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22A -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 Google Patents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22A
KR20180036022A KR1020160126039A KR20160126039A KR20180036022A KR 20180036022 A KR20180036022 A KR 20180036022A KR 1020160126039 A KR1020160126039 A KR 1020160126039A KR 20160126039 A KR20160126039 A KR 20160126039A KR 20180036022 A KR20180036022 A KR 20180036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volume
infrared
urine volum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027B1 (ko
Inventor
서보성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에스알엔티 filed Critical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to KR102016012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은 광센서에 의한 소변방울 낙하(drop event) 감지나 중량측정센서에 의한 수집된 소변의 중량측정을 통해 환자의 현재 소변량을 검출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적외선 거리측정센서에 의한 수집된 소변의 표면 높이 검출을 통해 환자의 현재 소변량을 검출함으로써 외부 광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현재 소변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으로 고정위치가 변동하더라도 현재 소변량을 원활하고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은 환자의 소변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유린백 본체유닛(10)과; 환자의 소변이 이동하는 이동관체가 연결되어 소변이 유입되고, 내부공간(20a)으로 유입된 소변량에 대한 계측이 수행되며, 유입된 소변량이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될 시 유린백 본체유닛(10)에 연결되어 소변이 유린백 본체유닛(1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변량 센싱유닛(20)을 포함하고,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에 의해 내부공간(20a)에 수용된 소변의 표면 높이가 실시간 계측되면서 현재 소변량이 실시간 연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Smart urine bag based on urine mass measurement by infrared ray}
본 발명은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광센서에 의한 소변방울 낙하(drop event) 감지나 중량측정센서에 의한 수집된 소변의 중량측정을 통해 환자의 현재 소변량을 검출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적외선 거리측정센서에 의한 수집된 소변의 표면 높이 검출을 통해 환자의 현재 소변량을 검출함으로써 외부 광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현재 소변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한편,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으로 고정위치가 변동하더라도 현재 소변량을 원활하고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 관한 것이다.
병원 진료시 신장을 비롯한 요로계통 질환의 진단을 위해 소변량 측정은 반드시 이뤄져야 하는 과정이며, 중환자실에서는 내원 첫 24시간 소변량을 통해 환자의 사망률을 예측가능하다. 도 1은 중환자실 입원 첫 24시간 소변량에 따른 사망률을 나타내는 도표(출처: 중환자실 입원 첫 24시간 소변량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이다.
이에 따라, 소변량 측정을 활용한 효율적인 환자관리를 통해 의료인력 운용 및 액체량 미세 측정 상용화 기술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한편, 거동을 할 수 없는 중환자로부터 생성된 소변은 도뇨관에 의해 신체와 연결된 소변배액병으로 배출되고, 간호사가 보통 1시간마다 소변배액병에 표시된 눈금을 읽어 소변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하고 있는 현실이다. 간호사들이 1시간마다 여러 환자의 소변량을 확인하여 기록하는 것은 인력관리상 산업적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비효율을 해결하기 위해 국외기업들은 유린백(소변주머니) 모니터링 상용화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유린백(소변주머니) 모니터링 상용화 기술이 필요로 되고 있다.
또한, 도 2는 노인인구 비율 추이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국내 노인인구는 2013년 전체인구의 12%를 초과하였으며, 특히 부산광역시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49만 2천 116명으로, 부산 전체 인구수 대비 노인 인구 비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1% 이상 높은 13.98%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는 부산이 곧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임을 예고하며, 이로 인한 노인성 질환과 만성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을 의미한다.
한편 종래의 소변량 측정기술은 광센서를 통해 유린백 내부공간으로의 소변방울 낙하(drop event)를 감지하여 이를 카운트하는 방식이거나, 유린백에 수집된 소변의 중량을 로드셀과 같은 중량측정센서로 측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여기서 소변방울 낙하 감지에 의한 소변량 측정기술의 경우, 외부 광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게 되고, 카운트된 소변방울로부터 실제 소변량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여지가 많은 단점이 있었으며, 중량측정센서에 의한 소변량 측정기술의 경우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으로 유린백의 고정위치가 변동하는 과정에서 중량측정센서의 고정이 불안정해지면서 소변량의 측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242730000호 "모바일 네트워크 기반의 소변 검사 시스템 및 소변 검사 방법"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15957호 "소변 센서용 UHF대역 IC 태그 및 소변 센서용 HF대역 IC 태그와 이를 이용한 배뇨 검지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환자의 소변이 최종 수용되는 유린백 본체유닛에 연결되는 소변량 센싱유닛에 구비되는 적외선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소변량 센싱유닛에 수집된 소변의 표면 높이가 검출되면서 환자의 현재 소변량이 실시간으로 연산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광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현재 소변량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출될 수 있게 되고,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으로 고정위치가 변동하더라도 현재 소변량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검출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환자의 소변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유린백 본체유닛(10)과; 환자의 소변이 이동하는 이동관체가 연결되어 소변이 유입되고, 내부공간(20a)으로 유입된 소변량에 대한 계측이 수행되며, 유입된 소변량이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될 시 유린백 본체유닛(10)에 연결되어 소변이 유린백 본체유닛(1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변량 센싱유닛(20)을 포함하고,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에 의해 내부공간(20a)에 수용된 소변의 표면 높이가 실시간 계측되면서 현재 소변량이 실시간 연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이동관체가 연결되는 상부 유입구(211)와 유린백 본체유닛(10)이 연결되는 하부 배출구(212)가 형성되고, 상부 유입구(211)와 하부 배출구(212)가 연통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되는 케이싱(21)과; 케이싱(21)의 하부 배출구(212)를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밸브(22)와;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에 배치되고, 인체의 소변보다 낮은 비중을 가져 내부공간(20a)에 유입된 소변 표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표(23)와; 부표(23)의 상면에 부착되고, 적외선을 반사시키는 적외선 반사판(24)과; 케이싱(21)의 상측 부위에 배치되어 하측 방향으로 적외선을 입사시키고, 소변 표면의 부표(23)에 부착된 적외선 반사판(24)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와;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로부터 적외선 검출정보를 전달받고, 적외선 검출정보로부터 소변의 표면 높이를 계측하여 현재 소변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러(27) 및; 컨트롤러(27)로부터 현재 소변량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1)을 포함하여, 부표(23)가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케이싱(2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 컨트롤러(27), 통신모듈(28)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의 케이싱(21)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좌우측에 연결고리(213)가 형성된 케이스 상부단(21a)과;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경사진 좌우측면에 고정용 후크(214)가 형성된 케이스 하부단(2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에 의하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에 의한 수집된 소변의 표면 높이 검출을 통해 환자의 현재 소변량을 검출하므로, 외부 광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현재 소변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고,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으로 고정위치가 변동하더라도 현재 소변량을 원활하고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중환자실 입원 첫 24시간 소변량에 따른 사망률을 나타내는 도표;
도 2는 노인인구 비율 추이를 나타내는 도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의 외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의 주요부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의 세부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의 설치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의 개폐밸브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유린백(urine bag), 적외선 거리측정센서, 적외선 반사판, 부표, 통신모듈, 배터리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100)은 도 3에서와 같이 유린백 본체유닛(10), 소변량 센싱유닛(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100)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15-0167065호 "병원 u-Health 기반의 유린백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린백 본체유닛(10)은 환자의 소변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소변량 센싱유닛(20)과 연결되어 소변량 센싱유닛(20)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린백 본체유닛(10)은 도 4에서와 같이 고무 소재 또는 비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변보관 포켓(11), 소변보관 포켓(11) 하단에 형성되어 소변을 배출시키는 드레인(12), 드레인(12)를 개폐시키는 수동식 개폐밸브(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유린백 본체유닛(10)은 좌우측 상부 부위가 토끼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변량 센싱유닛(20)에 연결될 수 있다.
소변량 센싱유닛(20)은 환자의 소변이 이동하는 이동관체가 연결되어 소변이 유입되고, 내부공간(20a)으로 유입된 소변량에 대한 계측이 수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관체는 연결호스 또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변량 센싱유닛(20)의 하부에 유린백 본체유닛(10)이 결합되는데, 소변량 센싱유닛(20)으로 유입된 소변량이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될 시 소변량 센싱유닛(20)과 유린백 본체유닛(10)이 서로 연통되면서 소변이 유린백 본체유닛(10)으로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에 의해 내부공간(20a)에 수용된 소변의 표면 높이가 실시간 계측되면서 현재 소변량이 실시간 연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20)은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케이싱(21), 배출구 개폐밸브(22), 부표(23), 적외선 반사판(24),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 컨트롤러(27), 통신모듈(28), 배터리(29)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싱(21)은 이동관체가 연결되는 상부 유입구(211)와 유린백 본체유닛(10)이 연결되는 하부 배출구(212)가 형성되고, 상부 유입구(211)와 하부 배출구(212)가 연통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으로 환자의 소변이 유입되어 수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21)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부단(21a)과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하부단(21b)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5에서와 같이 케이스 상부단(21a)의 상면 좌우측에는 연결홀(2131)을 갖는 연결고리(213)가 형성되고, 케이스 하부단(21b)의 경사진 좌우측면에는 고정용 후크(21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100)은 연결고리(213)에 의해 환자의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고정용 후크(214)에는 토끼귀 형상의 유린백 본체유닛(10) 좌우측 상부 부위가 걸려 유린백 본체유닛(10)이 안정되게 소변량 센싱유닛(2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 개폐밸브(22)는 케이싱(21)의 하부 배출구(212)를 개폐시키는 밸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 개폐밸브(22)는 컨트롤러(27)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다.
부표(23)는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체의 소변보다 낮은 비중을 가져 내부공간(20a)에 유입된 소변 표면에 부유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표(23)는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소변량의 변화에 따라 상하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20)은 복수의 가이드 레일(231)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의 바닥면 하측 영역에서 부표(23)를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부표(23)가 불규칙하게 수평이동하지 않고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의 바닥면 하측 영역 내에서만 상하이동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직사각 형상으로 부표(23)가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4개의 가이드 레일(231)이 직사각 형상의 부표(23)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31)은 부표(23)의 모서리 부위를 감싸는 '┌' 형 수평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외선 반사판(24)은 부표(23)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로부터 입사되는 적외선을 반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적외선 반사판(24)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는 케이싱(21)의 상측 부위에 배치되어 하측 방향으로 적외선을 입사시키고, 소변 표면의 부표(23)에 부착된 적외선 반사판(24)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컨트롤러(27)는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로부터 적외선 검출정보를 전달받고, 적외선 검출정보로부터 소변의 표면 높이를 계측하여 현재 소변량을 연산하게 된다.
통신모듈(28)은 컨트롤러(27)로부터 현재 소변량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의 관리서버, 관리자 휴대단말기, 보호자 휴대단말기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28)은 병원용 IoI 게이트웨이와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29)는 케이싱(2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 컨트롤러(27), 통신모듈(28)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20)은 도 7에서와 같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 컨트롤러(27), 통신모듈(28), 배터리(29)가 내장된 센서 블록(25)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센서 블록(25)은 케이싱(21)에 형성된 센서블록 고정대(215)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센싱유닛(20)의 컨트롤러(27)는 도 8에서와 같이 임계 소변량을 설정하고, 현재 소변량이 임계 소변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소변량이 임계 소변량에 도달하게 될 시 배출구 개폐밸브(22)를 자동개폐하여 소변이 소변량 센싱유닛(20)으로부터 유린백 본체유닛(1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100)은 환자의 소변이 최종 수용되는 유린백 본체유닛(10)에 연결되는 소변량 센싱유닛(20)에 구비되는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에 의해 소변량 센싱유닛(20)에 수집된 소변의 표면 높이가 검출되면서 환자의 현재 소변량이 실시간으로 연산되도록 하므로, 외부 광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현재 소변량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출될 수 있게 되고,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침상, 휠체어, 수액걸이 등으로 고정위치가 변동하더라도 현재 소변량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검출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유린백 본체유닛
11 : 소변보관 포켓
12 : 드레인
13 : 수동식 개폐밸브
20 : 소변량 센싱유닛
20a : 내부공간
21 : 케이싱
21a : 케이스 상부단
21b : 케이스 하부단
211 : 상부 유입구
212 : 하부 배출구
213 : 연결고리
2131 : 연결홀
214 : 고정용 후크
215 : 센서블록 고정대
22 : 배출구 개폐밸브
23 : 부표
231 : 가이드 레일
24 : 적외선 반사판
25 : 센서 블록
26 : 적외선 거리측정센서
27 : 컨트롤러
28 : 통신모듈
29 : 배터리
100 :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Claims (5)

  1. 환자의 소변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유린백 본체유닛(10)과;
    환자의 소변이 이동하는 이동관체가 연결되어 소변이 유입되고, 내부공간(20a)으로 유입된 소변량에 대한 계측이 수행되며, 유입된 소변량이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될 시 유린백 본체유닛(10)에 연결되어 소변이 유린백 본체유닛(1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변량 센싱유닛(20)을 포함하고,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에 의해 내부공간(20a)에 수용된 소변의 표면 높이가 실시간 계측되면서 현재 소변량이 실시간 연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2. 제 1항에 있어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이동관체가 연결되는 상부 유입구(211)와 유린백 본체유닛(10)이 연결되는 하부 배출구(212)가 형성되고, 상부 유입구(211)와 하부 배출구(212)가 연통되는 내부공간(20a)이 형성되는 케이싱(21)과;
    케이싱(21)의 하부 배출구(212)를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밸브(22)와;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에 배치되고, 인체의 소변보다 낮은 비중을 가져 내부공간(20a)에 유입된 소변 표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표(23)와;
    부표(23)의 상면에 부착되고, 적외선을 반사시키는 적외선 반사판(24)과;
    케이싱(21)의 상측 부위에 배치되어 하측 방향으로 적외선을 입사시키고, 소변 표면의 부표(23)에 부착된 적외선 반사판(24)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와;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로부터 적외선 검출정보를 전달받고, 적외선 검출정보로부터 소변의 표면 높이를 계측하여 현재 소변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러(27) 및;
    컨트롤러(27)로부터 현재 소변량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3. 제 2항에 있어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케이싱(21)의 내부공간(20a)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1)을 포함하여, 부표(23)가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4. 제 2항에 있어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은,
    케이싱(2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적외선 거리측정센서(26), 컨트롤러(27), 통신모듈(28)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5. 제 2항에 있어서,
    소변량 센싱유닛(20)의 케이싱(21)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좌우측에 연결고리(213)가 형성된 케이스 상부단(21a)과;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경사진 좌우측면에 고정용 후크(214)가 형성된 케이스 하부단(2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KR1020160126039A 2016-09-30 2016-09-30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KR101858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39A KR101858027B1 (ko) 2016-09-30 2016-09-30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39A KR101858027B1 (ko) 2016-09-30 2016-09-30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22A true KR20180036022A (ko) 2018-04-09
KR101858027B1 KR101858027B1 (ko) 2018-05-15

Family

ID=6197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39A KR101858027B1 (ko) 2016-09-30 2016-09-30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35A1 (ko) * 2019-09-23 2021-04-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102244517B1 (ko) * 2020-10-27 2021-04-23 한상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KR20210052768A (ko) * 2019-10-31 2021-05-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휴대 및 탈부착이 용이한 유린백
KR20220077990A (ko) * 2020-12-02 2022-06-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뇨 감시 방법
US11534093B2 (en) 2018-06-01 2022-12-27 ClearTrac Technologies, LLC Testing device for a uroflowme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455B1 (ko) 2021-02-05 2022-08-19 양승현 소변 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소변 변화량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4093B2 (en) 2018-06-01 2022-12-27 ClearTrac Technologies, LLC Testing device for a uroflowmeter
US11925465B2 (en) * 2018-06-01 2024-03-12 ClearTrac Technologies, LLC Uroflowmeter
WO2021060635A1 (ko) * 2019-09-23 2021-04-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10035928A (ko) * 2019-09-23 2021-04-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10052768A (ko) * 2019-10-31 2021-05-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휴대 및 탈부착이 용이한 유린백
KR102244517B1 (ko) * 2020-10-27 2021-04-23 한상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US11850049B2 (en) 2020-10-27 2023-12-26 Sang Ho H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urine volum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measuring urine volume
KR20220077990A (ko) * 2020-12-02 2022-06-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뇨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027B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027B1 (ko)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US20240172981A1 (en) Uroflowmeter
US8337476B2 (en) Real time urine monitoring system
US20190046102A1 (en) Portable fluid monitoring fob and methods for accurately measuring fluid output
US202400996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Irregular Liquid Flow Rates
US20170030758A1 (en) Fluid outpu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CN109288530B (zh) 一种无线尿量监测仪及其系统
US90749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dside collection of body fluids and automatic volume level monitoring
US9752914B2 (en) Measu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5243286B (zh) 一种利用水杯分析使用者饮水健康状态的方法
CN107024580A (zh) 体液引流检测系统及体液引流检测方法
CN105193197B (zh) 一种检测饮水量的智能水杯
WO2023086394A1 (en) Urinary output monitoring system
CN106073808B (zh) 一种尿流率检测马桶及其检测方法
WO2022116963A1 (zh) 引流装置及其控制方法、终端
CN206756832U (zh) 体液引流检测系统
CN107063414A (zh) 实时尿液/体液监测系统
KR101054641B1 (ko) 환자 관리를 위한 유-헬스 시스템
JP7072799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計測装置
JP7041890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計測装置
CN213510388U (zh) 一种智能测温全自动三辊闸
KR20240010850A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배뇨량 측정장치
CN202801634U (zh) 电子式尿量及尿比重一体化测量装置
CN206652031U (zh) 一种新型引流器
US11464895B2 (en) Body drain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