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573A -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573A
KR20180039573A KR1020170130844A KR20170130844A KR20180039573A KR 20180039573 A KR20180039573 A KR 20180039573A KR 1020170130844 A KR1020170130844 A KR 1020170130844A KR 20170130844 A KR20170130844 A KR 20170130844A KR 20180039573 A KR20180039573 A KR 2018003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ensor
hand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199B1 (ko
Inventor
김정환
최민준
장규태
이상래
송기선
강필용
구본상
백승호
서진철
손영훈
이상일
이영전
정강진
진영배
홍정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3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61B5/1125Grasping motions of 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는, 실험동물이 생활하는 사육공간이 형성된 케이지에 설치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부가 관통 형성된 장착판을 포함하는 본체장착부와, 상기 본체장착부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홀부에 대응되게 관통되어 상기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먹이가 수용되게 요입 형성된 복수의 먹이홈을 구비한 검사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실험동물이 상기 복수의 먹이홈에 수용된 먹이를 집는 동작을 분석하여 손기능을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APPARATUS FOR TESTING HAND FUNCTION OF LABORATORY ANIMAL}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동물의 섬세한 손기능을 검사하여 질환 평가에 사용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 병이나 뇌졸중은 심각한 운동학적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특히 팔과 손의 기능이 저하되어 떨림이나 마비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원숭이, 고릴라 등 인간과 비슷한 영장류를 질환동물모델(disease-model animal)로 하여, 파킨슨 병이나 뇌졸중 등의 퇴행성 질환모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장류 등이 손을 이용하여 섬세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평가하는 도구가 개발되어 질환 평가에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영장류의 섬세한 손기능을 평가하는 장치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평가방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고, 평가를 위해 영장류를 훈련시키거나, 영장류가 평가도구에 적응하는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장류를 실험에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실험실로 이동시키는 경우, 영장류는 신경이 예민하고 무거운 동물이므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동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험동물이 기존에 살고 있던 케이지에서 다른 검사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케이지에서 실험동물의 손기능 평가가 가능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양쪽 손의 손기능을 각각 정확하게 평가하고, 다양하고 정밀한 검사가 가능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실험도구에 대한 적응이 용이하여 실험시간이 단축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평가를 자동화하여, 손기능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평가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는, 실험동물이 생활하는 사육공간이 형성된 케이지에 설치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부가 관통 형성된 장착판을 포함하는 본체장착부와, 상기 본체장착부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홀부에 대응되게 관통되어 상기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먹이가 수용되게 요입 형성된 복수의 먹이홈을 구비한 검사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실험동물이 상기 복수의 먹이홈에 수용된 먹이를 집는 동작을 분석하여 손기능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패널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먹이홈은, 서로 다른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패널은, 상기 케이스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에 구비된 상기 홀부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1 개구와,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검사패널은,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검사판과,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검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직립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된 제1 영역과, 상기 제2 개구와 연통된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장착판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부재를 상기 장착판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배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된 바닥판은,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은,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상하로 형성된 설치레일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레일은, 상기 장착판의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부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부 레일과, 상기 장착판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하부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장착부는, 상기 장착판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레일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상부 고정부재와, 상기 장착판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레일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하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동작과, 상기 먹이홈에 수용된 먹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실험동물의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고,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입력된 상기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는, 실험동물이 기존에 살고 있던 케이지에서 다른 검사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케이지의 앞문을 대응되는 사이즈의 장착판으로 교체함으로써, 실험동물의 케이지에서 손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도구와 검사방법이 단순하므로, 실험을 위한 실험동물의 적응과 훈련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험을 위해 실험동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이 생략되고, 실험동물이 검사도구에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으므로, 실험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고, 실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가 양쪽에 형성되므로 실험동물의 양쪽 손의 손기능을 각각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패널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검사패널로 교체하여,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실험의 검사자가 육안으로 분석하는 경우에 비해, 실험동물이 먹이홈에 놓인 먹이를 집는 동작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손기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자가 육안으로 인식하고 기록할 필요없이, 실험동물의 수행능력이 자동으로 감지되고 전송되고 기록될 수 있으므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평가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검사패널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Ⅰ-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a)의 Ⅱ-Ⅱ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배면판과 도어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패면판과 제1 센서부재를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센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검사패널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의 Ⅰ-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0의 Ⅱ-Ⅱ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는, 실험동물이 생활하는 사육공간이 형성된 케이지에 설치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여기서, 실험동물은 일 례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섬세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장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숭이일 수 있다. 다만, 실험동물은 원숭이나 영장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가락을 이용하여 작은 먹이를 집는 등 섬세한 손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동물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는, 본체장착부(200)와 검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장착부(200)는, 케이지(10)의 전면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부(230)가 관통 형성된 장착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판(210)은, 기존의 케이지(10)의 전면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한 실험 시에, 기존의 케이지(10)의 전면부를 제거하고 상기한 장착판(210)을 설치할 수 있다. 장착판(210)은,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험 시에 실험동물(20)을 용이하게 관찰하도록 할 수 있고, 장착판(210)의 재질은 일 례로 아크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장착부(200)는, 장착판(210)을 케이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실험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장착판(210)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장착판(210)에는 관통 케이지(10)의 바닥에 인접하게 홀부(23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홀부(230)는, 후술하는 개구부(313)와 함께, 실험동물(20)의 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될 수 있다.
한편, 검사부(300)는, 본체장착부(200)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부(3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홀부(230)에 대응되게 관통되어 실험동물(20)의 손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313)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310)와, 개구부(313)에 인접하게 수용공간(S)에 구비되고, 먹이(F)가 수용되게 요입 형성된 복수의 먹이홈(351, 352, 353, 354)을 구비한 검사패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재(3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검사자는 개구부(313)를 개방하거나, 검사패널(350)에 먹이(F)를 놓거나, 검사패널(350)을 교체할 수 있다.
개구부(313)는, 케이지(10)에 수용된 실험동물(20)이 손을 내밀고 검사패널(350)에 놓인 먹이(F)를 집을 수 있도록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판(210)에 형성된 홀부(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검사패널(3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부재(310)의 수용공간(S)에 구비되되, 개구부(313)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동물(20)이 개구부(313)를 통해 손을 내밀어 검사패널(350)의 먹이홈(351)에 놓인 먹이(F)를 집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검사패널(350)은, 먹이(F)가 수용되게 요입 형성된 먹이홈(351, 352, 353, 354)을 복수로 구비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먹이(F)와 먹이홈(351)은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실험동물(20)이 섬세한 동작으로 먹이(F)를 집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는, 실험동물(20)이 복수의 먹이홈(351, 352, 353, 354)에 수용된 먹이를 집는 동작을 분석하여 손기능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20)은 먹이홈(351)에 놓인 작은 먹이(F)를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집는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Pinch Motion)을 수행할 수 있고, 검사자는 이러한 실험동물(20)의 손의 세밀한 운동기능(Fine Motor Function)의 활동의 변화정도(예를 들어, 꺼내 먹는 먹이의 개수와 소요시간)를 관찰하여, 실험동물(20)의 손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실험동물(20)인 영장류에 파킨슨 병 등의 질환을 유발시킨 후, 본 발명에 따른 손기능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질환에 따른 영장류의 섬세한 손기능의 수행을 촬영하고, 이러한 영상을 통해 정량분석을 함으로써 질환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는, 실험동물(20)이 기존에 살고 있던 케이지(10)에서 다른 검사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케이지(10)의 앞문을 대응되는 사이즈의 장착판(210)으로 교체함으로써, 실험동물(20)의 케이지(10)에서 손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도구와 검사방법이 단순하므로, 실험을 위해 실험동물(20)을 적응시키고 훈련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험을 위해 실험동물(20)을 이동시키는 작업이 생략되고, 실험동물(20)이 검사도구에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으므로, 실험시간이 단축되고 실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검사패널(350)에 구비된 복수의 먹이홈(351, 352, 353, 354)은, 서로 다른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는 검사패널(350)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Ⅰ-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a)의 Ⅱ-Ⅱ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패널(350)은 일 례로, 4개의 먹이홈(351, 352, 353, 354)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된 제1 먹이홈(351)은 직경이 넓고 깊이가 얕고, 제2 먹이홈(352)은 제1 먹이홈(351)에 비해 직경이 좁고, 제3 먹이홈(353)은 제1 먹이홈(351)에 비해 깊이가 깊으며, 제4 먹이홈(354)은 제1 먹이홈(351)에 비해 직경이 좁고 깊이가 깊다. 따라서, 제1 먹이홈(351), 제2 먹이홈(352) 및 제3 먹이홈(353), 제4 먹이홈(354) 순으로 먹이를 집는 손기술의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검사패널(350)은, 케이스부재(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례로 검사패널(350)에 볼트홀을 형성하고 케이스부재(310)에 볼트체결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다만, 검사패널(350)을 케이스부재(310)에 탈부착하는 방식은 볼트체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는, 검사패널(350)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검사패널(350)을 통한 다양한 손기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판(210)에 구비된 홀부(230)는, 제1 관통홀(231)과, 제1 관통홀(231)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제2 관통홀(23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된 개구부(313)에는, 제1 관통홀(231)에 대응되는 제1 개구(314)와, 제2 관통홀(233)에 대응되는 제2 개구(31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검사패널(350)은, 제1 개구(314)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검사판(350a)과, 제2 개구(315)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검사판(35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실험동물(20)의 손이 출입하는 홀부(230)와 개구부(313)를, 장착판(210)과 케이스부재(310)의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실험동물(20)의 오른손과 왼손의 손기능을 모두 평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스부재(310)는, 수용공간(S)에 직립하게 설치되어, 수용공간(S)을, 제1 개구(314)와 연통된 제1 영역(S1)과, 제2 개구(315)와 연통된 제2 영역(S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S1)의 바닥판(317)에는 제1 검사판(350a)이 장착될 수 있고, 제2 영역(S2)의 바닥판(317)에는 제2 검사판(350b)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판(316)을 통해, 케이스부재(310)의 수용공간(S)이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으로 분리될 수 있고, 어느 한 영역의 검사패널(350)을 이용하여 실험할 때, 실험동물(20)의 손이 다른 영역의 검사패널(350)로 손이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S1)에 구비된 제1 검사판(350a)을 통해 손기능을 검사 시에, 구획판(316)에 의해 실험동물(20)이 제2 영역(S2)의 제2 검사판(350b)으로 손을 뻗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동물(20)의 양 손의 손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케이스부재(310)는, 개구부(313)의 전면에 구비되어, 개구부(313)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부재(330)는 제1 개구(314)를 개폐하는 제1 도어(331)와, 제2 개구(315)를 개폐하는 제2 도어(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영역(S1)의 제1 검사판(350a)을 통해 실험을 하는 경우, 제1 도어(331)를 개방하고 제2 개구(315)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양 손 각각의 검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어부재(330)를 개구부(313)의 전면에 설치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제1 개구(314)와 제2 개구(315)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케이스부재(310)는 장착판(210)에 부착되는 배면판(3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개구부(313)는 배면판(3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배면판(311)에는 개구부(313)에 인접하게 슬라이딩홈(31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재(330)는 슬라이딩홈(319)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개구부(313)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다만, 도어부재(330)를 설치하는 방식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구(314)와 제2 개구(315)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부재(310)는, 장착판(210)에 부착되고, 케이스부재(310)를 장착판(210)에 고정하는 고정구(312a)가 체결되는 결합홀(312)이 관통 형성된 배면판(3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케이스부재(310)는 전면판(도면부호 없음)과 배면판(311)과 측면판(도면부호 없음)과 바닥판(317)을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재(310)는 배면판(311)이 장착판(210)에 부착됨으로써 본체장착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배면판(311)에는 결합홀(3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착판(210)에는 결합홀(312)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홀(312)에 볼트 등의 고정구(312a)를 체결 또는 분리함으로써, 케이스부재(310)를 장착판(210)에 부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부재(310)가 장착판(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본 발명의 따른 검사장치를 케이지(10)에 설치 시에, 장착판(210)을 먼저 케이지(10)에 설치하고, 장착판(210) 설치 후에 케이스부재(310)를 장착판(21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100)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재(310)를 장착판(210)에서 분리하여 청소나 수리를 하기 용이하므로, 검사장치(10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케이스부재(310)를 장착판(210)에 탈부착하는 방식은 볼트 체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된 바닥판(317)은,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판(317)은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바닥판(317)의 상면에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재질을 씌울 수도 있다. 또한,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재질은 일 례로 종이나 천이나 나무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케이스부재(31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실험동물(20)이 먹이를 집는 손동작을 관찰할 때, 바닥판(317)의 빛이 반사되지 않으므로 섬세한 손동작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손동작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분석하는 경우에, 빛을 반사시키지 않으므로 정확하게 촬영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장착판(210)은, 케이지(10)의 전면에 상하로 형성된 설치레일(11,13)에 끼워지고, 케이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판(210)은 케이지(10)의 전면판을 설치하는 설치레일(11,13)을 통해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장착판(210)은 케이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동물(20)의 손기능을 평가하는 실험 시에, 케이지(10)의 전면에 장착판(210)을 설치하고, 실험이 종료하면 케이지(10)로부터 장착판(21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설치레일(11,13)은, 장착판(210)의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부 걸림돌기(12)가 돌출 형성된 상부 레일(11)과, 장착판(210)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하부 걸림돌기(14)가 돌출 형성된 하부 레일(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장착부(200)는, 장착판(2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부 레일(1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상부 고정부재(231)와, 장착판(210)의 하측에 장착되고, 하부 레일(13)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하부 고정부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고정부재(231)와 하부 고정부재(233)는,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부 걸림돌기(12)와 하부 걸림돌기(14)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장착판(210)은, 베이스부(213)와, 베이스부(213)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두리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부(215)는 베이스부(213)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베이스부(213)에 의해 장착판(210)이 경량화될 수 있고, 케이지(10)에 수용된 실험동물(20)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215)가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장착판(210)의 강도가 보강되어, 장착판(210)을 케이지(1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일 실시예(도 1 내지 도 5 참조)와 대비하여 검사부(300)의 구성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를 설명하고,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부(300)는, 센서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70)는, 실험동물의 동작과, 먹이홈(351, 352, 353, 354)에 수용된 먹이(F)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70)는, 실험동물의 동작 즉, 개구부(313)를 통해 손을 내밀어 검사패널(350)의 먹이홈(351, 352, 353, 354)에 놓인 먹이(F)를 집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70)는 이러한 실험동물의 동작에 의해 먹이홈(351, 352, 353, 354)에 수용된 먹이(F)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센서부(370)에 의해 실험동물의 동작과 먹이(F)의 제거여부 및 시점이 정확히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의 검사자가 육안으로 분석하는 경우에 비해, 실험동물이 먹이홈에 놓인 먹이(F)를 집는 동작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손기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70)는 제1 센서부재(371)와 제2 센서부재(3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재(371)는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센서부재(375)는 먹이홈(351, 352, 353, 354)에 먹이(F)가 놓여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먼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부재(371)는,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되고, 개구부(313)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37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재(371)는, 센서본체(372)와 접속단자(3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본체(372)는, 상기 케이스부재(310)에 부착되고, 소정 패턴으로 회로가 인쇄되며, 개구부(313)에 대응되게 관통된 홀을 구비하고, 복수의 출입감지센서(373)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374)는, 센서본체(372)에 장착되고 검사패널(35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본체(372)는 케이스부재(310)의 배면판(31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고,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본체(372)에는 미리 회로가 인쇄될 수 있고, 출입감지센서(373)와 접속단자(37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본체(372)에는 개구부(313)에 대응되게 관통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373)는 센서본체(372)에 형성된 홀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감지센서(373)는 개구부(313)의 제1 개구(314), 제2 개구(315)의 둘레에 복수로 설치됨으로써 실험동물의 손의 드나듦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감지센서(373)는 적외선센서(Infrared Sens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접속단자(374)는 센서본체(372)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고, 검사패널(350)에 구비된 접속부(357)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단자(374)와 접속부(357)가 접속됨으로써, 제1 센서부재(371)는 제2 센서부재(375) 및 후술하는 시간측정부(3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센서부재(371)는, 도시된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 6,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센서부재(375)는 검사패널(350)에 구비된 먹이홈(351, 352, 353, 354)에 설치되어, 먹이홈에 수용되는 먹이(F)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먹이감지센서(376)를 구비하고, 제1 센서부재(3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재(371)에 구비된 먹이감지센서(376)는 각각의 먹이홈(351, 352, 353, 354)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먹이감지센서(376)는 먹이홈(351)의 중심부(356)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먹이감지센서(376)는 일례로 적외선센서일 수 있다. 다만, 먹이감지센서(376)의 개수와 종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먹이감지센서(376)는 먹이홈의 중심부(356)를 향하여 설치됨으로써, 먹이홈에 먹이(F)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부재(371)는, 실험동물이 먹이(F)를 제대로 집어서 제거한 경우 먹이(F)의 부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동물의 손기능이 정상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먹이홈(351, 352, 353, 354)의 바닥면에는, 먹이(F)가 안착되는 중심부(356)와, 중심부(356)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하향 경사진 단차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의 섬세한 손기능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먹이(F)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리하다. 즉 먹이홈에 놓인 먹이(F)가 작으면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집는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Pinch Motion)을 수행할 수 있고, 검사자는 이러한 실험동물(20)의 손의 세밀한 운동기능(Fine Motor Function)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먹이홈이 편평하고 먹이(F)가 작으면, 먹이(F)가 먹이감지센서(376)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사각지대에 놓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먹이홈(351, 352, 353, 354)은, 바닥면에 중심부(356)와 단차부(355)를 포함하여, 중심부(356)가 하측에 위치한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먹이(F)가 중심부(356)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먹이(F)가 제2 센서부재(375)에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다만, 단차부(355)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먹이(F)를 중심부(356)에 위치시켜서 제2 센서부재(375)에 의해 감지되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부(300)는, 시간측정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측정부(380)는, 제1 센서부재(371) 및 제2 센서부재(375)와 연결되어, 제1 센서부재(371)에 의해 실험동물의 손이 감지된 시점과, 제2 센서부재(375)에 의해 각각의 먹이홈에서 먹이(F)가 없어진 시점에 기초하여, 실험동물이 먹이(F)를 제거하는데 드는 소요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측정부(380)는, 제1 센서부재(371)와 제2 센서부재(375)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측정부(380)는 제1 센서부재(371)에 의해 감지된 실험동물의 손이 들어온 시점에 시간측정을 시작하여, 제2 센서부재(375)에 의해 각각의 먹이홈에서 먹이(F)가 제거된 시점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측정부(380)는, 예를 들어 개구부(313)에서 손이 감지되는 순간부터 먹이(F)를 가져가는(제거하는) 시간을 1/100초 단위로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동물의 손의 세밀한 운동기능의 변화정도를 세밀하게 관찰 및 평가할 수 있으므로, 손기능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시간측정부(380)는 검사부(300)의 전면부를 향하여 설치됨으로써, 검사자가 육안으로도 먹이(F)를 제거하는데 드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시간측정부(380)의 측정 단위가 장착위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센서부재(371)와 제2 센서부재(375)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먹이(F)의 제거 시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송부(미도시)와 데이터베이스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는 데이터베이스부(400)를 구현하기 위한 PC프로그램의 일례가 도시된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PC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400)를 구현하기 위한 일례이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0)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부는, 센서부(370)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실험동물의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고, 전송부를 통해 센서부(370)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입력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실험동물 정보 저장부(410)와 손 정보 저장부(420) 및, 검사 결과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험동물 정보 저장부(410)는, 실험동물의 정보가 입력되고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동물로 영장류인 원숭이가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원숭이들의 정보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 시에 평가대상이 되는 원숭이를 선택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손 정보 저장부(420)는, 실험동물의 왼손 및 오른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정보 저장부(420)는, 도시된 PC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검사패널(350)에 구비된 접속부(357)와 접속단자(374)가 연결되도록 선택함으로써, 검사대상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 또는 양손인지에 관한 손 정보를 선택 및 저장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저장부(430)는, 전송부로부터 센서부(37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실험동물이 각각의 먹이홈에서 먹이(F)를 제거하는 개수와 시간을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실험동물 정보 저장부(410)와 손 정보 저장부(420)에 저장된 정보에 매칭되는 손기능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 결과 저장부(430)는 도시된 PC 프로그램의 일례와 같이, 선택된 실험동물이 각각의 먹이홈(351, 352, 353, 354)에서 먹이(F)를 집는 시간을 개별로 정확하게 수집하고 기록(Logging)할 수 있다.
즉, 전송부는 제1 센서부재(371)와 제2 센서부재(375)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무선으로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간측정부(380)에서 측정한 정확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전송받은 신호를, 각각의 먹이홈(351, 352, 353, 354) 별로 표시하고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실험동물의 왼손과 오른손의 손기능을 동시에 평가 및 기록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동물의 손기능을 동시에 평가 및 기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100)는, 검사자가 육안으로 인식하고 기록할 필요없이, 센서부(370)와, 전송부와,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의해, 실험동물의 수행능력이 자동으로 감지되고 전송되고 기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평가를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손기능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는, 실험동물이 기존에 살고 있던 케이지에서 다른 검사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케이지의 앞문을 대응되는 사이즈의 장착판으로 교체함으로써, 실험동물의 케이지에서 손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도구와 검사방법이 단순하므로, 실험을 위해 실험동물을 적응시키고 훈련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험을 위해 실험동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이 생략되고, 실험동물이 검사도구에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으므로, 실험시간이 단축되고 실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가 양쪽에 형성되므로 실험동물의 양쪽 손의 손기능을 각각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패널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검사패널로 교체하여,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실험의 검사자가 육안으로 분석하는 경우에 비해, 실험동물이 먹이홈에 놓인 먹이를 집는 동작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손기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자가 육안으로 인식하고 기록할 필요없이, 센서부와, 전송부와, 데이터베이스부에 의해, 실험동물의 수행능력이 자동으로 감지되고 전송되고 기록될 수 있으므로,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평가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200 : 본체장착부
210 : 장착판 213 : 베이스부
215 : 테두리부 230 : 홀부
231 : 제1 관통홀 233 : 제2 관통홀
300 : 검사부 310 : 케이스부재
311 : 배면판 313 : 개구부
314 : 제1 개구 315 : 제2 개구
316 : 구획판 330 : 도어부재
331 : 제1 도어 333 : 제2 도어
350 : 검사패널 350a : 제1 검사판
350b : 제2 검사판 351, 352, 353, 354: 먹이홈
355: 단차부 356: 중심부
357: 접속부 370: 센서부
371: 제1 센서부재 372: 센서본체
373: 출입감지센서 374: 접속단자
375: 제2 센서부재 376: 먹이감지센서
380: 시간측정부 400: 데이터베이스부
410: 실험동물 정보 저장부 420: 손 정보 저장부
430: 검사 결과 저장부
F: 먹이 S : 수용공간
S1 : 제1 영역 S2 : 제2 영역

Claims (19)

  1. 실험동물이 생활하는 사육공간이 형성된 케이지에 설치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홀부가 관통 형성된 장착판을 포함하는 본체장착부; 및,
    상기 본체장착부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홀부에 대응되게 관통되어 상기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먹이가 수용되게 요입 형성된 복수의 먹이홈을 구비한 검사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실험동물이 상기 복수의 먹이홈에 수용된 먹이를 집는 동작을 분석하여 손기능을 검사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패널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먹이홈은, 서로 다른 직경과 깊이로 이루어진,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패널은, 상기 케이스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 구비된 상기 홀부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1 개구와,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검사패널은,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검사판과,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검사판을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직립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된 제1 영역과, 상기 제2 개구와 연통된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장착판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부재를 상기 장착판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배면판을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된 바닥판은,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재질을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상하로 형성된 설치레일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레일은, 상기 장착판의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부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부 레일과, 상기 장착판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하부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장착부는,
    상기 장착판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레일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상부 고정부재; 및,
    상기 장착판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레일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하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동작과, 상기 먹이홈에 수용된 먹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동물의 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에 부착되고, 소정 패턴으로 회로가 인쇄되며,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게 관통된 홀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출입감지센서가 장착되는, 센서본체; 및,
    상기 센서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검사패널과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검사패널에 구비된 상기 먹이홈에 설치되어, 상기 먹이홈에 수용되는 먹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먹이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홈의 바닥면에는, 먹이가 상기 제2 센서부재에 용이하게 감지되도록, 먹이가 안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하향경사진 단차부를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부재에 의해 상기 실험동물의 손이 감지된 시점과, 상기 제2 센서부재에 의해 각각의 상기 먹이홈에서 먹이가 없어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실험동물이 먹이를 제거하는데 드는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실험동물의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고,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받아, 입력된 상기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정보가 입력되고 저장되는, 실험동물 정보 저장부;
    상기 실험동물의 왼손 및 오른손 정보를 저장하는, 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전송부로부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실험동물이 각각의 상기 먹이홈에서 먹이를 제거하는 개수와 시간을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실험동물 정보 저장부와 상기 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매칭되는 손기능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기록하는, 검사 결과 저장부를 포함하는,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KR1020170130844A 2016-10-10 2017-10-10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KR102045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0718 2016-10-10
KR1020160130718 2016-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73A true KR20180039573A (ko) 2018-04-18
KR102045199B1 KR102045199B1 (ko) 2019-11-15

Family

ID=6208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844A KR102045199B1 (ko) 2016-10-10 2017-10-10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6574A (zh) * 2022-01-14 2022-04-22 湖南中医药大学 一种基于糖水偏爱的动物抑郁行为检测方法以及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860A (ja) * 2006-05-19 2007-11-29 Melquest:Kk 自動摂餌量測定装置
JP2015150004A (ja) * 2014-02-10 2015-08-2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860A (ja) * 2006-05-19 2007-11-29 Melquest:Kk 自動摂餌量測定装置
JP2015150004A (ja) * 2014-02-10 2015-08-2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6574A (zh) * 2022-01-14 2022-04-22 湖南中医药大学 一种基于糖水偏爱的动物抑郁行为检测方法以及检测装置
CN114376574B (zh) * 2022-01-14 2023-09-08 湖南中医药大学 一种基于糖水偏爱的动物抑郁行为检测方法以及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199B1 (ko)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8423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ata
CN206804677U (zh) 多通道荧光免疫分析仪
US7418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tanding timber
EP30888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jewellery and gems
US20160120153A1 (en) Animal test device
US20220018827A1 (en) Solution collection device with evaluation element
JP2009161899A5 (ko)
US9636046B2 (en) Diagnosis system and method
CN105919606A (zh) 一种快速便捷检测作业疲劳度的设备及方法
CN110462385A (zh) 用于改进生理测量的可用性和准确性的方法
BRPI0414360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inspecionar e calcular a resistência residual de um cabo de suspensão de fibra de aramida que aciona um elevador
KR20180039573A (ko) 실험동물의 손기능 검사장치
CN104159812A (zh) 开闭体用检查装置以及开闭体用检查方法
CN106037765A (zh) 一种快速便捷检测作业疲劳度的方法
CN105246404A (zh) 测试条的直接温度测量
KR101388834B1 (ko) 검체 분석 장치
Nelson Literature survey of structural weighting of polygraph signals: why double the EDA
JP4785130B2 (ja) 生体光計測装置の検査装置
CN108051398B (zh) 用于全透射光在农产品中探测距离的测量系统
EP2142912B1 (en) Detection of bacteria or somatic cells in organic samples by atp based luminescence
Schumann et al. Acculturation in epidemiological research among migrant po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CN207717771U (zh) 利用移动装置进行生理特性检测的配件和供移动装置检测测试条之特性的配件
KR20220112709A (ko) 실험동물의 손기능 평가장치
KR102287776B1 (ko)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탄소-케블라 하이브리드 직물의 충격손상 감지 및 충격자 형상 예측 방법 및 장치
CN103968754A (zh) 一种自动激光测尺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