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836A - Blanket - Google Patents

Blan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836A
KR20180039836A KR1020160131074A KR20160131074A KR20180039836A KR 20180039836 A KR20180039836 A KR 20180039836A KR 1020160131074 A KR1020160131074 A KR 1020160131074A KR 20160131074 A KR20160131074 A KR 20160131074A KR 20180039836 A KR20180039836 A KR 20180039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outer skin
shell
blanket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돈
Original Assignee
한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돈 filed Critical 한상돈
Priority to KR102016013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9836A/en
Publication of KR2018003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8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nket of which leaning and movement of inner materials are avoided. To this end, the blanket comprises: a first outer skin; a second outer ski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skin, and connected to an edge of the first outer skin; and a blanket inner material filled between the first outer skin and the second outer skin. The blanket further comprises: an inner passage through which the inner material moves between the first outer skin and the second outer skin; and a sewing part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blanket inner material moving between the first outer skin and the second outer skin.

Description

이불{Blanket}Blanket {Blanket}

본 발명은 오리털, 거위털 등이 속재로 삽입된 이불에 관한 것으로써, 속재가 한 곳으로 이동하여 뭉쳐지는 쏠림 현상을 개선한 이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ton in which duck hair, goose down hair, etc.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uton, and the futon which improves the sagging phenomenon of the bundle moving to the one place.

이불은 사람이 취침 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몸을 덮는 침구이다. 이불은 보온성을 확보하기 위해, 속재로 솜, 인조솜, 양모, 오리털, 거위털 등을 사용한다. 점차 가벼운 소재의 이불을 수요자가 요구함에 따라, 속재로 극세사 섬유, 오리털, 거위털 등을 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A futon is a bedding that covers the body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at bedtime. To ensure the warmth of the futon, cotton, artificial cotton, wool, downy hair, goose down, etc. are used. As consumers demand more and more lightweight blankets, they tend to use microfiber fibers, goose down hair, goose down hair, etc.

속재가 가벼워지면, 이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불 속에서 몸을 뒤척이거나 이불을 손질할 경우 속재가 한 곳으로 이동하여 뭉쳐지는 쏠림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한 곳으로 편중되어 뭉쳐진 속재는 이불 속에 위치하므로, 다시 이불 전체에 걸쳐 고른 상태로 분산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번거롭다.If the bedding is lighter, the user who uses the bedding moves back in the bedding or carries the bedding to the place where the bedding is moved to the bedding position. Since the bundled bundled bundle is placed in the bundl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and cumbersome to distribute the bundled bundle evenly throughout the bund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20987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에 복수의 칸막이(Y)를 설치하고, 칸막이 단위로 오리털을 주입함으로써 오리털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봉재 이불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4-0020987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s (Y) are provided on an outer skin as shown in FIG. 1, and a slider We are opening a futon.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20987호는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수십 개의 칸막이(Y)를 일정한 간격으로 외피 내부에 각각 고정하는 과정과 속재를 각각의 칸막이(Y)에 균일하게 주입하는 과정이 장시간 소요되고, 제조 단가가 매우 높으며 전체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4-002098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ing and tilting of the inner member, but the process of fixing dozens of the dividers Y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ver at regular intervals, Y) is required to be uniformly injected for a long time,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high, and the total weight becomes heav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20987호(오리털이불의 제작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4-0020987 (Production method of duck hai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속재의 쏠림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제조공정이 간편하며 중량이 가벼운 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vet which is simple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light in weight while minimizing leaning of the ingo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제1 외피; A first shell;

제1 외피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제1 외피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제2 외피; 및A second shell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ell and connected to an edge of the first shell; And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의 사이에 충진되는 이불 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불에는 이불 속재가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피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내부 통로 및 이불 속재가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흐름을 저지(Blocking)하는 봉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And a bedding material fill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bedding has an inner passage and a bedding material mov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 sewing section for blocking a flow moving between the second outside can be formed.

이불 속에 배치된 속재의 쏠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봉제부와 이동부는 일정한 각격으로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봉제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sewing portion and the moving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regular angles, and a plurality of sewing points may be regularly arranged in order to minimize the leaning of the material disposed in the futon.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은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현격하게 줄이고, 제조공정이 빠르고 간편하며, 부수적인 자재 사용을 줄여 가볍다.
The blan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movement and tilting of the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quick and simple, and light use is reduced by reducing the use of incidental materials.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불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불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ut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uv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futon shown in FIG. 2 taken along line II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t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The word "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배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dispos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with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불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t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futon shown in FIG. 2 along a line I-I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불(100)은 제1 외피(110), 제2 외피(120) 및 속재(130)를 포함한다.2 and 3, the blan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110, a second housing 120, and a housing 130.

상기 제1 외피(110) 및 제2 외피(120)는 서로 연결되어 이불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룬다.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소재는 천연 섬유, 인조 섬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천연섬유는 면, 마(Linen), 모(Wool), 실크, 광물 섬유(Silk)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조섬유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레이온, 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envelope 110 and the second envelop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overall shape of the comforter. The materials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s 110 and 120 include natural fibers and man-made fibers. For example, the natural fiber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tton, linen, wool, silk, mineral fibers (Silk), and mixtures thereof. The man-made fiber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nylon, rayon, acrylic, polyurethane, and mixture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및 제2 외피(110, 120)는 기능성 소재로 다수의 성질이 다른 직물 층들로 편직 될 수 있고, 통풍성, 통기성, 내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미세 단위 직물인 극세사, 초극세사로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may be made of a micro-unit fabric, micro-fabric or micro-fabric, in order to secure the ventilation, ventilation,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

제1 및 제2 외피(110, 120)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일면이 마주한 상태에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연결은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가장자리를 직접 실로 이어 봉제하거나, 별도의 덧감을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가장자리에 덧대어 이들을 봉제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110 and 120 may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edg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orn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110 and 120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may be performed by directly sewing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or by separately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 By sewing them at the edges.

상기 속재(130)는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사이에 충진되어 이불(100)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속재(130)를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사이에 충진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가장자리를 봉제하기 전 속재를 제1 및 제2 외피(110, 120) 사이에 충진 한 후, 속재(130)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개구부(10)를 봉제할 수 있다.The inner member 130 is fi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to ensure the heat resistance of the outer case 100. The method of filling the ingot 13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may include filling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before sewing, The openings 10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110 and 120 may be sewn so that the inner shell 130 does not flow out after filling the inner shell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110 and 120 .

속재(130)는 제1 및 제2 외피(110, 120)에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속재(130)는 거위털, 오리털, 양모, 카시미론, 알파카, 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이불(100)의 전체적인 경량성(light weight)을 높이기 위해 속재(130)는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가벼운 속재(130)는 이불(1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불 속에서 몸을 뒤척이거나 이불을 손질하는 경우 속재(130)가 한 곳으로 이동하여 뭉쳐지는 쏠림 현상이 발생되어 이불 전체의 균일한 내열성을 확보하기 어렵다.The inner material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for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For example, the inner material 130 may be made of goose hair, goose hair, wool, , Cotton, and mixtures thereof. Particularly,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light weight of the duvet 100, the duvet 130 or the gooseneck is used in a large amount. The duvet 130 may be formed by a user who uses the duvet 100,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uniform heat resistance of the entire bedding due to the sagging phenomenon in which the inner member 130 is moved to one place and the bed is piled up.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불(100)은 제1 및 제2 외피(110, 120)가 마주하는 면을 일부 봉제한 봉제부(R)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사이에서 속재(130)의 이동 및 쏠림을 저지(Blocking)한다.The blan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wing part R in which the surface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are partially sewn and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aths 110 and 120,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130 and the blocking of the inner member 130 are prevented.

봉제부(R)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제부(R)는 제1 및 제2 외피(110, 12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내측을 일정한 간격의 점(Dot) 형태로 봉제한 봉제점을 포함한다. 종래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 봉제가 아닌, 본 발명의 봉제부(R)는 일정한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점(Dot) 형태의 봉제를 포함한다. 종래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 봉제는 속재를 이불의 내부에 삽입하기가 어렵고, 공정 또한 복잡하다.2, the sewing part 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110 and 120 except for the edges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Dot ). ≪ / RTI > The sewing part 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checkerboard type plaid sewing, includes sewing in the form of a dot regular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Conventionally, the checkerboard-shaped plaid sewing is difficult to insert the inside of the blanket, and the process is also complicated.

그러나, 봉제점 형태를 갖는 봉제부는 속재의 완전한 이동 및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나,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고 봉제부를 형성하는 제조공정이 간편하다.However, the sewing portion having a sewing-point shape can not prevent the complete movement and leaning of the inner material, but the moving and tilting of the inner material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wing portion is simple.

봉제부(R)는 실을 꿰어 제1 및 제2 외피(110, 120)를 연결할 수 있다. 봉제부(R)가 점(Dot)의 형태인 다수의 봉제점으로 이루어진 경우, 봉제점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봉제점을 형성하기 위해 실을 꿰는 횟수를 늘려 봉제점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외피의 외면(110, 120)에 무늬와 형상을 가진 천, 자수 및 금속 등을 연결 또는 덧대어 봉제점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wing part R may be thread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lls 110 and 120. When the sewing part 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wing points in the form of a dot, the size and shape of the sewing point can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not only to enlarge the size of the sewing poin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imes the thread is threaded to form a sewing point but also to increase the size of the sewing thread, And metal or the like can be connected or padded to form a sewing point.

일정한 간격으로 봉제점이 형성된 경우, 봉제점과 봉제점의 사이에는 속재(130)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When sewing point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the material 130 can m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wing point and the sewing point.

속재(130)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현격하게 줄이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봉제부(R)와 이동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불(100)의 면적 대비 봉제부의 개수(K)는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The sewing part R and the moving part may be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number K of the sewing parts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duvet 100. [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T x Y)/200,000 ≤ K ≤ (T x Y)/50,000(T x Y) / 200,000? K? (T x Y) / 50,000

[T는 이불의 가로 방향 길이(mm), Y는 이불의 세로 방향 길이(mm)이며, Y≥X]
[T is th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m) of the comforter, Y is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m) of the comforter,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제부(R)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봉제점들로 구성되고, 봉제점을 가로 및 세로로 연결한 사각형의 봉제셀의 면적(Z)이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wing part 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wing points regularly arranged, and the area Z of the rectangular sewing cell in which the sewing points ar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have.

[수학식 2]&Quot; (2) "

12,000mm2 ≤ Z ≤ 210,000mm2
12,000mm 2 ≤ Z ≤ 210,000mm 2

본 발명에 따른 이불(100)은 봉제점을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의 범위에서 형성될 경우, 속재(130)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The blan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movement and tilting of the inner member 130 when the sewing point is formed in the range of Equation (1) or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이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부(R)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불과 동일하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t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vet 200 is the same as the duv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sewing parts R are staggered as shown in Fig.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불(20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불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명칭을 사용하고, 봉제부(R)의 배치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futo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uses the same name for the same structure as the fut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ewing part R All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sens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200)에 형성된 봉제부(R)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경우 속재의 이동과 흐름에 저항을 주어, 속재의 쏠림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sewing part R formed on the futon 200 is formed to be staggered from each other, resistance to the movement and flow of the inside material can be prevented, and the sagging of the inside material can be further prevented.

<실시예><Examples>

100% 면 소재의 외피를 가로 2100mm, 세로 1500mm로 2개 재단하여, 재단된 외피를 마주하고 가장자리에 외피와 동일한 면을 덧된 상태에서 봉제하되 외피 속에 속재를 넣을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하였다. 개구부를 통해 오리털 850g을 충진한 후, 개구부를 봉제하였다. 이후, 봉제의 개수(K) 및 봉제셀 면적(Z)이 아래 표 1과 같도록 이불을 제조하였다.
Two cuts of a 100% cotton outer jacket of 2100 mm in width and 1500 mm in length were cut and sewed in a state in which the trimmed outer skin was faced and the same surface as the outer skin was worn on the edge, but an opening was formed so as to insert the material into the outer skin. After filling 850 g of goose down through the opening, the opening was sewn. After that, the quilt was prepared so that the number of sewing (K) and the sewing cell area (Z) were as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1 및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1 and Comparative Example-2>

아래 표 1과 같이, 봉제의 개수(K) 및 봉제셀의 면적(Z)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의 이불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이불을 제조하였다.
The quilts of Comparative Example-1 and Comparative Example-2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quilt of the Example, except that the number of stitches (K) and the area of the stitching cell (Z)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below.

구 분division 봉제의 개수(K)Number of sewing (K) 봉제셀의 면적(Z)The area of the sewing cell (Z) 실시예Example 2424 90,00090,00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300300 10,00010,000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66 250,000250,000

실시예 및 비교예의 속재 이동 및 쏠림 현상을 관능평가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일 단부를 사람 손으로 잡고 수직하게 들어 올린 후, 그 상태를 1분간 유지하였다. 이불 속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확인한 결과, 비교예-2는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이 너무 커서,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고른 상태의 분산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1의 속재 이동 및 쏠림 현상을 비교하면, 실시예는 비교예-1과 대등하게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는 비교예-1보다 봉제의 개수가 작아 제조 공정이 간편하였다.
The entrainment and migration phenomena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by sensory evaluation. One end of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held by a person's hand and lifted vertically, and then the state was maintained for 1 minut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vement and tilting of the bedding material, in Comparative Example-2, the movement and the tilting of the inside material are too large, so that it is troublesome for the product to be subjected to the dispersion process again after being selected. Comparing the displacement and the displacement phenomenon of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1, the movement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ement are hardly observed in the embodiment, as in the comparative example-1. In the example, the number of sewing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1,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simp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불은 속재의 이동 및 쏠림 현상을 현격하게 줄이고, 제조공정이 빠르고 간편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u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moving and tilting of the inside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quick and simp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are.

100: 이불
110: 제1 외피 120: 제2 외피
130: 속재
10: 개구부
R: 봉제부
100: Futon
110: first shell 120: second shell
130:
10: opening
R: Sewing section

Claims (3)

제1 외피;
상기 제1 외피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제1 외피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제2 외피; 및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의 사이에 충진되는 이불 속재;를 포함하는 이불이되,
상기 이불에는 속재가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피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내부 통로 및 이불 속재가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흐름을 저지하는 봉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A first shell;
A second shell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ell and connected to an edge of the first shell; And
And a bedding material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outer shell and the second outer shell,
Wherein the blanket is formed with a sewing portion for blocking the flow of movement of the inner passage and the bedding member between the first outer shell and the second outer shell and between the first outer shell and the second outer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와 이동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불의 면적 대비 봉제부의 개수(K)는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수학식 1]
(T x Y)/200,000 ≤ K ≤ (T x Y)/50,000
[T는 이불의 가로 방향 길이(mm), Y는 이불의 세로 방향 길이(mm)이며, Y≥X]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wing portion and the moving portion are form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Wherein the number (K) of the sew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duve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Equation 1]
(T x Y) / 200,000? K? (T x Y) / 50,000
[T is th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m) of the comforter, Y is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m) of the comfo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봉제점들로 구성되고,
상기 봉제점을 가로 및 세로로 연결한 사각형의 봉제셀의 면적(Z)이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수학식 2]
12,000mm2 ≤ Z ≤ 210,000mm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w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sewing points,
And an area (Z) of a rectangular sewing cell in which the sewing points ar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Quot; (2) &quot;
12,000mm 2 ≤ Z ≤ 210,000mm 2
KR1020160131074A 2016-10-11 2016-10-11 Blanket KR201800398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074A KR20180039836A (en) 2016-10-11 2016-10-11 Blan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074A KR20180039836A (en) 2016-10-11 2016-10-11 Blan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36A true KR20180039836A (en) 2018-04-19

Family

ID=6208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074A KR20180039836A (en) 2016-10-11 2016-10-11 Blan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98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4598A (en) * 2022-06-08 2022-11-29 陈景飞 Method for sewing inner vertical lining of home textile filling type pro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4598A (en) * 2022-06-08 2022-11-29 陈景飞 Method for sewing inner vertical lining of home textile filling type product
CN115404598B (en) * 2022-06-08 2024-02-27 陈景飞 Method for sewing inner vertical lining of home textile filling type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077B2 (en) Performance bed sheets
US10413099B2 (en) Simulated duvet cover system
WO2014143071A1 (en) Alternate quilting
US9186002B2 (en) Filled bedding article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filler
KR10090640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wn jacket for preventing down for flowing down and the down jacket therefrom
US20180344049A1 (en) Mattress cover
US10653254B2 (en) Zoned sheets
KR20180039836A (en) Blanket
DE202005013361U1 (en) Upholstered article, especially a mattresses, comprises a three-dimensional knitted double fabric held apart by spacer yarns
US20230160113A1 (en) Multilayer weft-knitted fabrics for mattress covers
KR10211467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ed clothes
TW201816214A (en) Bed linens, and related bedding assemblies and methods
US20160270565A1 (en) Duvet cover with down feather sheet
EP3928647B1 (en) Cold weather gear with wadding
US20110099715A1 (en) Oval stitch pattern for a filled blanket
JP6858958B2 (en) Comforter
CN202891337U (en) Woven quilt
CN117257094A (en) Breathable bed sheet
DE202012002377U1 (en) Zudecke
DE20100342U1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