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939A -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939A
KR20180036939A KR1020180035253A KR20180035253A KR20180036939A KR 20180036939 A KR20180036939 A KR 20180036939A KR 1020180035253 A KR1020180035253 A KR 1020180035253A KR 20180035253 A KR20180035253 A KR 20180035253A KR 20180036939 A KR20180036939 A KR 2018003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keyword
user
user terminal
asso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404B1 (ko
Inventor
이일구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8003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4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검색 하여 상기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메시지를 상기 키워드와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하는 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essage,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one of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에 있어서 종종 기존의 대화 내용을 확인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은 해당 대화방의 해당 대화내역이 있는 부분까지 직접 이동해서 확인해야 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화내역 검색기능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 역시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선정하고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대화내역은 시간 순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하나의 주제에 대한 모든 대화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해당 대화내역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모두 다시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내화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화면 캡쳐(Capture) 또는 내용 복사 및 붙여 넣기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9797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여 메시지 수신자에게 수신 메시지와 함께 연관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대화 내용을 요약 메시지로 요약하여, 요약 메시지 내의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요약 메시지와 함께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신메시지에 대한 연관 메시지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검색 하여 상기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메시지를 상기 키워드와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하는 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검색 하여 상기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연관 메시지 추출부; 및 상기 연관 메시지를 상기 키워드와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하는 메시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추출부가 추출한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 추출부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하는 메시지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에서 추출되고, 상기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에서 추출되고, 상기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여 메시지 수신자에게 수신 메시지와 함께 연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대화 내용을 요약 메시지로 요약하여, 요약 메시지 내의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요약 메시지와 함께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메시지에 대한 연관 메시지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에 구비되는 메시지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제2 사용자 단말로 요약하여 전송할 복수의 피요약 메시지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제2 사용자 단말에서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7a는 하이퍼링크가 포함 된 메시지를 수신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키워드에 부가된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켰을 때 연관 메시지를 스크롤링 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7c는 도 7b의 연관 메시지에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a는 도 7a의 키워드에 부가된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켰을 때 연관 메시지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b는 복수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연관 메시지 내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에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 또는 메시지 송수신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대상 메시지에 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에 관한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제1 사용자 단말(200)은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퍼스널 컴퓨터(301)일 수도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3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2, 3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 장치, 및 통신부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망(400)은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400)은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에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 및/또는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 또는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메시지 또는 피요약 메시지에 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에 관한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제어부,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서버(1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피요약 메시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와 그의 단말을 각각 제1 사용자 및 제1 사용자 단말로, 입력 메시지 및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요약 메시지 및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와 그의 단말을 각각 제2 사용자 및 제1 사용자 단말로 지칭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설명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일 뿐, 한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역시 입력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요약 대상 메시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역시 입력 메시지 및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요약 메시지 및 연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가 입력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요약 대상 메시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가 입력 메시지 및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요약 메시지 및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의 예를 가정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100)에 구비되는 메시지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바람직하게는 서버(100)에 구비되지만, 반드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 변경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제1 수신부(111), 키워드 추출부(112),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 메시지 연결부(114), 제1 제공부(115), 제2 제공부(116) 및 데이터베이스(1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편의상/기능상의 분류일 뿐, 각각의 구성이 물리적으로 명확히 나뉘어진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들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상호 중복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다른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111), 제1 제공부(115) 및 제2 제공부(116)는 하나의 통신 장치 또는 통신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으며, 키워드 추출부(112),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 메시지 연결부(114)는 하나의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메시지 또는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메시지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한 메시지를 포함한다.
피요약 메시지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요약을 위해 선택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피요약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요약 대상 메시지로써, 기존에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메시지 이력은 상술한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을 포함한 복수의 대화상대와 상호 통신한 이력을 포함한다.
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요약을 위해 선택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 즉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식별정보는 대화방의 ID 및 메시지 별 ID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를 요약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제공부(115)는 요약 메시지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요약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의 내용을 요약한 메시지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요약 메시지의 수정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공부(116)는 수정사항이 반영된 요약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추출부(112)는 제1 수신부(111)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한다.
키워드 추출부(112)가 입력 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키워드 추출부(112)는 입력 메시지를 형태소 단위로 분해한 뒤, 명사만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조사(예컨대 은, 는, 이, 가, 의 등) 앞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단어는 명사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는 키워드 추출부(112)는 입력 메시지를 형태소 단위로 분해한 뒤,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만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키워드 추출부(112)는 입력 메시지를 형태소 단위로 분해한 뒤, 시제를 나타내는 단어만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의문대명사 또는 시제를 나타내는 단어의 군(group)은 기 저장될 수 있다.
가령, "김갑동"이라는 사용자와 "박을순"이라는 사용자 사이에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가 있은 뒤, "박을순"이라는 사용자가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오늘 언제 어디에서 만나기로 했었는지 기억하지?"라는 메시지를 입력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키워드 추출부(112)는 입력 메시지에서 "언제" 또는 “몇 시”와 "어디에서"와 같은 의문대명사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112)는 입력 메시지에서 "오늘"과 같은 시제를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추출부(112)는 제1 수신부(111)가 수신한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피요약 메시지를 요약 메시지로 요약하고, 요약 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세히, 키워드 추출부(112)는 제1 수신부(111)가 수신한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17) 상에서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117)에서 조회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요약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추출부(112)가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를 요약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키워드 추출부(112)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를 형태소 단위로 분해한 뒤, 명사만을 추출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 저장된 조사(예컨대 은, 는, 이, 가, 의 등) 앞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단어는 명사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는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를 형태소 단위로 분해한 뒤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를 추출하고, 추출된 의문대명사의 대답이 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에서 현저한 지리적 명칭, 고유대명사, 브렌드 명칭 등을 추출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추출 대상이 되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 고유 대명사, 브렌드 명칭 등은 기 저장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요약 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가 요약 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은 상술한 키워드 추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김갑동"이라는 사용자와 "박을순"이라는 사용자 사이에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가 있은 뒤,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를 요약하여 전송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깁갑동"의 "내일 몇 시에 만날까?"라는 메시지, 자신의 "세시가 좋겠다", "어디에서 만날까?"라는 메시지 및 사용자 "김갑동"의 "시청에서 만나."라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피요약 메시지로 선택하였다면, 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4개의 메시지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식별정보는 대화방의 ID 및 메시지 별 ID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4개의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17) 상에서 상기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조회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15.09.28 / 시청 / 3PM"과 같이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112)는 "15.09.28", "시청" 및 "3PM" 각각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제1 수신부(111)가 수신한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키워드 추출부(112)는 동일한 피요약 메시지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요약 메시지는 제1 제공부(115)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고,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요약 메시지만이 제2 제공부(116)에 의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이 봇(Bot)인 경우,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에서 봇에 적합한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요약 메시지에 봇에 적합한 키워드를 부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대방이 봇(Bot)인 경우를 위한 별도의 키워드 추출 규칙이 기 저장될 수 있다.
봇(Bot)은 로봇(Robot)의 줄인 말로, 사용자가 요구한 데이터를 찾아주는 도구를 의미한다. 즉 키워드 추출부(112)가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신한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피요약 메시지를 봇에 적합한 요약 메시지, 즉 봇이 이해할 수 있는 문법으로 기재된 메세지 형태로 요약하고, 요약 메시지를 서버(100)에서 봇에게 전송하면, 봇은 요약 메시지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0)와 봇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고, 서버(100)와 봇은 동일 장치 내의 서로 다른 논리적 영역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봇은 예컨대 채터봇(Chatterbot)일 수 있다. 채터봇은 음성이나 문자를 통한 인간과의 대화를 시뮬레이션 할 목적으로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채터봇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메시지에서 특정 단어나 어구를 검출하여 그에 맞는 미리 준비된 응답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또한 봇은 예를 들어 특정한 유명인 또는 기업, 점포 등에 광고용 또는 상업용으로 할당된 메신저 서비스 계정이 운영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특정 가수의 음악을 검색하여 재생하는 봇, 영화 검색 및 예약을 수행하는 봇 등이 있을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이 봇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17)에 포함되어 있는 추천 키워드(Keyword)를 참조하여 피요약 메시지를 요약 메시지로 요약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7)에는 봇의 클러스터 별 추천 키워드가 저장될 수 있고, 클러스터는 봇들의 역할에 따라 봇들을 분류한 것으로, 식당봇 클러스터, 여행봇 클러스터, 날씨봇 클러스터, 번역 봇 클러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17)는 식당봇 클러스터, 여행봇 클러스터 및 날씨봇 클러스터 등의 클러스터 별 키워드를 포함하고, 키워드 추출부(112)는 해당 클러스터에 속하는 봇에게 전송되는 요약 메시지의 작성 시 데이터베이스(117)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요약하고,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김갑동"이라는 사용자와 "박을순"이라는 사용자 사이에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가 있은 뒤, 사용자 "박을순"이 약속 장소 근처의 식당을 예약하기 위해 "식당봇"에게 상술한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를 요약하여 전송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깁갑동"의 "내일 몇 시에 만날까?"라는 메시지, 자신의 "세시가 좋겠다", "어디에서 만날까?"라는 메시지 및 사용자 "김갑동"의 "시청에서 만나."라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피요약 메시지로 선택하였다면 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4개의 메시지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4개의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17) 상에서 상기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조회된 메시지와 데이터베이스(117)의 "식당봇"이 포함된 식당봇 클러스터 해당하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15.09.28 / 시청 / 3PM / 주변 식당"과 같이 시간, 장소, 날짜 등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적합한 키워드를 부가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요약 메시지의 키워드 중 "주변 식당"은 키워드 추출부(112)가 데이터베이스(117)의 식당봇 클러스터에 저장된 키워드를 참조하여 부가한 키워드이다.
키워드 추출부(112)는 제1 수신부(111)가 수신한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17) 상에서 조회한 피요약 메시지가 이미지, 동영상, 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개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개체를 하나의 개체로 병합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가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개체 중 어느 하나의 개체를 '개체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즉 피요약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개체를 포함하는 경우,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개체를 병합하고, 피요약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개체 중 어느 하나의 개체를 '개체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키워드 추출부(112)는 피요약 메시지가 복수의 사진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사진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결합하거나, 시간에 흐름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보여지도록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된 개체는 정지 이미지 또는 움직이는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제1 수신부(111)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개체가 포함된 경우에도, 키워드 추출부(112)는 해당 개체를 '개체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사용자와 복수의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색하여 키워드 추출부(112)가 추출한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한다.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가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도 있고, 키워드와 동의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기 형성된 사전(dictionary)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연관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가 상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의문대명사인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해당 의문 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상세히, 의문 대명사 "언제"가 키워드인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언제"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는 "X시", "X월", "X일" 및 "내일"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의문 대명사 "어디에서"가 키워드인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어디에서"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는 "X에서", "X층에서", "X시에서", "X동에서" 및 기 저장된 유명 장소의 이름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의문 대명사 별 연관 메시지를 선별하는 기준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예컨대,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김갑동"이라는 사용자와 "박을순"이라는 사용자 사이에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가 있은 뒤, "박을순"이라는 사용자가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오늘 언제 어디에서 만나기로 했었는지 기억하지?"라는 메시지를 2015.09.28에 입력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또한 키워드 추출부(112)가 입력 메시지에서 "언제", "어디에서" 및 "오늘"을 키워드로 추출하였다고 가정한다.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키워드 추출부(112)가 추출한 "오늘"이라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117)에 저장 된 대화 이력 중 '2015.09.28'에 관한 대화 이력이 있는지 검색한다. 예를 들어,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2015.09.28'을 "내일", "일주일 뒤" 등의 날로 지칭하고 있는 대화 이력이 있는지 해당 이력이 저장된 날짜를 고려하여 검색한다. 가령 데이터베이스(117)에 사용자 "깁갑동"이 "내일 몇 시에 만날까?"라는 메시지를 사용자 "박을순"에게 '2015.09.27'에 전송한 이력이 있다면,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해당 메시지 이력을 중심으로 나머지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 추출을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박을순"이 "내일 몇 시에 만날까?"라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세시가 좋겠다." 및 "어디에서 만날까?" 라는 메시지를 사용자 "김갑동"에게 전송하였고, 사용자 "김갑동"이 "시청에서 만나."라고 대답한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키워드 "언제"에 대하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세시가 좋겠다"를, 키워드 "어디에서"에 대하여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에서 만나."를 각각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이력은 상술한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을 포함한 복수의 대화상대와 상호 통신한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이력은 데이터베이스(117)에 기록 되어 있는 복수의 대화상대화와의 대화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김갑동", 사용자 "박을순" 및 사용자 "홍길동"이 '2015.09.28'에 저녁을 함께 먹기로 하였고, 사용자 "김갑동"과 사용자 "홍길동"이 '2015.09.27'에 '저녁 메뉴'에 관한 대화를 나누었으며, 사용자 "김갑동"이 사용자 "박을순"에게 "저녁 메뉴는 홍길동이 정한다고 했어."라는 메시지를 '2015.09.27'에 전송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오늘 저녁 메뉴가 뭐야?"라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키워드 추출부(112)가 추출한 "저녁 메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저녁 메뉴는 홍길동이 정한다고 했어."라는 메시지를 “저녁 메뉴”라는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13)는 연관 메시지에서 또 다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녁 메뉴는 홍길동이 정한다고 했어."라는 메시지에서 사용자 이름인 “홍길동”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키워드 추출부(112)가 추출한 "홍길동" 또는 "저녁 메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김갑동"과 사용자 "홍길동"의 '저녁 메뉴'에 관한 대화 중 사용자 "홍길동"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전송한 "오늘 저녁 메뉴는 피자!"라는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키워드가 멀티미디어로 구성된 개체 키워드인 경우, 개체 키워드를 이용하여 연관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개체 키워드가 사진인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사용자와 복수의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색하여 개체 키워드인 사진과 유사한 사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가 개체를 이용하여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개체가 이미지인 경우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는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 태그 데이터 등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기술 및 이미지 유사 판단 기술을 이용하여 연관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연결부(114)는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가 추출한 연관 메시지를 키워드와 함께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한다.
하이퍼링크는 원래 문서 내의 단어나 구, 기호, 화상과 같은 요소를 그 하이퍼텍스트 내의 다른 요소 또는 다른 하이퍼텍스트 내의 다른 요소와 연결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 하이퍼링크는 특정 메시지가 포함하고 있는 키워드와 관련 있는 메시지를 해당 키워드에 연결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는 키워드가 선택되면 기동(activate)될 수 있고,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키워드와 관련 있는 메시지가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연결부(114)는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 내의 키워드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를 설정하고, 하이퍼링크 속성에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의 속성에 삽입되는 연관 메시지의 식별정보는, 대화방의 ID 및 메시지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연결부(114)는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가 개체 키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개체를 하이퍼링크로 설정하고, 하이퍼링크 속성에 개체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공부(115)는 메시지 연결부(114)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삽입된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제공부(115)는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의 최종 검토를 위해 완성된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제1 수신부(111)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1 제공부(115)는 입력 메시지에 키워드 표시와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해당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켜봄으로써, 키워드와 연관 메시지가 적절하게 연결되었는지의 여부 등 하이퍼링크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는, 입력 메시지에 부가된 키워드 표시 및 하이퍼링크에 대한 수정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신부(111)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시지 이력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제1 제공부(115)는 키워드 표시 및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요약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신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요약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 순서에 대한 수정사항 또는 요약 메시지에 부가할 추가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켜봄으로써, 하이퍼링크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하이퍼링크를 수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하여 선택된 메세지에 하이퍼링크를 새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공부(116)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하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되는 제어 장치(310)에서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메시지 및 그에 따른 연관 메시지의 표시를 제어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동일한 구성의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관한 그 어떤 설명도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설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3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 장치(3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10)는 제2 수신부(311) 및 제어부(3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신부(311)는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시지 제공 장치(110)를 거쳐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메시지를 메시지 제공 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연관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의 메시지 송수신 이력 또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복수의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 이력에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2 수신부(311)가 수신한 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라고 한다)의 키워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가 대화 당사자들 간에 송수신된 것인지 제3자의 대화에서 추출된 것인지에 따라 화면의 표시 제어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2)는 수신 메시지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가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경우,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및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의 대화가 이루어 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내에서 연관 메시지가 존재하는 부분으로 스크롤링(scrolling)되는 과정을 표시하고, 연관 메시지에 하이라이트(High Light)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크롤링 되는 과정은 대화가 이루어 지고 있는 GUI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 수신 메시지가 표시된 영역에서부터 연관 메시지가 표시된 영역까지 이동하는 과정을 연속적인 에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김갑동"이라는 사용자와 "박을순"이라는 사용자 사이에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가 있은 뒤,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내일 약속 시간과 약속 장소'에 관한 대화를 요약하여 "15.09.28 / 시청 / 3PM"과 같은 요약 메시지를 전송 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깁갑동"이 "3PM"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기동시킨 경우, "3PM"과 관련이 있는 연관 메시지가 자신의 "세시가 좋겠다"라는 메시지라면, 연관 메시지가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312)는 "세시가 좋겠다"라는 메시지가 존재하는 부분으로 스크롤링(scrolling)되는 과정을 표시하고, "세시가 좋겠다"라는 메시지에 하이라이트(High Light)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의 가독성(legi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신 이력 중 연관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와 구별되도록 다른 방법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에 대하여 블러링(blurring), 흑백 처리 및 사라짐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수신 메시지의 키워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관 메시지가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삭제된 경우, 제어부(312)는 서버(100)로부터 해당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관 메시지가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삭제된 경우에는 제어부(312)가 해당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없으므로, 제어부(312)는 서버(1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117)로부터 해당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대화가 이루어 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표시되어 있던 메시지와 서버(100)에서 다시 다운로드된 연관 메시지 사이에는 시간 간격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12)는 대화의 흐름이 끊어진 시점에 대화의 흐름이 끊어짐을 알리는 부정합 표시를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2)는 수신 메시지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가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것이 아닌 경우,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및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의 대화가 이루어 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내에서 연관 메시지가 포함되어있는 팝업(Pop-up)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김갑동", 사용자 "박을순" 및 사용자 "홍길동"이 저녁을 먹기로 하였고, 저녁 메뉴에 관한 대화가 사용자 "김갑동"과 사용자 "홍길동" 사이에 있었으며,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저녁 메뉴를 묻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이 때 제어부(312)는 사용자 "김갑동"과 사용자 "홍길동" 사이의 저녁 메뉴에 관한 대화 중 일부 메시지가 사용자 "박을순"과 사용자 "김갑동"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GUI에 팝업 창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가 수신 메시지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가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것이 아닌 경우 연관 메시지를 팝업 창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해당 연관 메시지는 대화 당사자 간의 송수신 메시지가 아니므로 스크롤링을 통한 이동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다만, 권한 설정 등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부(312)는 당사자 중 일부와 제3 자의 대화방에서 스크롤링(scrolling)되는 과정을 표시하고, 연관 메시지에 하이라이트(High Light)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312)는 수신 메시지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가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것이 아닌 경우 해당 연관 메시지의 작성자인 제3자의 단말(미도시)에게 대화 내용 공유 허가 요청을 전송하도록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0)는 제3자의 단말(미도시)에 대화 내용 공유 허가 요청을 전송하고, 제3자로부터 공유 허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연관 메시지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사용자 "김갑동"과 제3자 "홍길동"이 나눈 대화 내용에 포함되는 제3자 "홍길동"의 메시지가 사용자 "김갑동"과 사용자 "박을순"의 대화 중에 특정 키워드에 의해 연관 메시지로 추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박을순"이 특정 키워드에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연관 메시지를 열람할 때, 제어부(312)는 "박을순"의 대화 내용 공유 허가 메시지 전송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대화 내용 공유 허가 메시지 전송 요청이 서버(100)에 전송되는 시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관메시지 추출부(113)가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시점에 공유 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제3자 "홍길동"의 단말로 공유를 요청한 상대방(본 예에서 “박을순”)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공유를 요청한 대화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허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3자 "홍길동"이 대화 내용의 공유를 수락한 경우, 서버(100)는 제3자 "홍길동"의 단말로부터 공유 수락을 수신하고, 수신된 수락 정보에 따라 "박을순"의 단말로 해당 연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0)는 연관 메시지와 더불어 연관 메시지를 작성한 주체, 작성 시간, 연관 메시지가 작성된 대화방에 관한 정보 등을 ”박을순”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경우에도,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를 팝업창의 형식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 및 연관 메시지가 복수 개인 경우, 수신 메시지에서의 복수의 키워드의 순서에 따라 복수의 연관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메시지가 "15.09.28 / 시청 / 3PM"인 경우, 제어부(312)는 "15.09.28"에 관한 연관 메시지, "시청"에 관한 연관 메시지 및 "3PM"에 관한 연관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12)는 키워드의 순서에 따라 GUI를 스크롤링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팝업창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메시지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인 경우, (이하, 연관 메시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제2 하이퍼링크’라고 한다.)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2 하이퍼링크가 기동되면 제어부(312)는 제2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관 메시지(이하,‘제2 연관 메시지’라고 한다.)를 더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박을순"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오늘 저녁 메뉴가 뭐야?"라는 메시지를 전송하였고, 키워드 "저녁 메뉴"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사용자 "김갑동"의 "저녁 메뉴는 홍길동이 정한다고 했어."라는 메시지라고 한다. 이 때 "저녁 메뉴는 홍길동이 정한다고 했어."에서 키워드 "홍길동"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홍길동"이 사용자 "김갑동"에게 전송한 "오늘 저녁 메뉴는 피자!"라는 메시지인 경우, 제어부(312)는 "오늘 저녁 메뉴가 뭐야?"라는 수신 메시지, "저녁 메뉴는 홍길동이 정한다고 했어."라는 연관 메시지 및 "오늘 저녁 메뉴는 피자!"라는 제2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제어부(312)는 키워드의 순서에 따라 GUI를 스크롤링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팝업창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하이퍼링크에 의해 표시되는 제2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이하 제3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인 경우, 제어부(312)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3 하이퍼링크가 기동되면 해당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관 메시지(이하 제3 연관 메시지)를 더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에 대한 연관 메시지에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까지 연관 메시지에 대한 연관 메시지를 전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에 대한 제1 연관 메시지, 제1 연관 메시지에 대한 제2 연관 메시지와 같이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관 메시지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31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각 연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퍼링크가 기동될 때마다 해당 연관 메시지에 대한 연관 메시지를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이전 연관 메시지', '다음 연관 메시지' 또는 '최초 메시지'로 돌아갈 수 있는 탐색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관 메시지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는 종종 전/후의 연관 메시지를 대비하며 또는 최초 메시지와 대비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 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312)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전 연관 메시지, 다음 연관 메시지 또는 최초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12)는 복수의 연관 메시지들의 섬네일(Thumnail)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연관 메시지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제어부(31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하이퍼링크의 기동 없이 모든 연관메시지를 일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12)는 복수개의 연관 메시지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제1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메시지 제공 장치(110)가 서버에 구비되는 실시예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메시지 또는 피요약 메시지를 입력받아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의 처리 결과를 제공받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는 제1 사용자 단말(200)에 메시지 제공 장치(110)가 구비된 것으로,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의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고,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검색하여 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 때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연관메시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의 키워드 추출부(112)가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과 연관 메시지 추출부(113)가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서버(100)가 아닌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메시지 이력을 검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추출된 연관 메시지를 추출된 키워드와 함께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를 각각의 연관 메시지들과 함께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의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되는 제어 장치(310)가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의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한편 도 3의 서버(100)에는 도 2의 메시지 제공 장치(110)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를 참조하여 메시지 제공 장치(11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 도 3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메시지 또는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S31). 이 때 입력 메시지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요약 메시지는 사용자와 복수의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한 메시지 이력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입력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을 포함하는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는 대화방의 ID 및 메시지 별 ID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계 S31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피요약 메시지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받은 경우, 식별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를 요약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한다(S32). 상세히, 서버(100)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117) 에서 조회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요약하여 요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계 S31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은 입력 메시지 또는 단계 S32에서 생성된 요약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한다(S33). 이 때 서버(100)가 메시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사용자와 복수의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색하여 단계 S33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한다(S34). 서버(100)가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33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단계 S33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계 S34에서 추출한 연관 메시지를 키워드와 함께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한다(S35). 즉 서버(100)는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 내의 키워드를 하이퍼링크로 연결하고, 하이퍼링크 속성에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삽입한다.
서버(100)는 단계 S36에서 생성된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 때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시지의 키워드 순서에 대한 수정사항 또는 메시지에 부가되는 추가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켜봄으로써, 하이퍼링크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3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도 4의 표시 제어 방법은 도 3의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되는 제어 장치(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을 참조하여 제어 장치(31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 도 4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키워드를 포함하고 키워드에는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S41).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 메시지 또는 요약 메시지 내의 키워드가 하이퍼링크로 처리되고, 하이퍼링크 속성에 키워드와 관련 있는 연관 메시지의 식별정보가 삽입된 메시지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단계 S41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42).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부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키워드를 메시지 내의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키워드를 통상의 하이퍼링크와 같이 키워드의 밑줄처리 및/또는 키워드의 청색처리로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한다(S43).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사용자의 하이퍼링크 기동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해당 하이퍼링크 속성에 삽입되어 있는 연관 메시지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연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연관 메시지가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화면의 표시 제어를 달리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화면(510)을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메시지를 입력하는 화면(510)은 대화 상대가 표시되는 대화상대 표시창(511), 기존의 대화 이력이 표시되는 대화창(51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513) 및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창(514)은 하이퍼링크로 처리된 키워드의 표시(515, 5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의 경우, 사용자가 '김갑동'이라는 대화상대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상태로, "언제"(515)와 "어디에서"(516)의 키워드가 하이퍼링크로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요약하여 전송할 하나 이상의 피요약 메시지를 선택하는 화면(520)을 도시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피요약 메시지를 선택하는 화면(520)은 대화 상대가 표시되는 대화상대 표시창(521), 기존의 대화 이력이 표시되는 대화창(52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523) 및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5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화창(522)은 기존의 대화 이력 중 요약 대상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5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창(524)에는 사용자가 대화창(522)에서 선택한 메시지들을 토대로 서버(100)가 요약한 요약 메시지(526)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화면(520)은 요약 메시지의 수정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창(524)에 표시되는 요약 메시지 내의 어느 하나의 키워드를 드래그 함으로써 키워드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요약 메시지의 내용을 정정할 수 있고, 또는 하이퍼링크 삽입 대상이 되는 메시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b의 경우, 사용자가 '김갑동'이라는 대화상대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상태로, 서버(100)가 사용자가 대화창(522)에서 체크한 네 개의 메시지들을 요약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입력창(524)에 "9/28 시청 3PM"과 같은 요약 메시지(526)가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요약 메시지(526)와 더불어 "약속 기억하지?"라는 부가 메시지를 사용자가 입력창(524)에 입력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6은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상술한 5b를 수신자 '김갑동'의 입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시지 표시 화면(610)은 대화 상대가 표시되는 대화상대 표시창(611), 기존의 대화 이력이 표시되는 대화창(61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613) 및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614)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창(612)은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615)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하이퍼링크가 부가된 키워드를 밑줄처리 및/또는 청색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박을순'이 요약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로, "9/28", "시청", 및 "3PM"의 키워드가 하이퍼링크로 처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키워드에 부가된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연관 메시지가 스크롤링 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7a는 하이퍼링크가 포함 된 메시지를 수신한 화면(710)을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 화면(710)은 대화 상대가 표시되는 대화상대 표시창(711), 기존의 대화 이력이 표시되는 대화창(71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713) 및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7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의 경우 '박을순'이 요약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로, 키워드 "시청"(715)을 비롯한 "9/28" 및 "3PM"의 키워드가 하이퍼링크로 처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b는 사용자가 도 7a의 키워드 "시청"(715)에 부가된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켰을 때 연관 메시지를 스크롤링 하여 표시하는 화면(720)을 도시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도 2의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723)가 대화창(722)에 표시되도록 대화창(722)을 스크롤링한다. 이 때 제어부(312)는 기존 대화 이력이 아래 방향(721)으로 이동하며 화면이 전환되도록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7a의 키워드 "시청"(715)에 부가된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켰을 때 연관 메시지(723)인 "시청에서 만나."라는 메시지가 대화창(722)의 중심에 오도록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제어부(312)는 연관 메시지(723)가 대화창(722)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또는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화면을 스크롤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c는 도 7b의 연관 메시지에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화면(730)을 도시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화면(730)은 연관 메시지(732)를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와 구별되도록 하는 표시(73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화면(730)은 연관 메시지에 대한 깜박임 표시, 흔들림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의 경우 연관 메시지(732)인 "시청에서 만나"라는 메시지 외의 나머지 메시지가 흐리게 표시되는 블러링(blurring)처리(731)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키워드에 부가된 하이퍼링크 기동 시 연관 메시지가 팝업창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a는 도 7a의 키워드 "시청"(715)에 부가된 하이퍼링크를 기동시켰을 때 연관 메시지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화면(810)을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화면(810)은 대화 상대가 표시되는 대화상대 표시창(811), 기존의 대화 이력이 표시되는 대화창(81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813) 및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8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810)은 사용자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연관 메시지가 표시되는 팝업창(8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의 경우 키워드 "시청"에 부가된 하이퍼링크의 연관 메시지 "시청에서 만나"가 팝업창(815)으로 표시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8b는 복수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8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2의 제어부(312)는 요약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 및 연관 메시지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키워드의 순서에 따라 복수의 연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화면(820)은 각 연관 메시지의 팝업창을 키워드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에니메이션 효과를 주면서 또는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b의 경우 키워드 "9/28"(821), "시청"(822) 및 "3PM"(823)에 대한 연관 메시지 "내일 몇 시에 만날까?"(824), "시청에서 만나"(825) 및 "세시가 좋겠다"(826)가 키워드(821, 822, 823)의 순서에 따라 표시된 경우를 도시한다.
한편 도 8b에서는 3개의 연관 메시지(824, 825, 826)의 팝업창이 별도로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3개의 연관 메시지(824, 825, 826)는 하나의 팝업창에 나열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이 때 연관 메시지의 나열 순서는 요약 메시지 내 키워드의 순서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c는 연관 메시지 내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 메시지가 표시되는 화면(830)을 도시한 것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화면(830)은 수신 메시지(831)에 포함된 키워드(834)에 대한 제1 연관 메시지(832)의 표시와 더불어, 제1 연관 메시지(832)에 포함된 키워드(835)에 대한 제2 연관 메시지(833)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신 메시지(831) 내의 키워드 "저녁 메뉴"(834)에 대한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화면(830)은 이에 대한 제1 연관 메시지(832)를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관 메시지(832) 내의 키워드 "홍길동"(835)에 대한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화면(830)은 이에 대한 제2 연관 메시지(833)를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메시지 제공 장치
111: 제1 수신부
112: 키워드 추출부
113: 연관 메시지 추출부
114: 메시지 연결부
115: 제1 제공부
116: 제2 제공부
117: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201: 퍼스널 컴퓨터
202: 휴대용 단말
300: 제2 사용자 단말
310: 제어 장치
301: 퍼스널 컴퓨터
302: 휴대용 단말
311: 제2 수신부
312: 제어부
400: 통신망

Claims (4)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검색 하여 상기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메시지를 상기 키워드와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하는 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메시지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와 대화상대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을 검색 하여 상기 키워드와 관련되는 연관 메시지를 추출하는 연관 메시지 추출부; 및
    상기 연관 메시지를 상기 키워드와 하이퍼링크(Hyper Link)로 연결하는 메시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추출부가 추출한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 추출부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추출하는 메시지 제공 장치.
  3. 컴퓨터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에서 추출되고,
    상기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가 기동된 경우, 상기 연관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상호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제3 자와 통신한 메시지 이력에서 추출되고,
    상기 키워드가 의문대명사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문대명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KR1020180035253A 2018-03-27 2018-03-27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3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53A KR102131404B1 (ko) 2018-03-27 2018-03-27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53A KR102131404B1 (ko) 2018-03-27 2018-03-27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989A Division KR101844872B1 (ko) 2017-07-11 2017-07-11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939A true KR20180036939A (ko) 2018-04-10
KR102131404B1 KR102131404B1 (ko) 2020-07-08

Family

ID=6197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53A KR102131404B1 (ko) 2018-03-27 2018-03-27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67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키워드 추출 및 요약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6952B1 (en) * 1999-12-01 2002-02-12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mmarizing previous threads in a communication-center chat session
US20040117740A1 (en) * 2002-12-16 2004-06-17 Chen Francine R.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teractive topic-based text summaries
US20070168445A1 (en) * 2006-01-18 2007-07-19 Genty Denise M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conversations in an instant messaging system
US20080201434A1 (en) * 2007-02-16 2008-08-2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Sensitive Searches and Functionality for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KR101267006B1 (ko) * 2011-12-21 2013-05-30 (주)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채팅창에서 인스턴트 메시지와 온라인 문서를 링크하는 방법 및 인스턴트 메시지와 온라인 문서를 링크하는 이동 단말
KR20130097970A (ko) 2012-02-27 2013-09-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116984B2 (en) * 2011-06-28 2015-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mmarization of conversation threads
KR20150106481A (ko) * 2014-03-11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18405A (ko) * 2014-04-14 2015-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6952B1 (en) * 1999-12-01 2002-02-12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mmarizing previous threads in a communication-center chat session
US20040117740A1 (en) * 2002-12-16 2004-06-17 Chen Francine R.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teractive topic-based text summaries
US20070168445A1 (en) * 2006-01-18 2007-07-19 Genty Denise M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conversations in an instant messaging system
US20080201434A1 (en) * 2007-02-16 2008-08-2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Sensitive Searches and Functionality for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US9116984B2 (en) * 2011-06-28 2015-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mmarization of conversation threads
KR101267006B1 (ko) * 2011-12-21 2013-05-30 (주)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채팅창에서 인스턴트 메시지와 온라인 문서를 링크하는 방법 및 인스턴트 메시지와 온라인 문서를 링크하는 이동 단말
KR20130097970A (ko) 2012-02-27 2013-09-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06481A (ko) * 2014-03-11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18405A (ko) * 2014-04-14 2015-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67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키워드 추출 및 요약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404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8964A (ko)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270862B1 (en) Identifying non-search actions based on a search query
JP6817803B2 (ja) メッセージを送受信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678631B (zh) 利用通訊工具服務的關鍵詞檢索方法及系統
CN108432190B (zh) 应答消息推荐方法及其设备
JP6640384B2 (ja) メッセージ交換スレッドへの選択可能アプリケーションリンクの組込み
KR101882293B1 (ko)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CN103914502A (zh) 使用情形识别的智能搜索服务的方法及其终端
JP2020021485A (ja) 会話内容からテキストを利用して非テキストを検索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80087608A (ko)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425071B2 (en) Uniform resource identifier and image sharing for contextual information display
KR20140090114A (ko)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844872B1 (ko)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31404B1 (ko)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589956A (zh) 常用语处理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982771B1 (ko)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WO2013023066A1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controlling communications and content from sources
US20230376199A1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recommending emoticons based on conversation information
CN117708410A (zh) 方法以及非暂时性的计算机可读取介质
KR20230159105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ones Classic and alternative mobile search: a review and agenda
KR20080067723A (ko)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양방향 메시지 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5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14

Effective date: 2020041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