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619A -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619A
KR20180038619A KR1020160129233A KR20160129233A KR20180038619A KR 20180038619 A KR20180038619 A KR 20180038619A KR 1020160129233 A KR1020160129233 A KR 1020160129233A KR 20160129233 A KR20160129233 A KR 20160129233A KR 20180038619 A KR20180038619 A KR 2018003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trip
information
remaining amou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893B1 (ko
Inventor
이진원
최현호
차근식
남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6012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893B1/ko
Priority to EP17858613.7A priority patent/EP3524153B1/en
Priority to PCT/KR2017/009506 priority patent/WO2018066818A1/ko
Publication of KR2018003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61B5/15148Constructional features of stocking means, e.g. strip, roll, disc, cartridge, belt or tub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01N33/48757Test elements dispensed from a st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가 측정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카트리지형 생체 측정 장치에서 카트리지 내부에 자체적으로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을 저장하여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하던 카트리지를 다른 측정 본체에 장착하더라도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여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시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측정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s with cartridge type}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가 측정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카트리지형 생체 측정 장치에서 카트리지 내부에 자체적으로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을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 관리하여 사용하던 카트리지를 다른 측정 본체에 장착하더라도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여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시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측정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당 측정기와 같은 바이오 측정기는 혈당과 같은 사용자의 바이오 수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측정기는 검사지, 즉 센서 스트립에 측정하고자 하는 검체를 묻혀 사용자의 바이오 수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혈당측정기의 경우 센서 스트립을 투입구에 끼워넣고, 손가락 끝을 채혈하여 손끝에 채혈된 소량의 혈액을 혈당측정기에 꽂힌 센서 스트립에 대면 혈액이 센서 스트립 투입구로 자동으로 빨려 들어가며, 측정한 혈당값이 혈당 측정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스트립 형태의 센서 스트립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데, 생체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센서 스트립이 교체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센서 스트립이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된 카트리지 형태의 제품이 등장하였다. 상기와 같은 센서 스트립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사용자가 생체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센서 스트립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8410호는 "혈당 측정용 스트립 수납 장치 및 스트립 보관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일렬로 정렬되어 체액을 수집하는 다수의 센서 스트립이 저장되는 하우징와,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하우징을 삽입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조작부재와, 센서 스트립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의 회전 운동을 상측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스트립을 상측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부재와, 일측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하지 아니한 센서 스트립을 배출구 영역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8410호에 따른 센서 스트립 수납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센서 스트립 중 하나를 배출구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센서 스트립의 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품의 휴대성 및 조작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철저한 당 조절은 합병증의 예방을 포함한 당뇨병 관리의 가장 기본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루 중에도 수시로 변하는 당의 변화를 점검하는데, 당 수치를 측정할 때마다 센서 스트립을 사용하여야 하며 따라서 센서 스트립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수의 센서 스트립이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카트리지의 경우 카트리지 내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곤란하며, 당 수치를 측정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잔존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메모하거나 기억하여 센서 스트립의 잔존량이 많이 남지 않았을 때에 적시에 센서 스트립을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종래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카트리지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알려줄 수 있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가 측정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카트리지형 생체 측정 장치에서 카트리지에 자체적으로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을 저장하도록 구성하며 사용하던 카트리지를 다른 측정 본체에 장착하더라도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여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시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측정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과 임계 잔존량을 비교하여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이 임계 잔존량보다 작은 경우,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여 카트리지의 주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센서 스트립이 카트리지의 배출구에 노출 장착되고 다시 센서 스트립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광 센서부를 배출구에 배치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다수의 생체 정보 측정용 스트립이 적층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가 탈부착되며 카트리지로부터 노출 장착된 스트립을 통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본체를 포함하며,카트리지 일측과 카트리지가 측정 본체에 장착시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각각 서로 접촉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에는 스트립의 잔존량을 카운트하여 저장하며 단자를 통해 측정 본체로 스트립의 잔존량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모듈은 스트립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스트립의 잔존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와, 스트립의 잔존량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트립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를 단자를 통해 측정 본체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모듈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스트립이 노출 장착되거나 생체 정보 측정 후 노출 장착 위치로부터 스트립이 배출되는지를 판단하여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감지부는 스트립이 노출 장착되거나 스트립이 노출 장착 위치로부터 배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본체는 관리 모듈로부터 수신한 스트립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관리 모듈은 카트리지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단자와 측정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 단자가 서로 접촉 여부를 판단하며, 일측 단자와 타측 단자가 서로 접촉시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 본체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본체는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주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본체는 관리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스트립의 잔존량과 설정한 임계 잔존량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며, 주문 관리부는 스트립의 잔존량이 임계 잔존량보다 작은 경우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카트리지의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카트리지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사용자에 알려줄 수 있다.
둘째,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가 측정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측정 장치는 카트리지 내부에 자체적으로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을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하던 카트리지를 다른 측정 본체에 장착하더라도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결합시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측정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과 임계 잔존량을 비교함으로써,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이 임계 잔존량보다 작은 경우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여 카트리지의 주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센서 스트립이 카트리지의 배출구에 노출 장착되고 다시 센서 스트립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광 센서부를 배출구에 배치함으로써,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본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1)는 카트리지(10)와 측정 본체(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10)는 하우징(11) 내부에 다수의 센서 스트립이 적층 보관되는 내부 공간(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10)는 센서 스트립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측정 본체(30)에 체결 결합된다.
카트리지(10)의 하우징(11) 일측과 카트리지(10)가 측정 본체(30)에 체결 결합시 일측에 대향하는 측정 본체(30)의 하우징(31) 타측에는 각각 서로 접촉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카트리지(10) 또는 측정 본체(30)는 일측 단자와 타측 단자의 접촉을 통해 카트리지(10)와 측정 본체(30)가 서로 체결 결합됨을 판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는 내부 공간(13)에 보관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며 사용 여부의 감지 횟수에 따라 카트리지(10)의 내부 공간(13)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 정보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다. 카트리지(10)가 측정 본체(30)에 체결 결합시 또는 체결 결합 후 측정 본체(30)로부터 잔존 센서 스트립의 수량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하고 있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 본체(30)로 제공하며, 측정 본체(30)의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3)에 출력되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트리지(10)에 남아있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이 적은 경우 센서 스트립이 모두 사용되기 전 신규 카트리지를 주문하여 연속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카트리지(10)의 내부공간(13)에는 다수의 센서 스트립(16)이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다. 사용자가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측정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푸쉬 버튼(미도시)를 통해 적층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 중 하나의 센서 스트립을 배출구로 밀어내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로 센서 스트립을 이동 고정시킨다.
한편, 센서 스트립의 앞단에는 사용자의 혈액이 투입되며 센서 스트립의 상면에는 다수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데, 센서 스트립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은 측정 위치에서 측정 단자(19)와 접속된다.
여기서 측정 단자(19)는 측정 본체(30)와 연결되어 측정 단자(19)를 통해 전달받은 수치를 이용하여 측정 본체(30)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카트리지(10)의 관리 모듈(17)에는 센서 스트립의 생산 로트번호(lot number)가 저장되어 있으며, 측정 본체(30)는 생산 로트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센서 스트립은 제품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는데, 센서 스트립은 생산된 날짜 또는 생산 로트번호(lot number)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센서 스트립을 이용하여 측정된 수치는 센서 스트립의 생산 로트번호에 대응되는 보정 기준을 이용하여 보정된다.
생체 정보의 측정이 완료된 후, 측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는 푸쉬 버튼에 의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데, 관리 모듈(17)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센서 스트립이 측정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생체 정보의 측정 완료 후 측정 위치에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지를 판단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며, 이에 기초하여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카운트하고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적층 보관된 센서 스트립의 하단에는 센서 스트립을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부(18)가 구비되어 있어, 내부 공간에 적층 보관된 센서 스트립들이 순차적으로 상단으로 이동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0)의 내부 공간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 중 상단에 위치하는 센서 스트립(16)은 푸쉬 버튼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배출구(H)로 이동하여 측정 위치에 배치된다. 센서 스트립(16)이 적층 위치에서 측정 위치로 이동시 센서 스트립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는 측정 단자(19)와 접촉하게 된다. 센서 스트립의 단자와 측정 단자(19)가 접촉시마다 센서 스트립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며, 관리 모듈(17)은 센서 스트립이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에서 1씩 차감하여 최종 잔존 수량을 계산하며,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 모듈에 저장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0)의 내부 공간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 중 상단에 위치하는 센서 스트립(16)은 푸쉬 버튼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배출구(H)로 이동하여 측정 위치에 배치된다. 배출구(H)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광 센서부(14)가 배치되어 있는데, 배출구(H)의 하단에는 광 발광부(14-1)가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구(H)의 상단에는 광 수광부(14-2)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광 발광부(14-1)과 광 수광부(14-2)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센서 스트립(16)이 측정 위치로 이동 전 광 수광부(14-2)는 광 발광부(14-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며 센서 스트립(16)이 측정 위치로 이동시 광 수광부(14-2)는 광 발광부(14-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 수광부(14-2)에서 광 발광부(14-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지 못하는 경우 센서 스트립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체 정보의 측정 완료 후 측정 위치에 있는 센서 스트립(16)이 푸쉬 버튼에 의해 배출구(H) 방향으로 밀어지는 경우 다시 광 수광부(14-2)는 광 발광부(14-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광을 수광하는 단계, 광을 수광하지 못하는 단계 및 다시 광을 수광하는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1개의 사이클을 설정하며, 1개의 사이클이 수행되는 경우 센서 스트립을 1개 사용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사이클을 이용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광 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관리 모듈(17)은 센서 스트립이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수량을 1씩 차감하여 최종 잔존 수량을 계산하며,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 모듈(17)에 저장 관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지부(110)는 내부 공간에 적층 보관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여 노출 배치되는지 또는 생체 정보의 측정 완료 후 측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배출구에서 배출되는지를 감지하여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카운트부(130)는 센서 스트립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센서 스트립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던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서 1씩 차감하여 현재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을 카운트하며, 카운트한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 관리한다.
한편, 접촉 판단부(190)는 카트리지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단자와 측정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 단자가 서로 접촉하였는지 감지하여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의 체결 결합 여부를 판단하며, 카트리지와 측정 본체가 서로 체결 결합하는 경우 체결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부(170)로 제공한다. 제공부(170)는 체결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 본체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공부(170)는 측정 본체로부터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측정 본체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바람직하게, 제공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이 변경되는지를 모니터링하며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종 수량이 변경될 때마다 센서 스트립의 잔종 수량 정보를 측정 본체로 제공하는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정 본체는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이 변경될 때마다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을 사용자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가 센서 스트립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카트리지에 남아지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공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의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 정보와 함께 측정 본체로 제공하며 측정 본체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 정보와 유효기간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 정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센서 스틀비의 유효기간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본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32)는 카트리지로부터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3)로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출력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32)는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비교부(35)로 제공하는데, 비교부(35)는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과 기설정된 임계 잔존 수량을 비교하여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이 임계 잔존 수량보다 작은지 비교한다.
비교부(35)는 센서 스트립의 최종 잔존 수량이 임계 잔존 수량보다 작은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 관리부(37)로 제공하는데, 주문 관리부(37)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며 송수신부(39)를 통해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메시지를 송신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주문 관리부(37)는 사용자의 주소, 연락처 등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주소 또는 연락처로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할 것인지 문의하기 위한 문의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한 문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사용자에 출력한다. 주문 관리부(37)는 문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저장된 주소 또는 연락처로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문의 메시지의 사용자 주소 또는 연락처를 변경하거나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 수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한 사용자의 주소 또는 연락처 또는 주문 수량으로 주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39)는 사용자가 설정한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송수신부(39)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39)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주문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완료 메시지를 주문 관리부(37)로 제공하며, 주문 관리부(37)는 주문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측정 본체(30)의 일측에는 카트리지에 남아있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입력 버튼(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데, 입력 버튼을 통해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32)는 제공부(170)로 카트리지에 남아있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디스플레이부(3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 버튼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카트리지에 남아있는 센서 스트립의 잔존 수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생체 정보 측정 장치 10: 카트리지
30: 측정 본체 11: 카트리지 하우징
13: 내부 공간 15: 일측 단자
16: 센서 스트립 17: 관리 모듈
18: 스프링부 19: 측정 단자
31: 측정 본체 하우징 32: 제어부
33: 디스플레이부 35: 비교부
37: 주문 관리부 39: 송수신부
110: 감지부 130: 카운트부
150: 저장부 170: 제공부
190: 접촉 판단부

Claims (8)

  1. 다수의 생체 정보 측정용 스트립이 적층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탈부착되며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노출 장착된 스트립을 통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일측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측정 본체에 장착시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각각 서로 접촉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을 카운트하여 저장하며, 상기 단자를 통해 상기 측정 본체로 스트립의 잔존량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스트립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자를 통해 상기 측정 본체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스트립이 노출 장착되거나 생체 정보 측정 후 노출 장착 위치로부터 스트립이 배출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트립이 노출 장착되거나 상기 스트립이 노출 장착 위치로부터 배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본체는
    상기 관리 모듈로부터 수신한 스트립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단자와 상기 측정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 단자가 서로 접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가 서로 접촉시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측정 본체로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본체는
    신규 카트리지의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주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본체는
    상기 관리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스트립의 잔존량과 설정한 임계 잔존량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 관리부는 상기 스트립의 잔존량이 임계 잔존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주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20160129233A 2016-10-06 2016-10-06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190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33A KR101900893B1 (ko) 2016-10-06 2016-10-06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EP17858613.7A EP3524153B1 (en) 2016-10-06 2017-08-30 Cartridge type bio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PCT/KR2017/009506 WO2018066818A1 (ko) 2016-10-06 2017-08-30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33A KR101900893B1 (ko) 2016-10-06 2016-10-06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19A true KR20180038619A (ko) 2018-04-17
KR101900893B1 KR101900893B1 (ko) 2018-09-27

Family

ID=6183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33A KR101900893B1 (ko) 2016-10-06 2016-10-06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524153B1 (ko)
KR (1) KR101900893B1 (ko)
WO (1) WO2018066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781B1 (ko) * 2020-07-29 2022-04-25 주식회사 아이센스 센서 사용기간의 안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328192T3 (da) * 2001-03-29 2011-03-28 Lifescan Scotland Ltd Integreret blodprøvemåleapparat
JP4095105B2 (ja) * 2007-03-09 2008-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JP4566231B2 (ja) * 2007-12-20 2010-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分与装置
KR100985630B1 (ko) * 2008-02-29 2010-10-05 주식회사 유비케어 혈당측정시험지 관리 방법 및 혈당측정시험지 관리 시스템
KR101348410B1 (ko) 2010-02-16 2014-01-07 최인상 혈당 측정용 스트립 수납 장치 및 스트립 보관 장치
US10352921B2 (en) * 2011-05-31 2019-07-16 Tara Chand Singhal Integrated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with a test strip packaging system
WO2013069223A1 (ja) * 2011-11-08 2013-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KR102173725B1 (ko) * 2013-11-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3630B1 (ko) * 2014-05-09 2016-02-15 주식회사 아이센스 바이오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의 잔존량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818A1 (ko) 2018-04-12
EP3524153A1 (en) 2019-08-14
EP3524153B1 (en) 2023-09-27
KR101900893B1 (ko) 2018-09-27
EP3524153A4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4324B (zh) 具有方位传感器的吸入器
JP6008217B2 (ja) 飲酒測定器
US20130305808A1 (en) Breath analyzer and detachable alcohol sensor module
EP2479576B1 (en) Blood glucose meter and blood glucose level measurement method
US1146033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cartridge
US1173749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cartridge
AU2014328497A1 (en)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 and pairing of a medical infusion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US20210106777A1 (en) Device For Assisting With The Use Of A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KR101383620B1 (ko) 음주측정기용 표준알코올가스가 구비된 휴대가능한 표준가스카트리지
KR101900893B1 (ko) 카트리지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US20240017015A1 (en) Monitoring Device
US20140132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n electrolyte measurment system
KR20150012879A (ko) 센서 스트립 카트리지,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생체 정보 측정 방법
JP7247369B2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装置
US11284817B2 (e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 analyte concentration in a body fluid and analyte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KR102241449B1 (ko)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장치
US20200069882A1 (en) Dose recording device and dose recording method
JP2009229117A (ja) 電子体温計
US11408881B2 (en) Test meter and method for detecting undue pressure applied to an inserated test strip
CN110691959B (zh) 用于气瓶的膨胀阀和用于监测气瓶的方法
KR20240041485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액상 잔량 측정 시스템
EP3709306A1 (en) Technique for detecting operation events of an automatic dispenser
EP4262551A1 (en) Replaceable cartridge for breathalyzer
WO2020208834A1 (en) Packaging with system for monitoring its use
JP2018191981A (ja) ネブライザ、モニタ装置、およびモニ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