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555A - Beauty care apparatus - Google Patents

Beauty car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555A
KR20180039555A KR1020170089921A KR20170089921A KR20180039555A KR 20180039555 A KR20180039555 A KR 20180039555A KR 1020170089921 A KR1020170089921 A KR 1020170089921A KR 20170089921 A KR20170089921 A KR 20170089921A KR 20180039555 A KR20180039555 A KR 2018003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kin
unit
stretch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5119B1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PCT/KR2017/0093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6814A1/en
Publication of KR2018003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5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61H15/0085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61N1/3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6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freely rotating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8Te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uty care apparatus. The beauty ca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etching unit stretching the skin of a user by touching the skin; and a housing combined to one end of the stretching unit to be used as a handle for the user. The stretching unit includes: a curved surface structure touching the skin and stretching the skin; and a combination structure having one end combined to the curved surface structure and the other end combined to the housing.

Description

미용장치{BEAUTY CARE APPARATUS}BEAUTY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미용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ut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kin beauty.

근래에 들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얼굴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영양분을 피부에 꾸준하게 공급하거나 피부에 쌓여 있는 노폐물 또는 독소를 제거할 수도 있고, 정체되어 있는 호르몬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recent years, interest in appearance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interest in facial skin is increasing. In order to manage facial skin, it is possible to steadily supply nutrients to the skin, to remove waste products or toxins accumulated on the skin, or to allow smooth circulation of stagnant hormones.

얼굴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은 화장품 또는 비타민 등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것이며, 노폐물 또는 독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화장품이나 마사지, 찜질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피부를 좀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위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 미용 기기는 특정의 광원을 피부에 주사하는 기기,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또는 프로브에서 방사되는 이온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The method of supplying nutrients to the facial skin is to infiltrate the skin with cosmetics or vitamins, and the method of removing waste products or toxins can be carried out through cosmetics, massage, fomentation,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skin beauty devices that can be used easily to develop more effective skin care have been developed. Such a skin-beauty apparatus is disclosed in a device for scanning a skin with a specific light source, a device performing a massage function using a vibration motor, or a device for facilitating blood circulation by using ions or currents emitted from a probe .

그러나, 얼굴 피부와 관련해서 다양한 화장품 및 미용 기기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목, 이마 또는 눈가 등의 주름을 제거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화장품 또는 미용 기기의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목의 피부는 다른 피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는 점에서, 목의 피부 탄력이 감소하여 목 주름이 생기거나 처진 턱살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한 번 감소된 피부 탄력에 의해 형성된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은 이를 회복시키거나 완화시키기가 상당히 어렵다. However, although various cosmetic and beauty devices are known in connection with the facial skin, the effect of cosmetics or cosmetic devices for removing or alleviating the wrinkles of the neck, forehead or eyes is insignificant. Particularly, since the skin of the neck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s compared with other skin, the skin elasticity of the neck is reduced, so that neck wrinkles or swollen jaws are likely to be formed. Also, neck wrinkles or staggered tucks formed by reduced skin elasticity once are extremely difficult to restore or allevia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노화에 따라 얼굴에 생기는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 등의 피부 노화를 제거 또는 억제시키기 위한 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device for removing or suppressing skin aging such as neck wrinkles or drooping jaws on the face caused by aging of the ski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및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smetic device comprising: a stretching part contacting a skin to stretch the skin; And a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stretching part and functioning as a handle of a user, wherein the stretching part comprises: a curved structure for stretching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coupling structure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curved surface structure and the other end coupling with the housing.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 상기 스트레칭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출력부;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류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전류 출력부의 전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smetic device comprising: a stretching part contacting a skin to stretch the skin; A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stretching part and serving as a handle of a user; An electrode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stretching unit and applying current to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A current output unit for supplying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unit and the current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urrent output operation of the current output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레칭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얼굴 부위에 대한 피부 신장 및 피부 수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굴 부위의 피부 탄력을 회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목 주름, 처진 턱살, 이마 주름, 눈가 주름 등의 제거 또는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skin elasticity of the face region by allowing the skin stretching and skin contraction to occur in the face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unit, and thereby the skin elasticity of the face region can be restored, And the like.

또한,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과 같은 피부 노화가 발생하는 부위의 진피층에 고주파 전류 또는 미세 전류 등을 인가함으로써, 진피층의 생체 전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처진 턱살이나 이중턱의 지방 세포를 분해시킬 수 있으며, 콜라겐 합성, 혈액순환 개선 및 내분비를 활성화하여 목 주름의 제거 또는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칭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목 부위의 피부를 신장 및 수축시키면서 동시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의 제거 또는 감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high-frequency current or a microcurrent to the dermal layer at the site where skin aging occurs, such as neck wrinkles or drooping jaws, the biological current of the dermal layer can be activated, And can induce collagen synthesis,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endocrine activation, thereby eliminating or reducing neck wrinkle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electric current while stretching and contracting the skin of the neck part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part, the effect of removing or reducing the neck wrinkles or the drooping jaws can be doubled.

또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부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고, 아울러, 피부 영상 위에 피부 노화 정도에 따른 특징점들 또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피부 미용을 위한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화면 상에 표시된 특징점들 또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참조하여 미용 장치를 조작할 수 있므로, 피부 미용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ki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feature points or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kin aging degree are superimposed on and displayed on the skin imag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posi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beauty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feature points or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skin beau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막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하우징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미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기판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막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b에 도시된 전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전극부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들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7a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2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카메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미용 장치의 본체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0a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피부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피부 영상에 피부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특징점들 및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가 중첩된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sme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2A in various directions.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3A in various directions.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4A in various directions.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5A in various directions.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art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d body shown in FIG. 6A, and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structure shown in FIG. 6A.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housing assembly shown in FIG. 7A.
8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au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PCB circuit board mounted in the housing shown in FIG. 8A.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9A in various directions.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10A in various directions.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reference view of a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11A in various directions.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unit shown in FIG. 12A in various directions.
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d body shown in FIG. 13A, and FIG. 13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structure shown in FIG. 13A.
FIG. 1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housing assembly shown in FIG. 14A.
FIG. 15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current output unit shown in FIG. 8B.
16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electrode members constituting the electrode portion.
17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 connection portion, and FIG. 17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connector por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beauty device.
FIG. 20A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ski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driving a skin image application, FIG. 20B is a view illustrating a skin image shown in FIG. 20A in which feature points indicating the degree of skin aging and a stretching direction image are superimposed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lso, the terms "and" 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between . 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용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eaut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미용 장치(100)는 스트레칭부(110), 지지부(120) 또는 하우징(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용 장치(100)는 지지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지지부(120)는 미용 장치(100)의 필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2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트레칭부(110)와 하우징(12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스트레칭부(110)와 하우징(130)이 나사 결합 방식 또는 삽입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용 장치(100)의 구성 요소로서, 스트레칭부(110) 및 하우징(130)과 함께 지지부(120)를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airdr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retching part 110, a supporting part 120, and a housing 130. On the other hand, the beauty device 100 shown in Fig. 1 shows a structure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120,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The supporting part 120 does not correspond to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hairdressing device 100 and may include only the stretching part 110 and the housing 120 when the supporting part 120 is not provided, And the housing 13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in a screw coupling manner or an insertion coupling manner.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upport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stretching unit 110 and the housing 130 as components of the beauty device 100. FIG.

스트레칭부(110)는 피부에 접하여 피부를 신장 및/또는 수축시킨다. 이를 위해, 스트레칭부(110)는 곡면 구조체 및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구조체는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구조체는 피부 중에서 목 또는 얼굴의 피부를 감싸기 위해 굴곡을 이루는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구조체는 목 또는 얼굴의 피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 분할형 곡면체 또는 비대칭형 곡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조체는 곡면 구조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는 후술할 다양한 스트레칭부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이 지지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가 분리되고 다른 스트레칭부들이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stretching portion 110 is in contact with the skin to stretch and / or contract the skin. To this end, the stretch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curved structure and a coupling structure. The curved structure may include a curved shape that stretches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curved structure may include curved shapes to wrap the skin of the neck or face in the skin. For example, the curved structure may include a symmetric curved body, a divisible curved body, or an asymmetric curved body that surrounds at least part of the skin of the neck or face. The coupling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curved structure and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20. The stretching part 110 shown in FIG. 1 illustrates a state where any one of various types of stretching parts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art 120. The stretching part 110 shown in FIG. 1 is separated Other stretches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120.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a)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a)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part 110a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reference view of a stretching part 110a shown in FIG. 2A in various directions.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a)는 일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 및 결합 구조체(110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110a-11, 110a-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는 C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대칭형 곡면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stretching portion 110a may include a first symmetrical curved surface 110a-1 and a coupling structure 110a-2, which are curved surfaces of an embodiment.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may include a plate-like curved surface 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In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both end portions 110a-11 and 110a-12 of the plate end contacting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symmetric curved surface 110a-1 may be a C-shaped or U-shaped symmetrical curved surface.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의 양 단부들(110a-11, 110a-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S)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110a-11, 110a-12)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는 스트레칭부(110a)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a-11, 110a-12) 사이의 거리(D)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a-11, 110a-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curved surface S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is extended at both ends 110a-11 and 110a-12 of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110a-11, and 110a-12 may face each other.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tance D between the both ends 110a-11 and 110a-12 of the curved body in the waiting state before the start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portion 110a is minimized State,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110a-11, 110a-12 of the curved body can be elongated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a-2)와 결합되어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의 타측(예를 들어, 대칭형 곡면체(110a-1)의 중앙 부분)은 결합 구조체(110a-2)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부재 또는 삽입 부재 등을 이용해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may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To be inserted or screwed together.

결합 구조체(110a-2)는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구조체(110a-2)는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삽입 부재 또는 나사 부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a-2)는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is coupled to the first symmetric curved surface 110a-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may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rst symmetric curved member 110a-1, or may be coupled by an insertion member, a screw member,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that allows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member 110a-1 to freely rotate while the first symmetric curved member 110a-1 is connected.

또한, 결합 구조체(110a-2)는 지지부(120)와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 구조체(110a-2)는 지지부(120)와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결합 구조(110a-21)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조체(110a-2)는 지지부(12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지부(120)와 결합하기 위해 볼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삽입 결합을 위한 돌출 구조 또는 홈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구조체(110a-2)는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이외에도 원터치 방식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는 원기둥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각 기둥, 육각 기둥 등 다양한 다각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20 by insertion or screw coupling.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includes a coupling structure 110a-21 tha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120. [ As shown in FIG. 2A,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includes a nut structure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support 120,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may include a bolt structure for engagement with the support 120 Or may include a protruding structure or a groove structure for insertion coupling. Further,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coupled and separated by a one-touch method other than a screw coupling or an insertion coupling. In addition, although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 2A shows a cylindrical shape, it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include various polygonal columns such as a rectangular column and a hexagonal column.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a-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a-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ing part 120,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1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1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b)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b)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etching part 110b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part 110b shown in FIG. 3A in various directions.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b)는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 및 결합 구조체(11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110b-11, 110b-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3A and 3B, the stretching portion 110b may include a second symmetrical curved surface 110b-1, which is a curved surfac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and a coupling structure 110b-2. The second symmetrical curved body 110b-1 may include a surface S having a plate-shaped curvature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In this second symmetrical curved body 110b-1, both end portions 110b-11 and 110b-12 of the plate end in contact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의 양 단부들(110b-11, 110b-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절곡 횟수 및 절곡되는 각도는 스트레칭부(110b)가 접촉하는 피부의 굴곡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칭부(110b)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b-11, 110b-12) 사이의 거리(D)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b-11, 110b-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b-2)와 결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both end portions 110b-11 and 110b-12 of the second symmetric curved body 110b-1 are curved in a curved surface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one or two or more times, (B)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both ends face each other.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and the angle of bend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ending form of the skin that the stretching part 110b contacts. Like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shown in Fig. 2A and Fig. 2B, the second symmetrical curved body 110b-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curved body in the waiting state before the start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portion 110b (110b-11, 110b-12) of the curved body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while keeping the contraction state such that the distance (D) 12 can be stretche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ymmetrical curved body 110b-1 is coupled to the coupling structure 110b-2.

결합 구조체(110b-2)는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110b-2)의 특징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upling structure 110b-2 is coupled to the second symmetric curved surface 110b-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 120.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structure 110b-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b-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b-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 part 120, the coupling structure 110b-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1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110b-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1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c)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c)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part 110c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reference view of a stretching part 110c shown in FIG. 4A in various directions.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c)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 및 결합 구조체(110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는 대칭형 곡면체들(110a-1, 110b-1)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110c-11, 110c-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4A and 4B, the stretching portion 110c may include a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and a coupling structure 110c-2, which are curved surface structures of another embodiment. Like the symmetrical curved surfaces 110a-1 and 110b-1,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may include a plate-shaped curved surface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The end portions 110c-11 and 110c-12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110c-11, 110c-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대칭형 곡면체들(110a-1, 110b-1)과 달리,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110c-11, 110c-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 단부들(110c-11, 110c-12) 모두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로 형성된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110c-11, 110c-12)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는 4개의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110c-121, 110c-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쪽 단부들이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은 각각 3개 이상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4A and 4B,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are extended at both ends 110c-11 and 110c-12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Lt; / RTI > However, unlike the symmetrical curved surfaces 110a-1 and 110b-1, at least one of the both ends 110c-11 and 110c-12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110c-11, 110c-12) may be divided and form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end portions. For example, both ends 110c-11, 110c-12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body 110c-1 may b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parated into two divided ends, The curved surface 110c-1 may include four divided end portions 110c-111, 110c-112, 110c-121, and 110c-122. However, it is only an example that both ends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body 110c-1 are divided into two divided end portions, and both ends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body 110c-1 are each divided into three or more Or may be separated into split ends.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경우에도 스트레칭부(110c)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c-11, 110c-12)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c-11, 110c-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한쪽 단부(110c-11)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사이의 거리(D1)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다른쪽 단부(110c-12)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c-121, 110c-122) 사이의 거리(D2)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c-121, 110c-12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에서 단부들(110c-11, 110c-12)의 신장 및 수축 방향은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또는 분할 단부들(110c-121, 110c-122) 각각의 신장 및 수축 방향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body 110c-1,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110c-11 and 110c-12 of the curved body in the waiting state before the start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portion 110c is minimized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110c-11, 110c-12 of the curved body can be elongated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At this tim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divisional end portions 110c-111 and 110c-112 forming the one end portion 110c-11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is also minimized in the standby mo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ends 110c-111, 110c-112 can be stretched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mode. The distance D2 between the divisional end portions 110c-121 and 110c-122 forming the other end portion 110c-12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is also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ends 110c-121, 110c-122 can be stretched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mode.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directions of the end portions 110c-11 and 110c-12 in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are equal to each other at the division ends 110c-111 and 110c-112 or the division ends 110c- 121, and 110c-122, respectively.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는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110c-121, 110c-122)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측부의 일측에 절개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 홈(G)은 분할 단부들이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경우에 홈 간격이 증감될 수 있다. 절개 홈(G)의 개수는 분할 단부들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c-2)와 결합되어 있다.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is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viding ends 110c-111, 110c-112, 110c-121, and 110c-122 is easy to shrink and stretch, 110c-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utting gap G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case where the split ends are elongated or contracted by contact with the skin. The number of the incision grooves G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ach of the divisional end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structure 110c-2.

결합 구조체(110c-2)는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110c-2)의 특징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upling structure 110c-2 is coupled to the first dividing curved surface 110c-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20.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structure 110c-2 are also the same as those of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c-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c-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ing part 120, the coupling structure 110c-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1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110c-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1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d)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d)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portion 110d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portion 110d shown in FIG. 5A in various directions.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d)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 및 결합 구조체(110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110d-11, 110d-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5A and 5B, the stretching portion 110d may include a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which is a curved surfac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and a coupling structure 110d-2. The second dividing curved body 110d-1 may include a plate-shaped curved surface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The two end portions 110d-11 and 110d-12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110d-11, 110d-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절곡 횟수 및 절곡되는 각도는 스트레칭부(110d)가 접촉하는 피부의 굴곡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both end portions 110d-11 and 110d-12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are curved in a curved surface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and the angle of ben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bending form of the skin that the stretching portion 110d contacts.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110d-11, 110d-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 단부들(110d-11, 110d-12)는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을 갖는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110d-11, 110d-12)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는 4개의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110d-121, 110d-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쪽 단부들이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은 각각 3개 이상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end or both ends 110d-11 and 110d-12 of both ends 110d-11 and 110d-12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body 110d-1 are divided to divide a plurality of division ends . For example, both end portions 110d-11 and 110d-12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body 110d-1 may b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parated into two divided end portions, The curved surface 110d-1 may include four divided end portions 110d-111, 110d-112, 110d-121, and 110d-122. However, it is only an example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body 110d-1 are divided into two divided end portions, and both ends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body 110d-1 are each provided with three or more Or may be separated into split ends.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경우에도 스트레칭부(110d)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d-11, 110d-12)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d-11, 110d-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한쪽 단부(110d-11)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사이의 거리(D1)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다른쪽 단부(110d-12)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d-121, 110d-122) 사이의 거리(D2)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d-121, 110d-12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에서 단부들(110d-11, 110d-12)의 신장 및 수축 방향은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또는 분할 단부들(110d-121, 110d-122) 각각의 신장 및 수축 방향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body 110d-1,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110d-11 and 110d-12 of the curved body in the standby state before star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portion 110d is minimized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110d-11 and 110d-12 of the curved body can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At this tim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divisional end portions 110d-111 and 110d-112 forming the one end portion 110d-11 of the second divisional curved body 110d-1 is also minimized in the standby mo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ends 110d-111, 110d-112 may be stretched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mode. The distance D2 between the divisional end portions 110d-121 and 110d-122 forming the other end portion 110d-12 of the second divisional curved body 110d-1 is also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ends 110d-121, 110d-122 can be stretched in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perating mode. Accordingly,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end portions 110d-11 and 110d-12 in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can be adjusted by dividing ends 110d-111 and 110d-112 or dividing ends 110d- 121, and 110d-122, respectively.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는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110d-121, 110d-122)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측부의 일측에 절개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 홈(G)은 분할 단부들이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경우에 홈 간격이 증감될 수 있다. 절개 홈(G)의 개수는 분할 단부들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d-2)와 결합되어 있다.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is formed so as to have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11, 110d-112, 110d-121, and 110d-122, 110d-1 may include a cut-out groove G at one side thereof. The cutting gap G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case where the split ends are elongated or contracted by contact with the skin. The number of the incision grooves G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ach of the divisional end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is coupled to the coupling structure 110d-2.

결합 구조체(110d-2)는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110d-2)의 특징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upling structure 110d-2 is coupled to the second dividing curved surface 110d-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20.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structure 110d-2 are also the same as those of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d-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d-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ing part 120, the coupling structure 110d-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1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110d-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1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곡면 구조체는 전술한 대칭형 곡면체 및 분할형 곡면체 이외에 비대칭형 곡면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대칭형 곡면체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한 면으로 구성되며, 면의 단부는 하나 또는 2개일 수 있다. 2개의 단부들을 갖는 비대칭형 곡면체는 단부들이 비대칭의 형태일 수 있다. The curved surface structure may include an asymmetric curved surface in addition to the symmetric curved surface and the divided curved surface. The asymmetric curved body is constituted by a surface for wrapping at least part of the skin, and the end of the surface may be one or two. The asymmetric curved body having two ends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of the ends.

전술한, 곡면 구조체들은 탄성 재질, 실리콘 재질, 합성 수지계 재질, 고분자 탄성 재질, 금속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곡면 구조체들의 재질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일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urved structures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a silicone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polymer elastic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 of the above-described curved structure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capable of elongating or contracting.

전술한 다양한 곡면 구조체들의 양 단부들은 피부와 접촉하는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 부재의 소재는 금속 재질 또는 생체 적합성 재질일 수도 있다. 또한, 곡면 구조체들의 양 단부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롤러는 곡면 구조체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에 정지하고, 곡면 구조체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에 회전하는 프리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은 곡면 구조체가 목을 감싸는 이동 방향일 수 있고, 제2방향은 곡면 구조체가 목을 감싸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이동 방향일 수 있다.Both ends of the various curved structure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n abut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material of the contact member may be a metal material or a biocompatible material.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curved structure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rotating rollers. The rotating roller may include a freewheel that stops when the curved structure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rotates when the curved structure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movement direction in which the curved structure surrounds the neck,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movement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ved structure surrounds the neck.

지지부(120)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스트레칭부(110) 및 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있다. 막대 형태의 양 단부들이 각각 스트레칭부(110) 및 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지지부(120)는 하우징(130)으로부터 스트레칭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120 may be in the form of a rod and is coupled to the stretching portion 110 and the housing 130. The support portion 120 can support the stretching portion 110 from the housing 130 because both ends of the rod shape are coupled to the stretching portion 110 and the housing 130, respectively.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부(1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막대 본체(121) 및 회전 구조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A, the support 120 may include a rod body 121 and a rotary structure 122.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막대 본체(121)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122)의 사시도이다.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d body 121 shown in FIG. 6A, and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structure 122 shown in FIG. 6A.

도 6b를 참조하면, 막대 본체(121)의 일단(121-1)은 스트레칭부(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121-2)은 회전 구조체(122)와 결합될 수 있다. 막대 본체(121)의 일단(121-1)은 스트레칭부(1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막대 본체(121)의 일단(121-1)은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스트레칭부(1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스트레칭부(110)와의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는 스트레칭부(110)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나사 방식, 삽입 방식, 원터치 방식을 포함하는 탈부착 방식을 사용해 스트레칭부(110)를 부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121)의 타단(121-2)은 회전 구조체(122)와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막대 본체(121)의 타단(121-2)은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 홀(121-21)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one end 121-1 of the rod body 121 may be engaged with the stretching part 110, and the other end 121-2 may be engaged with the rotary structure 122. One end 121-1 of the rod body 121 may include a structure f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stretching part 110. [ That is, one end 121-1 of the rod body 121 can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tretching part 110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a screw coupling, an insertion coupling, a one-touch coupling, And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housing 110. The structure facilitating detachment and attach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d body 121 that engages with the stretching part 110 and is used to attach or detach the stretching part 110 using a detachable attachment method including a screw type, . In addition, the other end 121-2 of the rod body 121 may be coupled to the rotary structure 122 in a hinge structure. To this end, the other end 121-2 of the rod body 121 may include a first hinge hole 121-21 for hinge connection.

회전 구조체(122)는 막대 본체(121)와 결합시에 지지부(1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막대 본체(12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구조체(122)의 일단(122-1)은 막대 본체(121)의 타단(121-2)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 구조 즉, 제2 힌지 홀(12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조체(122)의 일단(122-1)은 제2 힌지 홀(122-11)에 삽입되어 막대 본체(121)의 제1 힌지 홀(121-21)과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 핀(1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22)의 타단(122-3)은 하우징(130)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22)의 타단(122-3)은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하우징(130)과 결합할 수 있다. The rotary structure 122 include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rod body 121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120 when the rod body 121 is engaged with the rod body 121. To this end, one end 122-1 of the rotary structure 122 may include a hinge structure, i.e., a second hinge hole 122-11, for engaging with the other end 121-2 of the rod body 121 . One end 122-1 of the rotary structure 1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hole 122-11 and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hole 121-21 of the rod body 121, (122-2). The other end 122-3 of the rotary structure 122 may include a structure for engaging with the housing 130. [ The other end 122-3 of the rotary structure 122 can be engaged with the housing 130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a screw coupling or an insertion coupling.

전술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막대 본체(121) 및 회전 구조체(12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막대 본체(121)의 회전을 위해 회전 구조체(122)는 다양한 회전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rod body 121 and the rotary structure 122 shown in Figs. 6A to 6C is exemplary and the rotary structure 122 for rotation of the rod body 121 includes various rotational coupling structures can do.

하우징(130)은 지지부(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담당한다. The housing 1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120 and serves as a handle of the user.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하우징(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130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130)은 하우징 본체(131) 및 하우징 결합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housing 130 may include a housing main body 131 and a housing coupling body 132.

하우징 본체(1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형태 또는 막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경우에 우수한 그립감을 위해 손가락 굴곡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31)는 복수의 덮개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덮개 부재들은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포함하는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131)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housing main body 131 may include a grip shape or a rod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s hand. In addition, the housing main body 131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finger bending is formed for an excellent grip feeling when gripped by a user's hand. Further, the housing main body 13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d members. The plurality of cover member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thod including an insertion or a screw connection. Meanwhile, the shape of the housing main body 131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132)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housing assembly 132 shown in FIG. 7A.

도 7b를 참조하면, 하우징 결합체(132)는 하우징 본체(1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결합체(132)는 지지부(12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부재 또는 삽입 결합을 위한 삽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b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13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지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the housing assembly 13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31. The housing coupling 132 may include a nut member for screwing with the support 120 or an insertion member for insertion coupling. However, the housing coupling 132 shown in FIG. 7B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include various structures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120. FIG.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미용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기판(P)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auty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PCB circuit board P mounted in the housing shown in FIG. 8A.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미용 장치(200)는 스트레칭부(210), 지지부(220) 및 하우징(230), 전력 공급부(240),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전극부(270), 연결부(2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용 장치(200)는 통신부(298)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300, 도 19 참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8A and 8B, the beauty device 200 includes a stretching part 210, a support part 220 and a housing 230, a power supply part 240, a control part 250, a current output part 260, A user interface unit 290, a camera unit 295, and a communication unit 298. The communication unit 298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8A and 8B, the beauty apparatus 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300 (see FIG. 19)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98. The display unit 300 shown in FIG.

한편, 도 8a에 도시된 미용 장치(200)는 지지부(220)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지지부(220)는 미용 장치(200)의 필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22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구성요소들만으로 미용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용 장치(200)의 구성 요소로서,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지지부(220)를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eauty device 200 shown in Fig. 8A shows a structure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220,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The support unit 220 does not correspond to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beauty device 200 and the beauty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components only when the support unit 220 is not provid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upport unit 22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other components as a component of the beauty device 200. FIG.

스트레칭부(210)는 피부에 접하여 피부를 신장 및/또는 수축시킨다. 이를 위해, 스트레칭부(210)는 곡면 구조체 및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구조체는 목의 피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 비대칭형 곡면체 또는 분할형 곡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조체는 곡면 구조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는 후술할 다양한 스트레칭부들 중 하나의 타입이 지지부(22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8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가 분리되고 다른 스트레칭부들이 지지부(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stretching portion 210 contacts the skin to stretch and / or contract the skin. To this end, the stretch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curved structure and a coupl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curved structure may include a symmetrical curved body, an asymmetric curved body, or a dividing curved body that surrounds at least part of the skin of the neck. The coupling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curved structure and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 220. 8A illustrates a state where one type of various stretching parts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art 220. The stretching part 210 shown in FIG. The stretching portions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220.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a)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a)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part 210a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reference view of a stretching part 210a shown in FIG. 9A in various directions.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a)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 및 결합 구조체(210a-2)를 포함할 수 있다. 9A and 9B, the stretching portion 210a may include a third symmetrical curved surface 210a-1 and a coupling structure 210a-2, which are curved surface structures of another embodiment.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210a-11, 210a-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칭형 곡면체(110a-1)는 C 형태 또는 U 형태의 대칭형 곡면체일 수 있다. 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1 may include a plate-shaped curved surface 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In the third symmetric curved body 210a-1, both end portions 210a-11 and 210a-12 of the plate end contacting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ymmetric curved surface 110a-1 may be a C-shaped or U-shaped symmetrical curved surface.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달리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양 단부들(210a-11, 210a-12)에 전극부(270a)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1 shown in Figs. 9A and 9B is similar to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shown in Figs. 2A and 2B described above in that 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de 210a-1 is omitted. However, 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1 shown in Figs. 9A and 9B differs from the first symmetrical curved body 110a-1 shown in Figs. 2A and 2B in that the amount of 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1 And further includes an electrode portion 270a at the end portions 210a-11 and 210a-12. The electrode unit 270a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결합 구조체(210a-2)는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a-2)는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210a-2 is connected to the third symmetric curved surface 210a-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220. The coupling structure 210a-2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that allows the third symmetric curved body 210a-1 to freely rotate while the third symmetric curved body 210a-1 is coupled.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a-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a-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a-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a-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oupling structure 210a-2 shown in Figs. 9A and 9B is similar to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structure will be omitted. However, unlik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the coupling structure 210a-2 shown in FIGS. 9A and 9B is different from the coupling structure 210a-2 shown in FIGS. A component can be formed. The connection unit 28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a-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a-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ing part 220, the coupling structure 210a-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2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210a-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2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b)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b)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etching part 210b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reference view of the stretching part 210b shown in FIG. 10A in various directions.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b)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 및 결합 구조체(210a-2)를 포함할 수 있다. 10A and 10B, the stretching portion 210b may include a fourth symmetrical curved surface 210b-1, which is a curved surfac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and a coupling structure 210a-2.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210b-11, 210b-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의 양 단부들(210b-11, 210b-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1 may include a plate-like curved surface 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In this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1, both end portions 210b-11 and 210b-12 of the plate end in contact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Both end portions 210b-11 and 210b-12 of 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1 extend from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after being bent (B)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urvature direction once or twice or more times Both ends may be facing each other.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는 전술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대칭형 곡면체(110b-1)와 달리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의 양 단부들(210b-11, 210b-12)에 전극부(270b)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1 shown in Figs. 10A and 10B is similar to the second symmetrical curved body 110b-1 shown in Figs. 3A and 3B described above in that 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structure of the second housing 210b-1 is omitted. However, 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1 shown in Figs. 10A and 10B is different from the symmetrical curved body 110b-1 shown in Figs. 3A and 3B in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 (210b-11, 210b-12). The electrode unit 270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결합 구조체(210b-2)는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b-2)는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칭형 곡면체(210b-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is connected to the fourth symmetric curved surface 210b-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 220. [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that allows the symmetric curved body 210b-1 to freely rotate while the fourth symmetrical curved body 210b-1 is connected.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b-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b-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b-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b-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oupling structure 210b-2 shown in Figs. 10A and 10B is similar to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and 2B described above in that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unlik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shown in FIGS. 10A and 10B is different from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shown in FIGS. A component can be formed. The connection unit 28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b-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b-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ing part 220,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2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210b-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2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c)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c)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portion 210c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reference view of a stretching portion 210c shown in FIG. 11A in various directions.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c)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 및 결합 구조체(210c-2)를 포함할 수 있다. 11A and 11B, the stretching portion 210c may include a third dividing curved surface 210c-1, which is a curved surfac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and a coupling structure 210c-2.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대칭형 곡면체들(210a-1, 210b-1)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210c-11, 210c-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Like the symmetrical curved surfaces 210a-1 and 210b-1, the third dividing curved surface 210c-1 may include a plate-like curved surface 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The end portions 210c-11 and 210c-12 of the third divided curved surface 210c-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양 단부들(210c-11, 210c-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단부 또는 양 단부들(210c-11, 210c-12) 모두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로 형성된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양 단부들(210c-11, 210c-12)은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4개의 분할 단부들(210c-111, 210c-112, 210c-121, 210c-122)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at least one or both ends 210c-11 and 210c-12 of both ends 210c-11 and 210c-12 of the third dividing curved body 210c- 1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end portions. For example, both end portions 210c-11 and 210c-12 of the third dividing curved body 210c-1 may be separated into two divided end por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third dividing curved body 210c- 1 may include four split ends 210c-111, 210c-112, 210c-121, 210c-122.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전술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와 달리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분할 단부들(210c-111, 210c-112, 210c-121, 210c-122)에 전극부(270c)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c)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third dividing curved body 210c-1 shown in Figs. 11A and 11B is similar to the first dividing curved body 110c-1 shown in Figs. 4A and 4B,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dividing curved surface 210c-1 is omitted. However, the third divided curved body 210c-1 shown in Figs. 11A and 11B differs from the first divided curved body 110c-1 shown in Figs. 4A and 4B in that the third divided curved body 210c-1 210c-112, 210c-121, and 210c-122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a-210c. The electrode unit 270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결합 구조체(210c-2)는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c-2)는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210c-2 is connected to the third splitting curved body 210c-1 and includes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support 220. [ The joining structure 210c-2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that allows the third dividing curved body 210c-1 to freely rotate while the third dividing curved body 210c-1 is connected.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c-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c-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c-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c-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oupling structure 210c-2 shown in Figs. 11A and 11B is similar to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structure will be omitted. However, unlik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the coupling structure 210c-2 shown in FIGS. 11A and 11B is different from the coupling structure 210c shown in FIGS. A component can be formed. The connection unit 28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c-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c-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ing part 220, the coupling structure 210c-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2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210c-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230 by inserting or screwing.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d)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d)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portion 210d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reference view of a stretching portion 210d shown in FIG. 12A in various directions.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d)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 및 결합 구조체(210d-2)를 포함할 수 있다. 12A and 12B, the stretching portion 210d may include a fourth dividing curved surface 210d-1, which is a curved surfac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and a coupling structure 210d-2.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1 may include a plate-like curved surface 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kin. The end portions 210d-11 and 210d-12 of the fourth divided curved surface 210d-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절곡 횟수 및 절곡되는 각도는 스트레칭부(210d)가 접촉하는 피부의 굴곡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A and 12B, both end portions 210d-11 and 210d-12 of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1 are curved in a curved surface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and the angle of bend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ending form of the skin that the stretching portion 210d contacts.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양 단부들(210d-11, 210d-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을 갖는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4개의 분할 단부들(210d-111, 210d-112, 210d-121, 210d-122)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end or both ends 210d-11 and 210d-12 of the both ends 210d-11 and 210d-12 of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1 are divided to form a plurality of division ends . For example, both ends 210d-11 and 210d-12 of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1 may be separated into two divided end por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 1 may include four split ends 210d-111, 210d-112, 210d-121, 210d-122.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전술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와 달리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분할 단부들(210d-111, 210d-112, 210d-121, 210d-122)에 전극부(270d)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d)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ourth splittable curved body 210d-1 shown in Figs. 12A and 12B is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second splittable curved body 110d-1 shown in Figs. 5A and 5B,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dividing curved surface 210d-1 is omitted. However, the fourth divisional curved body 210d-1 shown in Figs. 12A and 12B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divisional curved body 110d-1 shown in Figs. 5A and 5B in that the fourth divisional curved body 210d-1 210d-112, 210d-121, and 210d-122 of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210d-111, 210d-121, and 210d-122. The electrode unit 270d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결합 구조체(210d-2)는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d-2)는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210d-2 is coupled to the fourth dividing curved surface 210d-1 and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upporting portion 220. The joining structure 210d-2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that allows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1 to freely rotate while the fourth dividing curved body 210d-1 is engaged.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d-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d-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d-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d-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joining structure 210d-2 shown in Figs. 12A and 12B is similar to the joining structure 210d-2 shown in Figs. 2A and 2B,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structure will be omitted. However, unlike the coupling structure 110a-2 shown in FIGS. 2A and 2B, the coupling structure 210d-2 shown in FIGS. 12A and 12B is different from the coupling structure 210d- A component can be formed. The connection unit 28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d-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d-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eauty device not including the support part 220, the coupling structure 210d-2 can directly couple with the housing 2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210d-2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230 by insertion or screw connection.

지지부(220)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막대 형태의 양단부가 스트레칭부(210)와 하우징(230)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20)는 하우징(230)으로부터 스트레칭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220 may be in the form of a rod, and both end portions in the form of a rod are coupled to the stretching portion 210 and the housing 230. Accordingly, the support part 220 can support the stretching part 210 from the housing 230.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2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지지부(220)는 막대 본체(221) 및 회전 구조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220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A, the support 220 may include a bar body 221 and a rotary structure 222.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막대 본체(221)의 사시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222)의 사시도이다.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d body 221 shown in FIG. 13A, and FIG. 13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structure 222 shown in FIG. 13A.

도 13b를 참조하면,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은 스트레칭부(2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221-2)은 회전 구조체(222)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B, one end 221-1 of the rod body 221 can be engaged with the stretching part 210, and the other end 221-2 can be engaged with the rotation structure 222. FIG.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은 스트레칭부(2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은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스트레칭부(2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스트레칭부(210)와의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는 스트레칭부(110)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나사 방식, 삽입 방식, 원터치 방식을 포함하는 탈부착 방식을 사용해 스트레칭부(110)를 부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의 타단(221-2)은 회전 구조체(222)와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막대 본체(221)의 타단(221-2)은 힌지 결합을 위한 제3 힌지 홀(221-21)을 포함할 수 있다. One end 221-1 of the rod body 221 may include a structure for engaging wit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tretching part 210. [ That is, one end 221-1 of the rod body 221 can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tretching part 210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a screw coupling, an insertion coupling, a one-touch coupling, And a structure in which detachment and attach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210 can be facilitated. The structure facilitating detachment and attach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d body 121 that engages with the stretching part 110 and is used to attach or detach the stretching part 110 using a detachable attachment method including a screw type, . The other end 221-2 of the rod body 221 may be coupled to the rotary structure 222 in a hinge structure. To this end, the other end 221-2 of the rod body 221 may include a third hinge hole 221-21 for hinge connection.

또한, 막대 본체(221)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제1 중공홀(2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가 제1 중공홀(221-3)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는 일측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2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21-4)은 막대 본체(221)의 외주면과 제1 중공홀(221-3)이 상호 관통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제1 관통 홀(221-4)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중공홀(221-3)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는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는 돌출 구조체(22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조체(221-5)는 막대 본체(221)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는 일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d body 221 may include a first hollow hole 221-3 whose center portion is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a component of the camera unit 29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50 in the housing 230 through the first hollow hole 221-3. In addition, the rod body 221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221-4 through which a compon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280 can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221-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body 221 and the first hollow hole 221-3 are mutually penetrated. Accordingly,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unit 28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1-4 and the current output unit (not shown) in the housing 230 through the first hollow hole 221-3 260, respectively. Further, the rod body 221 may include a protruding structure 221-5 to which a compon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280 can be fixed. 13B, the protruding structure 221-5 includes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body 221,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onnection portion 280 And may include any shape that can be fixed.

도 13c를 참조하면, 회전 구조체(222)는 막대 본체(221)와 결합시에 지지부(2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막대 본체(22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구조체(222)의 일단(222-1)은 막대 본체(221)의 타단(221-2)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 구조 즉, 제4 힌지 홀(22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조체(222)의 일단(222-1)은 제4 힌지 홀(222-11)에 삽입되어 막대 본체(221)의 제3 힌지 홀(221-21)과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 핀(2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222)의 타단(222-3)은 하우징(230)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222)의 타단(222-3)은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하우징(230)과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C, the rotary structure 222 includes a structure that allows rotation of the rod body 221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20 when the rod body 221 is engaged with the rod body 221. To this end, one end 222-1 of the rotary structure 222 may include a hinge structure, i.e., a fourth hinge hole 222-11, for engaging with the other end 221-2 of the rod body 221 . One end 222-1 of the rotary structure 222 is inserted into the fourth hinge hole 222-11 so that the second hinge pin 221-2 for engaging with the third hinge hole 221-21 of the rod body 221, (222-2). The other end 222-3 of the rotary structure 222 may include a structure for engaging with the housing 230. [ The other end 222-3 of the rotary structure 222 can be engaged with the housing 230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a screw coupling or an insertion coupling.

또한, 회전 구조체(222)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중공홀(2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제2 중공홀(222-4)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가 제2 중공홀(222-4)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ry structure 222 may include a second hollow hole 222-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portion 280 can be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portion 260 in the housing 230 through the second hollow hole 222-4 and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portion 295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llow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50 in the housing 230 through the hole 222-4.

전술한,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막대 본체(221) 및 회전 구조체(22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막대 본체(221)의 회전을 위해 회전 구조체(222)는 다양한 회전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rod body 221 and the rotary structure 222 shown in Figs. 13A to 13C is illustrative, and the rotary structure 222 for rotation of the rod body 221 includes various rotational coupling structures can do.

하우징(230)은 지지부(22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담당한다. The housing 2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220 and serves as a handle of the user.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2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230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를 참조하면, 하우징(230)은 하우징 본체(231) 및 하우징 결합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A, the housing 230 may include a housing main body 231 and a housing coupling body 232.

하우징 본체(2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형태 또는 막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경우에 우수한 그립감을 위해 손가락 굴곡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1)는 복수의 덮개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덮개 부재들은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포함하는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231)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housing main body 231 may include a grip shape or a rod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s hand. In addition, the housing main body 231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finger bending is formed for an excellent grip feeling when gripped by a user's hand. Further, the housing main body 23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d members. The plurality of cover member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thod including an insertion or a screw connection. Meanwhile, the shape of the housing main body 231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하우징 본체(231)는 덥개 부재들의 내부 공간에 PCB 회로기판(P)을 실장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회로기판(P)은 전력 공급부(240),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또는 통신부(298)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1)는 덮개 부재들의 외부 표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ousing body 231 can mount the PCB circuit board P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s. The PCB circuit board P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240, a control unit 250, a current output unit 260, or a communication unit 298, as shown in FIG. 8B. In addition, the housing body 231 may have a user interface unit 29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members.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232)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4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housing coupling 232 shown in FIG. 14A.

도 14b를 참조하면, 하우징 결합체(232)는 하우징 본체(2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결합체(232)는 지지부(22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부재 또는 삽입 결합을 위한 삽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결합체(232)는 너트 부재 또는 삽입 부재의 중심 부분에 제2 관통홀(2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체(232)의 제2 관통홀(232-1)은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가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다만, 도 14b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23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지부(220)와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B, the housing coupling body 23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231. The housing coupling 232 may include a nut member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support 220 or an insertion member for insertion coupling. Further, the housing coupling body 23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rough hole 232-1 at a central portion of the nut member or the insertion member. The second through hole 232-1 of the housing coupling 23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portion 280 can be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portion 260, The control unit 2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50 through a network. However, the housing coupling 232 shown in Fig. 14B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include various structures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220. Fig.

전력 공급부(240)는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등 전력 공급이 필요한 모듈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부(240)는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되어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supply power to modules requiring power supply such as the control unit 25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e camera unit 295, or the communication unit 298. The power supply unit 240 is electrical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5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e camera unit 295, or the communication unit 298.

전력 공급부(240)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을 이용해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등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교류 전원은 상용 교류 전원(예를 들어, 220[V] 또는 110[V])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직류 전원은 배터리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40 can suppl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5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e camera unit 295, or the communication unit 298 using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The AC power source may include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for example, 220 [V] or 110 [V]), and the DC power source may include battery power.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력 공급부(240)는 상용 교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부(240)는 별도의 어댑터를 통해 변압된 전력을 수용하는 어댑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력 공급부(240)는 배터리, 배터리 소켓 및 배터리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충전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외부 전원으로서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경우에는 상용 교류 전원을 강압 및 직류화하여 배터리에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용 배터리는 USB 구조의 충전 단자 또는 무접점 충전기술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어댑터 단자를 통해 수신되거나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commercial AC power, the power supply 24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commercial AC power. The power supply 240 may include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for stable power supply.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240 may include an adapt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transformed power through a separate adapter. Further, in the case of using battery power,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include a battery, a battery socket, and a battery charging terminal. The battery may include a dispos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with external power input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When the commercial power source is inputted as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supply unit 240 can convert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into the DC voltage and charge the battery. In addition,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charged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USB structure or a solid state charging technique.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provide power to the control unit 25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e camera unit 295, or the communication unit 298, which are received through the adapter terminal o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력 공급부(24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적어도 일부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4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e camera unit 295, or the communication unit 298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interface unit 29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50 may be implemented at least in part by software, firm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m. The control unit 250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for example, and may include a program, a routine, a set of instructions, or a process for performing one or more functions.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류 출력부(26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전류 출력부(260)에서 전극부(270)로 제공되는 전류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전력 공급부(240) 및 전류 출력부(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전력 공급부(240)의 전력이 전류 출력부(260)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전력 공급부(240)의 전력 공급이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 및 이러한 트랜지스터가 턴온 또는 턴오프됨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는 신호를 전류 출력부(260)로 전송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utput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70 from the current output unit 260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260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interface unit 290 can do. For this, the controller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240 and the current output 26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50 may include a transistor for turning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240 on or off so tha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40 is provid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260 hav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a transistor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90 and a signal that is turned on and off when the transistor is turned on or off to the current output unit 260 Lt; / RTI >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의 제어를 위해 펄스 폭 변조(PWM)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 전류, 출력 주파수 및 출력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부(240)의 출력 전류의 세기를 조정하여, 전류 출력부(26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류를 사전에 설정된 안전 듀티 주기에 따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극부(270)에서 일정 시간마다 단속적으로 전류가 출력되도록 전류 출력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출력부(260)에서 생성된 전류가 전극부(270)로 단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감지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 보다 크면 구동 전압 공급모듈의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감지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보다 작으면 구동 전압 공급모듈의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전류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부(250)는 소비 전력의 상한을 설정하고, 소비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소비 전력 상한 이하가 되도록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소비 전력 상한을 설정함에 따라 전극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전극부(270)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안전 온도 이하가 되도록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5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urrent outpu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 The control unit 250 may output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Frequency and output timing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 unit 250 ma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high frequency output from the current output unit 260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output current of the power supply unit 240 suppli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2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can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des to ON / OFF contro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afety duty cycle.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current output unit 260 so that current is output intermittently at the electrode unit 27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ccordingly,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current output unit 260 can be output to the electrode unit 270 intermittently.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o be constant. That is, if the detected curr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value,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driving voltage supply module to reduce the current amount. If the sensed curr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value, To increase the amount of current. Also, the control unit 250 can set the upper limit of th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preset upper limit of the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de portion from rising excessively by setting the upper limit of the power consump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utpu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de unit 270 i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afety temperature.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부(29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295)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298)을 통해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의 제어 연결단자(CP1)는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250)는 카메라부(295)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 연결단자(CP1)를 통해 수신하여 통신부(298)로 전달한다.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295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interface unit 290. Accordingly, when the camera unit 295 captures an image of the user's skin, the captured image data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98. The controller 250 connects the control connection terminal CP1 to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unit 295 and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amera unit 295 to the control connection terminal CP1. And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298.

전류 출력부(260)는 전극부(270)에 제공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전극부(270)로 출력한다. 전류 출력부(260)는 전력 공급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고주파 전류, 미세 전류 또는 이온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출력부(260)는 0.001Mhz 내지 1000Mhz의 고주파 전류, 0.1㎂~1000㎂의 미세전류 또는 이온 전류를 생성하며, 생성된 전류를 전극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 연결단자(CP2)는 연결부(280)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류 출력부(260)는 생성된 전력을 연결부(280)를 통해 전극부(270)로 공급한다. The current output unit 260 generates a current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unit 270 and outputs the generated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27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40 and may generate a high frequency current, a fine current, or an ion current using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unit 240. For example, the current output unit 260 may generate a high frequency current of 0.001 MHz to 1000 MHz, a fine current or an ion current of 0.1 μA to 1000 μA, and output the generated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27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27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8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is connected to the current connection unit CP2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

고주파 전류는 인체 조직을 통전할 때 진동 폭이 매우 짧기 때문에 이온 운동을 거의 야기하지 않으며, 전기 화학적 반응 또는 전기 분해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가 조직에 가해지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생체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고주파 전류는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인체 내에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 에너지는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The high frequency current causes very little ion motion because of the very short amplitude of vibration when the body tissue is energized, and does not cause electrochemical reaction or electrolysis phenomenon. When high-frequency electrical energy is applied to tissue, molecules of the tissue vibrate and rub against each other whenever the direction of current changes, generating biothermal heat. That is, the high-frequency current can generate heat energy in the human body without stimulating sensory nerve and motor nerve, and such heat energy can induce the effect of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cell and increasing the blood flow.

도 15는 도 8b에 도시된 전류 출력부(26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15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current output unit 260 shown in FIG. 8B.

도 15를 참조하면, 전류 출력부(260)는 구동전압 공급모듈(261) 및 고주파 생성모듈(26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5에 도시된 전류 출력부(260)의 회로도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러한 회로도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들을 다른 전자 소자들로 대체하여 전류 출력부(260)를 구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current output unit 260 may include a driving voltage supply module 261 and a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However, the circuit diagram of the current output section 260 shown in FIG. 15 is exemplary and the current output section 260 may be implemented by replacing the electronic elements used in such a circuit diagram with other electronic elements.

구동전압 공급모듈(261)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원으로부터 직류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구동전압 공급모듈(261)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교류 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구동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직류 구동전압을 고주파 발생모듈(262)에 제공하기 위해, 승압 모듈 및 정전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voltage supply module 261 generates a direct current driving voltage from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240. [ The driving voltage supply module 261 rectifies the AC input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40 to generate a DC driving voltage and supplies the generated DC driving voltage to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Modules.

승압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승압시켜 정전압 모듈로 공급한다. 승압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류가 승압 코일에 흐르는 것을 제어하여 승압 코일에 유도 기전력을 유도함으로써 승압 전력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승압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승압시키는 승압 코일, 및 승압 코일에서 승압된 전력을 정류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ost module boos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ier 240 and supplies the boosted power to the constant voltage module. The voltage step-up module control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40 to flow in the step-up coil to generate the step-up power by induc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step-up coil. To this end, the step-up module may include a step-up coil for stepping up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40, and a diode for rectifying the step-up power from the step-up coil.

정전압 모듈은 승압 모듈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정전압하여 고주파 생성모듈(262)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정전압 모듈은 승압 모듈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정전압화하는 레귤레이터, 트랜지스터, 코일, 다이오드, 저항,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stant voltage module constant-voltageizes the power provided by the voltage step-up module and supplies it to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To this end, the constant voltage module may include a regulator, a transistor, a coil, a diode, a resistor, a capacitor, and the like which constant-voltageizes the power provided by the voltage step-up module.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제어부(250)의 고주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전압 공급모듈에서 제공되는 직류 구동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즉,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제어신호에 따라 직류 구동전압을 스위칭 변환하여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진 신호에 의해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전압 저전류 형태의 고주파 전류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정전압 모듈에서 제공되는 정전압을 승압시키는 변압기, 고주파 전력이 고주파수를 갖도록 발진하는 발진기, 발진기에서 생성되는 발진 주파수에 대응하여 스위칭하여 변압기에서 승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0.001Mhz 내지 1000MHz까지 가변 가능한 오실레이터(osaillator)를 사용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고주파 생성모듈(262)의 출력 주파수의 파형은 구형파, 삼각파, 정현파 및 계단파 등 다양한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generates a high frequency signal from the direct current driving voltage provided from the driving voltage supplying module based on the high frequency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50. That is,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may switch the DC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the high frequency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250, and output a high frequency current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generates a high frequency current by the pulse oscilla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50 and outputs the generated high frequency current of high voltage and low current type. To this end, the high-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includes a transformer for boosting the constant voltage provided by the constant voltage module, an oscillator for oscillating so that the high-frequency power has a high frequency, a driver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oscillation frequency generated by the oscillator, . ≪ / RTI > For example,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may generate high frequency using an osillator which is variable from 0.001 MHz to 1000 MHz. The waveform of the output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262 may include various waveforms such as a square wave, a triangle wave, a sine wave, and a step wave.

전류 출력부(26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이온 전류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온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출력부(260)는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시키는 직류 변환 모듈, 직류 변환 모듈의 출력 전원 레벨을 조절하는 전원 레벨 조절모듈, 직류 변환 모듈에서 출력되는 이온전류의 극성을 절환하는 이온 전류 극성 절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출력부(260)의 이온 전류 극성 절환모듈은 전극부로 플러스 갈바닉 이온전류 및 마이너스 갈바닉 이온전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current output unit 260 may output the ion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The current output unit 260 for outputting the ion current may include a DC converting module for boosting the power of the battery, a power supply level adjusting module for adjusting the output power level of the DC converting module, Ion current polarity switching module. Accordingly, the ion current polarity switching module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can selectively output the positive galvanic ion current and the negative galvanic ion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전극부(270)는 스트레칭부(210)를 구성하는 곡면 구조체의 단부에 배치되며,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에 전류를 인가한다. 전극부(270)는 피부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를 연결부(280)를 통해 전류 출력부(260)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전극부(270)는 연결부(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극부(270)는 전류 출력부(260)로부터 고주파 전류, 미세 전류 또는 이온 전류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된 다양한 종류의 전류를 피부로 인가한다. The electrode portion 270 is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curved structure constituting the stretching portion 210 and contacts the skin to apply electric current to the skin. The electrode unit 270 receives a current for applying to the skin from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80. For this purpose, the electrode unit 2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80. The electrode unit 270 can receive a high-frequency current, a fine current, or an ion current from the current output unit 260, and applies various types of currents to the skin.

전극부(270)는 도 9a에 도시된 전극부(270a), 도 10a에 도시된 전극부(270b), 도 11a에 도시된 전극부(270c) 또는 도 12a에 도시된 전극부(270d)를 예시할 수 있다. 도 9a, 도 10a,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전극부들(270a, 270b, 270c, 270d)은 스트레칭부(210)의 곡면 구조체 단부에서 피부에 대향하도록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270 includes the electrode unit 270a shown in Fig. 9A, the electrode unit 270b shown in Fig. 10A, the electrode unit 270c shown in Fig. 11A, or the electrode unit 270d shown in Fig.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9A, 10A, 11A, and 12A, the electrode portions 270a, 270b, 270c, and 270d may protrude from the ends of the curved structure of the stretching portion 210 to face the skin.

전극부(270)는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 형상의 전극 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전극 면은 도전성의 금속(예를 들어, 백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전극부(27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ortion 270 may have a curved electro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the electrode surface may be plated with a conductive metal (e.g., platinum). The shape of the electrode unit 270 may be a columnar shape, a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도 16은 전극부(270)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들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6의 (a)는 전극부(270)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예시하고, 도 16의 (b)는 전극부(270)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예시한다. 다만, 도 16에 도시된 전극부(270)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16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electrode members constituting the electrode unit 270. Fig. FIG. 16A illustrates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electrode portion 270 is circular, and FIG. 16B illustrates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electrode portion 270 is elliptical. However, the electrode unit 270 shown in FIG. 16 is an exemplary on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a)는 전류를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서로 다른 극성(예를 들어, 양극, 음극 및 접지극)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a-1, 270a-2, 270a-3, 270a-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b-1, 270b-2, 270b-3, 270b-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c)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c-1, 270c-2, 270c-3, 270c-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d)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d-1, 270d-2, 270d-3, 270d-4)을 포함할 수 있다.9A, the electrode portion 270a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members 270a-1 and 270a-2 (for example, an anode, a cathode, and an earth electrode) having different polarities , 270a-3, 270a-4). Also, as shown in FIG. 10A, the electrode unit 27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members 270b-1, 270b-2, 270b-3, and 270b-4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lso, as shown in FIG. 11A, the electrode portion 270c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members 270c-1, 270c-2, 270c-3, and 270c-4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lso, as shown in FIG. 12A, the electrode unit 270d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members 270d-1, 270d-2, 270d-3, and 270d-4 having different polarities.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은 서로 인접해 있음으로 인해, 양의 전극에서 전류를 피부에 흘리면 인접한 음의 전극 또는 접지 전극으로 환류될 수 있다. 전극 부재들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들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구조체가 도 9a에 대응하는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에 해당하는 경우에,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한쪽 단부(210a-11)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 이상의 전극 부재들(270a-1, 270a-2)이 배치되고,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다른쪽 단부(210a-12)에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 이상의 전극 부재들(270a-3, 270a-4)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극 부재(270a-1)과 전극 부재(270a-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전극 부재(270a-3)과 전극 부재(270a-4)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a의 전극 부재들(270b-1, 270b-2, 270b-3, 270b-4)의 경우에도 도 9a의 전극 부재들(270a-1, 270a-2, 270a-3, 270a-4)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 극성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electrode members having mutually different polariti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a current flows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o the skin, the electrode member or the ground electrode can be returned to the adjacent negative electrode or the ground electrode. The electrode members may be arranged such that electrod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alternately arranged. For example, when the curved surface structure corresponds to 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1 corresponding to FIG. 9A,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210a-11 of the third symmetrical curved body 210a-1 has a different polarity Two or more electrode members 270a-1 and 270a-2 are disposed and the other end 210a-12 of the third symmetric curved member 210a-1 has two or more electrode members 270a- 3, and 270a-4 may be disposed. That is, the electrode member 270a-1 and the electrode member 270a-2 have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electrode member 270a-3 and the electrode member 270a-4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Also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members 270b-1, 270b-2, 270b-3 and 270b-4 of FIG. 10a, the electrode members 270a-1, 270a-2, 270a-3, Quot;). ≪ / RTI >

한편, 곡면 구조체가 도 11a에 대응하는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에 해당하는 경우에, 전극 부재들(270c-1, 270c-2, 270c-3, 270c-4)은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한쪽 단부(210c-11)를 형성하는 제1 분할 단부(210c-111)와 제2 분할 단부(210c-112)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270c-1, 270c-2)가 각각 배치되고,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다른 쪽 단부(210c-12)를 형성하는 제3 분할 단부(210c-121)와 제4 분할 단부(210c-122)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270c-3, 270c-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a의 전극 부재들(270d-1, 270d-2, 270d-3, 270d-4)의 경우에도 도 11a의 전극 부재들(270c-1, 270c-2, 270c-3, 270c-4)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 극성을 가질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s 270c-1, 270c-2, 270c-3, and 270c-4 may be divided into a third divisional part 210c-1 and a third divisional curved part 210c- Electrode members 270c-1 and 270c-2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formed on the first divisional end portion 210c-111 and the second divisional end portion 210c-112 forming the one end portion 210c-11 of the curved surface 210c- The third divided end 210c-121 and the fourth divided end 210c-122, which form the other end 210c-12 of the third divided curved body 210c-1, Electrode members 270c-3 and 270c-4 having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70a and 270b,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members 270d-1, 270d-2, 270d-3, and 270d-4 shown in FIG. 12A, the electrode members 270c-1, 270c-2, 270c- Quot;). ≪ / RTI >

다만, 이러한 전극 부재들의 배열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부재들이 그룹을 이루어서 배열될 수도 있고,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의 주변에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이 배열될 수도 있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members is exemplary, and for example, electrode members of different polarities may be arranged in a group,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member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may be arranged around the electrode member having one polarity May be arranged.

연결부(280)는 전류 출력부(260)와 전극부(27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연결부(280)는 제1 연결체(281) 및 제2 연결체(2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280 electrically connects the current output unit 260 and the electrode unit 270. To this end, the connector 28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281 and a second connector 282.

도 17은 연결부(280)를 구성하는 제1 연결체(281)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연결부(280)를 구성하는 제2 연결체(282)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first connector 281 constituting the connector 280. FIG. 17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econd connector 282 constituting the connector 280. FIG. FIG.

도 17a를 참조하면, 제1 연결체(281)는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를 제2 연결체(28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1 연결체(281)는 제1 연결선(281-1), 제1 연결 단자(281-2) 및 단자 지지체(281-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A, the first connector 281 transfers the current of the current output 260 to the second connector 282. To this end, the first connector 28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281-1, a first connector 281-2, and a terminal support 281-3.

제1 연결선(281-1)은 전선 또는 도전 패턴 등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일체의 연결선을 포함한다. 제1 연결선(281-1)의 일단은 제1 연결 단자(281-2)와 연결되고, 제1 연결선(281-1)의 타단은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선(281-1)의 일부는 제1 연결 단자(281-2)와 연결되기 위해 지지부(2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1 연결선(281-1)의 다른 일부는 전류 출력부(260)와의 연결을 위해 지지부(220)의 제1 관통홀(221-4)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선(281-1)은 지지부(220)를 구성하는 막대 본체(221)의 제1 중공홀(221-3) 및 회전 구조체(222)의 제2 중공홀(222-4)를 거쳐서 하우징(230)의 제2 관통홀(232-1)을 통과하여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선(281-1)은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를 제2 연결체(282)로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line 281-1 includes an integral connection line for electrical connection such as a wire or a conductive pattern.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28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81-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281-1 may be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260. [ A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281-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part 22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281-2 and anoth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line 281-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the first through hole 221-4 of the supporting part 220 for connection with the part 260. [ The first connection line 281-1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low hole 221-3 of the rod body 221 and the second hollow hole 222-4 of the rotary structure 222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220,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232-1 of the current collector 230 and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260. [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line 281-1 can transmit the curren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o the second connector 282. [

제1 연결 단자(281-2)는 제2 연결체(282)와 연결될 수 있는 암수 단자 구조(28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단자(281-2)는 제2 연결체(282)의 각 핀들과 연결될 수 있는 암수 구조의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단자(281-2)는 단자 지지체(281-3)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 홈에 삽입되어 상하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돌출 부재일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81-2 may include a female terminal structure 281-21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82. [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81-2 may include a male-female connection pin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282. [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81-2 may be a protru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terminal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support 281-3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단자 지지체(281-3)는 제1 연결 단자(281-2)의 돌출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자 홈(28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지지체(281-3)는 지지부(220)의 외주면을 따라 접할 수 있는 원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7a에 도시된 단자 지지체(281-3)의 형상을 예시적인 것이며, 다각통 형태일 수도 있다. The terminal support 281-3 may include terminal grooves 281-31 for fixing the projecting members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81-2. Also, the terminal support 281-3 may include a cylindrical structure that ca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20. [ However, the shape of the terminal support 281-3 shown in Fig. 17A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a polygonal shape.

도 17b를 참조하면, 제2 연결체(282)는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를 전극부(27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2 연결체(282)는 전선 또는 도전 패턴 등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일체의 제2 연결 단자(282-1) 및 제2 연결선(282-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B,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82 transmits the current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to the electrode unit 270. For this purpose, the second connector 282 may include an integral second connector terminal 282-1 and a second connector 282-2 for electrical connection, such as a wire or a conductive pattern.

제2 연결 단자(282-1)는 제1 연결체(281)와 연결될 수 있는 암수 단자 구조(282-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수 단자 구조(282-11)는 제1 연결체(281)의 제1 연결 단자(281-2)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282-1)는 전술한 스트레칭부(210)의 결합 구조체들의 일측에 내삽될 수 있으며, 또한, 스트레칭부(210)에 내삽되지 않고 독립적인 단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82-1 may include a female terminal structure 282-11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body 281. [ For example, the female terminal structure 282-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for connecting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81-2 of the first connector 281. [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82-1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oupling structures of the stretching unit 210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be formed into an independent terminal structure without being interpolated to the stretching unit 210. [

제2 연결선(282-2)은 스트레칭부(210)의 표면 또는 내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선(282-2)의 일단은 전극부(270)의 전극 부재들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연결선(282-2)의 타단은 제2 연결 단자(282-1)와 연결되어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line 282-2 may be formed along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stretching part 210. [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 282-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members of the electrode unit 27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 28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82-1 .

제2 연결선(282-2)은 전극 부재들과 연결되기 위해, 예를 들어, 4개의 연결 분기선들이 4개의 전극 부재들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다만, 도 17b에서 제2 연결선(282-2)과 전극부(270)와의 연결 상태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연결선(282-2)은 전술한 스트레칭부(210)의 곡면 구조체들의 일측에 내삽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line 282-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members, for example, four connection branch lines are connected to the four electrode members, respectively. In FIG. 17B,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line 282-2 and the electrode unit 270 is omitted. The second connecting line 282-2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urved structures of the stretching unit 210 described abov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제어부(2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전류 출력부(260)를 통해 전극부(27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카메라부(295)의 영상 촬영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250)에 전달하기 위해, 제어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키패드, 조그 셔틀, 터치 스크린,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하우징(230)의 외주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95)의 동작을 위한 입력 버튼은 독립적인 모듈로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29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50.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29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270 through the current output unit 260, and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camera unit 295 May be input. The user interface unit 2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50 in order to transmit the inputted user command to the control unit 250. The user interface unit 290 may include a keypad, a jog shuttle, a touch screen, an input button, and the like. The user interface unit 29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30. Meanwhile, the input button for operating the camera unit 295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s an independent module.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른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의 전력 공급 상태 정보 또는 전류 출력부(26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에서 출력된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25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290 can output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 The user interface unit 290 can output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by video or audio. To this end, the user interface unit 29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or an audio output module. The display module or the audio output module may display or output the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40 or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output unit 260 or the like. The us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90 and adjus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50 as needed.

카메라부(295)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피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295)는 피부에 대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95)는 일반 광 모드에서는 피부 상태를 촬영하고, 편광 모드에서는 색소 침착 여부를 촬영하고, 자외선 모드에서는 피지 여부를 촬영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295 captures an image of the ski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controller 250. [ The camera unit 295 can capture moving images or still images of the skin. In addition, the camera unit 295 can photograph the skin condition in the general optical mode, record the presence of pigmentation in the polarization mode, and record the sebum in the ultraviolet mode.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카메라부(29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카메라부(295)는 카메라 본체(295-1) 및 카메라 연결선(295-2)를 포함할 수 있다.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unit 29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8, the camera unit 295 may include a camera body 295-1 and a camera connecting line 295-2.

카메라 본체(295-1)는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ISP (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디지털 줌이 가능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래쉬는 일반모드, 색소모드 및 피지모드에 따라 각각 일반 광, 편광, 자외선을 조명할 수 있다. 일반 광 모드에서는 피부 상태, 모공, 주름, 각질 등의 상태를 알 수 있고, 편광 모드에서는 색소침착, 기미, 잡티 등을 알 수 있으며, 자외선 모드에서는 피지, 모공, 트러블, 여드름 등을 알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결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이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SP는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한 영상 신호에 대해 이미지 밝기 조절, 색상 보간, 색상 보정, 색 공간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amera body 295-1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an image sensor,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or a flash (e.g., LED or xenon lamp). The lens can use a digital zoom lens, and the flash can illuminate normal light, polarized light, and ultraviolet light depending on the normal mode, dye mode and sebum mode, respectively. In the general optical mode, it is possible to know the state of the skin, pores, wrinkles, and keratin. In the polarization mode, it is able to know the pigmentation, stain and dullness. In the ultraviolet mode, sebum, pore, trouble, . The image sensor processes the image formed from the len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250. The image sensor may includ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 CMOS, or the like. The ISP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image brightness control, color interpolation, color correction, and color space conversion on the image signal detected by the image sensor.

카메라 본체(295-1)는 전술한 지지부(220)의 막대 본체(221)에 형성된 제1 중공홀(221-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295-1)는 영상 촬영을 위한 렌즈 모듈이 막대 본체(221)의 제1 중공홀(221-3) 내에서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에 전방을 향해서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body 295-1 is inserted in the first hollow hole 221-3 formed in the bar body 221 of the support portion 22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camera body 295-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ens module for image photographing is disposed in the first hollow hole 221-3 of the rod body 221, As shown in FIG.

카메라 연결선(295-2)은 일단이 카메라 본체(295-1)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어부(25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카메라 연결선(295-2)은 지지부(220)의 막대 본체(221)에 형성된 제1 중공홀(221-3)과 회전 구조체(222)의 제2 중공홀(222-4)을 통해서 하우징(230) 내의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amera connection line 295-2 is connected to the camera body 29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50. [ That is, the camera connecting line 295-2 is connect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hollow hole 221-3 formed in the rod body 221 of the support part 220 and the second hollow hole 222-4 of the rotary structure 22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50 in the controller 230.

통신부(298)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한다. 통신부(298)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무선 USB(Wireless USB), Wireless LAN,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98 transmit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95 to the display unit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0. [ The communication unit 298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recommended standard 232 (RS-232), or the like. Wireless communication may also include Bluetooth, WiFi, WiGig, Wireless USB, Wireless LAN,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he like.

통신부(298)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98)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유선 통신을 위해 유선 통신 단자 및 유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단자는 USB 단자, HDMI 단자, RS-232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선 통신 단자들은 전술한 전력 공급부(240)의 어댑터 단자 또는 배터리 충전 단자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댑터 단자 또는 배터리 충전 단자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유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단자는 하우징(23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단자 형태일 수 있다. 유선 케이블은 유선 통신 단자와 디스플레이부(300)을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USB 케이블, HDMI 케이블, RS-232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98 may include communication modules supporting a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98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d cable f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unit 300.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USB terminal, an HDMI terminal, an RS-232 terminal, and the like. Thes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s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dapter terminal or the battery charging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240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t the adapter terminal or the battery charging terminal.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n the form of a terminal expo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230. The wired cable is a cable for connecting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300, and may include a USB cable, an HDMI cable, and an RS-232 cable.

디스플레이부(300)는 통신부(298)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부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며, 또한, 표시된 피부 영상에서 부각되는 피부 노화 위치를 나타내는 특징점들 또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피부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00 receiv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98, displays the sk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mage data on the screen, and further displays feature points indicating the skin aging position highlighted in the displayed skin image Or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 can be superimposed on the skin image and displayed.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0)가 미용 장치(200)의 본체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19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beauty device 200. FIG.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0)가 미용 장치의 본체(200)와 유선의 통신부(298)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300)는 미용 장치의 본체(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19, the display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0 of the beauty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unit 298 of the wir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isplay unit 300 includes the main body 200 of the beauty device 200 may b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에 대한 영상 표시 및 피부 노화 위치에 대한 특징점들을 표시하기 위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용 서버, 일반 웹 서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서버로부터 피부 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서버가 아닌 별개의 기록매체로부터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300 stores a skin image application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skin and feature points on the skin aging position in a memory, and can execute the stored skin image application. The display unit 300 can receive a skin image application from a dedicated server connected via a network, a general web server, o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e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0 can receive a skin image application from a separate recording medium have.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0)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는 영상 표시와 관련한 장치 관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표시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 해상도 등에 대한 조절 및 기타 기능들에 대한 턴온/턴오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kin image applica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allowing the display unit 300 to receiv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95 or a device management function related to image display. In particular, the skin imaging application may include turning on / off functions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resolution, etc. of the display and other functions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구체적으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기준치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픽셀의 계조값들, 밀도, 면적, 선형성을 포함하는 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피부 주름, 기미 등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피부 노화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의 분포에 따라 피부에 대한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는 스트레칭부의 신장 및 수축 방향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이미지이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스케일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소정의 기준값에 따른 정규화(Normalization) 처리를 수행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빛의 주요 파장(dominant wavelength)을 나타내는 색상(Hue) 파라미터값, 빛의 강도(intensity) 또는 진폭(amplitude)을 나타내는 명도(Brightness) 파라미터값, 또는 빛의 순도(purity) 또는 대역폭(band width)을 나타내는 채도(Saturation) 파라미터값을 포함하는 영상 파라미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임펄스 노이즈(impulse noise)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중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잡음이 제거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샤프닝 공간 필터(sharpening spacial filter)를 이용하여 잡음 제거에 따른 손실 에지(edge)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skin image application can detect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skin aging including skin wrinkles, stains, and the like based on analytical data including tone values, density, area, and linearity of pixels having a density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 In addition, the skin image application can generate a stretching direction image that guides the stretching direction to the ski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skin aging.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 is an image that guides the user in the stretching and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stretching part. In addition, the skin image application convert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95 into a grayscale image or performs a normaliz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performs a process of eliminating various noises from the image data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skin imaging application may also include a Hue parameter value representing the dominant wavelength of light from the image data, a Brightness parameter value representing the intensity or amplitude of the light, an image parameter value including a saturation parameter value indicating a purity or a bandwidth. In addition, the skin image application can remove the noise in the image data by using an impulse noise removal filter, and can remove noise by using a sharpening spacial filter So that the loss edge can be reinforced.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영상 데이터의 한 프레임 내에서 각각의 픽셀들에 대한 픽셀 계조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산출된 평균값과 각 픽셀의 계조값들의 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과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산출된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픽셀들을 피부 노화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점들로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점 검출을 위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고속화시킨 SURF(Speeded-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과 같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300)는 추출된 피부 노화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을 피부와 식별되는 색상으로 피부 영상 위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00)는 산출된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특징점들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특징점들과 함께 피부에 대한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피부 영상 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는 삼각형 또는 화살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칭부의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 노화 정도에 따라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의 크기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현재 촬영되는 피부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특징점들이 중첩된 이전의 피부 영상을 화면 분할을 통해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0a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피부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피부 영상에 피부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특징점들 및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가 중첩된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부 미용을 위한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화면 상에 표시된 특징점들 및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참조하여 미용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driving the skin image application, the display unit 300 can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the pixel tone values for the respective pixels within one frame of the image data by us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95 have. The display unit 300 may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nd the gray level values of each pixel, and compare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the threshold value. The display unit 300 may extract pixels hav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as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skin aging position. The display unit 300 may extract feature points using feature point extraction algorithms such as a speed-up robust features (SURF) algorithm that speeds up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algorithms for feature point detection on image data. Thereafter, the display unit 300 may superimpose the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kin aging position on the skin image in a color distinguished from the skin.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different colors for the minutia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a stretching direction image that guides the stretch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kin, together with the minutiae points, on the skin image. For example,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 can exemplify a triangle, an arrow, or the like, thereby guidi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stretching portion. The display unit 300 can vary the size of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kin aging. Also,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e skin image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previous skin image in which the feature points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through screen division. FIG. 20A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ski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driving a skin image application, FIG. 20B is a view illustrating a skin image shown in FIG. 20A in which feature points indicating the degree of skin aging and a stretching direction image are superimposed FIG. 20A and 20B, the user can accurately confirm the position for skin beauty through the display screen, and can operate the beauty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feature points and the stretching directio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얼굴의 각 부분(예를 들어, 이마 부분, 목 부분, 턱밑 부분, 미간 부분, 눈밑 부분, 코와 입 주변 부분 등)별로 구분하여 피부 영상을 관리 및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피부 노화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점들로부터 해당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피부 노화 정보(예를 들어, 피부 나이, 노화 정도 그래프)를 생성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피부 노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생성된 피부 노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얼굴 각 부분에 대한 미용 장치(200)의 구동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 노화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구동 시간 정보를 사전에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0 can manage and display the skin image by dividing each part of the face (for example, the forehead part, the neck part, the chin part, the hair part, the under eye part, have. That is, the display unit 300 displays skin aging information (for example, skin age, aging degree, etc.) for each part of the face from minutiae corresponding to the skin aging position for each part of the face, Graph) and display skin aging information for each part of the fac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lso, the display unit 300 can display the driving time information of the beauty device 200 with respect to each part of the face, based on the generated skin aging information.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300 may previously store skin aging information and driving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n a memory.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0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 desktop personal computer, Such as a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obile medical devic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A head-mounted-device (HMD), an electronic bracelet, an electronic necklace, or a smart watc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미용 장치
110, 210: 스트레칭부
120, 220: 지지부
130, 230: 하우징
240: 전력 공급부
250: 제어부
260: 전류 출력부
270: 전극부
280: 연결부
2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95: 카메라부
298: 통신부
300: 디스플레이부
100, 200: Beauty device
110, 210: stretching part
120, 220:
130, 230: housing
240: Power supply
250:
260: Current output section
270:
280:
290: User interface section
295:
298:
300:

Claims (42)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및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미용 장치.
A stretching part contacting the skin to stretch the skin; And
And a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stretching part and serving as a handle of a user,
Wherein the stretching part comprises:
A curved surface structure for stretching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Wherein the curved structure includes a coupling structur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with the curved structur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with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 분할형 곡면체 및 비대칭형 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곡면체의 양쪽 단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상기 곡면체의 상기 양쪽 단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body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body of a symmetrical curved body, a dividing curved body and an asymmetric curved body that surrounds the skin, and in a standby state before star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unit, a state of contracting the body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urved body is minimized And is extended so a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urved body in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대칭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s of the symmetrical curved body are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extending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대칭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s of the symmetrical curved body are formed such that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ertain curvature extend after being bent at least once and both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고, 상기 양 단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dividing curved body are formed such that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ertain curvature are extended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both end portions is divided so that a plurality of divided end portions are formed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고, 상기 양 단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dividing curved body are formed such that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ertain curvature are extended after being bent at least once and both end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both end portions is divided, And wherein the cosmetic device is formed.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측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and 6,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ut-out groove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dividing curved bod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ends facilitates shrinking and stretch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탄성 재질, 실리콘 재질, 합성 수지계 재질, 금속 재질 및 생체 적합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a silicone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metal material, and a biocompatible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coupled between the stretching portion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tretching por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said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said support portion by at least one of a screw connection, an insertion coupling, and a one-touch coupl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막대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 형태의 일단이 상기 스트레칭부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 및
일단이 상기 막대 본체와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막대 본체를 회전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회전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A bar body including a rod shape, wherein one end of the rod shape is engaged with the stretching part; And
And a rotary structure coupled to the rod body at one end thereof with a hinge structure to rotate the rod body with respect to the hinge structure and at the other end to engage with the housing.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
상기 스트레칭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출력부;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류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전류 출력부의 전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용 장치.
A stretching part contacting the skin to stretch the skin;
A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stretching part and serving as a handle of a user;
An electrode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stretching unit and applying current to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A current output unit for supplying the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unit and the current output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urrent output operation of the current output uni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미용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2,
A curved surface structure for stretching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Wherein the curved structure includes a coupling structur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with the curved structur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with the housing.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 분할형 곡면체 및 비대칭형 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곡면체의 양쪽 단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상기 곡면체의 상기 양쪽 단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4. The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elastic body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body of a symmetrical curved body, a dividing curved body and an asymmetric curved body that surrounds the skin, and in a standby state before star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retching unit, a state of contracting the body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urved body is minimized And is extended so a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urved body in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대칭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both ends of the symmetrical curved body are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onstant curvature extending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대칭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both ends of the symmetrical curved body are formed such that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ertain curvature extend after being bent at least once and both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고, 상기 양 단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dividing curved body are formed such that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ertain curvature are extended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both end portions is divided so that a plurality of divided end portions are formed Devi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고, 상기 양 단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dividing curved body are formed such that curved surfaces formed by a certain curvature are extended after being bent at least once and both end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both end portions is divided, And wherein the cosmetic device is formed.
청구항 17 및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측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and 18,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ut-out groove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dividing curved bod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ends facilitates shrinking and stretching.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coupled between the stretching portion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tretching portion.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1.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said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said support portion by at least one of a screw connection, an insertion coupling, and a one-touch coupling.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막대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 형태의 일단이 상기 스트레칭부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 및
일단이 상기 막대 본체와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막대 본체를 회전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회전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1. The apparatus of claim 20,
A bar body including a rod shape, wherein one end of the rod shape is engaged with the stretching part; And
And a rotary structure coupled to the rod body at one end thereof with a hinge structure to rotate the rod body with respect to the hinge structure and at the other end to engage with the housing.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막대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제1 중공홀;
폭 방향으로 일측이 중공되어 상기 연결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막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는 돌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3. The apparatus of claim 22,
A first hollow hole having a central portion hollo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through-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can pass through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the rod body.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제2 중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3. The rota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22,
And a second hollow hole having a hollow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류를 상기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2,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member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to the ski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스트레칭부를 구성하는 대칭형 곡면체 또는 분할형 곡면체의 일측 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대칭형 곡면체 또는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타측 단부에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2,
Electrode members having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arranged at one end of a symmetrical curved body or a divided curved body constituting the stretching unit and electrode members having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symmetrical curved body or the dividing curved body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부는,
고주파 전류, 미세 전류 및 이온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2,
And outputs at least one of a high-frequency current, a fine current, and an ion curren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부는,
제공되는 전원으로부터 직류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전압 공급모듈; 및
상기 구동전압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상기 직류 구동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고주파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2,
A driving voltage supply module for generating a direct current driving voltage from a supplied power source; And
And a high frequency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high frequency signal from the direct current driv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driving voltage supplying modul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류 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를 전달하는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1 연결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전류를 상기 전극부로 전달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2,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to transmit the current; And
And a second connector that transmits the current received from the first connector to the electrode unit.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는,
전선 또는 도전 패턴에 의해 상기 전류 출력부와 연결된 제1 연결선;
상기 제1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를 상기 제2 연결체로 전달하기 위한 암수 단자 구조를 갖는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연결 단자를 고정시키는 단자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단자 지지체의 홈을 따라 상하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9,
A first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unit by a wire or a conductive patter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having a male and female terminal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to the second connection body; And
And a terminal support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along the groove of the terminal support.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of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stretching portion between the stretching portion and the housing.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원통 구조 또는 다각통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2.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ylindrical structure or a polygonal tubular structure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는,
전선 또는 도전 패턴에 의해 상기 전극부와 연결된 제2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체와 결합하여 상기 전류를 상기 제2 연결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암수 단자 구조를 갖는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9,
A second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electrode portion by a wire or a conductive pattern; An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and having a male and female terminal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first connection body to transmit the current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선 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스트레칭부에 내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4. The method of claim 33,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or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tretching par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펄스 폭 변조(PWM)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류 출력부의 출력 전류, 출력 주파수 또는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And output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to control an output current, an output frequency, or an output timing of the current output se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skin;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mage data of the skin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operations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중공홀에 내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7,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between the stretching portion and the housing to support the stretching portion,
Wherein the camera portion is inserted in a hollow hole having a central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upport portion.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7.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37,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피부 영상으로부터 피부 노화 위치를 나타내는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특징점들을 상기 피부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7,
And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mage data on a display screen,
The display unit includes:
Extracting feature points representing a skin aging position from a ski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superimpos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on the skin image.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중 한 프레임 내의 픽셀들에 대한 픽셀 계조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과 상기 픽셀 계조값들의 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픽셀들을 상기 특징점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42.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0,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pixel tone values for pixels in one frame of the image data,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nd the pixel tone values, and outputting the pixels hav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to the feature point And extracting the hair with the hair.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들과 함께 피부에 대한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상기 피부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42.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0,
And displays a stretching direction image, which guides the stretch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kin, together with the extracted minutiae points, superimposed on the skin image.
KR1020170089921A 2016-10-08 2017-07-14 Beauty care apparatus KR102045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327 WO2018066814A1 (en) 2016-10-08 2017-08-25 Beaut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0339 2016-10-08
KR1020160130339 2016-10-08
KR1020170052000 2017-04-23
KR1020170052000A KR20180039550A (en) 2016-10-08 2017-04-23 Beauty care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633A Division KR102091360B1 (en) 2019-11-01 2019-11-01 Beauty car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55A true KR20180039555A (en) 2018-04-18
KR102045119B1 KR102045119B1 (en) 2019-11-14

Family

ID=620826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00A KR20180039550A (en) 2016-10-08 2017-04-23 Beauty care apparatus
KR1020170089921A KR102045119B1 (en) 2016-10-08 2017-07-14 Beauty care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00A KR20180039550A (en) 2016-10-08 2017-04-23 Beauty car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39550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93U (en) * 2006-04-25 2006-07-27 株式会社マーナ Beauty massager
KR20110083169A (en)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뉴피아 A skin care device
JP2013094176A (en) * 2011-10-28 2013-05-20 Rise:Kk Low-frequency stimulation facial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93B2 (en) * 1993-06-11 2001-01-1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Retroreflective she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93U (en) * 2006-04-25 2006-07-27 株式会社マーナ Beauty massager
KR20110083169A (en)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뉴피아 A skin care device
JP2013094176A (en) * 2011-10-28 2013-05-20 Rise:Kk Low-frequency stimulation facial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50A (en) 2018-04-18
KR102045119B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3401B2 (en) Wearable transdermal neurostimulator having cantilevered attachment
KR102091360B1 (en) Beauty care apparatus
CN109328090B (en) Electric apparatus for ski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244362B2 (en) Vision regeneration assisting apparatus
KR101713579B1 (en) Massage apparatus to be skin lifting
CN105311746B (en) Cosmetic apparatus
US20200254253A1 (en) Electrical treatm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treatment system
JP2020185207A (en) Beauty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741609B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KR20180097355A (en) Skin care device and, skin diagnosis and care system f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39555A (en) Beauty care apparatus
US11717658B2 (en) Skin care device
KR100933378B1 (en) Low frequency treatment device
WO2018066814A1 (en) Beauty device
KR20190071199A (en) Skin care machinery using magnetic and ultrasonic wave
EP1566198A2 (en) Hand-help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JP202111209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9058699A (en) Cosmetic system
KR20210036430A (en) Facial Applicators, Power Supplies and Facial Beauty Devices Including the Same
CN211271124U (en) Depilating instrument control circuit and depilating instrument
KR20190062643A (en) Glasses type apparatus for skim care
US20230035679A1 (en) Hair care appliance
CN113144418B (en) Electrode assembly and nursing equipment
KR20140148013A (en) Iontophoresis device
KR200298345Y1 (en) Skin beauty apparatus using ultrasonic w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