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82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6082A KR20180036082A KR1020160126208A KR20160126208A KR20180036082A KR 20180036082 A KR20180036082 A KR 20180036082A KR 1020160126208 A KR1020160126208 A KR 1020160126208A KR 20160126208 A KR20160126208 A KR 20160126208A KR 20180036082 A KR20180036082 A KR 201800360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generation
- facility
- liquefied gas
- turbine generato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4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6 electrical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체 내에 액화가스저장탱크가 수용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저장탱크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통해 발전을 수행하며, 복수의 단위 구성설비가 데크 상부의 선수부로부터 선미부에 걸쳐 순차적으로 설치된 발전시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시설이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액화가스(Liquefied Gas)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는 천연가스와 비교해 약 1/600 정도의 부피를 갖기 때문에, 선박을 통한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중 대표적인 선종으로는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가 있다. 상기 FSRU의 경우 바다 위에서 액화가스를 저장한 후 재기화장비를 통해 육상에 공급하는 선박이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액화가스를 이용한 발전을 위해서는 육상에 설치된 발전시설을 이용하여야 했으며, 따라서 선박의 계류 및 액화가스의 하역을 수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시간적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발전시설이 일체화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선박이 액화가스의 누출 현상 등과 같은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안전하게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발전시설이 선박 내에 구축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발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으로부터 인명피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은, 선체 내에 액화가스저장탱크가 수용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저장탱크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통해 발전을 수행하며, 복수의 단위 구성설비가 데크 상부의 선수부로부터 선미부에 걸쳐 순차적으로 설치된 발전시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시설은, 데크 상부의 선수부에 설치되는 화물창기계실, 상기 화물창기계실의 측부에 설치되는 기화장치, 상기 기화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는 가스터빈발전기, 상기 가스터빈발전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상기 배열회수보일러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팀터빈발전기 및상기 스팀터빈발전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송전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창기계실의 둘레를 감싸는 방폭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폭벽은 상기 기화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설과 상기 데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전시설의 설치기반을 형성하며, 내부에 리프팅공간이 형성된 스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공간은, 상기 데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액화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배관설비가 설치되는 배관설비수용부 및 상기 배관설비수용부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며,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설의 후방에 설치되는 거주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전시설이 선체 내에 일체형으로 구축되므로 액화가스의 운반, 하역 과정에 따른 로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위험도에 따라 구성설비를 배치하여 발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으로부터 인명피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스툴 내부의 배관설비수용부 및 전기설비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화물창기계실의 둘레에 방폭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스툴 내부의 배관설비수용부 및 전기설비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스툴 내부의 배관설비수용부 및 전기설비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화물창기계실의 둘레에 방폭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스툴 내부의 배관설비수용부 및 전기설비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1) 내에 액화가스저장탱크(10)가 수용되며, 데크 상부에는 복수의 단위 구성설비를 포함하는 발전시설이 구비된다.
상기 발전시설은 상기 액화가스저장탱크(10)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통해 발전을 수행하며, 복수의 단위 구성설비가 위험레벨에 따라 데크 상부의 선수부로부터 선미부에 걸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즉 위험레벨이 가장 높은 단위 구성설비는 데크 상부의 선수부에 위치되며, 이로부터 선미부로 갈수록 위험레벨이 낮은 단위 구성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발전시설은 화물창기계실(20)과, 기화장치(30)와, 가스터빈발전기(100)와, 배열회수보일러(200)와, 스팀터빈발전기(300)와, 송전설비(400)를 포함한다.
상기 화물창기계실(20)은 상기 액화가스저장탱크(10)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상기 기화장치(30)에 전달하며, 상기 기화장치(30)에서는 상기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가스터빈발전기(100)는 기화된 천연가스를 이용하여 1차 발전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0)를 통해 처리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0)는 배기가스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잔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팀터빈발전기(300)는 이를 통해 2차 발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송전설비(400)는 상기 가스터빈발전기(100) 및 상기 스팀터빈발전기(30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송전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스회수장치(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장치(40)에서는 발전시설의 일부가 셧다운될 경우 소모되지 못한 천연가스를 재액화하거나 사용하여 위험 상황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물창기계실(20) 및 상기 기화장치(30)는 천연가스의 누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시설로서, 단위 구성설비 중 가장 전방인 선수부에 위치되며, 상기 기화장치(30)는 상기 화물창기계실(20)의 측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화물창기계실(20) 및 상기 기화장치(30)의 후방으로는 가스터빈발전기(100), 배열회수보일러(200), 스팀터빈발전기(300) 및 송전설비(400)가 순서대로 배치되며, 이는 위험도와, 설비의 배치 용이성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전시설의 후방, 즉 데크 상부의 최후방인 선미부에는 거주구역(500)이 설치되며, 이는 상기 거주구역(500)을 위험도가 가장 높은 상기 화물창기계실(20) 및 상기 기화장치(30)으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가스터빈발전기(100),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0), 상기 스팀터빈발전기(300)을 포함하는 발전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발전기(100)와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0)는 복수의 발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라인은 상기 가스터빈발전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가스터빈발전유닛(11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0)에 구비된 복수의 배열회수유닛(210) 중 어느 하나가 1:1로 매칭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발전모듈에는 이와 같은 발전라인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전라인은 다른 발전라인과의 사이에 유체의 우회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전시설은, 스툴(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툴(5)은 상기 발전시설과 상기 데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전시설의 설치기반을 형성하며, 상기 스툴(5)의 내부에는 리프팅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공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설비수용부(5a)와, 전기설비수용부(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설비수용부(5a)는 상기 데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액화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배관설비가 설치되는 구성요소이고, 상기 전기설비수용부(5b)는 상기 배관설비수용부(5b)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며,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배관설비수용부(5a)와 전기설비수용부(5b)를 좌현 및 우현에 분할하여 배치한 것이며, 이는 전기설비수용부(5b)에 누전 현상 등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영향이 상기 배관설비수용부(5a)에 미쳐 화재, 폭발 등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해 상기 배관설비수용부(5a)와 상기 전기설비수용부(5b) 사이에는 상기 배관설비수용부(5a)와 상기 전기설비수용부(5b)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화물창기계실(20)의 둘레에 방폭벽(25)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화물창기계실(20)의 둘레에 방폭벽(25)이 설치된다. 이는 위험도가 가장 높은 화물창기계실(20)에서 폭발 등이 발생할 경우 방폭벽(25)으로 차단하여 폭발의 영향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폭벽(25)은 상기 기화장치(30)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화물창기계실(20)로부터 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매니폴드(22)가 선체(1)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스툴(5) 내부의 배관설비수용부(5a) 및 전기설비수용부(5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툴(5) 내부에 배관설비수용부(5a) 및 전기설비수용부(5b)가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배관설비수용부(5a) 및 전기설비수용부(5b)는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되며, 하나의 배관설비수용부(5a) 및 하나의 전기설비수용부(5b)가 한 쌍을 이루어 좌현 및 우현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좌현 및 우현 중 어느 일측에 파손이 발생할 경우에도 선박의 기능이 정지되지 않도록 나머지 일측의 배관설비수용부(5a) 및 전기설비수용부(5b)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발전라인 간의 우회경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라인은 상기 가스터빈발전기(100)에 구비된 복수의 가스터빈발전유닛(11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0)에 구비된 복수의 배열회수유닛(210) 중 어느 하나가 1:1로 매칭된 형태를 가지며, 발전모듈에는 이와 같은 발전라인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라인이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이를 각각 제1발전라인(R1), 제2발전라인(R2), 제3발전라인(R3) 및 제4발전라인(R4)으로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발전라인(R1)은 제1가스터빈발전유닛(110a)과, 제1배열회수유닛(210a)과, 상기 제1가스터빈발전유닛(110a) 및 제1배열회수유닛(210) 사이에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15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발전라인(R2)은 제2가스터빈발전유닛(110b)과, 제2배열회수유닛(210b)과, 상기 제2가스터빈발전유닛(110b) 및 제2배열회수유닛(210b) 사이에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부(15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발전라인(R3)은 제3가스터빈발전유닛(110c)과, 제3배열회수유닛(220c)과, 상기 제3가스터빈발전유닛(110c) 및 제3배열회수유닛(220c) 사이에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제3연결부(150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발전라인(R4)은 제4가스터빈발전유닛(110d)과, 제4배열회수유닛(220d)과, 상기 제4가스터빈발전유닛(110d) 및 제4배열회수유닛(220d) 사이에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제4연결부(150d)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발전라인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발전라인(R1~R4) 각각은 어느 일부분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정지될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전라인(R1~R4) 과의 사이에 유체의 우회경로를 형성하여 발전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 발전라인(R1~R4)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발전라인(R1~R4)과의 사이에 배기가스의 우회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발전라인(R1)은 상기 제2발전라인(R2)과, 상기 제3발전라인(R3)은 상기 제4발전라인(R4)과 서로 배기가스의 우회경로를 형성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250a) 및 상기 제2연결부(250b) 사이에 한 쌍의 유동배관(120a, 120b)이, 또한 상기 제3연결부(250c) 및 상기 제4연결부(250d) 사이에 한 쌍의 유동배관(120c, 120d)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발전라인(R1~R4)의 적어도 일부가 기능이 정지된 경우 배기가스는 상기 유동배관(120a~120d)를 통해 인접한 발전라인(R1~R4)으로 유동되어 해당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제1발전라인(R1)의 연결 구조를 대표적으로 도시하고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다른 발전라인(R2~R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발전라인(R1)은 다른 모든 발전라인(R2~R4)과의 사이에 배기가스의 우회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결부(250a) 및 상기 제2연결부(250b) 사이, 상기 제1연결부(250a) 및 상기 제3연결부(250c) 사이, 상기 제1연결부(250a) 및 상기 제4연결부(250c) 사이에 유동배관(130a~130c)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발전라인(R1~R4)의 적어도 일부가 기능이 정지된 경우 배기가스는 상기 유동배관(130a~130c)를 통해 다른 발전라인(R2~R4)으로 유동되어 해당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른 발전라인(R2~R4)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유동배관(130a~130c)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우회경로를 다양화하여 가외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각 발전라인(R1~R4)의 연결부(150a~150d) 간을 연통시켜 배기가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14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배유닛(140)을 통해 각 가스터빈발전유닛(110a~110d)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상기 분배유닛(140)에 포집된 후 각 배열회수유닛(210a~210d)으로 유동되므로, 어느 하나의 발전라인(R1~R4) 일부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다른 발전라인(R1~R4)이 해당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발전라인(R1~R4)의 연결부(150a~150d) 간을 연통시켜 배기가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140)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각 가스터빈발전유닛(110a~110d)에 배기량감지센서(112a~112d)가 구비되며, 또한 각 배열회수유닛(210a~210d)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량감지센서(112a~112d)의 감지결과 및 각 발전라인(R1~R4)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통한 배기가스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제어부(160)가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배기가스의 유동량을 제어할 있도록 형성되어, 상황에 따라 각 배열회수유닛(210a~210d)에 유동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발전모듈의 우회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나타난 발전모듈은, 하나 이상의 발전라인(R1~R4)과 연결되며, 상기 배열회수유닛(210a~210d)으로부터 회수된 잔열을 통해 2차 발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스팀터빈발전유닛(300a, 300b)을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배기가스 외에도 상기 배열회수유닛(210a~210d)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각 스팀터빈발전유닛(300a, 300b)에 분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스팀의 유동경로 역시 가외성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팀터빈발전유닛(300a) 및 제2스팀터빈발전유닛(300a) 사이에는 스팀의 우회경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배열회수유닛(210a) 및 제2배열회수유닛(210b)은 제1스팀분배유닛(250a)에 연결되고, 제3배열회수유닛(210c) 및 제4배열회수유닛(210d)은 제2스팀분배유닛(250b)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팀분배유닛(250a) 및 상기 제2스팀분배유닛(250b)은 서로 연통되어 스팀의 우회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스팀터빈발전유닛(300a) 및 제2스팀터빈발전유닛(300b)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정지된 상황에도 정상 구동되는 나머지 일측으로 스팀을 우회시켜 가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선체 5: 스툴
10: 액화가스저장탱크 20: 화물창기계실
30: 기화장치 40: 가스회수장치
100: 가스터빈발전기 200: 배열회수보일러
300: 스팀터빈발전기 400: 송전설비
500: 거주구역
10: 액화가스저장탱크 20: 화물창기계실
30: 기화장치 40: 가스회수장치
100: 가스터빈발전기 200: 배열회수보일러
300: 스팀터빈발전기 400: 송전설비
500: 거주구역
Claims (7)
- 선체 내에 액화가스저장탱크가 수용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저장탱크에 수용된 액화가스를 통해 발전을 수행하며, 복수의 단위 구성설비가 데크 상부의 선수부로부터 선미부에 걸쳐 순차적으로 설치된 발전시설을 포함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시설은,
데크 상부의 선수부에 설치되는 화물창기계실;
상기 화물창기계실의 측부에 설치되는 기화장치;
상기 기화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는 가스터빈발전기;
상기 가스터빈발전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상기 배열회수보일러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팀터빈발전기; 및
상기 스팀터빈발전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송전설비; 를 포함하는 선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기계실의 둘레를 감싸는 방폭벽을 더 포함하는 선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벽은 상기 기화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시설과 상기 데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전시설의 설치기반을 형성하며, 내부에 리프팅공간이 형성된 스툴을 더 포함하는 선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공간은,
상기 데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액화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배관설비가 설치되는 배관설비수용부; 및
상기 배관설비수용부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며,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수용부; 를 포함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시설의 후방에 설치되는 거주구역을 더 포함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208A KR20180036082A (ko) | 2016-09-30 | 2016-09-30 |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208A KR20180036082A (ko) | 2016-09-30 | 2016-09-30 |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6082A true KR20180036082A (ko) | 2018-04-09 |
Family
ID=6197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6208A KR20180036082A (ko) | 2016-09-30 | 2016-09-30 |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36082A (ko) |
-
2016
- 2016-09-30 KR KR1020160126208A patent/KR20180036082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519221A (ja) | 液化天然ガスのフローティング式貯蔵再ガス化装置 | |
JP5953363B2 (ja) |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 | |
WO2020182308A1 (en) | A fuel tank arrangement in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of relieving hydrogen from a liquid hydrogen fuel tank arrangement | |
KR20150047115A (ko) | 수중 전기 생산 모듈 | |
KR101853943B1 (ko) | 발전시설 일체형 선박 | |
EP4129815A1 (en) | Ship | |
KR20140053732A (ko) | 해수를 이용한 원전 비상냉각 시스템 | |
KR20140126329A (ko) | 전기 생산 모듈 | |
KR20180036082A (ko) | 선박 | |
RU2607474C2 (ru) | Погружной модул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нергии | |
KR102177572B1 (ko) |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
WO2019039132A1 (ja) | 液化ガス貯蔵タンク構造、浮体構造物、貯蔵タンクの内部圧力の逃がし方法 | |
KR20180036081A (ko) | 선박 | |
CA3011864A1 (en) | Cooling of a vaporised content of a liquefied gas for the purpose of powering machinery, plants or vehicles | |
KR20150047117A (ko) | 침수 또는 수중 전기 생산 모듈 | |
KR101873446B1 (ko) | 가외성을 가지는 액화천연가스의 발전모듈 | |
KR101924378B1 (ko) | 해양구조물 | |
KR102305885B1 (ko) |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50047116A (ko) | 수중 전기 생산 모듈 | |
NO20172034A1 (en) | LG module and a marine vessel comprising a LG module | |
WO2022211089A1 (ja) | ガス処理システムおよび船舶 | |
KR20160058432A (ko) |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의 모듈 배치 구조 | |
KR101788754B1 (ko) |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배치구조 | |
WO2015178658A1 (ko) |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배치구조 | |
KR20240088431A (ko) | 연료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