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496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496A
KR20180035496A KR1020160125657A KR20160125657A KR20180035496A KR 20180035496 A KR20180035496 A KR 20180035496A KR 1020160125657 A KR1020160125657 A KR 1020160125657A KR 20160125657 A KR20160125657 A KR 20160125657A KR 20180035496 A KR20180035496 A KR 2018003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te
bristles
grou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461B1 (ko
Inventor
유혜주
박미정
이종훈
김정호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2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4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일면에 복수개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핸들부; 및 상기 칫솔모의 내각을 변경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군집되는 제1 식모군과 상기 제1 식모군과 이웃하여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군집되는 제2 식모군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간 외측으로 칫솔모가 간섭되지 않게 칫솔모를 모아줌으로써, 치간과 치은연하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그런데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칫솔은 헤드부에 칫솔모가 단순히 일자로 심어져 있다. 특히, 교합면, 협면 및 설면과 같이 치아의 넓은 면 세정에 유리하도록 치아에 일정한 면적으로 접촉되기 위해, 복수의 칫솔모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므로, 플라그가 많이 생기는 치간(치아와 잇몸 사이) 또는 치은연하(치아와 잇몸 사이) 등에 칫솔모가 깊숙이 들어가는데 한계가 있어 세정력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치간에 끼어있는 음식 잔여물이나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 칫솔 사용 후 치간 칫솔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은연하의 프라그와 치석은 치주염 발생의 주요 원인이므로 지속적인 관리를 요하는 바, 일반 칫솔의 낮은 치은연하 침투력은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란적인 칫솔은 치간 침투 외에도 잇몸 자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잇몸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어려워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치간과 치은연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잇몸 마사지가 용이한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일면에 복수개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핸들부; 및 상기 칫솔모의 내각을 변경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군집되는 제1 식모군과 상기 제1 식모군과 이웃하여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군집되는 제2 식모군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은 단부가 중심으로 모일 때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이 중심으로 모인 단부의 내각은 4도 내지 40도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식모판과 연결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와 연결되어 상기 식모판의 내각을 회전시키는 작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모판은, 상기 제1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1 판과 상기 제2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2 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판에 마련되는 제1 기어, 상기 제2 판에 마련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작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 또는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작동기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반전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판은, 상기 제2 판과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모판은, 상기 제1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1 판과 상기 제2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치아 세정시에는 칫솔모가 일자로 놓여 치아 세정 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치간, 치은 등 좁은 영역의 세정시에는 칫솔모가 산 모양으로 이루어져 세정부위가 다른 부분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치간 등을 세정하기 위한 치간용 칫솔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칫솔로 입안 세정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모가 산 모양으로 모여 높은 밀도의 칫솔모를 이룸으로써, 칫솔을 이용한 잇몸 마사지가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1 식모군과 제2 식모군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1 식모군과 제2 식모군이 중심부를 향해 모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1 식모군과 제2 식모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헤드부(110), 핸들부(120) 및 작동부(13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일면에 복수개의 칫솔모(111)가 식모되어, 치아, 치간의 세정을 이루며, 헤드부(110)의 선단부는 직선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어, 세정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구강 내 잇몸이나 피부, 치아 등의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0)의 식모면(도면을 기준으로 상면일 수 있음)에는 복수개의 식모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는데, 식모홀은 칫솔모(111)가 식모되는 설치홀로서, 칫솔모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칫솔모의 단면이 육각,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에 대응하여 육각,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칫솔모(111)의 형태에 관계없이 식모홀이 이루어지고 칫솔모의 단부가 식모홀에 가압된 형태로 식모될 수는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식모홀은 칫솔모가 설치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치아의 세정 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칫솔모(111)는 크게 제1 식모군(1111), 제2 식모군(1112)을 포함하여, 작동부(130)의 조작에 따라 일반적인 칫솔모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용되거나, 중심부를 향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모여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은 단부가 중심으로 모일 때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은 헤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은, 헤드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칫솔모(111)가 군집을 이룰 수 있는데, 헤드부(110)의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제1 식모군(1111)은 헤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군집을 이루며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식모군(1112)은 제1 식모군(1111)과 이웃하여 헤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군집을 이루며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칫솔모(111)가 식모되는 식모판(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모판(112)은 제1 식모군(1111)이 마련되는 제1 판(1121)과 제2 식모군(1112)이 마련되는 제2 판(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판(1121)은 제2 판(1122)과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어, 제1 판(1121)과 제2 판(1122)에 식모되는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의 군집의 양은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판(1122)의 크기가 제1 판(1121)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판(1121)은 제2 판(1122)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이 중심으로 모인 단부의 내각(θ)은 4도 내지 40도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칫솔모(111)의 형태는 상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산모양(△)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칫솔모(111)가 5열 이상인 경우, 칫솔모(111)가 일자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하단부인 식모판(112)과 동일 유사한 면적을 이루면, 상단부는 넓은 면적으로 인하여 섬세하지 않아 치간 침투력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칫솔모(111)의 열 수에 따른 치간 및 치은연하 침투력에 대한 감성평가를 진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실험 대상은 30대 ~ 40대로 이루어졌으며, 조사 인원은 30명으로 이루어졌고, 그 평균값을 결과값으로 하였으며, 결가값의 수치는 최저 만족도가 0이고, 최고 만족도가 5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른 결과값은, 내각(θ) 20도를 이루는 2열에서 치간 침투력의 만족도가 4.5인 것과 더불어 치은연하 침투력에 대한 만족도가 4.9이고, 내각(θ) 20도를 이루는 3열에서 치간 침투력의 만족도는 3.8인 것과 더불어 치은연하 침투력에 대한 만족도가 3.5이며, 내각(θ) 20도를 이루는 4열에서 치간 침투력의 만족도는 3.2인 것과 더불어 치은연하 침투력에 대한 만족도가 2.9이고, 내각(θ) 20도를 이루는 5열에서의 치간 침투력의 만족도는 2.2인 것과 더불어 치은연하 침투력에 대한 만족도가 1.8로 나타난다.
그 결과, 2열 칫솔에 대한 치간 및 치은연하 침투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5열의 경우 부정적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뿔을 형성하는 칫솔 모의 열 수는 2열 내지 4열이 바람직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이 중심으로 모인 단부의 내각(θ)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4도 내지 40도를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각도에 따른 치면세균막 제거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이 모인 단부의 내각(θ)이 각각 10도, 20도, 30도, 40도가 되도록 경사 식모된 2열 칫솔의 인공치면 세균막(프라그)의 제거면적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인공 치면 세균막은 악태모양의 치아부분을 착색시킨 폴리머로 코팅하여 사용하고, 칫솔의 강모 단면과 코팅된 악태모형의 협면을 수평으로 위치하여 칫솔질 수행시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수행하였다.
실험은, 각 제품마다 수직행정, 수평행정 30초씩 번갈아 총 8회씩 수행하였으며, 인공치면 세균막 제거 전후의 면적은 ITplus microscop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수합된 자료들의 분석은 Window SPSS 20.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
그 결과, 2열의 칫솔모(111)를 기준으로 치은연하 프라그 제거 면적은 아래와 같다.
먼저, 칫솔모(111)가 수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거 면적이 2.59±1.21 mm2이고, 내각(θ)이 10도인 경우에는 제거 면적이 5.38±2.10 mm2이며, 내각(θ)이 20도인 경우에는 제거 면적이 6.07±1.43 mm2이고, 내각(θ)이 30도인 경우에는 제거 면적이 5.49±2.61 mm2이며, 내각(θ)이 40도인 경우에는 제거 면적이 3.22±1.86 mm2이다.
이와 같이, 실험 결과는, 20도 경사 부근이 적합한 내각(θ)임을 알 수 있고, 40도인 경우 대조군보다 치은연하 프라그 제거력이 더 높기는 하지만 내각(θ) 20도 내지 30도에 비해 제거력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각도가 커지면서 모 집단 끝의 탄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치은연하 침투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뿔 각도를 4도 미만으로 구현하는 것은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40도 이상으로 벌어질 경우 프라그 제거력이 떨어지므로, 뿔의 내각이 4도 내지 ~40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120)는 손잡이로서, 헤드부(110)로부터 연장되게 헤드부(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110)와 핸들부(120)는 동일, 유사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20)는 작동부(13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이 맞닿는 부분에 후술되는 작동부(130)의 작동체(1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양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칫솔(100)을 잡은 상태로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작동부(130)를 조작할 수 있다.
게다가, 핸들부(120)에는 연장바(132)를 지지하는 지지부(121)가 마련될 수 있는데, 지지부(121)는 연장바(132)가 수용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작동부(130)의 작동체(133)를 제외한 후술되는 기어부(131), 연장바(132) 및 지지부(1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핸들부(120)의 내부에 언급한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작동부(130)는 칫솔모(111)의 내각을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작동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이 동시에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130)는 기어부(131), 연장바(132) 및 작동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131)는 식모판(11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131)는, 제1 판(1121)에 마련되는 제1 기어(1311), 제2 판(1122)에 마련되는 제2 기어(1312)를 포함하고, 제1 기어(1311) 및 제2 기어(1312)를 회전시키는 작동기어(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식모군(1111)과 제2 식모군(1112)이 중심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제1 기어(1311) 및 제2 기어(1312)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부를 향해 회전하거나 위치가 복귀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게다가, 기어부(131)는 반전기어(131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반전기어(1314)는 제1 기어(1311) 또는 제2 기어(1312)와 작동기어(1313) 사이에 마련되어 제1 기어(1311) 및 제2 기어(131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부(131)는 제1 기어(1311), 반전기어(1314), 작동기어(1313) 및 제2 기어(1312)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작동기어(1313)의 회전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131)의 회전은 작동기어(1313)의 회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작동기어(1313)는 그 중심축에 연장바(132)가 관통설치되어 연장바(132)가 회전축을 이룸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장바(132)는 기어부(131)와 연결되어 핸들부(120)까지 연장되고, 핸들부(120)에서 작동체(133)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작동체(133)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연장바(132), 작동기어(1313)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작동체(133)는 연장바(132)와 연결되어 식모판(112)의 내각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작동체(133)는 연장바(132)가 회전축을 이루도록 연장바(132)가 중심에 관통되는 기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작동체(133)와 작동기어(1313)는 유사한 형태로 마련되어, 연장바(132)의 양단에 기어가 마련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체(133)는 기어 형상을 이루고, 핸들부(120)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에 돌기(1331)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핸들부(120) 상의 돌기(1331)를 조작하여 식모판(1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체(133)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핸들부(120)에는 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돌기(1331)의 이동 경로가 홈에 의해 제한되어 작동체(133)의 회전이 계속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치아 세정시에는 칫솔모가 일자로 놓여 치아 세정 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치간, 치은 등 좁은 영역의 세정시에는 칫솔모가 중심부 방향을 향해 모임으로써, 산 모양을 이루어 세정부위가 다른 부분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어, 하나의 칫솔로 입안 세정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산모양의 형태의 칫솔모가 높은 밀도를 이룸으로써 칫솔을 이용한 잇몸 마사지가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칫솔 110 : 헤드부
111 : 칫솔모 1111 : 제1 식모군
1112 : 제2 식모군 112 : 식모판
1121 : 제1 판 1122 : 제2 판
120 : 핸들부 121 : 지지부
130 : 작동부 131 : 기어부
1311 : 제1 기어 1312 : 제2 기어
1313 : 작동기어 1314 : 반전기어
132 : 연장바 133 : 작동체
1331 : 돌기

Claims (10)

  1. 일면에 복수개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핸들부; 및
    상기 칫솔모의 내각을 변경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군집되는 제1 식모군과 상기 제1 식모군과 이웃하여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군집되는 제2 식모군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은 단부가 중심으로 모일 때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군과 상기 제2 식모군이 중심으로 모인 단부의 내각은 4도 내지 4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식모판과 연결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와 연결되어 상기 식모판의 내각을 회전시키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판은, 상기 제1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1 판과 상기 제2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2 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판에 마련되는 제1 기어, 상기 제2 판에 마련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작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 또는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작동기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반전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제2 판과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모판은, 상기 제1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1 판과 상기 제2 식모군이 마련되는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60125657A 2016-09-29 2016-09-29 칫솔 KR10205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57A KR102054461B1 (ko) 2016-09-29 2016-09-29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57A KR102054461B1 (ko) 2016-09-29 2016-09-29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96A true KR20180035496A (ko) 2018-04-06
KR102054461B1 KR102054461B1 (ko) 2019-12-11

Family

ID=6197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657A KR102054461B1 (ko) 2016-09-29 2016-09-29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27A (ko) * 2003-11-05 2005-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간편한 구조의 전동칫솔
KR100656887B1 (ko) * 2005-11-22 2006-12-13 전동진 칫솔모의 폭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100121919A (ko) * 2009-05-11 2010-11-19 김용성 전동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27A (ko) * 2003-11-05 2005-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간편한 구조의 전동칫솔
KR100656887B1 (ko) * 2005-11-22 2006-12-13 전동진 칫솔모의 폭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100121919A (ko) * 2009-05-11 2010-11-19 김용성 전동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461B1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38206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和包括此类头部的套件
US7836539B2 (en) Oral care implement
US5802656A (en) Toothbrush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US8800093B2 (en) Oral care implement
US7845042B2 (en) Oral care implement
AU2015349915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TW201021741A (en) Oral care implement
EA01971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1053716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JP5132712B2 (ja) 歯ブラシ
JP2008029397A (ja) 歯ブラシ
CN108430349A (zh) 口腔护理器具
CN200973759Y (zh) 口腔清洁用品
KR20180035496A (ko) 칫솔
US20220125563A1 (en) Dental cleaning device
JPH09182625A (ja) 歯刷子
JP6071386B2 (ja) 歯ブラシ
EP0130252B1 (en) Modular interproximal toothbrushes
CN112638207A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和包括此类头部的套件
CN218588488U (zh) 一种刷头可调节可替换的牙刷
CN2698147Y (zh) 可兼顾竖向和横向刷洗带托盘的“t”型保健牙刷
CN215125256U (zh) 一种可清洁牙缝的牙刷头和牙刷
KR102203708B1 (ko) 멀티 세정형 치간칫솔
CN115736479A (zh) 一种刷头可调节可替换的牙刷
JPS63316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