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009A - 서지보호기 - Google Patents

서지보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009A
KR20180041009A KR1020160133081A KR20160133081A KR20180041009A KR 20180041009 A KR20180041009 A KR 20180041009A KR 1020160133081 A KR1020160133081 A KR 1020160133081A KR 20160133081 A KR20160133081 A KR 20160133081A KR 20180041009 A KR20180041009 A KR 2018004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connection direction
surge protec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009A/ko
Publication of KR2018004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4Hou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역방향 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지보호기는 수용부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와,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수용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되는 MOV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지보호기{SURG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서지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지보호기의 조립 및 교체 사용 시 본체와 MOV 간의 역방향 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제품 및 시스템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속도증가, 집적회로의 집적도 증가 및 동작전압이 낮아짐에 따라 시스템과 기기들의 환경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서지전압의 유입, 노이즈의 발생, 전압의 불안정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서지 전압의 유입은 단순히 시스템의 마비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을 파괴시켜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므로, 고가의 장비와 시스템을 서지 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장치의 설치는 필수적이다.
서지보호기(Surge Protective Device, SPD)는 과도한 전압과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장치로서, 간략히 SPD 또는 TVSS(Tr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or)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서지보호기는 전력계통에 서지 전류가 들어올 때, 전류가 부하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지보호기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부하에서 과도한 전압상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호하며, 이를 위해 보호소자를 포함한다.
보호소자는 동작전압 이하에서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지만, 반대로 동작전압을 초과하면 급격히 임피던스가 낮아져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서지보호기는 형태 및 구조상의 차이에 따라 박스 타입(Box type)과 딘레일 타입(Din-rail type)으로 대별된다.
그 중에서, 딘레일 타입 서지보호기는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서지(serge)를 흡수 및 완화시키는데, 정해진 용량만큼의 능력을 발휘하고 나면 교체 사용된다. 이때, 서지보호기 전체가 교체되는 것이 아니라 서지보호기의 본체는 남겨두고 MOV (Metal Oxide Varistor)만이 교체된다.
도 1은 종래의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서지보호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서지보호기(1)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서지보호기(1)의 본체(10)와, 본체(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MOV(이하, 'MOV조립체'라 함)(2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에는 MOV조립체(20)가 결합되기 위한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이 수용부(11)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13, 15)이 형성된다.
그리고 MOV조립체(20)의 양측에는 본체(10)의 수용부(11)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13, 15)을 따라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23, 2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13, 15)과 가이드 돌기(23, 25) 각각은 외부의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본체(10)와 MOV조립체(20)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처럼, 서지보호기(1)는 본체(10)와 MOV조립체(20)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필요한 경우마다 MOV조립체(2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서지보호기(1)는 본체(10)에 구비된 가이드 홈(13, 15)과 MOV조립체(20)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23, 25) 각각이 서로 역방향으로도 접속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가이드 홈(13, 15)과 가이드 돌기(23, 25) 각각은 서로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었기에 작업자가 강제로 큰 힘을 무리하게 줄 경우 본체(10)와 MOV조립체(20)가 역방향으로도 접속될 우려가 따랐다. 그 결과 사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11-0000877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탈착기구를 구비한 서지보호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지보호기의 조립 및 교체 사용 시 본체와 MOV(즉, MOV 조립체) 간의 역방향 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MOV(즉, MOV 조립체) 간의 역방향 접속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MOV조립체;를 포함하는 서지보호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 상에는 접속방향 확인 홈이 구비되고, 상기 MOV조립체는, 상기 본체와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 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접속방향 확인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좌우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좌우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 각각은, 삼각형, 사다리꼴, 부채꼴, 화살표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좌우 비대칭 구조로서 MOV조립체와 본체가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 시에만 접속방향 확인 홈에 접속방향 확인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와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MOV조립체가 상기 본체에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가 상기 접속 방향 확인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비해 단면적이 확장된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보다 단면적이 확장된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호형 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호형 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의 양측으로 제1 가이드 홈과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MOV조립체;를 포함하는 서지보호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 상에는 접속방향 확인 홈이 구비되고, 상기 MOV조립체는, 상기 본체와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 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접속방향 확인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좌우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좌우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 각각은, 삼각형, 사다리꼴, 부채꼴, 화살표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MOV조립체가 상기 본체에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가 상기 접속 방향 확인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서지보호기에 의하면, 조립 및 교체 사용 시 본체와 MOV(즉, MOV 조립체) 간의 역방향 접속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또는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주어 무리하게 역방향으로 접속시키려 할 경우에도 절대로 역방향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서지보호기에 의하면 본체와 MOV(즉, MOV 조립체) 간의 역방향 접속을 구조적으로 방지함에 따라, 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 중 본체만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서지보호기(Surge Protective Device, SPD)는 과도전압과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장치로서, SPD 또는 TVSS(Tr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or)라고 불리며, SPD와 TVSS는 상호 호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서지보호기는 전력계통에 서지 전류가 들어올 때, 전류가 부하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지보호기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부하에서 과도한 전압상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호하며, 이를 위해 보호소자를 포함한다.
보호소자는 동작전압 이하에서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갖고 있어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동작전압 이상에서는 급격히 임피던스가 낮아져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자이다.
일반적으로, 서지보호기는 형태 및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박스 타입(Box type)과 딘레일 타입(Din-rail type)으로 나누어 진다. 그 중 딘레일 타입은 계속해서 발생되는 서지(serge)를 흡수 및 완화하여, 해당 용량만큼 능력을 발휘하고 나면 교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서지보호기는, 서지보호기 본체와 서지보호소자(즉, MOV)(이하, 'MOV조립체'라 함) 모두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MOV조립체만을 교체하는 딘레일 타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 중 본체만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정해진 방향으로만 결합되는(즉, 역방향 접속이 방지되는) MOV조립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수용부(111)를 구비하는데, 이 수용부(111)는 MOV조립체(120)가 삽입되어 본체(110)와 결합되는 공간을 말한다.
이에 따라, 수용부(111)는 MOV조립체(120)의 외형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체(110)에 형성된 수용부(111)의 양측(더 구체적으로는 양측 면)에는 제1 가이드 홈(113)과 제2 가이드 홈(11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13)과 제2 가이드 홈(115)은 MOV조립체(120)의 접속 방향, 즉 결합 방향을 올바르게 안내해 주며, MOV조립체(120)의 역방향 접속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가이드 홈(113)과 제2 가이드 홈(1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의 형상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나 각각의 단면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같은 단면 크기의 차이는 육안을 통해 구분 가능한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이는 MOV조립체(120)를 본체(110)에 결합하기에 앞서 작업자의 육안으로 결합 방향을 미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홈(113)의 폭(W1) 크기에 비해 제2 가이드 홈(115)의 폭(W2)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차이로 더욱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홈(113)을 통해서는 MOV조립체(120)의 제1 가이드 돌기(123)만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홈(113)보다 큰 제2 가이드 홈(115)을 통해서는 제1 가이드 돌기(123)보다 큰 제2 가이드 돌기(125)만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0)와 MOV조립체(120)의 결합이 정해진 방향으로만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MOV조립체(120)의 역방향 결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MOV조립체(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11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123)와, 제2 가이드 홈(115)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돌기(12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MOV조립체(120)는 수용부(111)를 통해 본체(110)에 정해진 방향으로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무리 작업자가 과도하게 큰 힘을 발휘하더라도 무리하게 MOV조립체(120)를 본체(110)에 대해 역방향으로 끼워 넣을 수 없게 되며, 역방향 접속에 따른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수용부(111)의 바닥 상에는 접속방향 확인 홈(1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MOV조립체(120)에도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수용부(111) 바닥 상에는 접속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이 구비되며, MOV조립체(120)에도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 도 5 참조)가 구비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시된 접속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과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 도 5 참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구조, 즉 좌우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본체(110)와 MOV조립체(120) 간의 접속이 정방향으로만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만일 본체(110)에 대하여 MOV조립체(120)가 역방향으로 접속 시 서로 간의 결합이 불가능하도록 해준다.
예컨대, 접속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과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 도 5 참조)는 서로 결합 가능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이 좋은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결합 가능한 삼각형, 부채꼴, 화살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을 통해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접속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은 수용부(111)의 바닥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즉,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 도 5 참조)는 접속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MOV조립체(120)가 본체(110)에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만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 도 5 참조)가 접속 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10)의 제1 가이드 홈(113)을 통해서는 MOV조립체(120)의 제1 가이드 돌기(123)만이 결합되고, 제2 가이드 홈(115)을 통해서는 제2 가이드 돌기(125)만이 결합된다.
이와 함께 본체(110)에 MOV조립체(120)가 정방향으로 접속될 경우에만 본체(110)의 접속방향 확인 홈(117, 도 6 참조)에 MOV조립체(120)의 접속방향 확인 돌기(127, 도 5 참조)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110)에 대해 MOV조립체(120)가 정방향으로 접속하여 결합되는 것만이 허용되며, 아무리 큰 힘을 가하여 무리하게 MOV조립체(120)를 역방향으로 접속하려 하여도 구조적인 형상 탓에 역방향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가이드 홈(113)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에 대응하여 제1 가이드 돌기(123)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2 가이드 홈(115)은 제1 가이드 홈(113)에 비해 단면적이 확장된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2 가이드 돌기(125)는 제2 가이드 홈(115)에 대응하여 제1 가이드 돌기(123)보다 단면적이 확장된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서지보호기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100)의 본체(11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홈(113)과 제2 가이드 홈(115)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가이드 홈(113)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또는 유사)할 수 있는 반면, 제2 가이드 홈(115)은 복수 개의 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MOV조립체(120)의 제1 가이드 돌기(123)는 제1 가이드 홈(113)에 결합 가능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제2 가이드 돌기(125)는 제2 가이드 홈(115)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돌기(125a, 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가이드 홈(113, 115) 및 제1, 2 가이드 돌기(123, 125)의 형상적인 차이에 따라, 본체(110)에 대해 MOV조립체(120)가 정방향으로 접속하여 결합되는 것만이 허용되며, 역방향 접속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100)의 본체(11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홈(113)과 제2 가이드 홈(115)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가이드 홈(113)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또는 유사)할 수 있는 반면, 제2 가이드 홈(115)은 라운드 진 호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113)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가이드 돌기(123)는 제1 가이드 홈(113)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제2 가이드 홈(115)은 호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돌기(125)는 제2 가이드 홈(115)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한 형상, 즉 호형 단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MOV조립체(120)의 제1 가이드 돌기(123)는 제1 가이드 홈(113)을 통해서만 결합 가능하며, 호형 단면 형상의 제2 가이드 돌기(125)는 이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 홈(115)을 통해서만 결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제1, 2 가이드 홈(113, 115) 및 제1, 2 가이드 돌기(123, 125)의 형상적인 차이에 따라, 본체(110)에 대해 MOV조립체(120)가 정방향으로 접속하여 결합되는 것만이 허용되며, 역방향 접속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본체(110)와 MOV조립체(120) 간의 접속 전에 육안을 통해 접속 방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서지보호기의 조립 및 교체 사용 시 본체와 MOV(즉, MOV 조립체) 간의 역방향 접속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또는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주어 무리하게 역방향으로 접속시키려 할 경우에도 절대로 역방향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체와 MOV(즉, MOV 조립체) 간의 역방향 접속을 구조적으로 방지함에 따라, 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서지보호기
110: 본체
111: 수용부
113: 제1 가이드 홈
115: 제2 가이드 홈
117: 접속방향 확인 홈
120: MOV조립체
123: 제1 가이드 돌기
125: 제2 가이드 돌기
127: 접속방향 확인 돌기

Claims (12)

  1. 수용부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MOV조립체;
    를 포함하는 서지보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 상에는 접속방향 확인 홈이 구비되고,
    상기 MOV조립체는,
    상기 본체와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 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접속방향 확인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좌우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좌우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 각각은,
    삼각형, 사다리꼴, 부채꼴, 화살표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MOV조립체가 상기 본체에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가 상기 접속 방향 확인 홈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비해 단면적이 확장된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보다 단면적이 확장된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호형 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호형 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8. 수용부의 양측으로 제1 가이드 홈과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MOV조립체;
    를 포함하는 서지보호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 상에는 접속방향 확인 홈이 구비되고,
    상기 MOV조립체는,
    상기 본체와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 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접속방향 확인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좌우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좌우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 및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 각각은,
    삼각형, 사다리꼴, 부채꼴, 화살표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는 상기 접속방향 확인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MOV조립체가 상기 본체에 정해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접속방향 확인 돌기가 상기 접속 방향 확인 홈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KR1020160133081A 2016-10-13 2016-10-13 서지보호기 KR20180041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081A KR20180041009A (ko) 2016-10-13 2016-10-13 서지보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081A KR20180041009A (ko) 2016-10-13 2016-10-13 서지보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09A true KR20180041009A (ko) 2018-04-23

Family

ID=6208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081A KR20180041009A (ko) 2016-10-13 2016-10-13 서지보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0185A1 (zh) * 2020-11-11 2022-05-19 厦门赛尔特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结构的电涌保护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0185A1 (zh) * 2020-11-11 2022-05-19 厦门赛尔特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结构的电涌保护器
EP4170831A4 (en) * 2020-11-11 2024-03-27 Xiamen Set Electronics Co Ltd SURGE PROTECTION DEVICE WITH ANTI-FAL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9602B1 (en) Pluggable metal oxide surge arrester
ITTO20070048A1 (it) Porta-spazzole per una macchina elettrica a collettore, in particolare per un motore a corrente continua.
JP2006502687A (ja) 電圧サージ保護装置
KR20030044912A (ko) 전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CN104078940A (zh) 一种二次电源系统和供电设备
US20130271890A1 (en) Compact tr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ion device
KR20180041009A (ko) 서지보호기
CN102447251B (zh) 保护装置
KR101277321B1 (ko) 통신용 서지보호기
KR102096069B1 (ko) 접속 단자
KR102129250B1 (ko) 무중단 서지 보호기
CN102570389B (zh) 一种万用电表高压误测保护方法及万用电表
KR101243241B1 (ko) 바리스터를 보호하는 서지보호기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CN107564780A (zh) 一种防潮防湿带有机械联锁保护装置的塑壳断路器
CN211929762U (zh) 一种二次设备接口
CN114902356A (zh) 用于短路电流保护的快速激活热熔断器
KR101783694B1 (ko) 서지 보호장치
KR200490842Y1 (ko) 서지 보호기의 실장 구조
EP2793341A1 (en) System for prevention of and protection against fire due to fuse misuse
AU2019100388A4 (en) Protection circuit
KR101768606B1 (ko) 신호용 접속단자 서지보호기
US984271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train relief assembly therefor
JP5934754B2 (ja) 二本の導電ストリップによって複数の二次電池を並列接続して構成される集合電池
KR20160002466U (ko) 서지보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