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419A - 엔진용 연료펌프 - Google Patents

엔진용 연료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419A
KR20180040419A KR1020160132300A KR20160132300A KR20180040419A KR 20180040419 A KR20180040419 A KR 20180040419A KR 1020160132300 A KR1020160132300 A KR 1020160132300A KR 20160132300 A KR20160132300 A KR 20160132300A KR 20180040419 A KR20180040419 A KR 20180040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hamber
piston
storage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0419A/ko
Publication of KR2018004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43Arrangements for driving reciprocating piston-typ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고 실린더에 연료가 공급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로에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를 유입시키고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를 상기 유로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유입공,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를 향하는 제1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유입공을 개폐하는 제1논리턴밸브,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배출공, 및 상기 챔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하는 제2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배출공을 개폐하는 제2논리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가 유입되고 상기 챔버에서 상기 유로로 연료가 배출되게 상기 챔버의 체적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연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용 연료펌프{Fuel Pump for Engine}
본 발명은 엔진 시동 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엔진용 연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이러한 엔진은 선박, 자동차, 건설장비 등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엔진은 엔진블록 상에 다수의 실린더가 배치되고, 각각의 실린더 내에는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가 설치됨과 아울러 커넥팅로드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되는 피스톤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실린더 내에서 연료의 폭발력을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엔진은 상기 실린더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분사밸브, 연료필터,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F.O Engine Driven Gear Pump), 및 연료저장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실린더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한다. 상기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는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필터로 공급한다. 상기 연료필터는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를 통해 연료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연료분사밸브로 공급한다. 상기 연료분사밸브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실린더에 연료를 공급 및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다. 상기 연료저장탱크, 상기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 상기 연료필터, 및 상기 연료분사밸브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은 유로를 통해 실린더에 연결된다.
한편, 엔진은 시동 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에 연료유가 채워져 있어야 시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료저장탱크는 중력에 의해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엔진보다 위쪽에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펌프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기어 등과 같은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연료저장탱크에서 연료필터로 연료를 공급한다. 이 경우, 엔진이 시동하기 위해서는 유로에 연료가 채워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펌프는 상기 연료저장탱크가 엔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경우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지 않게 되므로,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아 구동력이 없어 연료저장탱크에서 연료필터로 연료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료저장탱크가 엔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유로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연료저장탱크의 설치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엔진용 연료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고 실린더에 연료가 공급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로에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를 유입시키고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를 상기 유로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유입공;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를 향하는 제1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유입공을 개폐하는 제1논리턴밸브;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배출공; 및 상기 챔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하는 제2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배출공을 개폐하는 제2논리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가 유입되고 상기 챔버에서 상기 유로로 연료가 배출되게 상기 챔버의 체적을 증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는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챔버의 체적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본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챔버의 체적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쿼드링(Quad-Rin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바이톤(Vit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저장탱크의 설치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연료저장탱크를 엔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로에 연료를 용이하게 주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서 연료가 챔버에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서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유로로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서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가 엔진에 설치된 개략적인 블록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서 연료가 챔버에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서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유로로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에서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가 엔진에 설치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엔진 시동 전에, 실린더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유로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엔진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료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설치위치의 제한없이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유로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크게 본체(2), 피스톤(3), 연료유입공(4), 제1논리턴밸브(5), 연료배출공(6), 및 제2논리턴밸브(7)를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일측이 연료저장탱크(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유로(20)를 통해 연료필터(30)에 연결된다. 상기 연료필터(30)는 연료분사밸브(40) 및 실린더(50)에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와 상기 연료필터(30) 사이에는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F.O Engine Driven Gear Pump)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저장탱크(10)는 실린더(50)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를 저장한다. 상기 연료는 엔진이 디젤엔진일 경우, 디젤유(MDO)일 수 있다. 상기 유로(20)는 연료가 이동할 수 있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일 수 있다. 상기 유로(20)에 연료가 채워져 있지 않으면 엔진이 시동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유로(20)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엔진이 시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료필터(30)는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연료분사밸브(40)로 공급한다. 상기 연료분사밸브(40)는 실린더(50)에 연결되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실린더(50)에 연료를 공급 및 차단한다. 상기 실린더(50)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는 챔버(Chamber)이다. 상기 엔진용 연료펌프(1), 상기 연료필터(30), 상기 연료분사밸브(40), 및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유로(20)를 통해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가 상기 연료저장탱크(10)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면 상기 유로(20)는 연료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2), 상기 피스톤(3), 상기 연료유입공(4), 상기 제1논리턴밸브(5), 상기 연료배출공(6), 및 상기 제2논리턴밸브(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2)는 연료저장탱크(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고, 상기 유로(20)에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2)는 일측이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유로(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20)는 상기 연료필터(30) 또는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일측이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 호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스 및 상기 유로(20)는 상기 본체(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피스톤(3)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연료유입공(4) 및 상기 연료배출공(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료유입공(4)을 통해 상기 본체(2)의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고, 상기 연료배출공(6)을 통해 상기 유로(20)로 연료가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는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유입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필터(30) 또는 엔진운전기어연료펌프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챔버(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21)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21)는 연료가 유입 및 배출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챔버(21)는 상기 연료유입공(4) 및 상기 연료배출공(6)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챔버(21)는 상기 피스톤(3)이 이동함에 따라 체적이 증감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챔버(21)는 상기 피스톤(3)이 제1이동방향(FPD,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하면, 체적이 증가되어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연료가 유입됨으로써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챔버(21)는 상기 피스톤(3)이 상기 제1이동방향(FPD)와 반대되는 제2이동방향(SPD, 도 3에 도시됨)으로 이동하면, 체적이 감소되어 연료가 상기 유로(20)로 배출됨으로써 내부가 비워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3)은 상기 본체(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3)은 직경이 상기 본체(2)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3)은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은 상기 유로(20)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상기 챔버(21)의 체적을 증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스톤(3)은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챔버(21)로 연료를 유입시키기 위해 제1이동방향(FP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21)의 체적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은 상기 챔버(21)에 유입된 연료를 상기 유로(20)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21)의 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챔버(21)에 유입된 연료는 압축됨으로써 상기 연료배출공(6)을 통해 상기 유로(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은 작업자에 의해 제1이동방향(FPD) 또는 제2이동방향(SPD)로 이동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3)의 일측에는 밀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유입공(4)은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챔버(21)로 연료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료유입공(4)은 상기 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유입공(4)은 직경이 상기 연료배출공(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료배출공(6)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료유입공(4)은 직경이 상기 연료배출공(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 동일한 시간 동안 상기 연료배출공(6)에서 상기 유로(20)로 배출되는 연료의 양보다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챔버(21)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이 더 많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21)에 연료가 유입되는 시간이 상기 챔버(21)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에 비해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연료유입공(4)이 형성되는 본체(2)의 일측에는 제1논리턴밸브(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논리턴밸브(5)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논리턴밸브(5)는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챔버(21)를 향하는 제1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유입공(4)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1논리턴밸브(5)는 상기 피스톤(3)이 제1이동방향(FPD)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료유입공(4)을 개방하여 상기 호스와 상기 연료유입공(4)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21)의 체적은 증가하고 내부 압력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챔버(21)로 연료가 제1유동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료배출공(6)은 제2논리턴밸브(7)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21)는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유입된 연료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논리턴밸브(5)는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료유입공(4)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스와 상기 연료유입공(4)은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료배출공(6)은 상기 챔버(21)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20)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2)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료배출공(6)은 상기 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배출공(6)은 상기 연료유입공(4)에 비해 상기 본체(2)의 끝단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챔버(21)에 유입된 연료를 상기 유로(20)로 배출할 수 있으면 상기 연료유입공(4)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료배출공(6)은 직경이 상기 연료유입공(5)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배출공(6)은 직경이 상기 연료유입공(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 시 상기 유로(20)로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배출공(6)으로 배출되는 연료는 상기 실린더(50)까지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로(20)에 신속하게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엔진 시동 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연료배출공(6)이 형성되는 본체(2)의 타측에는 제2논리턴밸브(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논리턴밸브(7)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논리턴밸브(7)는 상기 챔버(21)에서 상기 유로(20)를 향하는 제2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배출공(6)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논리턴밸브(7)는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료배출공(6)을 개방하여 상기 연료배출공(6)과 상기 유로(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21)의 체적은 감소하고 내부 압력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는 상기 연료배출공(6)을 통해 상기 챔버(21)에서 상기 유로(20)로 제2유동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료유입공(4)은 제1논리턴밸브(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21)는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끝까지 이동하면, 내부가 비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논리턴밸브(7)는 상기 피스톤(3)이 제1이동방향(FPD)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료배출공(6)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배출공(6)과 상기 유로(20)는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피스톤(3)이 제1이동방향(FPD)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논리턴밸브(5)가 상기 연료유입공(4)을 개방하고 상기 제2논리턴밸브(7)가 상기 연료배출공(6)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챔버(21)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논리턴밸브(5)가 상기 연료유입공(4)을 폐쇄하고 상기 제2논리턴밸브(7)가 상기 연료배출공(6)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챔버(21)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2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피스톤(3)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연료유입공(4)과 상기 연료배출공(6)을 각각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연료유입공(4)과 상기 연료배출공(6)을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개폐장치 및 상기 개폐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연료를 상기 유로(20)에 공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연료저장탱크(10)가 엔진보다 낮은 곳에 설치되어도 상기 유로(20)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엔진보다 높은 곳에 연료저장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호스 및 유로(20)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의 편리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정전과 같은 비상사태 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밀폐부재(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밀폐부재(8)는 상기 피스톤(3)과 상기 본체(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피스톤(3)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의 일측은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3)의 일부분이다. 상기 밀폐부재(8)는 상기 피스톤(3)의 원주를 따라 상기 피스톤(3)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8)는 상기 피스톤(3)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3)과 상기 본체(2) 사이로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하여 상기 챔버(21)의 체적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챔버(21)에 유입된 연료가 제1이동방향(FPD)으로 새지 않고 상기 연료배출공(6)을 통해 상기 유로(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8)는 쿼드링(Quad-Ring)일 수 있다. 상기 쿼드링은 씰(Seal)의 일종으로, 단면이 나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쿼드링은 단동 또는 복동으로 왕복이동하는 물체, 회전하는 물체, 또는 고정되는 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밀폐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쿼드링은 원형씰에 비해 접촉 압력이 적어 마찰을 최소화시켜 윤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씰의 단점인 굴림(Rolling) 및 나선형 비틀림 현상을 개선하여 밀폐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쿼드링은 액체와 액체 사이를 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액체와 기체와 같이 서로 다른 매체를 씰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부재(8)는 바이톤(Vit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톤은 가스 투과율이 낮고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밀폐부재(8)를 바이톤 재질의 쿼드링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형씰에 비해 피스톤(3)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유지보수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탄성부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피스톤(3)과 상기 본체(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피스톤(3)이 이동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하면, 수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21)의 체적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본체(2)에 지지되어 상기 제1이동방향(FPD)으로 팽창하려고 하므로, 상기 피스톤(3)이 상기 제2이동방향(SPD)으로 급격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피스톤(3)이 제2이동방향(SPD)으로 이동 시 상기 피스톤(3)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피스톤(3)이 제1이동방향(FPD)으로 이동하면, 탄성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9)는 상기 챔버(21)의 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본체(2)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3)을 제1이동방향(FP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3)은 상기 탄성부재(9)가 탄성력으로 팽창함으로써, 상기 제1이동방향(FPD)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구동모터는 작은 힘으로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챔버(21)로 용이하게 연료를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연료펌프(1)는 상기 연료저장탱크(10)에서 상기 유로(20)로 신속하게 연료를 채울 수 있으므로, 엔진을 시동 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엔진용 연료펌프
2 : 본체 3 : 피스톤
4 : 연료유입공 5 : 제1논리턴밸브
6 : 연료배출공 7 : 제2논리턴밸브
8 : 밀폐부재 9 : 탄성부재

Claims (5)

  1.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고 실린더에 연료가 공급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로에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를 유입시키고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를 상기 유로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유입공;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를 향하는 제1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유입공을 개폐하는 제1논리턴밸브;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배출공; 및
    상기 챔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하는 제2유동방향으로 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료배출공을 개폐하는 제2논리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유로에 연료가 채워지도록 상기 연료저장탱크에서 상기 챔버로 연료가 유입되고 상기 챔버에서 상기 유로로 연료가 배출되게 상기 챔버의 체적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연료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챔버의 체적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연료가 상기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본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엔진용 연료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챔버의 체적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연료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쿼드링(Quad-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연료펌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바이톤(Vit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연료펌프.
KR1020160132300A 2016-10-12 2016-10-12 엔진용 연료펌프 KR20180040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300A KR20180040419A (ko) 2016-10-12 2016-10-12 엔진용 연료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300A KR20180040419A (ko) 2016-10-12 2016-10-12 엔진용 연료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419A true KR20180040419A (ko) 2018-04-20

Family

ID=6208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300A KR20180040419A (ko) 2016-10-12 2016-10-12 엔진용 연료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04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4799B (zh) 低温液化气体的吸入和排出用阀体、往复式泵、以及燃料气体供给装置
EP2860396B1 (en) A pump
RU2587030C2 (ru) 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утечки топлива из топливной системы
JP2009533598A (ja) 改良された真空ポンプ
US9822771B2 (en) Compressed air driven reciprocating piston hydraulic pump
JP2007278228A (ja) 内燃機関
US9951733B2 (en) Plug-in pump
KR20180040419A (ko) 엔진용 연료펌프
US5897305A (en) Valve assembly for compressors
KR101603091B1 (ko) 사판식 팽창기의 윤활시스템
CN111425368A (zh) 泵送装置
KR102216489B1 (ko) 내연 피스톤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
WO2014087188A1 (en) Valve mechanis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utomotive vehicle
KR101302307B1 (ko) 가스압축기
US6641370B2 (en) Vacuum pump apparatus having improved sealing structure
KR100559602B1 (ko) 연료필터 연결구의 역류방지장치
KR102239680B1 (ko) 내연 피스톤 기관을 위한 고압 연료 펌프 어셈블리
US9915237B2 (en) Combination shuttle and lubricator valve for an air starter
KR102216495B1 (ko) 내연 피스톤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
KR101167100B1 (ko) 가스 압축펌프용 가스 오일 분리기
KR20180067989A (ko) 오일펌프 및 이를 적용한 상용차량 엔진
RU67195U1 (ru) Мембранный гидроприводный дозировочный насос
EP3128149A1 (en) Two stroke engine
KR102274364B1 (ko) 가변 압축 장치 및 엔진 시스템
KR20230079227A (ko) 자유 마이크로-비드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