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824A -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824A
KR20180036824A KR1020160126273A KR20160126273A KR20180036824A KR 20180036824 A KR20180036824 A KR 20180036824A KR 1020160126273 A KR1020160126273 A KR 1020160126273A KR 20160126273 A KR20160126273 A KR 20160126273A KR 20180036824 A KR20180036824 A KR 2018003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mbm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2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824A/ko
Publication of KR2018003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72/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 NB-IoT 단말에 대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MME로부터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cast of CE UE}
본 발명은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 NB-IoT 단말에 대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MME로부터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SC-PTM architectur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세션 시작 프로시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3GPP Release-12/13에서 BL(A bandwidth reduced low complexity) 단말과 CE(coverage enhancement) 단말 기술이 표준화되었다. LC(low complexity) 단말은 일부 MTC와 같은 저수익, 저속, 낮은 지연민감도의 low-end 응용에 타겟된 단말을 나타낸다. LC 단말은 다른 카테고리 단말에 비해 감소된 Tx 그리고 Rx 캐퍼빌리티를 가진다. BL 단말은 1.4MHz LTE 시스템에서 가용한 최대 채널 대역폭에 해당하는 6PRB의 제한된 채널 대역폭을 가진 임의의 LTE 시스템 대역에서 동작한다. CE 단말은 셀에 접속하기 위해 enhanced coverage 기능을 필요로 한다.
3GPP Release-13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표준화되었다. 이 목적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엑세스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향상된 인도어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Rel-13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은 3GPP 시스템이 저비용 IoT 시장에 빠른 침투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들로 제공되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LTE 단말에 제공되는 일부 기능들이 제공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Rel-13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단말에 대해 제공되는 멀티캐스트 전송(또는 MBMS 서비스 또는 SC-PTM 전송,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SC-PTM을 기반으로 설명하나 MBSFN 전송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이 제공되지 않았다.
LTE에서 MBMS 전송은 MBSFN 전송 또는 SC-PTM 전송 중 하나를 사용한다. MCE는 각각의 MBMS 세션에 대해 SC-PTM 또는 MBSFN을 사용할지에 대해 결정한다. SC-PTM은 하나의 단일 셀 커버리지에서 MBMS가 전송되는 것이다. SC-PTM에서는 하나의 제어채널인 SC-MCCH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래픽 채널인 SC-MTCH(s)가 제공된다. 하나의 제어채널인 SC-MCCH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래픽 채널인 SC-MTCH(s)은 DL-SCH 상에 매핑된다.
종래 기술에서 단말은 SC-RNTI을 이용하여 PDCCH 상에 SC-MCCH 전송을 식별할 수 있었다. 여기서 SC-MCCH는 SC-PTM을 사용하여 MBMS 전송에 연계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채널 또는 그 제어정보를 나타낸다. SC-MCCH는 수정주기(modification period)를 사용한다. 세션 시작으로 인한 SC-MCCH의 변경을 어나운스하기 위해 통지(notification)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통지는 SC-MCCH가 스케줄 될 수 있는 반복 주기 내에 첫번째 서브프레임 내에 보내진다. 통지는 SC-N-RNTI(Single Cell Notification RNTI)를 가지고 DCI format 1C를 사용하여 그리고 8비트 비트맵 내에서 일 비트를 가지고 보내진다. 단말이 통지를 수신할 때, 그것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 SC-MCCH를 획득한다. 단말은 수정 주기에 SC-MCCH 모니터링을 통해 통지 메커니즘에 의해 어나운스되지 않는 SC-MCCH에 대한 변경을 검출한다.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이 SC-PTM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세션 시작으로 인한 SC-MCCH의 변경을 수신하여 SC-MCCH를 획득하고 관련된 SC-MTCH 트래픽 채널 정보를 인지해야 한다. 단말은 SC-MCCH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의 경우, 종래 방법을 통해 SC-MCCH 변경을 검출하거나 SC-MCCH를 획득하거나 SC-MTCH를 수신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NB-IoT단말은 크로스-서브프레임 스케줄링만이 제공된다. 따라서 NB-IoT 단말은 종래 기술에서 반복 주기 내에 첫번째 서브프레임 내에 보내지는 SC-MCCH 통지를 수신할 수 없었다.
특히,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이 SC-PTM을 통해 SC-MCCH 또는 SC-MTCH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MBMS 세션에 대한 반복 전송 수, MCS 등이 지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SC-PTM 전송은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단말 피드백(예를 들어 CQI, HARQ feedback, RLC ACK)을 수신하지 않는다. 또한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이 IDLE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멀티캐스트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반복수나 MCS를 추정해 스케줄링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IoT/MTC 단말(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해서는 일반 단말에 대해 제공되는 멀티캐스트 전송이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의 경우, 효율적인 반복 수를 추정해 스케줄링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레벨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SC-PTM 전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Rel-13 SC-PTM 구조도 이다. 3GPP Release 13에서 SC-PTM은 공공 안전 서비스(예를 들어 그룹 통신)를 지원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여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GCS AS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였다.
-단말과 GCS 세션과 그룹 관리 측면에 관련된 GC1 시그널링을 교환(예를 들어 서비스 어나운스)
-유니캐스트를 통한 단말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수신
-유니캐스트 전달 및/또는 멀티캐스 전달을 사용하여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데이터 전송
Rel-13의 SC-PTM은 일반 단말에 대해 적용되었다. 따라서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을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도 2는 세션 시작 프로시져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1. The MME sends MBMS session start request message to the MCE(s) controlling eNBs in the targeted MBMS service area. The message includes the IP multicast address, session attributes and the minimum time to wait before the first data delivery, and includes the list of cell identities if available.
2. The MCE decides whether to use SC-PTM or MBSFN to carry the MBMS bearer over the air interface.
The MCE confirms the reception of the MBMS Session Start request to the MME. This message can be transmitted before the step 4. In SC-PTM operation, the MCE only confirms the reception of the MBMS Session Start request to the MME, after the MCE receives at least one confirmation from the eNB(s) (i.e. Step 4).
3. In SC-PTM operation, the MCE includes the SC-PTM information (i.e. list of cell identities and Qo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ME in Step 1), in the MBMS Session Start Request message to the relevant eNBs.
4. In SC-PTM operation, the eNB checks whether the radio resources are sufficient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MBMS service(s) in the area it controls. If not, eNB decides not to establish the radio bearers of the MBMS service(s), or may pre-empt radio resources from other radio bearer(s) according to ARP. eNB confirms the reception of the MBMS Session Start message.
Step 5 and 6 are only applicable to MBSFN operation.
5. MCE sends the MBMS Scheduling Information message to the eNB including the updated MCCH information which carries the MBMS service's configuration information. This message can be transmitted before the step 3.
6. eNB confirms the reception of the MBMS Scheduling Information message.
7. eNB indicates MBMS session start to UEs by MCCH change notification and updated MCCH information which carries the MBMS service's configuration information.
8. eNB joins the IP multicast group to receive the MBMS User Plane data.
9. eNB sends the MBMS data to radio interface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해 SC-MCCH 또는 SC-MTCH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서 해당 MBMS 세션을 수신하는 단말들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반복수 정보를 지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방법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을 단말로 표기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MBMS 세션을 요청할 때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지시
애플리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GCS AS, SCS, AS, etc.)는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해, 만약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해 할당된 TMGI가 없다면, TMGI 할당을 BM-SC로 요청하여 BM-SC에 의해 할당된 TMGI를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특정 단말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과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연결(유니캐스트 연결)을 통해 GCS 세션과 그룹 관리 측면에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MBMS 세션에 대한 서비스 어나운스 정보(예를 들어 security description, service description, 시작시간, etc.)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커버리지 레벨(예를 들어 Coverage Enhancement Level), 단말의 서빙 셀 식별자(예를 들어 글로벌 셀 식별자, 물리셀 식별자, etc.)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세션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BM-SC로 전송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보내는 세션 요청을 위한 메시지는 TMGI, SC-PTM 전송 셀 리스트, 시작 시간, MBMS 반복 전송을 위한 도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셀 리스트와 커버리지 레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셀별 특정 단말들 수 또는 셀별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수, 셀별 특정 단말들의 최대/최소 커버리지 레벨, 셀별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최대/최소 커버리지 레벨을 알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MBMS 전송을 위한 전송 셀 리스트와 셀별로 요구되는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알 수 있다.
전술한 MBMS 반복 전송을 위한 도움 정보는 MBMS 전송을 위한 전송 셀 리스트, 셀별 요구되는 커버리지 레벨, 셀별 최대 커버리지 레벨, 셀별 최소 커버리지 레벨, 셀별 평균 커버리지 레벨, 셀별 단말수, 셀별 커버리지 레벨별 단말 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M-SC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BM-SC는 MBMS GW를 통해 MME로 도2의 세션 시작 프로시져를 요청할 수 있다. 도2의 세션 시작 프로시져를 수행하는데 있어 BM-SC가 MBMS GW를 통해 MME로 전송하는 세션 시작 요청 메시지는 TMGI, SC-PTM 전송 셀 리스트, 시작 시간, MBMS 반복 전송을 위한 도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ME가 MCE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MBMS 세션 시작 요청 메시지는 TMGI, SC-PTM 전송 셀 리스트, 시작 시간, MBMS 반복 전송을 위한 도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정보들은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연결되어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통신을 수행했을 때 해당 단말의 정보를 나타낸다. 멀티캐스트 전송에 대한 어나운스 후, 실제 멀티캐스트 전송이 실시될 때까지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만약 단말 이동 등으로 커버리지 레벨이나 서빙 셀이 바뀌는 경우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 또한 IoT/MTC 단말이 서빙 셀이나 커버리지 레벨이 바뀔 때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이를 갱신하도록 하는 것도 단말 전력 소모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단말의 커버리지 레벨, 서빙 셀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일정 기준에 따라 커버리지 레벨이 변경을 지시해야 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MBMS 세션 수정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MBMS 세션 수정 요청은 MBMS 세션 요청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MME에서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지시
MME는 단말의 마지막 접속에 단말의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수집해 저장하도록 수 있다.
MME가 S1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단말 컨택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모든 관련된 시그널링과 사용자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해제하고 단말 컨택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응답한다. 단말 컨택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는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컨택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가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면, MME는 이를 저장(또는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을 서스펜드하기 위해 단말 컨택스트 서스펜드 요청 메시지를 MME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컨택스트 서스펜드 요청 메시지는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컨택스트 서스펜드 요청 메시지가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면, MME는 이를 저장(또는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이 S1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MME에 단말 컨택스트 해제 요청 메시지를 MME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컨택스트 해제 요청 메시지는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컨택스트 해제 요청 메시지가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면, MME는 이를 저장(또는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이 S1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MME에 initial UE 메시지를 보낼 때 initial UE 메시지는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initial UE 메시지가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면, MME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MME는 셀별 특정 단말들, 셀별 특정 단말들의 수, 셀별 특정 단말들의 최대/최소 커버리지 레벨, 셀별 커버리지 레벨별 단말들의 수를 알 수 있다.
MME가 MBMS GW(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BM-SC, MBMS GW를 통해)로부터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했을 때, MME는 해당 MBMS 세션을 수신할 특정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MME가 수신하는 정보는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단말 식별자(IMSI, MSISDN, external identifier),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그룹 식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MME는 단말 식별자 별 그룹 식별자 매핑 정보를 알 수 있다.(예를 들어 HSS를 통해 단말 컨택스트에 저장해 알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MME가 MBMS GW(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BM-SC, MBMS GW를 통해)로부터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하는 메시지는 MBMS 세션 정보(예를 들어 TMGI, Sess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매핑되는 단말 식별자 별 그룹 식별자 매핑 정보를 알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MME가 MBMS GW(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BM-SC, MBMS GW를 통해)로부터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하는 메시지는 MBMS 세션 정보(예를 들어 TMGI, Sess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매핑되는 그룹 식별자 매핑 정보를 알 수 있고 MME는 HSS 또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식별자 별 그룹 식별자 매핑 정보를 알 수 있다.
MME는 MBMS 전송을 위한 MBMS 세션에 대한 전송 셀 리스트와 셀별로 요구되는 커버리지 레벨 정보, 셀별 커버리지 레벨별 단말들의 수를 알 수 있다.
MME가 MCE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MBMS 세션 시작 요청 메시지는 TMGI, SC-PTM 전송 셀 리스트, 시작 시간, MBMS 반복 전송을 위한 도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BMS 반복 전송을 위한 도움 정보는 MBMS 전송을 위한 전송 셀 리스트, 셀별 요구되는 커버리지 레벨, 셀별 최대 커버리지 레벨, 셀별 최소 커버리지 레벨, 셀별 평균 커버리지 레벨, 셀별 단말수, 셀별 커버리지 레벨별 단말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worst case를 가정해 반복전송 수를 선택해 SC-PTM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
기지국은 단말이 마지막 접속에 단말의 셀식별자 정보와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알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MCE를 통해(또는 MME로부터 MCE를 통해)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했을 때, 기지국은 (연계된 셀별로) 해당 MBMS 세션을 수신할 특정 단말들의 마지막 접속의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알 수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마지막 접속에(또는 RRC 연결을 해제할 때) 단말 식별자 정보, 단말의 셀식별자 정보, 커버리지 레벨 정보, 단말이 속한 그룹 식별자 정보, 관심있는 MBMS 세션 정보(예를 들어 TMGI, Sess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단말로부터 지시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관심 그룹 식별자 정보, MBMS 세션정보) 기지국이 단말과의 송수신과정에서 알 수 있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셀식별자 정보, 커버리지 레벨 정보).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마지막 접속에 단말 식별자, 단말의 셀식별자 정보, 커버리지 레벨 정보, 단말이 속한 그룹 식별자 정보, 관심있는 MBMS 세션 정보(예를 들어 TMGI, Sess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MME로 전달할 수 있다. MME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은 MCE를 통해(또는 MME로부터 MCE를 통해)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할 때 MME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MBMS 세션 시작 요청과 함께 수신 받을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MME에 요청해 응답 받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MCE를 통해(또는 MME로부터 MCE를 통해)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할 때 해당 MBMS 세션을 수신할 특정 단말들을 매핑할 수 있는 그룹 식별자 정보, 단말 식별자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수신하는 정보는 해당 MBMS 세션를 식별하기 위한 TMGI를 수신할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단말 식별자(IMSI, MSISDN, external identifier, S-TMSI, GUMEI, GUTI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리스트, 특정 단말들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그룹 식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C-PTM을 통한 MBMS 수신에 관심 있는 단말은 관심있는 세션 정보(TMGI), 그룹식별자, 커버리지 레벨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지국에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은 MCE를 통해(또는 MME로부터 MCE를 통해) MBMS 세션 시작 요청을 수신할 때 해당 MBMS 세션(TMGI, Sess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을 수신할 특정 단말들을 매핑할 수 있는 그룹 식별자 정보 이상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MBMS 세션을 수신할 특정 단말들의 커버리지 레벨에 기반하여 반복 전송수를 결정해SC-PTM을 통한 MBMS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worst case를 가정해 반복전송 수를 선택해 SC-PTM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특정 MBMS 세션에 대해 SC-PTM을 통해 전송할 때 일정 기간 수신 상태에 대해 피드백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MBMS 세션에 대해 특정 반복 전송수를 기반으로 SC-PTM을 전송한다. 만약 해당 MBMS 세션에 관심있는(또는 해당 MBMS 세션을 수신한) 단말들 중의 해당 MBMS 세션 데이터에 대한 SC-PTM 수신에 실패한 단말은 기지국에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관심 MBMS 세션 정보(예를 들어 TMGI, Sess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 수신에 실패한 MBMS 세션 정보, 커버리지 레벨 정보, 그룹 식별자 정보, SC-PTM 수신 품질 측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해당 MBMS 세션의 SC-PTM 수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MBMS 세션에 대해 반복 전송수를 변경하여 SC-PTM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MCCH를 변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반복 전송수를 기반으로 SC-MTCH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술한 동작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일정 기간)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레벨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SC-PTM 전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레벨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SC-PTM 전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반복 전송(repetition)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하는 BL 단말 또는 CE 단말 또는NB-IoT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레벨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SC-PTM 전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기지국이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MME로부터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리지 레벨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0126273A 2016-09-30 2016-09-30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KR20180036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73A KR20180036824A (ko) 2016-09-30 2016-09-30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73A KR20180036824A (ko) 2016-09-30 2016-09-30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24A true KR20180036824A (ko) 2018-04-10

Family

ID=6197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273A KR20180036824A (ko) 2016-09-30 2016-09-30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8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3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95170B1 (ko) 멀티캐스트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866619B1 (ko) 단일 셀 멀티전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7733627B (zh) 用于针对NB-IoT终端发送或接收多播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CN110635873B (zh) 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及其方法
US101655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transmission of D2D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271553B (zh) 用于处理组播/广播服务数据的方法及其设备
US20190037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2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8291A1 (en) Mbs data switching method and device
KR101971780B1 (ko)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0134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qos of d2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70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BMS service
EP2244518B1 (en) Scheduling transmission of messages relating to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US11259148B2 (en) Method for receiving MBMS service by terminal and device supporting same
KR20210104562A (ko)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9864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MBMS service of interest to terminal
US10638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ption of SCPTM service using SCPTM-RNTI
KR20170128095A (ko) 이종 무선 액세스 망 간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04563A (ko)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9502B1 (ko) NB-IoT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팅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36824A (ko) 커버리지 개선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KR20180036909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818833B1 (ko) 단일 셀 멀티전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04539A (ko)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18990A (ko) NB-IoT 단말을 위한 멀티캐스팅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