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823A -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823A
KR20180040823A KR1020160132590A KR20160132590A KR20180040823A KR 20180040823 A KR20180040823 A KR 20180040823A KR 1020160132590 A KR1020160132590 A KR 1020160132590A KR 20160132590 A KR20160132590 A KR 20160132590A KR 20180040823 A KR20180040823 A KR 2018004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nvas
wall
fine dus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694B1 (ko
Inventor
방규열
Original Assignee
방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규열 filed Critical 방규열
Priority to KR102016013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94B1/ko
Priority to CN201710941267.4A priority patent/CN107930299B/zh
Publication of KR2018004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 등에 캔버스를 풍선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설치한 후 캔버스에 물을 흐르도록 공급하여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캔버스에 흡착 및 공급되는 물과 같이 하부로 흐르도록 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건물의 표면에 캔버스를 설치하거나 물만을 건물의 표면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들에 매달아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상에 로프로 고정된 캔버스를 매다는 풍선(1a);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1b); 물의 자동분배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구통로(1c-1), 물의 자동분배기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통하는 내부통로(1c-2), 물의 자동분배기에서 외부의 파이프(1g)로 배출되는 외부통로(1c-3), 캔버스가 경사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추(1c-4), 추(1c-4)의 끝단에 부착되어 2개중 1개의 물의 통로(1c-2 or 1c-2c')를 차단하는 패킹(1c-5)으로 이루어져 캔버스가 경사되는 반대방향으로 물 흐름의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1c); 풍선(1a)과 지면(1j)을 연결하는 로프(1d); 지상의 펌프(1i)에서 물 자동분배기(1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1e); 캔버스(1b)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캔버스(1b)의 표면에 횡 방향으로 설치하여 물의 흘러내림을 지연시키면서 물이 중앙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물 받침 턱(1f); 캔버스(1b)의 최상부에서 그 양끝단까지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1g); 로프(1d,1d')들을 횡 방향으로 고정하는 로프(1h); 캔버스(1b)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는 지상의 펌프(1i); 풍선(1a)에 연결된 로프(1d)가 지표면에 고정되는 지점(1j); 캔버스(1b)의 최상단에 설치된 파이프(1g)에서 물을 배출하는 구멍(1k); 풍선(1a)과 캔버스(1b)가 바람에 의해 과도하게 경사되는 것을 잡아 주는 로프(1m); 로프(1m)를 지표면(1p)에 고정되는 지점(1n); 지표면(1p)의 경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FINE PARTICLE COLLECTED DEVIC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심 등에 캔버스를 풍선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설치한 후 캔버스에 물을 흐르도록 공급하여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캔버스에 흡착시켜 공급되는 물과 같이 하부로 흐르도록 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건물의 표면에 설치된 캔버스의 표면 또는 구조물의 표면 또는 건물 표면 각각에 물을 공급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될 수 있도록 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안가에는 오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예전에는 해안가에 폐결핵환자의 요양병원들이 있었지만, 공기 중의 높은 습도가 폐의 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이 판명된 이후에는 해안가는 내륙보다 습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안개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해안가에서 폐결핵환자의 요양 병원들이 사라지게 되었다.
안개는 지표면과 수면에서 증발하는 수분입자들과 대기 사이에 온도차이가 어느 정도 있을 경우 발생하며, 대기 중에 수분입자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매개체들이 많을수록 안개는 쉽게 형성된다.
대기오염을 발생시키는 생산시설들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미세먼지의 발생량도 점점 증가하게 되었으므로 지금부터 수십 년 전까지는 대기 중에 미세먼지의 농도가 그렇게 높지 않았기 때문에 안개는 주로 봄철에 발생했었지만, 언제부터인가 미세먼지들이 많이 포함된 안개가 스모그(Smog)란 이름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겨울철에도 자주 발생한다.
중국의 도시들은 평소에도 미세먼지의 농도가 매우 높고, 특히 겨울철에는 강수량이 적기 때문에 난방장치의 가동으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대기오염의 농도가 점점 증가해도 사람들은 숨쉬기조차 불편한 환경 속에서 단지 견디면서 살아가야만하기 하기 때문에 때로는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깊어가는 병마 속으로 점점 빠져들 수도 있겠다는 상황을 점점 인식하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들도 대기오염의 농도가 중국의 정도는 아니지만, 미세먼지의 농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때로는 숨쉬기 약간 불편할 정도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다소 높은 경우가 점점 자주 발생하고 있다.
공기 중의 순수한 수분도 조금만 과도해도 폐의 건강에 좋지 않은데, 사람들은 지금 스모그 속에 포함된 많은 수분의 입자들과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들까지 마시면서 살아가므로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할 수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세계 각국들은 급속히 증가하는 대기오염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공감하게 되어 "2015년 파리 기후협약”을 체결했었지만, 완전한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자국의 산업경쟁력을 위해 협약준수에 미온적일 수도 있다.
세계의 중심이라 자부하는 중국이 강제성이 없는 "2015년 파리 기후협약”을 소극적으로 대응하면, 대기오염의 농도는 점점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중국의 도시들은 주간에도 짙은 스모그 때문에 하늘과 태양을 점점 볼 수 없게 되고, 언젠가는 비가 전혀 내리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공기 중의 습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스모그 속에 포함된 많은 수분의 입자들이 건물 벽면에 물방울들로 메쳐 물이 되어 계속 흘러내리는 공기가 극도로 오염된 상상 속에 미래의 도시들이 될 수도 있다.
지금 세계 각국들은 자국의 대기오염이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중국의 사례를 보면서 대기오염을 발생시키는 모든 시설들의 배출기준을 더욱더 강화해야 한다고 인식은 하고 있지만,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많은 미세 먼지들을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하지 않으면, 대기환경은 결코 개선될 수 없다는 엄연한 사실은 심각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대기오염이 심각해질수록 경쟁력이 있는 상품들을 점점 생산할 수 없게 되고, 국민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게 되지만, 중국정부는 초대형 국제행사가 있을 때마다 안일하게 일시적으로 모든 생산시설들의 가동중단과 대중교통의 운행중단이 전부이다.
그러나 중국의 정부당국자는 지금까지 대기 중의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는 대책을 전혀 세우지 못했기 때문에 매우 당황스러운 상황에 있다.
중국은 G2 국가로서 "2015년 파리 기후협약”을 모범적으로 준수해야 할 의무도 있고, 미세먼지들을 발생시키는 모든 오염발생원들을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지만, 천문학적인 비용과 국가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므로 매우 큰 부담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지금 당장 시작해도 대기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되는 십 수 년 동안 국민들은 심각하게 오염된 환경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또한, 세계 각국들도 대기오염의 농도가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대기환경이 중국처럼 되지 않도록 대기오염원의 배출기준은 지금보다 더욱더 강화할 필요성은 당연히 알고 있겠지만,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해야 대기환경이 근본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은 명심해야 한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이 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먼지들은 물론 수용성 유해 가스를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함으로써 지구의 환경과 생태계를 예전처럼 복원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경제적이면서도 가장 효과적으로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먼지들은 물론 수용성 유해가스와 분말과 같은 황사까지 직접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특허를 출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미세먼지들을 공장들의 폐수와 비교해 보면, 배출기준에 따라 정화된 공장들의 폐수가 하수종말처리장도 없는 강으로 흘러가게 되면 강은 당연히 오염될 수밖에 없는 산업화된 시대인데, 심각하게 오염된 강을 보면서 경악만 할 뿐 강의 수질개선을 위해 하수종말처리장의 건설계획과 같은 적극적인 확실한 대책도 없으면서 공장들의 폐수 배출기준을 더욱더 강화되면, 강의 오염문제가 자동으로 해결되라 막연히 기대하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로 대기 중에 미세먼지들의 농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자연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은 오래전에 한계를 초과했다.
특히 여름철에 비가 자주 내려 미세먼지들이 비와 함께 완전히 사라졌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미세먼지들이 비와 함께 물속으로 사라지거나 나무숲들에 의해 자연적으로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고, 지표면에 쌓여진 미세먼지들은 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대기 중으로 다시 유입되므로 또 다른 미세먼지의 발생원이 된다.
바람이 불어 미세먼지들이 시야에서 사라졌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풍선효과에 의해 이동된 각 지역들에서 미세먼지의 농도를 증가시킬 뿐 대기 중에 미세먼지 농도의 총량에는 별로 변함이 없고, 모든 지역들에서 미세먼지의 기본적인 농도는 점점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기오염의 발생원들인 공장과 자동차 등의 배출기준을 더욱더 강화할수록 대기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될 수는 있지만,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미세먼지들을 자연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나무의 숲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므로 미세먼지의 발생량이 소멸되는 량보다 매우 많기 때문에 한번 배출되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지 않고서는 대기환경은 결코 개선될 수 없다.
그러므로 강의 수질개선을 위해 공장들의 폐수배출기준을 강화해도 기준을 초과할 수 있는 공장들의 폐수들을 모두 모아 다시 한 번 정화하기 위해 하수종말처리장을 설치하듯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모두 모아 다시 한 번 직접 제거할 수 있는 강의 하수종말처리장과 같은 미세먼지의 종말처리시설들을 대기 중에 설치해야 미세먼지들을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오염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많은 미세 먼지들을 직접 제거하기 위해 수많은 공기 청정기들을 설치하여 가동하면 되겠지만, 미세먼지들은 강물이 흘러가는 강과 같은 통로가 없기 때문에 바람 따라 넓게 확산되고, 미세먼지의 분포범위가 너무나 광범위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의 문제와 운영과정에서 파생되는 환경공해의 문제가 있으므로 실용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인공강우는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주변대기의 수분함량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사용은 불가능하므로 최소의 비용으로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한다.
예전에 식당 안에서 날아다니는 작은 벌레들을 인체에 해로운 살충제로 제거할 수 없었기 때문에 끈적끈적한 액체를 바른 긴 종이들을 식당의 천정에 매달아놓아 제거했다.
그러므로 구조물 표면에 끈적끈적한 액체를 바르게 되면, 공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작은 벌레들처럼 구조물 표면에 스스로 접촉되는 동시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는 있지만, 끈적끈적한 액체는 증발작용 때문에 흡착력이 점점 저하되므로 흡착력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생명력이 있는 작은 벌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표면에 끈적끈적한 액체가 필요하지만, 생명력이 없는 미세먼지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액체의 점도가 보다 낮은 물로서도 충분하다.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은 건조한 구조물의 표면에서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그냥 스쳐 지나가는 반면 구조물의 표면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있으면, 흘러내리는 물은 인공적인 촉매제로서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구조물의 표면에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도록 촉진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미세먼지들은 물론 수용성 유해 가스와 분말과 같은 황사까지 직접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각 지역들마다 구조물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을 수 있는 장치들을 각각 설치하고, 일정기준 최소의 바람이 불 때부터 일정기준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 때까지 구조물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게 되면, 물속에 설치된 정치어망의 그물에 물 고기떼들이 지나가면서 스스로 걸려들듯이 각 지역들마다 주변에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흘러가던 미세먼지들이 초기단계에서부터 스스로 접촉되는 동시에 흡착되므로 미세먼지들이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온도가 대기 중에 부유하는 수분입자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수분과 수분은 서로 뭉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인공적인 촉매제로서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수분의 입자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도록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안개와 스모그는 건조한 벽면에서는 옅은 습한 흔적을 남기면서 그냥 스쳐 지나가는 반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이 있는 벽면에서는 안개와 스모그 속에 포함된 수분의 입자들이 접촉과 동시에 쉽게 흡착되므로 안개와 스모그가 서서히 제거될 수 있다.
지금 대기 중에는 이미 많은 미세 먼지들이 존재해있고, 미세먼지가 소멸되는 양보다 발생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안개와 스모그가 점점 쉽게 발생될 수 있는 여건이 점점 증가되고 있다.
안개와 스모그가 형성된 장소는 이미 많은 미세 먼지들이 어느 정도 밀집되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장소이므로 미세먼지들을 대량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구조물의 표면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있어도 공기의 흐름이 정체된 상태에서는 안개와 스모그의 제거효과는 그 주변을 제외하고 매우 미미하다. 그러나 안개와 스모그는 언젠가 이동하므로 구조물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으면, 물 고기떼가 잠이 깨어 이동하면서 물속에 설치된 정치어망의 그물에 스스로 걸려들듯이 안개와 스모그 속에 포함된 수분입자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어 제거되므로 안개와 스모그는 서서히 사라지게 되고, 스모그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은 수분의 입자들과 함께 자동으로 제거된다.
안개와 스모그는 해가 뜨면서 기온의 상승으로 대기 중에 수분의 입자들이 증발하기 때문에 시야에서 사라져도 바람이 불지 않으면, 미세먼지들은 대기 중에 그대로 남아 시야를 흐리게 한다. 그러나 바람이 불지 않아 대기 중에 남아 있던 미세먼지들도 언젠가 바람이 불어 이동하므로 구조물의 표면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 있으면, 많은 미세 먼지들이 완전히 흩어지기 전에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먼지들이 대기 중으로 분출되어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초기단계에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각 지역들마다 구조물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게 할 수 있는 장치를 각각 설치하고, 일정기준 최소의 바람이 불 때부터 일정기준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 때까지 구조물의 표면을 항상 젖어있도록 하면,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은 물론 안개와 스모그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이 수분의 입자들과 함께 바람을 따라 흘러가면서 직접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중에 수분의 입자들이 적정수준을 초과할 때마다 흡착되어 제거되므로 안개와 스모그의 발생요인이 사전에 어느 정도 차단된다.
그러나 대기 중에 일정기준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면, 미세먼지들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의 안전상태가 위협을 받게 되므로 일정기준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철거해서 보관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바람이 불어 미세먼지들이 사라졌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풍선효과에 의해 이동된 지역에서 미세먼지의 농도를 증가시킬 뿐, 대기 중에 미세먼지의 총량에는 별로 변함이 없고, 미세먼지들이 소멸되는 양보다 발생량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대기 중에 미세먼지의 기본적인 농도는 점점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지표면에 쌓였던 미세먼지들이 대기 중으로 천천히 돌아오기 때문에 강수량이 적어지는 계절부터 미세먼지의 농도가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미세먼지들이 항상 물에 젖어있는 구조물의 표면으로 제거되는 방식과 동력 펌프로 물을 분사하는 공기청정기의 방식이 유사하다고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물고기의 어획방법에 있어 물 고기떼가 어망의 그물에 스스로 걸려들게 하는 방법이 있는 반면 물 고기떼와 바닷물을 함께 펌프로 강제로 흡입하는 방법이 있는 것처럼 미세먼지의 포획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전자의 방식은 넓은 간격의 그물에 고기의 아가미가 걸리게 하는 반면 후자의 방식은 촘촘한 그물도 아니며, 고기?窄? 바닷물과 함께 강제로 흡입하여 고기들을 잡는 것처럼 근본적인 차이가 있듯이 미세먼지들이 포획되는 과정에 있어 System적으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전자의 방식은 미세먼지들이 능동적으로 스스로 접촉되는 반면 후자의 방식은 강력한 펌프로 분사된 물에 미세먼지들이 수동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미세먼지의 접촉방법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어망의 그물로 고기의 어획방법에 있어서도 물속에 설치된 정치망의 그물을 지나가려던 물고기의 아가미가 스스로 걸리거나 촘촘한 그물에 물고기가 갇히게 하여 잡는 방법, 그물을 배로 끌고 다니면서 물고기를 잡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는 것처럼 미세 먼지의 제거하는데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이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2807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심 또는 도심 변두리 등에 캔버스를 풍선들에 메달아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설치한 후 캔버스의 표면에 물을 흘러내리도록 하여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캔버스의 표면에 흡착시켜 공급되는 물과 같이 하부로 흐르도록 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건물에 설치된 캔버스의 표면과 구조물의 표면 그리고 건물의 표면 각각에 물을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들에 매달아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상에 로프로 고정된 캔버스를 매다는 풍선(1a);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1b);
물의 자동분배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구통로(1c-1), 물의 자동분배기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통하는 내부통로(1c-2), 물의 자동분배기에서 외부의 파이프(1g)로 배출되는 외부통로(1c-3), 캔버스가 경사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추(1c-4), 추(1c-4)의 끝단에 부착되어 2개중 1개의 물의 통로(1c-2 or 1c-2c')를 차단하는 패킹(1c-5)으로 이루어져 캔버스가 경사되는 반대방향으로 물 흐름의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1c);
풍선(1a)과 지면(1j)을 연결하는 로프(1d);
지상의 펌프(1i)에서 물 자동분배기(1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1e);
캔버스(1b)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캔버스(1b)의 표면에 횡 방향으로 설치하여 물의 흘러내림을 지연시키면서 물이 중앙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물 받침 턱(1f);
캔버스(1b)의 최상부에서 그 양 끝단까지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1g);
로프(1d,1d')들을 횡 방향으로 고정하는 로프(1h);
캔버스(1b)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는 지상의 펌프(1i);
풍선(1a)에 연결된 로프(1d)가 지표면에 고정되는 지점(1j);
캔버스(1b)의 최상단에 설치된 파이프(1g)에서 물을 배출하는 구멍(1k);
풍선(1a)과 캔버스(1b)가 바람에 의해 과도하게 경사되는 것을 잡아 주는 로프(1m);
로프(1m)를 지표면(1p)에 고정되는 지점(1n);
지표면(1p)의 경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향에 따라 캔버스(1b)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되는 물 자동분배기(1c)의 내부에 설치된 추(1c-4)가 풍하 측으로 기울면서 추(1c-4)의 끝단에 부착된 패킹(1c-5)이 풍하 측 물의 내부통로(1c-2 or 1c-2')를 차단함과 동시에 풍상 측 물의 내부통로(1c-2 or 1c-2')를 개방하기 때문에 물은 풍상 측 외부통로(1c-3 or 1c-3')로 전달되도록 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물에 캔버스를 매달아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벽면에 매달린 캔버스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2a);
건물의 물탱크(2a)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2b);
건물의 벽면(2g)에 캔버스(2f)를 고정하는 지점(2c);
건물의 벽면(2g)과 캔버스(2f)의 상단을 연결하는 로프(2d);
캔버스(2f) 최상단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흘러내려 보내는 다수의 구멍들이 뚫려있는 파이프(2e);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2f);
건물의 벽면(2g);
캔버스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캔버스의 표면에 설치한 물 받침 턱(2h);
캔버스(2f)의 하단과 지표면을 연결하는 로프(2i);
로프(2i)를 지표면에 연결하는 지점(2j);
지표면의 경계선(2k);
캔버스(2f)를 높은 곳 벽면에 매다는 로프(2d)와 캔버스(2f) 상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2m);
지표면(2k)에 고정된 로프(2i)와 캔버스(2f) 하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2n)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담의 벽 또는 펜스의 양 측면에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을 설치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경계를 구분하는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a);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a)를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상단에서 물을 분배하는 파이프라인(3c);
펌프에서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3d);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3e);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 받침대(3f);
펌프(3e)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3g);
물 받침대(3f)에서 흘러내린 물을 회수하여 정수하는 물탱크(3h);
회수용 물탱크(3h)에서 정수과정을 거친 물을 펌프(3e)에 물을 공급 하는 물탱크(3g)로 연결하는 파이프라인(3i);
지표면의 경계선(3j)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물들의 벽면에 물 받침대를 설치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벽면(4a);
건물의 벽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b);
흘러내리는 물이 흩어져서 외부로 튀어나오기 전에 아래로 바로 흘러내리게 하는 물 받침대(4c);
흘러내리는 물을 단순이 모아 물탱크(4e)로 보내는 물 받침대(4d);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탱크(4e);
지표면의 경계선(4f);
물 받침대(4c)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물(4g);
물 받침대(4c)에 모인 물이 바로 아래로 흘러내려 보내는 물의 통로(4h);
물탱크(4b)에서 건물의 최상단의 물 받침대(4k)로 물을 보내는 파이프라인(4i));
건물의 최상층부의 물 받침대(4k) 내부에 양 끝단까지 횡 방향으로 설치된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들이 뚫려있는 파이프(4j);
하부에 설치된 물 받침대(4c)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내부에 횡 방향으로 파이프(4j)가 설치된 물 받침대(k)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도심 등에 캔버스를 풍선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설치한 후 캔버스에 물을 흐르도록 공급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미동하는 미세먼지들이 캔버스에 흡착 및 공급되는 물과 같이 하부로 흐르도록 하여 미세먼지를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건물의 표면에 캔버스를 설치하거나 물만을 건물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 ~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 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 ~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로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들에 매달아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제2 실시 예로 건물에 캔버스를 매달아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제3 실시 예로 담의 벽 또는 펜스의 양 측면에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을 설치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제4 실시 예로 벽면에 물 받침대를 설치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 예 :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들에 매달아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지상에 로프로 고정된 캔버스를 매다는 풍선(1a); 부유하는 미세먼지들을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1b); 물의 자동분배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구통로(1c-1), 물의 자동분배기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통하는 내부통로(1c-2), 물의 자동분배기에서 외부의 파이프(1g)로 배출되는 외부통로(1c-3), 캔버스가 경사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추(1c-4), 추(1c-4)의 끝단에 부착되어 2개중 1개의 물의 통로(1c-2 or 1c-2c')를 차단하는 패킹(1c-5)으로 이루어져 캔버스가 경사되는 반대방향으로 물 흐름의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1c); 풍선(1a)과 지면(1j)을 연결하는 로프(1d); 지상의 펌프(1i)에서 물 자동분배기(1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1e); 캔버스(1b)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캔버스(1b)의 표면에 횡 방향으로 설치하여 물의 흘러내림을 지연시키면서 물이 중앙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물 받침 턱(1f); 캔버스(1b)의 최상부에서 그 양끝단까지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1g); 로프(1d,1d')들을 횡 방향으로 고정하는 로프(1h); 캔버스(1b)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는 지상의 펌프(1i); 풍선(1a)에 연결된 로프(1d)가 지표면에 고정되는 지점(1j); 캔버스(1b)의 최상단에 설치된 파이프(1g)에서 물을 배출하는 구멍(1k); 풍선(1a)과 캔버스(1b)가 바람에 의해 과도하게 경사되는 것을 잡아 주는 로프(1m); 로프(1m)를 지표면(1p)에 고정되는 지점(1n); 지표면(1p)의 경계선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지표면(1p)의 연결지점(1j)에서 로프(1d,1d')로 다수의 풍선(1a,1a')들을 매달고, 그 풍선들(1a,1a')에 적당한 높이와 폭을 가진 캔버스(1b)를 펼치어 매달아 캔버스(1b)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 있도록 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한다.
지표면(1p)에 설치된 펌프(1i)에서 뽑아 올린 물은 파이프(1e)를 경유하여 캔버스(1b) 최상단에 설치된 물의 자동분배기(1c)의 입구(1c-1)를 통해 물의 자동분배기(1c) 내부로 유입된다.
풍향에 따라 캔버스(1b)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되는 물 자동분배기(1c)의 내부에 설치된 추(1c-4)가 풍하 측으로 기울면서 추(1c-4)의 끝단에 부착된 패킹(1c-5)이 풍하 측 물의 내부통로(1c-2 or 1c-2')를 차단함과 동시에 풍상 측 물의 내부통로(1c-2 or 1c-2')를 개방하기 때문에 물은 풍상 측 외부통로(1c-3 or 1c-3')로 전달된다.
풍상 측의 외부통로(1c-3 or 1c-3')를 통과한 물은 캔버스(1b) 최상단의 양 끝단까지 연결된 풍상 측 파이프(1g or 1g')와 파이프(1g or 1g')에서 캔버스(1b)로 향해 아래로 뚫린 다수의 구멍(1k or 1k')들을 통해 캔버스(1b)의 최상단으로 분출되어 캔버스(1b) 풍상 측의 표면을 따라 계속 흘러내리므로 캔버스(1b) 풍상 측의 표면이 물에 항상 젖어있게 되어 미세먼지들을 제거하게 된다.
로프(1d)는 풍선(1a)에 매달린 캔버스(1b)를 지표면(1p)에 고정하는 로프인 동시에 캔버스(1b)를 종 방향으로 잡아주는 로프이고, 로프 (1h)는 로프(1d)와 캔버스(1b)를 횡 방향으로 잡아주는 로프이다.
풍선에 매달린 캔버스(1b)는 바람에 의해 범선의 돛처럼 캔버스(1b)의 중앙이 종과 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유지되므로 캔버스(1b)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캔버스(1b)의 표면에 물 받침 턱(1f, 1f')들을 설치하여 물이 가급적 수평으로 넓게 퍼져 흘러내릴 수 있게 해야 한다.
파이프(1g,1g')들은 캔버스(1b)의 최상단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최상단에 위치한 물의 자동분배기(1c)를 통과한 물이 캔버스 (1b)의 최상단을 따라 양 끝단까지 물이 전달되는 파이프이며, 파이프(1g,1g')에서 캔버스를 향해 아래로 뚫린 다수의 구멍(1k,k')들이 뚫려 있다.
로프(1m)는 캔버스(1b)가 풍하 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지 않도록 잡아주는 로프이고, 지점(1n)는 로프(1m)가 지표면(1p)에 고정되는 지점이다.
캔버스(1b)의 최상층부에 위치한 물의 자동분배기(1c)에 연결된 2개의 작은 파이프(1g,1g')와 파이프(1g,1g')에서 캔버스 쪽을 항해 아래로 뚫린 다수의 구멍(1k,1k')들이 뚫려 있다.
캔버스를 감싸서 만든 긴 물 받침 턱(1f)이 캔버스(1b)의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을 흐르는 물과 미세먼지들이 포집되어 가급적 느리면서 횡 방향으로 널게 퍼져 흘러내려서 별도의 물탱크에 포집 된다.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에 매달게 되면, 주변의 비행물체들은 물론 구조물과 전선들과 접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미관상으로 주변의 환경을 혼란스럽게 하기 때문에 극히 제한된 까다로운 조건으로 허락된다.
그러나 지금은 대기오염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기환경을 개선할 수만 있다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장소에 완화된 조건들로 허락될 수 있도록 전향적으로 검토해야만 한다.
미세먼지들이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지상 약 10m 아래이고, 바람이 없을수록 미세먼지들이 점점 하강하고, 풍선에 매달린 물에 젖은 캔버스는 규모가 클수록 중량이 증가하므로 관리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캔버스의 규모는 가급적 대형화하지 않아야 한다.
적당한 높이와 폭을 가진 건조한 표면의 캔버스를 다수의 풍선에 매달아 대기 중에 펼쳐놓으면, 주변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그냥 스쳐지나가는 반면 캔버스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게 되면, 캔버스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인공적인 촉매제로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도록 촉진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미세먼지들은 물론 분말과 같은 황사와 수용성 유해 가스까지 직접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각 지역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구조물의 표면에 접촉과 동시에 흡착시켜 직접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역들마다 심각한 대기오염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일정기준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기 전에 풍선에 매달린 캔버스를 회수하여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안개와 스모그는 공기 흐름이 정체된 상황에서 형성되지만, 언제가 바람이 불어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가 이동을 시작하면서부터 안개와 스모그 속에 포함된 수분의 입자들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 있는 캔버스의 표면에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어 제거되므로 안개와 스모그가 사라지게 되고, 스모그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은 수분의 입자들과 함께 자동으로 제거된다.
풍선에 매달린 캔버스는 풍하 측으로 경사되므로 캔버스의 최상단에서 분출된 물이 풍하 측 아래로 바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캔버스의 최상단에서 분출된 물이 캔버스 풍상 측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캔버스가 경사되는 동시에 캔버스의 풍상 측으로 물 흐름의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물의 자동분배기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자동분배기는 캔버스와 같이 풍하 측으로 경사되므로 물의 자동분배기 내부에 설치된 추가 풍하 측 물의 내부통로를 차단하는 동시에 풍상 측 물의 내부통로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때문에 물의 자동분배기 내부통로를 통과한 물은 풍상 측 외부 파이프로 전달된다.
상기 파이프는 2개의 작은 파이프가 캔버스 최상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캔버스의 최상단을 따라 캔버스 양 끝단까지 설치된다. 물의 자동분배기 외부통로를 통과한 물은 연결된 2개의 작은 파이프 중에서 풍상 측 1개의 파이프를 통해 캔버스 최상단의 양 끝단까지 전달되고, 풍상 측 작은 파이프에 전달된 물은 파이프에서 캔버스 표면을 향해 비스듬히 아래로 뚫려있는 다수의 구멍들을 통해 캔버스 풍상 측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캔버스 풍상 측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게 된다.
풍선들에 매달린 캔버스는 바람에 의해 범선의 돛처럼 중앙부분이 종과 횡 방향으로 불룩해지므로 캔버스의 풍상 측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물의 흐름이 횡 방향으로 보다넓게 분산시킬 수 있는 물 받침 턱들을 설치해야 한다.
풍선에 캔버스를 매달아 설치하는 장소는 오염물질들을 많이 발생하는 공장들의 주변, 도심을 가로지르는 강과 하천의 주변, 매연이 많이 발생하는 대형 도로의 주변, 공항 활주로의 주변 등이 적합하다.
짙은 안개와 스모그가 자주 발생하거나 황사가 자주 불어오는 공항의 활주로주변에 설치하면, 대기 중에 과도하게 증가되는 수분입자들을 평소에 제거되기 때문에 안개와 스모그가 발생되는 여건들을 사전에 어느 정도 차단되며, 안개와 스모그는 물론 황사를 직접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되는 시정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므로 항공기의 운항지연이 최소화되고, 안전운항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해안가의 안개와 스모그는 하루에 4차례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는 조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해안가에 위치한 비행장 활주로의 주변에 풍선에 매달린 항상 물에 젖어있는 캔버스를 설치하면, 캔버스의 주변을 통과하는 안개와 스모그 속에 포함된 수분의 입자들이 항상 물에 젖어있는 캔버스의 표면에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안개와 스모그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안개와 스모그가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또한, 스모그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은 수분의 입자들과 함께 자동으로 제거된다.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에 매달아 설치할 경우 미관상으로 매우 좋지는 않겠지만, 대기오염을 빠른 시간 내 해결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기 때문에 심각해지고 있는 대기오염을 개선할 수만 있다면, 가능한 모든 방법들을 시도해야 하므로 캔버스의 표면에 풍경화와 같은 그림들을 인쇄할 경우 설치미술작품이 될 수 있고, 상업적인 광고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풍선들에 매달린 캔버스의 아래는 혼탁한 물이 계속 떨어지므로 사람들의 통행이 없어야 하고, 건물과 전선들과 접촉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제한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 아래에 흘러내리는 물은 구조적으로 회수의 어려움은 있겠지만, 미세먼지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미세먼지의 발생원이 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청결한 환경을 위해 가능한 경우에 제거해야 한다.
제2 실시 예 : 건물에 캔버스를 매달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제거장치는
건물의 벽면에 매달린 캔버스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2a); 건물의 물탱크(2a)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2b); 건물의 벽면(2g)에 캔버스(2f)를 고정하는 지점(2c); 건물의 벽면(2g)과 캔버스(2f)의 상단을 연결하는 로프(2d); 캔버스(2f) 최상단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흘러내려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에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된 파이프(2e);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2f); 건물의 벽면(2g); 캔버스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캔버스의 표면에 설치한 물 받침 턱(2h); 캔버스(2f)의 하단과 지표면을 연결하는 로프(2i); 로프(2i)를 지표면에 연결하는 지점(2j); 지표면의 경계선(2k); 캔버스(2f)를 높은 곳 벽면에 매다는 로프(2d)와 캔버스(2f) 상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2m); 지표면(2k)에 고정된 로프(2i)와 캔버스(2f) 하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2n)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캔버스(2f) 최상단의 양 끝단을 건물의 높은 벽면(2g)에 각각 설치하고, 캔버스(2f)의 최하단의 양 끝단을 건물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지표면(2k)에 고정했기 때문에 캔버스(2f)의 측면은 건물의 벽면(2g)에 비스듬히 기대어진 상태로 설치가 된다.
벽면(2g)에 비스듬히 기댄 캔버스(2f) 위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에 캔버스(2f) 위의 표면이 항상 젖어있게 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흡착시켜 제거하게 된다.
물탱크(2a)는 파이프(2b)를 경유하여 캔버스(2f) 최상단에 평행하게 설치된 파이프(2e)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이나 건물의 수도배관을 활용하지 못할 경우에만 설치한다.
지점(2c)는 캔버스(2f)의 최상단들을 건물에 고정되는 지점이며, 로프(2d)는 벽면(2g)과 캔버스(2f)의 최상단들을 연결하는 로프이다.
지점(2j)는 캔버스(2f)의 최 하단들을 지표면(2k)에 고정되는 지점이며, 로프(2i)는 캔버스(2f)의 최 하단들과 지표면을 연결하는 로프이다.
파이프(2e)는 또 다른 파이프(2b)를 통해 공급받은 물이 캔버스(2f) 최상단의 양 끝단까지 각각 전달되는 파이프이며, 파이프(2e)에서 캔버스의 표면을 향해 아래로 뚫려있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분출된 물이 캔버스(2f) 위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한다.
건물의 벽면(2g)과 지면(2k)에 각각 고정된 캔버스의 측면은 거의 직선상태 캔버스(2f)에 가깝지만, 캔버스(2f) 위의 표면을 따라 물이 계속 흘러내리게 되는 경우 물의 중량이 캔버스(2f)에 실리기 때문에 캔버스의 측면이 하부로 처진 캔버스(2f')의 모양이 된다.
캔버스(2f')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구조적으로 중앙으로 몰리게 됨으로 캔버스(2f') 위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보다 넓게 수평으로 확산되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물 받침 턱(2h)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점(2m)은 캔버스(2f)를 벽면에 매다는 로프(2d)와 캔버스(2f) 최상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이고, 지점(2n)는 지표면(2k)과 연결하는 로프(2i)와 캔버스(2f) 최하단의 양측 끝단이 연결되는 지점이다.
상기에 따라 도심에는 저속으로 운행하는 수많은 자동차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많은 매연과 미세먼지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많은 미세 먼지들이 유입된다.
그러나 높은 건물들로 인해 공기 흐름이 정체되기 때문에 항상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거주와 통행하는 도심에서 미세먼지들의 제거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
건물의 높은 곳 벽면에 캔버스의 상단부분의 양 끝단을 매달고, 캔버스의 하단부분의 양 끝단을 건물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지표면에 고정하면, 캔버스는 벽면에 비스듬히 매달린 상태가 된다.
캔버스 최상단에 공급된 물이 캔버스 최상단을 따라 양 끝단까지 연결된 파이프와 그 파이프 하단에 캔버스로 향해 아래로 뚫린 다수의 구멍들을 통해 분출되어 캔버스 위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면, 흘러내리는 물은 인공적인 촉매제로서 캔버스의 주변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 먼지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어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캔버스의 윗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대기 중에 과도하게 증가되는 수분의 입자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므로 캔버스의 주변에서 안개와 스모그의 발생여건이 사전에 어느 정도 차단된다.
그러므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각 지역들마다 미세먼지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일정한 최소의 바람이 불 때부터 일정한 최고의 바람이 불 때까지 건물에 비스듬히 매달린 캔버스의 윗면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있게 하는 장치들을 각각 설치하면, 대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들을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기 전에 캔버스는 회수하여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도심에서 캔버스를 상업광고용의 현수막으로 건물에 부착하기 위해 일정한 조건에 충족하여 신고하는 경우 허가된다.
그러나 캔버스 아래는 혼탁한 물이 계속 떨어지므로 사람들의 통행이 전혀 없거나 안전 통행이 보장되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미세먼지들이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지상의 높이는 약10m 정도이고, 바람이 약할 때는 미세 먼지들이 점점 하강하며, 물에 젖은 캔버스의 면적이 넓을수록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위기대응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캔버스의 규모는 굳이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
또한, 캔버스 위의 경사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물 받침 턱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에 매달린 캔버스의 아래는 혼탁한 물이 계속 떨어지므로 사람들의 통행이 가급적 없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 아래에 흘러내린 물은 구조적으로 회수의 어려움은 있겠지만, 미세먼지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미세먼지의 발생원이 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청결한 환경을 위해 가능한 경우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예 : 담의 벽 또는 펜스의 양 측면에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을 설치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경계를 구분하는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a);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a)를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상단에서 파이프라인(3c)의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어 물을 분배하는 파이프라인(3c); 펌프에서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3d);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3e);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 받침대(3f); 펌프(3e)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3g); 물 받침대(3f)에서 흘러내린 물을 회수하여 정수하는 물탱크(3h); 회수용 물탱크(3h)에서 정수과정을 거친 물을 펌프(3e)에 물을 공급 하는 물탱크(3g)로 연결하는 파이프라인(3i);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벽의 담 또는 펜스(3a)의 상부 면과 양 측면을 완전히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 최상부의 표면에서 계속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벽의 담 또는 펜스(3a)의 상부 면과 양 측면을 완전히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도록 하여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게 된다.
지하 물탱크(3g)에서 펌프(3e)로 뽑아 올린 물은 파이프(3d)와 담의 벽 또는 펜스(3a) 위에 설치된 파이프(3c)를 경유하고, 파이프(3c)의 하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뚫린 다수의 구멍들을 통하여 담의 벽 또는 펜스(3a)를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최상부에서 물을 계속 흘러내려 보내게 되면,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있게 되므로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표면과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므로 제거된다.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 표면에서 흘러내린 물은 물 받침대(3f)로 모아서 회수용 물의 저장탱크(3h)에서 정수하고, 정수된 물은 파이프(3i)를 경유하여 물탱크(3g)로 이동하여 재사용한다.
바람이 불지 않을수록 대기 중에 부유하던 미세먼지들이 담의 벽과 펜스(3a)의 주위에 쉽게 쌓이게 되고, 또한 예전에 부유하다가 지표면(3j)에 쌓여 있던 미세먼지들이 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또다시 지표면(3j)에 쌓이게 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담의 벽과 펜스(3a) 주위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항상 높기 때문에 이곳 주변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의 직접 제거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시에는 차도와 차도, 차도와 인도, 인도와 건물, 건물과 건물들 사이의 경계를 구분하는 많은 종류의 높고 낮은 담의 벽과 펜스의 양 측면이 건조한 상태에 있다면, 바람이 불어도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들은 그냥 스쳐 지나간다.
그러나 담의 벽과 펜스의 양 측면에 설치한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의 표면이 항상 물에 젖어 있으면, 물속에 정치어망의 그물에 물 고기떼들이 통과하지 못하여 스스로 포획되듯이 흘러내리는 물은 인공적인 촉매제로서 지표면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도록 촉진시키기 때문에 미세먼지와 매연들을 직접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증가되는 수분의 입자들이 확산되는 초기단계에서 부터 흡착시켜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주변에서 안개와 스모그의 발생요인이 사전에 어느 정도 저지된다.
그러므로 미세먼지와 매연들이 많이 발생하는 각 지역들의 담의 벽 또는 펜스의 양 측면에 부착된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의 표면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있게 되면, 각 지역들마다 미세먼지와 매연들이 확산되는 초기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담의 벽 또는 펜스의 양 측면에 부착된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한 방향으로 몰리지 않도록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에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물의 흐름을 수평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물 받침 턱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캔버스와 플라스틱판은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장소는 오염물질을 많이 발생하는 자동차들이 많이 주행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특히 자동차와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도심의 도로와 인도의 경계선에 설치하면, 물 고기떼들이 물속에 정치망의 그물을 통과하지 못하여 스스로 걸려들듯이 많은 양의 미세먼지와 매연들이 항상 물에 젖어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들의 경계선에서 많은 양들이 통과하지 못하여 흡착되기 때문에 확산되는 초기단계에서부터 직접 제거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와 매연의 제거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담의 벽과 펜스에 설치된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의 아래로 흘러내려서 모인 혼탁한 물은 미세먼지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미세먼지들의 발생원이 됨으로써 가능한 경우 배수로를 설치하여 제거해야 하며, 경제적일 경우에만 정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예: 건물들의 벽면에 물 받침대들을 설치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 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건물의 벽면(4a); 건물의 벽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b); 흘러내리는 물이 흩어져서 외부로 튀어나오기 전에 아래로 바로 흘러내리게 하는 물 받침대(4c); 흘러내리는 물을 단순이 모아 물탱크(4e)로 보내는 물 받침대(4d);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탱크(4e); 지표면의 경계선(4f); 물 받침대(4c)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물(4g); 물 받침대(4c)에 모인 물이 바로 아래로 흘러내려 보내는 물의 통로(4h);물탱크(4b)에서 건물의 최상단의 물 받침대(4k)로 물을 보내는 파이프라인(4i)); 건물의 최상층부의 물 받침대(4k) 내부에 양 끝단까지 횡 방향으로 설치된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들이 뚫려있는 파이프(4j); 하부에 설치된 물 받침대(4c)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내부에 횡 방향으로 파이프(4j)가 설치된 물 받침대(k)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4a)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있게 하여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게 된다.
건물의 최상부에서 벽면(4a)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탱크(4b)를 설치하고, 건물의 최상단에서 균일한 두께의 물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물 받침대(4k)를 설치하여 물을 흘러내려 보내면 건물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일정한 높이에서 물의 피막이 흩트리기 직전에 흘러내리는 물을 벽면에 모우면서 바로 아래로 흘러내려 보낼 수 있도록 물 받침대(4c)들을 설치한다.
그리고 건물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건물 아래에 모우는 물 받침대(4d)를 설치하여 물 받침대(4d)로 모운 물을 탱크(4e)에 보관하여 필요할 경우 재사용하도록 한다.
다수의 건물들이 있는 지역들은 높은 건물들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다소 정체되므로 높은 건물들이 없는 지역들보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 생활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들을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장소이다.
건물의 주변에서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은 건조한 벽면에서는 그냥 스치어지나가는 반면 벽면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 있으면, 흘러내리는 물은 인공적인 촉매제로서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접촉과 동시에 흡착되도록 촉진시키기 때문에 미세먼지들이 직접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각 지역들마다 건물의 벽면들이 흘러내리는 물에 항상 젖어 있으면, 건물의 주변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이 흘러내리는 물에 접촉과 동시에 흡착시켜 직접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역들마다 대기환경을 양호한 상태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이 정체되어 안개와 스모그가 형성되지만, 안개와 스모그는 언젠가 이동하므로 안개와 스모그 속에 포함된 수분의 입자들이 벽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에 흡착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안개와 스모그는 사라지게 되고, 스모그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은 수분의 입자들과 함께 자동으로 제거된다.
또한, 대기 중에 수분농도가 일정기준을 초과할 때마다 수분입자들을 제거함으로써 안개와 스모그의 발생요인이 사전에 어느 정도 저지된다.
그러나 건물의 최상단에서 균일한 두께의 물 피막을 형성하여 물을 계속 흘러내려 보내면, 흘러내리는 물은 물의 두께차이로 인해 벽면에 접촉되어 흘러 내림으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을 받는 물과 벽면에서 약간 떨어져서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을 받는 물의 낙하속도의 차이 때문에 일정한 높이 아래로 물이 흘러내리게 되면, 균일한 두께의 물 피막이 찢어지기 시작되고, 낙하거리가 길어질수록 물은 여러 방향으로 각각 몰리면서 외부로 점점 많이 튀어나오기 때문에 건물의 주변에 피해를 주게 된다.
그렇다고 물의 공급량이 증가해도 물에 젖어있는 면적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외부로 튀어나오는 물의 양만 증가하기 때문에 주변에 많은 피해를 줄뿐만 아니라 물의 소비량이 크게 증가한다.
그러므로 벽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의 피막이 찢어지기 직전에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물을 모으면서 아래로 바로 흘러내려 보낼 수 있는 물 받침대들을 각각 설치하면, 수십 미터 높이의 벽면에서 흘러내린 물이 외부로 전혀 튀어나오지 않으면서 이론적으로 물 피막의 두께가 초기와 같이 균일하게 계속 유지되므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고, 물의 소비량이 최소화된다.
바람의 영향이 없는 실내에서 높이 약 7m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외부로 전혀 튀어나오지 않는 설치물이 목격되지만, 건물의 외벽은 바람의 영향이 항상 있기 때문에 바람의 강도를 감안하여 물 받침대의 높이의 간격과 운용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문이 있는 아파트의 벽면은 돌출물이 많아 물이 외부로 많이 튀어나오기 때문에 창문이 없는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건축된 유리벽의 고층 건물들은 창문들이 있으나 돌출된 구조물이 없고, 외벽이 수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벽면의 외관에 손상 없이 물 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지만, 유리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물 받침대들의 손상은 피할 수 없고, 미세먼지들이 사람들의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높이가 지상 약 10m 아래이므로 고가사다리로 청소할 수 있는 높이까지 설치해야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설치장소는 높은 건물들로 인해 미세먼지들이 정체될 수밖에 없는 아파트단지와 도심의 고층건물의 벽면에 설치할 경우 주변에서 부유하는 미세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직접 제거할 수 있다. 아파트와 건물의 벽면에 물이 계속 흘러내리게 되면, 주변에 작은 숲이 있는 것처럼 공기의 질이 개선되며, 흘러내리는 물은 음이온을 발생하기 때문에 건강에 좋다.
흘러내려서 건물 아래에 모인 혼탁한 물은 경제적일 경우에 재사용 하고, 주변의 청결한 환경을 위해 배수로를 설치해야 하며, 건물의 벽면 아래에 모인 혼탁한 물은 미세먼지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미세먼지의 발생원이 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경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a : 캔버스를 매다는 풍선
1b : 캔버스
1c : 캔버스가 경사되는 반대방향으로 물 흐름의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
1c-1 : 물의 자동분배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구통로
1c-2 : 물의 자동분배기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통하는 내부통로
1c-3 : 물의 자동분배기에서 외부의 파이프(1g)로 배출되는 외부통로
1c-4 : 캔버스가 경사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추
1c-5 : 추(1c-4)의 끝단에 부착되어 2개중 1개의 물의 통로(1c-2c or 1c-2c')를 차단하는 패킹
1d : 풍선(1a)과 지면(1j)을 연결하는 로프
1e : 지상의 펌프(1i)에서 물 자동분배기(1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
1f : 캔버스(1b)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캔버스(1b)의 표면에 설치하는 물 받침 턱
1g : 캔버스(1b)의 최상부에서 그 양 끝단까지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
1h : 로프(1d,1d')들을 횡 방향으로 고정하는 로프
1i : 캔버스(1b)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는 지상의 펌프
1j : 풍선(1a)에 연결된 로프(1d)가 지표면에 고정되는 지점
1k : 파이프(1g)에서 캔버스(1b)의 최상단에 물을 배출하는 구멍
1m : 풍선(1a)과 캔버스(1b)가 바람에 의해 과도하게 경사되는 것을 잡아 주는 로프
1n : 로프(1m)를 지표면(1n)에 고정되는 지점.
1p : 지표면의 경계선
2a : 건물의 벽면에 매달린 캔버스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2b : 건물의 물탱크(2a)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
2c : 건물의 벽면(2g)에 캔버스(2f)를 고정하는 지점.
2d : 건물의 벽면(2g)과 캔버스(2f)의 상단을 연결하는 로프.
2e : 캔버스(2f) 최상단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흘러 보낼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파이프.
2f : 캔버스
2g : 건물의 벽면.
2h : 캔버스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캔버스의 표면에 설치한 물 받침 턱
2i : 캔버스(2f)의 하단과 지표면을 연결하는 로프.
2j : 로프(2i)를 지표면에 연결하는 지점.
2k : 지표면의 경계선
2m : 캔버스(2f)를 높은 곳 벽면에 매다는 로프(2d)와 캔버스(2f) 상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
2n : 지표면(2k)에 고정된 로프(2i)와 캔버스(2f) 하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
3a : 경계를 구분하는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
3b :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b)의 양 측면을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
3c :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상단에서 파이프의 하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들이 뚫려있어 물을 분배하는 파이프라인
3d : 펌프에서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
3e :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3f :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 받침대
3g : 펌프(3e)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
3h : 물 받침대(3f)에서 흘러내린 물을 회수하여 정수하는 물탱크
3i : 회수용 물탱크(3h)에서 정수과정을 거친 물을 펌프(3e)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3g)로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3j : 지표면의 경계
4a : 건물의 벽면
4b : 건물의 벽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4c : 흘러내리는 물이 흩어져서 외부로 튀어나오기 전에 아래로 바로 흘러내리게 하는 물 받침대
4d : 흘러내리는 물을 단순이 모아 물탱크(4e)로 보내는 물 받침대
4e :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탱크
4f : 지표면의 경계선
4g : 물 받침대(4c)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물
4h : 물 받침대(4c)에 모인 물이 바로 아래로 흘러내려 보내는 물의 통로
4i : 물탱크에서 건물 최상단의 물 받침대(4k)로 물을 보내는 파이프
4j : 건물 최상단의 물 받침대(4k) 내부에 건물에 평행하게 설치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뚫린 파이프
4k : 물 받침대(4c)와 기능과 같고. 건물의 최상단의 물 받침대로서 내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파이프(4j)가 내장된 물 받침대

Claims (5)

  1. 대기 중에 캔버스를 풍선들에 매달아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상에 로프로 고정된 캔버스를 매다는 풍선(1a);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1b);
    물의 자동분배기에 물을 공급하는 입구통로(1c-1), 물의 자동분배기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통하는 내부통로(1c-2), 물의 자동분배기에서 외부의 파이프(1g)로 배출되는 외부통로(1c-3), 캔버스가 경사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추(1c-4), 추(1c-4)의 끝단에 부착되어 2개중 1개의 물의 통로(1c-2 or 1c-2c')를 차단하는 패킹(1c-5)으로 이루어져 캔버스가 경사되는 반대방향으로 물 흐름의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1c);
    풍선(1a)과 지면(1j)을 연결하는 로프(1d);
    지상의 펌프(1i)에서 물 자동분배기(1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1e);
    캔버스(1b)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의 간격마다 캔버스(1b)의 표면에 횡 방향으로 설치하여 물의 흘러내림을 지연시키면서 물이 중앙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물 받침 턱(1f);
    캔버스(1b)의 최상부에서 그 양끝단까지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1g);
    로프(1d,1d')들을 횡 방향으로 고정하는 로프(1h);
    캔버스(1b)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는 지상의 펌프(1i);
    풍선(1a)에 연결된 로프(1d)가 지표면에 고정되는 지점(1j);
    캔버스(1b)의 최상단에 설치된 파이프(1g)에서 물을 배출하는 구멍(1k);
    풍선(1a)과 캔버스(1b)가 바람에 의해 과도하게 경사되는 것을 잡아 주는 로프(1m);
    로프(1m)를 지표면(1p)에 고정되는 지점(1n);
    지표면(1p)의 경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제1에 있어서,
    풍향에 따라 캔버스(1b)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되는 물 자동분배기(1c)의 내부에 설치된 추(1c-4)가 풍하 측으로 기울면서 추(1c-4)의 끝단에 부착된 패킹(1c-5)이 풍하 측 물의 내부통로(1c-2 or 1c-2')를 차단함과 동시에 풍상 측 물의 내부통로(1c-2 or 1c-2')를 개방하기 때문에 물은 풍상 측 외부통로(1c-3 or 1c-3')로 전달되도록 하는 물의 자동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3. 건물에 캔버스를 매달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벽면에 매달린 캔버스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2a);
    건물의 물탱크(2a)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2b);
    건물의 벽면(2g)에 캔버스(2f)를 고정하는 지점(2c);
    건물의 벽면(2g)과 캔버스(2f)의 상단을 연결하는 로프(2d);
    캔버스(2f) 최상단에서 캔버스(2f)의 표면에 물을 흘러내려 보낼 수 있도록 파이프의 하부에 다수의 구멍들이 뚫려있는 파이프(2e);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캔버스(2f);
    건물의 벽면(2g);
    캔버스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중앙으로 몰리지 않도록 캔버스의 표면에 설치한 물 받침 턱(2h);
    캔버스(2f)의 하단과 지표면을 연결하는 로프(2i);
    로프(2i)를 지표면에 연결하는 지점(2j);
    지표면의 경계선(2k);
    캔버스(2f)를 높은 곳 벽면에 매다는 로프(2d)와 캔버스(2f) 상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2m);
    지표면(2k)에 고정된 로프(2i)와 캔버스(2f) 하단의 양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2n)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4. 담의 벽 또는 펜스의 양 측면에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을 설치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를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경계를 구분하는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a);
    담의 벽 또는 철재 펜스(3a)를 덮고 있는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의 상단에서 물을 분배하는 파이프라인(3c);
    펌프에서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3d);
    물의 분배 파이프라인(3c)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3e);
    캔버스 또는 플라스틱판(3b)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 받침대(3f);
    펌프(3e)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3g);
    물 받침대(3f)에서 흘러내린 물을 회수하여 정수하는 물탱크(3h);
    회수용 물탱크(3h)에서 정수과정을 거친 물을 펌프(3e)에 물을 공급 하는 물탱크(3g)로 연결하는 파이프라인(3i);
    지표면의 경계선(3j)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5. 건물들의 벽면에 물 받침대를 설치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들을 직접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벽면(4a);
    건물의 벽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b);
    흘러내리는 물이 흩어져서 외부로 튀어나오기 전에 아래로 바로 흘러내리게 하는 물 받침대(4c);
    흘러내리는 물을 단순이 모아 물탱크(4e)로 보내는 물 받침대(4d);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물탱크(4e);
    지표면의 경계선(4f);
    물 받침대(4c)를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물(4g);
    물 받침대(4c)에 모인 물이 바로 아래로 흘러내려 보내는 물의 통로(4h);
    물탱크(4b)에서 건물의 최상단의 물 받침대(4k)로 물을 보내는 파이프라인(4i));
    건물의 최상층부의 물 받침대(4k) 내부에 양 끝단까지 횡 방향으로 설치된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들이 뚫려있는 파이프(4j);
    하부에 설치된 물 받침대(4c)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내부에 횡 방향으로 파이프라인(4j)이 설치된 물 받침대(k)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160132590A 2016-10-13 2016-10-13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915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90A KR101915694B1 (ko) 2016-10-13 2016-10-13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1710941267.4A CN107930299B (zh) 2016-10-13 2017-10-11 微尘清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90A KR101915694B1 (ko) 2016-10-13 2016-10-13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823A true KR20180040823A (ko) 2018-04-23
KR101915694B1 KR101915694B1 (ko) 2019-01-07

Family

ID=6193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590A KR101915694B1 (ko) 2016-10-13 2016-10-13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5694B1 (ko)
CN (1) CN10793029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5150A (zh) * 2019-02-21 2019-05-17 敦煌研究院 一种监测洞窟内不同高度微尘流场的装置
KR20190138411A (ko) 2018-06-05 2019-12-13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정전기적 침적 기술이 탑재된 미세먼지 제거선
KR20200023022A (ko) 2018-08-24 2020-03-04 김진국 스마트형 미세먼지제거장치
KR20200045857A (ko) * 2018-10-23 2020-05-06 방규열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200066996A (ko)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야외용 미세먼지 거름장치
KR20200126837A (ko) 2019-04-30 2020-11-09 안보령 차량용 미세먼지흡착구조체
KR20210016015A (ko) 2021-02-03 2021-02-10 안보령 미세먼지흡착구조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저감용 차량
KR102358810B1 (ko) 2020-09-09 2022-02-07 주식회사 규진건설 안전휀스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및 제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904B1 (ko) 2019-02-27 2021-07-05 엠제이하이테크(주) 미세먼지 저감 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건축물
KR102054253B1 (ko) 2019-04-16 2019-12-10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씨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260210B1 (ko) 2019-04-24 2021-06-03 이나연 부양 구조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5213A (zh) * 2008-06-25 2008-12-03 李昭美 建筑物降温净化装置
KR100912143B1 (ko) * 2009-03-02 2009-08-13 이우인 공기청정 및 가습기능을 강화한 벽형 실내분수
KR100953455B1 (ko) 2009-07-07 2010-04-16 윤석인 먼지입자 클리닝장치
CN203862061U (zh) * 2014-03-22 2014-10-08 魏彬 高空洒水空气净化机
CN203990977U (zh) * 2014-07-28 2014-12-10 厦门斯普霖卫浴科技有限公司 按钮式花洒
CN104436929A (zh) * 2014-12-15 2015-03-25 曲纬庶 一种雾霾净化处理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11A (ko) 2018-06-05 2019-12-13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정전기적 침적 기술이 탑재된 미세먼지 제거선
KR20200023022A (ko) 2018-08-24 2020-03-04 김진국 스마트형 미세먼지제거장치
KR20200045857A (ko) * 2018-10-23 2020-05-06 방규열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200066996A (ko)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야외용 미세먼지 거름장치
CN109765150A (zh) * 2019-02-21 2019-05-17 敦煌研究院 一种监测洞窟内不同高度微尘流场的装置
CN109765150B (zh) * 2019-02-21 2024-01-09 敦煌研究院 一种监测洞窟内不同高度微尘流场的装置
KR20200126837A (ko) 2019-04-30 2020-11-09 안보령 차량용 미세먼지흡착구조체
KR102358810B1 (ko) 2020-09-09 2022-02-07 주식회사 규진건설 안전휀스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및 제거 시스템
KR20210016015A (ko) 2021-02-03 2021-02-10 안보령 미세먼지흡착구조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저감용 차량
KR20210001976U (ko) 2021-02-03 2021-09-01 안보령 미세먼지흡착구조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저감용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30299A (zh) 2018-04-20
KR101915694B1 (ko) 2019-01-07
CN107930299B (zh)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694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JP5537401B2 (ja) 道路散水システム
KR101351825B1 (ko) 빗물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류장 쉘터 및 운영 방법
KR102059770B1 (ko) 미세먼지 로드세이프존 모니터링시스템
CN103759385A (zh) 一种净化空气的系统和净化空气的方法
KR20220016449A (ko) 드론, 부스, 현관, 청정기, 정화기, 청소시, 세척기, 분사기, 샤워기, 집진기, 선별기, 환기시설, 스프링클러
KR102054398B1 (ko) 염분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 시스템
JP2010131559A (ja) 大気汚染浄化装置
CN110893316A (zh) 一种巨型雾霾空气净化系统及其雾霾空气净化方法
WO2020213808A1 (ko)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CN107875784A (zh) 一种除雾霾的拖车及其装置
KR102166612B1 (ko)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선 규제봉
KR102166679B1 (ko) 개선된 클린 로드 시스템
KR101702113B1 (ko) 적조 구제를 통한 스마트한 양식장 관리 장치
CN102641638A (zh) 大型空气净化器及其构成的城市空气净化布局系统
JP6579473B2 (ja) 放水装置
KR20200115808A (ko) 바닷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해상 철탑 스프링쿨러 구조물 시스템
CN202605946U (zh) 大型空气净化器及其构成的城市空气净化布局系统
KR20200093143A (ko) 대기공기정화장치
KR102085226B1 (ko) 실외 설치용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20220092459A (ko) 회풍기이동식정화방법
JP2003340228A (ja) 大気汚染浄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4689661A (zh) 城市雾霾处理技术
CN204121910U (zh) 吸入式强制流动灰霾治理的装置
CN203990131U (zh) 自主式大流量区域消雾净化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