo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nditioning module 300 for dehumidifying the air in the bathroom, or discharging air to dry the bathroom floor or the user's body.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ke the air flow to the module inside the housing in addition to the bathroom drying and the body drying.

공조모듈(300)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다. 공조모듈(300)을 통해 바닥을 건조하도록, 바닥면과 가까운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하우징의 상부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of the housing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lose to the bottom surface so as to dry the floor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However,

공조모듈(300)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318)가 형성된 흡입부(310); 상기 공조모듈(30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42)가 형성된 토출부(340); 및 상기 토출구(342)를 개폐하는 베인(350)을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ncludes a suction unit 310 having a suction port 318 for sucking air into the inside thereof; A discharge unit 340 having a discharge port 342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And a vane 3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342.

흡입부(310)는 공조모듈(300)의 후방에 위치하여 하부로 개구된 흡입구(318)가 형성된다. 흡입부(310)에는 흡입구(318)로 공기를 흡입하는 공조팬(314)이 배치된다. 흡입구(318)에는 공조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312)가 배치된다. The suction unit 31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and has a suction port 318 opened downward. The suction unit 310 is provided with an air-conditioning fan 314 for sucking air into the suction port 318. A filter 312 for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s disposed in the air inlet 318.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310)는 하부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318)가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시로코팬 등을 활용하여 측면으로 개구된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ction portion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318 opened downward. However, in on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uction port opened to the side by utilizing a sirocco fan or the like.

필터(312)는 공조모듈 내부에 설치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제거하거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각종 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The filter 312 is used to remov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housing or to remove various particles contained in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to protect an apparatu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본 실시예에서 필터(312)는 공조모듈(3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필터(312)는 공조모듈(300)과 공조모듈(300) 상부에 배치된 모듈(100) 사이에서 연통되는 공간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312 is installed in a space where air is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The filter 312 may further be installed in a space communicated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and the module 100 dispos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토출부(342)는 공조모듈(300)의 전방에 위치한다. 토출부(342)는 전방으로 개구된 토출구(342)가 형성된다. 토출구(342)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이 설치된다. 베인(350)은 토출구(3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제어한다.The discharge portion 342 is locate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The discharge portion 342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342 opened frontward. The discharge port 342 is provided with a vane for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The vane 350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42 up and down.

베인(350)이 회전함에 따라, 공조모듈(300)은 욕실의 바닥면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욕실바닥을 건조하거나, 상부로 토출하여 신체나 욕실공간을 건조시킨다.As the vane 350 rotates,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discharges ai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to dry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 discharge the upper part to dry the body or bathroom space.

공조모듈의 흡입부(310)와 토출부(340) 사이에는 연결유로(330)가 형성된다. 연결유로(330)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조모듈히터(370)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330)에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380)가 배치될 수 있다. 공조모듈히터(370)는 공조모듈(380)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구(342)로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욕실의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히터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하우징 외부로 토출한다. 이오나이저(380)는 공조모듈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이온을 발생시켜 토출구(342)로 배출한다. A connection flow path 330 i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rt 310 and the discharge part 340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An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for heating air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330. An ionizer 380 for generating ions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330.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80 to heat the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342. When the air in the bathroom is dehumidified, warm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he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ionizer 380 generates ions of air flowing 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and discharges the air ions to the discharge port 342.

연결유로(330) 상부에는 공조모듈(300) 상부에 배치된 모듈화된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하게 하는 연통홀(320)이 형성된다. 공조모듈(300)의 상부에는 공조모듈(300) 상측에 배치된 모듈과 연통하는 연통홀(320)이 형성된다. A communication hole 3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330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modular space dispos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A communication hole 320 communicating with the module dispos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공조모듈(300)은 연통홀(320)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3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32)는 연결유로 상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공조모듈(300) 상부의 연통홀(320)로 가이드하도록 ‘L’가 형태로 형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ncludes a guide portion (332) for guiding the flow of air to the communication hole (320). The guide portion 332 is formed in an 'L' shape so as to guide the air flowing on the connection passage to the communication hole 32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연통홀(320)을 통해 공조모듈(300)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모듈(200)로 유동된다. 연통홀(320)을 통해 모듈(20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유로(220)를 통과하여 모듈의 내부공간(202)으로 배출된다.Air flowing 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20 flows into the module 2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air flowing into the modul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20 passes through the drying channel 220 and is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202 of the modul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과 공조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열전모듈을 작동시키는 흐름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module and an air conditio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 chart for operating a thermoelectric module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모듈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모듈과 공조모듈 간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between the modul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module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2. FIG.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은 모듈과 공조모듈의 상대습도를 파악하여, 모듈과 공조모듈의 구성을 서로 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grasp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module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and to control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장(10)은 공조모듈(300)의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파악하는 제 1 습도감지부(410)와, 모듈흡입구(260)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파악하는 제 2 습도감지부(420)와, 모듈(200) 내부공간(202)의 습도를 파악하는 위한 제 3 습도감지부(4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botto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umidity sensing unit 410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A second humidity sensing unit 420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air and a third humidity sensing unit 430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202 of the module 200.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제 3 습도감지부(430)를 통해 파악된 모듈 내부의 습도가 제 3 설정습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를 수행하고, 모듈 내부의 습도가 제 3 설정습도 이상인 경우 모듈흡입구(260)에 배치된 팬을 가동시키는 단계(S110)를 수행한다. 모듈흡입구(260)에 배치된 팬(290)이 가동되는 경우, 모듈(200) 외부의 공기가 모듈 내부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controller 400 performs a step S1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humidity inside the module detected through the third humidity sensor 43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third set humidity, If 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ird set humidity, step (S110) of activating the fan disposed in the module intake port 260 is performed. When the fan 290 disposed in the module inlet 260 is operated, air outside the module 200 flows into the module.

다만, 모듈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야하는 모듈의 경우에는 (S100)의 단계가 생략되어 지속적으로 모듈(200) 내부의 팬(290)이 작동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odule in which air should continuously flow into the module, the step of S100 is omitted, and the fan 290 inside the module 20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제어부(400)는 공조모듈(300)의 흡입부(3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1 설정습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수행한다. 공조모듈(300)의 흡입부(310)의 습도는 흡입부(310)에 배치된 제 1 습도감지부(410)로 감지된다. The control unit 400 perform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310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set humidity S130. The humidity of the suction portion 310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sensed by the first humidity sensing portion 410 disposed in the suction portion 310.

공조모듈(300)의 흡입부(310)로 유입된 공기가 모듈(200)의 모듈흡입구(260)로 유입되므로, 공조모듈(300)의 흡입부(310)로 유입되는 공기가 건조한 공기인 경우는 열전모듈(230)이 작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Sin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310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flows into the module suction port 260 of the module 200 and thus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unit 310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dry air This is because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does not need to be operated.

제어부(400)는 공조모듈(300)의 흡입부(3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1 설정습도 이상인 경우, 공조모듈히터(370)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공조모듈(300) 내의 공조모듈히터(370)가 작동되고 있으면, 공조모듈(3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상대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The control unit 400 performs a step S2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is in operation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unit 310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humidity. I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operated, the ai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ing module 300 is heated to lower the relative humidity.

제어부(400)는 공조모듈히터(370)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모듈(200) 내부의 열전모듈(230)을 작동시키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열전모듈(230)이 작동하는 경우, 모듈흡입구(26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유로의 열전모듈(230)을 거쳐 따뜻하고 건조한 상태로 모듈의 공간내부로 배출된다.The control unit 400 performs a step S210 of opera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n the module 200 whe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is not operated.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operat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odule inlet 260 flows through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of the drying channel into the space of the module in a warm and dry state.

공조모듈히터(370)가 가동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모듈흡입구(260)의 습도가 제 2 설정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제 2 습도감지부(420)를 통해 모듈흡입구(260)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공조모듈히터(370)가 작동하여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열전모듈(230)을 별도로 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Whe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is operated, the controller 400 performs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humidity of the module intake port 260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 humidity. And senses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module inlet 260 through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0.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module is low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370,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not operated separately.

모듈흡입구(260)의 습도가 제 2 설정습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400)는 열전모듈(230)을 작동시킨다. 열전모듈(230)이 작동되면, 모듈(200)의 건조유로(220)로 유입된 습한공기가 따뜻하고 건조한 상태로 모듈 내부로 배출된다.When the humidity of the module inlet 26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set humidity, the controller 400 operates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30 is operated, humid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nnel 220 of the module 200 is discharged into the module in a warm and dry state.

10 : 세면대 하부장 20 : 세면대
30 : 하우징 100 : 모듈케이스
200 : 모듈 210 : 건조장치
220 : 건조유로 230 : 열전모듈
260 : 모듈흡입구 270 : 모듈배출구
280 : 내부배출구 300 : 공조모듈
314 : 공조모듈히터
10: Washbasin bottom 20: Washbasin
30: Housing 100: Module case
200: Module 210: Drying device
220: drying duct 230: thermoelectric module
260: module inlet port 270: module outlet port
280: internal exhaust port 300: air conditioning module
314: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Claims (18)

상부에 세면대가 배치되고, 하부에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수납되는 모듈에 있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모듈 내부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열전모듈이 배치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모듈.
A module housed in a lower part of a washstand including a washstand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housing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drying device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externally sucked air and discharging the moisture to a space inside the module is disp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에는 상기 열전모듈을 따라 건조유로가 형성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y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drying channel along the thermoelectric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전류가 흐를 때, 냉각되는 냉각부와 가열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에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를 따라 건조유로가 형성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cooling part to be cooled and a heating part to be heated when a current flows,
Wherein the drying device has a drying channel formed along the cooling section and the heating s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핀과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핀과 열결되며,
상기 흡열핀과 상기 방열핀은 상기 건조유로 상에 배치되는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section is connected to a heat absorbing fin for absorbing heat,
The heating unit is thermally connected to the heat radiating fin,
Wherein the heat absorbing fin and the radiating fin are disposed on the drying flow pat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핀과 상기 방열핀은, 상기 건조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열핀을 통과한 후, 상기 방열핀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t absorbing fin and the radiating fin are arrang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nnel passes through the heat absorbing fi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radiating f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로는 흡입된 공기가 상승하는 상승유로와;
상기 상승유로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승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하강하는 하강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상승유로와 상기 하강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ying channel includes a rising channel in which the inhaled air rises;
And a downflow channel disposed adjacent to the upflow channel and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upflow channel descends,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posed between the rising channel and the falling chan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상승유로에는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부와 연결되는 흡열핀이 배치되고,
상기 하강유로에는 상기 가열부와 연결되는 방열핀이 배치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hermoelectric module
A heat absorbing fin connected to a cool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disposed in the rising passage,
And a radiating fin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is disposed in the downflow chan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로는 상기 상승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하강유로로 유도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ying passage includes a curved portion that guid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ising passage to the falling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유로 내부로 공기의 흡입을 유도하는 팬을 포함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ying device includes a fan for inducing the suction of air into the drying channel.
급수밸브와 물을 담는 세면보올이 구비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모듈 내부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열전모듈이 배치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Wash basin with water valve and water bowl;
A housing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shstand and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nd at least one module housed in the housing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operated,
Wherein the module includes a drying device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externally sucked air and discharging the moisture to a space inside the module is dispos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전류가 흐를 때, 냉각되는 냉각부와 가열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에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를 따라 건조유로가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cooling part to be cooled and a heating part to be heated when a current flows,
Wherein the drying device has a drying channel formed along the cooling part and the heating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핀과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핀과 열결되며,
상기 흡열핀과 상기 방열핀은, 상기 건조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열핀을 통과한 후, 상기 방열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oling section is connected to a heat absorbing fin for absorbing heat,
The heating unit is thermally connected to the heat radiating fin,
Wherein the heat absorbing fin and the radiating fin are arrang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nnel passes through the heat absorbing fi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radiating fi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모듈과 연통하는 연결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module for flowing air to the module,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as a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odu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연통홀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of air to the communication ho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공조모듈히터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that heats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 1 습도감지부;
상기 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 2 습도감지부;
상기 제 1 및 제 2 습도감지부로 감지된 습도와 설정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열전모듈의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humidity sensing unit for sensing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A second humidity sensing unit for sensing humidity of air sucked into the module;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humidity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humidity sensors with the set humidity to operate the thermoelectric module.
공조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1 설정습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조모듈 내의 공조모듈히터가 작동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조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1 설정습도 이상이고, 상기 공조모듈히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모듈 내부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의 제어방법.
Determining whether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irst set humidity;
Determining whether an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i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s operating;
And opera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disposed inside the module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humidity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is not operated.
제 18 항에 있어서,
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2 설정습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공조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1 설정습도 이상이고, 상기 공조모듈히터가 작동하며, 상기 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제 2 설정습도 이상일 때, 모듈 내부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Determining whether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modu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cond set humidity; And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ing modu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humidity and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to the modu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set humidity by operating the air conditioning module heater, Said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60133440A 2016-10-14 2016-10-14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KR102484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40A KR102484780B1 (en) 2016-10-14 2016-10-14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40A KR102484780B1 (en) 2016-10-14 2016-10-14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378A true KR20180041378A (en) 2018-04-24
KR102484780B1 KR102484780B1 (en) 2023-01-04

Family

ID=6208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440A KR102484780B1 (en) 2016-10-14 2016-10-14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703A (en) * 2018-07-09 2018-12-07 佛山市煜升电子有限公司 Intelligent bathroom washbasin cabin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419A (en) * 1992-08-25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acility unit
JPH07241431A (en) * 1994-03-08 1995-09-19 Aisin Seiki Co Ltd Storeroom at suitable humidity
JPH11225837A (en) * 1998-02-18 1999-08-24 Sekisui House Ltd Systematized furniture
KR20000006366U (en) * 1998-09-15 2000-04-15 위승량 System sink
JP2004271053A (en) * 2003-03-10 2004-09-30 Hitachi Metals Trading Co Ltd Electronic warm/cold storage, and dressing table and washing st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419A (en) * 1992-08-25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acility unit
JPH07241431A (en) * 1994-03-08 1995-09-19 Aisin Seiki Co Ltd Storeroom at suitable humidity
JPH11225837A (en) * 1998-02-18 1999-08-24 Sekisui House Ltd Systematized furniture
KR20000006366U (en) * 1998-09-15 2000-04-15 위승량 System sink
JP2004271053A (en) * 2003-03-10 2004-09-30 Hitachi Metals Trading Co Ltd Electronic warm/cold storage, and dressing table and washing stan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703A (en) * 2018-07-09 2018-12-07 佛山市煜升电子有限公司 Intelligent bathroom washbasin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80B1 (en)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8B1 (en) Washstand Furniture
CN108567356B (en) Under-counter of wash-stand
US10591211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677526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648733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663225B2 (en) Washstand furniture
KR102484780B1 (en)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US10677527B2 (en) Washstand furniture
US10648732B2 (en) Washstand furniture
KR102484777B1 (en) Washstand Furniture
KR102131049B1 (en) Dehumidifi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CN219895039U (en) Clothes cabinet
KR102290981B1 (en) Washstand Furniture
KR102249789B1 (en) Washstand Furniture
US20130133133A1 (en) Control column for turkish bath
KR20180067876A (en) Bathroom management system
KR20180102956A (en) Washstand Furniture
KR20180102953A (en) Washstand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