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054A - Switch apparatus - Google Patents

Switch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054A
KR20180035054A KR1020160125048A KR20160125048A KR20180035054A KR 20180035054 A KR20180035054 A KR 20180035054A KR 1020160125048 A KR1020160125048 A KR 1020160125048A KR 20160125048 A KR20160125048 A KR 20160125048A KR 20180035054 A KR20180035054 A KR 2018003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slider
elastic support
fitt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6772B1 (en
Inventor
임윤택
공성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72B1/en
Publication of KR2018003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pparatus which comprises: a push button; a body connected to be able to move the push button; a slider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in the body; and a switch unit installed inside the slider. The switch apparatus can improve operability of the push button.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유동을 방지하여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water inflow, icing, and the like, and preventing the push button from flowing,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of the push button.

주지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는 전기회로의 개폐 또는 접속상태의 변경 등을 위한 것으로, 푸시버튼스위치, 회전스위치, 나이프스위치, 변환스위치 등이 있다. As is well known, the switch device is for opening / closing an electric circuit or changing the connection state, and includes a push button switch, a rotary switch, a knife switch, and a conversion switch.

한편,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전자기기의 전기회로의 개폐를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스위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are built in the vehicle, and switch devices of various structures can be install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ic circuits of such electronic devices.

또한, 차량의 도어 개폐, 차량의 트렁크 개폐 등을 위하여 록킹기구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 록킹기구에 스위치 장치가 연결되어 록킹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a locking mechanism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a trunk of a vehicle, and a switch device is connected to the door locking mechanis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이러한 차량용 스위치 장치 중에서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가니쉬(garnish)의 개구 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 버튼과, 푸시 버튼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 접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유닛과, 푸시 버튼과 스위치유닛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고무재질의 연결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mong these vehicle switch apparatuses, the push button switch apparatus includes a push button movably installed on an opening side of a garnish, a switch unit for turning on and off the electrical contact by the movement of the push button, A connect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that is sexually connected, and the like.

일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외관미를 고려하여 푸시버튼의 표면에 크롬 도금 등을 적용하고, 가니쉬의 개구 내측에 푸시버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롬 도금의 적용으로 인해 푸시버튼, 연결부재 및 스위치유닛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푸시버튼이 가니쉬의 가이드구조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푸시버튼과 가이드구조 사이의 틈새로 수분, 이물질 등이 쉽게 유입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이동경로가 길어져 빙결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푸시버튼의 작동 시에 푸시버튼의 좌우방향 유동을 규제하지 못하여 푸시버튼의 작동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In the push button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chrome plating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ush button in consideration of appearance, and a guide structure for guiding the push button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of the garnish can be formed. Thus,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chromium plating, the push butto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witch unit can not be integral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Further, as the push button is guided by the guide structure of the garnish, moisture, foreign matter, and the like can easily flow into the gap between the push button and the guide structure, and the moving path of the push button becomes long.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is deteriorated because the push button can not be regul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push button is operated.

다른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푸시버튼, 연결부재 및 스위치유닛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한 구조가 있다. 이와 같이, 푸시버튼이 연결부재를 통해 스위치유닛에 일체형으로 연결됨에 따라 가니쉬의 개구 내측에 푸시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가이드구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푸시버튼, 연결부재 및 스위치유닛이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됨에 따라 푸시버튼의 표면에 크롬 도금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그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The push button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ush butto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witch unit are integral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Since the push butt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guide structur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push button inside the opening of the garnish,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freezing and the like. However, ,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witch unit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so that the chrome plating can not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ush butt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이동 시에 푸시버튼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함을 방지하여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 button switch that effectively prevents moisture inflow, icing, and the like from being caused to flow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moving direction of a push button, And to provide a switch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switch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치는,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tch device including: a push button; A body to which the push button is movably connected; A slider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a switch unit installed inside the slider.

상기 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끼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푸시버튼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and the push button can b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보스가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가 상기 보스의 내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The boss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may be fitted into the boss.

상기 탄성지지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일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ing par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an close one end of the body.

상기 끼움결합부,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바디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tting por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may be formed of the same body through insert injection.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The slider may be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back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상기 접촉부에는 내측결합부가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engag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abutting portion, and an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to engage the inner engaging portion of the slider.

상기 푸시버튼은 누름면 및 상기 바디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The push button may have a pressing surface 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side.

상기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One or more engag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one or more snap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and the snap protrusion may be snap-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이동 시에 푸시버튼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함을 방지하여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water inflow, icing, and the like, and to prevent the push button from flow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thereby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push butt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A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치는, 푸시버튼(10)과, 푸시버튼(10)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20)와, 바디(2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30)와, 슬라이더(30)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1,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button 10, a body 20 to which the push button 10 is movably connected, A slider 30 installed therein, and a switch unit 40 provided inside the slider 30. [

푸시버튼(10)은 가니쉬(15)의 개구 측에 설치될 수 있고, 푸시버튼(10)은 가니쉬(15)의 개구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면(11) 및 누름면(11)의 반대측에 위치한 결합부(12)를 가질 수 있다. The push button 10 may be provid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garnish 15 and the push button 1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ush surface 11 and the push surface 1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garnish 15 And may have an engaging portion 12.

누름면(11)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누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2)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12a)을 가지며, 이러한 결합홈(12a)이 바디(20) 측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The pressing surface 11 is formed so as to be easily pressed by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and the engaging portion 12 has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12a and the engaging groove 12a is snap-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버튼(10)의 표면에는 크롬 도금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푸시버튼(10)의 외관미가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rome plating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ush button 10, and the appearance of the push button 10 may be improved.

바디(2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내측공간부(21)를 가질 수 있고, 내측공간부(21)에는 슬라이더(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디(20)의 내벽면에는 슬라이더(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20 may have an inner space 21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space 21 may have a slider 30 movably installed therein. A guide groove 2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20.

바디(20)의 일단에는 푸시버튼(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At one end of the body 20, an elastic support portion 2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10 may be provided.

일 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바디(20)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5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to close one end of the body 20.

다른 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5)는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바디(20)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5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or a plate spring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o as to close the one end of the body 20.

한편, 바디(20)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제1단턱부(23)가 형성될 수 있고, 탄성지지부(25)의 가장자리에는 제2단턱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탄성지지부(25)의 제2단턱부(26)가 바디(20)의 제1단턱부(23)에 정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tep 23 may be formed at one edge of the body 20 and the second step 26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elastic support 25. [ The second step portion 26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5 can be precisely engaged with the first step portion 23 of the body 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5)는 바디(20)의 일단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바디(20)의 제1단턱부(23)에 탄성지지부(25)의 제2단턱부(26)가 정확히 접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 2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20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and the elastic support 25 may be formed on the first step 23 of the body 20, And the second step portion 26 of the second stepped portion 26 is accurately joined.

탄성지지부(25)에는 끼움결합부(28)가 설치될 수 있고, 끼움결합부(28)에는 푸시버튼(10)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25)의 중앙에는 보스(24)가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끼움결합부(28)는 보스(24)의 내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ing part 25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part 28 and the fitting part 28 may be fitted with a push button 10. The boss 24 can protrude outwar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25 and the fitting portion 28 can be fitted into the boss 24.

끼움결합부(28)의 일단에는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28a)가 형성되고, 끼움결합부(28)의 스냅돌기(28a)는 보스(24)의 외측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스냅돌기(28a)는 푸시버튼(10)의 결합부(12)의 결합홈(12a)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One or more snap projections 28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tting engagement portion 28 and a snap projection 28a of the fitting engagement portion 28 may protrude from the outer end of the boss 24. [ The snap protrusion 28a can be snap-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2a of the engaging portion 12 of the push button 10.

끼움결합부(28)의 타단에는 보스(24)의 내측단에 지지되는 스토퍼(28b)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스토퍼(28b)에 의해 끼움결합부(28)는 탄성지지부(24)의 보스(24)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결합부(28)가 탄성지지부(24)의 보스(24)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끼움결합부(28)는 탄성지지부(25)의 보스(24)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 stopper 28b supported at the inner end of the boss 24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portion 28. The stopper 28b allows the fitting portion 28 to be engaged with the boss 24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24. [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base 24. Since the fitting portion 28 is fitted into the boss 24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4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portion 28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on the boss 24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5 May be formed as an identical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탄성지지부(25)가 단턱부(26, 23)에 의해 바디(20)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끼움결합부(28)가 탄성지지부(25)의 보스(24)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끼움결합부(28), 탄성지지부(25) 및 바디(20)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끼움결합부(28), 탄성지지부(25), 바디(20)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가니쉬(15)의 개구 측에 푸시버튼(10)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가이드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바디(20) 내로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s 25 made of rubber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0 through the insert molding by the step portions 26 and 23 so that the fitting portion 28 is elastically supported 25 through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fitting part 28, the elastic supporting part 25, and the body 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to form one module. Since the fitting part 28, the elastic supporting part 25 and the body 20 are formed of the same body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a separate guide structure for guiding the push button 10 to the opening side of the garnish 15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water inflow, icing, and the like into the body 20.

그리고, 끼움결합부(28)의 내부에는 슬라이더(30)가 결합되는 결합홈(28c)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ngaging groove 28c to which the slider 3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28. [

슬라이더(30)는 바디(20)의 내측공간부(21)에서 푸시버튼(10)의 누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slider 30 can b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0 in the inner space 21 of the body 20. [

슬라이더(30)의 일단에는 탄성지지부(25)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31)가 마련되고, 접촉부(31)는 슬라이더(30)의 일단을 폐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3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er 30 to contact the back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25. The contact portion 31 may be formed to close one end of the slider 30. [

접촉부(31)의 중앙에는 내측결합부(33)가 돌출하고, 접촉부(31)의 내측결합부(33)는 끼움결합부(28)의 결합홈(28c)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내측결합부(33)가 끼움결합부(28)의 결합홈(28c)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접촉부(31)는 탄성지지부(25)의 이면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The inner engaging portion 33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31 and the inner engaging portion 33 of the abutting portion 31 can be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8c of the fitting portion 28. [ The inner side engaging portion 33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8c of the fitting portion 28 so that the abutting portion 31 can make airtight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5. [

슬라이더(3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부(34)가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더(30)의 가이드부(34)는 바디(20)의 가이드홈(22)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34 of the slider 30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22 of the body 20. The guide portion 34 of the slider 30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22 of the body 20. [

스위치유닛(40)은 슬라이더(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에 푸시버튼(10)의 누름에 의해 탄성지지부(25)가 눌려져 슬라이더(30)의 접촉부(31)가 스위치유닛(40)을 가압함으로써 전기접점이 온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버튼(10)의 누름이 해제되면 탄성지지부(25)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슬라이더(30) 또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스위치유닛(40)의 전기접점이 오프될 수 있다.The switch unit 40 is located inside the slider 30 an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25 is pressed by pushing the push button 10 so that the contact portion 31 of the slider 30 presses the switch unit 40 The electrical contact can be turned on. When the push button 10 is released,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25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and the slider 30 is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Thus,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switch unit 40 can be turned of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푸시버튼(10)의 누름에 의해 탄성지지부(25)를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30)가 바디(20) 내에서 가이드됨에 따라 푸시버튼(10)은 슬라이더(30)의 이동방향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푸시버튼(10)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er 30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25 is guided in the body 20 by the pushing of the push button 10, the push button 10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sh button 10 from being moved in another direction, whereby the operability of the push button 10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푸시버튼 20: 바디
30: 슬라이더 40: 스위치유닛
10: push button 20: body
30: Slider 40: Switch unit

Claims (10)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Push button;
A body to which the push button is movably connected;
A slider movably installed in the body; And
And a switch unit provided inside the sli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마련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끼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푸시버튼이 끼움결합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and the push button is engaged with the fitting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보스가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가 상기 보스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boss protrudes outward from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is fitted into the bos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loses one end of the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바디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tting por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are formed of the same body through insert inj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one end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back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내측결합부가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inner engag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abutting portion, and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to engage an inner engaging portion of the sli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누름면 및 상기 바디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button has a pressing surface 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sid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snap projec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and the snap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KR1020160125048A 2016-09-28 2016-09-28 Switch apparatus KR101896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48A KR101896772B1 (en) 2016-09-28 2016-09-28 Switch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48A KR101896772B1 (en) 2016-09-28 2016-09-28 Switch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54A true KR20180035054A (en) 2018-04-05
KR101896772B1 KR101896772B1 (en) 2018-09-07

Family

ID=6197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48A KR101896772B1 (en) 2016-09-28 2016-09-28 Switch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7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73A (en) * 1999-11-29 2001-06-08 Yamashita Denki Kk Switch
KR20080050666A (en) * 2006-12-04 2008-06-10 박재우 Ip switch for vehicle
JP2010044972A (en) * 2008-08-14 2010-02-25 Alps Electric Co Ltd Illuminated switch device
JP2011249282A (en) * 2010-05-31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Key switch device and keyboard
KR20150137143A (en) * 2014-05-28 2015-12-09 위너콤 주식회사 Door Antenna Switch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73A (en) * 1999-11-29 2001-06-08 Yamashita Denki Kk Switch
KR20080050666A (en) * 2006-12-04 2008-06-10 박재우 Ip switch for vehicle
JP2010044972A (en) * 2008-08-14 2010-02-25 Alps Electric Co Ltd Illuminated switch device
JP2011249282A (en) * 2010-05-31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Key switch device and keyboard
KR20150137143A (en) * 2014-05-28 2015-12-09 위너콤 주식회사 Door Antenna Switch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772B1 (en)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4648A (en) Switch assembly with actuator for sequentially activating two safety switches
JP2012204341A (en) Slide type button
US6313420B1 (en) Slide switch
KR101896772B1 (en) Switch apparatus
CN115206714A (en) Switching device
US20110192709A1 (en) Control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2007188770A (en) Latch release operation device
KR200486134Y1 (en) A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JP4962614B1 (en) switch
US8158901B2 (en) Sliding key mechanism capable of being fastened tightly due to interference generated by elastic force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KR101919432B1 (en) Apparatus for switching
KR200460533Y1 (en) Sliding switch unit
JP6729849B2 (en) Operation unit assembly structure
JP6604642B1 (en) Adapter for slide operation conversion of rocker switch.
US20230420200A1 (en) 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US20230417087A1 (en) 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KR200365289Y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Wing Guide and Knob of Wide Switch
KR101171651B1 (en) Switching device unit
JP4532702B2 (en) Slide switch
JP4008648B2 (en) Push button switch
JP2004030935A (en) Simple waterproof type switch
JPH11126535A (en) Push button switch
CN114446690A (en) Key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90101776A (en) Button assembly
JP2011018601A (en) The multi-directional slide type electronic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